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354A - 공간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354A
KR20210149354A KR1020200066275A KR20200066275A KR20210149354A KR 20210149354 A KR20210149354 A KR 20210149354A KR 1020200066275 A KR1020200066275 A KR 1020200066275A KR 20200066275 A KR20200066275 A KR 20200066275A KR 20210149354 A KR20210149354 A KR 2021014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s
ligh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354A/ko
Publication of KR2021014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간 살균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간 살균 시스템은 도어 프레임의 외부에 살균용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발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현관 공간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살균용 빛은 가시광선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이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살균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Description

공간 살균 시스템{SPACE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공간을 살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문(middle door or inner door)은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축물 등에 적용되는 도어이다.
중문은 슬라이딩 방식(미닫이 방식), 회전 방식(여닫이 방식), 폴딩 방식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현관문과 중문 사이에는 현관 공간이 형성된다. 중문은 실내 공간의 온도를 유지시키고,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현관 공간의 바닥면에는 신발, 박스 등의 물건이 놓인다. 상기한 물건은 외부 공간에서 현관 공간으로 들어온다. 이 때, 바이러스, 세균 등이 상기 물건에 묻어서 현관 공간에 들어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건에 묻은 세균이 번식할 수 있고, 특히 신발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번식된 세균으로 인해 현관 공간에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세균, 악취 등을 제거하여 현관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9291 호 (공개일: 2019.06.14, 발명의 명칭: 중문용 현관 냄새제거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에 위치한 물건을 살균할 수 있는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모두 사용하여 공간 전체를 살균하면서도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한 물건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도 공간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살균 시스템은 공간에 살균용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발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살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모두 사용하여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가시광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고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살균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 가능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는 살균을 위한 제1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한다. 특히, 상기 제1 빛은 사용자에게 무해한 빛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살균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 가능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는 살균을 위한 제2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한다. 특히, 상기 제2 빛은 자외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 살균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되고, 살균을 위한 제1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살균을 위한 제2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빛의 파장과 상기 제2 빛의 파장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을 위한 제1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를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공간에 위치한 대부분의 물건을 살균할 수 있다. 특히, 공간이 현관 공간인 경우, 외부 공간에서 들어온 사용자가 착용한 옷, 신발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관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위협에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가시광선을 사용함으로써 조명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각각의 턴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살균 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구간 별로 다른 살균 강도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을 수행하는 제2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공간의 바닥면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물건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특히, 공간이 현관 공간인 경우, 신발, 상자 등이 살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관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위협에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고 살균을 수행하면서 공간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가 제1 빛을 방사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가 제2 빛을 방사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가 빛을 방사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살균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살균 시스템은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어 도어 시스템과 인접한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일례로, 현관문과 중문 사이에 위치하는 현관 공간을 살균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현관문 또는 중문에 공간 살균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공간 살균 시스템은 복도에서 방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살균함과 함께 복도에 거치된 사용자의 물건을 살균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 경우, 복도에서 방 사이를 연결하는 문에 공간 살균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공간은 복도와 문의 사이의 공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살균 시스템은 하나의 공간과 또 다른 공간을 구분하는 면(일례로, 벽면) 등에 설치되어, 하나의 공간과 또 다른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일례로, 공간 살균 시스템은 상가의 벽면에 설치되어, 벽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사용자, 물건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관 공간을 살균하는 공간 살균 시스템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100)은 도어 시스템일 수 있으며, 도어 프레임(110), 도어(120), 전자 장치(130), 사용자 감지 장치(140) 및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간 살균 시스템(100)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공간 살균 시스템(100)는 중문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중문은 외부와 접하는 현관문과 실내 공간(일례로, 거실)의 사이에 설치되는 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공간 살균 시스템(100)는 외부 공간과 실내 공간 사이에 설치된 현관문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간 살균 시스템(100)이 중문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어 프레임(110) 및 도어(120)는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관문을 개방한 후 도어(120)를 개방하여 거실로 진입할 수 있다.
