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114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114B1
KR100540114B1 KR1020020051683A KR20020051683A KR100540114B1 KR 100540114 B1 KR100540114 B1 KR 100540114B1 KR 1020020051683 A KR1020020051683 A KR 1020020051683A KR 20020051683 A KR20020051683 A KR 20020051683A KR 100540114 B1 KR100540114 B1 KR 10054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ctrical contact
cartridge
process cartridge
body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279A (ko
Inventor
고또히로시
미우라세이에쯔
다무라노부야
이바라끼요시히사
미야자끼요시유끼
마에다마사후미
다노우에마사히데
노나까후미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926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93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5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754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레임체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기판과, 프레임체에 구비된 카트리지 가압부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가압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적재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시킨다. 카트리지 가압부는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 전기 접점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접촉하게 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린터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확대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카트리지 적재 구역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카트리지 적재 구역 내에서 카트리지가 받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전기 접속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들로서, 도7a는 전체의 사시도, 도7b는 전기 접속 수단의 접점 홀더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9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 지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0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2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3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4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4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7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8a와 도18b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들로서, 도18a는 접점 홀더가 홀더 보유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전기 접속 수단의 사시도, 도18b는 접점 홀더가 홀더 보유부로부터 흡수식으로 보유된 상태의 전기 접속 수단의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5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21a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장 수단이 부착되는 구역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1b는 저장 수단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장 수단이 장착되는 다른 구역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3a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의 사시도, 도23b는 도23a의 대시선 23b-23b를 따라 절결한 파선으로 도시된 전기 접속 수단의 사시도.
도24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 및 저장 수단의 접점부의 접속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25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 및 저장 수단의 접점부의 접속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26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 및 저장 수단의 접점부의 접속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27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7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 상에 적재하기 전에 접속 수단이 비켜 있는(shunting) 상태를 도시하는 개 략도.
도28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8 실시예에서 접점 홀더와 접속 수단의 홀더 아암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화상 형성 장치 B :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 카트리지 프레임 20 : 저장 수단
31, 41, 51, 61, 71, 131 : 전기 접속 수단
32, 42, 52 : 회전 아암 33, 43, 62, 72 : 접점 홀더
45, 58 : 스프링 101 : 광학 시스템
102 : 기록 매체 104 : 전사 롤러
107 : 감광 드럼 108 : 대전 롤러
110 : 현상제 120 : 저장 수단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컨대, LED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 전자 사진 팩시밀리, 전자 사진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전자 사진술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카트리지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는, 적어도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체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카트리지로 일체로 형성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종래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전자 사진 감광체와 전자 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이 카트리지로서 일체로 통합되고, 이러한 카트리지가 화상 포맷팅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이 채용되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장치의 유지는 수리공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 자신이 수행할 수 있어서, 작동성이 특별히 개선되었다. 이리하여,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9-17947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러한 타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IC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수단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장착되고, 정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적재되었을 때 장치 본체와 상호 교환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조건 등이 장치 본체에 통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로트 수, 화상 형성 장치의 특성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장착되는 저장 수단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특성이 등록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나 프로세스 카트리지 관 리가 용이하며, 또한 화상 형성 제어가 저장 수단 상에 등록된 정보에 따라 수행되어, 화상 형성이 최적의 조건에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장착된 기억 수단과 장치 본체를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수단으로서, 커넥터나 스프링 재료에 의한 접점을 이용함으로써 접속하기 위한 접촉식과 발광 요소나 수광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자기 코어를 통한 인덕터 인덕턴스의 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에 의한 비접촉식이 사용 가능하다. 이들 수단 중에서, 스프링 재료를 이용한 접촉식 접속 수단이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 면에서 유리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접촉식 접속 수단을 사용하는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기억 수단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사이의 전기 접속은 때때로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불안정하다.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의 운동과 장치의 작동 개시나 작동 정지 시에 감광 드럼의 추력 방향으로의 운동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접점 압력은 장치 본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구동력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확보된다. 이러한 이유로, 구동력이 인가되는 상태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자세가 바뀌어서, 전기 접점 압력을 불규칙하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수반된 전술한 미결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접촉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에 접촉되는 위치 정밀도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향상되도록 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접촉하도록 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력 전달의 여부로 인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자세 상의 변경이나 부품 치수 상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접촉하도록 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모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잼 프로세스 작동성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전기 접속 수단(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메모리 요소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기판과;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이동하게 하며,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에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 내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와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메모리 요소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가지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프레임 본체의 상부면 측부 상에 구비되는 기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이동하게 하며,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에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으로 프레임의 상단부 상에 구비되는 카트리지 가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연결 수단 상에 구비된 본체 안내부와 맞물리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정위(위치설정)를 수행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프레임의 상부면 측부 상에 돌출됨으로써 구비되는, 프레임 상에 구비된 카트리지 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ⅱ)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과; (ⅲ)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메모리 요소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기판과,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이동하게 하며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전기 접속된 후에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적재하는 부착 수단과; (ⅳ)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하기 위한 본체 전기 접점과; (ⅱ)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가동 부재와; (ⅲ) 제1 가동 부재와 장치 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제1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ⅳ) 제1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제2 가동 부재와; (ⅴ) 제1 가동 부재와 제2 가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제2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와; (ⅵ)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구비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을 전기 접속하는 메모리 요소에 전기 접속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메모리 요소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기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이동하게 하며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전기 접속된 후에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갖는 적재 수단과; (ⅶ)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구비되는 본체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구비된 본체 안내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에 전기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메모리 요소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기판과;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안내부와 맞물리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적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위하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 안내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하여 맞닿는 카트리지 안내부와;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하게 하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카트리지 안내부에 대하여 맞닿을 때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카트리지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가압하며, 또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전기 접속된 후에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연결 수단과; (ⅱ)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구비되는 본체 전기 접점과; (ⅲ)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구비되는 본체 안내부와; (ⅳ)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메모리 요소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기판과,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안내부와 맞물리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위하며 본체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 안내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하여 맞닿는 카트리지 안내부와,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이동하게 하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카트리지 안내부에 대하여 맞닿을 때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카트리지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가압하며 또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전기 접속된 후에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갖는 부착 수단과; (ⅴ)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기초하여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이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메인보드로서 저장 수단과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해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사진 레이저 비임 프린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A)는 광학 시스템(스캐너)으로부터의 원통형 전자 사진 감광체(7)(이하, 간단히 감광 드럼) 상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비임 화상을 조사함으로써 감광 드럼 상에 잠상을 형성하며,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함으로써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한다.
현상제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기록 용지, OHP 시트, 직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2)는 픽업 롤러(3b), 한 쌍의 반송 롤러(3c) 등에 의해 기록 매체 카세트(3a)로부터 반송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화상 형성부에서,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에는 전사 롤러(4) 상에서 전압이 인가되어, 화상이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되도록 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되어진 기록 매체(2)는 안내 판(3d)에 의해 안내되며 고정 수단(5)으로 반송된다. 이 고정 수단(5)은 구동 롤러(5a) 및 가열기(5b)가 내장된 고정 롤러(5c)를 포함하며, 열과 압력을 이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2) 상에 인가함으로써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2)는 역 반송 경로를 통해 반송되고 한 쌍의 배출 롤러(3e)를 통해 장치의 외부에 있는 배출 트레이(6)로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 사진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8)과, 전자 사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10, 10a, 10b‥)과, 전자 사진 감광체 등의 표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세척하는 세척 수단(11, 11a, 11b‥)이 가용하다(도3 참조).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감광층이 외주면 상에 형성된 감광 드럼(7)이 회전되고, 그 표면은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결과적으로,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의 화상 정보 광이 잠상을 형성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구비된 노출 개구부(9)를 통해 감광 드럼(7) 상에 노출된다.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은 현상 수단(10, 10a, 10b‥)에 의해 현상제를 사용함으로써 현상된다.
현상 수단(10, 10a, 10b‥)은 현상제 운반부(10b)에 의해 현상제 저장부(10a) 내에 있는 현상제를 반송하며, 고정된 자석이 내장된 현상 롤러(10) 상에 부착되게 한다. 현상 블레이드(10c)에 의해 마찰 대전 전하가 제공된 현상제 층이 현상 롤러(10)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제는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7) 상에 전달되어 현상제 화상이 형성되고 가시화된다.
