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673A -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673A
KR20090032673A KR1020070098106A KR20070098106A KR20090032673A KR 20090032673 A KR20090032673 A KR 20090032673A KR 1020070098106 A KR1020070098106 A KR 1020070098106A KR 20070098106 A KR20070098106 A KR 20070098106A KR 20090032673 A KR20090032673 A KR 20090032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fram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hotosensitiv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277B1 (ko
Inventor
천용주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277B1/ko
Priority to US12/052,913 priority patent/US8457524B2/en
Priority to CN2008101377264A priority patent/CN101398653B/zh
Publication of KR2009003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감광매체를 지지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감광매체와 현상부재가 현상 갭을 유지하는 제 1 위치와, 현상 갭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제 2 프레임; 및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착탈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현상유닛, 가동프레임, 현상프레임, 힌지회전, 구속장치

Description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 현상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한다.
이 중, 현상유닛은 개인용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와 일체로 구성되나,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대용량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유닛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개인용에 비해 사무용이 인쇄 매수가 많아 현상제 카트리지의 수명과 현상유닛의 수명을 동일하게 구성할 경우, 유지/보수에 비용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현상제의 소모에 따라 빈번하게 교체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다르게, 감광매체, 현상부재 등을 포함하는 현상유닛은 감광매체의 수명이 다하여 더 이상의 노광이 불가능하거나, 화상의 품질이 현저하게 하락할 경우 교체된다.
한편, 상기 현상유닛은 사용하는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으 로 나눌 수 있는데, 도 1은 비접촉식 현상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프레임(1)에는 감광매체(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광매체(1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20)는 제 2 프레임(1a)에 설치된다. 제 2 프레임(1a)은 상기 제 1 프레임(1)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20)는 화상 형성을 위해, 상기 감광매체(10)와 일정한 현상 갭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상롤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롤러 샤프트(21)의 양 끝단에는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는 상기 현상롤러(20) 및 현상롤러 샤프트(2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는, 플라스틱 성형물로 마련되며, 상기 감광매체(10)의 비화상 영역에서 접촉/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현상유닛을 상기 감광매체(10)와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서로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운반 또는 보관하면, 현상유닛에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상기 감광매체(10)와 접촉하고 있는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물리적인 손상을 받아 변형되면, 감광매체(10)와 현상롤러(20)가 일정한 현상 갭을 유지하지 못하면서, 화상에 줄이 가는 것과 같은 화상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감광매체(10)와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는 서로 떨어진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는 것이 좋다.
도 2는 이와 같이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프레임(1a)을 임시 고정하여, 현상유닛 내부의 감광매체(10)와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서로 떨어지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20), 공급롤러(25) 등의 회전부품들은, 현상유닛 내부에 마련된 제 2 프레임(1a)에 고정되는데, 이 제 2 프레임(1a)은 제 1 프레임(1)에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 1 위치는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였을 경우, 상기 감광매체(10)와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현상유닛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감광매체(10)와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서로 분리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프레임(1a)을 상기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고무재질의 고정핀(1b)을 현상유닛 외부로부터 관통 결합하여, 상기 고정핀(1b)이 상기 제 2 프레임(1a)의 회전을 방지한다.
