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990B1 -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990B1
KR100611990B1 KR1020040070794A KR20040070794A KR100611990B1 KR 100611990 B1 KR100611990 B1 KR 100611990B1 KR 1020040070794 A KR1020040070794 A KR 1020040070794A KR 20040070794 A KR20040070794 A KR 20040070794A KR 100611990 B1 KR100611990 B1 KR 10061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photosensitive medium
photosensitive
photosensitive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034A (ko
Inventor
강일권
유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990B1/ko
Priority to US11/143,627 priority patent/US20060051127A1/en
Priority to EP05255008A priority patent/EP1632818A3/en
Priority to CNA200510091952XA priority patent/CN1746786A/zh
Publication of KR2006002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도어(door)의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면 감광매체를 가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감광매체를 노출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셔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광매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셔터를 가압하여 미는 푸셔(pusher)를 구비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연계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링크가 움직여 상기 감광매체가 노출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Apparatus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감광매체 셔터가 열린 상태, 도 2는 감광매체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현상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는 감광매체 셔터가 열린 상태, 도 6은 감광매체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를 VII-VII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2 ...도어
110 ...현상기 114 ...감광드럼
120 ...셔터(shutter) 122, 124 ...제1, 제2 암(arm)
127 ...스크린 129 ...레버
130 ...제1 링크 131 ...푸셔(pusher)
134 ...가이드돌기 140 ...제2 링크
142 ...인장스프링 145 ...가이드홈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매체의 광피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감광매체의 노출을 차단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란, 예컨데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developing agent)인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감광매체를 오랜 시간 사용하면 광(光)에 대한 민감성이 적어지는 소위 '광피로' 현상이 발생는데, 더이상 선명한 화상 인쇄가 불가능해지므로 새 것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상기 감광매체가 외부의 밝은 빛에 자주 그리고 오래 노출되면 이와 같은 광피로 현상이 빨리 나타나기 때문에,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감광매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감광매체 셔터가 열린 상태, 도 2는 감광매체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감광매체(1)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셔터(10)와, 상기 셔터(10)를 밀어 감광매체(1)가 노출되도록 하는 푸셔(pusher, 16)를 구비한 링크(link, 15)와, 화상형성장치의 도어(30)와 상기 링크(15)를 연계시키는 제1 및 제2 기어(20, 26), 캠(22), 한 쌍의 스프링(24, 28)을 구비한다.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단색 화상이 형성되는 4개의 감광매체를 구비하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감광매체들은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현상기들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감광매체(1)들을 가리기 위한 셔터(10)도 각 현상기에 하나씩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링크(15)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4개의 셔터(10)들을 밀기 위한 푸셔(16)가 4개 마련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5)에서 돌출된 푸셔(16)가 셔터(10)의 레버(11)를 위로 밀어올려 셔터(10)가 감광매체(1)를 가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어(30)가 열리면, 도어(30)의 돌출부(32)가 제2 기어(26)를 당겨 상기 제2 기어(26)가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26)에 치합된 제1 기어(20)가 회전하며, 상기 제1 기어(20)에 결합된 캠(22)이 회전하여, 링크(15)가 하강한다. 이에 따라 푸셔(16)가 더이상 셔터(10)의 레버(11) 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셔터(10)가 화살표 방향의 외부 빛으로부터 감광매체(1)를 가리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30)를 다시 닫으면, 스프링(24, 28)의 인장력에 의해 제1 및 제2 기어(20, 26)와 캠(2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링크(15)도 다시 상승하고 푸셔(16)가 다시 셔터(10)의 레버(11)를 밀어올려 셔터(10)가 감광매체(1)를 가리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그 부품이 매우 많고 조립이 까다로우며, 부품들의 동작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산비용이 증대되고, 기능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이 많아 소형화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현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종래보다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도어(door)의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면 감광매체를 가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감광매체를 노출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셔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광매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셔터를 가압하여 미는 푸셔(pusher)를 