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381B1 - 3d 객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3d 객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381B1
KR101383381B1 KR1020130086039A KR20130086039A KR101383381B1 KR 101383381 B1 KR101383381 B1 KR 101383381B1 KR 1020130086039 A KR1020130086039 A KR 1020130086039A KR 20130086039 A KR20130086039 A KR 20130086039A KR 101383381 B1 KR101383381 B1 KR 101383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displayed
user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932A (ko
Inventor
황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3008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3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D 객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3D 객체 처리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하며, 3D UI의 입체감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3D 객체를 인지하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객체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3D Object}
본 발명은 3D 객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하며, 다양한 UI를 3D로 제공하기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차원(3D-3dimension) 표시 기술은 주로 영화와 같은 영상을 입체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2D 기반의 3D UI는 Cube와 Depth 개념을 적용하여 2D UI에서 표현하던 정보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표현한다. 그러나, 종래의 2D 기반의 3D UI 기술은 사용자와의 인터렉션보다는 2D UI와 3D UI 간의 전환 효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하며, 3D UI의 입체감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보다 직관적인 3D UI를 제공할 수 있는 3D 객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3D 객체가 표시된 공간에서, 상기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결과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3D 객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3D 객체가 팝업되는 속도 및 상기 3D 객체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3D 객체를 2D 객체로 전환하는 명령 및 상기 2D 객체를 상기 3D 객체로 전환하는 명령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명령들 중 하나가 센싱되면, 상기 3D 객체와 상기 2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필요한 객체는 3D 객체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3D 객체의 원근감 또는 입체감을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객체를 통해 3D 객체의 상태정보나 속성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UI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허공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멀티 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카메라 센싱 방식을 사용하는 제1센싱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홈 스크린(Home screen)에 위젯 아이콘들을 3D 객체로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피아노 건반 UI를 2D 또는 3D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바를 3D 객체로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자판 UI를 3D 객체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3D 지도를 표시한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재생 중인 파일의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3D 객체로 표시되는 서브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바람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2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2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날씨에 따라 변하는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2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보여주기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복수 개의 이벤트들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3D 객체들을 표시하는 제3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SMS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SMS에 대한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3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수신된 문자 메시지 및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제3표시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모드와 3D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3D 객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객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객체 처리 장치에서 2D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객체 처리 장치에서 3D 객체의 원근감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기술은 UI(User Interface), 동영상 등을 3D 객체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사람의 좌안과 우안은 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양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떨어진 거리만큼의 영상차가 발생하며, 뇌는 좌/우측 영상차를 입체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스테레오스코픽 기술은 이를 이용한 기술로서, 하나 이상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에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한다. 영상을 분리하는 방식은 시간 분할 방식과 공간 분할 방식으로 분류된다.
먼저, 시간 분할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 분할 방식은 하나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이 인식해야 하는 영상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시간 분할 방식의 일 예로 셔터글래스 방식이 있다. 셔터글래스 방식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공간 분할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 분할 방식은 좌/안 및 우안에 영상을 동시에 각각 제공하는 방식으로, 편광필터안경 방식, Barrier 방식 및 Lenticular 방식 등이 있다.
편광필터안경 방식의 경우,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된 수직 편광 영상 및 수평 편광 영상은 편광필터 안경에 의해서 두 영상 중 한쪽 영상은 필터링되어, 각 눈에 한 쪽의 영상만 제공하는 방식이다. 즉, 편광필터안경 방식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선별적으로 눈에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제공한다.
Barrier 방식은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에 Barrier 필터를 장착하여 좌안 및 우안에 선별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Swichable Barrier 필터는 Barrier 필터를 On/Off 할 수 있다. 따라서, 3D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에는 Barrier 필터를 동작시키고, 2D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에는 Barrier 필터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Lenticular 방식은 영상출력장치에 Lenticular 코팅을 하여 좌/우 눈에 선별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한편, 3D 공간, 즉, 허공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은, 광학센서방식, 광선차단 방식, 전기장 왜곡 센싱 방식 및 카메라 센싱 방식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광학센서방식은 표시패널의 화면 뒤에서 적외선 빔을 조사하면, 조사된 빔에 반사된 손가락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광선 차단 방식은 표시패널의 화면 앞이나 뒤에서 터치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적외선 빔을 상하좌우로 조사하고, 조사된 빔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터치를 인식한다.