그러나 비전문가인 일반 사용자가 현상유닛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고정핀(1b)을 제거하지 않고,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면, 현상 갭 유지 디스크(30)가 감광매체(10)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작동하면, 현상유닛에서 인쇄에 필요한 현상 갭이 확보되지 않아, 화상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는 화상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상유닛의 장착 전에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고정핀(1b)을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자 편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유닛의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유닛의 내부 부품의 파손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유닛의 장착동작에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광주사장치와 같은 부품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감광매체를 지지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감광매체와 현상부재가 현상 갭을 유지하는 제 1 위치와, 현상 갭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제 2 프레임; 및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착탈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함으로써 현상 갭을 유지시 키는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를 가지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규제 홈 내에 위치하는 규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규제 홈과 규제 돌기 사이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는 각각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부재는,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할 때, 화상형성장치와 간섭되는 간섭단부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간섭단부는, 현상유닛의 장착시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광주사장치의 안전 스위치를 온(ON) 작동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은, 감광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현상부재, 공급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설치된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상보적으로 설치되며,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경우,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로 상기 제 2 프레임을 회전시키고,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서 탈착될 경우,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떨어지는 위치로 상기 제 2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제 1 프레임 내측의 상기 제 2 프레임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2개의 제 1 돌기를 구비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기 제 1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2개의 제 2 돌기;를 포함하여,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제 1 돌기가 상기 제 2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 2 프레임이 고정되고,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제 1 돌기와 제 2 돌기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접촉되는 위치로 상기 제 2 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가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 이동거리를 규제하는 규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규제 홈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규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 홈과 규제 돌기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은,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수단; 및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며, 제 1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닛이,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감광매체의 길이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수단의 축간 거리방향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를 노광하는 광주사장치, 급지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이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상을 형성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유닛을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감광매체와 현상부재 사이에 현상 갭이 자동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현상 갭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부품으로 마련된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현상장치가 제거되면, 자동으로 광주사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광주사장치의 오작동으로 사용자가 위해를 당할 우려가 없어, 제품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은 제 1 프레임(110)과 상기 제 1 프레임(120)에 힌지점(H)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프레임(120) 및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결정유닛(130)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10)에는 감광매체(1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프레임(120)에는 상기 감광매체(111)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부재(112) 및 공급부재(115) 등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20)은 상기 제 1 프레임(110)에서 감광매체(111)와 현상부재(112)가 현상 갭을 유지하는 제 1 위치와, 현상 갭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감광매체(111)와 현상부재(112)는 사용되는 현상제가 비접촉 현상제일 경우, 현상제 점핑(jumping)에 최적화된 현상 갭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감광매체(111)와 현상부재(112)는 롤러부재로 마련되며, 일정한 현상 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부재(112)의 회전축(113)에는 디스크 형상의 현상 갭 유지부재(114, 이하, 현상 갭 유지 디스크라고 칭한다.)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 갭 유지 디스크(114)는 상기 감광매체(111)의 비화상 영역에서 상기 감광매체(111)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축(113)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부재(112)의 반지름을 r, 현상 갭 유지 디스크(114)의 반지름을 R, 현상 갭을 d 라고 한다면, R-r=d가 되도록 상기 현상 갭 유지 디스크(114)의 지름을 설정한다.
상기 위치결정유닛(130)은 상기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 사이 에 상보적으로 설치되어,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제 2 프레임(120)을 상기 제 2 위치에 고정하고,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제 2 프레임(120)을 상기 제 1 위치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며, 상기 위치결정유닛(130)은 가이드 레일(131), 레버부재(132) 및 제 2 돌기(133)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31)은 제 1 프레임(110)에 마련되며, 상기 레버부재(132)가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폭 방향(도 4의 X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레버부재(132)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한다. 이 가이드 레일(131)에 의해 상기 레버부재(132)는 제 1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도 4의 Y방향)으로는 요동하지 않는다.
레버부재(132)는 일측 단부에 간섭단부(137)가 형성된다. 이 간섭단부(13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기 전에는 현상유닛 외부로 돌출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현상유닛 내부로 함몰된다.
