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840B1 - 오퍼레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오퍼레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840B1
KR100539840B1 KR1019980031634A KR19980031634A KR100539840B1 KR 100539840 B1 KR100539840 B1 KR 100539840B1 KR 1019980031634 A KR1019980031634 A KR 1019980031634A KR 19980031634 A KR19980031634 A KR 19980031634A KR 100539840 B1 KR100539840 B1 KR 10053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device
housing
sub
gea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320A (ko
Inventor
라인하르트 베르게르
안드레아스 다이멜
Original Assignee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2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4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16D7/04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the axially moving part being coaxial with the rotation, e.g. a gear with face teeth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클러치를 자동 작동시키기 위한 오퍼레이팅 장치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오퍼레이팅 장치
본 발명은 구동 모터의 구동 운동을 출력 요소의 출력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출력부에서 출력 요소와 구동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니트를 포함한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클러치를 자동 작동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장치에 관련된다.
DE 195 04 847로 공지된 전술한 형태의 오퍼레이팅 장치는 넓은 구조 공간을 필요로 하고 효율도가 저하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장치는 조립하고 분해하기에도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구조 공간을 요구하는 오퍼레이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오퍼레이팅 장치는 쉽게 제작하고 조립할 수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치 기어박스의 최상 자동-로킹 기능 및 최상의 효율도를 가지는 오퍼레이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제 1, 제 2 서브 유니트 각각이 폐쇄 모듈로서 각각 형성되고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구조 유니트와 연결되며 제 1 서브 유니트는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가지고 제 2 서브 유니트는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가지며 두 개의 서브 유니트는 상기 전기 플러그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두 서브 유니트 중 하나가 독립 하우징을 가지고 하우징을 가지는 서브-유니트는 폐쇄 모듈로서 형성된다면 유리하다. 또 하우징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서브-유니트가 먼지나 물 등과 같은 유체가 끼일 수 없게 밀폐된 서브-유니트로서 형성된다면 유리하다. 기계적 연결부가 전기 플러그 연결부에 의해 서브-유니트 사이에 구비된다면 편리하다. 두 전기 및 기계적 연결은 플러그를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계적 연결부가 하나 이상의 기계적 키이를 가지는 스냅-피트 연결에 의해 두 서브-유니트 사이에 형성되어서 부품의 한 요소가 다른 부분의 소켓에 맞물려져 고정된다면 유리하다.
기계적 연결부가 나사, 리벳 또는 접착 연결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의해 서브-유니트 사이에 형성된다면 편리하다.
그리고 기계적 연결부가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의해 서브-유니트 사이에 형성되고 이 연결 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구조 유니트 완제품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서브-유니트의 연결은 자동차에 서브-유니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전기 연결부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전기 플러그 연결부는 플러그로서 형성되고 다른 전기 플러그 연결부는 소켓으로 형성된다.
동력 유니트 및 제어 전자 유니트와 같은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제 2 서브-유니트의 하우징이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둘 이상의 하우징 쉘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쉘 사이에 장착된다. 제 2 서브-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쉘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면 유리하다. 제 2 서브-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쉘이 금속으로 만들어진다면 유리하다. 또 제 2 서브-유니트가 다른 자동차 전자 유니트 및 센서와 전기 연결하기 위한 다른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모터의 구동 운동을 출력 요소의 출력 운동을 변환시키는 기어박스 및, 출력부에서 출력 요소와 구동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니트를 구비한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클러치를 자동 작동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장치를 포함하고, 기어박스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장치의 출력 요소 및 구동 유니트 사이에 힘을 전달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기어박스가 둘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한 부분은 하나 이상의 스퍼어 휠 기어를 포함한다면 유리하다. 또 기어박스가 둘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한 부분은 스핀들 기어를 포함한다면 유리하다. 상기 스핀들 기어는 스퍼어 휠 기어 뒤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연결된다.
스퍼어 휠 기어는 스퍼어 휠과 같은 두 개의 맞물리는 기어휠로 구성되고 하나의 기어휠은 구동부에 힘을 전달할 수 있게 장착되고 또 하나의 기어휠은 출력부에 힘을 전달할 수 있게 장착된다.
스퍼어 휠 기어는 스퍼어 휠과 같은 3개의 기어휠을 가지는 2단 변속기로 형성되는데 각각의 두 기어휠은 서로 맞물리고 구동부의 기어휠과 출력부의 기어휠 및 중간 기어휠은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된다.
구동부에서 기어휠은 구동 유니트의 출력 샤프트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수용된다. 또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구동부에서 스핀들과 같은 스핀들 기어 요소와 출력부에서 스퍼어 휠 기어의 기어휠 사이에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것은 스핀들의 허브 또는 스핀들 자체일 수도 있고 활성 연결되는 요소일 수도 있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구동부에서 스퍼어 휠 기어의 기어휠과 구동 유니트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므로 미끄럼 마찰 클러치가 기어박스 부분 사이에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된다면 유리하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스퍼어 휠 기어의 기어휠 치형부를 구비한 공간 내부에 방사상으로 장착된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스퍼어 휠 기어의 기어휠 치형부를 구비한 공간 내부에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신장된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기어휠에 통합되어서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기어휠 내부에 장착되는데 여기에서 마찰 표면으로서 적용할 수 있는 미끄럼 마찰 클러치의 각 구성 성분은 기어휠에 연결되거나 일체 형성된다. 통합된 구조 부품과 같은 미끄럼 마찰 클러치의 배치는 본 발명에 따라 오늘날 차량 내부 공간 조건에 중요한 공간의 효율도를 높인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제 1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 및 제 2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2 요소를 가지는데 두 요소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수단으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데 상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판 스프링이 선호된다. 본 발명에 따라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로서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은 구조 공간의 효율성을 높인다. 판 스프링은 방사상 안팎의 톱니형 부분과 함께 마찰 고리 및 허브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구조 공간을 적게 필요로 하고 판 스프링과 같은 요소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져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감소된 부품의 수는 조립 조건을 단순화시킨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둥글거나, 타원형 또는 각을 이룬 와이어 물질 횡단면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이거나, 둥글거나, 타원형 또는 각을 이룬 와이어 물질 횡단면을 가지는 파상 스프링이다.
제 1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기어휠과 일체성형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기어휠과 키이에 맞물려져 연결된다. 상기 키이를 가지는 연결부는 소켓 부분에서 캠 또는 치형부와 맞물려져 형성된다.
제 1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둥근 고리형 마찰면 또는 접촉 표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 2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2 요소는 둥근 고리형 요소로서 형성된다. 둥근 고리형 요소는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고 접촉면을 지지하는 아암을 가진다. 둥근 고리형 요소는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와 키이 연결부를 형성하는 아암을 포함한다. 제 1, 제 2 둥근 고리형 마찰 표면 및 접촉 표면은 평평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제 2 둥근 고리형 마찰 표면 및 접촉 표면은 축방향으로 조절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것은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개개의 둥근 고리부분은 축방향으로 만들어져 피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둥근 고리면의 사인 경로는 축방향 변조로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나타낸, 마찰 표면의 둥근 고리형 부분은 축방향으로 증가한 피치를 가지고, 원주 방향으로 나타낸, 마찰 표면의 다른 둥근 고리형 부분은 축방향으로 감소한 피치를 가지는데 이 고리형 부분은 교대로 피치가 증감한다.
따라서 피치가 감소한 부분의 기울기는 피치가 증가한 부분의 기울기와 동일하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감소한 부분의 기울기가 증가한 부분의 기울기와 동일하지 않다면 유리하다. 이 불규칙성은 동일한 축방향 힘으로 전기 모터의 견인 방향을 따라 다른 인장 모우멘트를 발생시켜서, 출력부에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힘을 해제한다. 이것은 견인 방향으로 다르게 작용하는 스핀들 기어의 스핀들 효과와 더불어 발생할 수 있다.
두 요소 중 하나가 판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수단으로 바이어스되고 접촉면과 반대 접촉면은 마찰 접촉되게 서로에 대해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출력부에서 기어휠이라면 유리하다. 구동 유니트의 출력 샤프트와 출력 요소의 축이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다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핀들 기어는 나사산이 있는 스핀들과 너트를 포함하고 너트는 각운동할 수 있게 장착되지만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너트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 고정되게 장착되지만 카로테(calotte) 베어링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카로테 베어링은 하우징에 대해 너트의 경사를 보상할 수 있다.
