KR102215638B1 -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638B1
KR102215638B1 KR1020200126116A KR20200126116A KR102215638B1 KR 102215638 B1 KR102215638 B1 KR 102215638B1 KR 1020200126116 A KR1020200126116 A KR 1020200126116A KR 20200126116 A KR20200126116 A KR 20200126116A KR 102215638 B1 KR102215638 B1 KR 10221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hip
ultraviolet
elevator
delete dele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민수
Original Assignee
(주)내일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일엔 filed Critical (주)내일엔
Priority to KR102020012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638B1/ko
Priority to KR1020210008471A priority patent/KR102320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638B1/ko
Priority to PCT/KR2021/010958 priority patent/WO20220656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버튼 패널의 상측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버튼 패널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자외선 LED 칩; 및 상기 자외선 LED 칩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상기 버튼 패널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Sterilization apparatus for buttons in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층수, 열림/닫힘 등의 선택이나 입력을 위한 버튼 패널이 설치되는데, 보통 기계식 푸시 버튼 또는 터치식 버튼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버튼 패널은 불특정 다수 사용자가 버튼면에 주로 손가락을 접촉하여 작동시키므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상존하여, 각종 감염을 유발하거나 전염병 전파의 매개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 위에 구리 등을 성분으로 하는 항균필름을 부착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살균이 아니라 바이러스의 사멸 시기를 조금 앞당기는 것에 불과하고, 항균 필름에서도 바이러스가 4시간까지 살아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등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입증된 바가 없다. 게다가 항균필름은 사용함에 따라 손상과 오염이 증가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 유지관리가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0156호(2016.09.21.자 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130호(2012.10.18.자 공고)
"승강기 버튼 살균 시스템 '바이스터'" (online, 2020. 9. 8., 인터넷 URL : https://el-safe.or.kr/entry/%EC%8A%B9%EA%B0%95%EA%B8%B0-%EB%B2%84%ED%8A%BC-%EC%82%B4%EA%B7%A0-%EC%8B%9C%EC%8A%A4%ED%85%9C%E2%80%98%EB%B0%94%EC%9D%B4%EC%8A%A4%ED%84%B0%E2%80%99-%EA%B0%9C%EB%B0%9C-%EA%B8%B0%EC%97%85-%E3%88%9C%EB%94%94%EC%97%A0%EB%94%94%EC%84%BC%ED%84%B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요로 하는 영역에 보다 균일하게 자외선 광이 조사되도록 하고, 다양한 크기의 버튼 패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외선 광 조사 영역을 가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외선 광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버튼 패널의 상측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버튼 패널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자외선 LED 칩; 및 상기 자외선 LED 칩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상기 버튼 패널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자외선 LED 칩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고 후방 하측을 향하는 제1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의 단면은 포물선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LED 칩은 상기 포물선의 초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힌지홈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홈에 대응하여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힌지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홈에 상기 힌지돌기가 끼움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힌지돌기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상기 힌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하는 회전조절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에는 상기 회전조절핸들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절핸들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커버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자외선 LED 칩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전방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평면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의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전방 하측을 향하며 상기 제1 반사면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된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LED 칩은, 측방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고, 자외선A 광을 출사하는 자외선A LED 칩 및 자외선C 광을 출사하는 자외선C 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에 따라, 상기 자외선A LED 칩 및 상기 자외선C LED 칩의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자외선A LED 칩을 제1 소정 시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 