도어(120)는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즉, 도어 프레임(110)은 '도어 설치부'라고도 호칭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도어(120)가 개방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도어(1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0)는 상부 도어 프레임, 하부 도어 프레임 및 측부 도어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부 도어 프레임, 하부 도어 프레임, 측부 도어 프레임의 사이의 공간인 중앙부는 뚫려있다. 일례로, 도어 프레임(110)는 중앙부가 뚫려있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어(120)는 개폐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즉, 도어(120)는 도어 프레임(110)의 중앙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12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도어(120)는 힌지에 통해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여닫이 방식일 수도 있고, 폴딩 방식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120)가 슬라이딩 방식인 것으로 가정한다.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120)는 복수의 서브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서는 3개의 서브 도어(121, 122, 123)로 구성된 도어(120)를 도시하고 있다.
3개의 서브 도어(121, 122, 123) 모두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는 경우 도어(120)가 폐쇄되고, 3개의 서브 도어(121, 122, 123) 중 하나 이상의 서브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도어(120)가 개방된다. 도어(12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30)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이다.
전자 장치(130)는 도어(120)의 일부분에 설치된다. 일례로, 전자 장치(130)는 실내 공간과 마주보는 도어(120)의 제1 방향에 설치될 수 있고, 현관 공간과 마주보는 도어(120)의 제2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어(120)가 3개의 서브 도어(121, 122, 123)로 구성된 경우, 전자 장치(130)는 3개의 서브 도어(121, 122, 123) 중 하나의 서브 도어, 즉 제1 서브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30)가 설치된 제1 서브 도어는 최좌측 서브 도어(121)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30)의 설치 위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20)의 다양한 위치에 전자 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30)는 날씨, 미세먼지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특정 정보를 표시하며, 더불어 도어(120)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30)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장치(140)는 현관 공간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된 결과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장치(140)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물리적 접촉 없이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일례로서, 근접 센서는 자기 근접 센서(magnetic proximity sensor), 광학 근접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 초음파 근접 센서, 유도성 근접 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 용량성 근접 센서(capacitive proximity sensor), 와전류 근접 센서 등일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부 도어 프레임에 근접 센서가 배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근접 센서는 실내 공간과 마주보는 도어 프레임(110)의 제1 방향에 설치될 수 있고, 현관 공간과 마주보는 도어 프레임(110)의 제2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관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관문을 개폐하는 경우 현관문은 개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공간 살균 시스템(100)은 중문의 개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된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현관 공간의 사용자의 존 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감지 장치(140)는 공간 살균 시스템(1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제1 빛을 현관 공간으로 방사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상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위치에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측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상부 도어 프레임, 하부 도어 프레임 및 측부 도어 프레임 중 2 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현관 공간의 천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상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에서 방사된 제1 빛은 살균을 수행하는 빛이다. 특히, 제1 빛은 살균용 가시광선일 수 있다. 따라서, 살균용 가시광선을 통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조명 기능과 함께 살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살균용 가시광선의 파장은 405nm일 수 있다. 405nm의 파장의 가시광선은 포피린과 반응하여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파괴한다. 405nm의 파장의 가시광선은 살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발광 장치(150)는 LED(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방사하는 다양한 장치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턴 온 또는 턴 오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전자 장치(130)에 구비된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상부 도어 프레임의 외부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하나의 행으로 상부 도어 프레임의 외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소정의 간격만큼 도어(120)의 길이 방향(즉,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상부 도어 프레임의 외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부 도어 프레임의 외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상부 도어 프레임에서 현관 공간의 바닥면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도어 프레임에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현관 공간의 천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 도어 프레임에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은 큰 화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제1 빛을 방사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각이 큰 제1 발광 장치(150)을 사용함으로써 제1 빛이 현관 공간(330)의 전체로 방사될 수 있다. 특히, 제1 발광 장치(150)를 현관 공간의 바닥면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제1 빛의 대부분이 현관 공간(330)의 아래쪽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다.
