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919B1 - 자동차용 내식성 연료탱크 및 급유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식성 연료탱크 및 급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919B1
KR100526919B1 KR10-2003-0019083A KR20030019083A KR100526919B1 KR 100526919 B1 KR100526919 B1 KR 100526919B1 KR 20030019083 A KR20030019083 A KR 20030019083A KR 100526919 B1 KR100526919 B1 KR 10052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tainless steel
steel sheet
less
ferritic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028A (ko
Inventor
도미무라고키
히데시마야스토시
히라마츠나오토
아다치도시로
시라야마가즈시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1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metal allo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3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3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23C28/025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with at least one zinc-based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51Macroscopically anomalous interface betwee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10T428/12979Containing more than 10% nonferrous elements [e.g., high alloy, stain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심한 부식환경에 있어서도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내식성을 유지하는 연료탱크 및 급유관이 양호한 가공성을 지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으로 만들어진다. 단일축 인장시험에 의한 파단연신이 30% 이상이고, 1.3 이상의 최소 랭크포드값 (rmin 값)을 가지는 강판이 제품형태로 형성되고, 형성된 스테인리스강판의 표면상에 도막이 양이온 전착된다. 스테인리스강판은 Al 도금 또는 Zn 도금중 하나로 도금될 수 있다.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이 용접에 의해 제조될 때, 징크리치 도막이 용접부에 형성되고, 양이온 전착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식성 연료탱크 및 급유관{CORROSION-RESISTANT FUEL TANK AND FUEL-FILLER TUBE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가솔린 또는 메탄올 함유 가솔린과 같은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에 관련된다.
연료탱크는 가솔린 등의 저장을 위해 자동차나 오토바이에 설치된다. 연료탱크의 기밀성이 나쁜 경우, 가솔린은 연료탱크내에서 기화하여 대기중으로 증발한다. 가솔린의 확산은 기밀성이 나쁜 급유관에서도 또한 발생한다.
환경에 해로운 가솔린의 확산을 저해하기 위해서, 연료탱크 및 급유관은 기밀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종래 연료탱크의 기밀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악해진다. Zn 도금 강판 또는 Al 도금 강판을 연료탱크용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시되었지만, 강판을 제품형태로 가공하는 도중에 도금층은 종종 박리되거나 균열이 발생한다. 연료탱크가 가솔린의 열화에 의하여 생기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부식성 환경에 노출될 때, 박리 및 균열과 같은 결함은 부식 발생의 기점으로 작용한다. 부식이 연료탱크내의 구멍 뚫림의 결과로 이어진다면, 연료탱크의 기밀성은 파괴된다. 매우 부식성인 환경, 특히 도로에 제설염이 뿌려지는 곳과 같은 추운 지역에서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의 외부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의 외부면도 역시 부식을 겪게 된다.
장기간에 걸쳐 기밀성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내식 재료인 스테인리스강을 연료탱크나 급유관으로 사용하는 것이 연구 및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은 보통강보다 가공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동안 종종 균열이 발생한다. 균열은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의 기밀성을 손상시켜, 저장 연료를 공기중에 확산시키는 원인이 된다.
부식기점은 가공으로 유도된 결함부에서 종종 유발되고, 특히 열화 가솔린과 접촉하는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 내면에서 구멍 뚫림이 발생한다.
간극부식은 또한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에서의 문제점중 하나이다.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은 강판을 심 용접하고 다양한 부재로 그곳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좁은 간극의 형성은 피할 수 없다. 빗물이 좁은 간극으로 침투할 때, 스테인리스강은 간극부식을 겪게된다. 특히, 제설염이 노상에 뿌려지는 지역에서는, 좁은 간극은 제설염의 침투 및 농축으로 인해 간극부식을 겪게된다. 간극부식은 구멍 뚫림을 또한 유발하고,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양호한 성형성을 지닌 스테인리스강판으로 만들어지고, 장기에 걸쳐서 부식이 없이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료탱크 및 급유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은 내식층으로 도금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으로 만들어진다. 스테인리스강판은 단일축 인장시험에 의한 파단연신이 30% 이상이고, 최소 랭크포드(Lankford)값 (rmin 값)이 1.3 이상이다.