현상제 화상과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전압이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전사 롤러(4) 상에 인가되고,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다. 그런 후에,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세척 블레이드(11)에 의해 박리되고, 박리된 현상제는 제거된 현상제 수집기(11a) 내에 수집된다.
전술한 감광 드럼(7)과 프로세스 수단(8, 10, 11‥)은 카트리지 프레임(12) 내에 저장 및 보유되는 점에 유의한다. 카트리지 프레임은(12)은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10a)를 형성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 프레임(12a)과, 현상 롤러(10) 등을 보유하기 위한 현상 장치 프레임(12b)과, 감광 드럼(7)과 세척 수단을 보유하고 현상제 수집기(11a)를 형성하기 위한 세척 프레임(12c)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제 저장 프레임(12a)과 현상 장치 프레임(12b)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는 세척 프레임(12c)에 요동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구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 상에 구비된 카트리지 부착 수단 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도1, 도5 및 도6 참조). 카트리지 부착 수단은 장치(A)의 케이싱에 대하여 축(14a)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한 카트리지 커버(개폐 가능한 커버)(14)를 개방함으로써(도1 및 도2 참조) 접근 가능한 지역 상에 구비된다. 카트리지 커버(14)가 개방된 상태로 카트리지 적재 지역을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5에 있어서, 카트리지 적재 안내 부재(15)는 카트리지 적재 지역의 좌우측 양 벽면(15d, 15e)(다른 벽면(15e)이 도시되지 않음에 유의)과 대향함으로써 장착된다(도5는 일 측면만 도시). 좌우측 적재 안내 부재(1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될 때 안내하는 안내부(15a, 15c)와, 안내부(15a) 상에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정위하기 위한 카트리지 정위부(15b,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안내부(15c)는 카트리지 정위부(15b) 부근에서 하방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배치된다.
안내부(15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세척 프레임(12c) 상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양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보스(12c1)(도4 참조)를 안내한다. 또한, 안내부(15c)는 카트리지 프레임(12)의 보스(12c1)의 상방으로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유사하게 구비되는 세장형(slender-shaped) 종방향 안내부(12c2)(도4 참조)를 안내한다. 안내부(15a)로 연속되는 카트리지 정위부(15b)는 카트리지 프레임(12)의 보스(12c1)와 맞물리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를 정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카트리지 부착 수단 상에 부착되면, 카트리지 커버(14)는 개방되며 보스(12c1)와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종방향 안내부(12c2)는 각각 안내부(15a)와 안내부(15c)를 따라 삽입된다. 카트리지 프레임(12)은 각 안내부(15a, 15c)에 의해 안내되며 카트리지 프레임(12)의 보스(12c1)는 정위되도록 카트리지 정위부(15b)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종방향 안내부(12c2)는 안내부(15c)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는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 상에 위치된다(도6 참조). 카트리지 커버(14)를 폐쇄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 적재 수단 상에 부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의해 보유된 감광 드럼(7)의 단부 상에 구비된 나선 기어(G2)는 장치 본체(A) 상에 구비된 나선 기어(G1)와 맞물린다. 그런 후에, 나선 기어(G1)가 회전하면(도6에서 시계 방향), 감광 드럼(7)은 나선 기어(G2)를 통해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 본체(A)의 구동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전달된다.
이 때, 감광 드럼(7)과 동일한 축 상의 양 측면 상에 구비된 보스(12c1)가 중심이면서, 감광 드럼(7)의 회전 방향과 유사하게 시계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회전시키는 힘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한다.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 맞닿음 오목부(12c6)(도4와 도6 참조)는 장치 본체(A) 상에 구비된 견고하게 고정된 부분(100)(도6 참조)에 대하여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 본체(A)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척 프레임(12c)의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도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추력이 장치 본체(A) 상에 구비된 나선 기어(G1)와 감광 드럼(7)의 단부의 나선 기어(G2) 사이에 작용한다. 이리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추진 방향(감광 드럼(7)의 추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즉, 도5에 있어서, 힘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나의 벽면(15d) 쪽으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측면과 장치 본체(A)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는 경우에, 구동력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하면,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보스(12c1)가 벽면(15d)에 대하여 맞닿을 때까지 약간 추력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반대로, 구동력이 카트리지(B) 상에 인가되는 상태가 구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로 바뀌면, 각 맞닿음부 상에 인가되는 힘은 작용하지 않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맞닿음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와 자세는 장치 본체(A)의 작동 시간 및 멈춤 시간에 따라 다르게 되며, 장치 본체(A)가 구동 및 멈춤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보스(12c1)는 감광 드럼(7)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 상의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양 측면(세척 프레임(12c)의)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구비된다. 이러한 돌출 부재는 감광 드럼(7)을 카트리지 프레임(12)(세척 프레임(12c)) 상에 지지하기 위한 드럼 축부가 외부로 돌출된 부재이거나 카트리지 프레임(12)(또는 세척 프레임(12c))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부재일 수 있다.
구동에 관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의 구동력 전달 수단은 나선 기어로서 설명되었으나, 구동력이 결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장치 본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전달되는 경우에, 동일한 작용이 수행된다.
다음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적재되는 저장 수단에 대하여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 수단(메모리 수단)(2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외부면 상에 구비된다. 특히,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수단은 카트리지 프레임(12)(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이 저장 수단(20)은, 도4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RAM, ROM 등과 같은 메모리 칩(20a)과, 기판(22) 상의 양 측면의 접점(21a, 21b)을 갖는다. 또한, 이 메모리 칩(20a)에는 사전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로트 번호, 프로세스 조건 등의 초기값 및 사용 상태, 화상 형성 장치의 특성 및 프로세스 수단의 특성 등)가 입력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되었으면, 정보는 장치 본체측과 교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조건과 같은 상태가 장치 본체(A)의 제어 기판으로 통보되는데, 이는 화상 형성 작동에 유용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작업자에게 전시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 칩(20a)이 사용 중에도 기록될 수 있으므로, 기록은 필요한 경우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접점부(21a, 21b)는 메모리 칩(20a) 상에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점과 접속할 목적으로 구비되며, 금도금된 청동 판이 기판(22) 상에 장착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상부면 상에는 저장 수단(20)에 인접한 안내 핀(23)이 구비된다(도4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될 때, 이 안내 핀(23)은 장치 본체측의 이하에서 설명할 전기 접속 수단(30)의 추력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전기 접속 수단(31)의 안내 리브(36)와 맞물리는 위치에 배열된다.
다음은 장치 본체측에 구비되는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도1, 도2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속 수단(3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었을 때 저장 수단(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기 접속 수단(31)은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된 제1 가동 부재인 회전 아암(32)과 제2 가동 부재인 접점 홀더(33)에 의해 구성된다. 회전 아암(32)은 접점 홀더(33)와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 돌출부(32b)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본체부(32a)에 의해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부착되었을 때 카트리지 프레임(12)의 가압 부재인 상단부(12c3)에 대하여 맞닿도록 배치되는 접속 수단 맞닿음부이다. 또한, 회전 아암(32)의 본체부(32a)의 횡측방향 측면에는 그 하부 측면 상에 한 쌍의 안내 리브(36)가 형성된 안내부(32c)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리브(36) 쌍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구비된 안내 핀(맞물림부)을 안내 및 정위하기 위한 것이다. 안내 핀(23)이 진행하는 방향은 개방된 상태여서 안내 핀(23)이 신뢰성 있게 안내될 수 있다. 회전 아암(32)은 L자형 절곡부에서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17) 상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축 부재(18a)에 의해 축 방향(추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회전 아암(32)의 본체부(32a) 상에 보유되는 접점 홀더(33)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청동으로 된 판 스프링 부재 상에 금도금으로 처리된 보스(도시되지 않음)로 가압됨으로써 전기 접점부(34a, 34b)에 내장된다. 또한, 전기 접점부(34a, 34b)의 외부 측부는 볼록부(33a, 33b)로 형성된다. 전기 접점부(34a, 34b)는 리드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어 기판(30)과 연결된다. 접점 홀더(33)가 저장 수단(20)과 접촉하면, 전기 접점부(34a, 34b)는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에 접촉하게 된다. 볼록부(33a, 33b)는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부에 대하여 맞닿도록 구성된다. 접점 홀더(33)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보스(33c, 33d)(도7a 참조)는 회전 아암(32)의 본체부(32a) 상에 구비된 구멍에 미끄럼 이동하여 끼워 맞춰진다. 이리하여, 접점 홀더(33)는 본체부(32a)에 대하여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접점 홀더(33)와 본체부(32a) 사이에 스프링(35)이 배치되는데, 이는 화살표(a)로 표시된 돌출 방향으로 접점 홀더(33)에 장력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자형 회전 아암(32)의 만곡부에서, 전기 접속 수단(31)은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17) 상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축방향 부재(18)에 의해 축방향(추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리하여, 전기 접속 수단(31)은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32)은 스프링(38)에 의해 축부(18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장력 인가된다(도1 및 도2 참조).
