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085B1 -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085B1
KR100534085B1 KR10-2003-7005170A KR20037005170A KR100534085B1 KR 100534085 B1 KR100534085 B1 KR 100534085B1 KR 20037005170 A KR20037005170 A KR 20037005170A KR 100534085 B1 KR100534085 B1 KR 10053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fnium
reaction
carboxylic acid
aci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011A (ko
Inventor
가즈아키 이시하라
히사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ublication of KR2003004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01Oxygen-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11Oxygen-containing compounds with a metal-oxygen link
    • B01J31/0212Alkoxy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B01J27/135Halogens; Compounds thereof wi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germanium, tin or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7/00Thiocarboxylic acids
    • C07C327/20Esters of monothiocarboxylic acids
    • C07C327/22Esters of monothiocarboxyl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esterified thiocarboxyl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30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30Oxygen atoms, e.g. delta-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1Preparation processes using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40Substitution reactions at carbon centres, e.g. C-C or C-X, i.e. carbon-hetero atom, cross-coupling, C-H activation or ring-opening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4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IV (IVA or IVB) as the central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2Organic complexes
    • B01J31/2204Organic complexes the liga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complexing atoms
    • B01J31/2208Oxygen, e.g. acetylacet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atalyst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몰량의 카르본산과 알코올로부터 촉매적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이나, 카르본산과 등몰량 또는 소과잉의 티올으로부터 촉매적으로 티오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며, 그린케미스트리의 관점에서 대량합성을 필요로 하는 공업적방법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염화하프늄(Ⅳ), 특히 염화하프늄(Ⅳ)·(THF)2 이나 하프늄(Ⅳ)t-부톡시드로 대표되는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중)축합촉매로하여, 톨루엔 등의 비극성용매중에서 카르본산과 등몰량의 알코올 또는 소과잉의 티올으로부터의 직접축합반응을 탈산소분위기 및 가열환류하에서 실시하여, 단량체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티오에스테를 합성한다. 비극성용매를 사용하여 가열환류를 실시하는 경우, 공비하는 물을 반응계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Esterificated Condensate}
본 발명은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축합촉매로 하여, 카르본산과, 알코올 또는 티올을 용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적인 화학공정의 개발은 현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그린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의 관점에서도 국제사회가 공인하고 있는 바이다(P.T.Anastas and J.C Wamer, Green Chemistry; Theory and Practice(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8). 에스테르화반응은 유기합성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반응이다(Tetrahedron 36, 2409, 1980). 에스테르화반응에 관해서는 이미 방대한 수의 보고예가 있으나(Tetrahedron, 36, 2409, 1980), 기질(基質)에 대하여 1당량 이상의 축합제 혹은 활성화제를 사용하는 케이스가 많으며, 반응후에는 대량의 부생성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번잡한 분리정제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등, 그린케미스트리 및 원자이용효율의 관점에서는 원래 피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한편 동등한 몰량의 카르본산과 알코올로부터 직접 촉매적으로 에스테르화를 실시할 수가 있다면 이상적인 공정이 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카르본산과 알코올 중 어느 한 쪽을 과잉량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효율적으로 에스테르를 얻을 수가 없다(Synthesis, 1978, 929, 1978, Chem. Lett. 1977, 55, 1977, Chem. Lett. 1981, 663, 1981, Synthesis. 1972, 628, 1972, Tetrahedron. Lett. 12, 3453, 1971, Tetrahedron. Lett, 14, 1823, 1973, Bull. Chem, Soc, Jpn. 54, 1276, 1981, Jpn. Patent Appl. 1980, No, 55-115570, 일본국 특개소 52-75684호 공보, J.Am. Chem. Soc. 102, 7578, 1980, Tetrahedron, Lett. 28, 3713, 1987, J, Org. Chem, 56, 5307, 1991, Chem. Lett, 1981, 1671, 1981, Bull, Chem, Sec. Jpn, 62, 2353, 1989, Chem. Lett, 1984, 1085, 1984, J. Chem. Soc, Perkin Trans./1994, 8473, 1994).