내식층은 양이온 전착도막 또는 Al 도금층, Zn 도금층 또는 Fe, Ni, Co, Mg, Cr, Sn 및 Al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Zn 합금으로 된 도금층일 수 있다.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이 용접 강판에 의해 제조될 때, 징크리치 도막이 도막층의 전착 이전에 용접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의 바람직한 조성은 0.015질량% 이하의 C, 0.5질량% 이하의 Si, 11.0 내지 25.0질량%의 Cr, 0.020질량% 이하의 N, 0.05 내지 0.50질량%의 Ti, 0.10 내지 0.50질량%의 Nb, 0.010질량% 이하의 B, 선택적으로 3.0질량% 이하의 Mo, 2.0질량% 이하의 Ni, 2.0질량% 이하의 Cu, 및 4.0질량% 이하의 Al중 1종 이상,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하고 나머지가 F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
연료탱크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을 복잡한 형상을 지닌 상반부 및 하반부로 프레스-가공하고 양 반쪽부를 서로 심용접하기 위한 다단계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예컨대, 유입관(2), 연료관(3), 연료반송관(4), 서브탱크(5) 및 배수 플러그(6) 등의 각종 부재가 용접, 납땜 등으로 연료탱크 본체(1)에 장착된다. 유입관(2)과 같은 급유관도 동일한 다단계 공정에 의해서 또한 제조되고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확장된다. 강판은 신장 및 압축이 동반되는 복잡한 가소성 변형을 받기 때문에, 가공성 부족으로 인하여 드로잉, 충격가공 또는 2차 가공시에 크랙이 종종 발생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r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보통강보다 경질이고 신장도가 낮으므로, 부풀림 또는 재료의 연성으로부터 유래한 유사한 가소성 변형에 의해 향상되는 성형성은 기대되지 않는다. 이러하므로, 랭크포드값 (r값)은 제품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될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판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판두께 수축 및 폭방향을 따라 연접하는 재료유입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그 목적에 적합한 스테인리스강판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스테인리스강의 랭크포드값 (r값)을 조사하였고, 스테인리스강판의 성형성은 압연방향 (L-방향), L-방향에 대하여 45도 방향 (D-방향) 및 L-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T-방향)에의 랭크포드값 (r값)중에서 최소값 (rmin 값)으로 적절하게 제시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러 시험결과는 깨짐 후의 연신 (이하 "파단연신"이라 함) 및 최소값 (rmin 값)은 성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요약하면, 단일축 인장시험 후의 파단연신이 30% 이상이고 최소 랭크포드값 (rmin 값)이 1.3 이상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드로잉, 충격가공, 또는 2차적인 가공시에 균열 또는 기타 작업으로 유도된 결함이 발생함이 없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파단연신은 하기와 같이 얻을 수 있다: 각 강판은 L-방향을 따라 잘라지고 JIS Z2201에 규정된 13B호 시편으로 가공된다. 시편은 10mm/분의 속도로 신장되고, 파단된 부분은 표시된 점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서로 맞대게 한다. 측정치는 파단연신을 계산하기 위하여 인장시험 전의 거리와 비교된다.
최소 랭크포드값 (rmin 값)은 다음과 같이 얻는다: 15%의 인장 변형이 동일한 13B호 시편에 가해진 후, 시편의 두께 및 폭이 측정된다. L-방향, D-방향, 및 T-방향 각각으로의 랭크포드값 (r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폭 수축율의 자연로그 값이 판두께 감소율의 자연로그 값으로 나눗셈하여 진다. 계산 결과중 최소값은 최소 랭크포드값 (rmin 값)으로 간주된다.
양이온 전착도장 및/또는 Al 도금 또는 Zn 도금은 부식환경에 있어도 장기간에 걸쳐 부식으로부터 스테인리스강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다. 도막은 스테인리스강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거나 또는 Al 도금 또는 Zn 도금된 후 가해질 수 있다.
연료탱크나 급유관의 내부는 가솔린을 포함하는 환경이다. 가솔린의 열화로 인해 생성되는 저급 유기산은 수상으로 옮겨져서 내부 환경을 부식성으로 만든다. 종래의 공정에 의해 도금된 강판이 강한 가소적 변형을 받는다면, 도금은 강하게 변형된 부분에서 종종 박리되며, 기재강은 부식환경에 노출되어 짧은 시간동안 부식된다. 기재강의 노출은 양이온 전착도막에 의해 저해되는데, 양이온 전착은 도료가 구석구석에 투과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장된 강판은 열화 가솔린의 부식침투로부터 보호된다.
