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511B1 -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511B1
KR102464511B1 KR1020210162124A KR20210162124A KR102464511B1 KR 102464511 B1 KR102464511 B1 KR 102464511B1 KR 1020210162124 A KR1020210162124 A KR 1020210162124A KR 20210162124 A KR20210162124 A KR 20210162124A KR 102464511 B1 KR102464511 B1 KR 102464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erilization
button
elevator
photoelectr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식
Original Assignee
이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식 filed Critical 이대식
Priority to KR102021016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센서와 자외선 램프를 통해 엘리베이터 버튼의 상시 소독 살균 및 항균 관리를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전면이 노출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동작을 조작하도록 안내하는 패널; 패널 전면에 엘리베이터 동작을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버튼부; 패널 전면에서 직립 돌출되며 버튼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매칭 형성되어 버튼부 상면을 감지하는 광전센서; 패널 전면에서 직립 돌출되며 광전센서와 겹치지 않게 버튼을 향하여 배치되고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 및 광전센서의 버튼부 상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살균램프의 살균 자외선 조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Elevator Button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센서와 자외선 램프를 통해 엘리베이터 버튼의 상시 소독 살균 및 항균 관리를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버튼을 사이에 두고 광전센서와 살균램프가 둘러싸며 구성되고, 광전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마주하며 버튼 위를 대상으로 감지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자외선 LED로 구성된 살균램프는 버튼을 향하여 살균용 자외선을 방사하여 버튼을 소독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생적 사용을 지원할 수 있되,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광전센서가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살균램프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살균용 자외선이 인체에 닿는 것을 차단하고 신체 움직임이 없으면 다시 살균램프를 구동하여 버튼 소독 작용을 지속함으로써, 버튼 살균을 통한 위생적인 사용과 살균 자외선의 인체 방사 제한 및 자동 구동을 통한 안전한 사용을 지원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소독 및 자동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본격화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방역, 살균 소독, 감염 예방 등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다양한 예방책이 사람들의 협조 하에 강력하고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예방활동으로써 공용시설에 대한 위생 방역 조치와 시설물이 사용되고 있는데, 방역활동의 일환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투명 항균필름이 버튼을 커버하는 형태로 부착되어 버튼을 누르고자 할 때 항균필름을 누르면 필름 밑에서 버튼이 눌러지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엘립베이터는 많은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수시로 출입하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층수 버튼이나 열림 및 닫힘 버튼이 수시로 눌러지게 되는데 따라서 감염자가 있을 경우 버튼 접촉에 의해 다른 사람에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버튼에 항균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은 그 목적상 유효하고 필요한 방안이다.
다만 항균 필름은 그 성분이 구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구리가 항균 성능을 가지고 있어 항균 기능을 기대하여 필름 형태로 부착하고 있으나, 실제로 구리를 재질로 한 필름 형태로는 충분한 항균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필름을 계속 접촉하다보면 그나마의 항균 기능도 저하되어 방역효과를 얻을 수 없는 데다가 잦은 접촉으로 인한 필름의 훼손 때문에 수시로 교체해 줘야 하는 등 운영상의 어려움마저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엘리베이터 버튼과 같이 불특정 다수에 의한 잦은 사용이 지속되는 공용시설에 있어서 항균 필름과 같이 기본적으로 낮은 항균 기능은 물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항균 기능의 저하는 심화되고 잦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방식을 대체할 방법이 필요하며, 대안책으로는 강력한 살균 효과와 반영구적 지속성, 그리고 편리한 유지보수 및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모두 구비된 살균소독 방역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1563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사이에 두고 광전센서와 살균램프가 둘러싸며 구성되고, 광전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마주하며 버튼 위를 대상으로 감지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자외선 LED로 구성된 살균램프는 버튼을 향하여 살균용 자외선을 방사하여 버튼을 소독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생적 사용을 지원할 수 있되,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광전센서가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살균램프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살균용 자외선이 인체에 닿는 것을 차단하고 신체 움직임이 없으면 다시 살균램프를 구동하여 버튼 소독 작용을 지속함으로써, 버튼 살균을 통한 위생적인 사용과 살균 자외선의 인체 방사 제한 및 자동 구동을 통한 안전한 사용을 지원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소독 및 자동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전면이 노출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동작을 조작하도록 안내하는 패널; 패널 전면에 엘리베이터 동작을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버튼부; 패널 전면에서 직립 돌출되며 버튼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매칭 형성되어 버튼 상면을 감지하는 광전센서; 패널 전면에서 직립 돌출되며 광전센서와 겹치지 않게 버튼을 향하여 배치되고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 