너트가 측면과 같은 두 개의 반구형 표면과 구형 윤곽을 가지고 반구형 표면 사이에 치형부분이 구비되도록 카로테 베어링이 형성되는데, 구형 표면은 두 개의 축방향으로 바이어스된 반구 쉘의 공동이 있는 실린더 내부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공동이 있는 실린더는 너트의 치형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 치형 부분을 가지고 실린더는 외부 치형 부분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치형부분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유지된다.
카로테 베어링의 반구 쉘은 공동이 있는 실린더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그러므로 카로테 베어링의 하나 이상의 반구 쉘이 스냅-피트 연결부나 치형부분에 의해 공동이 있는 실린더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두 개의 반구형 쉘과 너트는 탄성 요소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바이어스된다. 탄성 요소가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이거나 탄성 요소가 고무 링과 같은 탄성중합체 요소 또는 플라스틱이라면 유리하다.
장치의 하우징과 출력요소 또는 이와 연결된 요소 사이에서 오퍼레이팅 장치가 출력 요소에 탄성력을 가하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이라면 유리하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통하여 출력 요소에 가해지는 힘은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 모터를 통하여 작동 공정을 돕는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압력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구동 모터와 기어박스를 가지는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유체, 다판 클러치, 컨버터 브릿지 클러치 또는 그밖의 다른 클러치에서 작동하는 마찰 클러치, 건식 마찰 클러치, 습식 클러치와 같은 클러치의 자동 작동을 위한 오퍼레이팅 장치(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오퍼레이팅 장치(1)는 제 1 서브-유니트(2)와 제 2 서브-유니트(3)를 포함한다.
제 1 서브-유니트(2)는 하우징(6)과 출력 요소(7)뿐만 아니라 플러그나 소켓과 같은 전기 플러그 연결부(5), 오퍼레이팅 장치의 구동 모터(4)로 구성된다. 하우징(6) 내부에 모터 출력 샤프트의 운동을 출력 요소(7)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박스가 배치된다. 이 하우징(6)은 자동차의 동체 부분 및 기어박스 또는 엔진 성분에 적용하거나 제 2 서브-유니트에 적용할 수 있는 곳에서 제 1 서브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 아이와 같은 고정 장치(8a,8b,8c)를 구비한다. 나사나 핀과 같은 고정 장치는 자동차에서 지지 요소와 오퍼레이팅 장치를 연결하도록 고정 아이를 통하여 맞물려질 수 있다. 하나의 고정 아이(8c)는 실린더형 영역(6b)과 전기 모터(4)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 선호된다.
하우징(6)과 고정 아이(8a-8c)는 유리 섬유 강화된 폴리아미드와 같은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이나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주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하우징의 각 영역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다른 영역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아이(8a-8c)는 하우징에 사출성형된 공동 영역으로 형성된다. 공동 실린더의 축은 전기 모터(4)의 축과 직교하는 것이 선호된다.
플러그 연결부(5)는, 기계적 연결부로서 제 2 서브-유니트와 제 1 서브-유니트의 기계적 연결이 플러그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스냅 피트 연결부를 구비한다.
전기 플러그 연결부는 전기 모터(4)의 전기 연결부로서 기능을 가지고 전자 제어 유니트 및 전기 동력 공급부를 가지는, 속도 또는 경로 센서와 같은, 엔진의 극 상단 또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센서에 적용할 수 있다.
전기 모터(4)에 에너지를 공급할 때 출력 요소(7)는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단부 영역에서 출력 요소(7)는 보올 조인트, 일반적인 조인트 및 다른 연결부를 위한 부착물 또는 스터드(11)를 지지하는 L형 영역(10)을 포함한다.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출력 요소(7) 영역에서 하우징은 접이식 벨로우와 같은 밀봉부(9)에 의해 밀봉되어서 접이식 벨로우(9a)의 한쪽 단부는 출력 요소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9b)는 하우징에 밀폐 연결된다. 접이식 벨로우(9)는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구동 모터(4)는 밑판(4a)에서 고정 오우프닝을 통하여 나사와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해 하우징(6)의 고정 표면(6a)에 대해 고정된 밑판(4a)을 포함한다.
하우징(6)은, 출력 요소(7)가 수용되는 관상 또는 실린더 영역(6b)을 가진다. 이 실린더 영역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에 치형 외부 형태(12)를 가진다. 왜냐하면 이 영역에서 내부 치형 부분은 하우징(6b)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하우징(6b)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면 유리하다. 내부 치형 영역은 사출성형 공정할 때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6b)에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하우징(6)은 씨일링 요소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어 밀폐될 수 있는 하우징 커버(30)를 포함한다. 씨일링 요소로서 하우징(6)의 원주 그루브로 삽입된 O 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커버(30)는 하우징(6)에 나사와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소켓 영역(31)은 나사를 유지하는 축방향 보어 및 나사와 함께 하우징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퍼레이팅 장치(1)의 제 2 서브-유니트(3)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서브-유니트는 하우징(20), 밑판과 같은 제 2 하우징 부분(22) 및 제 1 하우징 부분(21)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0) 내부에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 및 제어 전자 장치가 배치된다. 이 밑판(22)은 금속부분으로 만들어지고 냉각판의 역할을 가진다. 다른 하우징 부분(21)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오우프닝(23a-23c)의 정렬 및 배치가 고정 아이와 같은 오우프닝(8a-8c)의 정렬 빛 배치와 일치하는 조립체를 위한 오우프닝(23a-23c)을 포함한다. 또 하우징은 전기 모터(4)와 실린더 영역(6b)과 같은 제 1 서브-유니트(2)의 실린더형 요소를 위한 위치 지정부로서 기능을 가지는 오목면(26,27)을 포함한다.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유지하므로 영역(28)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 2 서브-유니트(3)의 하우징은 전기 플러그 연결부(24,25)를 포함한다. 이 플러그 연결부는 제 1 서브-유니트(2)의 플러그(5)를 통하여 전기 모터(4)를 제 2 서브-유니트(3)의 전자 유니트에 연결시킨다. 플러그 연결부(25)는 오퍼레이팅 장치(1)와 동력 공급부를 연결시키고 신호 연결부는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오퍼레이팅 장치(1)를 센서나 다른 제어 유니트에 연결시킨다.
두 개의 서브-유니트(2,3)는, 다른 제작 단계에서 하나의 유니트(1)로 연결되기 전에 제작 공정에서 분리된 서브-유니트로서 기능을 신뢰할 수 있고 일체완비된 독립 모듈 또는 기능 유니트로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결부는 차량의 생산 라인에서 차량을 조립할 때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요소(5,24) 사이의 플러그 연결이 보장되는 제 2 서브-유니트(3)와 제 1 서브-유니트(2)의 조립체를 나타낸다.
오퍼레이팅 장치(1)는 엔진(502)과 기어박스(503)를 가지는 차량(501)의 구동 트레인(507)에서 클러치(500)를 작동시키는데, 그것의 출력부에는 피동 휠(506)뿐만 아니라 피동 액슬(505)과 구동 샤프트(504)가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엔진(101)에서 출력 요소(150)까지 오퍼레이팅 장치(100)의 기계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구동 모터(101)는 기어휠(102)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장착된 출력 샤프트(103)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휠(102)은, 엔진(101)의 비실린더형 구동 샤프트(103)가 소켓에 키이로 맞물려질 수 있도록 실린더형 오우프닝과 다른 모양을 가지는 중심 소켓을 포함한다. 기어휠(102)은 액슬(105)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중간 기어휠(104)과 맞물린다. 액슬(105)은 도 1의 커버(30) 또는 하우징(6)에서 단부영역 중 하나에 한쪽 측부에 장착되거나 수용된다. 이처럼 축은 하우징과 커버에서 단부의 두 측부에 장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기어휠(104)은 엔진측의 구동력을 출력 요소(150)로 전달하도록 기어휠(106)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어휠(102)은 중간 기어휠 없이 기어휠(106)과 바로 맞물릴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중간 기어휠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기어휠(104)의 배치는, 기어휠이 차지하는 구조 공간을 작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같은 축방향 간격으로 기어휠(102,106)이 보다 작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하다.
