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803A -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803A
KR20220147803A KR1020210054746A KR20210054746A KR20220147803A KR 20220147803 A KR20220147803 A KR 20220147803A KR 1020210054746 A KR1020210054746 A KR 1020210054746A KR 20210054746 A KR20210054746 A KR 20210054746A KR 20220147803 A KR20220147803 A KR 20220147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antiviral film
antiviral
film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833B1 (ko
Inventor
조영태
김석
김도혁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8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패널의 외측에 마련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과, 조작 패널의 전방에 위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이동 수단에 의해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을 살균하는 살균장치 및 이동 수단 및 살균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묻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오염 부위를 집중 살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Antibacterial and antiviral film automatic moving system with sterilizing device}
본 발명은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이동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오염 부위를 집중 살균할 수 있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다수의 사무실이 입주한 빌딩, 공장, 다중 이용 시설 등과 같은 건물의 출입문과 승강기의 조작 패널에는 누름 방식의 버튼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버튼에 물리적 힘을 가해 버튼의 온오프를 조작하게 된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사용을 고려하여 승강기의 버튼에 음각, 양각을 통한 점자표를 형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점자표를 통해 원하는 버튼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버튼을 눌러 승강기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조작 버튼이나 시각 장애인용 점자 버튼 모두 사용자의 신체적 접촉에 의해 작동이 되므로 수많은 사용자의 신체 내지 물건들과 접촉하고 이를 통해 많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의해 버튼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건물의 출입문과 승강기에 설치된 버튼 패널의 전면에 항균 필름을 부착하여 버튼 패널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접촉에 의해 항균 필름의 표면에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가 묻더라도 항균 필름에 의해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서식 및 증식이 억제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하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버튼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항균 필름은 사용자가 자주 누름 조작하는 닫힘, 열림, 1층 버튼 등과 같이 항균 필름의 특정 부위가 빨리 손상되어 항균 필름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버튼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항균 필름의 경우,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서식 및 증식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가 항균 필름의 표면에 일정 시간 동안 생존하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 유행하는 COVID 19와 같은 바이러스의 경우, 항균 필름 만으로는 이를 살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5638호(2021년 02월 15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묻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오염 부위를 집중 살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항균 필름의 특정 부위가 빨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으로서, 조작 패널의 외측에 마련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상기 조작 패널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을 살균하는 살균장치 및 상기 이동 수단 및 상기 살균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이 권취되고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 롤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피동 롤러에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이 무한궤도로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이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게 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살균장치가 작동되도록 살균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조작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을 향해 UVC를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에는, 상기 이동 수단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발광 소자가 일정 시간 이후에 오프되도록 하는 타이머 릴레이 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에는 구리 이온(Cu+)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묻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오염 부위를 집중 살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항균 필름의 특정 부위가 빨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의 내외부에 설치된 버튼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항균 필름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에서 제어부와 각 구성 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에서 제어부와 각 구성 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 이동 수단(200), 살균장치(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은, 플렉시블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한 얇은 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터치 조작되는 조작 패널(10)이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 부위에 비접촉되도록 조작 패널(10)의 외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에는 구리 이온(Cu+)이 함유된다.
부연하면, 건물에는 사람, 자동차, 화물 등을 운송하기 위한 승강기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승강기 차의 내외부에는 열림, 닫힘, 층번호 등을 나타내는 다수의 조작부(11)가 형성된 조작 패널(10)이 설치된다.
이때, 조작 패널(10)의 전방에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서식 및 증식을 억제하는 구리 이온(Cu+)이 함유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을 사이에 두고 조작 패널(10)의 조작부(11)를 간접적으로 터치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표면에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가 묻더라도 구리 성분으로 인해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서식 및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에 함유된 구리 성분이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서식을 어렵게 해 COVID 19와 같은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COVID 19 바이러스의 생존 시간은 구리 표면에서 약 4시간 동안 생존하여 플라스틱 약 72시간, 스테인레스 약 48시간 보다 생존 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구리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로, 본 발명의 구리 이온(Cu+)이 함유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 역시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아 표면에서 바이러스가 생존하는 시간을 단축시키지만 바이러스를 단시간에 살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200)과,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을 살균하는 살균장치(300) 및 이동 수단(200)과 살균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수단(200)은, 조작 패널(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일면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작 패널(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일면을 설명의 편의상 "A"면 이라 지칭한다.
그리고, 제1위치는 조작 패널(10)의 전방을 지칭할 수 있고, 제2위치는 조작 패널(10)의 후방을 지칭할 수 있다.
부연하면, 이동 수단(200)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이 권취되고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구동 롤러(211)와 피동 롤러(212)를 구비한 회전체(210)와, 회전체(210)에 연결되어 회전체(2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롤러(211)는 구동 모터(220)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구동 모터의(220)의 회전 동력을 제공 받아 일방향 회전 하게 된다.
그리고, 피동 롤러(212)는, 구동 롤러(211)와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며, 구동 롤러(211)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 롤러(21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 롤러(211)와 피동 롤러(212)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이 무한궤도로 권취되고,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내측에 조작 패널(10)이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 롤러(211)와 피동 롤러(21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이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이동 수단에 장착하여 사용되도록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은 구동 롤러(211)와 피동 롤러(21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서(410)와 구동 모듈(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410)는, 조작 패널(10)에 형성된 조작부(11)의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부연하면, 조작 패널(10)의 전방에 위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을 사이에 두고 사용자가 조작 패널(10)에 형성된 조작부(11)를 간접적으로 터치 조작하면,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센서(410)에 감지되는 것이다.
구동 모듈(420)은, 센서(410)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이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구동 모터(220)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즉, 구동 모터(220)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어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이 일정 거리 이동되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이 조작 패널(10)의 전방의 제1위치에서 조작 패널(10)의 후방의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살균장치(300)는, 이동 수단(200)에 의해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에 묻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살균장치(300)는, 기판(310)과 발광 소자(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310)은, 조작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때, 기판(310)에는, 이동 수단(200)의 작동이 완료되면, 발광 소자(320)가 일정 시간 이후에 오프되도록 하는 타이머 릴레이 모듈(311)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20)는, 기판(310)의 일측면에 표면 실장되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을 향해 UVC를 조사하게 된다.
자외선은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국 보스턴 대학의 연구진과 조명회사인 Signify의 공동 연구에서 자외선이 바이러스 DNA 사슬을 붕괴시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 시켜 바이러스의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COVID 19 바이러스의 약 95% 가량이 제거되고, 자외선에 약 6초간 노출시켰을 때엔 COVID 19 바이러스의 약 99%가 제거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자외선의 살균 원리는 자외선이 DNA에 조사되면 DNA의 염기 중 티민의 분자 구조가 집중적으로 파괴되고, 자외선을 흡수한 티민은 이웃한 티민이나 시토신과 눌러 붙게 된다.
이와 같이 티민이 중합되면 DNA의 복제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생명체로서의 기능이 정지된다. 이외에도 자외선은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과 단백질을 산화시켜 세균들의 생명 활동이 연장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이동 수단(200)의 작동과 동시에 살균장치(300)가 작동 되도록 살균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부연하면, 조작 패널(10)에 형성된 조작부(11)에 터치 신호가 입력되어 이 터치 신호가 센서(410)에 감지되면, 구동 모터(22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제1위치의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이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 모듈(420)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구동 롤러(211)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발광 소자(320)에서 UVC가 발산하게 된다.
이때,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이 제2위치로 이동되어 이동 수단(200)의 작동이 완료되더라도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을 향해 UVC가 일정 시간 동안 조사된다.
이는 기판(310)에 구비된 타이머 릴레이 모듈(311)에 의해 발광 소자(320)가 일정 시간 이후에 오프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접촉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100)의 A면이 충분한 시간 동안 집중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조작 패널 11: 조작부
100: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200: 이동 수단
210: 회전체 211: 구동 롤러
212: 피동 롤러 220: 구동 모터
300: 살균장치 310: 기판
311: 타이머 릴레이 모듈 320: 발광 소자
400: 제어부 410: 센서
420: 구동 모듈

