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982B1 -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982B1
KR100554982B1 KR1020030086424A KR20030086424A KR100554982B1 KR 100554982 B1 KR100554982 B1 KR 100554982B1 KR 1020030086424 A KR1020030086424 A KR 1020030086424A KR 20030086424 A KR20030086424 A KR 20030086424A KR 100554982 B1 KR100554982 B1 KR 10055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mode
fuse
signal
output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850A (ko
Inventor
도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8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982B1/ko
Priority to US10/876,210 priority patent/US7395475B2/en
Priority to TW093118301A priority patent/TWI255463B/zh
Publication of KR2005005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8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fu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785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Landscapes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가 커팅된 후에도 커팅하기 전과 같이 테스트 모드를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퓨즈의 커팅과 무관하게 동일한 테스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퓨즈 처리 회로는, 반도체 기억 소자에 있어서,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는지의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제거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퓨즈 셋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억 소자, 테스트 모드, 퓨즈, 커팅, 정상 모드

Description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FUSE DISPOSING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모드용 퓨즈 셋을 포함하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모드용 퓨즈 셋을 포함하는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230)의 구체 회로도,
도 4는 도 2의 도시된 퓨즈 셋(210a)의 구체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10a, 210b, 210c: 복수의 퓨즈 셋 220: 디코더
230: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 310: 테스트 모드 인지부
320: 래치부 330: 반전부
410: 퓨즈부 420: 비교부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 소자에 관한 것으로 테스트 모드시 퓨즈의 커팅(cutting)과 관련된다.
반도체 기억 소자를 설계함에 있어서, 공정상의 모든 변화에 대하여 내부적으로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하기 위하여 퓨즈를 사용하여 목표값을 조절한다. 그런데, 퓨즈를 커팅(cutting)하기 전에 각 퓨즈가 커팅된 후의 값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테스트 모드를 할당하여 퓨즈를 커팅하기 전에 이 퓨즈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목표값의 변화를 보고, 실제로 퓨즈를 커팅한다. 그러나, 종래의 회로 구성에 따르면, 실제로 퓨즈를 커팅한 후에는 테스트 모드의 상황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모드용 퓨즈 셋을 포함하는 회로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 모드용 퓨즈 셋을 포함하는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퓨즈 셋(110a, 110b, 110c)과 상기 복수의 퓨즈 셋(110a, 110b, 110c)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더(120)로 구성된다. 복수의 퓨즈 셋(110a, 110b, 110c)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퓨즈 셋(11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개별 퓨즈 셋(110a) 내 퓨즈(112a)의 양단에는 전원전압측과 연결되어 퓨즈의 일단(이하, "노드 A"라 한다)에 전원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제1 PMOS 트랜지스터(111a)와 소스전압측과 연결되어 상기 노드 A에 소스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제1 NMOS 트랜지스터(113a)가 연결된다. 제1 PMOS 트랜지스터(111a)의 게이트에는 제1 테스트 모드 신호(tm0)가 인가되고, 제1 NMOS 트랜지스터(113a)의 게이트에는 파워 업 신호(pwrup)가 인가된다. 여기서, 제1 테스트 모드 신호(tm0), 제2 테스트 모드 신호(tm1) 및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2)는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 신호로서, 각각 반도체 기억 소자의 동작 모드를 정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MRS)와 특정 핀에 입력되는 신호가 결합된 신호이다. 노드 A는 직렬연결된 제1 내지 제3 인버터(114a, 115a, 116a) 중 제1 인버터(114a)의 입력과 결합된다. 한편, 제1 인버터(114a)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사용하여 제1 인버터(114a)의 입력 전압을 접지 전압으로 풀다운시킬 수 있는 제2 NMOS 트랜지스터(117a)는 테스트 모드가 아닌 정상 동작시 제1 인버터(114a)의 입력측이 접지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왜냐하면, 반도체 기억 소자에 전원이 인가되면 "L"상태로 천이되는 파워 업 신호(pwrup)에 의해 제1 NMOS 트랜지스터(113a)가 턴오프되고, 퓨즈(112a)가 끊어지고나면 전원전압의 공급이 차단되어 노드 A의 전압레벨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복수의 퓨즈 셋(110a, 110b, 110c)의 출력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120)는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하지 아니하며, 또한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해할 수 있는 사항에 불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 셋 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반도체 기억 소자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전압(VDD)의 레벨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H"상태에서 "L"상태로 천이되는 파워 업 신호(pwrup)가 퓨즈 셋(110a)의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113a)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1 테스트 모드 신호(tm0), 제2 테스트 모드 신호(tm1) 및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2)는 테스트 모드 로 진입하기 전에는 "L"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파워 업 신호(pwrup)가 "L"상태로 천이되면 퓨즈(112a)가 연결된 노드A는 전원전압(VDD)과 연결되어 "H"상태를 유지한다.
