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356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356B1
KR100605356B1 KR1020040055139A KR20040055139A KR100605356B1 KR 100605356 B1 KR100605356 B1 KR 100605356B1 KR 1020040055139 A KR1020040055139 A KR 1020040055139A KR 20040055139 A KR20040055139 A KR 20040055139A KR 100605356 B1 KR100605356 B1 KR 10060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ognition
developing
developing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226A (ko
Inventor
강래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356B1/ko
Priority to US11/179,482 priority patent/US7272329B2/en
Publication of KR2006000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에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 중 어느 하나의 현상유닛에 인식접점부를 구비한 현상유닛조립체; 및 상기 인식접점부가 상기 인식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인식접점부가 설치된 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현상유닛조립체, 인식부, 인식접점부, 탄성체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현상유닛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및 도 5는 도 3의 제1현상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제2현상유닛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와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제1현상유닛이 장착부에 단독으로 장착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9a 및 도 9c는 장착부의 저면을 도 8의 Ⅰ, Ⅱ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제1현상유닛 및 제2현상유닛이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현상유닛이 장착부에 단독으로 장착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 제1현상유닛 24. 현상제 컨테이너
25. 현상유닛조립체 26. 인식접점부
29.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 30. 현상롤러
40. 제2현상유닛 44. 슬라이딩 가이드부재
49.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 50. 감광매체
74. 가이드레일 80. 장착부
84. 탄성체 100. 본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현상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조립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탈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신호에 따른 화상신호를 일련의 화상형성 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조립체는 본체 내부의 청소나 고장수리를 위해, 또는 감광매체의 수명이 다한 경우나 현상제가 다 떨어진 경우, 편의상 통상적으로 현상유닛조립체 자체를 새것으로 교환해주도록 일체화 되어 있다. 그리고 이처럼 현상유닛조립체 자체가 일체화된 방식은 보통 두 종류가 있는데, 먼저 감광매체,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가 모두 일체로 되어있는 방식과, 현상제 컨테이너와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유닛과 감광매체를 구비하는 유닛의 2개의 유닛으로 되어있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은 후자와 같이 현상유닛조립체가 2개 의 유닛으로 되어 있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10)의 장착부(120) 내부에 화살표 방향과 같이 현상유닛조립체(150)가 장착된다. 현상유닛조립체(150)는 편의상 현상제 컨테이너(162)와 현상롤러(162)를 구비하는 유닛을 제1현상유닛(160)이라 하고, 감광매체(172)를 구비하는 유닛을 제2현상유닛(170)이라 하기로 한다. 대용량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보통 제2현상유닛(170)의 수명이 제1현상유닛(160)의 수명보다 3-4배 되기 때문에 제2현상유닛(170)보다 제1현상유닛(160)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상기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110)의 장착부(120)에 장착되어 화상형성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감광매체(172)는 미도시된 대전롤러에 의해 전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레이저스캐닝유닛(미도시)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에는 현상제 컨테이너(164)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현상롤러(162)에 의해 부착되어 화상이 가시화된다. 이러한 예비화상은 급지유닛(180)에서 나와 미도시된 전사롤러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현상제가 전사된 인쇄매체는 미도시된 정착부를 거쳐 스테커에 배지된다.