종래에, 중합촉매로서 스칸듐, 이트륨,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금속화합물과, A-r-O-(Ar은 아릴기를 나타낸다) 등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중합촉매(일본국 특개 2000-154241)와, 촉매활성이 높아서 원료인 산과 알카리를 거의 동등몰로 사용하여도 고수율로 에스테르를 합성할 수 있고 저온에서도 높은 반응속도가 얻어지며, 또한 부반응이 극히 적은 뛰어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서 티탄족 금속의 할로겐화물(Halide)류, 초산염류, 카르본산염류, 알코올레이트류 및 아세틸아세톤형 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티탄족 금속화합물을 활성성분의 적어도 하나로서 함유하는 에스테르화 촉매를 사용하는 카르본산과 알코올로부터의 에스테르제조방법(일본국 특개평 8-71429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또, 알코올 또는 티올과 카르본산으로부터 온화한 조건하에서 효율적으로 카르본산에스테르 또는 카르본산 티오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알코올 또는 티올, 혹은 그 시릴유도체와, 당량 혹은 소과잉(小過剩)의 카르본산 또는 카르본산 시릴에스테르를 반응시켜서 카르본산에스테르 또는 카르본산티오에스테르를 제조할 때에, 일반식 (R6CO)2O (식중, R6은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르본산무수물과 촉매량의 양이온성 촉매를 공존시키는 방법(일본국 특개평 5-286894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최년에 점점 더욱 복잡한 구조를 갖는 불안정한 화합물이 의약품 등에 사용되고 있고, 당량의 카르본산과 알코올 또는 티올로부터 원활하게 진행하는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이 의약품의 합성에 있어서 긴요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등몰량의 카르본산과 알코올로부터 촉매적으로 에스테르화반응이나, 카르본산과 등몰량 또는 소과잉의 티올로부터 촉매적으로 티오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할 수가 있으며, 그린케미스트리의 관점에서 대량합성을 필요로 하는 공업적 방법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에스테르나 티오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톨루엔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있어서의 염화하프늄(Ⅳ)·(THF)2을 사용한 4-페닐부탄산과 시클로헥사놀과의 에스테르변환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염화하프늄(Ⅳ), 특히 염화하프늄(Ⅳ)·(THF)2과 하프늄(Ⅳ)t-부톡시드로 대표되는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등몰량의 카르본산과 알코올 또는 카르본산과 등몰량 혹은 소과잉의 티올로부터의 직접 축합의 촉매로서 매우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와 같은 촉매가 폭넓은 기질적용범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축합촉매로하여 카르본산과 알코올을 용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과,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염화하프늄(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에스테르 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2)과, 염화하프늄(Ⅳ)이 염화하프늄(Ⅳ)·(THF)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3)과,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하프늄(Ⅳ)t-부톡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4)과, 카르본산과 알코올로서 다가의 카르본산과 다가의 알코올, 혹은 히드록시카르본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5)과, 용매를 사용하여 가열환류를 실시하고, 공비(共沸)하는 물을 반응계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6)과, 용매로서 비극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7)과, 비극성 용매가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8)과, 반응이 건조불활성 가스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9)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축합촉매로하여 카르본산과 티올을 용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0)과,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염화하프늄(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기재의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1)과, 염화하프늄(Ⅳ)이 염화하프늄(Ⅳ)·(THF)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 기재의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2)과,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하프늄(Ⅳ)t-부톡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기재의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3)과, 