다음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적재 시의 저장 수단(20)과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 수단(31) 사이의 접속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장착되지 않으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속 수단(31)의 회전 아암(32)은 축 부재(18a)를 중심으로 스프링(38)의 장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멈춰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아암(32)의 본체부(32a)에 의해 보유되는 접점 홀더(33)와 전기 접점부(34a, 34b)는 프레임부(17)의 상부에 비켜 있는 상태로 보유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의 카트리지 부착 지역 상에 부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면, 카트리지 프레임(12)(세척 프레임(12c))의 상단부(12c3)는 회전 아암(32)의 하방 돌출부(32b)에 대하여 맞닿는다. 하방 돌출부(32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추가적인 삽입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전기 접속 수단(31)의 회전 아암(32)은 스프링(38)의 장력에 대향하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소정 카트리지 적재 지역 상에 적재되면, 전기 접속 수단(31)의 회전 아암(32)은 도1에 도시된 위치에 멈춘다.
전기 접속 수단(31)의 회전 아암(32)의 회전 시에, 회전 아암(32)의 본체부(32a)에 의해 보유되는 접점 홀더(33)는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점 홀더(33)의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접점부(34a, 34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접촉하게 된다. 접점 홀더(33) 상에 형성된 볼록부(33a, 33b)는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부에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 홀더(33)는 도1에 도시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여기서, 접점 홀더(33)가 도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장력 인가하는 스프링(35)의 탄성력은 전기 접점부(34a, 34b)의 탄성력의 합으로 크게 설정된다. 이리하여, 접점 홀더(33)의 볼록부(33a, 33b)는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세척 프레임(12c)에 대하여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 홀더(33)의 볼록부(33a, 33b)가 세척 프레임(12c)에 대하여 직접 맞닿으므로, 통상적인 부품 차이로 인한 위치 이동이 거의 없게 되고, 전기 접점부(34a, 34b)와 저장 수단 접점(21a, 21b)의 정밀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기 접점부(34a, 34b)가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접촉하게 되는 시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는 중 혹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된 후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20)에 인접하여 구비된 안내 핀(23)은 최종적으로 정위되도록 안내부(32c)의 안내 리브(36)의 쌍에 의해 안내된다. 이 때, 접점 홀더(33)가 회전 아암(32)과 함께 종방향(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접점 홀더(3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방향(화살표(c)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대해서도, 전기 접점부(34a, 34b)와 저장 수단 접점부(23a, 23b)는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커버(14)가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거된 때와 유사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속 수단(31)의 전기 접점부(34a, 34b)는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17) 상부에 비켜 있는 상태에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만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잼 프로세스 등 때문에 사용자가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접근해야 하는 때의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에 수반된 정전기로 인한 전기 접점부(34a, 34b)에 문제를 일으킬 일 없게 된다. 또한, 전기 접점부(34a, 34b)는 잼 프로세스 등으로 인하여 변형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카트리지 프레임(12))이 이동하도록 장치 본체에 구동력이 인가되면, 접점 홀더(33)는 카트리지 프레임(12)의 회전 방향 및 종방향의 양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리하여, 장치 본체에 구동력이 인가되든지 인가되지 않든 지에 무관하게, 안정한 접촉 압력 및 위치 정밀도를 항상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점 홀더(33)와 카트리지 프레임(12)이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맞닿으므로, 전기 접점부(34a, 34b)와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의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장치 본체(A)의 전기 접속 수단을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20)과 장치 본체(A)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8과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저장 수단과 전기 접속되는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점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 접속 수단(41)은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L자형 형태로 형성된 제1 가동 부재가 되는 회전 아암(42)과 제2 가동 부재가 되는 접점 홀더(43)에 의해 구성된다. 전기 접속 수단(4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될 때 저장 수단(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9 참조).
회전 아암(42)은 접점 홀더(43)를 요동식으로 보유하는 본체부(42a)와 하방으로 돌출한 하방 돌출부(42b)에 의해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시에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상단부에 대하여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전 아암(42)의 본체부(42a)의 횡방향 측면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안내부와 일체로 구비되었으며, 그 저부면 측면에는 안내 핀(23)을 안내 및 끼워 맞추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아암(42)은 그 L자형 절곡부에서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 상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 축 부재(18a)에 의해 축방향(추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접점 홀더(43)는 회전 축(43p)이 거의 L자형 회전 아암(42)의 중심이 되면서 화살표(d)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 아암(42)과 접점 홀더(43)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45)에 의해 도8에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접점 홀더(43)의 하부면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전기 접점부(44a, 44b)가 내장 및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인청동으로 된 판 스프링 부재 상의 금도금으로 처리되었으며, 리드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 기판(3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기 접점부(44a, 44b)의 외부 측부에는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볼록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점 홀더(43)가 저장 수단(20)과 접촉하면, 전기 접점부(44a, 44b)는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접촉하게 되고, 볼록부(도시되지 않음)는 카트리지 프레임(12)(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의 L자형 회전 아암(42)의 절곡부에서, 전기 접속 수단(41)은 장치 본체의 프레임부(17)의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 축 부재(18a)에 의해 축방향(추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회전 아암(42)은 장치 본체와 회전 아암(4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48)(도8과 도9 참조)에 의해 축 부재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다음은 장치 본체측(A)의 전기 접속 수단(41)과 저장 수단(20) 사이의 접속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지 않으면, 전기 접속 수단(41)의 회전 아암(42)은 축 부재(18a)를 중심으로 반시 계 방향으로 장력 인가된 위치에 멈추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 홀더(43)와 회전 아암(42)의 본체부(42a)에 의해 보유된 전기 접점부(44a, 44b)는 프레임부(17)의 상부에 비켜 있는 상태로 보유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부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척 프레임(12c)의 카트리지 가압부가 되는 상단부(12c3)는 회전 아암(42)의 하방 돌출부(42b)에 대하여 맞닿는다. 하방 돌출부(42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추가적인 삽입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전기 접속 수단(41)의 회전 아암(42)은 스프링(4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소정 적재 지역 상에 적재되면, 전기 접속 수단(41)의 회전 아암(42)은 도9에 도시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전기 접속 수단(41)의 회전 아암(42)의 회전 시에, 회전 아암(42)의 본체부(42a)에 의해 보유된 접점 홀더(43)는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접점 홀더(43)의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접점부(44a, 44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접촉하게 되고, 접점 홀더(43) 상에 형성된 볼록부(도시되지 않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부에 대하여 맞닿게 된다. 여기서, 화살표(d) 방향의 돌출 방향으로 접점 홀더(43)를 장력 인가하는 스프링(45)의 탄성력은 전기 접점부(44a, 44b)의 탄성력의 합으로 크게 설정된다. 이리하여, 접점 홀더(33)의 볼록부는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세척 프레임(12c)에 대하여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 홀더(33)의 볼록부가 세척 프레임(12c)에 대하여 직접 맞닿으므로, 통상의 부품 차이로 인한 위치 이동이 거의 없게 되고, 전기 접점부(44a, 44b)와 저장 수단 접점(21a, 21b)의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기 접점부(44a, 44b)가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접촉하게 되는 시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된 후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시에 전기 접속 수단의 종방향 위치에 관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기 접속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따라 이동하며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카트리지 커버(14)가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거되었을 때와 유사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점부(34a, 34b)는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17)의 상부에 비켜 있는 상태에 있게 되고,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만져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잼 프로세스 등 때문에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접근해야 할 시점에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에 수반된 정전기로 인해 전기 접점부(44a, 44b)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되고 장치 본체에 구동력이 인가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카트리지 프레임(12))가 이동하면, 접점 홀더(43)는 카트리지 프레임(12)의 회전 방향 및 종방향의 양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리하여, 장치 본체에 구동력이 인가되든지 혹은 인가되지 않든 지에 무관하게 안정한 접촉 압력과 위치 정밀도를 항상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점 홀더(43)와 카트리지 프레임(12c)이 상호 직접적으로 맞닿으므로, 전기 접점부(44a, 44b)와 저장 수단 접점(21a, 21b)의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기 접속 수단과 장치 본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저장 수단(20)과 장치 본체 사이의 전기 접속은 안정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10과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저장 수단과 전기 접속되는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점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51)은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었을 때 저장 수단(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전기 접속 수단(51)은 거의 L자형의 