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388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388B1
KR101634388B1 KR1020090120809A KR20090120809A KR101634388B1 KR 101634388 B1 KR101634388 B1 KR 101634388B1 KR 1020090120809 A KR1020090120809 A KR 1020090120809A KR 20090120809 A KR20090120809 A KR 20090120809A KR 101634388 B1 KR101634388 B1 KR 10163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event
display
displaying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291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88B1/ko
Priority to US12/849,540 priority patent/US20110138336A1/en
Priority to EP10174460.5A priority patent/EP2334087A3/en
Priority to CN201010556942.XA priority patent/CN102088510B/zh
Publication of KR2011006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된 스위칭 패널부를 온시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입체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통해 제 1 근접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변경 준비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접 센서 또는 터치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사용자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 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3-D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 수신중. 근접센서를 통해 수신된 근접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시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화면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된 스위칭 패널부를 온시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입체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통해 제 1 근접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변경 준비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접 센서 또는 터치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사용자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통해 제 1 근접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변경 준비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는, 소정시간 이상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임계거리내에 포인팅 장치가 위치되면, 상기 제 1 근접 신호가 발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 은,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를 알리는 아이콘을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스위칭 패널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방송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아이콘은 인디케이터 아이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은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제 2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방송데이터에 대한 제어 메뉴가 3차원 입체 이미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더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은, 상기 제어 메뉴에 대한 직접 터치 신호에 의해 상기 방송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를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부; 상기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위에 배치된 스위칭 패널부; 포인팅 장치가 임계거리내에 위치되면, 제 1 근접 신호를 발생시키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스위칭 패널부를 온시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입체 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제 1 근접 신호를 발생되면, 상기 방송 데이터 표시 변경 준비 단계로 진입하고, 사용자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는 상기 근접센서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는 상기 근접 센서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멀티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근접신호는 소정시간 이상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임계거리내에 포인팅 장치가 위치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를 알리는 아이콘을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스위칭 패널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방송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콘은 인디케이터 아이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로 부터 제 2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방송데이터에 대한 제어 메뉴가 3차원 입체 이미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사용자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객체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3차원 뎁스를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접센서를 통한 근접 신호에 의해 표시 변경 모드로 진입한 후, 소정의 사용자 동작에 의해 표시중인 방송 데이터를 변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번의 제스처로 방송 데이터의 표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 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 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 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 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 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 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양안 시차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이미지 표시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차원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Stereoscopic 3D dislpay)와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 양안 시차를 이용한 방식(Autostereoscopic 3D display)로 나눌 수 있다. 무안경식 디스플레이는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준다는 측면에서, 안경식과 동일하지만, 특수 안경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러한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의 원리중 하나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하는 3차원 입체 이미지 표시 원리는 3차원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예에 불과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서 3차원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면에는 스위칭 패널부(155)가 부착된다. 스위칭 패널부(155)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입체 영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양안시차는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오른쪽 눈을 통해 보는 이미지(R)와 왼쪽 눈을 통해 보는 이미지(L)를 합성하면, 그 합성된 이미지는 사람에게 입체 이미지 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이미지를 오른쪽 눈이 보는 이미지와 왼쪽 눈이 보는 이미지로 나누어 준비하고, 왼쪽 이미지(L)와 오른쪽 이미지(R)를 픽셀 단위로 합성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람의 두 눈이 왼쪽 이미지에 의한 픽셀 단위 이미지와 오른쪽 이미지에 의한 픽셀단위의 이미지를 분리시켜 보도록 하면, 그 이미지는 입체 이미지로 보일 수 있다. 두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은 주로 보간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에서 b는 스위칭 패널부(155)의 배리어(barrier) 간격을, g는 스위칭 패널부(155)와 디스플레이부의 간격을, z는 사람이 보는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부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3에서와 같이, 두 이미지를 픽셀단위로 합성할 경우(L, R), 오른쪽 눈의 시각이 오른쪽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로, 왼쪽 눈의 시각이 왼쪽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로 대응되도록 시각을 입사받는 스위칭 패널부(155)가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칭 패널부(155)는 입체 이미지(3차원 리얼 이미지)를 표출하고자 할 경우,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패널부(155)는 2차원 이미지를 표출하고자 할 경우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패널부(155)가 오프될 경우에는 양안시차가 분리되지 않는다.