기어휠(106)에 의해 전달할 수 있는 토크를 스핀들(107)에 제한하는, 도 4에 일부 나타낸, 슬립 클러치(108)가 스핀들(107)과 기어휠(106) 사이에 배치된 기어휠(106)과 구동 연결된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마찰 접촉되게 서로에 대해 지지되는 두 요소를 포함하는데 제 1 요소는 기어휠의 일부이거나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제 2 요소는 스핀들과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거나 스핀들과 일체성형된다.
이 스핀들은 미끄럼 베어링 또는 로울링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에 의해 장치의 하우징에서 부착장치 또는 스터드(109) 영역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스핀들은 센터링 장치를 통하여 실린더 요소(110)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된 너트로 맞물려진다. 이 회전 고정된 연결부는 한 쌍의 치형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는 너트상의 외부 치형부이고 다른 하나는 실린더형 요소 상의 내부 치형부이다. 소수의 치형부는 실린더형 요소의 소켓에 맞물려지는 너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와 같은, 회전 고정된 안내부로 작동한다. 이처럼 실린더형 요소(110)는 너트의 소켓으로 맞물려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방사상 내향 요소를 포함한다. 회전 고정된 연결부는 너트와 실린더형 요소(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너트는 내부 나사를 가지는 성분에 의해 형성되는데 너트의 외부 윤곽은 치형부 등의 세팅 또는 리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또는 실린더형을 취할 수 있다.
스핀들(107)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회전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너트 및 실린더형 요소(110)와 같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소켓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형 요소(110)는,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20)가 단부 영역(120b)에서 수용되고 지지되는 관절 이음부 또는 소켓을 한쪽 영역에 가진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20)는 하우징 또는 관절 이음부(121) 상의 다른 단부영역(120b)에서 수용되거나 지지된다.
로드와 비슷한 요소(112)를 구비한 출력 요소(150)는 실린더형 요소(110)와 활성 또는 구동 연결되거나 일체 성형된다. L형 성분은 요소(113)의 단부 영역에 장착되고 관절식 연결부의 이음부 또는 볼 조인트의 볼 헤드(114)를 지지한다.
도 5a뿐만 아니라 도 5는 마찰 클러치와 같은 클러치의 자동 작동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0)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는 서브-유니트 내부에 장착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된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서브-유니트 내부에 장치의 전자 제어장치(202)가 배치되는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분리된 하우징과 같은 다른 요소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니트는 엔진 제어부 및 기어박스 제어부와 통합된 중심 제어 장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와 같은 액터는 구조 유니트와 같은 소형 유니트로 제어 장치의 서브-유니트와 연결할 수 있는 서브-유니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터의 서브-유니트(205)는 플러그(206)와 소켓(203)에 의해 제어 장치의 서브-유니트에 전기 연결할 수 있다.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맞물릴 때 기계적 연결부는 플러그(206) 및 소켓(203)에 의해 형성된다.
소켓 또는 플러그와 같은 플러그 연결부(204)는 차량 배터리와 다른 차량 제어 유니트와 같은 차량의 전기 동력 공급원과 장치 사이에 전기 연결부 및 전시 신호 연결부로서 사용된다. 다른 차량 제어 유니트에 의해 다음 제어 유니트 중 하나를 포함시킨다 : 엔진 제어부, 기어박스 제어부,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부, 안티-슬립 조절 제어 시스템, CAN 버스 등.
기계식 오퍼레이팅 장치(205)와 같은 액터는 전기 모터(210)를 가진다. 모터(210)는 액터(205)의 하우징(220) 내부에서 모터와 이격된 단부 영역에 장착될 수 있는 출력 샤프트(211)를 포함한다. 샤프트(211)는 모터 하우징(221)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기어휠(212)은 샤프트(211)에서 회전 고정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기어휠(212)은 노치가 있는 치형부로서 형성된 내부 치형부(214)로 형성된다. 이 내부 치형부(214)는 모터 샤프트(211)의 외부 치형부와 맞물린다. 기어휠(212)은 스프링 와셔와 같은 안정 링(213)에 의해 샤프트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데 상기 안전 링은 샤프트의 원주 방향 그루브에 맞물려지고 축방향 변위에 대해 기어휠을 고정한다.
이 기어휠(211)은 베어링 핀(216)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중간 기어휠(215)과 맞물린다. 상기 베어링 핀은 하우징의 소켓(217)에서 단부 영역 중 하나에 수용된다. 베어링 핀(216)의 두 축방향 단부가 소켓(217)에 수용된다면 유리하다. 이 소켓은 미끄럼 베어링 또는 로울링 베어링을 가지는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에서 호울 또는 보어로서 형성될 수 있다.
기어휠(215)은 기어휠(225)과 맞물린다. 기어휠(225)은 허브의 방사상 외면에 의해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거나 회전할 수 있게 수용되는 표면을 방사상으로 내부에 가지는 기어휠(225)에 의해 허브(226)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기어휠(225)은 치형부(225a)의 방사상 내부에서 한쪽 측부에 마찰 링(229)의 카운터 접촉면(228)과 활성연결되는 방사상 원형 접촉면(227)을 가진다. 그러므로 마찰 링(229)은 카운터 접촉면(228)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팽창된 원형 고리 모양의 섹터 또는 아암을 가진다. 그리고 마찰 링(229)은 축방향으로 팽창된 고리형 영역(230)을 포함한다. 축방향으로 팽창되거나 돌출한 영역(230)은 치형부 또는 리세스나 돌기부를 가진다.
상기 마찰 링(229)은 판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힘을 바이어스 하므로 기어휠(225)의 접촉면은 마찰 링(229)의 카운터 접촉면(228)과 마찰 연결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31)는 방사상 외부 가장자리(231a)에 방사상 외부 치형부 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와 돌기부를 포함한다. 이 치형부 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나 돌기물은 마찰 고리(229)의 돌기물 또는 치형부 및 소켓에 맞물려져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31)와 마찰 링(229)은 회전 고정되게 함께 연결된다.
상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31)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허브(226)에 회전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치형부, 돌기부 또는 리세스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 또는 돌기부, 치형부를 방사상 내부 가장자리 영역(231b)에 포함한다.
허브(226)는 나사산이 있는 스핀들(235)의 스핀들 샤프트(234)의 방사상 외부 치형부(233)에 맞물리는 노치 치형부와 같은 내부 치형부(232)를 방사상 내부에 가진다.
기어휠(225)은 스프링 와셔(236,236a) 및 소켓(237)과 같은 안정 링을 통하여 샤프트(234)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안정 링(236,236a) 각각은 샤프트(234)의 원주 방향 그루브에 맞물린다. 소켓(237)은 원주 방향 그루브에 수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기어휠(225)의 외부 치형부 영역에서 힘 유입부로부터 힘은 접촉면(227)과 마찰 링(229)의 접촉면(228)을 통하여 전달되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내부 치형부(231b)를 통하여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31)의 외부 치형부(231a) 및 마찰 링(229)을 통하여 허브(226)로 전달되며 허브(226)에서 치형부를 통하여 스핀들(235)의 샤프트(234)로 전달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프리텐션(pretension)되고 마찰 링의 카운터 접촉면과 기어휠의 접촉면 사이에서 토크 또는 힘을 전달하기 위한 기본 접착 마찰부를 형성한다. 전달될 토크가 기본 접착 마찰보다 크다면 배열은 미끄럼 클러치로 되고 접촉면은 카운터 접촉면에 대해 미끄러진다.
샤프트(234)는 로울링 베어링, 그루브가 있는 볼 베어링, 슬라이드 베어링 등과 같은, 베어링(271)을 수단으로 하우징(220)에서 방사상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장착된다. 베어링(271)은 방사상 힘과 축방향 힘을 받는다. 베어링(271)은 소켓(220a) 내부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와 같은, 탄성 원판(272)처럼 탄성을 가지며 고정된다. 하우징(220)은 방사상 외부 베어링 링을 지지하는 부착 장치(220a)를 형성하는데 샤프트는 방사상 내부 베어링 링을 지지한다. 축방향 힘이 출력부로부터 출력 요소에 가해질 때 축방향 힘은 출력 요소로부터 너트를 통하여 스핀들에 전달되고 여기에서 베어링(271)을 통하여 지지되는 하우징으로 전달된다. 이 축방향 힘은 미끄럼 클러치를 통하여 안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 상의 모우멘트 충격은 미끄럼 클러치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것이다. 베어링(271)의 베어링 소켓은 씨일링 고리(274)를 구비한, 캡과 같은 덮개(273)에 의해 밀폐되게 닫혀진다.