카르본산과 티올로서 다가의 카르본산과 다가의 티올을 사용하여 폴리티오에스테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4)과, 용매를 사용하여 가열환류를 실시하고, 공비하는 물을 반응계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1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5)과, 용매로서 비극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6)과, 비극성용매가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기재의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7)과, 반응이 건조불활성가스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1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청구항 18)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에스테르화 또는 티오에스테르화 축합촉매(청구항 19)와,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염화하프늄(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 기재의 에스테르화 또는 티오에스테르화 축합촉매(청구항 20)와, 염화하프늄(Ⅳ)이 염화하프늄(Ⅳ)·(THF)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0 기재의 에스테르화 또는 티오에스테르화 축합촉매(청구항 21)와, 4가의 하프늄화합물이 하프늄(Ⅳ)t-부톡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 기재의 에스테르화 또는 티오에스테르화 축합촉매(청구항 22)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으로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축합촉매로하여 카르본산과, 알코올 또는 티올을 용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으며, 4가의 하프늄화합물으로서 염화하프늄(Ⅳ)등의 4가의 하프늄의 할로겐화물염류와, 하프늄(Ⅳ)아세테이트 등의 4가의 하프늄의 카르본산염류와, 황산하프늄(Ⅳ)등의 4가의 하프늄의 황산염류와, 하프늄(Ⅳ)t-부톡시드 등의 4가의 하프늄의 알콕시드류와, 디시클로펜타디엘하프늄(Ⅳ)디클로라이드 등의 4가의 알킬하프늄(Ⅳ)화합물류와, 상기의 상이한 배위자를 복수로 포함하는 4가의 하프늄(Ⅳ) 화합물류와, 상기의 에테르착체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가 있으나, 이들 가운데에서도 고수율로 에스테르변환을 하고, 습기 등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난 염화하프늄(Ⅳ)·(THF)2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염화하프늄(Ⅳ)·(THF)2도 포함한 4가의 하프늄화합물은 시판품이나 통상의 방법으로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4가의 하프늄화합물의 촉매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으나, 카르본산과 알코올로부터 에스테르를 합성하는 경우, 0.1∼1.0mol%, 바람직하게는 0.1∼0.2mol%을 들 수가 있으며, 또, 카르본산과 티올로부터 티오에스테르를 합성하는 경우, 1∼20mol%, 바람직하게는 1∼10mol%를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론산, 카프린산, 카프릴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등의 모노카르본산류와, 푸말산, 말레인산, 마론산, 아디핀산, 텔레푸탈산, 이소푸탈산, 세바신산, 아제라인산, 도데칸2산, 디페닐에테르-4,4'-디카르본산 등의 디카르본산류와, 부탄-1,2,4-트리카르본산, 시클로헥산-1,2,3-트리카르본산, 벤젠-1,2,4-트리카르본산, 나프탈렌-1-2,4-트리카르본산 등의 트리카르본산류와, 부탄-1,2,3,4-테트라카르본산, 시클로부탄-1,2,3,4-테트라카르본산, 벤젠-1,2,4,5-테트라카르본산,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3,3',4,4'-디페닐에테르테트라카르본산 등의 테트라카르본산류를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사놀, 헵타놀, 옥타놀, 2-에틸헥사놀, 데카놀, 도데카놀,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지방족 1가알코올류, 시클로헥사놀 등의 지환식1가알코올류, 벤질알코올류 등의 방향족2가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티롤에탄, 펜타에리스릴톨, 디펜타에리스릴톨, 솔비톨,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다가알코올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티올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티올, 에탄티올, 프로판티올, 부탄티올, 헥산티올, 헵탄티올, 옥탄티올, 데칸티올, 도데칸티올 등의 지방족티올류, 티오페놀, 4-클로로티오페놀, 2-메르캅토아닐린 등의 방향족티올류, 1,2-에탄디티올, 2,2'-옥시디에탄티올, 2,2'-티오디에탄티올, 1,3-프로판디티올, 1,4-부탄디티올, 1,5-펜탄디티올, 1,6-헥산디티올, 1,9-노난디티올, 펜타에리스릴티올, 디시클로헥산티올, 시클로헥산디티올, 크실렌디티올, 벤젠디티올, 톨루엔디티올, 폴리테트라메틸렌디티올, 1,2-벤젠디메탄티올, 1,3-벤젠메탄티올, 1,4-벤젠메탄티올, 1,2,6-헥산트리올트리티오글리코레이트 등의 다가의 티올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등몰의 카르본산과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카르본산과 알코올로서 각각 1가의 카르본산과 알코올을 사용하면 단량체에스테르가 얻어지며, α,ω-지방족디카르본산 등의 다가카르본산과, α,ω-지방족디올 등의 다가알코올을 사용하면 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할 수가 있다. 