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522B1 - 레이저 프린터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522B1
KR100395522B1 KR10-2000-0049691A KR20000049691A KR100395522B1 KR 100395522 B1 KR100395522 B1 KR 100395522B1 KR 20000049691 A KR20000049691 A KR 20000049691A KR 100395522 B1 KR100395522 B1 KR 10039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unit
photosensitive drum
side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389A (ko
Inventor
김경환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522B1/ko
Priority to US09/901,056 priority patent/US6448994B1/en
Publication of KR2002001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에 의해 오픈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프린터 본체와;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도어유닛과; 전면도어의 오픈시 장착부에 착탈가능하며, 장착시 전사롤러에 접촉되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며, 감광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를 가지는 현상유닛과; 측면도어유닛이 닫힌 상태에서 장착된 현상유닛이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록수단; 및 인터록수단과 함께 연동가능하며, 측면도어유닛의 개방시 개방구를 폐쇄시키고, 측면도어의 장착시 개방구를 오픈시키기 위한 셔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레이저 프린터에 의하면, 전사롤러와 감광드럼을 분리시킨 상태에서만 현상유닛의 착탈이 가능하고,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 감광드럼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게 되므로, 감광드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 부품 취급 및 교체시 감광드럼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전방으로 감광드럼(2a)을 가지는 현상유닛(2)과 토너카트리지(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유닛(2)을 장착시, 감광드럼(2a)은 전사롤러(4a)와 접촉회전 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전사롤러(4a)는 프린터본체(1)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도어유닛(4)에 지지된다. 상기 측면도어유닛(4)은 용지의 잼(jam) 제거 및 부품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프린터본체(1)의 측면을 개폐시키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감광드럼(2a)은 대전롤러(미도시)에 의해 전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레이저주사유닛(5)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에는 토너카트리지(3)로부터 공급된 토너가 부착되어 화상이 가시화된다. 이러한 예비화상은 용지카세트(6)에서 픽업수단(7)에 의해 픽업된 후 전사롤러(4a)와 감광드럼(2a)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전사된다. 토너가 전사된 인쇄용지는 정착부(8)를 거치면서 토너를 고착시킨 후, 소정의 경로를 거쳐 스테커에 배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프린터에 있어서, 프린터본체(1) 내부의 청소, 고장수리 또는 부품 등의 교환 등을 위해 현상유닛(2)을 프린터본체(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프린터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도어(미도시)를 열고 현상유닛(2)을 장착부(1a)로부터 꺼내면 된다. 그런데, 상기 측면도어유닛(4)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전사롤러(4a)와 감광드럼(2a)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측면도어유닛(4)을 오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유닛(2)을 빼내면, 감광드럼(2a)이 전사롤러(4a)에 긁혀서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부주의에 의해 감광드럼(2a)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현상유닛(2)이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4)을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시킬 경우, 감광드럼(2a)이 프린터본체(1)의 오픈된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감광드럼(2a)의 표면이 직사광선으로부터 노출이되면 수면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측면도어유닛(4)의 오픈시, 감광드럼(2a)을 외부로부터 차광시킬 수 있는 장치 등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의 접촉 등으로 인한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에 감광드럼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고, 측면도어유닛의 결합시 현상유닛의 착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레이저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상유닛을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현상유닛이 장착되고 측면도어유닛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측면도어유닛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린터본체 20..측면도어유닛
23..전사롤러 30..현상유닛
31..감광드럼 33..현상기본체
40..토너카트리지 51..슬라이딩부재
53,69..가압스프링 61..회동부재
63..셔터 64..회동유닛
65..회동브라켓 67..연결와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는,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에 의해 오픈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도어유닛과; 상기 전면도어의 오픈시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며, 장착시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되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를 가지는 현상유닛과; 상기 측면도어유닛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장착된 현상유닛이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록수단; 및 상기 인터록수단과 함께 연동가능하며, 상기 측면도어유닛의 개방시 상기 개방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측면도어의 장착시 상기 개방구를 오픈시키기 위한 셔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급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는, 전면으로 개방된 장착부(10a)를 가지는 프린터본체(10)와, 상기 프린터본체(1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도어유닛(20)과, 상기 장착부(1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30)과, 상기 측면도어유닛(20)이 닫힌 상태에서 현상유닛(30)이 장착부(10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록수단 및 셔터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프린터본체(10)의 전면에는 장착부(10a)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면도어(11)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10a)에는 현상유닛(30)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40)가 현상유닛(30)과 함께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장착부(10a)의 하방에는 인쇄용지가 수용되는 용지카세트(13)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도어유닛(20)은 프린터본체(1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프린터본체(10)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브라켓(21)과, 상기 도어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23) 및 용지이송롤러(25)를 구비한다. 상기 전사롤러(23)는 현상유닛(30)을 장착부(10a)에 장착시, 그 현상유닛(30)에 설치된 감광드럼(31)에 접촉되며, 그 사이로 인쇄용지를 통과시킨다.