스핀들(235)은 플런저 베어링 내부에서 카로테 베어링(250)에 의해 장착된 너트(240)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플런저는 너트(240)가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형 요소(241)로 구성된다. 상기 플런저 로드(242)는 실린더형 요소에 연결되고 차례로 출력 요소(243)를 지지한다. 플런저 로드(242)는 단부 영역(242a)에서 실린더형 요소(241)에 고정된다. 이처럼 실린더형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플런저 로드에서 사출성형된다. 선호되는 연결부에 대해 플런저 로드는 실린더형 요소의 나사 및 원주형 돌기부에 맞물리는 설정된 수의 원주형 그루브 또는 나사를 가진다. 다른 단부(242b)에서 플런저 로드(242)는 출력 요소(243)의 소켓에 맞물린다. 플런저 로드는, 카로테 베어링(246)이 장착되는 오우프닝(245)을 통하여 맞물린다. 또 하우징은 출력 요소와 하우징 및 플런저 로드에 고리를 죄어줌으로써 관련된 단부 영역에 고정된 탄성 벨로우(244)에 의해 보호된다.
압축 스프링(245)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전기 모터의 힘을 유지하도록 하우징과 플런저 로드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 아이는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둘 또는 세 개의 고정 아이가 구비된다.
도 5b는 스핀들 구동부 너트(240)의 카로테 베어링(250)에 대한 확대된 단면도이다. 스핀들(235)은 구형 윤곽(251)을 가지고 방사상 내부에 나사(252)를 가지도록 형성된 너트(240)를 구동한다. 방사상 외부 영역에서 너트는 실린더형 요소의 카운터 치형부(254)에 맞물리는 치형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는 실린더형 요소(241)에 회전 고정되게 연결된다. 구형 너트(240)는 외부 치형부(253) 이외에 두 개의 반구형 영역을 포함한다. 실린더형 요소 내부에 공동이 있는 볼의 윤곽을 가지는 제 1 고리형 요소를 유지하는 중공 실린더형 영역이 배치되는데 너트는 공동이 있는 구형 윤곽에 대해 인접해 있다. 상기 너트는 제 2 고리형 요소(256)에 의해 유지되거나 수용되므로 볼은 두 개의 고리형 요소(235,236)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수용된다. 또 탄성 고리(259)는 고리형 요소(255)와 실린더형 요소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 고리(259)는 스핀들에 대해 대향하여 두 개의 베어링 쉘(255,256)을 인장하는 O형 고리가 선호된다.
상기 실린더형 요소(241)는 외부 가장자리 영역에 카운터 치형부(258)에 맞물리는 치형부(257)를 포함한다. 실린더형 요소(241)가 하우징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치형부에 의해 회전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상기 카운터 치형부(258)가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베어링 쉘(255,256)은 스냅-피트 연결부에 의해 실린더형 요소(241)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하나 이상의 베어링 쉘의 가동 요소는 실린더형 요소의 소켓에 맞물린다. 부품이 손실되지 않고 안전하게 장착되도록 전술한 맞물림은 로킹을 형성한다.
오퍼레이팅 액터는 전기 모터를 가지는 모터-구동된 액터로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제어 장치(201)가 구조 그룹 또는 서브 유니트로서 함께 연결되거나 기계 성분으로 밀어서 끼워지도록 액터의 전체 기계 부분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어 장치는 하우징 자체에 저장되고 주위부분에 대해 밀폐된다. 이것은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 사이의 밀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의 하우징은 서브-유니트와 같은 전기/기계 부품으로 밀어 끼워지거나 나사로 추가 고정된다. 이 기계적 부품은, 기계적 부품이 제어 장치와 분리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완전 통합되어 수용될 수도 있다.
모터(205)는 기어휠(225)과 맞물리는 중간 기어휠(215)과 맞물려지는 기어휠 또는 피니언(212)으로 토크를 전달한다. 중간 휠을 사용하면 주어진 축방향 간격으로 비교적 작은 구조의 기어휠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축방향 간격 A는 다음 스핀들 단계에 필요한 지름과 모터 지름으로부터 형성된다. 둘 또는 세 개의 기어휠(212,215,225)로 이루어진 제 1 변속 비율 단계는 제 1 감속을 나타낸다. 따라서 토크는 증가되고 속도는 감소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변속 비율을 발생시키도록 주어진 축방향 간격 A를 이어주도록, 전술한 스퍼어 휠 단처럼, 적소에 있는 벨트 구동부와 같은 제 1 변속 비율 단의 형태는 유리하다.
미끄럼 클러치는 하나의 기어휠(212,215,225), 선호적으로 출력부상의 기어휠(225)에 놓인다. 상기 클러치는 일정한 토크 전달까지 토크를 전달하고 일정한 토크 모우멘트를 초과하였을 때 토크 흐름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액터의 기계 성분에 과부하되지 않는다.
과부하 클러치를 통하여 미끄러짐은 액터에 통합된 경로 측정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스톱의 현저한 상승 운동과 더불어 내부 경로 측정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에서 기어휠(225)은, 회전 고정된 스핀들 너트(240)와 함께 모터의 회전 운동을 출력 요소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스핀들(235)을 구동시킨다. 이 스핀들(235)은 로울링 베어링(241), 특히 그루브가 있는 볼 베어링을 수단으로 기어휠(225)에 인접한 측부에 장착된다. 이 베어링은 치형부 및 출력부로부터 작용하는 방사상 힘과 축방향 힘을 받는다. 베어링 자체는 탄성 원판(242)에 고정된다. 스핀들 샤프트의 일방 베어링은 하우징에 대해 스핀들의 각운동을 일으킨다. 스핀들 너트(235)는 구형 외부 구조를 가지고 두 개의 구형 베어링 쉘(255,256)에 장착된다. 스핀들 너트(240)는, 베어링 쉘(255,256)이 형성되는 출력부(241)에서 안내 트랙(254)에 작은 유극과 맞물리는 원주상에 노우즈 또는 치형부(253)를 가진다. 이 배치는 스핀들 너트(240)와 출력 성분(242) 사이에 각운동을 허용한다. 토크는 스핀들 너트(240)로부터 출력 성분(242)으로 자유 운동을 전달한다. 베어링 쉘(255,256)은 스핀들 너트(240)에 대해 탄성 성분, 특히 O링(259)으로 프리텐션된다. 그러므로 유극의 자유도는 상기 성분 사이에서 달성된다. 그리고 사용되는 플라스틱 부품의 마모는 일정치 내에서 보상된다. 또 출력 성분(242)은 보상하는데 사용되는 스프링(245)에 의해 적용된 힘을 받는다. 스프링(245)은 하우징에 대해 다른 쪽 단부에서 지지된다. 이 배치에서 스프링 플레이트(260)는 하우징에 대해 출력 성분을 방사상으로 지지하고 토크를 편향시킨다. 출력 성분(241)은, 하우징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고 하우징의 안내 경로(258)에서 작은 유극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노우즈(257)를 원주 둘레에 포함한다.
안내 경로(258)는 실린더형 요소의 치형부(257)와 직선 안내부를 형성하는데 직선 안내부의 안내 경로(258)는 장치의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일체성형된다. 이것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따라서 방사상 방향으로 구조 공간을 감소시키는 직선 안내부를 위해 어떤 구조 요소도 사용될 필요가 없다.
출력 성분(242)은 하우징에서 카로테 베어링(246)의 다른 부분에 장착되고 하우징에 대해 접이식 또는 로울링 벨로우(244)로 밀봉된다. 이 전체 조립체는 하우징에 대해 스핀들 너트에 대향한 스핀들 또는 이외의 부품을 미는 것을 막는다.