전기장 왜곡 센싱 방식은 표시패널의 표면 위 공간에 균등하게 전기장을 조성하고, 그 공간에 들어오는 유전체(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해서 전기장에 왜곡이 발생하면, 왜곡의 정도를 센싱하여 유전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전기장 왜곡 센싱 방식은 표시패널의 표면에 유전체가 접촉할 경우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도 유전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장 왜곡 센싱 방식은 유전체가 손가락인 경우, 어느 쪽 손의 어느 손가락인지와, 어느 정도의 기울기로 상기 공간에 접근하였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싱 방식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손가락과 화면의 접점을 인공지능적으로 분석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3D 객체 처리 장치(100)는 UI를 3D 객체로 표시하며,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모바일폰, 표시기기 등 UI를 표시하는 모든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3D 객체 처리 장치(100)는 제1표시패널(110), 제1센싱부(120) 및 제1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장치(100)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경우, 제1표시패널(110)에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UI, 스마트폰에 저장된 다양한 영상들이 표시된다. 제1표시패널(110)에는 제1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2D 객체 또는 3D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UI를 포함하며, 장치(100)가 구비한 기능, 카테고리 별 데이터량, 카테고리의 우선순위, 시간 등 다양한 상태나 속성을 표현할 수 있다.
제1센싱부(12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와 사용자의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한다. 근접 센서는 제1표시패널(110)의 표면과 근접한 공간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센싱한다. 즉, 근접 센서는 3D 객체가 표시된 공간에서,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할 수 있다. 제1센싱부(120)는 상술한 광학센서방식, 광선차단 방식, 전기장 왜곡 센싱 방식 및 카메라 센싱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센싱할 수 있다. 제1센싱부(120)는 제1표시패널(110)의 표면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 센싱 방식을 사용하는 제1센싱부(1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센싱부(120)는 카메라부(121), 영상 처리부(123), 움직임 추출부(125) 및 제스쳐 인식부(127)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23)는 카메라부(121)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쳐 영상과 제1표시패널(110)의 화면을 인공지능적으로 분석하여 손가락과 화면의 접점을 찾는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23)는 카메라부(121)에 의해 획득되는 제스쳐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움직임 추출부(125)는 제스쳐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영역을 추출한다.
제스쳐 인식부(127)는 추출되는 움직임 영역 또는 사용자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영역을 추출한다. 사용자 영역은 얼굴 영역, 손 영역일 수 있다. 제스쳐 인식부(127)는 연속적으로 추출되는 움직임 영역 또는 사용자 영역으로부터 손 영역을 추적하며, 한 동작에 해당하는 의미있는 제스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스쳐 영역의 제스쳐 특징을 추출하여 제스쳐를 인식한다. 인식되는 제스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허공에서 3D 객체를 푸쉬하거나, 당기거나, 드래깅하는 등 다양하다.
제1제어부(130)는 제1센싱부(120)의 센싱결과, 즉, 인식되는 제스쳐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한 다양한 3D 객체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된 3D 객체는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싱부(120)가 허공에서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면, 제1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의 높이를 그 외 아이콘들보다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하게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선택된 아이콘은 그 외 아이콘들보다 오목하게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도 3은 홈 스크린(Home screen)에 위젯 아이콘들을 3D 객체로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3D 객체 중 하나의 위젯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위젯 아이콘은 점점 하향하는 것처럼 입체적으로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한 위젯이 어느 것인지 직관적으로 피드백받을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위젯 아이콘이 제1표시패널(110) 쪽으로 하향하는 속도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피아노 건반 UI를 2D 또는 3D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건반을 직접 터치하거나 허공에서 푸쉬할 수 있다. 제1센싱부(120)가 허공에서 건반을 푸쉬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면, 제1제어부(130)는 푸쉬된 부분을 오목하게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터치 방식에 비해 실감나는 입체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피아노의 건반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바(51, 52)를 3D 객체로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허공에서 볼륨바(51)를 푸쉬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제1센싱부(120)가 센싱하면, 제1제어부(130)는 높이가 감소된 볼륨바(52)를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하고, 실제 볼륨을 하향조정할 수 있다. 또한, 허공에서 볼륨바(52)를 풀(pull)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제1센싱부(120)가 센싱하면, 제1제어부(130)는 높이가 증가된 볼륨바(51)를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하고, 실제 볼륨을 상향조정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130)는 사용자의 공간 제어에 따라, 볼륨바(51, 52)의 높이를 조정하며,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자판 UI를 3D 객체로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허공에서 선택한 자판을 자판 UI보다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표시하도록 제1표시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30)는 오타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판 UI에서 동시에 두 개의 키들을 선택하였음이 센싱되면, 제1제어부(130)는 선택된 두 개의 키들을 볼록하게 표시하도록 제1표시패널(110)을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오타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볼록하게 표시된 두 개의 키들 중 맞는 키를 허공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선택된 키를 자판 UI보다 오목하게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한다.