보통강에 형성된 Zn 도금층은 부식으로부터 기재강을 보호하기 위한 희생 양극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Zn 도금층이 부식 방지에 소모된다면, 기재강은 부식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그 결과, 기재강은 부식되어 결국에 구멍 뚫림이 형성된다.
부식의 진행은 보통강과 스테인리스강이 서로 다르다. 기재강이 스테인리스강판인 경우에, Zn 또는 Al의 부식 생성물은 Zn의 희생용해와 더불어 부식 저해제로서 작용한다. 즉, 부식 생성물은 스테인리스강판의 표면상에 부착하고 산화-환원즉, 부식과정에서 음극반응을 억제한다. 박리된 수산화 아연은 부식환경을 중화하기 위한 pH 완충작용이라고 생각된다. 이들 효과는 기재강으로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경우에 관찰되었고, 보통강을 이용한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부식 생성물이 기재강의 표면에 부착하는 한, 동일한 방식효과가 대기환경에서도 또한 관찰되었고, Fe, Ni, Co, Mg, Cr, Sn 및 Al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Zn 도금층을 가진 스테인리스강에서도 관찰되었다.
Al 및 Zn의 부식 생성물은 간극부식으로부터 스테인리스강을 또한 보호한다. Al 및 Zn의 부식 생성물은 주로 수산화물로 구성되며, Cl-이 농축되는 간극 환경에서는 용이하게 부식 생성물이 생성되도록, Al 및 Zn은 중성 수용액중에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부식하는 금속이다. 결과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었던 스테인리스강판의 표면부위는 부식 생성물의 부착에 의하여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의 기재강으로서 스테인리스강은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C : 0.015질량% 이하
C는 탄화물의 석출을 위한 원소이고, 최종 어닐링동안 재결정 페라이트의 결정방향 랜덤화의 재결정핵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0.015질량% 초과의 과다한 C는 강도를 상승시키고 어닐링된 강판의 인성을 저하시킨다.
Si : 0.5질량% 이하
Si는 주조강에 탈산화제로서 첨가되나, 공용경화능이 크다. 0.5질량% 초과의 지나친 Si는 강판을 바람직하지 않게 경화하고 인성을 저하시킨다.
Cr : 11.0 내지 25.0질량%
Cr은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위한 필수원소이다. 내식성에 대한 Cr의 효과는 11.0질량% 이상의 비율에서 두드러지나, 25.0질량% 초과의 과다한 Cr은 인성 및 가공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N : 0.020질량% 이하
N은 질화물-형성 원소이다. 강 매트릭스내에 석출되는 질화물은 최종 어닐링동안 재결정 페라이트의 결정방향 랜덤화의 재결정핵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N은 어닐링된 강판의 강도를 상승시키고, 0.02O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N은 인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Ti : 0.05 내지 0.50질량%
Ti는 C 및 N을 고정하고 가공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Ti의 효과는 적어도 0.05질량%의 비율에서 두드러지나, 0.50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Ti는 강재 비용을 증대시키고 Ti계 개재물에서 유래하는 표면결함을 또한 유발한다.
Nb : 0.10 내지 0.50질량%
Nb는 C 및 N을 고정하고 내충격 특성 및 2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이러한 효과는 0.10질량% 이상의 비율에서 두드러진다. 그러나, 0.50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Nb는 재결정 온도를 상승시키고 가공성에 악영향을 유발하는데, 강판은 Nb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화되기 때문이다.
B : 0.0100질량% 이하
B는 N을 고정하고 내식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나, 0.0100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B는 열간 가공성의 저하 및 용접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Mo : 3.0질량% 이하
Mo는 내식성을 개선하는데 선택적 원소이지만, 3.0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Mo는 고온에서의 공용경화를 촉진시키고, 동적 재결정을 지체시키며, 열간 가공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Ni : 2.0질량% 이하
Ni는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다. Ni 함량은 스테인리스강판의 경화를 저해하기 위하여 2.0질량% 이하로 조절되어야 한다.
Cu : 2.0질량% 이하
Cu는 용융시 스크랩으로부터 철강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이다. 과도한 Cu는 열간 가공성 및 내식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상한은 2.0질량%로 조절된다.
Al : 4.0질량% 이하
Al은 제강중에 탈산소제로서 선택적으로 첨가되고 내산화성에 또한 효과적이다. 그러나, 4.0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Al은 표면결함을 유발한다.
