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221A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221A
KR20150099221A KR1020140020819A KR20140020819A KR20150099221A KR 20150099221 A KR20150099221 A KR 20150099221A KR 1020140020819 A KR1020140020819 A KR 1020140020819A KR 20140020819 A KR20140020819 A KR 20140020819A KR 20150099221 A KR20150099221 A KR 20150099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flexible device
received
displaying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274B1 (ko
Inventor
정지현
조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274B1/ko
Priority to EP15751961.2A priority patent/EP3109745A4/en
Priority to US15/120,326 priority patent/US20170075559A1/en
Priority to CN201580020996.5A priority patent/CN106233244A/zh
Priority to PCT/KR2015/001690 priority patent/WO2015126190A1/ko
Publication of KR2015009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221A/ko
Priority to US17/209,828 priority patent/US2021020877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디바이스가 펴진(release)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플렉시블(flexible)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FLEXI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바이스는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바(Bar) 형태의 장치로, 전면 혹은 후면/측면 일부에 터치나 버튼을 통해서 입력이 가능한 장치였다. 종래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시로 발생하는 수많은 알림(notification)으로 인해 이를 확인하려면,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일시적으로 종료하는 등의 방해를 받았었다. 즉, 종래의 알림 방식과 확인 방법으로는 사용자는 알림(notification)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어플을 중단하고, 여러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고, 다시 반대로 여러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 사용 중이던 어플로 복귀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 중인 어플과 관련된 다른 어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 중인 어플을 잠시 중단하고, 다시 어플을 실행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바이스(Flexible Device)의 형태가 변형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변형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flexible)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러졌다가 펴진(fold and releas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not displaying)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switch)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switch)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내는(indicative of)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혀진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제1면과 제2면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1면에 의해 덮혀지지(cover) 않는 상기 제2면의 일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flexible) 디바이스에서 알림(notific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진 상태인지(fold)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인지를(release)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러졌다가 펴진 상태인지(fold and release)를 판단하는 판단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switch)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계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경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혀진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제1면과 제2면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1면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 2 면의 일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내는(indicative of)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혀진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제1면과 제2면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1면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 2 면의 일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내는(indicative of)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싱부;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제공부; 상기 센싱부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진 상태인지(fold)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인지(release)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컴퓨터로 읽어 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모드 전환 및 어플 이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알림(notification)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시간 알림(notification)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를 접는 경우 특정 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센싱부(105),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 판단부(115),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25)를 포함한다.
센싱부(105)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변형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벤딩 센서(Bending Seonsor)를 포함하고 있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구부러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는 센싱부(105)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5)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판단부(115)는 센싱부(105)로부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또는 판단부(115)는 센싱부(105)로부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판단부(115)의 판단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2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5)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포함한다. 설명의 간단을 위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판단부(1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센싱부(105)로부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제 1 방향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경계선에 평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판단부(115)는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 판단부(115)는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15)는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아이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은 화면의 경계선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판단부(115)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결정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대칭으로 접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제1면과 제2면으로 구분하고,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제1면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디바이스의 제2면의 일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경계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5)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를 설명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센싱부(155),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 판단부(165), 알림 정보 제공부(170), 제어부(175) 및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한다.
센싱부(155)는 디바이스의 변형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벤딩 센서(Bending Sensor)를 포함하고 있어, 플렉시블 디바이스(150)의 구부러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는 센싱부(155)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판단부(165)는 센싱부(155)에서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알림 정보 제공부(170)는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림 정보 제공부(170)는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진동, 소리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알림 정보 제공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도 1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50)의 기능을 포함한다. 설명의 간단을 위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판단부(165)는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75)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펴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알림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변형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 150)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플레시블 디바이스(1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구부러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벤딩 센서(Bending Sensor)를 내장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벤딩 센서(Bending Sensor)(200-2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가장 왼편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벤딩 센서(200)를 전면부 측면에 실장한다. 또는 벤딩 센서(200)를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후면부 측면에 실장할 수도 있다.
도 2 의 가장 왼편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후면부의 플렉시블 벤딩 센서(210)를 실장한다. 다만, 벤딩 센서(210)가 투명한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최상단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전면부의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Block) 아래에 실장할 수 있다. 도 2의 가장 오른편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전면부에 마주보는 사이드에 여러 쌍의 벤딩 센서(220)를 실장할 수 있다. 도2 의 가장 오른편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전면부에 마주보는 한쌍의 사이드에 벤딩 센서(230)를 실장할 수 있다. 다만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전면부에 실장되는데 제한되지 않고,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후면부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30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펴진 상태인지를 다시 판단한다. 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S3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40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가 구부렸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렸다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렸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4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렸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5)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S4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5)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43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5)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S4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S44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50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렸다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5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5)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S5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S53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S540 단계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25)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S530 단계에서,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S520 단계로 진행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60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결정한다.