구비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연계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링크가 움직여 상기 감광매체가 노출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제2 링크가 제1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링크가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 내에서 미끄러지며 움직여 상기 제1 링크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이 수직선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선 방향이며,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모두 평행하지 않게 사선(斜線)으로 연장된 제3 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와, 그를 가리기 위한 셔터가 제1 링크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복수 개의 셔터를 가압하여 밀도록 푸셔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의 제2 링크는 상기 도어가 닫혔다가 다시 열렸을 때 처음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door)가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도어를 열어 케이스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감광매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면 감광매체를 가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감광매체를 노출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감광매체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셔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광매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셔터를 가압하여 미는 푸셔(pusher)를 구비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연계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링크가 움직여 상기 감광매체가 노출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제2 링크가 제1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링크가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 내에서 미끄러지며 움직여 상기 제1 링크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이 수직선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선 방향이며,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모두 평행하지 않게 사선(斜線)으로 연장된 제3 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와, 그를 가리기 위한 셔터가 제1 링크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복수 개의 셔터를 가압하여 밀도록 푸셔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의 제2 링크는 상기 도어가 닫혔다가 다시 열렸을 때 처음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현상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는 감광매체 셔터가 열린 상태, 도 6은 감광매체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를 VII-VII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칼라 프린터로서, 케이스(101) 내부에 4개의 현상기(110), 4개의 광주사기(165), 반송벨트(150), 4개의 전사롤러(155), 및 정착기(160)를 구비한다. 또한,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157), 상기 카세트(157)로부터 용지를 낱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58), 상기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159), 및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62)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10)는 현상제인 토너가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환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칼라화상의 인쇄를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1) 측면의 도어(102)를 열면 반송벨트(150) 및 이를 지지하는 롤러들(151 내지 155)도 상기 도어(102)의 열림과 연계되어 횡으로 배열되므로, 토너가 소진돈 현상기들(110C, 110M, 110Y, 110K)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반송벨트(150)는 다수의 지지롤러들(151 내지 154)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순환주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주사기(165)는 상기 4개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에 대응하여 4개가 구비된다. 각 광주사기(165C, 165M, 165Y, 165K)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빔을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하우징(111) 내부에 장착된 감광매체(114)로 주사한다. 상기 광주사기(165C, 165M, 165Y, 165K)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각 현상기들(110C, 110M, 110Y, 110K)는 하우징(111) 내부에 감광매체인 감광드럼(114), 및 현상롤러(115)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114)은 화상의 전사를 위해, 화상 인쇄시에 반송벨트(150)와 마주보는 외주면의 일부가 하우징(111)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현상기들(110C, 110M, 110Y, 110K)은 대전롤러(119)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대전롤러(119)에는 감광드럼(114)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119)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현상롤러(115)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114)으로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15)에는 토너를 감광드럼(114)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하우징(111) 내부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15)로 공급하는 공급롤러, 현상롤러(115)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 하우징(111)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 형태의 교반기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는 광주사기(165C, 165M, 165Y, 165K)에 의하여 주사된 광빔이 감광드럼(114)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112)를 구비한다.