도 7은 3D 지도를 표시한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표시패널(110)에는 표시된 지도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1제어부(130)는 2D로 표시된 지도를 3D 객체, 즉, 3D 지도로 표시하고, 현재 지도의 배율이 1배(1X)임을 나타내는 UI를 3D 객체로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한다.
허공에서 표시된 지도를 풀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1제어부(130)는 표시된 지도를 확대표시하고, 현재 지도의 배율이 2배(2X)임을 나타내는 UI를 3D 객체로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한다. 지도는 2배 이상 확대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지도를 푸쉬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1제어부(130)는 표시된 지도를 축소표시하고, 현재 지도의 배율이 1배(1X)임을 나타내는 UI를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된 UI를 치는(hit)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1제어부(130)는 표시된 지도를 제1표시패널(110)에 축소표시한다.
또한, 표시된 지도를 직접 터치한 후 푸쉬하거나 풀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어도, 제1제어부(130)는 지도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재생 중인 파일의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음악과 같은 파일을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가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버튼을 클릭하면, 제1제어부(130)는 재생중인 파일에 대한 상세정보를 3D 객체(81)를 통해 팝업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1표시패널(110)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3D 객체(81)를 이용하여 관련 음악을 검색하거나, 새로운 음악을 구매할 수 있다.
도 9는 3D 객체로 표시되는 서브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표시패널(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 중 3D 모드를 선택하면, 제1제어부(130)는 3D 모드의 서브메뉴 리스트를 3D 객체로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한다. 서브메뉴 리스트는 3D 객체로 표시될 수 있는 메뉴, 또는 3D 객체로 표시되도록 설정된 메뉴이다. 표시된 서브메뉴 리스트 중 원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제1제어부(130)는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바람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센싱부(120)는 바람을 인식하는 바람 인식 센서(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바람을 불면, 제1제어부(130)는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들 중 타겟 메뉴를 기설정된 자리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바람을 두 번 연속적으로 불면, 제1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자리에 표시된 타겟 메뉴를 실행시킨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바람 인식 센서(101)를 터치하면, 제1제어부(130)는 3D 모드로 전환한다. 사용자가 장치(100)를 기울이면, 제1센싱부(120)는 가속도 센서 또는 6축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방향을 인식한다. 인식된 방향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일 수 있으며, 메뉴의 스크롤 방향으로 사용된다. 도 10의 경우, 스크롤 방향은 세로방향이다. 제1표시패널(110)에 표시된 메뉴의 스크롤 방향이 결정되면, 사용자는 바람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불어 타겟 메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타겟 메뉴가 제1표시패널(110)의 가운데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바람을 짧게 한 번 불어 타겟 메뉴를 선택하고, 그 후 바람을 짧게 두 번 분다. 두 번의 바람이 연속적으로 센싱되면, 제1제어부(130)는 제1표시패널(110)의 가운데에 표시된 타겟 메뉴를 실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1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3D 객체 처리 장치(1100)는 UI를 3D 객체로 표시하며, 표시된 3D 객체의 입체감은 상태정보, 속성정보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3D 객체 처리 장치(1100)는 제2표시패널(1110), 제2센싱부(1120) 및 제2제어부(1130)를 포함한다. 제2표시패널(1110), 제2센싱부(1120) 및 제2제어부(1130)는 도 1의 제1표시패널(110), 제1센싱부(120) 및 제1제어부(13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표시패널(1110)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제2센싱부(1120)는 3D 객체들이 표시된 공간에서,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한다.