회전 아암(52)을 가지며, 이 회전 아암(52)은 본체부(52a)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내부에 인청동 스프링 재료 상에 금도금으로 처리된 전기 접점부(54a, 54b)가 내장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방 돌출부(52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시에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카트리지 가압 부재가 되는 상단부(12c3)에 대하여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전 아암(52)의 본체부(52a)의 하부면에는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에 대하여 맞닿는 볼록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아암(52)의 본체부(52a)의 횡방향 측부 상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그 하부면에 안내 핀(25)을 안내 및 끼워 맞추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리브가 형성된 안내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회전 아암(52)은 L자형 절곡부에 형성된 긴 구멍(52d)을 가지며, 장치 본체의 프레임부(17) 상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 축 부재(18a)에 의해 지지되며, 화살표(h)로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며 화살표(g)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회전 아암(52)은 장치 본체(A)와 회전 아암(5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58)에 의해 축 부재(18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지 않으면, 회전 아암(52)은 긴 구멍(52d)의 상단부가 축 부재(18a)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고, 도10에 도시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접점부(54a, 54b)는 장치 본체의 프레임부(17)의 상부에 비켜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부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척 프레임(12c)의 상단부는 회전 아암(52)의 하방 돌출부(52b)에 대하여 맞닿는다. 하방 돌출부(52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추가적인 삽입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전기 접속 수단(51)의 회전 아암(52)은 스프링(58)의 장력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소정의 카트리지 적재 지역 상에 부착되면, 회전 아암(52)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또한, 회전 아암(52)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볼록부(52c)는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부에 맞닿게 되어, 회전 방향으로의 위치에 대하여, 회전 아암(52)은 도1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고 멈추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전기 접점부(54a, 54b)와 저장 수단 접점(21a, 21b) 사이의 정위가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58)의 탄성력은 전기 접점부(54a, 54b)의 탄성력의 합으로 크게 설정된다. 이리하여, 회전 아암(52)의 볼록부(52c)는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세척 프레임(12c)에 대하여 맞닿는다. 여기서, 회전 아암(52)과 세척 프레임(12c)이 서로 직접 맞닿으므로, 통상의 부품 차이로 인한 위치 이동이 거의 없게 되고, 전기 접점부(54a, 54b)와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의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전기 접점부(54a, 54b)가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에 접촉하는 시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된 후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시에 전기 접속 수단의 종방향 위치에 관해서도,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기 접속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따라 이동하며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또한 카트리지 커버(14)가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거되었을 때와 유사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점부(54a, 54b)는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17)의 상부에 비켜 있는 상태에 있게 되고,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만져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잼 프로세스 등 때문에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접근해야 할 시점에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에 수반된 정전기로 인해 전기 접점부(54a, 54b)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되고 장치 본체에 구동력이 인가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카트리지 프레임(12))가 이동하면, 회전 아암(52)은 회전 방향과 종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리하여, 장치 본체에 구동력이 인가되든지 혹은 인가되지 않든 지에 무관하게 안정한 접촉 압력과 위치 정밀도를 항상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52)과 세척 프레임(12c)이 상호 직접적으로 맞닿으므로, 전기 접점부(54a, 54b)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21a, 21b)의 정밀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기 접속 수단(51)이 회전 아암에 의해서만 구성되므로, 부품의 개수가 적으며, 그 비용도 유리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기 접속 수단과 장치 본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20)과 장치 본체(A)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12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저장 수단과 전기 접속되는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는 점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점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외부면, 특히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 저장 수단(20)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저장 수단(20)은 저장 칩(20a)과 기판(22) 상의 양 측면의 접점부(21a, 21b)를 갖는다. 안내 핀(23)은 저장 수단(2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이 안내 핀(2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본체(A)에 부착되었을 때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속 수단(61)의 추력 방향으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전기 접속 수단(61)의 안내 리브(66)와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은 장치 본체측 상에 구비되는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 대해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배치된 저장 수단(20)에 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전기 접속 수단(61)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었을 때 저장 수단(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기 접속 수단(61)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접촉함으로써 정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스프링 재료로 구성된 전기 접점부(63a, 63b)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구비된 안내 핀(23)을 안내 및 정위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리브를 그 하부면에 갖는 접점 홀더(62)로 구성되는 전기 접점부(63a, 63b)를 포함한다. 접점 홀더(62)의 일 단부 외주부와 안내 리브(66)의 일 단부 외주부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를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한 테이퍼부(62a)가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접점 홀더(62)는 또한 장치 본체(A)의 프레임부(17)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화살표(j)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축 부재(62b)를 포함한다. 이 축 부재(62b)는 베어링 부재(18)에 대하여 화살표(k)로 표시된 방향으로 추력 방향으로 제거 가능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상에 적재되는 때에 추력 방향으로의 백래시(backlash)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축 부재(62b)는 추력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베어링 부재(18)로부터 제거되는 일이 없게 된다.
접점 홀더(63)와 프레임부(17) 사이에 압축 스프링(68)이 배치되며, 접점 홀더(62)는 프레임부(1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축 부재(62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 접점 홀더(62)의 회전 멈춤부(도시되지 않음)와 프레임부는 서로 맞닿아서, 접점 홀더가 특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적재 시점의 저장 수단(20)과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 수단(62) 사이의 접속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 접속 수단(61)의 접점 홀더(6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적재되지 않았을 때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있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상단부는 접점 홀더(62)의 테이퍼부(62a)에 대하여 맞닿아서, 접점 홀더(62)가 축 부재(62b)를 중심으로 하여 압축 스프링(6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 후에,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홀더(62)의 스프링 재료를 구성하는 전기 접점부(63a, 63b)는 적당한 접촉 압력으로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에 대하여 맞닿도록 위치된다. 이 때,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안내 핀(23)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내 리브(66)의 홈에 위치된다.
장치 본체(A)가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력이 인가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추력 방향으로 이동하면,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안내 핀(23)과 한 쌍의 안내 리브(66)는 추력 방향으로 서로 서로 끼워지게 된다. 이리하여, 카트리지 프레임의 이동과 동반하여, 접점 홀더(62)의 축 부재(62b)는 추력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전기 접점부(63a, 63b)는 추력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전기 접점부(63a, 63b)는 추력 방향으로 닿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구동력이 장치 본체(A)에 인가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상기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추력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와 전기 접점부(63a, 63b)는 일체로 함께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수단(20)과 안내 핀(23)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적재되면, 한 쌍의 안내 리브(66)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추력 방향으로 위치된 접점 홀더(62)는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된다. 이리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추력 방향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접점 홀더(62)도 일체로 이동하여, 전기 접속이 중단되는 일이나 저장 수단(20) 및 전기 접점부(63a, 63b)의 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안정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16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저장 수단과 전기 접속되는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는 점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점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프레임(12)의 외부면, 특히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 저장 수단(20)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저장 수단(20)은 저장 칩(20a)과 기판(22) 상의 양 측면의 접점부(21a, 21b)를 갖는다.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장착 자석을 위한 금속 판(24a, 24b)이 저장 수단(20)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이들 금속 판(24a, 24b)은 금속 표면이 덮이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판은 자석을 장착할 수 있는 정도로 다른 부재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상에 적재되면, 전기 접속 수단과 맞닿음으로써 자석을 밀어내기 위한 2편의 가압 리브가 형성된다.