출력 성분의 축방향 운동은 볼 헤드(261)와 같은 힘 유입 성분을 통하여 클러치의 분리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전술한 배치의 장점은, 각 부품이 다른 클러치와 어울리도록 개별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퍼어 휠 단의 변속 비율은 스핀들 피치를 유지함으로써 바뀌는데 여기에서 모든 다른 부품은 재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출력 요소 및 카로테 베어링(301)의 각 부품(300)을 나타낸다. 카로테 베어링(301)은 안내 경로와 같은 내부 치형부(311)를 가지는, 공동이 있는 실린더형 영역(312)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요소(310)로 구성된다. 한쪽 단부 영역에서 실린더형 요소(310)는, 설정된 축방향 길이를 따라 공동이 있는 실린더형 영역(312)을 축방향 텅(tongue)(316)으로 구동하는 종방향 슬릿(313)을 하나의 공동 실린더형 영역(312)에 가진다. 상기 텅(316)은 방사상으로 설정된 탄성을 가진다. 이 텅 내에 오우프닝(314)이 일부 놓이는데, 상기 오우프닝에 베어링 쉘(311)의 돌기부(330)가 맞물린다. 실린더형 요소는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우징의 소켓에 맞물리는 노우즈(315)를 포함한다.
탄성재 O링은 실린더형 요소(310)에 배치된다. 그후 베어링 쉘(332)이 삽입되는데 이것은 공동이 있는 반구 내부 윤곽(333)을 가진다. 반구형(341)을 가지는 너트(340)의 한쪽 측부는 상기 내부 윤곽(333)에 대해 배치된다. 너트(340)는 두 개의 반구형 영역(341,342)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베어링 쉘(332,331)에 대해 장착되고 바이어스된다. 두 반구형 베어링 영역(341,342) 사이에 고리형 치형부(343)가 형성되는데 치형부(343)는 소켓(311)에 맞물린다. 플런저(350)는 실린더형 요소(310)에 연결되고 전기 모터의 작동력을 클러치로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상기 전기 모터(400)는 치형 벨트, 벨트, 체인 등과 같은 접촉 요소(403)를 통하여 제 2 휠(402)에 구동 연결되는 모터 샤프트에서 휠(401)을 구동한다. 휠(401, 402)은 비톱니 휠 또는 기어휠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휠(402)은 스핀들(404)과 활성 연결되어 구동시킨다.
도 8은 오퍼레이팅 액터의 기어휠(501)내부에서, 특히 기어휠(501)의 치형부(502) 방사상 내부의 공간에서 미끄럼 클러치(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미끄럼 클러치(500)는 기어휠(501)의 치형부(502)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 내에서 방사상 방향 및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기어휠(501)은 마찰 링과 같은 고리형 요소(505)의 카운터 접촉면(504)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접촉면(502)을 가진다. 기어휠(501)의 접촉면은 둥근 고리형의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이 표면은 평평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면은 축방향으로 바뀌는 표면을 가진다.
축방향으로 조정되는 표면(503)은 다른 부분 표면으로 구성된다. 한 면은 축방향으로 포지티브 피치를 원주를 따라 가지고 다른 면은 축방향으로 네거티브 피치를 원주를 따라 가지는데 각각의 이웃한 표면은 이 피치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교대로 놓인다. 원주를 따라 볼 수 있는 것처럼 이것은 축방향으로 바뀌는 증감 기울기 경로를 형성한다. 증가하는 표면 일부를 가지는 표면 및 감소하는 표면 일부를 가지는 표면을 교대로 가지는 램프 고리가 형성된다.
마찰 고리(505)의 카운터 접촉면(504)은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는 부분 고리로 형성되는데 축방향으로 튀어나온 일부 고리(505a)는 단부에서 치형부(506)를 지지한다.
판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507)는 방사상 외부 고리 영역에 치형부(508)를 가지는데 이 치형부(508)의 톱니는 치형부(506)의 톱니와 맞물려지고 판스프링(507)과 램프 고리(505) 사이에 회전 고정된 키이 연결부를 형성한다. 또 판스프링은 그것의 방사상 내부 가장자리 영역에 허브(510)의 치형부(511)에 맞물려지는 내부 치형부(509)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회전 고정된 연결부는 판스프링(507)과 허브(510) 사이에 형성된다. 기어휠(501), 미끄럼 마찰 클러치 링(505), 판스프링(507) 및 허브(510)는 샤프트(520)에 수용되고 원판 및 안전 고리(521,522,523)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스프링 와셔(521,523)와 같은 안전 고리는 스핀들 샤프트의 원주 그루브(524,525)에 맞물려진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507)는 프리텐션 작용하에 기어휠에 설치되므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프리텐션력은 요구되는 정상 힘을 가해서 기어휠과 마찰 고리 사이의 마찰 연결부는 토크 전달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강성 스톱에 대해 각각의 성분을 구동할 수 있도록 오퍼레이팅 액터의 기계 성분을 만든다. 구성 부품의 설정된 크기로 동적 변형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터의 내부 스톱이 좀더 연성으로 만들어지고 동일하게 구동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최대 힘을 초과할 때 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동부와 출력부 사이의 오퍼레이팅 액터의 힘 전달 방향으로 미끄럼 마찰 클러치 또는 과부하 클러치가 구비되어서 과부하에 대해 오퍼레이팅 액터 구성 부품을 보호한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 또는 과부하 클러치에 대해 간단한 추가 성분 또는 구조 공간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는 내외부 스톱에 작용한다. 이 메커니즘을 통하여 어떤 유용한 액터 경로도 손실되지 않는다.
미끄러짐 확인은 소프트웨어 기술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데 모터에 에너지가 공급될 때 또는 주어진 구동력으로 출력부를 고속 작동하지 않으면서 구동부의 고속이 감지된다. 이와 비슷하게 또다른 실시예에서 모터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를 감지할 수 있다.
알맞은 형태의 구성 부품으로 증분 경로 측정에 대해 센서를 보상할 수 있도록 스톱에 대한 운동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터에서 전기 모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경로 센서는 아날로그 시스템으로 만들어진다. 아날로그 시스템의 장점은, 아날로그식으로 측정될 수 있는 신호가 분리가능한 클러치의 절대 위치에 대한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클러치의 연결 상태는 매번 정확하게 신뢰성있게 감지될 수 있다. 공지된 스톱에 대한 구동은 제어를 통하여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터는 증분 경로 측정을 포함한다. 이 증분 경로 측정은 상대 위치 변화만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위치는 적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카운팅 에러가 발생한다면 측정된 위치는 실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이고 절대 위치 또는 연결 상태를 측정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서 오버-모우멘트 연결이 제안된다. 분리되었을 때 구름체가 한정된 곡선 경로에서 구르는 실시예에 따라 저이력 현상을 가지는 양호한 감응 양상과 정확한 연결점을 구할 수 있다. 이 로울러는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접촉면과 카운터 접촉면 사이에 장착된다.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분리 모우멘트를 결정하기 위해 접촉압력과 마찰 값만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실시예는 램프 고리의 형태로 형성된다. 접촉면과 카운터 접촉면 각각의 일부 면의 경사면의 작용을 통하여 필요한 정상 힘이 감소된다.
상기 통합 장치에 의해 더많은 구조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과부하 클러치는 도 8에 나타내 부품, 기어휠(501), 램프 링(505), 판스프링(507), 허브(510) 및 런업(run-up)원판(522)으로 구성된다. 또 두 개의 안전 고리(521,523)가 축방향 고정을 위해 조립된다. 구동부는 기어휠의 치형부를 통하여 형성되고, 출력부는 스핀들(524)로서 나타낸 출력 샤프트를 통하여 형성된다.
기어휠(501)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되는데 여기에서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PA)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과 같은 섬유 보강 물질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제 1 램프 고리(503)는 기어휠의 중립값에서 사용되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사출성형될 수 있다. 제 2 램프 링(505)은 제 1 램프 고리(503)에 대해 판스프링(507)에 의해 압착된다. 제 2 램프 링은 박강판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507)은 램프 링(505)으로부터 허브(510)까지 토크를 전달하도록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고 축방향 오차 보상부로서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판스프링(507)은 구조체에 인접한 요소를 축방향으로 프리테션하여서 유극없이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허브(510)는 판스프링(507)으로부터 스핀들로서 만들어진 출력 샤프트(524)까지 토크를 전달한다. 허브(510)는 내부에 치형부, 예를 들어 노치가 있는 치형부 또는 다각형이나 웨지가 있는 그루브와 모우멘트를 도입하도록 원주 둘레의 바깥쪽에 단(短)웨브를 가진다. 샤프트(520)의 외부 치형부는 허브(510)의 내부 치형부에 맞물린다.