제2제어부(1130)는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3D 객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제2표시패널(1110)을 제어한다. 표시된 3D 객체의 높이는 해당 카테고리의 상태정보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dia Service), E-Mail 등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경우, 3D 객체의 높이는 해당 카테고리의 데이터량에 비례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직관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보유 중인 메시지의 양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고리의 상태정보 또는 속성정보를 보여주는 다양한 3D 객체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2표시패널(1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시지 메뉴의 경우, 복수 개의 카테고리들은 SMS, MMS 및 E-Mail일 수 있다.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된 3D 객체들의 높이는 각 카테고리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의 양 및 데이터의 파일 개수 중 하나에 비례한다. 도 12의 경우, 단문 메시지의 보유량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이메일에 비해 많음을 알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폴더의 경우, 복수 개의 카테고리들은 음악 폴더, 동영상 폴더 및 이미지 폴더일 수 있다.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된 3D 객체들의 높이는 각 폴더 별로 보관된 데이터의 양 또는 데이트의 개수를 반영할 수 있다.
한편, 3D 객체들이 표시된 공간에서, 표시된 3D 객체들 중 하나를 허공에서 푸쉬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2제어부(1130)는 사용자가 푸쉬한 3D 객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도 13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2표시패널(1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제어부(1130)는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된 3D 객체의 크기 또는 형태를 시간이 경과할수록 변경시킬 수 있다. 즉, 3D 객체는 시간 또는 상황에 따른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1130)는 회의가 시작할 때, 회의 시작을 알리는 객체를 2D로 표시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3D 객체로 표시하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3D 객체를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한다.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제2제어부(1130)는 3D 객체의 높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3D 객체를 다른 형태로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한다. 회의 시간의 변화를 3D 객체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는 회의 시간의 경과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4는 날씨에 따라 변하는 3D 객체를 표시하는 제2표시패널(1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3D 객체는 일기 예보 아이콘으로서, 강수량, 눈, 비, 조사량 등 다양한 날씨를 보여줄 수 있다. 제2제어부(1130)는 3D 객체가 강수량 정보를 보여주는 경우, 강수량에 따라 3D 객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한다. 제2제어부(1130)는 현재 조사량이 좋은 경우 사진 찍기 좋은 날씨로 판단하고, 카메라 아이콘을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날씨는 맑으며, 내일 비가 올 예정이면, 제2제어부(1130)는 현재와 내일의 날씨를 함께 3D 객체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3D 객체의 입체감을 근거로 날씨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제어부(1130)는 일기 예보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3D 객체를 제2표시패널(1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보여주기 위한 3D 객체 처리 장치(15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3D 객체 처리 장치(1500)는 UI를 3D 객체로 표시하며,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3D 객체를 적응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3D 객체 처리 장치(1500)는 제3표시패널(1510), 제3센싱부(1520) 및 제3제어부(1530)를 포함한다. 제3표시패널(1510), 제3센싱부(1520) 및 제3제어부(1530)는 도 1의 제1표시패널(110), 제1센싱부(120) 및 제1제어부(13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표시패널(1510)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3표시패널(1510)은 이벤트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한다.
제3센싱부(1520)는 3D 객체가 표시된 공간에서,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한다.