다음은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되는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에 대해 도16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접속 수단(71)은 도18a와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에 인접한 접점 홀더(72)에 의해 구성되며 정보 통신을 수행 하기 위한 스프링 재료와 접점 홀더(72)에 대하여 맞닿으며 이를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홀더 보유 부재(80)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부(73a, 73b)를 형성한다.
접점 홀더(72)에는 중심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부면 중심부에서 하부면에 평행한 표면(74a)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적재되는 측면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면(74b)으로 구성된다. 이 테이퍼면(74b)에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기 접점부(73a, 73b)가 배치된다. 중심 오목부(74)의 양 측면에 위치되는 하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2)(12c)의 상부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형성된 편평한 접촉면(75)이다. 접촉면(75)에는, 금속판(24a, 24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장 자석(76a, 76b)이 카트리지 프레임(12)(12c)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조립면(75)과 직교하는 표면 내에 적재되는 측면의 표면은 홀더 가압면(77)으로서 취해지며, 홀더 가압면(77)에는 홀더 보유 부재(80)를 흡수하기 위한 내장 자석(78a, 78b)이 있다. 접점 홀더(72)로부터 장치 본체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전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리드선(79)(도16 및 도17)이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 접점 홀더(72)를 개별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홀더 보유 부재(80)는 접점 홀더(72)의 홀더 가압면(77)에 의해 대항함으로써 홀더 가압면의 자석(78a, 78b)에 의해 흡수되도록 맞닿음면(81)과, 접점 홀더(72)의 중심 오목부(74) 내로 삽입되는 U자형 지지부에 의해 구성되며, 접점 홀더(72)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맞닿음면(81)의 폭 방향 길이는 접점 홀더(72)의 폭보다 좁다. 이 홀더 보유 부재(80)는 전체가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자석(78a, 78b)에 대하여 맞 닿는 부분만 금속을 합체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 접속 수단(71)은 도16과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적재하기 위한 카트리지 적재 지역 상부의 프레임부(17) 상에 장착된다. 전기 접속 수단(71)의 홀더 보유 부재(8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카트리지 적재 지역 내에 적재되는 측면으로 약간 치우친 지역에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16과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홀더(17)는 중심 오목부(74) 내로 삽입된 홀더 보유 부재(80)의 U자형 지지부를 갖는다. 자석(78a, 78b)은 맞닿음면(81)에 대하여 맞닿고 홀더 보유 부재(80)에 의해 흡수되고 보유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면, 전기 접속 수단(71)은 도16과 도1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있게 되고, 접점 홀더(72)의 가압면(77)이 홀더 보유 부재(80)로부터 맞닿음면(8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덮이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러한 상태로 부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압 리브(25a, 25b)는 접점 홀더(72)의 홀더 가압면(77)의 양 측면 단부에 대하여 맞닿아서, 접점 홀더(72)의 자석(78a, 78b)은 맞닿음면(8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된다. 동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배치된 금속 판(24a, 24b)은 접점 홀더(72)의 조립면(75)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리하여, 자석(78a, 78b)은 맞닿음면(8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조립면(75)에 내장된 자석(78a, 78b)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금속 판(24a, 24b)을 흡수하고, 접점 홀더(7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면 상에 흡수 및 보유된다(도17 참조).
이 때, 접점 홀더는 오직 리드선(79)에 의해서만 장치 본체에 연결되며, 장치 본체(A)에 대하여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 홀더(7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함께 통합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추력 방향으로의 운동에 의해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리하여, 전기 접점부(73a, 73b)와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는 서로 닿지 않게 되고, 전기 접점부(73a, 73b) 및 저장 수단 접점부(21a, 21b)의 중단 및 변형을 일으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로부터 당겨져서 제거된 경우, 접점 홀더(72)의 중심 오목부(74)와 홀더 보유 부재(80)의 U자형 지지부(8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 가능한 방향에 대하여 선형으로 위치된다. 이리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당겨서 제거하는 작업과 동반하여, 홀더 보유 부재(80)의 U자형 지지부(82)는 중심 오목부(74)의 테이퍼면(74b)으로부터 표면(74a)에 접촉하게 되고, 접점 홀더(7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벗겨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와 동시에, 접점 홀더(72)가 맞닿음면(81) 쪽으로 이동하므로, 자석(78a, 78b)과 맞닿음면(81)이 더욱 근접하도록 안내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러한 상태에서 더욱 당겨지면, 도16과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78a, 78b)과 맞닿음면(81)은 부착 상태로 되고, 접점 홀더(7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분리되어 홀더 보유 부재(80)에 의해 보유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접점 홀더(72)와 홀더 보유 부재(80) 그리고 접점 홀더(72)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결합하는 방법이 자석과 금속에 의해 구성되었으나, 가요성 부재를 사용하거나 스냅 기구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접점 홀더가 보유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측의 전기 접속 수단의 전기 접점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적재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력의 존재 여부로 인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자세가 변경되거나 추력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장 수단과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 수단의 전기 접속은 신뢰성 있게 그리고 만족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장착되는 저장 수단과 장치 본체측 상에 구비되는 접속 수단에 대해 도20 내지 도2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자 사진 레이저 비임 프린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시스템(10)으로부터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비임 화상을 방사하며, 노출 개구부(109)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부에 내장된 감광 드럼(107) 상에 레이저 비임을 조사한다. 감광 드럼(107) 상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 잠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제에 의해 현상되어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록 매체 카세트(103a) 상에 적재된 기록 매체(102)는 현상제 화상의 형성과 동시성을 가지며, 픽업 롤러(103b)에 의해 분리 및 공급되고, 한 쌍의 반송 롤러(103c) 등을 갖는 반송 수단을 통해 반송된다. 기록 매체(102)에는 전사 롤러(104)에 의해 감광 드럼(107) 상에 현상된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102)는 안내 판(103d)을 통해 하류측으로 더 반송되고, 고정 수단(105)으로 반송된다. 고정 수단(105)은 열과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102) 상에 고정시킨다. 현상제 화상이 고정된 기록 매체(102)는 배출 롤러(130e)에 의해 장치의 외부에 있는 배출 트레이(106)로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107)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감광체 층이 외주면에 구비된 감광 드럼(107)은 회전되고, 대전 수단이 되는 대전 롤러(10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광학 시스템(101)으로부터의 화상 정보 광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구비된 노출 개구부(109)를 통해 감광 드럼(107) 상에 노출되어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감광 드럼(10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110, 110a, 110b‥)에 의해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된다.
현상 수단(110, 110a, 110b‥)은 현상제 저장부(110a) 내에 있는 현상제를 현상제 전달부(110b)에 전달하고, 현상제는 고정된 자석이 내장된 현상 롤러(110)로 제공된다. 현상제 플레이드(110c)에 의해 마찰 대전 전하가 제공된 현상제 층이 현상제 롤러(110)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현상제는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107) 상에 전사되어, 현상제 화상이 형성되어 가시화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 롤러(104) 상의 현상제 화상에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102) 상에 전사되어진 후에, 감광 드럼(107)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세척 블레이드(111)에 의해 박리된다. 박리된 현상제는 제거된 현상제 수집기(111a)에 수집된다.