제1 빛의 대부분이 제1 빛이 현관 공간(330)의 아래쪽 방향으로 방사됨에 따라, 현관 공간(330)의 바닥면에 배치된 신발, 상자 등의 물건(320)과, 현관 공간(330)에 배치된 신발장과, 현관문(310) 등이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관 공간(330) 상에 사용자(34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제1 발광 장치(150)에서 제1 빛이 방사되므로, 사용자(340)가 착용한 옷, 신발 등이 어느 정도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적어도 일부는 일정 시간 구간 동안 항상 턴 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현관 공간을 지속적으로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일정 시간 구간 동안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적어도 일부가 항상 턴 온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 구간은 하루(일, day)에 포함되는 시간이다. 일례로, 일정 시간 구간은 하루 중 사용자의 취침 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이다. 즉, 제1 발광 장치(150)에서 출력된 제1 빛은 살균 기능과 함께 조명 기능을 함께 수행하므로, 밤의 시간 구간 동안 제1 발광 장치(150)가 턴 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살균 강도(pasteurization level)는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에서 출력된 제1 빛의 총량이 큰 경우 살균 강도는 강 살균 모드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에서 출력된 제1 빛의 총량이 작은 경우, 살균 강도는 약 살균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에서 출력된 제1 빛의 강도를 조절하여 살균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은 빛의 강도가 조절되는 발광 장치이다.
일례로서, 살균 강도가 강 살균 모드인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에서 출력된 제1 빛의 강도는 제1 강도이다. 다른 일례로서, 살균 강도가 약 살균 모드인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에서 출력된 제1 빛의 강도는 제2 강도이다. 여기서, 제1 강도는 제2 강도보다 크며, 따라서 제1 강도에 따른 살균 강도는 제2 강도에 따른 살균 강도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의 턴 온 또는 턴 오프가 개별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살균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은 빛의 강도가 조절되지 않는 발광 장치이다.
일례로서, 살균 강도가 강 살균 모드인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M(자연수)개의 제1 발광 장치(150)가 턴 온되고,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M개의 제1 발광 장치(150)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발광 장치(150)가 턴 오프된다. 다른 일례로서, 살균 강도가 약 살균 모드인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N(자연수)개의 제1 발광 장치(150)가 턴 온되고,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N개의 제1 발광 장치(150)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발광 장치(150)가 턴 오프된다. 여기서, M은 N보다 큰 수이며, 따라서 M개의 제1 발광 장치(150) 모두가 턴 온되는 경우의 살균 강도는 N개의 제1 발광 장치(150)가 턴 온되는 경우의 살균 강도보다 크다.
한편,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강도 조절과,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개별적인 턴 온의 제어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관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존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총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살균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고 큰 강도의 제1 빛이 방사되는 경우, 눈 부심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총량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강도는 제1 강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강도는 제2 강도일 수 있다. 이 때, 제1 강도는 제2 강도보다 큰 강도고, 제1 강도에 따른 살균 강도는 제2 강도에 따른 살균 강도보다 크다.
또는,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M개의 제1 발광 장치(150)만이 턴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중 N개의 제1 발광 장치(150)만이 턴 온될 수 있다. 이 때, M는 N보다 큰 수이다. 따라서 M개의 제1 발광 장치 모두(150)를 턴 온시키는 경우의 살균 강도는 N개의 제1 발광 장치(150)를 턴 온시키는 경우의 살균 강도보다 크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모두가 턴 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개수는 도어 프레임(110)의 크기 및 현관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와 비례할 수 있다.
즉, 도어 프레임(110)의 크기 및 현관 공간의 면적이 큰 경우 적은 개수의 제1 발광 장치(150)를 이용해서는 현관 공간을 제대로 살균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 프레임(110)의 크기 및 현관 공간의 면적과 비례하여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개수가 결정됨으로써, 살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측부 도어 프레임 및 하부 도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더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관 공간의 면적이 큼에도 불구하고 도어 프레임(1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많은 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상부 도어 프레임에 모두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측부 도어 프레임 및 하부 도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제1 발광 장치(150)를 더 배치함으로써 많은 수의 제1 발광 장치(150)를 배치할 수 있으며, 살균 성능이 높아진다.
요컨대, 본 발명은 살균을 위한 제1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를 도어 프레임(110)에 배치하며, 특히 상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한다. 따라서, 현관 공간에 위치한 대부분의 물건을 살균할 수 있으며, 더불어 외부 공간에서 들어온 사용자가 착용한 옷, 신발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관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위협에서 실내 공간에 있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을 이용하는 종래의 살균 방법은 사용자의 피부 손상, 실명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용 가시광선을 사용하여 현관 공간을 살균하므로, 현관 공간에 진입한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가시광선을 사용함으로써 조명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각각의 턴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살균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구간 별로 서로 다른 살균 강도로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400)은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를 대신하여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가 배치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1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제외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현관 공간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공간 살균 시스템(40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제2 빛을 현관 공간으로 방사하는 장치이다.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도어 프레임(110)의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 각각에서 방사된 제2 빛 역시 제1 빛과 마찬가지로 살균을 수행하는 빛이다. 하지만, 제2 빛은 살균용 가시광선이 아닌 자외선일 수 있다.