및 광전센서가 감지한 신체의 버튼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살균램프의 살균 자외선 조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패널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버튼부; 광전센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패널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광전센서; 살균램프와 동일한 구성으로 패널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살균램프; 패널 상면과 하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며 벽체에 연결되는 회전축; 중심부가 회전축과 결합되며 패널 상면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종동기어에 기어 결합하며 엘리베이터 벽체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주동기어; 주동기어를 구동시키도록 결합된 모터; 및 모터 구동을 조작하도록 패널의 전면과 후면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회전구동부가 모터를 구동시키면 패널의 전면과 후면의 위치가 상호 교체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 후면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벽체 내부로 연장되는 살균공간; 및 살균공간의 일측에서 패널 후면을 향해 구비되는 패널살균램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은 중공 형성되며, 패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시설이 회전축 내부를 통해 패널과 외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를 사이에 두고 살균램프와 마주보는 소독액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광전센서가 신체의 버튼 접근을 감지하면 `는 살균램프의 동작을 멈추고 소독액분사부를 구동하여 버튼을 소독하고, 소독액분사부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살균램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공용시설인 엘리베이터를 사용함에 있어 불특정 다수에 의해 수시로 접촉되는 버튼을 살균램프가 상시 살균 소독되어 버튼 접촉에 의한 감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버튼 주위에는 광전센서가 부착되고 신체에 의한 버튼 접근을 감지하면 살균램프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어서, 살균용 자외선이 신체에 조사되어 신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양면 패널 시스템을 사용하면 패널 전면부를 사용하는 일정 시간 동안은 패널 후면부 전체에 대하여 지속적인 살균 소독을 실시할 수 있고 게다가 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살균 효과가 증대되고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넷째, 항균필름과 같이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훼손 및 살균효과 감소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반영구적인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예로써 엘리베이터 버튼에 항균필름을 부착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의 광전센서와 살균램프의 스위칭 구조를 도시한 설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의 패널과 살균공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의 정면과 측면 및 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예로써 엘리베이터 버튼에 항균필름을 부착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의 광전센서와 살균램프의 스위칭 구조를 도시한 설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의 패널과 살균공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의 정면과 측면 및 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항균 처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필름이 부착된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데, 다중 이용시설에서 사용자들은 상호 접촉을 꺼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항균필름 부착은 엘리베이터 이용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접촉을 해야하는 방법이어서 불편한데다가 장기 사용에 따른 필름의 손상 박리로 인해 감염 우려는 커지고 항균필름을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유지보수의 어려움마저 나타내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상기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시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1) 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10) 조작을 위해 엘리베이터(10)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는 패널(100)과 버튼부(200)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특징으로써 광전센서(300), 살균램프(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패널(100)은 엘리베이터(10) 내부 또는 외부 승강대기 공간 일측 벽에 매립된 일반적인 형태일 수 있으며 전면(110)은 사용자 및 엘리베이터(10) 탑승 공간, 대기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측면 및 후면(120)은 엘리베이터(10) 벽체((30) 내부로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엘리베이터(10) 동작을 조작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패널(100)에는 각종 버튼(210)이 구비되어 있어서 출입문(20)의 개폐, 목적지 층수 지정, 비상사태 시 관리실 통화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10)이 집합되어 버튼부(20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버튼(210)을 상시적으로 살균하여 항균 기능을 갖추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살균 작용은 광전센서(300)와 살균램프(400)에 의해 인체에 무해하도록 자동으로 이뤄질 수 있다.
광전센서(300)는 발광부(310)와 수광부(320)가 한 쌍으로 매칭 구성되어 발광부(310)에서 적외선을 송신하면 수광부(320)에서 이를 수신하면서 광전센서(300)의 감지 구간에 어떠한 물체가 접근하지 않았음을 인지하게 되는 것으로 작동하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조 및 동작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광부(310)와 수광부(320)는 패널(100)의 전면(110)에서 직립 돌출되며 버튼부(200)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매칭 형성될 수 있는데, 가령 패널(100)을 정면에서 목측 시 버튼부(200)가 중앙에 있는 경우 버튼부(200)에 인접하며 좌측에는 발광부(310)가, 우측에는 수광부(320)가 구성됨으로써, 버튼부(200) 상면을 감지 대상 영역으로 하여 버튼부(200)를 향하는 특정 물체의 접근을 감시할 수 있다.