전술한 감광 드럼(107)과 프로세스 수단(108, 110, 111‥)이 프레임인 카트리지 프레임(112) 내에 보유되는 점에 유의한다. 카트리지 프레임(112)은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110a)를 형성하는 현상제 저장 프레임과, 현상제(110) 등을 보유하기 위한 현상 장치 프레임과, 감광 드럼(107)과 세척 수단을 보유하며 제거된 현상제 수집기(111a)를 형성하는 세척 프레임(112c)(도21a와 도21b참조)에 의해 구성된다. 현상제 저장 프레임은 현상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며, 세척 프레임(112c)에 연결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구성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저장 수단(칩 메모리)의 구성에 대해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1a는 저장 수단을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장착하기 위한 지역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1b는 저장 수단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저장 수단(12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12)의 외부 상에 장착된다. 특히, 도20과 도21a 및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수단(120)은 카트리지 프레임(1120)의 세척 프레임(112c)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저장 수단(120)은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 ROM 등과 같은 메모리 요소와 기판 상의 양 측면의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를 갖는다. 사전에 이 메모리 칩(120a)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로트 수, 초기값 및 프로세스 상태와 같은 사용 상태, 화상 형성 장치의 특성 및 프로세스 수단의 특성 등과 같은)가 입력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되면, 정보가 장치 본체측과 교환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용 상태 등과 같은 상태가 장치 본체(A)의 기판(130)(도20 참조)에 통보되는데, 이는 화상 형성 작동에 유용하며 작업자에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전시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는 중심부에 위치되는 메모리 칩(120a)과 전기 접속되거나 일체로 연결되며, 메모리 요소(121a, 121b)는 표면이 금도금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표면 상에 장착되어 개방된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전기 접촉 저항은 증가되는 일이 없다. 또한, 이들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의 외부 측면에는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전기 접속 수단(131)의 맞닿음 리브(134a, 134b)(이하에서 설명함)가 맞닿는 맞닿음부(122a, 122b)가 형성된다. 또한, 저장 수단(120)의 기판(122) 상에는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을 따라 측부 외주부에서 중심부에 오목부(122h)가 구비되어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정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종방향을 따른 측부 외주부의 양 단부 상에는 오목부(122f, 122g)가 구비된다.
다음은 저장 수단(12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120)은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프레임(112)의 세척부 프레임(112c)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다. 기판(122)의 오목부(122h)는 기판(122)의 카트리지 프레임(112)에 대하여 종방향으로의 정위가 수행되도록 중심 정위 리브(112h)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횡방향으로의 정위는 맞닿음 오목부(122f, 122g)를 카트리지 프레임(112)의 정위 리브(112f, 112g)에 대하여 맞닿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중심 정위 리브(112h)와 양 정위 리브(112f, 112g)에 의하여, 프레임에 대하여 저장 수단(120)을 정위하는 정위 부재가 구성된다. 저장 수단(120)의 장착면(112e)은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리브에 의해 구성되어 장착면의 표면의 정밀도가 몰드부를 준비할 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수단(120)의 상부면(접점부를 갖는 표면)의 수직 방향에 대한 정위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수단지지 부재와 같이, 장착면(112e)의 종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브(112m, 112n)는 간격이 저장 수단(120)의 종방향 길이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며, 저장 수단(130)의 두께보다 높게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가락이 저장 수단(120)의 종방향으로 양 단부를 모두 만질 수 없도록 되어 있어서, 저장 수단(120)은 장착면(112e)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방지된다.
도21a와 도21b에 있어서, 맞닿음 리브(112d)는 저장 수단(120)의 장착면(112e)에 인접한 지역에서 카트리지 프레임(112)의 삽입 방향으로 카트리지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며, 본체 전기 접점인 본체 접점부(133a, 133b)를 저장 수단(120)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장치 본체의 이하에 설명할 전기 접속 수단(131)에 대하여 맞닿는다. 또한, 참조 번호 121j는 중심 정위 리브(122h)로부터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안내 리브를 나타낸다. 상부 단부면(122ja, 122jb) 중에서,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으로 전방부의 상방 단부면(121ja)은 높게 형성된 높이를 가지며, 앞의 것에서 이어지는 121jb는 중심 정위 리브(112h)의 높이로 점진적으로 경사짐으로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안내 리브(112j)는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측 접점부를 지지하기 위한 접속 ㅅ단인 전기 접속 수단(13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다. 또한, 안내 리브(112j)는 전기 접속 수단(131)의 본체 접점부(133)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제어하며, 또한 본체 접점부(133a, 133b)를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맞닿음부로서 작동한다.
장착면(112e) 상의 저장 수단(120)의 장착은 양면 테이프, 접착제, 열 코킹(heat caulking)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때, 작업자가 만지는 경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적재되었을 때, 이하에 설명할 전기 접속 수단(131)과의 접촉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는 부착 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리브에 의해 구성되는 장착면(112e)에서, 리브의 두께와 리브의 개수는 표면(112e)이 요구 접촉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접촉 영역이 되도록 결정된다. 또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료 재생 과정에서, 카트리지 프레임(112)으로부터 저장 수단(120)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때, 저장 수단(120)의 장착면(112e)이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면, 점착력은 비정상적으로 높이 않으므로, 사용된 저장 수단(120)은 장착면(112e)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게 된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의 일부에는 작은 칩 부분(112p)이 구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또는 저장 수단(120)의 반대 측면 상에서 제거 공구(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리브를 배치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12)으로부터 저장 수단(120)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전기 접속 수단의 구성과 접속 수단이 구비된 전기 접속 작업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장 수단에 대해 도20과 도23 내지 도2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측부 접점부를 지지하기 위한 접속 수단인 전기 접속 수단(131)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장 수단(120)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 전기 접속 수단(13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적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20의 용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광학 시스템(101)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117)에 배치되는 본체 지지 부재인 장착 기부 상에 구비된다. 전기 접속 수단(131)은 도23a와도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34)를 보유하기 위한 접점 홀더(132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구비된 맞닿음 리브(112d)가 맞닿는 맞닿음 수용부인 홀더 아암(132b)과, 맞닿는 홀더 스프링(132c)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 접촉 지지부인 커넥터(134)는 스프링 부재인 본체 접점부(133a, 133b)를 보유하며, 본체 접점부(133a, 133b)의 외부 상에는 맞닿음 리브(134a, 134b)가 형성된다.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와이어 장치에 의해 프레임부(117) 상에 장착된 장치 본체 측면의 제어 기판(130)과 전기 접촉된다(도20 참조). 또한, 접점 홀더(132a)에는 전기 접속 수단(131)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적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로서의 슬릿부(132h)와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슬릿부(132h)의 상부 벽면부(132j)가 구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러한 전기 접속 수단(131)에 의해 장치 본체 상에 적재되면, 커넥터(134)의 본체 접점부(132a, 132b)는 저장 수단(120)의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에 대하여 맞닿으며, 저장 수단(120)을 제어 기판(130)에 전기 접속시키며, 또한 맞닿음부(134a, 134b)는 저장 수단(120)의 맞닿음부(122a, 122b)에 대하여 맞닿게 된다.
전기 접속 수단(131)의 홀더 스프링(132c)은 도23a의 화살표 상의 도면인 도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홀더(132a)와 홀더 아암(132b)에 대하여 맞닿는다. 이러한 홀더 스프링(132c)은 홀더 스프링(132c)이 권취된 축(132f)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접점 홀더(132a)에 장력을 인가하며, 홀더 아암(132b)을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홀더 아암(132b)은 도면에서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기 접속 수단(1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 부재인 프레임부(117)에 배치된 장착 기부(118)(도20과 도24 참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현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아직 부착되지 않으면, 전체 전기 접속 수단(131)은 도24와 도25에서 축(132f)을 중심으로 홀더 아암(132b)의 외부에 배치된 아암 스프링(132e)(도23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접점 홀더(132a)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비켜 있게 되고 프레임부(117)보다 상부에 저장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도21a와 도21b와 도24 내지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면(112e)의 전방에 있는 슬릿부(132h)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저장 수단(120)의 장착면(112e)에 인접하여 유도하기 위한 안내 리브(112j)가 구비된다. 유도를 위한 이 안내 리브(112j)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접점 홀더(132a)의 슬릿부(132h)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안내 리브(112j)의 상부 단부면에는, 도21 또는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높게 카트리지 삽입 방향의 전방에 상부 단부면부(112ja)가 형성된다. 또한, 이로부터 이어지는 부분(112jb)은 중심 정위 리브(112h)의 높이로 점진적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낮아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시에, 도24와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프레임(112)의 삽입 방향으로(화살표(X) 방향) 단부에 형성된 맞닿음 리브(112d)는 전기 접속 수단의 홀더 아암(132b)의 접속 수단 맞닿음부(132k)에 대하여 맞닿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더 삽입하는 것과 동반하여,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아암(132b)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체 전기 접속 수단(131)이 시계 방향(도면에서 화살표(z)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25와 도26에서 참조 번호 115는 장치 본체(A) 내에 구성된 카트리지 적재 부재를 가리키며, 참조 번호 115a는 안내부를 가리키고, 참조 번호 115b는 카트리지 정위부를 나타낸다.