또, 카르본산과 알코올으로서 ω-히드록시운데칸산, 히드록시도데칸산, p-히드록시안식향산, m-히드록시안식향산, 6-히드록시나프탈렌-2-카르본산, 4-(p-히드록시페녹시)안식향산, 3-(p-히드록시페녹시)안식향산, 4-(m-히드록시페녹시)안식향산, 3-(m-히드록시페녹시)안식향산 등의 ω-히드록시카르본산을 사용하여도 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카르본산과 등몰량 또는 소과잉의 티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카르본산과 티올로서 각각 1가의 카르본산과 티올을 사용하면 단량체티오에스테르가 얻어지며, 상기 다가의 카르본산과 다가의 티올을 사용하면 폴리티오에스테르를 합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으며, 극성용매 혹은 극성용매와 비극성용매와의 혼합용매, 또는 비극성용매를 예시할 수가 있으나, 비극성용매가 에스테르화 또는 티오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물을 반응계 밖으로 제거하는 용이성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톨루엔 등의 비극성용매를 사용하여 가열환류를 실시하고, 공비하는 물을 반응계로부터 간편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물의 제거방법으로 칼슘히드리드나 분자체(molecular sieves) 등의 공지의 탈수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비극성용매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펜타메틸벤젠, m-터-페닐, 벤젠, 에틸벤젠, 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o-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나프탈렌,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테트라인)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또, 극성용매로서는 아니솔, THF,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외에, N-메틸-2-피롤리디논(N-메틸-2-피롤리돈), N-부틸-2-피롤리디논(N-부틸-2-피롤리돈), N-에틸-2-피롤리돈, 1,3-디메틸-2-피롤리돈, 크레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폴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페닐술폰, 니트로벤젠, 벤조니트릴,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γ-부티로락톤, 페놀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메탄올 등의 휘발성 알코올을 기질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이와 같은 알코올은 용매로서의 작용도 아울러 갖기 때문에, 다른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축합반응은 건조불활성 가스분위기하, 즉 예를 들어 아르곤 또는 질소분위기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르곤분위기는 아르곤을 흘러내리면서 축합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중 아르곤분위기로 함으로써 탈수와 탈산소분위기를 동시에 달성할 수가 있다. 또, 1가의 카르본산과 1가의 알코올을 축합하는 축합반응과, 지방족다가카르본산과 지방족다가알코올을 중축합하는 중축합반응 등의 에스테르축합반응과, 1가의 카르본산과 1가의 티올을 축합하는 축합반응과, 지방족다가의 카르본산과 지방족다가티올을 중축합하는 중축합반응 등의 티오에스테르축합반응에 있어서는 가열환류하에서 100∼200℃, 특히 120∼160℃에서 1∼24시간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향족카르본산과 방향족알코올 또는 방향족티올을 축합하는 축합반응과, 중축합하는 중축합반응에 있어서는 가열환류하에서 120∼250℃, 특히 150∼200℃에서 24∼72시간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축합반응과 중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단량체에스테르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단량체티오에스테르나 폴리티오에스테르의 정제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등몰의 카르본산과 알코올, 또는 카르본산과 소과잉의 티올을 사용하고, 부반응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정제가 매우 용이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4가의 하프늄화합물의 선택)
톨루엔용액(5㎖) 내의 4-페닐부탄산(1당량)과 벤질알코올(1당량)의 에스테르화반응을 모델반응으로 선택하고, 아르곤분위기하 120℃에서의 가열환류를 1.5시간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금속염(10mol%)의 촉매활성을 비교하였다(반응조건 A).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물은 반응플라스크 상부에 연결한 속슬레(soxhlet) 관내의 칼슘히드리드에 의해 제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염화하프늄(Ⅳ)과 염화지르코늄(Ⅳ)(Chem.Lett. 1981, 1671, 1981, Bull. Chem. Soc. Jpn. 62, 2353, 1989)가 이 에스테르화 반응에 대해 높은 촉매활성을 나타내었다. 하프늄(Ⅳ)t-부톡시드도 마찬가지로 높은 촉매활성을 나타내지만, 지르코늄(Ⅳ)에톡시드는 불활성이었다.