이때 버튼부(200)가 하나의 버튼(210)으로 구성되면 발광부(310)와 수광부(320)는 버튼(210)의 크기에 대응되며 버튼(210) 상면 감지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가령 발광부(310)와 수광부(320)는 각각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발광 및 수광 기능을 수행하는 넓은 면을 상호 바라보며 버튼부(2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면의 너비는 버튼(210) 하나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버튼부(200)가 다수의 버튼(210)으로 구성되었다면 발광부(310)와 수광부(320)의 너비는 각각의 버튼(210) 하나씩마다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고, 버튼(210)의 개수만큼 광전센서(300)의 개수도 증가되어 나란히 배열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다수의 버튼(210) 전체를 하나의 광전센서(300)가 커버할 수 있도록 발광부(310)와 수광부(320)의 폭을 전체 버튼(210)의 배열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모든 버튼(210)을 동시에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패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20) 열림과 닫힘 버튼(210) 각각은 단일의 광전센서(300)에 의해 각각 커버되고, 층수를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210)으로 구성된 버튼부(200)는 전체 버튼(210) 배열의 길이에 맞춰 각각 하나의 발광부(310)와 수광부(320)가 커버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광전센서(300)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로써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구성된 형태를 예시로 설명을 진행하나 본 발명의 발광부(310) 및 수광부(320)의 너비와 형상이 상기 도면과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램프(400)는 버튼부(200)를 향하여 살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버튼(210)을 항균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살균용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405나노미터 LED 일 수 있으며, 살균 자외선 LED 램프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세부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살균램프(400)는 패널(100) 전면(110)에서 직립 돌출되며 발광부(310) 또는 수광부(320)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버튼부(200)를 사이에 두고 광전센서(300)와 겹치지 않게 버튼(210)에 인접하여 버튼(21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상술한 예시와 같이 버튼부(200)의 좌측에 발광부(310)가, 우측에 수광부(320)가 배치되었다면 살균램프(400)는 버튼부(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버튼부(200)를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다만 광전센서(300)와 겹치지 않고 버튼부(200)에 대한 자외선 조사에 지장이 없는 한 그 위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상술한 설명을 종합하면 버튼부(200)의 좌측와 우측에는 한 쌍의 광전센서(300)가 버튼부(200) 상면을 대상으로 적외선 감지를 수행하고, 버튼부(200)의 상측에는 살균램프(400)가 버튼부(20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버튼부(200)를 살균하고 항균 성능을 갖게 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작동절차를 살펴보면 가령 사용자가 엘리베이터(10)에 탑승하여 출입문(20) 닫힘 버튼(210)을 클릭하거나 이동하고자 하는 층수의 번호 버튼(210)을 클릭하고자 손을 뻗어 버튼(210)을 향하게 되면 버튼(210) 상면에서 서로 적외선 신호를 주고받는 광전센서(300)의 적외선 신호를 손이 차단하게 되면서 발광부(310)와 수광부(320) 사이 신호가 끊어지게 되고 이를 신체의 버튼(210) 접근 감지신호로 인식하여 즉각 살균램프(400)에 전달하게 되며, 살균램프(400)는 버튼(210) 접근 감지신호를 수신하자마자 바로 자외선 살균을 멈추게 되어 신체에 살균용 자외선이 조사되어 신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210) 클릭을 완료하고 버튼부(200)로부터 멀어지면 발광부(310)와 수광부(320)는 다시 적외선 신호가 상호 연결되면서 광전센서(300)의 정상 동작 신호가 살균램프(400)에 전달되는데, 이로써 신체가 버튼부(200)에서 멀어졌다는 신호로 인식하여 살균램프(400)는 다시 가동이 이뤄지며 