전체 전기 접속 수단(131)의 시계 방향(도면에서 화살표(z)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안내 리브(112j)가 접점 홀더(132a)의 슬릿부(132h) 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로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용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가 장치 본체 내에서 약간 이동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안내 리브(112j)는 접점 홀더(132a)의 슬릿부(132h)의 측면에 대하여 맞닿는다. 전체 전기 접속 수단(131)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전기 접속 수단(131)과 저장 수단(120)은 적당한 위치로 상호 이동된다. 추력 방향으로의 이러한 정위 작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삽입 작업 중에 수행된다. 안내 리브(112j)와 접점 홀더(132a)의 슬릿부(132h) 사이의 물리적 관계는 정위 작업이 전기 접속 수단(131)의 본체 접점부(133a, 133b)가 저장 수단(120)의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상에 도착하기 전에 종료되도록 결정된다. 즉, 슬릿부(132h)의 상부 벽면부(132j)가 안내 리브(112j)의 상부 단부면 또는 그에 이어지는 경사부(112jb)에 대하여 맞닿는 상태에서, 추력 방향으로의 정위 작업은 종료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접속 수단(131)의 접점 홀더(132a)의 본체 접점부(133a, 133b)가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상에 도착한 후에, 접점부(133a, 133b)는 저장 수단 접점부(120b) 상부에서 추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살표(x) 방향으로 더 삽입되면, 전기 접속 수단(131)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슬릿부(132h)의 상부 벽면부(132j)는 안내 리브(112j)의 경사부(112jb)를 따라 이동한다. 전기 접속 수단(131)의 접점 홀더(132a)의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상에 도착한다. 또한, 접점 홀더(131)의 맞닿음 리브(134a, 134b)는 저장 수단(120)의 맞닿음부(122a, 122b)에 대하여 맞닿을 때까지 회전한다. 맞닿음 리브(134a, 134b)가 저장 수단(120)의 맞닿음부(122a, 122b)에 대하여 맞닿은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되면, 전기 접속 수단(131)의 홀더 아암(132b)만 홀더 스프링(132c)의 가압력에 대항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력을 억제한다.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상에서 미끄러져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도26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본체 접점부(133a, 133b)가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상에 도착하는 시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되는 중이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A) 상에 부착된 후이다. 전자의 경우에, 스프링 재료를 포함하는 본체 접점부(133a, 133b)의 탄성 변형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에 의해,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b)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후자의 경우에, 본체 접점부(133a, 133b)의 탄성 변형에 의해, 본체 접점부(133a)는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상에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 및 조립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맞닿음 리브(112d)의 위치 및 전기 접속 수단(131)의 장착 위치 상의 변동, 프로세스 카트리지(B) 삽입 시의 자세의 변동 혹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적재된 후에 동력을 수용함으로써 자세가 변동 등과 같은 부품 불균일성이 존재하 는 경우에도, 전기 접속 수단(131)의 홀더 아암(133b)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자세 변동을 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리하여, 전기 접속 수단(131)의 맞닿음 리브(134a, 134b)는 저장 수단(120)의 맞닿음부(122a, 122b)에 대하여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134)의 맞닿음 리브(134a, 134b)는 본체 접점부(133a, 133b)보다 낮게 되도록 본체 접점부(133a, 133b)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닿음 리브(134a, 134b)는 저장 수단(120)의 맞닿음부(122a, 122b)에 대하여 맞닿아서, 스프링 재료로 된 본체 접점부(133a, 133b)의 행정은 일정하게 되고, 양 접점부의 접촉 압력(접촉압)은 안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접속 수단(131)의 접점 홀더(132a)는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스프링(132c)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장력 인가된다. 이리하여, 커넥터(134)의 맞닿음 리브(134a, 134b)는 홀더 스프링(132c)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저장 수단(120)의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에 대하여 항상 맞닿게 된다. 여기서, 홀더 스프링(132c)의 스프링 압력은 홀더 스프링(132c)의 스프링 압력이 본체 접점부(133a, 133b)의 스프링 압력보다 높아서 전기 접속 수단(131)의 맞닿음 리브(134a, 134b)가 저장 수단(120)에 대하여 항상 맞닿게 되도록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재 시에, 전기 접속 수단(131)의 홀더 아암(132b)은 맞닿음 리브(112d)에 의해 가압되어, 안내 리브(121j)는 접촉 홀더(132a)의 슬릿부(132h)로 유도된다. 슬릿부(132h)에 의해 고정된 상부 벽면부(132j)는 안내 리브(112j)의 상방 단부면부(112ja)이나 그에 이어지는 경사부(112jb) 상에 도착한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전기 접속 수단(131)의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저장 수단(120)의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이외의 지역에 대하여 맞닿아서 변형이나 임의의 손상을 받는 일이 없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안내 리브(112j)는 경사부(112jb)를 갖는데, 그 높이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의 전방에서 상방 단부면부(112ja)로부터 저장 수단(120)으로 점차 낮아진다. 안내 리브(112j)는 전기 접속 수단(131)의 본체 접점부(133a, 133b)와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가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특정 거리 사이에서 서로 와이핑을 수행하는 형태를 취해야 한다. 즉, 접점 홀더(132a)의 슬릿부(132h)의 상부 벽면부는 안내 리브(112j)의 경사부(112)를 따라 이동한다. 바꿔 말하면,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는 본체 측면 접점부들인 본체 접점부(133a, 133b)가 미끄럼 이동하고 접촉하는 활주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활주 시의 와이핑 작업에 의해, 양 접점부는 상호 접점부 상에 부착된 현상제나 기록 매체인 기록 용지의 종이 먼지 등과 같은 외부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리하여, 양 접촉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될 때, 전기 접속 수단(131)의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장치 내부의 잼 프로세스 공간(사용자가 잼 프로세스 시에 손을 집어넣는 공간)으로부터 비켜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접점부(133a, 133b)는 작업자가 장치 내부에 손을 집어넣었을 때 만지기 어려운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서, 위치 조정은 본체 장치 측면의 전기 접속 수단(131) 상에 적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따름으로써 수행되며, 전기 접속 수단(131)의 본체 접점부(133a, 133b)는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에 대하여 신뢰성 있게 맞닿으며, 전기 접속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접점부(133a, 133b)와 메모리 요소 접점부(121a, 121b) 사이의 접점부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7 실시예를 도2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6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점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하는 점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접속 수단(131)은 제6 실시예와 유사하게 레이저 스캐너(101)를 고정시키는 광학 시스템 기부(117)에 배치되는 장착 기부(1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현수된다. 광학 시스템 기부(117)에는 개구부(117a)가 구비되는데, 접속 수단(131)이 회전하면 통과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아직 적재되지 않으면, 접속 수단(131)은 홀더 아암(131d)의 외부에 배치된 아암 스프링(131f)에 의해 삽입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상방으로 비켜 있다. 접속 수단 접점부(131a)는 광학 시스템 기부의 상부에 항상 보관되도록 장력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수단 접점부(131a)는 카트리지(B)가 아직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광학 시스템 기부의 상방으로 완전히 보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적재되지 않으면, 접속 수단 접점부(131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공간의 상부에 있고, 광학 시스템 기부(117)에 의해 분할된 공간(분할부) 에 의해 이 삽입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비켜 있을 수 있다. 이리하여, 용지 잼 프로세스(잼 프로세스) 등과 같은 작동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 및 저장 수단은 정전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시스템 기부(117)(분할 부재)를 금속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그 효과는 더 높아질 수 있다.
(제8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8 실시예를 도2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6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면, 다른 점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8은 도26의 선 28-28을 따라 절결한 횡단면도이며, 접속 수단(131) 내의 접점 홀더(131c)와 홀더 아암(131d)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접속 수단(131)의 아암 홀더(131d)는 프레임(1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접점 홀더의 중심 리브(131c-1)를 지지하는 중심 축부(131d-1)와 접점 홀더(131c)의 좌우측 리브(131c-2)를 지지하는 축부(131d-2)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접점 홀더(131c)의 중심 리브(131c-1) 상에 형성된 장착 구멍(131c-1a)은 체결 치수에 의해 원형 호형 정점이 설치된 중심부와, 긴 구멍이 설치된 리브(131c-2)의 좌우측 외부 장착 구멍(131c-2a)을 갖는다.