이미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보고되어 있는 티탄(Ⅳ)염(Jpn. Patent Appl. 1980, No. 55-115570, 일본국 특개소 52-75684호 공보)과 주석(Ⅳ)염(J. Am. Chem. Soc. 102, 7578, 1980, Tetrahedron, Lett. 28, 3713, 1987, J. Org. Chem, 56, 5307, 1991)에 대해서도 시험해 보았으나, 이들의 촉매활성은 하프늄(Ⅳ)과 지르코늄(Ⅳ)염과 비교하면 낮다는 것을 알았다. 다른 다양한 금속염과 유기금속화합물, 3,4,5-F3C6H2B(OH)2 (J.Org.Chem. 61, 4196, 1996, Macromolecules. 33, 3511, 2000), BCl3(Synthesis, 1972, 628, 1972, Tetrahedron. Lett. 12, 3453, 1971), AlCl3(Tetrahedron. Lett. 14, 1823, 1973), SiCl4(Bull. Chem. Soc. Jpn. 54, 1276, 1981), ScCl3, Sc(OTf)3, (The model reaction indicated in Table 1 using Sc(OTf)3 as a catalyst gave α-tetralone as a major product., J. Am, Chem. Soc. 117, 4413 and 6639(corrections), 1995, J. Org. Chem. 61, 4560, 1996, Synthesis, Lett. 1996, 265, 1996), FeCl3, CoCl2, NiCl2, ZnCl 2, GaCl3, GeCl4, SbCl5. LaCl3, PbCl2에 대해서도 시험해 보았으나, 모두 매우 활성이 낮거나 혹은 활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어서, 상기의 실험에서 촉매활성이 확인된 금속염을 몇개 선택하여 그 가운데에서 촉매회전수(TOF)가 높은 것이 어떤 것인지 특정하기 위하여, 1mol%의 촉매존재하에서 12시간 가열환류하는 조건(반응조건 B)으로 앞의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염화하프늄(Ⅳ)·(THF)2과 하프늄(Ⅳ)T-부톡시드를 촉매로서 사용한 경우에 반응은 정량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알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르코늄(Ⅳ)염과 주석(Ⅳ)염을 사용한 경우는 상당하는 에스테르를 낮은 수율로 얻었다. 흥미롭게 티탄(Ⅳ)염의 사용은 하프늄(Ⅳ)을 제외한 다른 금속염화물이나 금속알콕시드보다도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국, 하프늄(Ⅳ)화합물이 이 직접에스테르축합의 가장 효과적인 금속촉매라는 것을 알았다.
[표 1]
촉매 반응조건A에 있어서의 수율(%) 반응조건B에 있어서의 수율(%)
SnCl4 34 48
TiCl4 28 73
Ti(Oi-Pr)4 34 82
ZrCl4 77 -
ZrCl4-(THF)2 84 38
Zr(OEt)4 0 -
HfCl4 83 -
HfCl4-(THF)2 82 >99
Hf(Ot-Bu)4 82 >99
HfO2 <5 -
(실시예 2 ; 반응용매의 최적화)
반응중에 생성하는 물의 제거방법 및 반응용매의 최적화를 실시하기 위하여, 0.2mol% (9.3mg)의 염화하프늄(Ⅳ)·(THF)2의 존재하에, 4-페닐부탄산과 시클로헥사놀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사용하여 반응용매의 존재하에 혹은 비존재하 등의 몇가지의 반응존건을 바꾸어 에스테르변환의 경시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4-페닐부탄산과 시클로헥사놀의 직접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시클로헥실-4-페닐부틸레이트에로의 변환율은 1H NMR분석으로 구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톨루엔용매를 사용하여 가열환류를 실시하여, 공비하는 물을 반응플라스크상부에 연결한 속슬레관내의 칼슘히드리드 혹은 분자체 4A에 의해 탈수하는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혼합물을 가열하면 2시간 경과할 때부터 반응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았다. 이 경향은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실시하였을 때에도 관찰되었다. 이들의 실험결과로부터, 효율적인 에스테르화반응을 실시하는 데에는 반응용매를 사용한 공비탈수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촉매자체의 활성과 물의 제거효율의 양쪽이 반응효율의 향상을 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 : 기질적용범위)
다양한 구조를 갖는 카르본산과 알코올을 여러가지로 조합하여, 4가의 하프늄화합물의 기질적용범위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테프론피막의 마그네틱교반기를 넣은 5㎖의 둥근플라스크상부에 건조한 분자체 4A(약 1.5g)를 충전한 속슬레관을 연결하고, 다시 그 상부에 냉각관을 장착하였다. 카르본산(10mmol)과 알코올(10mmol)에 톨루엔용매(2㎖), 0.1mol%, 0.2mol% 또는 1mol%의 염화하프늄(Ⅳ)·(THF)2 을 넣고, 아르곤중에서 수시간 120℃로 가열환류하였다. 반응 후, 혼합용매를 직접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8:1), 감압하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중, 제3의 실험에는 톨루엔용매(5㎖)가 사용되며, 제4의 실험에는 4-페닐부탄산(36mmol)과 톨루엔용매(4㎖)가 사용되며, 제5의 실험에서의 수율의 괄호안의 수치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의 값을 나타내며, 제9의 실험에는 o-크실렌용매(2㎖)가 사용되었으며, 제14의 실험에는 카르본산의 에난티오머(enantiomer)를 사용하여 84%의 수율로 에스테르의 에난티오머가 얻어진 것이며, 제17의 실험에는 1,3,5-메시틸렌용매(2㎖)가 사용되었으며, 제18 및 19의 실험에 있어서의 수율은 락톤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카르본산도 제1급 및 2급 알코올과 0.2mol% 이하의 촉매존재하에서 반응하여 정량적으로 에스테르를 부여하지만, 제8의 실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급 알코올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또, 제17의 실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향족계의 기질(안식향산이나 페놀)은 지방족계의 기질과 비교하여 반응성이 낮고, 카르본산과 알코올의 양자가 방향족계의 경우, 촉매량 1mol%까지 증가시킴에 따라 고수율로 에스테르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반응성이 낮을 경우, 보다 높은 비점의 벤젠계용매, 예를 들어 제9의 실험에 있어서의 o-크실렌, 제17의 실험에 있어서의 1,3,5-메시틸렌 등을 사용하여 가열환류하는 것도 유효하였다.
