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045B1 -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045B1
KR100498045B1 KR10-2003-0047913A KR20030047913A KR100498045B1 KR 100498045 B1 KR100498045 B1 KR 100498045B1 KR 20030047913 A KR20030047913 A KR 20030047913A KR 100498045 B1 KR100498045 B1 KR 10049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075A (ko
Inventor
전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45B1/ko
Priority to US10/778,155 priority patent/US7162183B2/en
Priority to JP2004103943A priority patent/JP2005037889A/ja
Priority to CNB2004100493895A priority patent/CN100385346C/zh
Publication of KR2005000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특히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감광드럼에 대한 현상롤러의 현상갭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현상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회전 가능한 감광드럼;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이동 부착시키는 현상롤러;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주는 현상제 공급롤러; 감광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 제 1 지지체에 설치되되 그 중심과 감광드럼 중심 및 현상롤러 중심이 삼각형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현상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현상제 공급롤로 전달하는 아이들기어;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 및 감광드럼에 대한 현상롤러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제 2 지지체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제 1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결정부재의 회동점은 아이들기어의 중심과 현상롤러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한다.

Description

현상장치{DEVICE OF DEVELOPMEN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자성 1성분 비접촉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자성 1성분 비접촉식 현상장치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갭(이하, '현상갭'이라 한다)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부연하면, 상기와 같은 비자성 1성분 비접촉식 현상장치에서는 감광드럼에 구비된 감광드럼기어로부터 현상롤러에 구비된 현상롤러기어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현상롤러가 회전 구동하게 되는데, 이 때, 필수적으로 도 1 내지 도 3 나타낸 바와 같은 기어의 압력각(α) 방향으로 발생하는 척력으로 인한 현상갭 불균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현상갭 불균일은 화상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균일한 현상갭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현상갭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주는 종래의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도 1에 의하면, 종래 일 예에 의한 현상장치(1)는 제 1 지지체(10)에 대전롤러(11), 감광드럼(12), 클리닝 블레이드(13) 및 폐현상제통(14)이 구비되어 감광유닛(20)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 2 지지체(30)에 현상롤러(31), 규제블레이드(32), 현상제 공급롤러(33) 및 현상제(34)가 구비되어 현상유닛(40)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현상장치(1)는 상기 현상유닛(40)에 포함되며 상기 감광유닛(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감광드럼(12)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31)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부재(50)를 아울러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장치(1)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의 구동력이 감광드럼(12)에 구비된 감광드럼기어(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고, 상기 기어로부터 현상롤러(31)에 구비된 현상롤러기어(도시되지 않음)로 구동력이 전달되며, 또한, 아이들기어(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현상제 공급롤러(33)에 구비된 기어(도시되지 않음)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감광드럼(12), 현상롤러(31) 및 현상제 공급롤러(33)가 회전 구동하면서 감광드럼(12)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구동력 전달 과정에서 기어의 압력각(α) 방향으로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한 현상갭 불균일을 방지하고자, 상기 위치결정부재(50)의 회동점(51)을 도 1에서와 같이, 압력각(α) 벡터상에 위치시킴으로써 현상롤러(31)가 감광드럼(12)에 가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치결정부재(50)의 회동점(51) 위치만을 제어하여 현상갭을 유지시키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균일한 현상갭을 얻기 위하여 아주 높은 부품의 정도를 요구함으로써 부품 관리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회동점(51) 결정의 제약으로 인해 현상장치의 소형화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현상갭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종래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현상장치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도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의하면,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현상장치(2)에서는, 구동력 전달 과정에서 기어의 압력각(α) 방향으로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한 현상갭 불균일을 방지하고자, 위치결정부재(50A)의 회동점(51A)을 도 2에서와 같이, 특정범위(β)상에 위치시키고, 별도의 가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현상롤러(31)를 감광드럼(12)에 가압시켜 주는 모멘트(91)를 인가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위치결정부재(50A)의 회동점(51A)의 위치제어와 함께 가압부재를 사용하여 감광드럼(12)에 대한 현상롤러(31)의 모멘트(91)로써 