스위칭 패널부(155)를 일부 오프시킴으로써, 부분 2D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스위칭 패널부(155)중 온된 부분은 3D로 표시되고, 오프된 부분은 2D로 표시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소정의 영역에 대하여 2D 표시를 원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스위칭 패널(155)중 일부를 오프시킴으로써, 2D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5에서 설명한 예는 패랄랙스 베리어 방식(Parallex Barrier)에 따른 양안 시차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는 상술한 방식 이외에 렌티 큘러(lenticular) 방식이나, 스테레오 스코프 방식(안경을 통해 3차원 입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 6 및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1). 이 방송 데이터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위에 배치된 스위칭 패널부(155)가 온된다(S3).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 패널부(155)는 상기 좌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왼쪽눈에 상이 맺도록 하고, 우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에 상이 맺도록 한다. 이렇게, 3차원 이미지인 방송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포인팅 장치)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접 센서(141)로부터 소정거리내에 근접하게 되면, 제 1 근접 신호가 발생된다(S5). 이 제 1 근접 신호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방송 데이터 표시 변경 준비 모드로 진입하게 되어, 사용자 동작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접 센서 또는 터치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사용자 감지 신호가 발생되면(S7), 이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된다(S9). 이러한 방송 데이터 표시의 변경의 구체적인 예는 도 9 및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센서를 통한 근접 신호에 의해 표시 변경 모드로 진입한 후, 소정의 사용자 동작에 의해 표시중인 방송 데이터를 변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번의 제스처로 자신이 원하는 줌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을 실행 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11). 이 방송 데이터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위에 배치된 스위칭 패널부(155)가 온된다(S13).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 패널부(155)는 상기 좌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왼쪽눈에 상이 맺도록 하고, 우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에 상이 맺도록 한다. 이렇게, 3차원 이미지인 방송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감지하여, 3차원 이미지인 이벤트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15, S17). 상기 이벤트로는 배터리 잔량 부족 이벤트, 문자메시지 및 호신호 수신 이벤트, 알람 기능 이벤트를 포함한다. 이 때, 표시 중인 방송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해, 좌안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 중 하나만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19).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구체적인 적용예는 도 12 내지 도 15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제 2 적용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3차원 방송 데이터를 시청하는 중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 이벤트를 알리는 아이콘을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해 줌으로 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벤트 발생을 알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21). 이 방송 데이터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위에 배치된 스위칭 패널부(155)가 온된다(S23).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 패널부(155)는 상기 좌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왼쪽눈에 상이 맺도록 하고, 우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에 상이 맺도록 한다. 이렇게, 3차원 이미지인 방송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포인팅 장치)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접 센서(141)로부터 소정거리내에 근접하게 되면, 제 2 근접 신호가 발생된다(S25). 여기서, 소정거리는 도 6에서 제 1 근접신호가 발생되기 위한 소정거리와는 상이한 거리이다. 제 2 근접 신호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방송 제어 메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7). 이 때, 상기 방송 제어 메뉴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되고, 상기 표시중인 3차원 방송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방송 제어메뉴가 2차원 이미지로 표시되고, 3차원 방송 이미지는 유지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방송 제어 메뉴를 통해, 방송 표시 제어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면(S29),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방송 데이터의 표시가 제어된다(S31).
상술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센서를 통한 제 2근접 신호에 의해 방송 제어 메뉴가 표시된 후, 이 제어 메뉴를 통해 방송 표시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표시중인 방송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도인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1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2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3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4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 기의 제 5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6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7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제 1 적용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1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9a에는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중인 방송화면(2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를 통해 방송 시작 명령을 내리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인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위에는 스위칭 패널부(15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패널부(155)가 온되면, 상기 좌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왼쪽눈에 결상 되고, 우안 이미지는 오른쪽 눈에 결상된다. 이에 따라, 3차원 입체 이미지의 표시가 완성된다.