상기 현상유닛(30)은 토너카트리지(40)와 상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장착부(10a)에 결합된다. 이러한 현상유닛(30)은 미도시된 레이저주사유닛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31)과, 감광드럼(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기본체(33)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본체(3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31)이 전사롤러(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그 감광드럼(31)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3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유닛(30)을 장착부(10a)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면도어유닛(20)을 닫으면, 감광드럼(31)과 전사롤러(23)가 접촉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인터록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51)와, 가압스프링(53)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a)의 출입구로 돌출되는 차단위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a)의 출입구로부터 벗어나서 현상유닛(30)의 분리장착을 자유롭게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51)는 프린터본체(10)에 결합되는 측면도어유닛(20)에 밀려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51)의 일단부에는 후술할 회동부재(61)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51b)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51b)은 슬라이딩부재(51)의 이동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프린터본체(10)에는 슬라이딩부재(5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스프링(53)은 일단이 프린터본체(10)의 고정핀(16)에 설치되고, 타단은 슬라이딩부재(51)의 지지핀(51a)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부재(51)를 상기 해제위치로 탄성가압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측면도어유닛(20)을 오픈시킨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51)가 장착부(10a)의 출입구로부터 벗어나므로, 현상유닛(20)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셔터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51)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프린터본체(10)에 설치된 회동부재(61)와, 현상기본체(33)의 개방구(33a)를 개폐시키기 위한 셔터(63)와, 상기 현상기본체(33)의 측면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셔터(63)를 상하 이동시키는 한 쌍의 회동유닛(64)과, 가압스프링(69)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재(61)는 일단이 프린터본체(10)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위에 슬라이딩부재(51)의 장공(51b)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61a)를 가진다. 이러한 회동부재(61)는 슬라이딩부재(51)에 의해 연동되면서 장착부(10a)의 출입구로 돌출되거나, 장착부(10a)의 출입구로부터 벗어나도록 왕복선회 된다.
상기 셔터(63)는 상기 개방구(33a)를 개폐시키도록 현상기본체(33)의 외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셔터(63)는, 현상기본체(33)의개방구(33a) 주위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홈(33b)과 셔터(63)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63a)를 구비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회동유닛(64)은 회동브라켓(65)과, 상기 회동브라켓(65)과 셔터(63)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67)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브라켓(65)은 일단이 현상기본체(33)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34)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회동레버(61)에 접촉되게 돌출형성된 접촉돌기(65a)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65)은, 상기 회동부재(6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a)의 출입구로 돌출될 때, 그 회동부재(61)의 자유단부(61b)에 의해 상기 접촉돌기(65a)가 접촉되어 밀림으로써 A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회동부재(6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면, 회동브라켓(65)도 상기 가압스프링(69)에 의해 B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된다. 상기 연결와이어(67)는 회동브라켓(65)과 셔터(63)를 연결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와이어(67) 각각은 일단이 셔터(63)의 하단부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브라켓(65)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와이어(67)는 회동브라켓(65)과 함께 왕복회동되면서 셔터(63)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69)은 일단이 회동브라켓(65)에 연결되고, 타단은 현상기본체(33)의 측부에 마련된 지지핀(35)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스프링(69)은 회동브라켓(65) 및 연결와이어(67)를 B 방향으로 탄성가압함으로써, 회동부재(61)와 접촉돌기(65a)가 분리된 상태에서 셔터(63)가 개방구(33a)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의 측면도어유닛(2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전사롤러(23)와 감광드럼(31)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51)가 측면도어유닛(20)에 밀려서 상기 차단위치 즉, 장착부(10a)의 출입구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현상유닛(30)이 슬라이딩부재(51)에 걸려서 장착부(10a)로부터 빼낼 수 없게된다. 이와 같이 되면,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감광드럼(31)이 전사롤러(23)에 접촉된 상태에 있을 때, 현상유닛(30)을 장착부(10a)로부터 빼내는 실수를 범하지 않게 되고, 감광드럼(31)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회동부재(61)도 슬라이딩부재(51)에 밀려 장착부(10a)의 출입구로 돌출되므로, 현상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보조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61)가 장착부(10a)의 출입구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회동부재(61)에 의해 회동유닛(64)이 A 방향으로 완전히 밀린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와이어(67)에 연결된 셔터(63)는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셔터(63)는 현상기본체(33)의 개방구(33a)를 개방시키도록 이동되어 위치고정되고, 개방된 개방구(33a)를 통해 감광드럼(31)과 전사롤러(23)의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용지 잼(jam)이 발생한 경우, 측면도어유닛(5)을 열어야 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20)을 오픈시키면, 전사롤러(23)와 감광드럼(31)이 분리된다. 