현상갭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현상제(34)의 용량 및 사용에 따른 구동부하의 변동, 대량생산에서 발생하는 부품치수 편차와 조립 편차를 모두 감안한 가압부재의 설계 및 품질유지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현상갭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종래의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현상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도,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의하면,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현상장치(3)는, 감광유닛(20)의 제 1 지지체(10)에 설치된 중력방향위치제어부재(15)에 현상유닛(40)의 1차 중력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50B)가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현상유닛(40)의 2차 중력방향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부재(6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장치(3)에서는, 구동력 전달 과정에서 기어의 압력각(α) 방향으로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한 현상갭 불균일을 방지하고자,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15)로부터 현상유닛(40)의 1차 중력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50B)와 2차 중력방향 위치결정부재(60)로 감광드럼(12)에 대한 현상롤러(31)의 위치를 결정한 후, 별도의 가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현상롤러(31)를 감광드럼(12)에 가압시켜 주는 모멘트(92)를 인가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상갭 유지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현상장치(2)에서와 같은 문제, 즉 현상제(34)의 용량 및 사용에 따른 구동부하의 변동, 대량생산에서 발생하는 부품치수 편차와 조립 편차를 모두 감안한 가압부재의 설계 및 품질유지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상갭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회전 가능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이동 부착시키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주는 현상제 공급롤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 및 상기 제 1 지지체에 설치되되 그 중심과 상기 감광드럼 중심 및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이 삼각형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제 공급롤로 전달하는 아이들기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현상롤러는 중심이 삼각형으로 배치된 감광드럼기어, 현상롤러기어 및 상기 아이들기어에 의한 구동시 감광드럼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됨으로써, 별도의 가압부재없이도 감광드럼에 안정적으로 가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 및 상기 감광드럼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체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 1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회동점은 상기 아이들기어의 중심과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체는 각각 분리 형성된 현상실과 현상제 수용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현상제 수용실은 상기 제 1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실은 상기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축간 거리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간극유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간극유지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축 측부에서 이 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에 설치된 간극유지블록을 포함하거나, 상기 현상롤러의 양단 또는 양단 중 어느 한 쪽단에 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간격유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현상장치는, 상기 제 2 지지체의 중력방향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축 하부에서 이 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에 설치된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부재는 축지지블록이며, 상기 제 2 부재는 롤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현상장치는, 회전 가능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이동 부착시키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주는 현상제 공급롤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 상기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 및 제 2 지지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3 지지체; 및 상기 제 3 지지체에 설치되되 그 중심과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 및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이 삼각형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제 공급롤러로 전달하는 아이들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드럼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체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 3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회동점은 상기 아이들기어의 중심과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8은 감광유닛의 개략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감광유닛, 200은 현상유닛, 그리고, 300은 위치결정부재이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유닛(100)은 제 1 지지체(110)에 대전롤러(120), 감광드럼(130), 클리닝 블레이드(140) 및 폐현상제통(1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감광드럼(130)은 그 중앙부의 축(131)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감광드럼(130)은 그 회전 구동력을 후술하는 현상롤러(220)로 전달하기 위한 감광드럼기어(132)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감광유닛(100)의 제 1 지지체(110)에는 소정위치에 아이들기어(160)가 축(16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현상유닛(200)은 