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532B1 -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532B1
KR100524532B1 KR10-2003-0009378A KR20030009378A KR100524532B1 KR 100524532 B1 KR100524532 B1 KR 100524532B1 KR 20030009378 A KR20030009378 A KR 20030009378A KR 100524532 B1 KR100524532 B1 KR 10052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ate
camera
dispose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809A (ko
Inventor
이케다미노루
이와마요시히로
고타유이치로
시모야마다카즈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2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케이스의 폴딩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이 용이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00)에 카메라부(40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폴딩한 상태에서 은폐되는 케이스 면에 주 표시부(102)와 조작부(204)를 설치하며, 항상 노출상태에 있는 제1의 케이스(100)의 외면커버(110)에 서브 표시부(105)와 촬영보턴(107)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서브 표시부(105)의 표시상태를 카메라 모드와 기기상태 표시모드를 절환하는 스위치(206)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를 2개의 케이스로 구성하며, 이 2개의 케이스를 폴딩(folding)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에 카메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화기는, 2개의 케이스를 연결부를 통해서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한「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주류로 되어 있다. 한편, 이들 휴대전화기에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여, 촬영한 화상을 통신기능으로 전송 가능하게 한 것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카메라 기능을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촬영자세를 향상시킨 것이 실시화되고 있다. 이들 카메라부를 연결부에 설치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연결부를 한쌍의 연결기구로 구성하여, 이 연결기구의 사이에 카메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나(종래예 1), 상기 연결부를 편측에 편심시켜 설치하고, 다른 편측에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부를 설치한 것(종래예 2)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일본특개평6-141306호 공보, 일본특개평11-69214호 공보, 일본특개2000-253124호 공보 등을 참조).
상기 종래예에 의하면, 연결부에 카메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카메라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종래예 1에 의하면, 카메라부의 촬영중심을 2개의 케이스의 개폐각도의 중앙에 항상 위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종래예 2에 의하면, 카메라부의 중심을 펼친 2개의 케이스측과 반대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자신의 촬영이나, 풍경의 촬영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 1 및 종래예 2는, 어느것이나 카메라부에서의 촬영을 2개의 케이스를 펼친 상태에서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2개의 케이스를 폴딩한 상태에서는 수납성이나 휴대성을 중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예에 의하면, 촬영시에는, 항상 2개의 케이스를 펼친 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케이스의 폴딩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이 용이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의 케이스(筐體)와 제2의 케이스를 연결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와, 통화모드와 촬영모드를 절환하는 모드 절환스위치와, 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를 펼친 제1의 상태와,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를 폴딩한 제2의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의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 노출하고,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케이스 면에 주 표시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케이스 면에 서브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 노출하고,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케이스 면에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영모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제1의 상태에서는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고, 제2의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설정키는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케이스 면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모드에서는 촬영조작키가 설정되며, 상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서브 표시부의 화상을 절환하는 절환조작키가 설정되도록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를 연결부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 케이스와,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를 펼친 제1의 상태와,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를 접은 제2의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케이스는 적어도 그 내면에 배치된 주 표시부와, 외면에 배치된 서브 표시부와, 상기 제2의 상태에서 임의의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한쌍의 임의 설정키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케이스는 조작부와, 상기 케이스의 모드를 절환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의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통화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절환하는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의 상태에서의 상기 서브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기기 상태표시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절환하는 구성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상기 제1의 상태에서 촬영을 행하는 제1 촬영보턴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임의 설정키의 한쪽은, 상기 케이스가 촬영모드의 상태에서 조작 가능한 촬영보턴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실시형태를 도1에서 도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서 도10이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11에서 도12가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의 부위나 기능, 화살표 등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중복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1의 실시형태>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로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이다. 이 휴대전화기(1)는 주로 표시기능을 구비한 제1의 케이스(100)와, 주로 제어기능이나 조작기능 및 배터리를 구비한 제2의 케이스(200)와, 2개의 케이스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00)와, 이 연결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의 케이스(100) 및 제2의 케이스(200)는 편평한 외관 형상을 가지며, 2개의 케이스를 폴딩한 상태로 서로 중첩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2개의 케이스는 서로의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연결부(300)를 통해서 연결함으로써, 2개의 케이스를 펼친 상태에서는 가늘고 긴 형태를 취하여 통화자세(이하 제1의 상태라고 함)가 양호한 형태로 되며, 2개의 케이스를 접은 상태에서는 길이방향의 타단을 한 손으로 쥐고, 일단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400)를 통해서 양호한 촬영자세(이하 제2의 상태라고 함)을 취할 수 있은 휴대성이 우수한 형태로 되어 있다.