퓨즈(112a)가 커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테스트 모드에 진입하여 "H"상태의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가 입력되면, 제1 PMOS 트랜지스터(111a)가 턴오프되어 퓨즈(112a)가 전원전압과 차단됨으로써 퓨즈(112a)가 끊어졌을 때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퓨즈(112a)가 끊어진 후에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의 논리 상태가 변하더라도 노드 A에는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퓨즈 셋의 출력은 변화하지 않게 되고, 더 이상 테스트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퓨즈가 커팅된 후에도 커팅하기 전과 같이 테스트 모드를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퓨즈의 커팅과 무관하게 동일한 테스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퓨즈 처리 회로는, 반도체 기억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출력하여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는지의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제거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퓨즈 셋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퓨즈 처리 회로는, 반도체 기억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출력하여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는지의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제거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퓨즈 셋과, 상기 복수의 퓨즈 셋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는,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는,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접지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지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퓨즈 셋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에서는 퓨즈의 제거 유무와 무관하게 동일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퓨즈부; 및 테스트 모드 신호와 상기 퓨즈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에는 퓨즈의 유무에 따라 다른 논리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3 발명에 따른 퓨즈 처리 방법은, 반도체 기억 소자 내 퓨즈를 처리함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상태를 갖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갖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퓨즈의 제거 유무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단계의 출력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에는 상기 퓨즈의 유무에 따라 다른 논리상태를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모드용 퓨즈 셋을 포함하는 회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모드용 퓨즈 셋을 포함하는 회로는,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음을 알리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230)와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유무에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퓨즈 셋(210a, 210b, 210c) 그리고 복수의 퓨즈 셋(210a, 210b, 210c)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230)의 구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230)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접지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지부(310)와 테스트 모드 인지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부(320) 그리고 래치부(320)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테스트 모드 인지부(310)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를 입력받는 제1 노아게이트(311), 제1 노아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312), 인버터(312)의 출력은 게이트측에, 전원전압은 소스측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OS1: 313),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를 각각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사용하고 드레인측이 PMOS 트랜지스터(PMOS1: 313)의 드레인측과 병렬 연결된 복수의 NMOS 트랜지스터(NMOS1: 314, NMOS2: 315, NMOS3: 3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래치부(320)는 역병렬결합된 복수의 인버터(INV1: 321, INV2: 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전부(330)는 인버터(INV3: 3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스트 모드가 아닌 경우, 즉 "L"상태의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가 인가되면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230)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tm_enb)는 "H"상태의 논리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테스트 모드이면, 즉,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 신호(tm0, tm1, tm2) 중 어느 하나라도 "H"상태의 논리신호를 가지면, PMOS 트랜지스터(PMOS1: 313)가 턴오프되는 것과 함께 NMOS 트랜지스터(NMOS1: 314, NMOS2: 315, NMOS3: 316) 중 어느 하나가 턴온되어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tm_enb)는 "L"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도시된 퓨즈 셋(210a)의 구체회로도이다.