(실시예 4 : 휘발성알코올의 용매로서의 사용)
카르본산과 메탄올과 같은 휘발성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의 염화하프늄(Ⅳ)·(THF)2 의 촉매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테프론피막의 마그네틱교반기를 넣은 5㎖의 둥근플라스크상부에 건조한 분자체4A(약 1.5g)를 충전한 속슬레관을 연결하고, 다시 그 상부에 냉각관을 장착하였다. 하기의 반응식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르본산(10mmol)과 메탄올(10mmol)에 1mol%의 염화 하프늄(Ⅳ)·(THF)2 을 가하여 아르곤중에서 수시간 실온에서 가열환류하였다. 그 결과, 99%의 수율로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5 : 하프늄(Ⅳ)과 티탄(Ⅳ)의 촉매작용)
티탄(Ⅳ)화합물은 에스테르와 알코올의 에스테르교환반응의 촉매로서도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J. Polym. Sci., PartA. Polym. Chem. 26, 2199, 1988). 그래서, 하프늄(Ⅳ)과 티탄(Ⅳ)의 촉매작용을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내는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조사해 보았다. TiCl4는 수율 98%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일으켰으나, 흥미롭게도 HfCl4·(THF)2는 동일한 반응조건하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것은 하프늄(Ⅳ)과 티탄(Ⅳ)은 본질적으로 촉매작용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J.Polym. Sci.,PartA, Polym. Chem. 26, 2199, 1988). 상기 양자의 차이는 에스테르화반응의 활성중간체가 하프늄(Ⅳ)카르복시라이트와 티탄(Ⅳ)알콕시드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는 있으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실시예 6 :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에스테르화촉매로서의 하프늄(Ⅳ)화합물의 효과를 이용하여 표 3에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S.R.Sandlerand W. Karo, Polymer Synthesis, 2nd ed.(Academic Press: San Diego, 1992)Vol. 1, Chapter2). 테프론피막의 마그네틱교반기를 넣은 5㎖의 둥근플라스크상부에 건조한 분자체4A(약 1.5g)를 충전한 속슬레관을 연결하고, 다시 그 상부에 냉각관을 장착하였다. 10mmol의 히드록시카르본산, 2㎖의 o-크실렌 및 0.2mol%의 염화하프늄(Ⅳ)·(THF)2 을 첨가하여 아르곤중에서 24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 후, 혼합용액을 30㎖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용액을 150㎖의 아세톤중에 교반하면서 주입하였다. 생성되는 백색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감압하에서 건조시켰다. 또, 동일하게 10mmol%의 디카르본산, 10mmol의 디올, 2㎖의 o-크실렌 및 0.2mol%의 염화하프늄(Ⅳ)·(THF)2 을 참가하여 아르곤중에서 24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 후, 혼합용매를 200㎖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30㎖의 메탄올을 가하였다. 혼합용액을 농축하여 생성되는 백색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중, 수율은 단리수율을 나타내며, DP는 중합도를 나타내며, DP와 수평균분자량 Mn은 1H NMR에 의해 구한 값이며, 중량평균분자량 Mw는 폴리스틸렌을 표준으로 하여 40℃에서 THF중 0.2중량%의 생성폴리머를 겔퍼미에이션칼럼그로마토그래피(Two Linear TSK-gel-GMXXL(도소) 칼럼을 2개 직렬로 이은 것을 사용)에 의해 구한 값이며, HO[CO(CH2)11O]nH에서의 괄호안의 수치는 촉매 비존재하에서의 열중축합에 있어서의 값이며, 최하단의 폴리에스테르에서의 각종 수치는 1mol%의 염화하프늄(Ⅳ)·(THF)2 을 사용하여 4일간 반응시킨 값이다. 이들 결과로부터 염화하프늄(Ⅳ)·(THF)2 는 ω-히드록시카르본산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법과, ω-지방족디카르본산과 α.ω-지방족디올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법에 있어서의 중축합반응용촉매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표 3]
(실시예 7 : 염화하프늄(Ⅳ)·(THF)2 의 촉매를 사용한 티오에스테르 합성)
염화하프늄(Ⅳ)·(THF)2 의 촉매를 이용하여, 카르본산과 티올로부터의 티오에스테르합성반응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테프론피막의 마그네틱교반기를 넣은 5㎖의 둥근플라스크상부에, 건조한 분자체 4A(약 1.5g)를 충전한 속슬레관을 연결하고, 다시 그 상부에 냉각관을 장착하였다. 하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르본산(20mmol)과 벤질티올(24mmol)에 톨루엔용액(2㎖)을 가하고, 5mol%의 염화하프늄(Ⅳ)·(THF)2 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있어서 아르곤중에서 24시간 동안 120℃로 가열환류하였다. 반응 후, 혼합용매를 직접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0:1), 감압하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 벤질티올 대신 테칸티올(C10H21SH)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5mol%의 염화하프늄((Ⅳ)·(THF)2 의 존재하에 아르곤중에서 17시간 동안 120℃에서 가열환류한 결과도 표 4에 나타낸다. 표 4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염화하프늄(Ⅳ)·(THF)2 의 존재하에 있어서 고수율로 티오에스테르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염화하프늄(Ⅳ)·(THF)2 등의 하프늄(Ⅳ)화합물은 티오에스테르합성반응용 촉매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표 4]