도1에 있어서, 도(a)는 2개의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도(b)는 2개의 케이스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제1의 케이스(100)의 내면(101)에 주 표시부(102)를 설치하고,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제2의 케이스(200)의 내면(201)에 텐키(202)나 커서 이동키(223), 결정키(222) 등의 각종 조작키로 이루어지는 조작부(204)를 배치하고 있다. 또, 2개의 내면의 연결부(300)와 대향하는 단부측에는, 각각 제1 스피커부(103)와, 마이크부(205)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상태에서는,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양단측에 제1 스피커부(103)와 마이크부(205)가 배치되므로, 이 제1 스피커부(103)와 마이크부(205)가 사용자의 귀와 입의 사이의 길이에 맞는 양호한 통화자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의 케이스(100)의 내면(101)과 대향하는 외면(104)에는, 서브 표시부(105)와 제2 스피커부(106)와 임의 설정키부(107)와 상태 램프부(10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00)의 개폐동작을 통해서 신호를 절환하는 내부 절환스위치(22)(도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내부 절환스위치(22)에 의해, 제1의 상태에서는, 제1의 케이스(100)의 외면에 설치한 서브 표시부(105)와 제2 스피커부(106)와 임의 설정키부(107)와 상태 램프부(108) 등을 비동작상태로 하며, 제2의 상태에서는 동작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상태에서도 노출하는 제2의 케이스(200)의 측면에는, 통상의 전화모드와 촬영모드를 절환하는 모드 절환스위치(2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모드로서, 정지화상모드와 동화상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모드 절환스위치(206)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의 상태에 있어서, 주 표시부(102)나 서브 표시부(105) 등의 각종 조작표시 기기류를 각 모드에 대응한 설정내용으로 절환할 수 있다.
또, 서브 표시부(105)는 각종의 상태표시와 카메라부(400)에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스피커부(106)와 상태 램프부(108)는 음성(부저음 포함)이나 시각으로 통화나 메일을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것이다. 또한, 임의 설정키부(107)는 모드 절환스위치(206)에서 설정되는 각 모드에 대응하여 임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임의 설정키부(107)가 한쌍의 보턴 스위치로 구성되며, 초기상태에서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화모드에서는 메일 내용을 서브 표시부(105)에 표시되는 기능과, 통화상대의 상대방 확인화면을 표시시키는 기능이 설정된다. 또, 동화상모드에서는 기록개시와 정지기능과 녹화설정 메뉴표시가 설정된다. 정지동화상모드에서는 촬영기능과, 촬영의 각종 설정메뉴의 표시가 설정된다. 이들 기능은 제1의 상태에서, 커서 이동키(223)의 조작으로 주 표시부(102)에 메뉴화면을 표시시켜, 이 메뉴화면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화면에서 임의 설정키부(107)의 각 모드에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제1의 상태뿐만 아니라, 제2의 상태에서도 카메라부(400)에 의한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상태가 주 표시부(102)에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2의 상태에서도, 서브 표시부(105)에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으므로, 목적의 촬영대상을 확인 표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시의 오조작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이들 촬영상태에서는 연결부(300)에 설치된 카메라부(400)를 촬영대상을 향해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에서도, 휴대전화기(1)를 취고있는 손을 움직여 카메라부(400)를 촬영대상을 향하는 동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손에 미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드 절환스위치(206)을 구비함으로써, 1개의 서브 표시부(105)를 전화모드와 카메라 기능(정지화상모드와 동화상모드)모드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개수의 증가를 경감시켜 경제적이다. 마찬가지로, 모드 절환스위치(206)에 의해, 임의 설정키부(107)를 전화모드용과 카메라 모드용으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임의 설정키부(107)는 임의로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에게 조작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2에서 도10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휴대전화기(1)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휴대전화기의 장치블록도이다. 도3은 휴대전화기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4는 제1의 케이스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5는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6은 제2의 상태의 휴대전화기의 외관도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단면도, (d)는 배면도, (e)는 저면도이다. 도7은 제1의 상태의 휴대전화기의 외관도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8은 제1의 케이스의 개폐동작의 우측면도이다. 도9는 제2의 상태에서의 휴대전화기의 카메라부의 설명도로, (a)는 배면도, (b)는 부분단면을 구비한 좌측면도이다. 도10은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유지자세의 설명도로, (a)는 제1의 상태에서의 촬영유지자세도, (b)는 제2의 상태에서의 촬영유지자세도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이 휴대전화기(1)의 장치구성을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이 휴대전화기(1)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에는 버스를 통해서 각종 장치나 스위치류가 접속된다.