그리고, 측면도어유닛(20)에 밀려서 차단위치에 위치되었던 슬라이딩부재(51)가 가압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되면, 슬라이딩부재(51)는 장착부(10a)의 출입구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부재(61)도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51)에 의해 회동되어 장착부(10a)의 출입구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계속해서, 회동부재(61)에 의해 A 방향으로 치우쳐있던 회동브라켓(65)과 연결와이어(67)는, 회동부재(61)가 장착부(10a)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차츰 자유롭게 되어 가압스프링(69)의 가압력에 의해 B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B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와이어(67)의 일단에 연결된 셔터(63)는 연결와이어(67)에 이끌려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다. 상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셔터(63)는 현상기본체(33)의 개방구(33a)를 외부로부터 차단함으로서, 감광드럼(31)이 오픈된 프린터본체(10)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측면도어유닛(20)의 오픈동작과, 슬라이딩부재(51)의 이동과, 회동부재(61)와 회동유닛(64)의 회동 및 셔터(63)의 이동은 상호 동시에 연동되면서 동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도어유닛(20)의 오픈된 각도에 따라서, 감광드럼(31)의 노출정도가 함께 변하게 된다.
한편, 측면도어유닛(20)을 어느 정도 큰 각도로 오픈시키면, 셔터(63)는 완전히 상승되어 개방구(33a)를 폐쇄시키고, 슬라이딩부재(51)는 해제위치로 완전히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현상유닛(3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a)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현상유닛(30)을 장착부(10a)로부터 분리하더라도, 감광드럼(31)과 전사롤러(23)가 분리되어 셔터(63)에 의해 직사광선 등으로부터 차단된 상태이므로, 감광드럼(31)의 훼손을 방지하면서,현상유닛(30)을 착탈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유닛(64)이 회동부재(61)에 밀려 선회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동유닛(64)이 측면도어유닛(20)에 직접 밀려서 선회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도어유닛(20)에는 상기 회동유닛(64)을 접촉가압하기 위해 장착부(10a)로 돌출되는 예컨대 돌출바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에 따르면, 전사롤러와 감광드럼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현상유닛을 프린터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없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감광드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도어유닛을 오픈시키거나, 현상유닛을 프린터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감광드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셔터수단을 인터록수단과 함께 연동되게 설치함으로서, 감광드럼을 직사광선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리 및 장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토록 수단과 셔터수단이 동일한 기구적인 연결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의 중복을 피할 수 있어 간단하게 실현시킬수 있다는 설계상의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에 의해 오픈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도어유닛과;
    상기 전면도어의 오픈시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며, 장착시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되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를 가지는 현상유닛과;
    상기 측면도어유닛이 닫힐 때 그 측며도어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장착된 현상유닛이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측면도어유닛이 열릴때 상기 현상유닛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인터록수단; 및
    상기 측면도어유닛의 개방시 상기 개방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측면도어유닛이 상기 프린터본체의 측면을 폐쇄시킬 때 상기 인터록수단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구를 오픈시키는 셔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수단은,
    상기 장착부의 출입구로 돌출되는 차단위치와, 상기 출입구로부터 벗어나서 상기 현상유닛의 분리를 자유롭게 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프린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되는 측면도어유닛에 밀려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해제위치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수단은,
    상기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현상유닛의 외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텨와;
    일단은 상기 셔터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현상유닛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장착되는 측면도어유닛에 밀려 회동되면서 상기 셔터를 하강시켜 상기 감광드럼을 노출시키는 회동유닛과;
    상기 셔터가 상기 감광드럼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셔터 또는 상기 회동브라켓을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하 이동시,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개방구 주위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걸려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셔터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장착부의 출입구로 돌출되거나 출입구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프린터본체에 왕복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현상유닛의 외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와;
    일단은 상기 셔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현상유닛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출입구로 돌출되는 회동부재에 밀려 회동되면서 상기 셔터를 끌어내려 상기 감광드럼을 노출시키는 회동유닛과;
    상기 셔터가 상기 감광드럼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셔터 또는 상기 회동유닛을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일단은 상기 현상유닛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레버에 접촉되도록 타단에 형성된 접촉돌기를 가지며,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해 상기 셔터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회동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셔터의 측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브라켓에 고정되어 그 회동브라켓과 함께 회동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방향에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KR10-2000-0049691A 2000-08-25 2000-08-25 레이저 프린터 KR10039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691A KR100395522B1 (ko) 2000-08-25 2000-08-25 레이저 프린터
US09/901,056 US6448994B1 (en) 2000-08-25 2001-07-10 Laser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691A KR100395522B1 (ko) 2000-08-25 2000-08-25 레이저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389A KR20020016389A (ko) 2002-03-04