한편, 도 9b에는 제 1 근접 신호 및 제 2 근접 신호의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사용자의 손가락, 즉 포인팅 장치 가 d1과 d2 사이에 소정시간 이상 위치하게 되면, 제 1 근접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의 손가락, 즉 포인팅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51)와 d2 사이에 소정시간 이상 위치하게 되면, 제 2 근접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근접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표시 변경 모드 아이콘(201)이 표시됨과 더불어, 화면 이동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소정거리 내의 포인팅 장치의 수직이동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 되기도 하고, 멀티 터치 동작(예를 들면, 두 손가락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벌리는 동작 및 두 손가락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모으는 동작)에 의해 줌인 줌 아웃되기도 한다. 줌인 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의 플리킹 신호가 발생되면, 그 방향에 대응되게 표시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줌인 기능이 이루어지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과 측단에는 스크롤 바(211, 2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롤 바의 스크롤 박스를 이동 시킴으로서, 방송 데이터의 표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제 1 적용예에 따르면, 근접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 변경 모드로 진입하고, 그 다음, 근접 이동 신호 또는 멀티 터치신호를 이용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 적용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 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2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10a에는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중인 방송화면(22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를 통해 방송 시작 명령을 내리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인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위에는 스위칭 패널부(15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패널부(155)가 온되면, 상기 좌안 이미지는 사용자의 왼쪽눈에 결상되고, 우안 이미지는 오른쪽 눈에 결상된다. 이에 따라, 3차원 입체 이미지의 표시가 완성된다. 표시된 방송 데이터는 객체(221)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객체의 인식은, 배경과의 음영에 의해 제어부(180)가 판단할 수도 있고, 수신되는 방송데이터의 객체 아이디 정보를 통해 인식될 수도 있다.
이 개체(221)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적용예와 같이, 제 1근접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화면 이동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포인팅 장치)가 상기 객체를 중심으로 터치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벌리는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만이 확대된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게 된다. 이 때, 이 객체만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하고 나머지는 2차원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인식되는 상기 객체를 계속해서 확대되어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객체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근접거리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객체가 정해질 수 있다. 즉, 임계거리가 더 가까운 제 2 근접신호가 발생되면, 보다 뒤에 있는 객체가 선택되어지고, 임계거리가 더 먼 제 1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보다 앞에 있는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적용예에 따르면, 축구나 야구와 같은 경기를 작은 화면으로 볼 때, 축구공 또는 야구공을 확대시켜 봄으로서, 보다 재미있게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제 3 적용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3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11a에는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방송 화면(2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청하는 중, 배터리 잔량이 모자라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에 대한 경고를 위해, 배터리 잔량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잔량이 모자라게 되는 경우, 인디케이터 영역(230)이 표시되면서, 인디케이터 아이콘(231-233)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이 때, 배터리 잔량 아이콘(232)은 3차원입체 이미지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현재의 이벤트를 알기 쉽게 된 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 아이콘(232)의 3차원 뎁스는 방송 데이터의 3차원뎁스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또는 3차원 입체 이미지인 방송데이터의 표시를 2차원 평면 이미지로 변환하도록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관련 아이콘(배터리 잔량 아이콘)이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관련 아이콘의 표시가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3 적용예에서는 배터리 잔량 이벤트를 예로 들었으나, 안테나 수신율 불량 이벤트, 문자 메시지 이벤트, 호신호 수신 이벤트, 알람 이벤트, 스캐줄 이벤트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 3 적용예에 따르면, 방송 시청중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 4 적용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4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12a에는 성인 방송이 표시되는 방송 화면(24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성인 방송의 경우, 이를 알리는 19금 아이콘(성인 아이콘)(241)이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표시된다. 이 때, 19금 아이콘(241)은 입체 방송의 뎁스와는 상이한 뎁스를가진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다. 또한, 상기 성인 방송이 2차원 평면이미지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상기 19금 아이콘(241)은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2b에는 방송 데이터 표시중에 제어 메뉴가 더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2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화면(250)에는 채널 메뉴(251), 볼륨 메뉴(252), 메뉴 아이콘(253), 채널 목록 아이콘(254), 및 이전 아이콘(255)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9a와 같은 3차원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한 상태에서, 소정의 메뉴를 통해, 상기 제어 메뉴(251-255)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게 되면, 3차원 이미지 표시되던 방송을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제어 메뉴(251-255)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 4적용예는 제어 메뉴 뿐만 아니라 방송 옵션 메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5 적용예]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5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13a에는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방송 화면(2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 자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청하는 중, 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타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 신호 수신시), 제어부(180)는 이를 알리기 위해, 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디케이터 영역(310)이 표시되면서, 인디케이터 아이콘(311-314)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이 때, 폰아이콘(313)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 때, 3차원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는 2차원 이미지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폰아이콘(313)의 3차원 뎁스를 방송 데이터의 3차원 뎁스와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폰 아이콘(313)을 선택하게 되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말기와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 때, 수신중이 방송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통화가 끝나면, 도 13b에서 도 13c로 화면전환된 시점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60)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표시 