한편, 현상유닛조립체(150)의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의 후면에는,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의 장착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인식접점부(166) 및 제2인식접점부(1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장착부(120) 내부에는 상기 각 제1 및 제2인식접점부 (166, 174)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인식접점부(166, 174)와 각각 접촉하는 제1인식부(116) 및 제2인식부(114)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제1인식부(116) 및 제2인식부(114)에 의해 상기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장착되었는 여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인쇄된 인쇄매체의 수량을 카운트하여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을 포함하는 현상유닛조립체(150)의 수명을 예측하며, 현상유닛조립체(150)의 고유이력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장착부(120)내에 상기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이 장착되면, 제1 및 제2인식접점부(166, 174)와 제1인식부(116) 및 제2인식부(114)는 서로 각각 접촉하게 되고, 이렇게 제1인식접점부와 제1인식부, 제2인식접점부와 제2인식부가 모두 접촉이 되어야만, 현상유닛조립체의 장착여부와, 수명상태 및 고유사용 이력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정상적인 인쇄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 각각에 인식접점부(166, 174)를 설치해야 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식부(116, 114)를 각각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인식부가 설치되는 장착부(120)의 면에는 현상유닛의 현상롤러(162) 및 감광매체(172)를 구동하는 구동부(117)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현상롤러 및 감광드럼으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118)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므로, 상기와 같은 복잡한 인식접점부 및 인식부들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다수의 부품들을 중복 설치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화상형성장치가 대형화되며, 또한 복수의 인식접점부 및 인식부들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는 화상형성장치의 저비용 및 소형화추세에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공간효율을 높여 소형화를 이루고 또한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에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 중 어느 하나의 현상유닛에 인식접점부를 구비한 현상유닛조립체; 및 상기 인식접점부가 상기 인식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인식접점부가 설치된 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의 저면은 상기 인식부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입구에서 내부로 갈수록 그 경사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유닛조립체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제1현상유닛과,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제2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식접점부는 상기 제1현상유닛에 설치된다.
상기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현상유닛에 설치된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현상유닛에 설치된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가 상기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제1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상기 장착부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에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 중 어느 하나의 현상유닛에 인식접점부를 구비한 현상유닛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이 상기 장착부에 모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인식접점부가 상기 인식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한 접촉억제유닛;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를 포함한 하나의 유닛과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를 포함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조립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편의상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를 포함한 하나의 유닛을 제1현상유닛이라 하고, 감광매체를 포함한 하나의 유닛을 제2현상유닛이라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현상유닛조립체(25)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전면으로 개방된 장착부(8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도어(62)와, 상기 본체(100)의 장착부(8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으로 구성되는 현상유닛조립체(25)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전면에는 장착부(80)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면도어(9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80)에는 제1현상유닛(20) 및 제2현상유닛(40)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조립체(2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장착부(80)의 하부에는 인쇄용지를 저장하고 상기 현상유닛조립체(25)로 공급하는 급지유닛(10)이 설치된다.
측면도어(62)는 본체(10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본체에 힌지결합되며, 측면도어(62)의 내측으로는 전사롤러(60, 도3 참조)와 용지이송롤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전사롤러(60)는 현상유닛조립체(25)를 장착부(80)에 장착시, 상기 제2현상유닛(40)에 설치된 감광매체(50, 도3 참조)에 접촉되며, 그 사이로 인쇄용지(미도시)를 통과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상유닛조립체(25)는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부(80)에 장착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2현상유닛(40)의 감광매체(50)는 미도시된 레이저스캐닝유닛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제2현상유닛(40)을 장착부(8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측면도어(62)를 닫으면, 감광매체(50)와 전사롤러(60)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미설명된 부호 29, 49는 제1현상유닛(20) 및 제2현상유닛(40)에 설치되는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 및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인데 이는 후술하고자 한다.
도 4 및 도 5는 제2현상유닛(40)을 제거하고 제1현상유닛(2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현상유닛(20)은 현상롤러(30), 현상제 컨테이너(24), 폐현상제 저장부(22), 인식접점부(26) 및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를 포함한다.
현상롤러(30)는 제1현상유닛(20)의 길이방향 즉, 장착부(8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이 장착부(80)에 장착되어 서로 결합시 제2현상유닛(40)의 감광매체(50, 도6 참조)에 현상제를 공급하게 된다.