퓨즈 셋(210a)은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tm_enb)를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에서는 퓨즈의 제거 유무와 무관하게 동일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퓨즈부(410)와, 퓨즈부의 출력과 테스트 모드 신호를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에는 퓨즈의 유무에 따라 다른 논리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퓨즈부(410)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tm_enb)를 게이트의 제어신호 로 하고 소스측이 전원전압과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OS2: 411), 파워 업 신호(pwrup)를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하고 드레인측이 PMOS 트랜지스터(PMOS2: 411)의 드레인측에, 소스측이 소스전압과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MOS4: 412), 일단은 전원전압과 연결되고 타단은 PMOS 트랜지스터(PMOS2: 411)의 드레인측에 연결된 퓨즈(413), PMOS 트랜지스터(PMOS2: 411)의 드레인측을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4: 414) 및 인버터(INV4: 414)의 출력을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하여 정상동작시 인버터(INV4: 414)의 입력이 접지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NMOS 트랜지스터(NMOS5: 4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교부(420)는 퓨즈부의 출력과 테스트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노아 게이트(421)와 제2 노아 게이트(421)의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는 인버터(INV5: 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셋의 기능을 다음의 표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use tm_enb Node P Node Q tmi Node R
Test Mode L H L H L
L H L H L
Normal Mode H H L L H
H L H L L
즉,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커팅 여부와는 무관하게 노드 R에서 동일한 논리신호가 출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상 동작시 퓨즈가 커팅된 경우라면 노드 R에서 "H"상태의 논리신호가 출력되는 반면, 퓨즈가 커팅되지 않은 경우라면 노드 R에서 "L"상태의 논리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퓨즈 셋(210b, 210c)는 퓨즈 셋(210a)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은 퓨즈가 커팅된 후에도 커팅하기 전과 같이 테스트 모드를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퓨즈의 커팅과 무관하게 동일한 테스트가 실행될 수 있어 퓨즈를 커팅하여 레벨을 튜닝한 후에 나타나는 이상현상의 원인이 퓨즈를 커팅함으로 인한 것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며, 이는 점차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추세에 있는 반도체 기억 소자의 개발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반도체 기억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출력하여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는지의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제거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퓨즈 셋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2. 반도체 기억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출력하여 테스트 모드가 인에이블되었는지의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시에는 퓨즈의 제거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퓨즈 셋; 및
    상기 복수의 퓨즈 셋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3. 삭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는,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접지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인지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 인지부는,
    상기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노아게이트;
    상기 노아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은 게이트측에, 전원전압은 소스측에 연결된 PMOS 트랜지 스터; 및
    상기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각각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사용하고, 드레인측이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측과 병렬연결된 복수의 N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역병렬결합된 복수의 인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셋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확인부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이용하여 테스트 모드에서는 퓨즈의 제거 유무와 무관하게 동일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퓨즈부; 및
    테스트 모드 신호와 상기 퓨즈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에는 퓨즈의 유무에 따라 다른 논리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는,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하고, 소스측이 전원전압과 연결될 수 있는 PMOS 트랜지스터;
    파워 업 신호를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하고, 드레인측이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측에, 소스측이 소스전압과 연결될 수 있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일단은 전원전압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측에 연결될 수 있는 퓨즈;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측을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하여 정상동작시 상기 인버터의 입력이 접지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 N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퓨즈부의 출력과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기 위한 노아 게이트; 및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는 인버터
    를 포함할 수 있는 퓨즈 처리 회로.
  10. 반도체 기억 소자 내 퓨즈를 처리함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병렬로 입력받아 테스트 모드이면, 제1 논리상태를 갖고, 테스트 모드가 아니면 제2 논리신호를 갖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계;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바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퓨즈의 제거 유무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테스트 모드 신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단계의 출력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에는 상기 퓨즈의 유무에 따라 다른 논리상태를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처리 방법.