특히, 제2 빛은 100nm 내지 280nm의 파장을 가지는 UV-C(ultraviolet-C)일 수 있다. UV-C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의 DNA를 파괴하여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박멸한다. UV-C은 짧은 시간(즉, 수 분(minute))으로도 살균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신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발광 장치(160)는 LED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방사하는 다양한 장치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의 턴 온 또는 턴 오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하부 도어 프레임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소정의 간격만큼 도어(120)의 길이 방향(즉,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 각각은 현관 공간의 바닥면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 각각은 작은 화각을 가지는 발광 장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가 제2 빛을 방사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각이 작은 제2 발광 장치(160)를 사용함으로써 현관 공간(33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제2 빛의 대부분이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현관 공간(330)의 바닥면에 배치된 신발, 상자 등의 물건(320)이 빠른 시간 내에 집중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미도시)는 현관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존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의 턴 온 또는 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턴 온시켜 제2 빛을 방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턴 오프시켜 제2 빛을 방사하지 않는다.
즉, UV-C가 사용자의 신체에 닿는 경우 피부 노화 또는 실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현관 공간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만 턴 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의 개수는 도어 프레임(110)의 크기 및 현관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와 비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살균을 위한 제2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한다. 따라서, 현관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신발, 상자 등의 물건이 집중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즉, 신발에서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많이 서식하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600)은 UV-C를 이용하여 단 시간 내에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파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관 공간의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고,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위협에서 실내 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보호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및 복수의 제2 발광 소자(160)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100) 및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4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및 복수의 제2 발광 소자(160)를 제외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상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고 제1 빛을 방사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50)는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고, 제2 빛을 방사한다. 이 때, 제1 빛은 제2 빛과 파장이 다른 빛으로서, 제1 빛은 가시광선이고, 제2 빛은 자외선일 수 있다.
상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살균용 가시광선인 제1 빛을 현관 공간의 전 영역으로 방사한다. 그리고, 하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는 자외선, 특히 UV-C인 제2 빛을 현관 공간의 바닥면으로 방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시스템(100)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모두 사용하여 현관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미도시)는 현관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존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가 빛을 방사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10에 도시된 각 단계의 과정을 설명한다.
단계(S1010)에서, 현관 공간(330)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이는 사용자 감지 센서(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감지된 결과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만약, 사용자가 현관 공간(33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S1020)에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과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모두 턴 온한다. 일례로, 제어부(미도시)는 강 살균 모드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을 턴 온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사용자가 현관 공간(330)에 존재하지 않는 제1 시간 구간은 집중 살균 시점이다. 제1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모두 턴 온되어 강한 강도로 제1 빛을 방사하고, 이에 따라 현관 공간 전체가 살균된다. 또한, 제1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가 턴 온되어 현관 공간(330)의 바닥면에 놓인 신발 등의 물건(320)이 집중적으로 살균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현관 공간(330)에 존재하는 경우, 단계(S1030)에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를 턴 온하고,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턴 오프한다. 일례로, 제어부(미도시)는 약 살균 모드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을 턴 온할 수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사용자가 현관 공간(330)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가 턴 오프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노화 또는 실명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가 약 살균 모드로 동작하여 특히 사용자가 착용한 옷, 신발 등이 어느 정도 살균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 및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고 살균을 수행하면서도 현관 공간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는 상부 도어 프레임에서 제1 빛을 방사하는데, 상부 도어 프레임과 현관 공간의 바닥면까지는 거리가 멀어서 제1 빛의 살균력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도어 프레임(110)과 인접한 현관 공간의 바닥면으로는 제1 빛이 도달하지 않거나 살균력이 대폭 감소인 제1 빛이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가 복수의 제1 발광 장치(150)와 함께 빛을 방사함으로써 현관 공간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발광 장치(160)의 살균 강도는 크므로, 현관 공간의 바닥면이 집중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400, 700: 공간 살균 시스템 110: 도어 프레임
120: 도어 130: 전자 장치
140: 사용자 감지 장치 150: 제1 발광 소자
160: 제2 발광 소자 310: 현관문
320: 물건 330: 현관 공간
340: 사용자

Claims (20)