상기 간섭단부(137)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장착 여부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내부 벽면 또는 구성부품 등과 간섭되어, 레버부재(132)를 상기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간섭단부(137)는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 위치에서 소정의 구성부품의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도 있는데, 현상유닛 탈착에 연동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111)를 노광하는 광주사장치의 안전 스위치(S, 도 10 참조)를 스위칭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광주사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은 사용자의 눈에 직접 닿으면,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요소이므로, 현상유닛이 제거되어 광주사장치가 노출될 경우, 상기 간섭단부(137)가 누르고 있던 안전 스위치(S)가 오프(OFF) 되도록 형성하면, 자동으로 광주사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10)에는 규제 홈(111a)이 마련되고, 상기 레버부재(132)에는 상기 규제 홈(111a)에 안착되는 규제 돌기(132a)가 마련된다. 상기 규제 돌기(132a)는 상기 규제 홈(111a) 내부를 따라 움직이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레버부재(132)는 상기 규제 홈(111a)의 폭 방향 길이 만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섭단부(137)가 간섭되지 않을 경우, 항상 현상유닛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규제 홈(111a)과 규제 돌기(132a) 사이에는 탄성부재(135)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5)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레버부재(132)가 현상장치 장착시 1회만 움직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삭제 가능하다.
상기 레버부재(1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돌기(132b)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상기 제 1 돌기(132b)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 2 돌기(133)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돌기(132b)는 제 1 프레임(110)의 양 끝단과 가까운 곳에 2개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기(132b)와 제 2 돌기(133)의 접촉되는 부분에는 각각 경사면(132c)(133c)(도 4 및 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132)의 왕복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기 전에는 제 1 돌기(132b)와 제 2 돌기(133)가 서로 돌출된 가장 끝단(132d)(133d)이 서로 접촉/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위치를 상기 제 2 위치에 임시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프레임(110)에 설치된 감광매체(111)와 상기 제 2 프레임(120)에 설치된 현상 갭 유지 디스크(114)는 서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반 과정 중의 충격 등에 의해 현상 갭 유지 디스크(114)가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돌기(132b)와 제 2 돌기(133)의 돌출된 가장 끝단(132d)(133d)이 서로 접촉/지지되면, 상기 레버부재(132)의 간섭단부(13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 외부로 돌출된다. 이처럼 상기 간섭단부(137)가 현상유닛 외부로 돌출되면,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간섭단부(137)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장착부의 내에 설치된 부품과 간섭될 수 있다.
즉, 현상장치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감광매체(111)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위치결정유닛(130)은 상기 제 2 프레임(120)을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감광매체(111)와 현상부재(112)의 축간 거리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감광매체(111)와 현상부재(112)의 현상 갭이 형성된다. 그러면, 돌출된 상기 간섭단부(137)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광주사장치의 안전 스위치(S)에 의해 간섭되어, 현상유닛 내측으로 함몰된다. 이때, 상기 레버부재(132)는 도 7의 화살표 방향(A)으로 이동하고, 제 2 돌기(133)의 가장 끝단(133d)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기(132b)의 가장 끝단(132d)으로부터 이탈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프레임(120)은 힌지점(H)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돌기(132b)의 가장 끝단(132d)이 상기 레버부재(132)의 측면(132e)과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상기 제 1 돌기(132b)의 가장 끝단(132d)이 상기 레버부재(132)의 측면(132e)과 접촉할 때까지 회전하면, 상기 감광매체(111)와 현상 갭 유지 디스크(114)는 상기 감광매체(111)의 비화상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여, 현상부재(112)가 상기 감광매체(111)에 대하여 일정 현상 갭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힌지점(H)에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제 2 프레임(120)에는 현상부재(112) 및 공급부재(113) 등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므로, 제 2 프레임(120)은 그 자중만으로도 어려움 없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섭단부(137)는 상기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장착위치에 장착될 경우, 광주사장치에 전원인가를 스위칭하는 안전 스위치(S)를 온(ON)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현상유닛이 올바른 위치에 장착될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 고정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위치고정을 수행하고, 현상유닛의 장착 전에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고정부품을 제거한 후 현상유닛을 장착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현상유닛의 장착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현상유닛의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부품의 작동 여부를 스위칭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유닛이 개별 부품으로 마련된 대용량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에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기 전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현상유닛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현상유닛의 사시도,
도 6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현상유닛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현상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현상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 1 프레임 120; 제 2 프레임
111a; 규제 홈 130; 위치결정유닛
131; 가이드 레일 132; 레버부재
132a; 규제 돌기 132b; 제 1 돌기
133; 제 2 돌기 135; 탄성부재
137; 간섭단부 H; 힌지점
S; 안전 스위치

Claims (17)