제 2 지지체(210)에 현상롤러(220), 규제블레이드(230), 현상제 공급롤러(240) 및 현상제(2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현상롤러(220)는 그 중앙부의 축(221)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220)는 상기 감광드럼기어(132)와 치합되는 현상롤러기어(222)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감광드럼(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30)에 현상제(250)를 이동 부착시킨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220)는 상기 감광드럼(130)과의 축간 거리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간극유지부재로서, 현상롤러(220)의 양단 또는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상기 감광드럼(130)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간극유지링(223)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제 공급롤러(240)는 상기 현상롤러(220)에 현상제(250)를 공급하여 주는 것으로, 그 중앙부의 축(241)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롤러(240)는 상기 아이들기어(160)와 치합되는 종동기어(242)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부가된 상기 아이들기어(160)는 상기 현상롤러기어(222)와 상기 종동기어(242)와 치합하며, 이에 의해 감광드럼(130)의 회전 구동력은 현상롤러기어(222) 및 아이들기어(160)를 통하여 상기 종동기어(242)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아이들기어(16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중심(O1)과 감광드럼기어(132)의 중심(O2)과 현상롤러기어(222)의 중심(O3)이 삼각형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제 1 지지체(1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3개 기어의 삼각형 배치에 따라 기어의 구동에 따른 자연스러운 힘 F(도 9 참조)가 발생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상롤러(220)가 감광드럼(130)에 안정적으로 가압되는 바, 이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와 같이, 감광드럼기어(132)가 현상롤러기어(222)를 구동시킬 때 기어의 압력각(α) 방향으로 F1이 발생하여 현상롤러(220)를 감광드럼(130)으로부터 밀려나게 한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현상롤러기어(222)가 아이들기어(160)를 구동시킬 때 마찬가지로 기어의 압력각(α) 방향으로 F2가 발생하는데, 상기 아이들기어(160)가 밀려나지 않도록 장착되면 현상롤러기어(222)는 F2의 반력 F2t(도 12 참조)에 의해 다시 감광드럼(130) 가까이로 밀려난다. 따라서, 현상롤러기어(222)는 도 12에서와 같이 F1 과 F2t, 이 두 힘의 조합으로 인해 F의 힘을 받게 되어, 도 9에서와 같이 감광드럼(130)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되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300)는 상기 제 1 지지체(110)와 제 2 지지체(21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현상롤러(220)가 상기 감광드럼(130)에 가압되도록 상기 제 2 지지체(210)를 상기 제 1 지지체(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감광드럼(130)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22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결정부재(300)는 상기 제 2 지지체(210)에 설치되며, 또한, 그 단부가 힌지로 상기 제 1 지지체(110)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재(300)의 힌지 위치, 즉 회동점(310)은 상기 아이들기어(160)의 중심과 상기 현상롤러(220)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는, 현상유닛(200)을 구성하는 제 2 지지체(210A)가 현상실(211)과 현상제 수용실(212)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수용실(212)은 그 상하부 체결편(212a)(212b)이 감광유닛(100)을 구성하는 제 1 지지체(110)의 해당부위에 체결요소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 1 지지체(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실(211)은 위치결정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체(110)의 앞서 설명한 G선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외 다른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는 도 4의 제 1 실시예의 구성 중 감광드럼(130)에 대한 현상롤러(220)의 축간거리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간극유지부재로서, 현상롤러(220)의 축(221)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110)에 설치되는 간극유지블록(223A)을 구비한다는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는, 현상유닛(200)을 구성하는 제 2 지지체(210)의 중력방향위치를 결정하여 주기 위한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400)를 구비한다는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본 실시예의 특징인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4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400)는 현상롤러(220)의 축(221) 하부에서 이 축(221)을 지지하도록 감광유닛(100)을 구성하는 제 1 지지체(110)에 설치된 제 1 부재로서의 축지지블록(410)과, 상기 제 2 지지체(210)를 지지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제 2 부재로서의 롤러(4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지지블록(410)과 위치결정부재(300)에 의해 현상유닛(200)의 1차 중력방향 위치가 결정되고, 또한, 상기 롤러(420)에 의해 2차 중력방향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감광드럼기어(132), 현상롤러기어(222) 및 아이들기어(160)의 구동력 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힘 F에 의해 현상롤러(220)가 감광드럼(130)에 가압됨으로써 안정된 현상갭의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첨부한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의 특징은, 상기 감광드럼(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110)와 상기 현상롤러(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210)를 결합하기 위한 제 3 지지체(500)(500A)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지지체(500)(500A)에 앞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아이들기어(160)가 설치된다는 것이다.