완료된 방송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 5 적용예에 따르면, 방송 데이터 수신 중 호신호등의 이벤트 발생시, 이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이 아이콘을 선택하여 멀티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 6 적용예]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6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14a에는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방송 화면(2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청하는 중,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알리기 위해, 문자 메시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인디케이터 영역(410)이 표시되면서, 인디케이터 아이콘(411-414)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이 때, 문자 메시지 아이콘(413)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 때, 3차원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는 2차원 이미지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아이콘(413)의 3차원 뎁스를 방송 데이터의 3차원 뎁스와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시지 아이콘(413)을 선택하게 되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에 문자 메시지의 내용이 자막 방송(흐름 글자)(420)처럼 표시된다. 또는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방식으로 문자 메시지 창(430)이 디스플레이부에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수신중이 방송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문자 메시지 창이 닫히면, 화면전환된 시점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60)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표시 완료된 방송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 6 적용예에 따르면, 방송 데이터 수신 중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 발생시, 이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이 아이콘을 선택하여 멀티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 7 적용예]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7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이다.
도 15의 (a)에는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방송 화면(2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청하는 중, 기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알람 기능이 실행된다. 이 때, 제어부(180)는 이를 알리기 위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알림 메시지(510)가 흘림 글씨로 표시된다. 이 때 상기 알림 메시지(510)는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되고, 상기 방송 데이터는 2차원 이미지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7 적용예에 따르면, 방송 데이터 수신 중 알람 이벤트 발생시,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시인성 좋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양안 시차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이미지 표시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1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2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3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4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5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6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체 이미지인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 7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방송 데이터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이동단말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에 상기 이벤트를 알리는 이벤트 아이콘을 3차원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아이콘 상에 근접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접터치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때 상기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방송 데이터를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 중 디스플레이 완료된 방송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삭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배터리 잔량 이벤트, 호수신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 및 알람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일정 영역은, 인디케이터 영역인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아이콘을 3차원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아이콘을 3차원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아이콘과 뎁스가 다른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은, 상기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26. 메모리;
    3차원 및 2차원 스위칭 패널을 포함하여, 방송 데이터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근접터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에 상기 이벤트를 알리는 이벤트 아이콘을 3차원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벤트 아이콘 상에 근접터치를 수신하여, 상기 근접터치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때 상기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방송 데이터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 중 디스플레이 완료된 방송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이동단말.
  27. 삭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배터리 잔량 이벤트, 호수신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 및 알람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인 이동단말.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일정 영역은, 인디케이터 영역인 이동단말.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아이콘을 3차원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단말.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아이콘을 3차원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아이콘과 뎁스가 다른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단말.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수행하는 이동단말.
KR1020090120809A 2009-12-07 2009-12-07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09A KR101634388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12/849,540 US20110138336A1 (en) 2009-12-07 2010-08-03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EP10174460.5A EP2334087A3 (en) 2009-12-07 2010-08-30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data and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CN201010556942.XA CN102088510B (zh) 2009-12-07 2010-11-12 显示广播数据的方法和针对该方法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09A KR101634388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91A KR20110064291A (ko) 2011-06-15
KR101634388B1 true KR101634388B1 (ko) 2016-06-28

Family

ID=4375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09A KR101634388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38336A1 (ko)
EP (1) EP2334087A3 (ko)
KR (1) KR101634388B1 (ko)
CN (1) CN102088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0472A1 (en) * 2009-10-02 2011-04-07 Eric Gagneraud Autostereoscopic status display
US20110202845A1 (en) * 2010-02-17 2011-08-18 Anthony Jon Mountjo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three dimensional interactive content
JP2012043180A (ja) * 2010-08-19 2012-03-0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17649A (ko) * 2010-08-19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47360B2 (en) * 2011-07-08 2013-10-0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screen sensing and electric field sensing for mobile devices and other devices