Claims (8)

  1. 조작 패널의 외측에 마련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상기 조작 패널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제2위치로 위치가 변경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을 살균하는 살균장치; 및
    상기 이동 수단 및 상기 살균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이 권취되고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 롤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동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피동 롤러에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이 무한궤도로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이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게 하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살균장치가 작동되도록 살균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조작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의 일면을 향해 UVC를 조사하는 발광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이동 수단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발광 소자가 일정 시간 이후에 오프되도록 하는 타이머 릴레이 모듈;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에는 구리 이온(Cu+)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KR1020210054746A 2021-04-28 2021-04-28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KR102560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746A KR102560833B1 (ko) 2021-04-28 2021-04-28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746A KR102560833B1 (ko) 2021-04-28 2021-04-28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03A true KR20220147803A (ko) 2022-11-04
KR102560833B1 KR102560833B1 (ko) 2023-07-28

Family

ID=8410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746A KR102560833B1 (ko) 2021-04-28 2021-04-28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8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977A (ja) * 1995-03-07 1996-09-27 J R Higashi Nippon Mechatronics Kk 情報入力装置
JP2011116536A (ja) * 2009-12-07 2011-06-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用消毒装置
KR20190143611A (ko) * 2018-06-21 2019-12-31 김성대 주방용 다용도 살균장치
KR102127499B1 (ko) * 2020-05-26 2020-06-30 (주)범민케미칼 항균기능을 갖는 친환경 동분 pvc 필름 제조방법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977A (ja) * 1995-03-07 1996-09-27 J R Higashi Nippon Mechatronics Kk 情報入力装置
JP2011116536A (ja) * 2009-12-07 2011-06-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用消毒装置
KR20190143611A (ko) * 2018-06-21 2019-12-31 김성대 주방용 다용도 살균장치
KR102127499B1 (ko) * 2020-05-26 2020-06-30 (주)범민케미칼 항균기능을 갖는 친환경 동분 pvc 필름 제조방법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833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04927C (zh) 紫外线杀菌装置
JP6607623B1 (ja) 紫外線照射装置
JP3174620U (ja) エレベーターボタンの殺菌装置
KR20110072601A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조작반
KR102514375B1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GB2421220A (en) Computer input apparatus having UV light source
KR102418605B1 (ko) 엘리베이터 살균장치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WO2010060079A1 (en) Through-material uv sterilization of surfaces and methods
WO2008096123A1 (en) Computer input apparatus
KR20220147803A (ko) 살균장치를 갖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 자동 이동 시스템
KR102191038B1 (ko)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WO2018124668A1 (ko) 정수기의 살균 제어 방법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CN213312056U (zh) 一种脚踏式消毒装置
GB2387542A (en) Self sterilising handles and switches
JP3234566U (ja) 2way型殺菌灯点灯装置
KR20060020562A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20220078110A (ko) 자외선 살균 led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2782A (ko) 살균기능을 갖는 좌변기
KR20220019121A (ko) Uvc 살균 소독장치
KR200353613Y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살균장치
KR20220032252A (ko) 도어 손잡이용 살균기
JPH08131522A (ja) 殺菌装置
US20210275703A1 (en) Self-Sterilizing Ultra-Violet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