버튼부(2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작용을 하게 되고, 따라서 신체에 의해 클릭된 버튼부(200)는 접촉 직후 즉시 살균이 이뤄져 상시 항균 효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살균램프(400)의 버튼부(200) 살균작용 및 항균 유지 기능 수행 중에 신체가 접근하면 자외선 살균 동작을 멈춤으로써 살균용 자외선이 신체에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 피해를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때 광전센서(300)와 살균램프(400)는 제어부(500)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광전센서(300)에서 적외선 송수신 상태를 제어부(500)에 전달하면 제어부(500)는 이를 살균램프(400)로 전달하여 살균램프(400)의 자외선 조사를 조절하게 되는데, 가령 버튼부(200) 조작이 없는 경우 발광부(310)와 수광부(320)에서 정상적으로 적외선 송수신이 이뤄지고 있으면 제어부(500)는 살균램프(400)에 자외선 조사 명령상태를 유지하고, 버튼부(200)에 신체가 접근하여 발광부(310)의 적외선이 수광부(320)에 닿지 못하면 제어부(500)는 이를 신체 접근 신호로 간주하여 즉각 살균램프(400)에 자외선 조사를 중지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수광부(320)에서 적외선 수신이 정상 재개되면 즉각 제어부(500)가 이를 인지하고 살균램프(400)에 자외선 조사 명령을 하달하게 되어, 자외선 살균 작용이 재개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전기적으로 광전센서(300)와 살균램프(400)의 접점에 있어서 도 3의 설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센서(300)를 살균램프(400) 전원 공급단 전단에 직렬로 연결하여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버튼(210)을 누르려 버튼(210)에 손을 접근시키면 광전센서(300)가 손에 의해 차단되면서 오프(OFF)되고, 상기 광전센서(300)의 오프(OFF) 스위칭 동작에 따라 살균램프(400)가 오프(OFF) 되면서 살균 자외선 조사가 멈추게 되어 인체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듯 광전센서(300)의 차단 시 살균램프(400)의 빠른 중지를 위해서는 제어부(500)를 거치지 않고 광전센서(300)가 살균램프(400)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패널(100)은 전면(110)과 후면(120)이 엘리베이터(10) 내부를 향해 회전되어 번갈아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패널(100)의 후면(120)에는 전면(110)과 동일하게 버튼부(200), 광전센서(300), 살균램프(400)가 구비되어 버튼(210)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00)의 전면(110)이 엘리베이터(10) 내부를 향해 노출 배치된 상태에서는 패널(100)의 전면(110)을 통해 엘리베이터(10) 운전을 조작하고, 패널(100)의 후면(120)은 벽체(30) 후방으로 매립되어 배치된 상태로 패널(100)의 후면(120)에는 신체 터치가 없으므로 상시 살균을 이뤄지도록 하며, 정해진 주기 혹은 사용자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패널(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이 회전 배치되면서 번갈아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버튼부(200)의 항균 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패널(100)의 후면(120)에 형성되는 후면버튼부(220), 후면광전센서(330), 후면살균램프(410)를 포함하고, 패널(100)의 회전을 위해 구비되는 회전축(130), 회전구동부(600), 모터(610), 주동기어(620), 종동기어(630)를 포함하며, 패널(100)의 뒤쪽 벽체(30) 내부로 형성되는 살균공간(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면버튼부(220), 후면광전센서(330) 및 후면살균램프(410)는 패널(100) 전면(110)에 형성된 버튼부(200),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패널(100) 전면(110)과 후면(120)은 동일한 형상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서, 엘리베이터(10) 내부 공간으로 패널(100) 전면(110)을 노출시키든 후면(120)을 노출시키든 상관없이 버튼부(200)에 대한 적외선 감지 및 살균, 항균 작용은 상시 수행될 수 있다.
패널(100)은 전면(110)과 후면(120)이 엘리베이터(10) 내부공간으로 번갈아 노출되도록 회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패널(100)의 상면과 하면 중앙에 회전축(130)이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130)의 중심부는 중공 형성될 수 있으며, 종동기어(630)는 중심부가 패널(100) 상면의 회전축(130) 외주면을 감싸며 구성되고, 종동기어(630)와 수평하게 기어 결합되며 맞물리는 주동기어(620)가 벽체(30) 내부 방향으로 구성이 된다.