기어휠(501)은 분리되는 경우에만 허브(510)에 대향하여 회전하므로 허브(510)의 소켓없이 방사상으로 장착된다. 허브(510)는 냉간성형 부분, 회전압연 부분 또는 주조 아연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510)는 토크를 샤프트(520)로 도입하는데 사용된다.
기어휠(501)은 단순 원판에 대해 램프 링(505)에 대향하여 움직인다. 축방향 고정 요소는 521과 523으로 나타내었다.
정상 작동 모드에서 모우멘트 또는 힘의 전달은, 기어휠(501)에서 경사 램프면을 통하여 램프 링(505)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외부 텅을 통하여 판스프링(507)으로 전달되며, 상기 판스프링(507)으로부터 내부 텅을 통하여 허브(510)의 노우즈까지 전달되고 허브(510)엣 출력 샤프트(520)로 전달된다.
기어휠은 기어림 없이 구획으로 나타나 있는데, 구조적으로 설정된 모우멘트로 램프 링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들어올려져서 모우멘트 흐름이 방해를 받은 후, 램프가 서로에 맞물려질 때 역전될 수도 있다. 비교적 큰 회전각을 통하여 급격한 모우멘트 강하는 제어부에 의해 인지될 정도로 충분하다. 그러므로 클러치의 미끄러짐은 엔진 모우멘트 감소와 큰 회전각이나 고속에 대한 상관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두 신호가 발생할 때 미끄러짐은 제어 유니트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과부하 클러치를 충분히 미끄러지도록 하기에 동하중이 충분하지 않을지라도, 램프 경로에 대한 상승하는 힘의 경로는 우수한 스톱 감지를 한다. 과부하 클러치는 외부 방해가 있을 때에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9a와 9b는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기어휠(501)은 외부 치형부(502) 없이 나타내었다. 램프 유사 구조를 가지는 접촉면(503)이 나타나 있다. 카운터 접촉면(504)은 축방향으로 확장된 가장자리를 가진다. 접촉면(503)과 카운터 접촉면(504)은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전체면에 대해 서로 접촉한다. 또 판스프링(507)의 치형부(508)는 고리 영역의 치형부와 맞물려져 잇다. 허브(510)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내에 방사상으로 놓이므로 허브와 기어휠의 배치는 안전 고리(521,523)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런업 디스크는 스프링(550)과 기어휠(50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판스프링(508)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바이어스된 미끄럼 마찰 클러치의 대향한 둥근 고리형 표면은 두 개의 둥근 고리형 부분(552,553)을 가지는데 한 부분(552)은 상승 피치를 가지고 다른 부분(553)은 원주 방향으로 감소 피치를 가지며 상기 부분은 축방향으로 연장부를 가진다.
도 9b에서 기어휠은 마찰 고리(504)에 대해 회전하여서 미끄러짐은 부품(503,504)의 비표면 접촉으로 감지될 수 있다.
도 10은 서로 대향한 두 개의 평평한 마찰면(503,504)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는 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모터 출력 샤프트를 가지는 모터를 구비한 액터를 포함한다. 모터 출력 샤프트 뒤에 1단에서 스퍼어 휠 기어를 포함하고 2단 기어로서 스핀들 기어를 가지는 2단 기어박스가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기어 단은 체인 휠과 체인에 의해 형성되거나 치형 벨트 구동부와 같은 견인 장치 기어박스 또는 다른 접촉 기어박스로 형성된다. 또 스퍼어 휠 단은 중간 기어휠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형태에서 축이 연장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180도 이외의 각도로 또는 평행하게 축이 장착되는 베벨 휠 기어박스를 통하여 전기 모터와 출력 요소의 축이 연결된다면 유리하다. 전기 모터는 액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스퍼어 휠은 샤프트에 놓여서 회전 고정되게 연결된다. 상기 스퍼어 휠을 통하여 제 2 스퍼어 휠은 구동되는데 이 스퍼어 휠은 회전할 수 있지만 하우징에서 움직일 수 없도록 장착된다. 스퍼어 휠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베어링 및 스퍼어 휠의 축방향 고정은 지지 및 고정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퍼어 휠의 치형부는 스퍼어 휠의 치형부와 맞물려져서 구동 연결부가 형성된다. 제 2 스퍼어 휠은 스핀들 기어의 너트로서 기능을 가진다. 상기 기어 휠은, 스퍼어 휠의 너트가 나사산이 있는 슬리브로서 형성되는 금속 부분 또는 사출 성형 부분으로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 너트는 180도 둘레의 공간에서 나사를 가지는 고체 너트로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너트는 360도 이하, 특히 180도 이하의 치형부 각 영역을 가지는 각 세그먼트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핀들은 토크-유지 선형 가이드를 수단으로 하우징에 장착되어서 이 베어링은 동시에 비회전식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선형 가이드와 동축으로 장착되고 한쪽 단부에서 하우징과 이웃하고 다른쪽 단부에서 스핀들과 활성 연결되는 포트와 같은 소켓에 의해 수용된다. 상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토크 전달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전기 모터를 유지하는데 스프링은 하우징 및 플레이트에서 유지된다.
본원의 액터에서 출력부에 연결하는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한데 우측에 마스터 실린더 또는 분리 레버가 관절 이음식 조인트를 통하여 또는 직접 그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의 좌측에서 Bowden 케이블은 예를 들어 분리 레버를 통하여 또는 직접 그 영역에 부착될 수 있는데 출력 요소는 견인으로 바이어스되고 출력 요소는 가압하에 바이어스된다.
단 하나의 출력 요소를 가지는 형태에서, 한 면 또는 다른 면은 하우징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반대로 스핀들을 바이어스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스퍼어 휠을 향하는 하우징에 고정된 단부인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가동성 단부는 스퍼어 휠과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토크 전달 시스템의 힘의 방향은 액터의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한 영역에서 작동 압력이 가해지고 다른 영역에서 작동 인장력이 가해진다. 견인력과 압력 교환을 통하여, 하우징에 고정된 스프링 베어링 또는 연행 스프링 베어링과 같은 스프링 베어링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선형 가이드는 변위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1단이 스퍼어 휠 기어이고 2단이 스핀들 기어인 2단 기어박스와 같은 다단 액터를 나타낸다. 상기 스퍼어 휠은 회전할 수 있지만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장착되고 스퍼어 휠의 몸체는 스핀들 기어의 너트를 형성하는데 스핀들은 회전 고정되지만 선형 가이드와 같은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또다른 예에 의하면 모터는 모터 샤프트에 의해 스퍼어 휠을 구동하는데 상기 스퍼어 휠은 회전할 수 있지만 베어링을 수단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스퍼어 휠을 구동한다. 상기 스퍼어 휠은 나사산이 있는 스핀들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나사 스핀들은 회전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너트에 맞물려지는데 상기 출력 요소는 너트의 슬라이더이다. 이 실시예에서 스핀들은 스퍼어 휠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 로크 또는 선형 가이드는 스핀들과 스퍼어 휠 사이에 장착되는데 너트는 회전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또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 모터는 모터 출력 샤프트에 의해 스퍼어 휠을 구동하고 상기 스퍼어 휠은 차례로 스퍼어 휠을 구동한다. 이 스퍼어 휠은 회전할 수 있지만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장착된다. 스퍼어 휠과 스핀들은 회전 고정되지만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스핀들 기어의 너트는 하우징과 회전 고정되어서 스핀들이 회전하는 동안 스핀들은 동시에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또다른 예는 베어링을 수단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장착된 스퍼어 휠과 모터 출력 샤프트를 가지는 모터를 나타낸다. 이 너트는 스퍼어 휠과 회전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나사 스핀들은 하우징에 고정되게 장착되어서 스퍼어 휠이 회전하는 동안 너트는 회전하도록 설정되고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 요소는 오퍼레이팅 요소로서 작동한다.