시키고, 탑승자가 감지되었다가 감지가 해소되면, 상기 자외선C LED 칩을 제2 소정 시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 시키되, 상기 자외선C LED 칩이 온인 동안 탑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자외선C LED 칩을 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소정 시간은 상기 제1 소정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살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로 하는 영역에 보다 균일하게 자외선 광이 조사되도록 하고, 다양한 크기의 버튼 패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외선 광 조사 영역을 가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외선 광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의 측면커버(120)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자외선 조사 유닛(200)을 후방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도 6은 제1 반사면(243)의 단면 형태와 자외선 LED 칩(230)의 배치 및 자외선 광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도 7은 자외선 조사 유닛(200)이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8은 세로 길이가 비교적 긴 버튼 패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세로 길이가 비교적 짧은 버튼 패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의 제어부(300), 자외선A LED 칩(230A) 및 자외선C LED 칩(230C)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S)는 엘리베이터의 버튼 패널(B)의 상측 벽면에 설치되어, 버튼 패널(B)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자외선 광은 살균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S)가 일정 시간 버튼 패널(B)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버튼 패널(B)이 살균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로서, 도 2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3은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를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하우징(110), 측면커버(120, 130), 자외선 조사 유닛(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의 측면커버(120)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자외선 조사 유닛(200)을 후방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하우징(110)은 엘리베이터의 버튼 패널(B)의 상측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양 측면 및 하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버튼 패널(B)의 폭에 상응하도록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양면테이프(116)(혹은 자석), 또는 벽면걸이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커버(120, 130)는 각각 하우징(110)의 개방된 양측면을 덮는다. 하우징(110)의 측면에 피스홈(111, 112)이 마련되고, 측면커버(120)에는 피스홈(111, 112)에 대응하는 관통홀(121, 122)이 형성되어, 체결피스(131, 132)가 관통홀(121, 122)을 관통하여 피스홈(111, 112)에 체결됨으로써 측면커버(120, 130)가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유닛(200)은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데,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버튼 패널(B)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자외선 조사 유닛(200)은, 프레임(210), 기판(220), 자외선 LED 칩(230), 반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20), LED 칩(230), 반사부(240)는 프레임(210)에 설치된다. 프레임(210)은 기판(220), LED 칩(230), 반사부(240)를 위에서 감싸도록 형성된다. 기판(220)은 프레임(210)의 상측 하면에 설치된다. 반사부(240)는 양 끝단이 각각 프레임(210)의 걸림홈(215, 217)에 걸려 고정된다.
기판(220)은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자외선 LED 칩(230)은 측방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기판(220)의 하면에 실장된다. 자외선 LED 칩(230)은 자외선A 광을 출사하는 자외선A LED 칩(230A)과 자외선C 광을 출사하는 자외선C LED 칩(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A LED 칩(230A)과 자외선C LED 칩(230C)은 하나 이상씩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자외선A 광은 320~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광으로, 인체에 무해한 반면 살균력이 약하여 비교적 긴 시간을 조사하여야 한다. 자외선C 광은 100~28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으로, 약 1분 내외의 시간이면 99%의 살균이 가능하나, 인체에 유해하므로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외선A 광과 자외선C 광을 함께 활용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게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바, 이에 관하여는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반사부(240)는 자외선 LED 칩(230)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버튼 패널(B)을 향해(즉, 하측 후방을 향해) 반사시킨다. 반사부(240)는 평면부(241), 제1 반사면(243), 제2 반사면(245)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241)는 자외선 LED 칩(2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자외선 LED 칩(230)에서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자외선 LED 칩(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242)이 형성된다.
제1 반사면(243)은 평면부(241)의 전방으로부터 전방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반사면(243)은 자외선 LED 칩(230)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고 후방 하측을 향함으로써, 자외선 LED 칩(230)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버튼 패널(B)을 향해 반사시킨다.