그리고 주동기어(620)의 중심축에는 모터(610)가 연결되고 전기적 구동설비가 갖춰지면서 모터(610)가 구동되면 주동기어(620)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종동기어(630)가 맞물려 회전하면 패널(100)이 180°만큼 회전하면서 패널(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이 엘리베이터(10) 탑승 공간을 향해 번갈아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패널(100)의 회전 작동 명령을 위해서 패널(100)의 전면(110)과 후면(120) 일측에는 회전구동부(600)가 구비되어서 관리자가 회전구동부(600)를 누르면 모터(610)가 작동하여 주동기어(620) 및 종동기어(630)를 회전시켜 패널(100)이 180°회전시킬 수 있으며, 패널(100)의 후면(120)에도 마찬가지로 회전구동부(600)가 구비된 상태이므로 패널(100) 후면(120)의 회전구동부(600)를 누르면 다시 패널(100) 전면(110)이 탑승공간 내부를 향하도록 회전이 이뤄질 수 있다.
패널(100)의 회전은 회전구동부(600)의 인위적인 작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일정 주기를 제어부(500)에 설정하고 해당 주기에 따라 제어부(500)에서 회전구동부(60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듯 패널(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이 동일하게 구성되고 패널(100) 회전에 의해 상호 번갈아 배치되게 되면, 패널(100)의 전면(110)이 엘리베이터(10) 탑승공간에 노출되고 후면(120)이 벽체(30) 뒤편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패널(100) 후면(120)에 신체 접촉이 이뤄지지 않으므로 후면광전센서(330)의 작동은 중지시키고 후면살균램프(410)만 계속 작동시켜 후면버튼부(220)에 대한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제 일정 시간 경과 후 패널(100)의 후면(120)이 엘리베이터 탑승공간으로 회전되며 노출되고, 패널(100)의 전면(110)이 벽체(30) 뒤편으로 배치된다면, 탑승공간으로 배치된 후면광전센서(330)는 다시 적외선 감지 기능이 작동되어 후면버튼부(220) 상면에 대해 신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후면살균램프(410)은 후면광전센서(330)과 연동되어 작동 및 중지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동시에 벽체(30) 뒤편으로 회전 배치된 패널(100) 전면(110)에서는 광전센서(300)의 작동이 중지되고 살균램프(400)가 중단없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버튼부(200)에 대한 항균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다른 추가실시예로써 패널(100) 후면(120)으로부터 엘리베이터(10) 벽체(30) 내부에는 패널(100)과 동일한 면적으로 연장되는 내부 밀폐 공간으로써 살균공간(7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공간(700)의 일측에는 패널(100)의 후면(120) 또는 전면(110)이 배치되고, 살균공간(700)의 타측에는 패널(100)과 마주하며 배치되어 패널(100)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패널살균램프(71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세팅 시 패널(100) 전면(110)은 탑승공간을 향하고 패널(100) 후면(120)은 살균공간(700)을 향하고 있으나, 패널(100)이 회전하면 패널(100) 후면(120)은 탑승공간에 노출되고 패널(100) 전면(110)은 살균공간(700)을 향하게 되므로, 살균공간(700)에는 패널(100) 후면(120)과 전면(110)이 번갈아 배치되고 따라서 패널살균램프(710)는 패널(100) 후면(120) 및 전면(110)과 번갈아 마주하게 된다.
패널(100) 후면(120)이 살균공간(70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패널(100) 후면(120)에 신체의 접촉이 이뤄질 수 없으니까 패널(100) 후면(120)에 대한 지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이뤄질 수 있는데, 상술한 추가 실시예와 같이 살균램프(400) 또는 후면살균램프(410)에 의한 버튼부(200) 또는 후면버튼부(220)에 대해 살균 자외선이 조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추가실시예로써 살균공간(700)이 형성되면 패널(100)에 부착된 살균램프(400) 또는 후면살균램프(410)의 작동은 중단되고, 살균공간(700) 타측의 패널살균램프(710)가 작동하면서 살균공간(700) 내부를 가득 채우며 자외선을 조사하여 패널(100) 전체를 살균하고 항균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0) 탑승공간을 향해 패널(100)의 전면(110)이 향해 있다면 패널(100) 전면(110)은 버튼부(200)에 대해서만 자외선 조사가 이뤄지면서 버튼부(200) 위주의 항균 조치가 이뤄지는 반면, 패널(100) 후면(120)은 살균공간(700) 내에서 패널살균램프(710)에 의해 패널(100) 후면(120) 전체가 지속적인 자외선 조사를 받게 되어 전체 패널(100)의 살균 작용 및 항균 성능 보유가 이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패널(100)이 회전되면 탑승공간에 배치된 패널(100) 후면(120)은 후면버튼부(220)에 대해서만 자외선 살균이 조사되고, 살균공간(700)에 배치되는 패널(100) 전면(110)은 패널(100) 전체에 대해서 자외선이 조사되므로 전방위적인 살균이 이뤄지게 되며, 패널(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이 번갈아 배치되므로 패널(100)의 항균 효과는 더욱 극대화 될 수 있다.