본원에 첨부된 특허 청구항은 광범위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용어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낸 특징들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하위 청구항은, 관련된 각각의 하위 청구항의 특징들을 통하여 주요 청구항의 주제를 따르는 다른 형태를 언급한다; 이것은 기술한 하위 청구항의 특징들에 대해 독립적인 주제 보호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하위-청구항의 주제는 전술한 청구항의 주제와 독립적인 형태를 가지는 독립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데,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 및 청구항에 기술하고 도면에 나타낸 개별적인 특징이나 요소 또는 공정 단계의 결합 및 수정에 의해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이 결합된 특징들은 제조, 검사 및 작업 공정에서 새로운 공정 단계 또는 새로운 특징을 이끌어 낼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다른 장치의 서브-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서브-유니트의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장치의 기계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획도;
도 5a 는 도 5의 구획도;
도 5b 는 도 5의 구획도;
도 6 은 카로테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미끄럼 마찰 클러치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미끄럼 마찰 클러치의 구획도;
도 9b 는 미끄럼 마찰 클러치의 구획도;
도 10 은 미끄럼 마찰 클러치의 구획도.
*부호 설명
1 ... 오퍼레이팅 장치 2 ... 제 1 서브-유니트
3 ... 제 2 서브-유니트 4 ... 구동 모터
5 ... 전기 플러그 연결자 6 ... 하우징
7 ... 출력 요소 8a,8b,8c ... 고정 장치

Claims (51)

  1. 출력부에 출력 요소와 구동 모터를 가지는 제 1 서브 유니트,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운동을 출력 요소의 출력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박스 및, 동력/제어 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 유니트를 포함하는 제 2 서브 유니트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클러치를 자동 작동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장치에 있어서, 제 1, 제 2 서브 유니트 각각은 폐쇄 모듈로서 형성되고 기계식 연결부에 의해 단일구조 유니트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서브-유니트는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 2 서브-유니트도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포함하며 두 서브-유니트는 상기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수단으로 전기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서브-유니트 중 하나는 독립 하우징을 가지고 하우징을 구비한 서브-유니트는 폐쇄된 모듈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구비한 서브-유니트는 밀폐된 서브 유니트로서 물과 같은 유체 또는 먼지가 끼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기계식 연결부는 전기 플러그 연결부에 의해 서브 유니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기계식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기계식 키이로 고정되는 스냅-피트 연결부에 의해 두 서브-유니트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기계식 연결부는 나사, 리벳 또는 접착 연결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의해 서브-유니트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기계식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의해 서브-유니트 사이에 형성되고 이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은 자동차 내부에 구조 유니트 완제품을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기 플러그 연결부는 플러그로서 형성되고 다른 전기 플러그 연결부는 소켓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제어 전자 유니트와 같은 전자 장치를 유지하는 제 2 서브-유니트의 하우징은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둘 이상의 하우징 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서브 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쉘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서브 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쉘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서브-유니트는 다른 차량 전자 유니트 및 센서와 전기 연결되도록 또다른 전기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3. 출력부에 출력 요소와 구동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운동을 출력 요소의 출력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클러치를 자동 작동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장치에 있어서, 기어박스는 둘 이상의 부분 기어박스를 가지고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장치의 출력 요소와 구동 유니트 사이에 힘을 전달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기어박스는 둘 이상의 기어박스 부분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기어박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스퍼어 휠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기어박스는 둘 이상의 기어박스 부분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기어박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스핀들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스핀들 기어는 스퍼어 휠 기어 뒤에 힘을 전달할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스퍼어 휠 기어는 스퍼어 휠과 같은 두 개의 맞물리는 기어휠을 가지는 일단 기어박스로서 형성되는데 하나의 기어휠은 구동부에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나의 기어휠은 출력부에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스퍼어 휠 기어는 스퍼어 휠과 같은 세 개의 기어휠을 가지는 2단 기어박스로 형성되는데 두 개의 기어휠들은 서로 맞물리고 구동부에서 기어휠과 출력부에서 기어휠 및 중간 기어휠은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구동부에서 기어휠은 구동유니트의 출력 샤프트위에 고정되어 기어휠과 출력샤프트가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구동부에서 스핀들과 같은 스핀들 기어 요소와 출력부에서 스퍼어 휠기어의 기어휠사이에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구동부에서 스퍼어 휠 기어의 기어휠과 구동 유니트의 출력 샤프트사이에서 힘의 작용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스퍼어 휠기어의 기어휠 치형부를 위한 공간내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미끄럼 마찰클러치는 스퍼어 휠기어의 기어휠 치형부를 위한 공간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4. 제 14항에 있어서,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기어휠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5. 제 13항에 있어서, 미끄럼 마찰 클러치는 제 1 접촉 표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와 제 2 접촉 표면을 가지는 제 2 요소로 구성되는데 두 요소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판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원형, 타원형 또는 각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 유사 물질의 횡단면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원형, 타원형 또는 각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 유사 물질의 횡단면을 가지는 파상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29.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접촉 표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기어휠과 일체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접촉 표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기어휠과 키이로 맞물려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제 1 접촉 표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둥근 고리형 마찰 접촉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2. 제 25항에 있어서, 제 2 접촉 표면을 지지하는 제 2 요소는 둥근 고리형 요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둥근 고리형 요소는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고 접촉면을 지지하는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둥근 고리형 요소는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와 키이로 연결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5. 제 31항 또는 제 32항에 있어서, 제 1, 제 2 둥근 고리형 마찰 표면이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제 1, 제 2 둥근 고리형 마찰 표면 또는 접촉 표면은 축방향으로 조절되는 형태로 또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나타낸 마찰 표면의 원형고리 부분의 일부분이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피치를 가지고 원주 방향으로 나타낸 마찰 표면의 둥근 고리 부분의 다른 부분은 축방향으로 감소하는 피치를 가져서 고리형 부분 피치가 교대로 증감하도록 마찰 표면의 형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감소하는 고리형 부분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고리형 부분의 기울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감소하는 고리형 부분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고리형 부분의 기울기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0. 제 25항에 있어서, 두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판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접촉면과 카운터 접촉면은 마찰 접촉으로 서로에 대해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1. 제 25항에 있어서,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 1 요소는 출력부에서 기어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2. 제 13항에 있어서, 구동 유니트의 출력 샤프트와 출력 요소의 축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3. 제 15항에 있어서, 스핀들 기어는 나사산이 있는 스핀들과 너트를 포함하는데 너트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에 회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너트는 카로테(calotte) 베어링을 수단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움직일 수 있지만 하우징에 대해 회전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너트가 측면과 같은 두 개의 반구형 표면을 가지는 구형 윤곽을 취하고 치형부는 이 표면 사이에 구비되도록 카로테 베어링이 형성되는데 구형 표면은 두 개의 축방향으로 바이어스된 반구형 쉘의 공동 실린더 내부에 축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공동 실린더는 너트의 치형부를 유지하기 위한 내부 치형부를 포함하고 실린더는 외부 치형부를 수단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치형부에 회전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카로테 베어링의 하나 이상의 반구형 쉘은 공동 실린더에 회전 고정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7. 제 45 항에 있어서, 카로테 베어링의 하나 이상의 반구형 쉘은 치형부 또는 스냅-피트 연결부에 의해 공동 실린더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8. 제 4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반구형 쉘과 너트는 탄성 요소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는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50. 제 48 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는 고무 링과 같은 탄성 중합 요소 또는 플라스틱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51. 제 45항에 있어서, 장치의 하우징과 출력 요소사이에 출력 요소에 탄성력을 가하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퍼레이팅 장치.