접점 홀더(131c)와 홀더 아암(131d)은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즉, 중심부가 원형 호형 정점을 취하는 장착 구멍(131c-1a)에는 중심 축부(131d-1)가 삽입된다. 외부 리브(131c-2)는 긴 구멍 장착 구멍(131c-2a) 내로 삽입된다. 이리하여, 접점 홀더(131c)는 홀더 아암(131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이와 동시에, 장착 구멍(131c-1a)의 중심부의 원형 호형 정점이 지지부로서 작용하면서 도28의 화살표(H, I)와 같이 홀더 아암(131d)과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의 저장 수단의 표면(J 표면)이 도28에 도시된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져도, 접점 홀더(131c)는 평형할 수 있으며 접점 홀더(131c)의 좌우측에 위치한 맞닿음 리브(131g)는 저장 수단(120)의 표면(J 표면)에 대하여 안정하게 맞닿을 수 있다.
접속 수단(131)의 접점 홀더(131c)와 홀더 아암(131d)은 중심의 한 지점에 수용되며, 긴 구멍 등의 백래쉬들이 좌우측에 제공되어, 평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의 저장 수단(120)이 약간 경사지는 경우에도, 접속 수단(131)의 좌우측 2개의 지점의 맞닿음 리브가 저장 수단(120)에 대하여 항상 안정하게 맞닿아 있을 수 있으며, 접속 수단(131)과 저장 수단(120)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적재되었을 때,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적재되었을 때 장치 본체 상에 구비된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Claims (26)

  1. 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을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상기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을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시키고 그리고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하여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압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가압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으로 부착된 때 프레임의 상부면 측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된 카트리지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될 때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제공된 본체 안내부와 맞물려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삭제
  6. 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 및 위치설정된 프로세스 장치와,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상기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된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을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시키고 그리고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하여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압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가압부와,
    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될 때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된 본체 안내부와 맞물리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으로 부착되는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도록 구성 및 위치 설정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된 때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 측에서 돌출되는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ⅱ)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ⅲ)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하여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압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부착 수단과,
    (ⅳ)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은,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와 본체 사이에 제공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방향으로 상기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본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방향으로 제1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1 가동 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며 본체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제2 가동 부재와, 제1 가동 부재와 제2 가동 부재 사이에 제공되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향으로 제2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부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에 제공된 카트리지 안내부와 맞물려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상에 부착되는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위치 설정하는 본체 안내부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삭제
  12.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부착된 때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 및 위치설정된 본체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ⅱ)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제1 가동 부재와,
    (ⅲ) 제1 가동 부재와 본체 사이에 제공되어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ⅳ) 상기 제1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본체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제2 가동 부재와,
    (ⅴ) 제1 가동 부재와 제2 가동 부재 사이에 제공되어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향으로 제2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와,
    (ⅵ)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시키고 그리고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부착 수단과,
    (ⅶ)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된 본체 안내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상기 메모리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될 때 본체 안내부와 맞물려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는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위치설정을 행하고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 안내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하여 접촉하는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 상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본체 전기 접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가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으로 접촉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카트리지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게 하고 그리고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본체 안내부와 맞물려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위치 설정을 수행하고 돌출부의 상부면은 본체 전기 접점을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 안내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하여 접촉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ⅱ)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되는 본체 전기 접점과,
    (ⅲ)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되는 본체 안내부와,
    (ⅳ)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프레임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 안내부와 맞물려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향으로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 안내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하여 접촉하는 카트리지 안내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상에 부착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이동시키고 그리고 카트리지 안내부가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이 카트리지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고 그리고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압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가압부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부착 수단과,
    (ⅴ)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안내부는 홈의 형태이며, 상기 홈의 저부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안내부에 대하여 접촉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본체 전기 접점이 부착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기판의 경사를 따르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대하여 요동식으로 지지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는 카트리지 가압부가 접촉하는 접속 수단 접점부가 제공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9. 삭제
  20. 제1항, 제6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함께 카트리지로 일체로 통합시키며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게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1항, 제6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카트리지 가압부의 위치의 상류에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1항, 제6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은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카트리지 가압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회전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7항, 제12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가압부의 위치의 상류에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4. 제7항, 제12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카트리지 가압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을 회전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5. 가동(可動)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을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상기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하여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압력을 인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가동 본체 전기 접속 수단과,
    (ⅱ)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 상의 본체 전기 접점과,
    (ⅲ)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요소와, 메모리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상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접촉하여 본체 전기 접속 수단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부착 수단과,
    (ⅳ)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51683A 2001-12-28 2002-08-30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540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99266 2001-12-28
JP2001399266A JP3809375B2 (ja) 2001-12-28 2001-12-28 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195388 2002-07-04
JP2002195388A JP3907540B2 (ja) 2002-07-04 2002-07-04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279A KR20030057279A (ko) 2003-07-04
KR100540114B1 true KR100540114B1 (ko) 2006-01-10

Family

ID=2662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683A KR100540114B1 (ko) 2001-12-28 2002-08-30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26144B1 (ko)
KR (1) KR100540114B1 (ko)
CN (1) CN1217244C (ko)
DE (1) DE6022867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9402B2 (ja) * 2002-05-1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0454177C (zh) * 2003-09-30 2009-01-21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JP4387933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2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4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605356B1 (ko) 2004-07-1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0440072C (zh) * 2004-07-30 2008-12-03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CN100442170C (zh) * 2004-09-17 2008-12-10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成像设备
JP5344566B2 (ja) * 2008-02-05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4530064B2 (ja) 2008-02-29 2010-08-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65027B2 (ja) 2011-04-08 2015-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用の端子モジュール
CN203573089U (zh) * 2013-11-11 2014-04-3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盒
CN105629691B (zh) * 2014-08-22 2019-11-08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盒
CN104090471B (zh) * 2014-07-21 2017-09-1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
SG10202011936WA (en) * 2014-11-28 2020-12-30 Canon Kk Cartridge, member constitut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GB2588064B (en) * 2014-11-28 2021-06-30 Canon Kk Cartridge, member constitut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98595B2 (ja) * 2015-08-31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画像加熱装置
JP6589630B2 (ja) 2015-12-25 2019-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9996052B2 (en) * 2016-02-10 2018-06-1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 an apparatus main bod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759835B2 (ja) * 2016-08-10 2020-09-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10126704B2 (en) 2016-10-14 2018-11-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capable of suppressing variation in position of electrical contact surface
JP7062875B2 (ja) * 2017-03-07 2022-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10627780B2 (en) 2018-01-23 2020-04-2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62983B2 (ja) *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37519B2 (en) * 2019-12-27 2022-02-0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un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7054A (ja) * 1990-07-05 1992-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JPH09179476A (ja) * 1995-10-25 1997-07-1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23918A (ja) * 1996-08-29 1998-05-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JPH11348375A (ja) * 1998-04-10 1999-12-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この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
JP2000003115A (ja) * 1998-04-16 2000-01-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943A (en) * 1989-02-10 1993-06-2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75439A (ja) *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15723B2 (ja) * 1996-07-24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コネクタ、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4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7054A (ja) * 1990-07-05 1992-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JPH09179476A (ja) * 1995-10-25 1997-07-1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23918A (ja) * 1996-08-29 1998-05-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JPH11348375A (ja) * 1998-04-10 1999-12-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この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
JP2000003115A (ja) * 1998-04-16 2000-01-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8673D1 (de) 2008-10-16
EP1326144B1 (en) 2008-09-03
CN1217244C (zh) 2005-08-31
EP1326144A1 (en) 2003-07-09
CN1428668A (zh) 2003-07-09
KR20030057279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11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92253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for memory
JP3809375B2 (ja) 画像形成装置
US7082276B2 (en) Information storing medium, unit,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11014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7682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EP0163486B1 (en) Removable processing cartridge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apparatus
JP618407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4456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6091652A (ja)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18244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03787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3021388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032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3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370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46372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2293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lt cleaning unit thereof
JP7306073B2 (ja) 転写ベルト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83221B2 (ja) プロセス手段の支持固定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KR20090032673A (ko)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JP202007396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1632885B1 (ko) 화상형성장치
JP2020086146A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2017003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