  1. 사용자가 위치 가능한 공간에 설치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는 살균을 위한 제1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공간 살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빛은 상기 사용자에게 무해한 빛인, 공간 살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 도어 프레임, 하부 도어 프레임 및 측부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도어 프레임, 하부 도어 프레임 및 측부 도어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존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에서 방사되는 상기 제1 빛에 의한 살균 강도가 조절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각각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강도는 조절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강도는 제1 강도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에서 방사되는 제1 빛의 강도는 제2 강도이며,
    상기 제1 강도는 상기 제2 강도보다 크고, 상기 제1 강도에 따른 살균 강도는 상기 제2 강도에 따른 살균 강도보다 큰, 공간 살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모두가 턴 온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중 일부의 제1 발광 장치가 턴 온되고, 나머지 제1 발광 장치는 턴 오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모두가 턴 온되는 경우의 살균 강도는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중 일부의 제1 발광 장치가 턴 온되는 경우의 살균 강도보다 큰, 공간 살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의 개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크기 및 상기 현관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와 비례하는, 공간 살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는 살균을 위한 제2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공간 살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빛은 자외선인, 공간 살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가 턴 온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가 턴 오프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는 상기 공간의 바닥면의 방향으로 상기 제2 빛을 방사하도록 배치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의 개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크기 및 상기 현관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와 비례하는, 공간 살균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의 화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의 화각보다 큰, 공간 살균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현관 공간이고,
    상기 도어는, 외부 공간과 실내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현관문이거나, 상기 현관문과 인접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문인, 공간 살균 시스템.
  15. 사용자가 위치 가능한 공간에 설치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 도어 프레임에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는 살균을 위한 제2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공간 살균 시스템.
  16.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되고, 살균을 위한 제1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살균을 위한 제2 빛을 상기 공간으로 방사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빛의 파장과 상기 제2 빛의 파장은 서로 다른, 공간 살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빛의 살균 강도는 상기 제1 빛의 살균 강도보다 크며,
    상기 제2 빛은 상기 공간의 바닥면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빛은 살균용 가시광선이고, 상기 제2 빛은 자외선인, 공간 살균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가 턴 온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 중 적어도 일부가 턴 온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가 턴 오프되는, 공간 살균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는 턴 온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는 제1 강도로 턴 온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장치는 턴 오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장치는 제2 강도로 턴 온되고,
    상기 제1 강도는 상기 제2 강도보다 큰, 공간 살균 시스템.
KR1020200066275A 2020-06-02 2020-06-02 공간 살균 시스템 KR20210149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75A KR20210149354A (ko) 2020-06-02 2020-06-02 공간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75A KR20210149354A (ko) 2020-06-02 2020-06-02 공간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54A true KR20210149354A (ko) 2021-12-09

Family

ID=7886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75A KR20210149354A (ko) 2020-06-02 2020-06-02 공간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9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987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신발장 문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987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신발장 문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2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of fluids
CN106659810B (zh) 消毒装置
CN109641075A (zh) 光控制系统和将空间子部分暴露给预定光谱范围内的预定阈值强度的光的方法
KR20160070195A (ko)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KR102320696B1 (ko)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KR200410373Y1 (ko) 문 손잡이용 살균건조기
CN111120977B (zh) 照明消杀系统
KR102167155B1 (ko) 도어의 손잡이 소독장치
US20180255709A1 (en) Closed apparatus for irradiating plants and produce
KR102022314B1 (ko)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EP3878477B1 (en) Sterilization device using plasma and ultraviolet rays, and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same
US11376340B2 (en) Biosecurity system using monitoring and sanitization for an agricultural dwelling
KR20210149354A (ko) 공간 살균 시스템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727202B1 (ko) 살균소독기가 부착된 수납가구
KR20110077421A (ko) 감지센서와 연계된 살균 정화장치
KR102577495B1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KR20060129755A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KR20120133286A (ko) 벽걸이형 공기 살균기
US20210353806A1 (en) Elevator steriliz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NL1044229B1 (en) Uv disinfection device
KR101261308B1 (ko) 자외선 커튼
KR102428796B1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의류 수납장
US20220096693A1 (en) Enclosed space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