제3제어부(1530)는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3D 객체를 적응적으로 표시하도록 제3표시패널(1510)을 제어한다. 이벤트는 전화수신(Call), SMS 수신, MMS 수신, 알람 또는 캘린더에 설정된 일정의 알람 등 다양하다. 제3제어부(1530)는 이벤트의 우선순위, 속성 또는 중요도에 따라, 팝업되는 3D 객체의 높이와 팝업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3제어부(1530)는 3D 객체가 단계적으로 팝업될 때마다 3D 객체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제어부(153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3D 객체가 제3표시패널(1510)의 화면바닥으로부터 점점 사용자 방향으로 팝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치(1500)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동작을 제공하는 중 전화 이벤트 또는 문자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3제어부(1530)는 전화가 왔음을 통지하는 3D 객체를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보여주는 다양한 3D 객체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복수 개의 이벤트들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3D 객체들을 표시하는 제3표시패널(15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이벤트들이 동시에 발생하면, 제3제어부(1530)는 복수 개의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3D 객체들(161, 162, 163)을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한다. 이 때, 제3제어부(1530)는 복수 개의 이벤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이벤트의 3D 객체(161)를 가장 빠르고 가장 크게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한다. 또한, 제3제어부(1530)는 3D 객체(161)를 가장 위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중요한 사항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SMS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SMS에 대한 3D 객체(171)를 표시하는 제3표시패널(15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작성하는 중 SMS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3제어부(1530)는 SMS에 대한 3D 객체(171)를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한다. 제3제어부(1530)는, 표시된 3D 객체(171)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3D 객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한다. 또한, 제3제어부(1530)는 표시된 3D 객체(171)를 드래깅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표시된 3D 객체(171)를 제거하여 제3표시패널(1510)에서 사라지도록 한다.
도 18은 수신된 문자 메시지 및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제3표시패널(15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3제어부(1530)는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화면을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한다. 이 때, 제3제어부(1530)는 표시된 화면 중 다른 동작으로의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을 3D 객체로 표시한다. 상기 영역은 문자 메시지를 보낸 발신자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 다양하다.
상기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제3제어부(1530)는 사용량에 따라 3D 객체들(181, 182)의 입체감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복수 개인 경우, 제3제어부(1530)는 사용량이 많은 전화번호를 보다 큰 3D 객체(181)로 표시할 수 있다. 3D 객체(181)를 허공에서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3제어부(1530)는 3D 객체(181)에 표시된 발신자에게 전화연결을 시도한다.
또한, 장치(1500)에 저장된 주소록을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하는 경우, 제3제어부(1530)는 자주 연락하는 지인들의 전화번호는 3D 객체로 표시하고, 일반 지인들의 전화번호는 2D 객체로 제3표시패널(1510)에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신속히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모드와 3D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3D 객체 처리 장치(19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3D 객체 처리 장치(1900)는 제4표시패널(1910), 제4센싱부(1920) 및 제4제어부(1930)를 포함한다. 제4표시패널(1910), 제4센싱부(1920) 및 제4제어부(1930)는 도 1의 제1표시패널(110), 제1센싱부(120) 및 제1제어부(13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표시패널(1910)은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제4센싱부(1920)는 표시된 3D 객체를 2D 객체로 전환하는 사용자의 명령 및 2D 객체를 3D 객체로 전환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센싱한다. 이를 위하여, 제4센싱부(192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장치(1900)의 움직임, 기울기 방향 등을 센싱할 수 있는 6축 센서와 사용자의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제어부(1930)는 사용자의 명령들 중 하나가 센싱되면, 3D 객체와 2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한다.