상기 아이들기어(160)는 앞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그 중심이 상기 감광드럼(130)의 중심 및 상기 현상롤러(220)의 중심과 삼각형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220)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제 공급롤러(2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30)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220)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구비되는 위치결정부재(300)는 상기 제 2 지지체(210)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 3 지지체(500)(50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도 상기 위치결정부재(300)의 회동점(310)은 상기 아이들기어(160)의 중심과 상기 현상롤러(220)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지지체(500)(500A)에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부재(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510)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강광드럼(130)의 축(131)을 지지하기 위한 드럼 지지부(520)가 구비된다.
그외 다른 구성은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며, 작용 또한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위치결정부재에 대한 회동점의 설정 범위가 비교적 넓어 소형화 설계에 있어 유리하다. 또한, 구동부하 변동에 따라 감광드럼에 대한 현상롤러의 가압력인 F가 적정하게 변화 대응 가능되므로 안정된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언제나 균일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품질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상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현상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등 사용자 선호도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적절한 모든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현상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현상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현상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의 주요부인 아이들기어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감광유닛의 개략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의 현상갭 유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현상장치의 제 3 지지체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감광유닛 110;제 1 지지체
130;감광드럼 132;감광드럼기어
160;아이들기어 200;현상유닛
210,210A;제 2 지지체 211;현상실
212;현상제 수용실 220;현상롤러
222;현상롤러기어 223;간격유지링
223A;간극유지블록 240;현상제 공급롤러
242;종동기어 250;현상제
300;위치결정부재 310;회동점
400;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 410;축지지블록
420;롤러 500,500A;제 3 지지체
510;힌지 520;드럼 지지부

Claims (11)

  1. 회전 가능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이동 부착시키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주는 현상제 공급롤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 및
    상기 제 1 지지체에 설치되되 그 중심과 상기 감광드럼 중심 및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이 삼각형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제 공급롤로 전달하는 아이들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 및
    상기 감광드럼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체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 1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회동점은 상기 아이들기어의 중심과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체는 각각 분리 형성된 현상실과 현상제 수용실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용실은 상기 제 1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실은 상기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축간 거리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간극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축 측부에서 이 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에 설치된 간극유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양단 또는 양단 중 어느 한 쪽단에 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간격유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체의 중력방향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방향위치결정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축 하부에서 이 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에 설치된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축지지블록이며, 상기 제 2 부재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회전 가능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이동 부착시키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주는 현상제 공급롤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
    상기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지지체 및 제 2 지지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3 지지체; 및
    상기 제 3 지지체에 설치되되 그 중심과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 및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이 삼각형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현상제 공급롤러로 전달하는 아이들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에 대한 상기 현상롤러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체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 3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회동점은 상기 아이들기어의 중심과 상기 현상롤러의 중심을 연결한 선(G)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KR10-2003-0047913A 2003-07-14 2003-07-14 현상장치 KR10049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913A KR100498045B1 (ko) 2003-07-14 2003-07-14 현상장치
US10/778,155 US7162183B2 (en) 2003-07-14 2004-02-17 Developing unit with developing gap control
JP2004103943A JP2005037889A (ja) 2003-07-14 2004-03-31 現像装置
CNB2004100493895A CN100385346C (zh) 2003-07-14 2004-06-09 显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913A KR100498045B1 (ko) 2003-07-14 2003-07-14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075A KR20050008075A (ko) 2005-01-21