제2 반사면(245)은 평면부(241)의 후방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반사면(245)은 자외선 LED 칩(230)의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전방 하측을 향함으로써, 자외선 LED 칩(230)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버튼 패널(B)을 향해 반사시킨다. 버튼 패널(B)로의 자외선 광 조사에 대한 제2 반사면(245)의 기여도는 제1 반사면(243)보다 적은 바, 제2 반사면(245)은 제1 반사면(243)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반사면(245)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상, 자외선 LED 칩의 출사 각도는 약 120°이다. 따라서 단순히 LED 칩을 조사하고자 하는 영역을 향해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필요치 않는 부분까지도 광이 조사되어 살균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면(243)(그리고, 선택적으로 제2 반사면(245))을 이용하여 자외선 광을 필요로 하는 영역으로 유도함으로써,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사하고자 하는 영역(즉, 버튼 패널(B)의 영역)에 자외선 광을 가능한 균일하게 조사하여야 살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하여 제1 반사면(243)(그리고, 선택적으로 제2 반사면(245))의 단면을 포물선으로 형성하고, 해당 포물선의 초점에 자외선 LED 칩(230)이 배치되도록 한다. 포물선의 초점에서 출발한 빛은 포물선의 어느 지점에서 반사되든 모두 포물선의 축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특성을 가진다. 도 6은 제1 반사면(243)의 단면 형태와 자외선 LED 칩(230)의 배치 및 자외선 광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243)을 형성하는 포물선의 축이 후방 하측(즉, 버튼 패널(B) 쪽)을 향하도록 하고, 포물선의 초점에 자외선 LED 칩(230)을 배치하면, 제1 반사면(243)에서 반사된 자외선 광은 모두 버튼 패널(B)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자외선 LED 칩(230)에서 출사되는 자외선 광이 버튼 패널(B)의 모든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고, 버튼 패널(B) 이외의 영역에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살균 효율 및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마다 버튼 패널(B)의 크기(특히 세로 길이)는 다양하다. 그런데 도 6과 같은 특정 광 경로를 가정할 때, 어떤 세로 길이의 버튼 패널(B)에는 해당 영역 만큼에 걸쳐 자외선 광이 조사될 수 있겠으나, 세로 길이가 그보다 작은 경우 자외선 광이 버튼 패널(B)을 벗어난 영역까지 조사될 수 있고, 세로 길이가 그보다 큰 경우 버튼 패널(B)의 일부 영역에는 자외선 광이 제대로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버튼 패널(B)에 해당 영역 만큼에 걸쳐 자외선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 조사 유닛(200)을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에는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힌지홈(113)이 마련되고, 프레임(210)의 상면에는 힌지홈(113)에 대응하여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힌지돌기(213)가 마련된다. 하우징(110)의 힌지홈(113)에 프레임(210)의 힌지돌기(213)가 끼움삽입되어 프레임(210)이 힌지돌기(213)를 축으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자외선 조사 유닛(200)이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돌기(213)에 결합되어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하는 회전조절핸들(13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측면커버(120)에는 회전조절핸들(133)이 관통하는 관통홀(123)이 마련되어, 회전조절핸들(133)은 측면커버(120)의 관통홀(123)을 관통하여 힌지돌기(213)에 결합된 채 측면커버(1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조절핸들(133)을 돌림으로써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자외선 조사 유닛(200)이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 유닛(200)은 힌지돌기(213)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제1 반사면(243)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세로 길이가 비교적 긴 버튼 패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상태에서, 세로 길이가 비교적 긴 버튼 패널(B1)의 해당 영역 만큼에 걸쳐 자외선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도 9는 세로 길이가 비교적 짧은 버튼 패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외선 조사 유닛(200)의 회전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과 비교하여 보면, 도 8의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 유닛(200)을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는 것에 의해, 자외선 광의 광 경로가 변경되어 세로 길이가 비교적 짧은 버튼 패널(B2)의 해당 영역 만큼에 걸쳐 자외선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는 전술한 자외선A LED 칩(230A) 및 자외선C LED 칩(230C)과 더불어, 탑승자 감지센서(115), 제어부(300) 및 배터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어 기판(220)에 실장될 수 있다.