한편 패널(100)에 공급되는 전기 및 제어기능을 위해서 패널(100)과 연결되는 각종 전기시설은 패널(100) 하면의 회전축(130)을 통해 패널(100) 내부로 인입되고 패널(100) 외부의 제어부(500) 및 전기시설과 연계될 수 있는데, 패널(100) 상면의 회전축(130)은 중심부가 중공 형성되면서 패널(100) 내부 공간까지 연통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기 시설 및 제어 시설은 회전축(130) 중심부를 통과하여 패널(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써 패널(100)에는 소독액분사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소독액분사부는 버튼부(200)를 향하여 배치되되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구성되어 버튼부(200)에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또는 살균램프(400)에 소독액분사부가 추가 구성되어 살균램프(400)와 소독액분사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버튼부(200)에 신체 접촉이 이뤄질 때 살균램프(400)의 작동이 멈추고 나서 이후 광전센서(300)에서 적외선 정상 송수신을 감지하면 살균램프(400)가 다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소독액분사부는 살균램프(400)가 작동하기 전에 먼저 소독액을 버튼부(200)에 살포를 하고, 그 이후에 살균램프(400)가 구동되어 자외선 조사가 이뤄지는 절차로써 버튼부(200)의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소독액분사부는 액체 형태의 소독액을 분사하여 버튼부(200)를 세척 살균효과를 가지게 되고, 이후 살균램프(400)가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살균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소독액분사부는 광전센서(300)의 정상 감지와 살균램프(400)의 구동 사이에 단회성으로 작동하여 소독액을 분사하고, 제어부(500)가 소독액분사부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살균램프(400)를 구동시키므로 살균램프(400)는 연속적인 살균 작용을 하게 되며, 소독액분사부와 살균램프(400)는 상호 겹치지 않는 동작 순서로 구동될 수 있다.
소독약제가 구비된 약통은 벽체(30) 내부에 인입되면서 패널(100) 위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약통과 소독액분사부는 패널(100) 하부 회전축(130)을 통해 배관 연결될 수 되어서 패널(100)이 전면(110)이든 후면(120)이든 소독액분사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약제분사를 위한 노즐과 펌프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1)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10)를 탑승하면서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엘리베이터(10) 조작 버튼부(200) 주위에는 광전센서(300)와 살균램프(400)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버튼(210)을 클릭하기 전 광전센서(300)는 발광부(310)와 수광부(320)가 상호 적외선 송수신을 통해 버튼(210) 접촉을 위한 접근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인지 중이며 이를 통해 살균램프(400)는 버튼부(200)를 향해 지속적으로 자외선을 살균하여 버튼부(200)를 항균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제 사용자가 버튼(210)을 클릭하고자 버튼부(200)에 신체를 가까이하면 광전센서(300)는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어부(500)가 상기 감지 신호를 살균램프(400)에 송신하면 살균램프(400)는 즉각 자외선 조사를 중지하여, 사용자가 버튼(210)을 클릭하면서 신체가 살균 자외선에 쏘이는 일이 없도록 차단한다.