Mn : 2.0질량% 이하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인 Mn은 적은 공용경화능으로 인해 강재에 대해 악영향이 적다. 그러나, 2.0질량%를 초과하는 과다한 Mn은 제강동안 Mn-증기의 생성과 같은 문제점을 유도한다.
P : 0.050질량% 이하
P는 열간 가공성에 유해한 원소이다. P의 효과는 P 함량을 O.050질량% 이하로 조절함으로서 억제한다.
S : 0.020질량% 이하
S는 결정입계에 편석시킬 수 있고, 열간 가공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입자간 약화를 유발하는 원소이다. S의 유해한 효과는 S 함량을 0.020질량% 이하로 조절함으로서 억제한다.
V 및 Zr : 각각 0.3질량% 이하
V는 C를 탄화물으로서 석출시키는 효과에 의해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선택적 원소이고, Zr은 O를 산화물로서 고정화시킴으로 인해 가공성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선택적 원소이다. 그러나, 과다한 V 또는 Zr은 생산성의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V 및 Zr의 각 함량은 0.30질량% 이하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들 이외 다른원소, 예컨대 Ca, Mg, Co 및 REM (희토류)는 스크랩과 같은 것에 의해 스테인리스강내에 종종 포함된다. 이들 원소들은, 과다하게 포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강판의 특성에는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의 방식피막은 하기와 같이 형성된다.
양이온 전착도막:
내식층은 양이온 전착도장 공정에 의한 도막일 수 있는데, 여기서 인산염 처리된 강판은 수용성 도료중에 침지되고, 강판의 표면에 도료가 전착되도록 피도물을 음극으로 그리고 도료를 양극으로 하여 직류를 인가한다. 본 용도로서 에폭시계도료가 가용하다. 전착은 도막이 10μm 두께가 될 때까지 진행된다. 생성된 도막은 150 내지 160℃로 15 내지 20분 가열하고 구워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전착도장은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Zn 도금 또는 Al 도금 스테인리스강판이 최종 제품 형상으로 조립된 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n 또는 Al 도금:
Zn 또는 Al의 도금층은 또한 내식층들중 하나이다. 도금방법은 전기도금, 용융도금, 및 증착도금중 어느 방법이라도 좋다. 연료탱크가 Zn 도금 또는 Al 도금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제조되는 경우, 가공된 강판들은 서로 심용접이 된다. 심용접동안, Zn 또는 Al 도금은 용접열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증발된다. 증발손실이 너무 많은 경우, 용접 간극부에 대한 부식 생성물의 방식작용이 발현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 하므로, 심 용접 후에도 용접 간극부에 Zn 또는 Al 도금층을 남기기 위해서는, Zn 또는 Al 도금양은 5 g/m2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Zn 도금층은 순수 Zn 도금뿐만 아니라, Fe, Ni, Co, Mg 및 Al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Zn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e, Ni, Co, Mg 및 Al은 방식에 효과적이고, 부식 저해제로서 Zn의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의 발생을 저해하지 않는다.
징크리치 도막:
징크리치 도막은 또한 내식층들중의 하나이다. 연료탱크 또는 급유관이 용접법으로 제조될 때, 기재강은 용접열에 의한 Zn 또는 Al의 부분증발로 인하여 Zn 또는 Al 도금층이 떨어져 나가진 부위를 가질 수 있다. 이같은 도금층 누락 부위에는 징크리치 도료를 도포 후, 양이온 전착도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징크리치 도료는 아연 분말을 주성분으로서 80%이상 그리고 무기 또는 유기 바인더를 포함한다. 무기 바인더는 알킬 실리케이트, 에틸 실리케이트, 콜로이드 실리케이트 및 리튬 실리케이트중 1종 이상이다. 유기 바인더는 에폭시 수지 및 알키드 수지중 1종 이상이다. 징크리치 도료는 바인더 이외에 산화아연, 크롬산염, 산화철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징크리치 도료의 스테인리스강판 도포 방법으로서는 브러시 칠이나 스프레이법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판두께 0.8 mm의 여러가지 스테인리스강판이 도 1에 도시된 연료탱크 제조에 사용되었다. 각 스테인리스강판은 표 1에 개시한 조성을 가졌다. A 내지 E의 강은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의 파단연신 및 최소 랭크포드값 (rmin값)을 충족시키고, 강 F 내지 H는 소정치를 벗어난 것이다. 파단연신 및 rmin 값은 제품으로 성형하기 전의 스테인리스강판의 단일축 인장 시험의 결과였으며, rmin 값은 L-방향, D-방향, 및 T-방향을 따른 랭크포드값 (r 값)중에서 최소값이다.