KR100498045B1 true KR100498045B1 (ko) 2005-07-01

Family

ID=3405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913A KR100498045B1 (ko) 2003-07-14 2003-07-14 현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62183B2 (ko)
JP (1) JP2005037889A (ko)
KR (1) KR100498045B1 (ko)
CN (1) CN1003853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8705A (ja) * 2004-08-20 2006-03-02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729626B1 (ko) 2005-12-28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840168B2 (en) * 2006-06-23 2010-11-2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4402079B2 (ja) * 2006-06-23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KR101394277B1 (ko) * 2007-09-28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제거 방법
JP4502008B2 (ja) * 2007-12-28 2010-07-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874956B2 (ja) * 2011-08-30 2016-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6094795B2 (ja) * 2012-02-22 2017-03-15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EP3745215A1 (en) 2012-06-15 2020-12-0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685421B (zh) * 2012-07-12 2020-03-20 惠普印迪戈股份公司 用于调色剂施加的方法和装置
EP2775355A3 (en) 2013-03-05 2018-01-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US9285758B1 (en) *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8073A (ja) * 1987-10-20 1989-04-25 Nec Corp 光シリアルプリンタヘッド
JPH0271278A (ja) * 1988-09-06 1990-03-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396653U (ko) * 1990-01-25 1991-10-03
JPH03285034A (ja) * 1990-03-30 1991-12-16 Sumitomo Metal Ind Ltd 炭化物分散型チタン基合金の製造方法
JP2540392Y2 (ja) * 1990-04-27 1997-07-0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H04219550A (ja) 1990-10-05 1992-08-10 Ricoh Co Ltd 回転体の駆動装置
JPH05158338A (ja) * 1991-12-10 1993-06-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234789A (en) 1992-03-19 1993-08-10 Ocg Microelectronic Materials, Inc. Polylactide compounds as sensitivity enhancers for radiation sensitive mixtures containing o-quinonediazide photoactive compounds
JPH05265265A (ja) * 1992-03-23 199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057124B2 (ja) * 1992-05-25 2000-06-2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の位置決め機構
JPH0772675A (ja) * 1993-06-28 1995-03-1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161482A (zh) * 1996-03-11 1997-10-08 三田工业株式会社 照相版影印装置
US5839021A (en) * 1996-07-24 1998-11-17 Oki-Data Corporation Developing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mploying a supply roller for transferring toner to a developing roller
JPH10282752A (ja) * 1997-04-04 1998-10-2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32972B2 (ja) * 1997-07-03 2006-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H1195509A (ja) * 1997-09-18 1999-04-09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112240A (ja) * 1998-09-30 2000-04-21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従動側駆動力伝達部材
JP4440372B2 (ja) * 1999-06-08 2010-03-24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034022A (ja) 1999-07-19 2001-02-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091265A (ja) * 2000-09-11 2002-03-27 Toshiba Tec Corp 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358091B1 (ko) 2001-02-21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 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JP2002328585A (ja) * 2001-04-27 2002-11-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028142A (ja) * 2001-07-19 2003-01-29 Konica Corp 位置決め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37802B2 (ja) * 2001-10-30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149936A (ja) * 2001-11-15 2003-05-21 Canon Inc 現像装置
EP1347344A3 (en) * 2002-03-20 2007-10-24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carri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7159A (zh) 2005-02-09
US7162183B2 (en) 2007-01-09
JP2005037889A (ja) 2005-02-10
KR20050008075A (ko) 2005-01-21
CN100385346C (zh) 2008-04-30
US20050013627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045B1 (ko) 현상장치
KR100605165B1 (ko) 화상형성장치
US4989037A (en) Device for driving a rotary body
KR100532119B1 (ko)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JP2005208654A (ja) 感光体の定速回転維持構造及び摩擦部材
KR10051475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WO2020251052A1 (ja) ドラムユニット、駆動伝達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221049A (ja) 伝動装置
KR10028538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126381B2 (en)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JP444037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37176B2 (ja) 現像装置
JPH04219550A (ja) 回転体の駆動装置
JPH09311552A (ja) 画像形成装置
JP4058634B2 (ja) 現像装置
JPH0755561Y2 (ja) 現像装置
JP200614610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S61290457A (ja) 現像装置
JPH0772813B2 (ja) 現像装置
JPH08682Y2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KR2001863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닙 조절장치
JP2022144781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114326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73117A (ko)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JPH0124447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