4개의 전사롤러(155)는 반송벨트(15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4)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사롤러(155)에는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칼라화상형성과정을 설명한다.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4)은 대전롤러(120)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광주사기(165C, 165M, 165Y, 165K)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빔을 개구(112)를 통하여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4)으로 주사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114)의 외주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11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러면 토너가 현상롤러(115)에서 감광드럼(114) 외주면으로 이동하여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4) 외주면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가시(可視)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용지는 픽업롤러(158)에 의해 카세트(157)로부터 픽업되고, 이송롤러(159)에 의하여 반송벨트(150)로 인입된다. 상기 용지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상기 반송벨트(150)의 표면에 부착되어 반송벨트(150)의 주행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반송벨트(150)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용지는, 가장 아래에 위치한 시안(C) 색상의 현상기(110C)의 감광드럼(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시안(C) 색상의 가시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155)와 대면된 전사닙(nip)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그 선단이 상기 전사닙(nip)에 도달된다. 이때, 전사롤러(155)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드럼(114)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계속하여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다른 현상기(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4) 외주면에 형성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가시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에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는 칼라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정착기(160)는 용지에 형성된 칼라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에 정착시킨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롤러(162)에 의하여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도어(102)를 열었을 때 감광드럼(114)이 외부의 빛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셔터(120)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 및 제2 링크(130, 140)를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셔터(120)는 현상기(110)의 하우징(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감광드럼(114)을 가리기 위한 스크린(127)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린(127)은 하우징(111)의 측면부에 제1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암(arm)(122), 및 제2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암(124)의 각 말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123, 125)은 감광드럼(114)의 회전중심(114a)과 일치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암(122)이 제2 암(124)보다 회전 반경이 크기 때문에, 스크린(127)이 감광드럼(114)을 가릴 때 2점 쇄선으로 나타내진 바와 같이 스크린(127)이 감광드럼(114)의 외주면 윤곽선을 따라 접근할 수 있으며, 빛의 새어들어옴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감광드럼(114)이 노출되도록 스크린(127)이 하강할 때에도 상기 스크린(127)에 의한 감광드럼(114)의 긁힘 등의 손상이 방지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제1 힌지축(123) 주변에는 토션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제1 암(122)은 반시계방향, 즉 스크린(127)이 감광드럼(114)을 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또한, 상기 제1 힌지축(123) 주변에는 레버(129)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129)는 제1 힌지축(123)을 기준으로 제1 암(122)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레버(129)가 가압되어 위로 밀리면 상기 제1 암(122) 및 그에 결합된 스크린(127)이 아래로 내려가 감광드럼(114)이 노출된다.
도 5 및 도 6에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현상기(110)의 하우징(111)은 도시되지 않았고, 셔터(120)의 제2 암(124)도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 링크(130)는 수직선 방향인 제1 방향(i)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i)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케이스(101, 도 3 참조)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링크(130)에는 감광드럼(114)들과 함께 종(縱)으로 배열된 셔터(120)들의 각 레버(129)를 밀어 올리는 4개의 푸셔(131)들이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각 푸셔(131)들은 제1 링크(130)의 측면에서 횡(橫)으로 돌출되며 레버(129)들에 근접한 아래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1 링크(13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돌기(134)가 마련된다.
상기 제2 링크(140)는 수평선 방향인 제2 방향(ii)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제2 방향(ii)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케이스(101, 도 3 참조)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2 링크(140)의 일측 단부에는 비스듬한 사선(斜線) 방향인 제3 방향(iii)으로 연장된 가이드홈(145)이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45)은 제1 링크(130)의 가이드돌기(134)를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링크(140)의 제2 방향(ii) 직선 왕복운동이 제1 링크(130)의 제1 방향(i)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2 링크(140)의 타측 단부는 도어(102)가 그 힌지축(1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힐 때 상기 힌지축(03) 주변의 돌출부(102a)와 접촉하여 좌측으로 밀린다.
상기 제2 링크(140)에는 스프링(142)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142)의 일측 단부는 제2 링크(140)에 고정 연결된 체결돌기(143)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케이스(101) 내부에 고정 연결된 체결돌기(105)에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142)은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평형인 상태이고, 도 5에서와 같이 늘어났을 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갖는 인장스프링이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 도 3 참조)의 도어(102)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42)이 늘어나지 않은 상태이며, 가이드돌기(134)가 가이드홈(145)의 하단부에 수용되어 제1 링크(130)가 아래로 내려와 있다. 따라서, 셔터(120)의 레버(129)가 푸셔(131)에 의해 밀리지 않으며 감광드럼(114)을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셔터(120)의 스크린(127)이 상승하여, 화살표로 표시된 외부의 빛으로부터 감광드럼(114)의 노출이 차단된다.