KR1019980031634A 1997-08-06 1998-08-04 오퍼레이팅 장치 KR100539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4050 1997-08-06
DE19734050.4 1997-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320A KR19990023320A (ko) 1999-03-25
KR100539840B1 true KR100539840B1 (ko) 2006-02-28

Family

ID=783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634A KR100539840B1 (ko) 1997-08-06 1998-08-04 오퍼레이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3) JPH11117953A (ko)
KR (1) KR100539840B1 (ko)
BR (1) BR9802847A (ko)
DE (1) DE19832015B4 (ko)
FR (2) FR2767168B1 (ko)
GB (1) GB2330186B (ko)
IT (1) IT1302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4745B4 (de) * 1999-08-02 2012-08-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zweier Kupplungen
DE10005086A1 (de) 2000-02-04 2001-08-0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Getriebe mit zentraler Kupplungsausrückung
DE10014227A1 (de) * 2000-03-22 2001-09-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Verbindung schwingungsbelasteter, unterschiedliche elektrische Potenziale aufweisender Komponenten
WO2001073317A2 (de) 2000-03-28 2001-10-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raftfahrzeug mit automatisiertem getriebe
JP2002168273A (ja) * 2000-10-13 2002-06-14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自動車
DE10248829A1 (de) * 2002-10-19 2004-04-29 Zf Friedrichshafen Ag Schalteinrichtung
FR2852370B1 (fr) * 2003-03-11 2006-05-26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commande d'embrayage
JP4526321B2 (ja) * 2004-08-04 2010-08-1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ブースタ
FR2876256B1 (fr) 2004-10-07 2007-01-19 Oreal Boitier rechargeabl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presentation d'un produit, notamment un produit cosmetique
KR101235975B1 (ko) * 2011-06-30 2013-02-21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마모 보상 기능을 가진 클러치 액츄에이터
DE102011117587A1 (de) * 2011-11-03 2013-05-08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Nachstell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
KR101896312B1 (ko) * 2012-08-20 2018-09-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클러치 엑추에이터 유닛
FR3009051A1 (fr) * 2013-07-26 2015-01-30 Renault Sa Dispositif electromecanique de commande d'embrayage pour boite de vitesses mecanique de vehicule automobile
WO2015149775A1 (de) * 2014-04-02 2015-10-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odulares aktorkonzept für kupplungsaktor
DE102015203273A1 (de) * 2015-02-24 2016-08-25 Zf Friedrichshafen Ag Schaltelement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svorrichtung
DE102016201875A1 (de) * 2016-02-08 2017-08-10 Zf Friedrichshafen Ag Schublager für einen Lagerzapfen und Aktuator mit Schublager
WO2018013750A1 (en) * 2016-07-14 2018-01-18 Dana Limited Method for detecting cam hop in a ball-type planetary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R3069593B1 (fr) * 2017-07-31 2020-11-20 Valeo Embrayages Actionneur d'embrayage
DE102017216924A1 (de) 2017-09-25 2019-03-28 Zf Friedrichshafen Ag Aktuator, Getriebe sowie Kraftfahrzeug
CN109501564A (zh) * 2018-11-01 2019-03-22 合肥巨动力系统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三合一电驱动集成系统
DE102019118473A1 (de) * 2019-07-09 2021-01-1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Elektromechanischer Getriebe- und/oder Kupplungsaktuator
DE102019133161A1 (de) * 2019-12-05 2021-06-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 mit Überlastdämpfer
DE102021119512A1 (de) 2021-07-28 2023-02-02 Karl Storz Se & Co. Kg Freilaufkupplung zum Begrenzen eines übertragbaren Drehmomentes an einer rotierenden Antriebsachse eines Endeffektors eines Roboters sowie Roboterarm und Roboter
WO2024071345A1 (ja) * 2022-09-29 2024-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2222A (en) * 1972-08-30 1974-04-09 Black & Decker Mfg Co Torque-responsive clutch for hedge trimmers and the like
JPS5038876A (ko) * 1973-08-10 1975-04-10
DE2744908C2 (de) * 1977-10-06 1984-02-02 Ringspann Albrecht Maurer Kg, 6380 Bad Homburg Überlastkupplung
US4440035A (en) * 1981-05-18 1984-04-03 Dana Corporation Slip clutch speed change mechanism
FR2588629B1 (fr) * 1985-10-11 1990-01-12 Valeo Dispositif de commande d'un moyen d'accouplement tel que par exemple un embrayage ou un variateur de vitesse ou un frein ou analogue
IT207930Z2 (it) * 1986-02-21 1988-02-22 Roltra Spa Sistema a frizione servoassistito
JPS6319230A (ja) * 1986-07-11 1988-01-27 Shimizu Constr Co Ltd Frp部材
JPH01122741A (ja) * 1987-11-06 1989-05-16 Koyo Seiko Co Ltd 車両用変速装置
US4981202A (en) * 1988-03-17 1991-01-01 Automotive Products Plc Motor vehicle control system
DE9006924U1 (ko) * 1989-07-11 1990-08-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De
JPH05139273A (ja) * 1991-11-15 1993-06-08 Sumitomo Electric Ind Ltd 液圧ユニツトと電子制御ユニツトの一体化構造
US5267635A (en) * 1992-07-13 1993-12-07 Automotive Products Plc Clutch actuator system
DE4336445C2 (de) * 1993-10-26 1999-09-16 Mannesmann Sachs Ag Stelleinrichtung mit einer Sicherungseinrichtung
DE19504935A1 (de) * 1994-02-23 1995-08-24 Luk Getriebe System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s Drehmomenten-Übertragungssystems
WO1996006749A1 (en) * 1994-08-30 1996-03-07 Emme Quattro S.R.L. Modular, interchangeable elements and engines/motors, composed and combined to transmit motion to self-propelled transport and working vehicles
DE4433826C2 (de) * 1994-09-22 1996-10-02 Fichtel & Sachs Ag Stelleinrichtung mit einem Gehäuse
JP3065907B2 (ja) * 1995-03-30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における油圧ユニット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CN1094098C (zh) * 1995-07-12 2002-11-13 卢克驱动系统有限公司 操作装置
DE19700935A1 (de) * 1996-01-31 1997-08-07 Luk Getriebe Systeme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Aggregates i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81850A0 (it) 1998-08-05
FR2767168B1 (fr) 2003-10-24
FR2767168A1 (fr) 1999-02-12
GB9816480D0 (en) 1998-09-23
IT1302141B1 (it) 2000-07-31
GB2330186A (en) 1999-04-14
JP2008292005A (ja) 2008-12-04
BR9802847A (pt) 1999-10-13
ITMI981850A1 (it) 2000-02-05
DE19832015B4 (de) 2012-11-15
FR2803347A1 (fr) 2001-07-06
DE19832015A1 (de) 1999-02-11
GB2330186B (en) 2002-08-28
JPH11117953A (ja) 1999-04-27
FR2803347B1 (fr) 2003-04-25
KR19990023320A (ko) 1999-03-25
JP2008121902A (ja)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840B1 (ko) 오퍼레이팅 장치
US11781590B2 (en) Load cell for determining a radial force acting on a crankshaft
JP4215508B2 (ja) 遊星ホイール及びその使用
KR102007591B1 (ko) 출력 베어링 및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스트레인 웨이브 기어를 구비하는 트랜스미션 부품 세트
JP4516434B2 (ja) 多軸仮締め工具
US6056663A (en) Short span differential gear assembly
RU2487283C1 (ru) Дифференциалы с лобовыми шестернями и встроенным передающим момент кольцом
US20120031261A1 (en) Torque limiter for a gun turret
US20060117886A1 (en) Geared transmission apparatus
ES2940693T3 (es) Engranaje de buje
EP1553006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A2633178A1 (en) Holding device for a rim of a vehicle wheel
EP1267095B1 (en) Planetary gear device for reducing speed of an output shaft of a motor
JP7476303B2 (ja) 最終的な駆動歯車に対して負荷を共有する平行なツイン歯車対を有する変速機を備える電気駆動モジュール
SE502228C2 (sv) Excenterväxel
GB2372305A (en) Clutch operating device
JP4531439B2 (ja) カップ型波動歯車装置
CN111775178A (zh) 用于仿生机器人的无极变速减速器及驱动关节
CN113544397A (zh) 主动式空气动力学部件的不可反向驱动的离合器装置
TW202309421A (zh) 諧波齒輪裝置及致動器
JP4899900B2 (ja) 作動特性測定装置
SU943020A1 (ru) Колесный редуктор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7406986B2 (ja) 人力駆動車用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人力駆動車用のクラッチシステム
SU1747983A1 (ru) Стенд дл испытани зубчатых колес на торцевой износ
RU2287732C1 (ru) Безлюфтовая зубчатая передач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