KR100395522B1 true KR100395522B1 (ko) 2003-08-25

Family

ID=1968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691A KR100395522B1 (ko) 2000-08-25 2000-08-25 레이저 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48994B1 (ko)
KR (1) KR100395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6736B1 (en) * 1998-04-14 2004-09-28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having front and side covers
KR100449088B1 (ko) * 2002-07-12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빔 차단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 장치
US7212767B2 (en) * 2002-08-09 2007-05-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ed thereto
JP3747195B2 (ja) * 2002-11-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99813B2 (en) * 2003-10-22 2007-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otographic printer using hyper-pigment loaded toners
KR100601889B1 (ko) 2004-03-04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60017799A1 (en) * 2004-07-23 2006-01-26 Manish Sharma Flexible media magnetic laser printer
KR100611990B1 (ko) * 2004-09-0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7206528B2 (en) * 2004-11-12 2007-04-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7212221B2 (en) * 2004-11-17 2007-05-01 Xerox Corporation ROS shutter system
US20080145097A1 (en) * 2005-01-25 2008-06-19 Samuel Tsui Activation Mechanism for a Shutter
KR100695070B1 (ko) 2005-06-30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감광드럼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JP4831790B2 (ja) * 2009-07-31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264561B2 (en) 2012-04-27 2016-0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with link mechanism
JP5999491B2 (ja) * 2012-08-27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4442018B (zh) * 2013-09-23 2017-05-24 南京永耀激光科技有限公司 载玻片的激光打标方法及装置
JP6233096B2 (ja) * 2014-02-28 2017-11-22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ターロック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6292982B2 (ja) * 2014-05-30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608504B (zh) * 2015-02-15 2016-03-16 王铁苗 一种自动打标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268A (en) *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US4952989A (en) * 1985-04-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Photoreceptor attachment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KR970021283U (ko) * 1995-11-10 199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감광드럼 보호장치
JPH1078738A (ja) * 1996-08-19 1998-03-24 Hewlett Packard Co <Hp> 光導電体アセンブリ用の旋回可能なシールド
US6075958A (en) * 1997-11-28 2000-06-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openable cov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268A (en) *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US4952989A (en) * 1985-04-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Photoreceptor attachment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KR970021283U (ko) * 1995-11-10 199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감광드럼 보호장치
JPH1078738A (ja) * 1996-08-19 1998-03-24 Hewlett Packard Co <Hp> 光導電体アセンブリ用の旋回可能なシールド
US6075958A (en) * 1997-11-28 2000-06-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openable c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48994B1 (en) 2002-09-10
US20020024585A1 (en) 2002-02-28
KR20020016389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522B1 (ko) 레이저 프린터
EP1298502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US689519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protruding member engaging a regulating guide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e process cartridge is attachable and from which the cartridge is detachable and such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37293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5831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04888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019007A (ko) 화상 형성 장치
JPS60260063A (ja) 静電写真式複写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着脱式処理用カートリツジ
US4860056A (en) Sealable toner recovery box for an image forming machine
JP2006098492A (ja) 画像形成装置
US2021037348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S63165886A (ja) 静電写真式複写機とそのための処理ユニット
JP3589857B2 (ja) 定着ユニットの脱着機構
JP2781196B2 (ja) 画像記録装置
JP4012188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96736B1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front and side covers
JPS63163864A (ja) 像形成装置用処理ユニット
JPS63163865A (ja) 複写機
JPH04166977A (ja) 廃トナーボトル保持装置
JP362886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機構、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KR100395523B1 (ko) 레이저 프린터
EP0905585B1 (en)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shutter to cover the surface of a photocondu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rtridge
US522393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therefor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H066360Y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