S6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S6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63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렸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S64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70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7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5)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S7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S73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외부로 향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S740 단계에서,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아이템이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S730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외부로 향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S720 단계로 진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80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S8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82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900 단계에서,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S91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920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S93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50)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펴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940 단계에서, 플렉시블 디바이스(150)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 상에서 화면 경계(1010)를 기준으로 인접한 양 화면에서 각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다고 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에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Folding-flap) 형태로 입력한다. 이 때 폴딩-플랩 입력이란,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이상 접었다가 바로 펴는 형태의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30도 이상 접었다가 바로 펴는 형태의 입력을 의미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 에서 폴딩-플랩 입력을 수신하면 화면 경계(1010)에 인접한 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디바이스(100)가 적절한 기능을 수행한다. 적절한 기능이 수행 완료되고나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폴딩-플랩 입력을 수신하면 화면 경계(1010)에 인접한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를 제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하여 화면 경계(1110)에 인접한 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최근에 사용한 바(Bar)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11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 상측 경계 위에서 아래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가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바(1124)로 변경된다.
도 11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반대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 하측 경계 아래에서 위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가 툴셋(Toolset Bar)(1128)로 변경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화면의 좌측 또는 최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220)는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바 또는 툴셋 바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220)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을 탭(tap)한 상태로 실행하고자 하는 화면쪽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화면에 해당 아이템이 나타내는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바에 포함된 노트 어플 아이콘(1225)을 탭(tap)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화면(1250)쪽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화면(1250)에 노트 어플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모드 전환 및 어플 이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갤러리 어플을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서 실행하고 있다. 이 때 갤러리 어플 상에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폴딩-플랩 형태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분할 모드로 변경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할된 경계 상단 화면에는 그림파일이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고 있고, 분할된 경계 하단 화면에는 특정 그림파일을 프리뷰(preview)하고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움직이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체 화면 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전체 화면은 특정 그림파일을 프리뷰하고 있다. 전체 화면에서 사용자가 다시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다시 분할 모드로 변경되어 분할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가 전체화면 모드를 사용하는 도중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현재 화면이 책장처럼 겹쳐진 형태(1320)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겹쳐진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이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하면 백그라운드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알림(notification)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 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알림 아이콘(141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Folding-Hold) 형태로 입력하면, 접힌 경계(1420)에 인접한 부분에 알림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팝업(1430)을 표시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 형태로 입력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서 사용자는 알림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상세한 내용까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고,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를 해제하는 형태로 입력하면, 팝업(1430)이 사라진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를 해제하는 형태로 입력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이전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 때 폴딩-홀드 입력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이상 접은 후 유지하는 형태의 입력을 의미하고 폴딩-홀드 상태를 해제하는 형태의 입력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소정의 각도이상 접은 상태에서 펴는 상태로 변화하는 형태의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폴딩-홀드 입력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30도 이상 접은 후 유지하는 형태의 입력이고, 폴딩-홀드 상태를 해제하는 형태의 입력은 30도 이상 접은 상태에서 다시 펴는 상태로 변화하는 형태의 입력을 의미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갤러리 어플을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서 실행하고 있다. 이 때 갤러리 어플 상에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폴딩-플랩 형태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분할 모드로 변경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520)가 생성된다. 이 때,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520)는 툴셋 바라고 가정한다. 툴셋바의 아이템 중 하나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탭(tap)하면 해당 기능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연필 아이콘(1525)을 탭(tap)하고, 이 때 색칠될 연필의 색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1530)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연필 아이콘(1525)을 연속으로 두번 탭(tap)하였고, 이 때 색칠될 연필의 색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확장되어 화면 경계(1510) 하단 화면(15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하였다.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폴딩-플랩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62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0)는 툴셋 바이다. 이 때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620)의 좌측 경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620)가 변경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0)는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바일 수 있다. 이 중에 인터넷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부터 경계(1610) 아래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움직이면 인터넷이 경계(1610) 하단에 실행된다. 이때 원래 경계(1610) 하단에 표시된 갤러리 프리뷰 화면은 경계(1610) 상단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후에 다시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620)는 사라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시간 알림(notification)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 상에 알림 아이콘(171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 형태로 입력하면, 알림 이벤트 내용을 간단히 나타내는 메시지(1720)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 형태로 입력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서 사용자는 알림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상세한 내용까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림 이벤트 내용을 확인한 후에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 상태를 해제하는 형태로 입력하면 알림 이벤트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1620)가 화면에서 사라진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홀드를 해제하는 형태로 입력하면,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이전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를 접는 경우 특정 부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바이스(100)에 폴딩-플랩 형태로 입력할 때,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비대칭으로 접을 수 있다. 비대칭으로 접는 경우, 덥혀지지 않은 부분(1810)이 생기게 되는데, 다시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바이스(100)를 펴는 경우, 덥혀지지 않은 부분(182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4)

  1. 플렉시블(flexible)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releas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졌다가 펴진(fold and releas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not display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switch)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switch)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내는(indicative of)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혀진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제1면과 제2면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1면에 의해 덮혀지지(cover) 않는 상기 제2면의 일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플렉시블(flexible) 디바이스에서 알림(notific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진 상태인지(fold)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인지를(release)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방법.