번호 R 촉매(mol%) 반응시간(h) 수율(%)
1 벤질 5 24 97
2 벤질 0 24 근소
3 C10H21 5 17 >99
본 발명에 의하면, 4가의 하프늄화합물을 사용하여 비극성용매중에서 직접축합에 의한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반응을 실시함으로써, 반응부생성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의 분리정제조작이 용이하고, 대량스케일의 반응에 특히 적합하다. 또, 4가의 하프늄화합물로서, 특히 습기 등에 안정적인 염화하프늄(Ⅳ)·(THF)2 을 사용하면,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축합 및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중축합에 뛰어난 촉매활성을 나타내어 고수율로 에스테르나 폴리에스테르, 티오에스테르나 폴리티오에스테르 등을 합성할 수가 있다.

Claims (22)

  1. 4가의 염화하프늄(Ⅳ)ㆍ(THF)2를 축합촉매로 하여, 카르본산과 알코올을 용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테르 축합물의 제조방법
  2. 4가의 염화하프늄(Ⅳ)ㆍ(THF)2를 축합촉매로 하여, 카르본산과 티올을 용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에스테르 축합물의 제조방법
  3. 4가의 염화하프늄(Ⅳ)ㆍ(TH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테르화 또는 티오에스테르화 축합촉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3-7005170A 2000-10-16 2001-08-23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 KR100534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4712A JP3773777B2 (ja) 2000-10-16 2000-10-16 エステル縮合物の製造方法
JPJP-P-2000-00314712 2000-10-16
PCT/JP2001/007195 WO2002036538A1 (fr) 2000-10-16 2001-08-23 Procede de production d'un condensat esterif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011A KR20030042011A (ko) 2003-05-27
KR100534085B1 true KR100534085B1 (ko) 2005-12-07

Family

ID=1879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170A KR100534085B1 (ko) 2000-10-16 2001-08-23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01045B2 (ko)
EP (1) EP1334960B1 (ko)
JP (1) JP3773777B2 (ko)
KR (1) KR100534085B1 (ko)
CA (1) CA2426000A1 (ko)
DE (1) DE60123824T2 (ko)
TW (1) TWI284648B (ko)
WO (1) WO2002036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5617B (zh) * 2003-10-02 2013-05-11 Japan Science & Tech Agency Method for producing ester condensates
JP4539250B2 (ja) * 2004-09-14 2010-09-08 東亞合成株式会社 芳香族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4092406B2 (ja) * 2004-12-13 2008-05-28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エステル化触媒
JP5019418B2 (ja) * 2006-06-26 2012-09-0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脂肪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WO2009052148A1 (en) * 2007-10-15 2009-04-2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unctionalized polymers using protected thiols
KR101109045B1 (ko) 2008-01-07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르코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촉매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JP5351612B2 (ja) * 2009-06-02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WO2012115984A2 (en) 2011-02-21 2012-08-30 Felice Kristopher M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4520008A (ja) 2011-06-10 2014-08-21 フェリス、クリストファー、エム. 透明アクリルコーティング
CN102557944B (zh) * 2011-12-30 2013-12-25 宜兴市华联化工有限公司 一种合成苯甲酸苄酯的方法
CN105061204B (zh) * 2015-07-31 2016-09-28 邵阳学院 一种磷钨酸银铵复合盐催化合成柠檬酸酯的方法