상기 도어(102)가 닫히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2)의 돌출부(102a)에 의해 제2 링크(140)가 밀리고, 상기 가이드홈(145)의 경사면에 밀려 상기 가이드돌기(134)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130)의 푸셔(131)가 상승하여 상기 레버(129)를 밀고, 스크린(127)이 하강하여 감광드럼(114)이 노출되며 인쇄 가능 상태가 된다. 다시 상기 도어(102)를 닫으면, 인장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링크(140)가 도 6에서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홈(145)의 경사면에 밀려 가이드돌기(134)가 다시 하강한다. 따라서 제1 링크(130)의 푸셔(131)가 다시 하강하고 스크린(127)이 상승하여 감광드럼(114)의 노출이 차단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종래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현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도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Claims (10)

  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도어(door)의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면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가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노출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각각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상기 감광매체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셔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셔터를 각각 가압하여 미는, 상기 셔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푸셔(pusher)를 구비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연계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링크가 움직여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가 노출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크가 움직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제1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링크가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 내에서 미끄러지며 움직여 상기 제1 링크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수직선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선 방향이며,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모두 평행하지 않게 사선(斜線)으로 연장된 제3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도어가 닫혔다가 다시 열렸을 때 처음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6. 도어(door)가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도어를 열어 케이스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가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노출하는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를 각각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상기 감광매체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셔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셔터를 각각 가압하여 미는, 상기 셔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푸셔(pusher)를 구비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연계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링크가 움직여 상기 복수 개의 감광매체가 노출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링크가 움직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제1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링크가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 내에서 미끄러지며 움직여 상기 제1 링크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수직선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선 방향이며,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모두 평행하지 않게 사선(斜線)으로 연장된 제3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도어가 닫혔다가 다시 열렸을 때 처음의 위치로 복원 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70794A 2004-09-06 2004-09-06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61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94A KR100611990B1 (ko) 2004-09-06 2004-09-06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11/143,627 US20060051127A1 (en) 2004-09-06 2005-06-03 Unit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5255008A EP1632818A3 (en) 2004-09-06 2005-08-12 Unit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510091952XA CN1746786A (zh) 2004-09-06 2005-08-15 用于遮蔽光敏介质的装置及具有其的电子照相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94A KR100611990B1 (ko) 2004-09-06 2004-09-06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34A KR20060022034A (ko) 2006-03-09
KR100611990B1 true KR100611990B1 (ko) 2006-08-11

Family

ID=3616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794A KR100611990B1 (ko) 2004-09-06 2004-09-06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51127A1 (ko)
EP (1) EP1632818A3 (ko)
KR (1) KR100611990B1 (ko)
CN (1) CN17467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6851B2 (ja) * 2007-12-27 2010-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122465A (ja) * 2008-11-19 2010-06-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1968538B1 (ko) * 2012-12-12 2019-04-1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JP6708443B2 (ja) * 2016-03-01 2020-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ック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90861A (ja) * 2017-11-10 2019-06-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リンク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160316A (ja) * 2019-03-27 2020-10-0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遮蔽装置、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8642B2 (ja) * 1999-08-31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95522B1 (ko) * 2000-08-25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2818A3 (en) 2006-09-20
CN1746786A (zh) 2006-03-15
US20060051127A1 (en) 2006-03-09
EP1632818A2 (en) 2006-03-08
KR20060022034A (ko)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68142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14227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採用した画像形成装置
KR10076204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63018A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US7286787B2 (en) Shutter for a develop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98402B2 (ja) レーザプリンタ
US20110142489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632818A2 (en) Unit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721349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65095B1 (ko)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
KR100644658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8173811A (ja) ライン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42968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86346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4181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808323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88548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22841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830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8398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362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3599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