이후 사용자의 버튼(210) 클릭이 완료되어 신체가 버튼(210)에서 멀어지게 되면 광전센서(300)는 다시 정상적인 적외선 송수신 작용을 통해 신체의 접근이 없음을 인지하게 되고 감지 기능을 계속 수행하게 되며, 상기 인지 신호가 스위치 기능으로 직접 살균램프(400)에 전달되거나 또는 제어부(500)가 살균램프(400)에 송신하면 살균램프(400)는 즉시 자외선을 버튼부(200)에 조사하여 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는 엘리베이터(10) 내부 탑승공간에 구비된 엘리베이터(10) 조작 패널(100)에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10) 외부 탑승 승강대에 구비된 엘리베이터(10) 호출 패널(100)에도 구비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10) 호출을 위한 버튼(210)에도 상시적인 자외선 살균 작용과 항균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를 통한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1)은 단지 엘리베이터(10)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판매기, 도어락 등 공용시설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는 버튼(210) 및 손잡이 등에 대해서도 해당 접촉부위를 중심으로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를 배치하여 항균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는 종전의 항균 필름과 같이 장기 사용에 따른 필름의 손상 박리로 인한 효과 저하와 수시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을 해소하고 위생적 측면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사용에는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 설정 시 엘리베이터(10) 탑승 공간에는 패널(100)의 전면(110)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는 출입문(20)의 개폐와 목적지 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버튼부(200)를 클릭하게 되는데 이 경우 광전센서(300)와 살균램프(400)의 기능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순간 패널(100)의 후면(120)은 벽체(30) 뒤편에 위치하면서 후면광전센서(330)의 동작 없이 후면살균램프(410)만 계속 작동하면서 후면버튼부(220)에 살균작용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살균공간(700)이 형성되어서 후면광전센서(330)과 후면살균램프(410)의 동작은 중지되고 패널살균램프(710)가 가동되면서 살균공간(700)내에서 자외선 조사가 이뤄져 패널(100) 후면(120) 전체에 대해 자외선 살균이 이뤄질 수 있다.
이제 회전주기가 도래하거나 관리자의 임의 조작을 통해 회전구동부(600)가 구동되면 모터(610)가 구동되면서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패널(100)이 회전하게 되어 패널(100)의 전면(110)은 벽체(30) 뒤편으로 향하고 패널(100)의 후면(120)은 탑승공간 내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제 후면광전센서(330)는 후면버튼부(220) 상면을 대상으로 신체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가 없으면 후면살균램프(410)는 후면버튼부(220)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작을 유지하게 되는데, 어느 순간 사용자가 후면버튼부(220)를 누르려 하면 후면광전센서(330)와 후면살균램프(410)가 전술한 패널(100) 전면(110)에서의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의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써 동작이 이뤄진다.
마찬가지로 동시에 벽체(30) 뒤편에 배치된 패널(100)의 전면(110)은 광전센서(300)의 작동이 중지되고 살균램프(400)만 작동할 수 있으며, 또는 광전센서(300) 및 살균램프(400) 모두 중지된 채 살균공간(700)에 위치한 채 패널살균램프(710)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패널(100) 전면(110) 전체가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10 : 엘리베이터
20 : 출입문
30 : 벽체
100 : 패널
110 : 전면
120 : 후면
130 : 회전축
200 : 버튼부
210 : 버튼
220 : 후면버튼부
300 : 광전센서
310 : 발광부
320 : 수광부
330 : 후면광전센서
400 : 살균램프
410 : 후면살균램프
500 : 제어부
600 : 회전구동부
610 : 모터
620 : 주동기어
630 : 종동기어
700 : 살균공간
710 : 패널살균램프

Claims (5)

  1. 엘리베이터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전면이 노출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동작을 조작하도록 안내하는 패널;
    패널 전면에 엘리베이터 동작을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버튼부;
    패널 전면에서 직립 돌출되며 버튼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한 쌍으로 매칭 형성되어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송신하면 수광부에서 이를 수신하면서 감지 구간에 어떠한 물체가 접근하지 않았음을 인지하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해 버튼부 상면을 감지하는 광전센서;
    패널 전면에서 직립 돌출되며 광전센서와 겹치지 않게 버튼을 향하여 배치되고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
    광전센서의 버튼부 상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살균램프의 살균 자외선 조사를 조절하는 제어부;
    버튼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패널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버튼부;
    광전센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패널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광전센서;
    살균램프와 동일한 구성으로 패널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살균램프;
    패널 상면과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되, 패널 내부 공간까지 연통 형성되며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패널 상면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종동기어에 기어 결합하며 엘리베이터 벽체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주동기어;
    주동기어를 구동시키도록 결합된 모터; 및
    모터 구동을 조작하도록 패널의 전면과 후면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회전구동부가 모터를 구동시키면 패널의 전면과 후면의 위치가 상호 교체되며,
    패널과 동일한 면적으로서 패널 후면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벽체 내부로 연장되는 살균공간; 및
    살균공간의 일측에서 패널 후면을 향해 구비되어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패널살균램프;를 더 포함하며,