현상제 컨테이너(24)는 상기 현상롤러(30)와 접하도록 현상롤러(30)와 대응되게 제1현상유닛(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현상제가 저장되어 상기 현상롤러(30)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폐현상제 저장부(22)는 현상롤러(30)의 일측에 설치되며, 후술할 제2현상유닛(40)의 폐현상제 이동부(48, 도6 참조)에 의해 이동된 페현상제가 저장된다. 그리고 폐현상제 저장부(22)는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이 장착부(80)에 장착되어 상보적으로 결합시 현상롤러(30)과 감광매체(50) 전면(前面)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전면도어(90, 도2 참조) 개방시 감광매체(50)의 표면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인식접점부(26)는, 제1현상유닛(2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장착부(80)에 설치되는 인식부(86)와 접촉하여, 제1현상유닛(20)의 장착유무 인식 및 고유이력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의 접촉에 의해 제2현상유닛(4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인식부(86)는 장착부(80)의 일 측벽(82)에 설치되며, 제1현상유닛(20)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인식접점부(26)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86)는 케이스(89)에 탄력성 있는 금속 재질의 접촉부(87)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인식접점부(26)와 접촉하며, 그 뒷면에는 인쇄회로기판(88)이 설치 되고, 이 인쇄회로기판(88)은 본체(100)의 메인회로기판(미도시)에 FPC 등에 의해 연결되어져 신호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는, 제1현상유닛(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2현상유닛(40)의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와 간섭하게 되어 제1현상유닛(20)을 장착부(80)의 인식부(86)가 설치된 측벽(8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상세한 동작은 후술하고자 한다.
도 6은 제2현상유닛(4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현상유닛(40)은 전면 및 후면프레임(41, 42), 감광매체(50), 폐현상제 이송부(48),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 및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를 포함한다.
전면 프레임(41)에는 제2현상유닛(40)의 상기 각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동작하며, 제2현상유닛(40)의 전면에 형성된다. 제2현상유닛(40) 상부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가 설치되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의 하단, 즉 전면 및 후면프레임(41, 42) 사이에는 폐현상제 이송부(48)와 감광매체(50)가 설치된다.
감광매체(50)는 제2현상유닛(40)의 길이방향 즉, 장착부(8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전면프레임(41)에 타측이 후면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매체(50)는 장착부(80)에 설치된 구동부(83, 도8 참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 또한, 감광매체(50)는 장착부(80)에 장착시 본체(100)에 설치되어 있는 전사롤러(60, 도3 참조)와 접촉된다.
폐현상제 이송부(48)는 상기 감광매체(50)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전면프레임(41)에 타측이 후면프레임(42)에 결합한다. 폐현상제 이송부(48)는 감광매체 (50)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분리하여 수거한 후, 제1현상유닛(20)의 폐현상제 저장부(22)(도 6 참조)로 이송시킨다.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는 일단이 상기 전면프레임(41)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현상유닛(40)을 본체의 장착부(8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는 제2현상유닛(40)의 길이방향으로 전면프레임(41)과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장착부(8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4, 도10 참조)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제2현상유닛(40)을 상기 장착부(80)에 수용되게 한다.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는, 제1현상유닛(20)의 제1위치보정 가이브부재(29)와 접촉, 간섭하여 제1현상유닛(20)을 본체(100)의 장착부(80)에 인식부(86)가 설치되어 있는 측벽(82)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제1현상유닛(20)의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가 서로 접촉하게 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이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현상유닛(20)이 장착부(80)에 장착된 후, 제2현상유닛(40)을 장착부(80)에 화살표 방향으로 장착시키게 되는 경우(도 7a),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는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와 어느 시점에서 만나게 된다(7b). 제2현상유닛(40)이 장착부(80) 내부로 더 들어갈수록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는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를 간섭하여 가압하게 된다(도 7c). 