CN102981743B (zh) * 2011-09-05 2016-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操作对象的方法及电子设备
CN102426498B (zh) * 2011-10-12 2014-05-21 华映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的影像显示方法及触控面板
US9116663B2 (en) * 2011-12-22 2015-08-25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changing device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same
KR101872865B1 (ko) * 2012-03-0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P2645218A1 (en) * 2012-03-29 2013-10-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N102893246B (zh) * 2012-05-30 2016-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和装置
TW201413515A (zh) * 2012-09-26 2014-04-01 Hon Hai Prec Ind Co Ltd 顯示設備及遙控顯示設備的觸控裝置和方法
US9141198B2 (en) * 2013-01-08 2015-09-22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rol of a control parameter by gesture recognition
US9053250B2 (en) * 2013-03-26 2015-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mode tablet input system with primary computer wherein first mode is keyboard input with computer and second mode involves mirroring with computer
CN106325652B (zh) * 2015-06-19 2019-12-10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图形用户界面交互方法及触摸终端
CN107357512A (zh) * 2017-06-09 2017-11-17 丝路视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人物互动方法及人物互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610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WO2008146747A1 (ja) * 2007-05-29 2008-12-04 Nec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そのテレビ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77504A1 (en) * 2007-09-14 2009-03-19 Matthew Bell Processing of Gesture-Based User Inter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493A (ja) * 1995-03-09 1996-09-27 Sony Corp 立体映像装置
JP3973525B2 (ja) * 2002-09-24 2007-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KR100554991B1 (ko) * 2002-09-17 2006-02-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050110667A (ko) * 2003-03-10 2005-1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중 뷰 디스플레이
US7256773B2 (en) * 2003-06-09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on of a dwell gesture by examining parameters associated with pen motion
US8094927B2 (en) * 2004-02-27 2012-01-10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flexible rendering of disparity map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fusing capability of the observer
JP4975240B2 (ja) * 2004-03-26 2012-07-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111040A2 (en) * 2007-03-14 2008-09-18 Power2B, Inc. Displays and information input devices
KR100649523B1 (ko) * 2005-06-30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070262953A1 (en) * 2006-05-15 2007-11-15 Zackschewski Shawn R Multiple-view display system having user manipulation control and method
US7747293B2 (en) * 2006-10-17 2010-06-29 Marvell Worl Trade Ltd. Display control for cellular phone
KR101390103B1 (ko) * 2007-04-03 201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어방법 및 이동단말기
KR101351029B1 (ko) * 2007-06-01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KR20090004061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US8432365B2 (en) * 2007-08-30 2013-04-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three-dimensional touchscreen
JPWO2009054269A1 (ja) * 2007-10-24 2011-03-0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イベント通知方法
KR101349829B1 (ko) * 2007-11-26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US20090207140A1 (en) * 2008-02-19 2009-08-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multiple time-overlapping touches on a touch panel
JP5425410B2 (ja) * 2008-04-25 2014-02-26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器
EP2131272A3 (en) * 2008-06-02 2014-05-07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oximity sensor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in
MX2011002553A (es) * 2008-09-18 2011-04-04 Panasonic Corp Dispositivo de reproduccion de video estereoscopico y dispositivo de presentacion visual de video estereoscopico.
BRPI0913789A2 (pt) * 2008-09-22 2015-10-20 Ibm "método, equipamento e programa de computador para reproduzir vídeo num dispositivo móvel"
JP5410720B2 (ja) * 2008-09-25 2014-02-05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方法
US8516397B2 (en) * 2008-10-27 2013-08-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ximity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20100304722A1 (en) * 2009-05-29 2010-12-02 Ryuichiro Tanaka Image-projectable mobile inform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610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WO2008146747A1 (ja) * 2007-05-29 2008-12-04 Nec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そのテレビ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77504A1 (en) * 2007-09-14 2009-03-19 Matthew Bell Processing of Gesture-Based User Inter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8510B (zh) 2015-05-06
KR20110064291A (ko) 2011-06-15
CN102088510A (zh) 2011-06-08
EP2334087A3 (en) 2013-12-04
EP2334087A2 (en) 2011-06-15
US20110138336A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38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900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206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방법
KR1015311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1018999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9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87452B1 (ko)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500554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22314A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70721B1 (ko)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40024038A (ko) 이동 단말기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201100486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3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91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3차원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11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6319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06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어방법
KR20150068823A (ko) 이동 단말기
KR10166771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3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