    패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시설이 회전축 내부를 통해 패널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버튼부를 사이에 두고 살균램프와 마주보는 소독액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광전센서가 신체의 버튼 접근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살균램프의 동작을 멈추고 소독액분사부를 구동하여 버튼을 소독하고, 소독액분사부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살균램프를 구동시키며,
    발광부와 수광부는 패널의 전면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되 버튼부를 중앙에 두고 좌측에는 발광부가, 우측에는 수광부가 배치 구성되어 버튼부를 향하는 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 중에 버튼부를 향해 손이 접근하면 자외선 살균 동작을 중단시키며,
    상기 살균램프는 버튼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버튼부를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주동기어의 중심축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주동기어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종동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면 패널이 180°만큼 회전하면서 패널의 전면과 후면이 엘리베이터 탑승공간을 향해 번갈아 노출되며,
    패널의 회전 작동은 패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회전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누름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소독약제가 구비된 약통은 벽체 내부에 인입되면서 패널 위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약통과 소독액분사부는 패널 하부 회전축을 통해 배관으로 연결되며,
    패널의 전면이 엘리베이터 탑승공간에 노출되고 후면이 벽체 뒤편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패널의 후면이 벽체 뒤편 살균공간에 마주하게 위치하면, 후면광전센서와 후면살균램프의 동작은 중지되고 살균공간에 위치한 패널살균램프가 가동되면서 살균공간내에서 자외선 조사가 이뤄져 패널 후면 전체에 대해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고,
    패널의 후면이 엘리베이터 탑승공간으로 회전되며 노출되고, 패널의 전면이 벽체 뒤편 살균공간에 마주하게 위치하면, 광전센서 및 살균램프의 동작은 중지되고 살균공간에 위치한 패널살균램프가 가동되면서 살균공간 내에서 자외선 조사가 이뤄져 패널 전면 전체에 대해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62124A 2021-11-23 2021-11-23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KR10246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24A KR102464511B1 (ko) 2021-11-23 2021-11-23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24A KR102464511B1 (ko) 2021-11-23 2021-11-23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511B1 true KR102464511B1 (ko) 2022-11-07

Family

ID=8404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124A KR102464511B1 (ko) 2021-11-23 2021-11-23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5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4648A (ja) * 2019-12-10 2020-03-2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回転軸ケーブル配線構造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CN112723063A (zh) * 2020-12-24 2021-04-30 南通卡瑞尼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闲时自动消毒功能的电梯按键
CN113291942A (zh) * 2020-02-21 2021-08-24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电梯
KR20210118720A (ko) * 2020-03-23 2021-10-01 이장문 승강 설비의 층 선택 위생조작반
KR20210137615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Uv-c 광을 이용한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4648A (ja) * 2019-12-10 2020-03-2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回転軸ケーブル配線構造
CN113291942A (zh) * 2020-02-21 2021-08-24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电梯
KR20210118720A (ko) * 2020-03-23 2021-10-01 이장문 승강 설비의 층 선택 위생조작반
KR20210137615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Uv-c 광을 이용한 살균 장치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CN112723063A (zh) * 2020-12-24 2021-04-30 南通卡瑞尼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闲时自动消毒功能的电梯按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760B2 (en) Pre-doffing disinf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522200B2 (en) Sanitation apparatus for buttons
CA3069276C (en) Antibacterial door knob
KR101703434B1 (ko)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101200757B1 (ko) 병원용 침대 매트리스 자동 세척 및 소독 장치
KR20120098250A (ko) 구제역 인체 소독시스템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CN111514333A (zh) 出入口消毒装置
KR102464511B1 (ko)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시스템
CN111529726A (zh) 一种用于电梯按键的智能消毒装置
CN214343641U (zh) 一种电梯按键消毒装置
KR101914290B1 (ko) 출입문 시건 제어 장치를 부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KR102191038B1 (ko)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JP2020039514A (ja) 除菌装置及び手摺り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KR101391625B1 (ko) 여드름 치료 장치
US20210353796A1 (en) Automatic uvc sanitizer for common touch points
KR101743592B1 (ko) 가정용 자동 소독기
JP2023540784A (ja) ドアハンドル消毒システム
JP2022026696A (ja) 殺菌装置、建物及び建築設備
EP4146286A1 (en) A safety device for automatic adjustment of uvc radiation
KR102337311B1 (ko) 도어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KR102520171B1 (ko) 손소독제의 알코올성분 감지로 작동하는 자동출입문 개폐장치
KR20150059599A (ko) 여드름 치료 방법 및 장치
CN218501027U (zh) 自移动设备的消杀系统和自移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