따라서, 제1현상유닛(20)은 장착부(80)의 측벽(82)방향으로, 즉, 인식부(86)가 설치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현상유닛(20)의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는 제2현상유닛(40)이 장착부(80)에 먼저 장착되었을 때, 제1현상유닛(20)이 장착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와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는 서로 간섭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를 접촉시키기 위해,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 각각에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와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인식접점부(26)가 설치된 제1현상유닛(20)을 인식부(86)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예를 들면 장착부(8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는 제1현상유닛(20)이 장착부(80) 내에 단독 장착된 때의 평면도, 도 9a 및 9b는 도 8의 Ⅰ,Ⅱ방향에서 장착부를 보았을 때의 도면을, 도 10은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이 장착부(80) 내에 함께 장착되었을 때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장착부(80)의 저면(81)은 인식부(8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도 9a), 또한 장착부(80)의 저면 경사는 장착부(80)의 입구쪽에서 내부쪽으로 갈수록 커지므로(도 9b), 제1현상유닛(20) 단독으로 본체(100)의 장착부(80) 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현상유닛(20)은 자체 하중 및 상기 장착부(80) 하면의 경사에 의해 장착부(80)에 설치된 인식부(86)와 멀어지게 된다. 즉,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의 접촉부(87)가 접촉하여 인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A)로부터 인식부(86)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B)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현상유닛(20)에 설치된 인식접점부(26)와 본체(100) 의 장착부(80)에 설치된 인식부(86)의 접촉부(87)는 비접촉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화상형성장치는 제1현상유닛(20)의 장착유무를 감지하지 못하고, 인쇄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오작동될 우려가 없다. 즉, 종래에 제1현상유닛(160)과 제2현상유닛(170)에 각각 인식접점부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본체의 위치에 인식부를 각각 설치하였으므로(도1 참조), 어느 하나의 유닛만 장착부에 장착되어도 오동작 발생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현상유닛(20)에만 인식접점부(26)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본체의 위치에 인식부(86)를 설치하여, 제1 및 제2현상유닛(20, 40)의 장착유무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으며, 하나의 인식접점부(26) 및 인식부(86)를 설치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현상유닛(20)과 제2현상유닛(40)이 본체(100)의 장착부(80)에 장착되어 제기능을 하다가 제2현상유닛(40)의 교환시 제2현상유닛(40)이 제거되는 순간도 마찬가지로, 제1현상유닛(20)이 초기 장착위치(B)로 밀려 가면서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의 접촉부(87)의 접촉이 단락되어 제2현상유닛(40)이 없다는 정보를 본체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현상유닛(20)이 장착되어 있는 장착부(80) 내로 제2현상유닛(40)이 슬라이딩 되면서 제2현상유닛(40)은 제1현상유닛(20)과 결합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레일(74)은 제2현상유닛(40) 내부로 장착시, 제1현상유닛(20)을 인식부(86)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현상유닛(40)이 내부로 장착되면서, 일정 위치 에서 제2현상유닛(40)의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와 제1현상유닛(20)의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는 서로 접촉되게 된다. 장착부(80) 내부로 더 들어갈수록 제2현상유닛(40)의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49)는 제1현상유닛(20)의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29)를 가압함으로써 제1현상유닛(20)을 장착부(80)의 측벽(82)으로, 즉, 장착부(80)에 설치된 인식부(86)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현상유닛(20)은 단독으로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위치(B)에서 인쇄동작을 할 수 있는 위치, 즉 인식접점부(26)와 본체(100)의 인식부(86)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A)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체는 제1현상유닛(20)의 장착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제2현상유닛(40)의 장착여부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제2현상유닛(40)은 장착부(80)에 설치되는 구동부(93)와 연결되어 인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현상유닛(20)의 인식접점부(26)가 설치되는 면에 접촉억제부재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억제부재로서 탄성부재(84)를 예시한다.