탑승자 감지센서(115)는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한다. 탑승자 감지센서(115)는 하우징(110)의 전방에 마련되는 홀(114)에 설치될 수 있다. 탑승자 감지센서(115)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발사하고 그 반사광을 감지하여 전방 혹은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그 반사파를 감지하여 전방 혹은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310)는 제어부(300), 자외선A LED 칩(230A), 자외선C LED 칩(230C), 탑승자 감지센서(115)에 전원을 공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31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엘리베이터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탑승자 감지센서(115)로부터 감지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에 따라, 자외선A LED 칩(230A) 및 자외선C LED 칩(230C)의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예컨대 센서, CCTV, 중량 등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탑승자 유무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300)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탑승자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 감지센서(115)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외선A 광은 인체에 무해한 반면 살균력이 약하여 비교적 긴 시간을 조사하여야 하고, 자외선C 광은 적은 시간으로도 살균이 가능하나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자외선A 광과 자외선C 광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게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제어부(300)는, 탑승자가 감지될 때마다 자외선A LED 칩(230A)을 제1 소정 시간(예컨대, 약 3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 시킨다. 그러면 자외선A 광은 탑승자가 감지될 때마다 조사되거나, 탑승자가 계속 발생하는 경우 계속적으로 조사되므로, 충분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므로 탑승자가 있는 동안 조사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자외선A LED 칩(230A)이 온 될 때 점등되면, 탑승자는 살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탑승자가 감지되었다가 감지가 해소되면, 그때부터 자외선C LED 칩(230C)을, 제1 소정 시간보다 짧은 제2 소정 시간(예컨대, 약 1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 시킨다. 탑승자가 감지된 경우 해당 탑승자가 버튼을 만졌을 것이므로 살균이 필요하고, 자외선C 광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탑승자가 없을 때 조사하기 위해, 탑승자가 감지되었다가 감지가 해소되면 비로소 자외선C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C 광은 탑승자가 없을 때 조사되어야 하므로, 자외선C 광이 조사되는 동안, 즉 자외선C LED 칩(230C)이 온 상태인 동안 탑승자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자외선C LED 칩(230C)을 오프시켜 해당 탑승자가 자외선C 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의 제어부(300), 자외선A LED 칩(230A) 및 자외선C LED 칩(230C)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탑승자가 감지되면(1110단계), 제어부(300)는 자외선A LED 칩(230A)을 온 시키고(1115단계),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1120단계), 제어부(300)는 자외선A LED 칩(230A)을 오프 시킨다(1125단계).
1110단계 이후에 탑승자 감지가 해소되면(1130단계)(즉,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가 없게 되면), 제어부(300)는 자외선C LED 칩(230C)을 온 시킨다(1135단계). 이때 1115단계 이후로 제1 소정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면, 자외선A LED 칩(230A)과 자외선C LED 칩(230C)이 모두 온인 상태가 된다. 1135단계 이후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1140단계), 제어부(300)는 자외선C LED 칩(230C)을 오프 시킨다(1145단계).
1135단계를 통해 자외선C LED 칩(230C)이 온 된 후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즉, 자외선C LED 칩(230C)이 온 되는 동안) 탑승자가 감지되면(1150단계), 제어부(300)는 자외선C LED 칩(230C)을 오프 시킨다(1155단계). 그리고 탑승자 감지가 해소되면(1160단계), 제어부(300)는 다시 자외선C LED 칩(230C)을 온 시킨다(1135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로서,
    엘리베이터 내의 버튼 패널의 상측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버튼 패널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자외선 LED 칩; 및
    상기 자외선 LED 칩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을 상기 버튼 패널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자외선 LED 칩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전방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고 후방 하측을 향하며 단면이 포물선인 제1 반사면; 및
    상기 평면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의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전방 하측을 향하며 상기 제1 반사면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된 제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은 상기 포물선의 초점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패널의 크기에 따라 자외선 광 조사 영역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힌지홈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홈에 대응하여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힌지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홈에 상기 힌지돌기가 끼움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힌지돌기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힌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 유닛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하는 회전조절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에는 상기 회전조절핸들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절핸들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커버 밖으로 노출되고,
    상기 자외선 LED 칩은, 측방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고, 자외선A 광을 출사하는 자외선A LED 칩 및 자외선C 광을 출사하는 자외선C LED 칩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에 따라, 상기 자외선A LED 칩 및 상기 자외선C LED 칩의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고 자체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자외선A LED 칩을 제1 소정 시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 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가 감지되었다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가 없게 되면, 상기 자외선C LED 칩을 상기 제1 소정 시간보다 짧은 제2 소정 시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 시키되, 상기 자외선C LED 칩이 온인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자외선C LED 칩을 오프 시키고,