CN108441091A (zh) * 2018-04-24 2018-08-24 吴刚 一种光触媒催干聚酯漆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820A (en) * 1989-08-07 1991-04-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paration of chiral metallocene dihalides
JP2904543B2 (ja) * 1990-04-18 1999-06-14 ライオン株式会社 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3298929B2 (ja) * 1992-02-10 2002-07-08 杏林製薬株式会社 カルボン酸エステル又はカルボン酸チオエステルの新規製造方法
JPH0871429A (ja) * 1994-09-06 1996-03-19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エステル化触媒およびエステルの製法
JP3944251B2 (ja) * 1995-03-22 2007-07-11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エステル精製方法
JPH10310557A (ja) * 1997-05-09 1998-11-24 Mitsui Chem Inc 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エチレングリコールエステル混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US6013745A (en) * 1997-08-04 2000-01-11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Phosphorus based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JP2000154241A (ja) * 1998-11-18 2000-06-06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重合触媒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ポリエステル
AU770866B2 (en) * 1999-07-21 2004-03-04 Dow Agrosciences Llc Process for trifluoroacetate esters and thioesters
HUP0200237A3 (en) * 2001-01-24 2004-01-28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cyclopropanecarboxyl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011A (ko) 2003-05-27
US7301045B2 (en) 2007-11-27
CA2426000A1 (en) 2003-04-15
WO2002036538A1 (fr) 2002-05-10
EP1334960A1 (en) 2003-08-13
EP1334960A4 (en) 2004-02-25
JP3773777B2 (ja) 2006-05-10
DE60123824T2 (de) 2007-09-06
EP1334960B1 (en) 2006-10-11
US20040015005A1 (en) 2004-01-22
JP2002121170A (ja) 2002-04-23
TWI284648B (en) 2007-08-01
DE60123824D1 (de)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085B1 (ko) 에스테르축합물의 제조방법
US5026676A (en) Catalyst for the copolymerization of epoxides with CO2
JP5230752B2 (ja) ジルコニウム化合物を含むエステル化触媒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CN1771238A (zh) 环氧化物的羰基化
US6835858B1 (en) Catalytic conversion of an organic carbonate
BR112012031918B1 (pt) Processo para transesterificação e catalisadores de sais mistos acetilacetonatos
EP1485422B1 (en) Catalytic systems
EP0736523A2 (en) Zirconium compounds of sulfonic acids
KR100729714B1 (ko) 에스테르 축합물의 제조방법
CN114011459B (zh) 一种钛系双酸型离子液体催化剂及制备方法与应用
KR102054388B1 (ko) 전이금속 기반 비균질계 카보닐화 반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락톤 또는 숙신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CN114685773B (zh) 一种功能化锡类咪唑鎓盐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合成pes的应用
WO2004065452A1 (en) Catalyst complex for catalysing esterification and trans-esterification reactions and process for esterification/trans-esterification using the same
RU265633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жных эфиров 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в присутствии титансодержащего катализатора
CN100374204C (zh) 一种酯交换反应合成碳酸二苯酯的方法
JP2003292471A (ja) エステル縮合物の製造方法
JP4152696B2 (ja) エステル縮合物の製造方法
JP5220868B2 (ja) ジルコニウム化合物を含むエステル化触媒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3933588B2 (ja) エステル縮合物の製造方法
CN112479171A (zh) 一种金属磷酸盐及其制备方法与用于催化酯化反应的应用
US3935170A (en) Trivalent antimony catalyst
CN111132957B (zh) 制备对苯二甲酸的酯的方法
CN117164488A (zh) 一种有机半导体氮化碳催化合成(E)-β-硫代乙烯基砜类化合物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