내부 절환스위치(22)는 제2의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의 케이스(100)의 개폐동작에 대응하여 신호를 발신한다. 메모리(11)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0)가 프로그램에 따라 이 휴대전화기(1)를 제어한다. 고주파 회로부(12)는 통신장치가 되는 것이며, 주 안테나(13)와 서브 안테나(14)가 접속된다. 배터리(15)는 이 휴대전화기(1)에 전원을 공급한다. 카메라부(400)는 카메라 회로부(16)를 통해서 버스에 접속된다.
구동회로부(17)에는 착신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8)와, 메일이나 통화의 착신 혹은 알람 등을 빛으로 알리는 상태 램프부(108)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10)에서의 제어에 의거하여, 이들의 동작량과 동작패턴이 제어된다. 또, 음성회로부(19)는 제1 스피커부(103)와, 마이크부(205)와 제2 스피커부(10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204)와 임의 설정키부(107)와 모드 절환스위치(206)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조작 스위치류에 의해, 이용자가 이 휴대전화기(1)를 조작할 수 있다. 더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접속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코드를 통해서 외부의 퍼스널컴퓨터 등과 접속하여 통신이나 데이터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3, 도4, 도5를 참조하여, 휴대전화기(1)의 부품구성을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휴대전화기(1)를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와, 2개의 케이스를 개폐 가능(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00)와, 이 연결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2의 케이스(200)는, 이 제2의 케이스(200)의 내면(201)을 구성하는 제2의 내면커버(207)와, 이 제2의 케이스(200)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2의 외면커버(2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2개의 커버는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나사를 통해서 설치된다. 또, 이 2개의 커버는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한쌍의 연결커버(209)를 구비하여, 이 연결커버(209)로 연결부(300)를 덮어 의장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의 내면커버(207)와 제2의 외면커버(208)로 키 시트(210) 및 내부 장치군(211)을 콤팩트하게 덮고 있다. 내부 장치군(211)은 스위치 기판(212)과 제어기판(213)과 주 안테나(13)와 서브 안테나(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기판(212)과 제어기판(213)을 전후(도면상에서는 상하)에 배치하여, 이 스위치 기판(212)의 전면부(도면상에서는 상부)에 키 시트(210)가 배치된다. 키 시트(210)는 유연성이 있는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제2의 케이스(200)의 상기 제2의 내면(201)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214)에 맞추어, 조작보턴이 되는 복수의 돌기부(21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돌기부(210a)에 대응하여, 스위치 기판(212)에는 복수의 접점(212a)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214)에서 노출하는 돌기부(210a)를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돌기부(210a)의 이면측이 상기 접점(212a)을 누르므로, 이 휴대전화기(1)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판(213)은 이 휴대전화기(1)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나 고주파 회로부(12)나 상기 메모리(11) 등이 1매 또는 복수의 기판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주 안테나(13)는, 이 제2의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의 다른 단부측(연결부(300)와 대향하는 단부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주 안테나(13)는 봉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 장치군(211)과 키 시트(210)의 합계의 두께나 폭 치수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의 케이스(200)의 중앙보다 이 주 안테나(13)를 구비한 단부측을 향해 끝부분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휴대전화기(1)는 주머니에 넣기 쉬우며, 또 한 손으로 쥐었을 때에 양호한 유지감각을 실현시키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잡아 뽑았을 때에 수신감도를 향상시키는 서브 안테나(14)를 상기 제2의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안테나(14)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제2의 외면커버(208)는 그 외면측에, 배터리 수납부(2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터리 수납부(215)는 제2의 외면커버(208)의 외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오목부(216)와, 이 오목부(216)에 덮개를 덮듯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커버(217)로 구성된다. 이 배터리 수납부(215)에 의하면, 카드형의 박형(薄型)의 상기 배터리(15)를 제어기판(213)과 평행하게 수납하여, 휴대성이 양호한 케이스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4를 참조하여, 제1의 케이스(100)를 설명한다. 이 제1의 케이스(100)는 상기 제1의 케이스(100)의 내면(101)을 구성하는 제1의 내면커버(109)와, 제1의 케이스(100)의 외면(104)을 구성하는 제1의 외면커버(110)와, 메인 프레임(113) 등으로 구성된다. 2개의 커버(110, 120)는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113)에 나사를 통해서 설치된다. 또, 2개의 커버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제1의 장치군(111)이 설치된다. 제1의 장치군(111)은 서브 제어기판(112)과, 주 표시부(102)와, 서브 표시부(105)와, 제2 스피커부(106)와, 임의 설정키부(107)와 상태 램프부(108)와 제1 스피커부(103)로 구성된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3)은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량인 금속재료로 견고하게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연결부(300)가 형성된다. 연결부(300)는 메인 프레임(113)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연결부(301)와, 이 제1 연결부와 회전(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한쌍의 아암부(301a, 302a)를 구비하고 있다.