  13. 디바이스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인지(release)를 판단하는 판단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졌다가 펴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switch)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계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경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비대칭으로 접혀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혀진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제1면과 제2면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1면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 2 면의 일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내는(indicative of)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22. 디바이스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싱부;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제공부;
    상기 센싱부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구부려진 상태인지(fold)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구부려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인지(release)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펴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2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20819A 2014-02-21 2014-02-2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KR10225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819A KR102255274B1 (ko) 2014-02-21 2014-02-2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EP15751961.2A EP3109745A4 (en) 2014-02-21 2015-02-23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flexible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15/120,326 US20170075559A1 (en) 2014-02-21 2015-02-23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flexi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CN201580020996.5A CN106233244A (zh) 2014-02-21 2015-02-23 用于提供用户界面的方法以及用于执行所述方法的柔性装置
PCT/KR2015/001690 WO2015126190A1 (ko) 2014-02-21 2015-02-2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US17/209,828 US20210208777A1 (en) 2014-02-21 2021-03-23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flexible device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819A KR102255274B1 (ko) 2014-02-21 2014-02-2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221A true KR20150099221A (ko) 2015-08-31
KR102255274B1 KR102255274B1 (ko) 2021-05-24

Family

ID=5387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819A KR102255274B1 (ko) 2014-02-21 2014-02-2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70075559A1 (ko)
EP (1) EP3109745A4 (ko)
KR (1) KR102255274B1 (ko)
CN (1) CN106233244A (ko)
WO (1) WO20151261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5017A1 (en) * 2018-06-29 2020-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4625A1 (zh) * 2014-11-13 2016-05-1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操作控制方法
CN109766053B (zh) * 2019-01-15 2020-1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333818A (zh) * 2019-05-24 2019-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D969828S1 (en) * 2021-01-12 2022-11-15 Beijing Zitiao Network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20130215041A1 (en) * 2012-02-21 2013-08-22 Yongsin Ki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30321340A1 (en) * 2011-02-10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2018A1 (en) * 2007-11-12 2009-05-14 Leonid Vymenets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9454304B2 (en) *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20120005602A1 (en) * 2010-07-02 2012-01-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task switching
KR101231513B1 (ko) * 2011-03-03 2013-02-0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US8836654B2 (en) * 2011-10-04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window position and size control in (multi-fold) multi-display devices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2008B1 (ko) * 2014-04-30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2721B1 (ko) *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0632B1 (ko) * 2014-06-09 2021-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1340A1 (en) * 2011-02-10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20130215041A1 (en) * 2012-02-21 2013-08-22 Yongsin Ki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5017A1 (en) * 2018-06-29 2020-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983561B2 (en) 2018-06-29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8777A1 (en) 2021-07-08
CN106233244A (zh) 2016-12-14
EP3109745A1 (en) 2016-12-28
US20170075559A1 (en) 2017-03-16
EP3109745A4 (en) 2017-11-08
WO2015126190A1 (ko) 2015-08-27
KR102255274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332B2 (en)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JP3773716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装置及びその装置での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て行な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EP25306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multimedia content using a timeline-based interface
KR102027612B1 (ko) 애플리케이션의 썸네일-이미지 선택 기법
JP542906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こ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199894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JP60368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55104A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701569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14513B (zh) 書籍顯示程式產品及書籍顯示裝置
KR20120000663A (ko) 3d 객체 처리 장치
US20210208777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flexible device for performing same
JP2013016018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82259A (ja)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5774133B2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62674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03538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れ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173980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EP2527964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n enlarged-display function, method for controlling enlarged display, and computer-read-enabled recording medium
JP648131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6941976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方法
KR101383381B1 (ko) 3d 객체 처리 장치
JP2023161209A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JP61722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5847B1 (ko) 모바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