KR1020030086424A 2003-12-01 2003-12-01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KR10055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424A KR100554982B1 (ko) 2003-12-01 2003-12-01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US10/876,210 US7395475B2 (en) 2003-12-01 2004-06-23 Circuit and method for fuse disposing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093118301A TWI255463B (en) 2003-12-01 2004-06-24 Circuit and method for fuse disposing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424A KR100554982B1 (ko) 2003-12-01 2003-12-01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850A KR20050052850A (ko) 2005-06-07
KR100554982B1 true KR100554982B1 (ko) 2006-03-03

Family

ID=3341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424A KR100554982B1 (ko) 2003-12-01 2003-12-01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95475B2 (ko)
KR (1) KR100554982B1 (ko)
TW (1) TWI255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464B1 (ko) * 2005-09-14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퓨즈 상태 검출 회로
KR100735568B1 (ko) 2006-01-2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의 옵션회로 및 방법
KR100757932B1 (ko) * 2006-07-18 2007-09-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의 테스트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97273B1 (ko) * 2007-06-26 2009-05-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의 테스트 모드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925372B1 (ko) * 2008-01-14 2009-1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의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방법
JP2010187047A (ja) * 2009-02-10 2010-08-26 Renesas Electronics Corp テスト回路、及びテスト方法
US8253475B2 (en) * 2010-10-08 2012-08-28 Winbond Electronics Corp. Fuse detecting apparatus
US8289070B2 (en) * 2010-11-16 2012-10-16 Elite Semiconductor Memory Technology Inc. Fuse circuit
US8514643B2 (en) * 2011-07-22 2013-08-20 Nanya Technology Corp. Test mode initialization device and method
JP6012491B2 (ja) * 2013-02-01 2016-10-25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装置
KR20180067846A (ko) * 2016-12-13 2018-06-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554A (en) * 1990-08-30 1992-08-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fuse-link tester and test method
US5550394A (en) * 1993-06-18 1996-08-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efective memory cell correction circuit
US5517455A (en) * 1994-03-31 1996-05-14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Integrated circuit with fuse circuitry simulating fuse blowing
JP3274364B2 (ja) * 1996-08-14 2002-04-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ヒューズチェック方法
US5923598A (en) * 1998-04-21 1999-07-13 Enable Semiconductor, Inc. Row fuse detect circuit
JP2002208294A (ja) * 2001-01-12 2002-07-26 Toshiba Corp リダンダンシーシステムを有する半導体記憶装置
KR100378198B1 (ko) * 2001-05-08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모드 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JP4137888B2 (ja) * 2003-05-13 2008-08-20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55463B (en) 2006-05-21
TW200519956A (en) 2005-06-16
US7395475B2 (en) 2008-07-01
KR20050052850A (ko) 2005-06-07
US20040228191A1 (en)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9732B2 (en) Flash memory devices including ready/busy control circuits and methods of testing the same
KR100554982B1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퓨즈 처리 회로 및 그 방법
JP253061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61086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ndancy structure
US7826296B2 (en) Fuse monitor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907514A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dundant memory cell in an integrated memory circuit
US6480430B2 (en) Semiconductor device making reliable initial setting
US8006148B2 (en) Test mo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10241395A (ja) 冗長回路を備えた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46494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리던던시 회로의 퓨즈셋
KR100761399B1 (ko) 리던던시 회로
KR100818100B1 (ko) 리페어 퓨즈 회로 및 리페어 퓨즈 테스트 방법
KR100583107B1 (ko) 리페어 회로
KR100247221B1 (ko) 테스트모드 활성화회로
KR100219492B1 (ko) 메모리셀의 부분블락 구제수단 및 이를 이용한 부분블락 구제방법
KR10091957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병렬 테스트회로
KR10039977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불량 제품 동작 불능 유도 회로
KR2008006820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20064014A (ko) 번-인 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43338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대기시누설전류체크회로
JPH05243386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55856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교회로
KR10020069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류검출정정 회로를 제어하는 회로
KR017619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류검출정정회로의 디세이블회로
KR2004009273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