이하에서는, 2D 모드와 3D 모드의 전환을 보여주는 다양한 3D 객체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표시패널(1910)에는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이 2D 객체로 표시되어 있다. 장치(1900)를 아래 방향으로 흔드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4제어부(1930)는 2D 객체를 3D 객체로 전환하여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한다. 이로써, 위젯 아이콘들은 입체적으로 표시된다. 반면, 장치(1900)를 위 방향으로 흔드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4제어부(1930)는 3D 객체를 2D 객체로 전환하여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한다. 이러한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은 소프트키, 미디어 플레이어의 컨트롤 버튼 등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한 객체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치(1900)의 기울어짐이 센싱되면, 제4제어부(1930)는 장치(1900)가 기울어진 방향을 고려하여,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된 2D 객체의 표시 각도를 조정한다. 이로써, 제4제어부(1930)는 2D 객체가 3D 객체로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되도록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장치(1900)의 상하좌우의 높낮이가 달라지도록 장치(1900)를 기울이면, 제4센싱부(1920)의 6축 센서는 기울기를 센싱한다. 제4제어부(1930)는 제4센싱부(1920)의 센싱에 따라,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된 2D 객체(211)가 사용자에게 잘 보여질 수 있도록, 2D 객체(211)를 기울여서 3D 객체(212)로 표시한다. 즉, 제4제어부(1930)는 장치(1900)의 기울기에 따라, 2D 객체(211)를 실시간으로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정의된 객체만을 3D 객체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MS 또는 SMS를 이용하여 에디터 화면에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중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에 추가할 이모티콘을 선택하면, 제4제어부(1930)는 선택된 이모티콘을 3D 객체(221)로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한다. 표시된 3D 객체(221)를 에디터 화면으로 드래깅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제4제어부(1930)는 3D 객체(221)를 2D 객체(222)로 변환하여 에디터 화면에 표시한다. 에디터 화면에 표시되는 2D 객체(222)는 선택적으로 3D 객체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객체와 3D 객체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치(1900)가 입체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경우, 장치(1900)는 입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음에는 2D 객체로 보여주며, 영상을 점차 입체적으로 변환하여 3D 객체로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되는 영상이 산인 경우, 제4제어부(1930)는 산을 처음에는 2D 객체로 표시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3D 객체로 제4표시패널(1910)에 표시하여, 산이 점점 솟아나는 입체감을 제공한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객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장치(2400)는 도 1, 도 11, 도 15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들(100, 1100, 1500, 1900) 중 하나일 수 있다. 장치(2400)의 화면에는 메뉴 리스트와 스크롤 바(241)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스크롤 바(241)를 터치하면, 화면의 하단 및 상단에는 원통형의 3D 객체들(242, 243)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허공에서 3D 객체(242)를 손가락으로 롤링(Rolling)하여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3D 객체(242)를 롤링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센싱되면, 장치(2400)는 롤링 방향에 따라 3D 객체(242)의 크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객체(242)를 'a' 방향으로 롤링하면, 장치(2400)는 상향 스크롤으로 인식하고, 3D 객체(242)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3D 객체(243)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 때, 화면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는 'b'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3D 객체(242)를 'b' 방향으로 롤링하면, 장치(2400)는 하향 스크롤으로 인식하고, 3D 객체(242)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3D 객체(243)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3D 객체들(242, 243)의 크기로부터 스크롤한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롤 바(241)를 위아래로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스크롤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객체 처리 장치에서 2D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D 객체 처리 장치는 좌측 눈과 우측 눈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객체, 즉, 입체감을 가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3D 객체 처리 장치는 2D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차가 없는 좌우 동일한 영상(즉,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3D 객체 처리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2D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객체 처리 장치에서 3D 객체의 원근감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D 객체 처리 장치는 3D 객체의 원근감을 표시하기 위하여 3D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3D 객체 처리 장치는 3D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선택적으로, 3D 객체의 크기를 프레임마다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3D 객체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크게 표시되어, 3D 객체의 원근감이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3D 객체가 각 프레임마다 이동되는 거리 또는 증감되는 크기는 미리 계산되어 3D 객체 처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t는 시간, f1~f5는 순차적으로 3D 객체 처리 장치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인식하는 3D 영상, 즉, 3D 프레임을 의미한다. 각 프레임(f1~f5)은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f1)은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동일하므로 2D 영상으로 인식될 수 있다. 3D 객체 처리 장치는 좌측 영상의 경우, 원근감을 변경할 객체(261)를 순차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크기를 증가시킨다. 이와 동시에, 우측 영상의 경우, 원근감을 변경할 객체(262)를 순차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 때, 선택적으로 크기를 증가시킨다. 사용자는 f1~f5 순서로 표시되는 3D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식함으로써 3D 객체(261, 262)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3D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3D 객체 처리 장치는 각 프레임(f1~f5)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프레임(f1)을 표시한 후 프레임(f5)를 표시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원근감을 가지는 3D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3D 객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 26의 설명과는 반대로, 3D 객체의 크기 또는 3D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가 프레임마다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3D 객체의 원근감 변경 방법은 도 11의 3D 객체 처리 장치(1100)에서 원근감 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3D 객체 처리 장치 110: 제1표시패널
120: 제1센싱부 130: 제1제어부

Claims (17)

  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표시 패널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3D 객체가 팝업되는 속도 및 상기 3D 객체의 크기를 조정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되는 3D 객체의 표시 상태는 상기 3D 객체의 원근감 및 상기 3D 객체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3D 객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데이터의 파일 개수 중 하나에 비례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4.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표시되는 3D 객체의 높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3D 객체는 다른 형태로 표시되는,
    3D 객체 처리 장치.