일부 스테인리스강판은 전기도금법 또는 용융도금법에 의하여 부착량 30 g/m2의 Al 도금 또는 Zn 도금을 행했다. 전기도금의 경우, 각 강판은 황산환원 전기분해에 의해 전처리 되었다. 용융도금의 경우, 각 강판은 Fe의 플래시 도금을 행했다.
Zn 및 다양한 Zn 합금 도금층은 표 2에 개시된 도금욕의 전기도금에 의해 강판상에 형성되었다. Zn-Sn 도금층은 20질량% Sn을 포함하는 용융 Zn욕을 사용한 용융도금에 의해 형성되었다. Zn-Al 도금층은 5질량% Al을 포함하는 용융 Zn욕을 사용한 용융도금에 의해 형성되었다.
각 도금 강판은 최종 제품형상으로 형성되었다. 75%의 아연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산화아연 분말을 포함하는 에폭시계 수지 도료가 용접부에 스프레이 되어, 징크리치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강판은 양이온 전착도장에 의해서 20±5μm 두께의 도막이 형성되었다.
비교재로서, Pb 및 Al 도금 보통강판 및 2D 마무리된 SUS430 스테인리스강판을 사용했다.
각 도금제품에 관하여, 내충격성과 내식성 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했다.
내충격 시험에서, 지름 2mm의 비드로 온도를 5℃로 유지한 제품에 5kgf/mm2로 1 시간동안 충격을 가하고, 균열을 관찰하기 위해 제품의 표면을 관찰했다. 균열이 관찰되지 않았던 제품을 O, 균열이 발생한 제품은 X로 평가되었다.
내식성 시험은 사이클 부식 시험에 의해 검사되었는데, 여기서 시험의 1 사이클은 (5% NaCl중 15분)의 소금물 분무 → (습도 35%, 온도 60℃에 60분)의 건조 → (습도 95%, 온도 60℃에 180분)의 습윤이고, 이것을 300 사이클 행하였다. 부식 시험 후에,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식 깊이를 측정했다. 간극부식이 없었던 것은 O으로 평가되었다. 간극부식이 검사된 제품은 X로 평가되었다.
표 3에 나타낸 시험 결과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내충격성과 내식성 모두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보인다. 특히, 제품들이 간극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 경우에도, 제품들은 염 환경에 대하여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강 F로 만들어진 연료탱크는 가공균열을 포함했는데, 비교강 F는 본 발명에 의해 규정된 파단연신 및 rmin에 벗어나는 것과 더불어 과다한 C 때문에 가공성이 낮았기 때문이다. 비교강 G 및 H는 비교강 G 및 H의 파단연신 및 rmin이 모두 비교강 F 것들보다 낮았기 때문에, 균열의 발생으로 인해 탱크 형상으로 성형할 수 없었다.
간극부식은 Cr을 소정량 함유하고 도금층을 갖고 있는 비교강 F, G 및 H로 만들어진 연료탱크에서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Pb 도금 보통강판, Al 도금 보통강판 및 무도금 SUS430 스테인리스강판으로 만들어진 연료탱크에 대해서는, 간극부식이 심용접부 및 간극부에서 관찰되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연료탱크 및 급유관은 Zn 또는 Al 도금이 선택적으로 되어있는,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다. 스테인리스강판이 제품형상으로 형성된 후, 양이온 전착도장으로 도막이 강판에 형성된다. 제품은 과혹한 가공변형에도 불구하고 균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하며, 그것의 용접부 및 간극부는 공식에 의한 구멍 뚫림이나 염소 이온 농축에 의한 간극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결과적으로, 지구 환경에 있어 유해한 저장 가솔린에 확산이 장기간에 걸쳐서 없는 연료탱크 및 급유관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연료탱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Claims (14)

  1. 제품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일축 인장시험에 의한 파단연신이 30% 이상이고 1.3 이상의 최소 랭크포드값(rmin 값)을 가지는 기재물질로서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
    상기 형성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Al 도금층, Zn 도금층 또는 Fe, Ni, Co, Mg, Cr 및 Al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Zn 합금의 도금층;
    상기 도금층의 표면상의 징크리치 도막; 그리고
    상기 형성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의 전체 표면상의 양이온 전착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자동차용 연료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0.015질량% 이하의 C, 0.5질량% 이하의 Si, ll.0 내지 25.0질량%의 Cr, 0.020질량% 이하의 N, 0.05 내지 0.50질량%의 Ti, 0.10 내지 0.50질량%의 Nb, 0.010O질량% 이하의 B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하고는 나머지가 Fe로 구성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연료탱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3.0질량% 이하의 Mo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연료탱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2.0질량% 이하의 Ni, 2.0질량% 이하의 Cu 및 4.0질량% 이하의 Al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연료탱크.