    상기 자외선A LED 칩, 상기 자외선C LED 칩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26116A 2020-09-28 2020-09-28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KR102215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16A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0-09-28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KR1020210008471A KR102320696B1 (ko) 2020-09-28 2021-01-21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PCT/KR2021/010958 WO2022065695A1 (ko) 2020-09-28 2021-08-18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16A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0-09-28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71A Division KR102320696B1 (ko) 2020-09-28 2021-01-21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638B1 true KR102215638B1 (ko) 2021-02-15

Family

ID=745606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116A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0-09-28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KR1020210008471A KR102320696B1 (ko) 2020-09-28 2021-01-21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71A KR102320696B1 (ko) 2020-09-28 2021-01-21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15638B1 (ko)
WO (1) WO202206569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199B1 (ko) * 2021-02-10 2021-10-13 설채린 출입용 키패드 휴대용 uv 살균장치
WO2022065695A1 (ko) * 2020-09-28 2022-03-31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CN114452414A (zh) * 2021-12-23 2022-05-10 佛山电器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按钮紫外消毒模组
KR20220147803A (ko) 2021-04-28 2022-11-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KR102464511B1 (ko) 2021-11-23 2022-11-07 이대식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KR20220150065A (ko) 2021-05-03 2022-11-10 (주)이엠씨씨 승강기용 입력버튼의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862B1 (ko) * 2021-11-05 2023-02-17 주식회사 더원정보시스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30Y1 (ko) 2012-05-10 2012-10-18 종 학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KR20160110156A (ko) 2015-03-11 2016-09-21 마크텍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탐상등 유닛, 및 자외선 탐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8539B2 (en) * 2012-02-03 2013-12-03 Tsung-Tse Chuang Germicidal device for elevator buttons
KR102215638B1 (ko) *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30Y1 (ko) 2012-05-10 2012-10-18 종 학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KR20160110156A (ko) 2015-03-11 2016-09-21 마크텍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탐상등 유닛, 및 자외선 탐상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승강기 버튼 살균 시스템 '바이스터'" (online, 2020. 9. 8., 인터넷 URL : https://el-safe.or.kr/entry/%EC%8A%B9%EA%B0%95%EA%B8%B0-%EB%B2%84%ED%8A%BC-%EC%82%B4%EA%B7%A0-%EC%8B%9C%EC%8A%A4%ED%85%9C%E2%80%98%EB%B0%94%EC%9D%B4%EC%8A%A4%ED%84%B0%E2%80%99-%EA%B0%9C%EB%B0%9C-%EA%B8%B0%EC%97%85-%E3%88%9C%EB%94%94%EC%97%A0%EB%94%94%EC%84%BC%ED%84%B0)
카탈로그, "Tilt LED linear light", [online], 인터넷 URL: http://www.aimled.com/bricks-r350-led-linear-track-light/.[2020년 12월 14일 검색]*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95A1 (ko) * 2020-09-28 2022-03-31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KR102311199B1 (ko) * 2021-02-10 2021-10-13 설채린 출입용 키패드 휴대용 uv 살균장치
KR20220147803A (ko) 2021-04-28 2022-11-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KR20220150065A (ko) 2021-05-03 2022-11-10 (주)이엠씨씨 승강기용 입력버튼의 살균장치
KR102634765B1 (ko) * 2021-05-03 2024-02-07 (주)이엠씨씨 승강기용 입력버튼
KR102464511B1 (ko) 2021-11-23 2022-11-07 이대식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CN114452414A (zh) * 2021-12-23 2022-05-10 佛山电器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按钮紫外消毒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696B1 (ko) 2021-11-02
WO2022065695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638B1 (ko)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CA278726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itting radiant energy
US8097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rmicidal sanitizing of an elevator or other enclosed structure
WO2004000371A2 (en) Biohazard treatment systems
KR200410373Y1 (ko) 문 손잡이용 살균건조기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102366657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736221B1 (ko) 자외선 살균기
US202003841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a facility
KR20210144558A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0994885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US20230248868A1 (en) Self decontaminating touch detection surface
KR20220150065A (ko) 승강기용 입력버튼의 살균장치
JP3230753U (ja) 紫外線照射機能付きのデシケーター
US20210353796A1 (en) Automatic uvc sanitizer for common touch points
US20210275702A1 (en) Disinfecting Light Fixture
KR20210149354A (ko) 공간 살균 시스템
CN114099750A (zh) 一种可实现屏幕消毒杀菌的触摸屏结构
KR20220073168A (ko) 자외선 표면 살균기
JP2022126939A (ja) トイレ
WO2023011923A1 (en) Disinfecting luminaire using switchable mirrors
EP4029421A1 (en) Use of polarized radiation for detecting touch on a radiation exit window
EP4029527A1 (en) Setting a state of uv radiation sources in dependence on input from a detector arrangement
US20240024526A1 (en) Luminaire for emitting ultraviolet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