  5.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3D 객체들이 표시된 공간에서, 상기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3D 객체들 중 하나를 허공에서 상기 사용자가 푸쉬하면, 상기 사용자가 누른 3D 객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6.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객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좌측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3D 객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우측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이벤트들이 동시에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3D 객체들을 표시하되, 상기 복수 개의 이벤트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이벤트의 3D 객체를 가장 빠르고 가장 크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객체가 표시된 공간에서, 상기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3D 객체를 상기 사용자가 터치하면, 상기 3D 객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3D 객체를 상기 사용자가 드래깅하면 상기 3D 객체를 제거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화면 중 다른 동작으로의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을 상기 3D 객체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10.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3D 객체를 2D 객체로 전환하는 명령 및 상기 2D 객체를 상기 3D 객체로 전환하는 명령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들 중 하나가 센싱되면, 상기 3D 객체와 상기 2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구비된 디바이스가 기울어지면, 디바이스가 기울어진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된 2D 객체의 표시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3D 객체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객체가 표시된 공간에서, 상기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결과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고,
    상기 표시된 3D 객체는 복수개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높이를 그 외 아이콘들보다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3D 객체가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바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허공에서 상기 3D 객체를 지속적으로 푸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3D 객체의 높이를 감소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며, 상기 볼륨을 조정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객체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3D 자판 UI(User Interface)인, 3D 객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3D 객체가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상기 3D 자판 UI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두 개의 키들을 동시에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키들을 볼록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16.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3D 객체가 푸쉬(push)되면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된 지도를 축소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3D 객체가 풀(pull)되면, 상기 표시된 지도를 확대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3D 객체 처리 장치.
  17.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3D 객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객체의 높이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3D 객체가 표시된 공간에서, 상기 3D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결과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3D 객체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고,
    상기 센싱부는, 바람을 인식하는 바람 인식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바람을 불면,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들 중 타겟 메뉴를 기설정된 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패널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바람을 두 번 연속적으로 불면 상기 타겟 메뉴를 실행시키는, 3D 객체 처리 장치.
KR1020130086039A 2013-07-22 2013-07-22 3d 객체 처리 장치 KR10138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39A KR101383381B1 (ko) 2013-07-22 2013-07-22 3d 객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39A KR101383381B1 (ko) 2013-07-22 2013-07-22 3d 객체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022A Division KR20120000663A (ko) 2010-06-28 2010-06-28 3d 객체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932A KR20130100932A (ko) 2013-09-12
KR101383381B1 true KR101383381B1 (ko) 2014-04-17

Family

ID=4945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039A KR101383381B1 (ko) 2013-07-22 2013-07-22 3d 객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3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580A (ko) * 2002-09-17 2004-03-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2005267095A (ja) 2004-03-17 2005-09-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20070132721A1 (en) 2005-12-09 2007-06-14 Edge 3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Virtual-Touch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580A (ko) * 2002-09-17 2004-03-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2005267095A (ja) 2004-03-17 2005-09-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20070132721A1 (en) 2005-12-09 2007-06-14 Edge 3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Virtual-Touch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932A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663A (ko) 3d 객체 처리 장치
US11816303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KR101841599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N109155821B (zh) 相机的可移动用户界面快门按钮
CN104793737B (zh) 用于内容编创的系统和方法
KR102194272B1 (ko) 제스처들을 이용한 터치 입력들의 향상
KR101387270B1 (ko)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US931340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having touch panel function,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853986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133080A (ko) 증강 현실 시스템용 터치프리 인터페이스
US9323339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602463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With A Curved Display
US10474324B2 (en) Uninterruptable overlay on a display
KR2015009922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KR101383381B1 (ko) 3d 객체 처리 장치
US20240045572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AU2016101667A4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AU2016231593B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