  8. 제품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일축 인장시험에 의한 파단연신이 30% 이상이고 1.3 이상의 최소 랭크포드값(rmin 값)을 가지는 기재물질로서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
    상기 형성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Al 도금층, Zn 도금층 또는 Fe, Ni, Co, Mg, Cr 및 Al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Zn 합금의 도금층;
    상기 도금층의 표면상의 징크리치 도막; 그리고
    상기 형성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의 전체 표면상의 양이온 전착 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자동차용 급유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0.015질량% 이하의 C, 0.5질량% 이하의 Si, ll.0 내지 25.0질량%의 Cr, 0.020질량% 이하의 N, 0.05 내지 0.50질량%의 Ti, 0.10 내지 0.50질량%의 Nb, 0.010O질량% 이하의 B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하고는 나머지가 Fe로 구성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급유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3.0질량% 이하의 Mo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급유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은 2.0질량% 이하의 Ni, 2.0질량% 이하의 Cu 및 4.0질량% 이하의 Al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급유관.
KR10-2003-0019083A 2002-03-27 2003-03-27 자동차용 내식성 연료탱크 및 급유관 KR100526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7912A JP4014907B2 (ja) 2002-03-27 2002-03-27 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給油管
JPJP-P-2002-00087912 2002-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028A KR20030078028A (ko) 2003-10-04
KR100526919B1 true KR100526919B1 (ko) 2005-11-09

Family

ID=2803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083A KR100526919B1 (ko) 2002-03-27 2003-03-27 자동차용 내식성 연료탱크 및 급유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02430B2 (ko)
EP (1) EP1350653B1 (ko)
JP (1) JP4014907B2 (ko)
KR (1) KR100526919B1 (ko)
DE (1) DE60313820T2 (ko)
ES (1) ES2287370T3 (ko)
TW (1) TWI2643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06B1 (ko) * 2010-12-28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Al도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6258B1 (en) * 2000-08-01 2005-11-09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fuel tank for automobile
JP2003277891A (ja) * 2002-03-27 2003-10-02 Nisshin Steel Co Ltd 耐衝撃特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自動車用燃料タンクまたは給油管
US20040140105A1 (en) * 2002-10-10 2004-07-22 Changize Sadr Combustion supression system
JP2005206064A (ja) * 2004-01-23 2005-08-04 Asteer Co Ltd ステンレス鋼製の燃料給油管
JP4959937B2 (ja) 2004-12-27 2012-06-27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腐食診断部品を設けてなる配電用変圧器
JP4652081B2 (ja) * 2005-02-25 2011-03-16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の塗装方法
JP5000103B2 (ja) * 2005-06-21 2012-08-1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塩害環境での耐久性に優れた自動車用燃料タンクあるいは燃料パイプ
TWI312388B (en) * 2005-06-23 2009-07-21 Honda Motor Co Ltd Fuel tank
JP4748384B2 (ja) * 2005-09-21 2011-08-17 日立金属株式会社 サドル型継手
US8709535B2 (en) * 2005-09-30 2014-04-29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Method of enhancing corrosion resistance of hollow vessels
US20070235458A1 (en) * 2006-04-10 2007-10-11 Mann & Hummel Gmbh Modular liquid reservoir
CA2650469C (en) 2006-05-09 2014-02-11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ferr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resistance to crevice corrosion and formability, and ferr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resistance to crevice corrosion
US8613543B2 (en) * 2007-12-13 2013-12-24 Mcneilus Truck And Manufacturing, Inc. Under drum water tank
US8053034B1 (en) * 2008-02-19 2011-11-08 Colin Dickinson High performance tank systems
JP2009215633A (ja) * 2008-03-12 2009-09-24 Nisshin Steel Co Ltd 給油系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TR201006923T1 (tr) 2008-03-24 2011-07-21 Kubota Corporation Dış yüzeyi üzerinde korozyon önleyici katmanla donatılan boru, bu borunun üretimi için işlem ve korozyon önleyici katman ıçın kullanılan alaşım tellerin üretimi için işlem.