  1. 감광매체를 지지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감광매체와 현상부재가 현상 갭을 유지하는 제 1 위치와, 현상 갭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제 2 프레임; 및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착탈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함으로써 현상 갭을 유지시키는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 를 가지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규제 홈 내에 위치하는 규제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홈과 규제 돌기 사이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는 각각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현상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할 때, 화상형성장치와 간섭되는 간섭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단부는, 현상유닛의 장착시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광주사장치의 안전 스위치를 온(ON)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1. 감광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현상부재, 공급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설치된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상보적으로 설치되며,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경우,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로 상기 제 2 프레임을 회전시키고,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서 탈착될 경우,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떨어지는 위치로 상기 제 2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제 1 프레임 내측의 상기 제 2 프레임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2개의 제 1 돌기를 구비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기 제 1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2개의 제 2 돌기;를 포함하여,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제 1 돌기가 상기 제 2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 2 프레임이 고정되고,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제 1 돌기와 제 2 돌기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 갭 유지부재가 서로 접촉되는 위치로 상기 제 2 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가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 이동거리를 규제하는 규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규제 홈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규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 홈과 규제 돌기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5.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수단; 및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며,
    제 1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닛이,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감광매체의 길이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수단의 축간 거리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7. 감광매체를 노광하는 광주사장치, 급지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이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상을 형성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98106A 2007-09-28 2007-09-28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KR10139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06A KR101394277B1 (ko) 2007-09-28 2007-09-28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US12/052,913 US8457524B2 (en) 2007-09-28 2008-03-21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demounting developing cartridge to/from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8101377264A CN101398653B (zh) 2007-09-28 2008-07-18 显影盒、成像装置、以及安装/拆除显影盒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06A KR101394277B1 (ko) 2007-09-28 2007-09-28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673A true KR20090032673A (ko) 2009-04-01
KR101394277B1 KR101394277B1 (ko) 2014-05-14

Family

ID=4050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106A KR101394277B1 (ko) 2007-09-28 2007-09-28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57524B2 (ko)
KR (1) KR101394277B1 (ko)
CN (1) CN101398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4431B2 (ja) 2010-07-23 2012-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56324B2 (ja) * 2014-12-12 2018-0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70126716A (ko) 2016-05-10 2017-11-2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45B1 (ko) * 2003-07-14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US7072603B2 (en) *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JP2006235489A (ja) 2005-02-28 2006-09-0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4040636B2 (ja) *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221888B2 (en) 2005-04-24 2007-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cartridge having position in which rollers are separated from photoco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277B1 (ko) 2014-05-14
US20090087218A1 (en) 2009-04-02
US8457524B2 (en) 2013-06-04
CN101398653B (zh) 2012-12-26
CN101398653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7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ovable engageable spacing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force receiving portion
KR10102787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지지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분해 방법
JP466744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2253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for memory
US775644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599921B2 (en) Image forming device providing accurate positioning between exposure unit and photosensitive body
US20030091361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JP365831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639967B2 (en) Photosensitive-member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forming device including a non-rattling conveying member
KR20030057279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N109143821B (zh) 具有光学打印头的成像设备
JP2009181018A (ja) ドラムカートリッジ
KR20090032673A (ko)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JP470131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471007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shutter opening projection that moves in two directions
JP2020146918A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用の清掃部材および光プリントヘッ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86251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990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광주사장치
US10409216B2 (en) Printer module having print-head moving mechanism
JP2006267137A (ja) 画像形成装置
JP3167015U (ja) ドラムカートリッジ
KR101101822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1262569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6884832B2 (ja) 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