제1현상유닛(20)이 본체(100)의 장착부(80)에 단독으로 장착되었을 때, 앞선 실시예에의 장착부(80) 저면이 인식부(8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대신, 본 실시예에서는 제1현상유닛(20)의 인식접점부(26)가 설치되는 면에 탄성부재(84)를 설치한다. 따라서, 제1현상유닛(20)이 단독으로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84)에 의해 제1현상유닛(20)은 장착부(80)의 인식부(86)가 설치되는 면과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리게 되어, 결국 인식부(86)와 제1현상유닛(20)의 접촉부(87)는 접촉되지 않게 된다. 즉,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인식접점부(26)와 인식부(86)의 접촉부(87)가 접촉하여 인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A)로부터 인식부(86)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B)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현상유닛(20)에 설치된 인식접점부(26)와 본체(100)의 장착부(80)에 설치된 인식부(86)의 접촉부(87)는 비접촉 상태가 된다. 그 후, 제2현상유닛(40)이 가이드레일(74, 도10 참조)을 따라 장착부(80)에 장착되면서 제1현상유닛(20)을 가압하여 인식부(86)와 인식접점부(26)를 접촉시키는 동작은 앞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 또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부재(84)를 장착부(80)의 인식부(86)가 설치되는 측벽(82, 도4 참조)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지는 현상유닛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만 인식접점부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유닛의 장착여부 또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현상유닛이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한 면에 인식접점부를 설치하여, 본체에 설치된 현상유닛의 구동부와 중복되지 않는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현상유닛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설계상 제약이 크게 사라져서 화상형성장 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에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 중 어느 하나의 현상유닛에 인식접점부를 구비한 현상유닛조립체; 및
    상기 인식접점부가 상기 인식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인식접점부가 설치된 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저면은 상기 인식부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입구에서 내부로 갈수록 그 경사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조립체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제1현상유닛과,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제2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식접점부는 상기 제1현상유닛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현상유닛에 설치된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현상유닛에 설치된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가 상기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제1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에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 중 어느 하나의 현상유닛에 인식접점부를 구비한 현상유닛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이 상기 장착부에 모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인식접점부가 상기 인식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한 접촉억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접점부가 상기 인식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인식접점부가 설치된 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조립체는, 상기 인식접점부가 설치되며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제1현상유닛과,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제2현상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보정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현상유닛에 설치된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현상유닛에 설치된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위치보정 가이드부재가 상기 제1위치보정 가이드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제1현상유닛을 상기 인식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55139A 2004-07-15 2004-07-15 화상형성장치 KR10060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39A KR100605356B1 (ko) 2004-07-15 2004-07-15 화상형성장치
US11/179,482 US7272329B2 (en) 2004-07-15 2005-07-13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units detachable from a mount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39A KR100605356B1 (ko) 2004-07-15 2004-07-15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26A KR20060006226A (ko) 2006-01-19
KR100605356B1 true KR100605356B1 (ko) 2006-07-31

Family

ID=3559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139A KR100605356B1 (ko) 2004-07-15 2004-07-15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72329B2 (ko)
KR (1) KR100605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62B1 (ko) * 2007-07-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JP7013724B2 (ja) * 2017-08-23 2022-02-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0168A (ja) * 1984-04-27 1985-11-15 Toshiba Corp 像形成装置
JP2803867B2 (ja) 1989-11-22 199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制御装置
JPH0627814A (ja) 1992-07-10 1994-02-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895736B2 (ja) * 1994-03-15 1999-05-2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JPH11133839A (ja) 1997-10-27 1999-05-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56607A (ja) * 1999-08-18 2001-02-27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DE60228673D1 (de) 2001-12-28 2008-10-16 Canon Kk Prozesskassette und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gerät
US7369783B2 (en) * 2003-10-31 2008-05-06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men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3600A1 (en) 2006-01-19
KR20060006226A (ko) 2006-01-19
US7272329B2 (en)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6221B2 (ja) 画像形成装置
CN102483603B (zh) 电子照相成像设备
KR101356649B1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408430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97272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556718B2 (ja) 位置決め機構
KR10068318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10363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89820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20294651A1 (en) Multi-Function Printer
JP4887137B2 (ja) 画像読取装置
EP0341761B1 (en) Copying machine in the form of an electrostatic photographic printer
KR100553909B1 (ko) 스캐너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KR100605356B1 (ko) 화상형성장치
KR20130051742A (ko) 화상형성장치
US8781354B2 (en) Image-forming apparatus
KR930011661B1 (ko) 급지카세트를 제거한 레이저 빔 프린터
KR100611990B1 (ko)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86260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verturning prevention parts
CN108227446B (zh) 图像形成装置
JP516862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955871B2 (ja) 画像形成装置
JP2795398B2 (ja) 画像記録装置
JP202018398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