US8091588B2 (en) * 2008-05-30 2012-01-10 Fluid Routing Solutions, Inc. Metallic tubular structure
JP5462583B2 (ja) * 2008-10-24 2014-04-02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Egrクーラ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US20100251798A1 (en) * 2009-04-06 2010-10-07 The Coca-Cola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Vessel
JP4917137B2 (ja) * 2009-09-29 2012-04-1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配電用変圧器
WO2012017674A1 (ja) * 2010-08-06 2012-02-09 東洋鋼鈑株式会社 燃料蒸気への耐食性に優れたパイプ製造用鋼板、それを用いたパイプ及びパイプの製造方法
JP6084769B2 (ja) * 2010-12-21 2017-02-22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給油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37314B2 (ja) * 2011-03-22 2015-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蒸発燃料処理装置
CN103459636B (zh) 2011-03-29 2016-01-13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生物燃料供给系统部件用铁素体系不锈钢、生物燃料供给系统部件、排热回收器用铁素体系不锈钢以及排热回收器
JP5690306B2 (ja) * 2012-06-08 2015-03-25 ディップソール株式会社 塗装ステンレス鋼部材
JP2014180889A (ja) * 2013-03-18 2014-09-29 Unipres Corp 車両用燃料タンク
CN105764733B (zh) * 2013-09-13 2018-09-07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低廉且具有良好的耐盐性的汽车用构件以及供油管
JP2014043242A (ja) * 2013-10-22 2014-03-13 Keylex Corp 車両の給油管取付構造
BR102014017286A2 (pt) * 2014-07-14 2016-02-16 Aethra Sistemas Automotivos Sa processo de fabricação de tanque de combustíveis em chapas de aços de média ou alta resistência com revestimento organo-metálico, bordas flangeadas e tubos de entrada, respiro e desafogador cravados
CN106661697A (zh) * 2014-09-02 2017-05-1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尿素scr壳体用铁素体系不锈钢板
CA2975977C (en) 2015-02-10 2020-04-07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Inexpensive automobile component and oil feed pipe having excellent salt corrosion resistance
JP6598478B2 (ja) * 2015-03-12 2019-10-30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塩害耐食性に優れかつ外観劣化を抑制した自動車用給油管
JP6541992B2 (ja) * 2015-03-12 2019-07-10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塗装かつ犠牲防食効果を利用した耐穴あき性に優れた自動車用部材および自動車用給油管
CN107531145B (zh) * 2015-04-27 2019-03-15 八千代工业株式会社 一种燃料箱
US10556505B2 (en) 2016-01-21 2020-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fuel system
JPWO2017222031A1 (ja) * 2016-06-24 2019-04-25 ユニプレス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に接続された管状部材の車体への取付け構造及び配管構造体
JP6597947B1 (ja) 2018-04-26 2019-10-30 日本製鉄株式会社 溶融Sn−Zn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402527B (zh) * 2018-11-07 2021-02-23 林州凤宝管业有限公司 一种经济型p110钢级石油套管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9293A (en) * 1963-02-06 1966-12-06 Torsten Stenquist Ingerjors Fa Procedure for welding a joint and protecting the joint and adjacent metal surfaces against rust and corrosion
GB1118783A (en) * 1964-11-20 1968-07-03 Courtauld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of polymeric surface coatings to metal articles by electrodeposition
US4110117A (en) * 1975-03-19 1978-08-29 Mobil Oil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JPS6045689B2 (ja) * 1982-02-19 1985-10-11 川崎製鉄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すぐ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US5116645A (en) * 1988-08-29 1992-05-26 Armco Steel Company, L.P. Hot dip aluminum coated chromium alloy steel
US5023113A (en) * 1988-08-29 1991-06-11 Armco Steel Company, L.P. Hot dip aluminum coated chromium alloy steel
JPH04354850A (ja) * 1991-05-29 1992-12-09 Nisshin Steel Co Ltd 耐高温酸化性に優れた高Al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5496514A (en) * 1993-03-08 1996-03-05 Nkk Corporation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WO1994025636A1 (en) * 1993-04-27 1994-11-10 Nisshin Steel Co., Ltd. Ferr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high-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and scale adhesion
DE4414982A1 (de) * 1993-05-13 1994-11-17 Gen Electric Silicon-Haftkleber-Zusammensetzungen
WO1995011321A1 (fr) * 1993-10-20 1995-04-27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Acier inoxydable pour gaz haute purete
GB2289691B (en) * 1994-03-14 1999-09-29 Berkman Louis Co Coated metal
JP2933826B2 (ja) * 1994-07-05 1999-08-16 川崎製鉄株式会社 深絞り成形性と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80061B2 (ja) * 1994-09-20 2003-12-1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
JPH09195871A (ja) * 1996-01-12 1997-07-29 Nisshin Steel Co Ltd ガソリン燃料タンク用材料
US5807842A (en) * 1996-02-02 1998-09-15 Chevron Chemical Company Hydrocarbon processing in equipment having increased halide stree-corrosion cracking resistance
FR2748956B1 (fr) * 1996-05-24 1998-06-26 Lorraine Laminage Reservoir metallique pour liquide
JP3080014B2 (ja) * 1996-11-11 2000-08-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融めっき方法
RU2144452C1 (ru) * 1997-02-18 2000-01-20 Тихонов Аркад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автомобиля
TW426753B (en) * 1997-06-30 2001-03-21 Sumitomo Metal Ind Method of oxidizing inner surface of ferritic stainless steel pipe
JP2000273362A (ja) * 1999-03-25 2000-10-03 Honda Motor Co Ltd 粉体塗料組成物およびその塗膜を含む積層塗膜の形成方法
EP1306258B1 (en) * 2000-08-01 2005-11-09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fuel tank for automobile
EP1847749B1 (en) * 2000-08-01 2010-04-14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fuel filler tube
JP3769479B2 (ja) * 2000-08-07 2006-04-26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02060972A (ja) * 2000-08-22 2002-02-28 Nisshin Steel Co Ltd 自動車燃料タンク用ステンレス鋼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06B1 (ko) * 2010-12-28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Al도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3820T2 (de) 2007-10-11
ES2287370T3 (es) 2007-12-16
JP4014907B2 (ja) 2007-11-28
US20030183626A1 (en) 2003-10-02
DE60313820D1 (de) 2007-06-28
EP1350653A1 (en) 2003-10-08
JP2003277992A (ja) 2003-10-02
TW200305519A (en) 2003-11-01
KR20030078028A (ko) 2003-10-04
EP1350653B1 (en) 2007-05-16
TWI264385B (en) 2006-10-21
US6802430B2 (en) 2004-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919B1 (ko) 자동차용 내식성 연료탱크 및 급유관
JP4898543B2 (ja) 耐ピット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68916B2 (ja) 耐食性に優れた船舶用鋼材
US6645318B2 (en) Fuel tank made of ferritic stainless steel
US6673472B2 (en) Rust preventive carbon steel sheet for fuel tank having good welding gastightness and anticorrosion after forming
JP5058574B2 (ja) 電気防食される船舶バラストタンク用防錆鋼板および船舶バラストタンクの防錆方法
JP5861335B2 (ja) 耐食性に優れた溶接継手
WO2017203994A1 (ja) 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2441A (ja) 原油タンク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26667B2 (ja) 耐食性に優れる船舶のバラストタンク用熱間圧延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0341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469030B2 (ja) 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アルミめっき鋼板
JP4476928B2 (ja) 耐食性と母材靭性に優れた船舶用高張力鋼材
JP2007197758A (ja) 耐食性と母材靭性に優れた船舶用高張力鋼材
JP2008133536A (ja) 耐食性に優れた船舶用鋼材
JP2009215633A (ja) 給油系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4330993A (ja) 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給油管
JP3941762B2 (ja) 自動車燃料タンクおよび燃料タンク周辺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938406B2 (ja) 溶接気密性、プレス加工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4476926B2 (ja) 大入熱溶接時のhaz靱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船舶用鋼材
JP2005314737A (ja) スポット溶接性、プレス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鋼板
JP2016169418A (ja) 塗装かつ犠牲防食効果を利用した耐穴あき性に優れた自動車用部材および自動車用給油管
WO2022202107A1 (ja) 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冷延鋼板
JPH09209080A (ja) 耐食性に優れた高張力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73525A (ja) 自動二輪車燃料タンク用めっき鋼板および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