즉, 한쌍의 제1 연결부(301)는 메인 프레임(113)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의 일단측으로 연장하는 아암부(301a)가 형성된다. 이 메인 프레임(113)의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아암부(301a)의 내측에 각각 회전축(303)이 형성되며, 이 한쌍의 회전축(303)에 한쌍의 제2 연결부(302)의 아암부(302a)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2 연결부(302)의 한쌍의 아암부(302a)의 타단측은 제2의 케이스(2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0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설치부(304)를 제2 케이스(200)에 나사 등을 통해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가 회전(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제1 연결부(301)와 제2 연결부(30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03)은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 돌출된 부분이 연결커버(209)에 의해 외관을 커버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게이트(100)와 제2의 케이스(200)가 외관상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에 있어서도 휴대성이나 취급성이 양호한 연결형태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303)은 제1 및 제2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 회전축(303) 내에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혹은 이 회전축(303)의 감합면(嵌合面)에 도시하지 않는 감합 홈 등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아암부(301a, 302a)로 이루어지는 연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이 연결부(300)의 중앙에 장치수납공간(30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장치수납공간(305)에 카메라부(400)를 배치하고 있다. 이 장치수납공간(305)은 양측에 회전축(303)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회전축(303)과 동축의 회전기구(401)를 양단에 구비한 카메라부(4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회전축(303)의 축선(303a)은 휴대전화기(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이 회전축(303)과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카메라부(400)를 배치하면, 휴대전화기(1)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에, 카메라부(4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손에 쓸데없는 부담을 들이지 않고, 카메라부(400)의 화각(畵角)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이 구조에 의하면, 카메라부(400)를 견고한 한쌍의 연결부(300)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이 연결부(300)에 의해 카메라부(4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면에서 보아(상기 회전축(303)의 축선(303a)방향에서 보아) 카메라부(400)를, 연결부(300)를 덮는 연결커버(209)의 외형의 투영면적 내에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부(400)의 보호효과를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부(400)는 한쌍의 제2 연결부(302)를 통해서 양측을 지지되도록 유지되므로, 이 카메라부(400)의 양호한 회전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카메라부(400)는 회전기구(401)의 한쪽에 신호선(4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신호선(402)은 아암부(302a) 안쪽을 통해서 제어기판(213)에 결선된다. 또한, 카메라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소정의 동작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신호선(402)의 파손을 경감하고 있다. 또, 회전기구(401)는 임의의 각도로 고정 가능하도록 회전면에 고정 홈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부의 화각을 임의의 위치로 고정할 수 있다.
도4에서, 제1의 내면커버(109)는 이 제1의 내면커버(109)의 주체적인 구조체가 되는 제1의 주 내면커버(114)와, 이 제1의 주 내면커버(114)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15)과, 주 표시부(102)의 전면을 덮는 투명판(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론트 패널(115)은 제1의 주 내면커버(114)의 전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17)에 감합하여 나사를 통해서 설치된다. 또한, 이 나사에는 고무커버가 피복되게 된다. 이 고무커버는 제2의 상태에서,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가 직접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재가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1의 주 내면커버(114)의 전면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프론트 패널(115)을 색 변경이나 재질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큰 설계변경을 행하지 않고 기종 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 프론트 패널(115)의 연결부(300)와 대향하는 단부측에는 제1 스피커부(103)의 방음구멍(119)이 형성되며, 연결부측에는 주 표시부용 개구부(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주 표시부용 개구부(118)에는 주위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에 투명판(116)이 접착제 등으로 설치된다.
한편, 제1의 외면커버(110)는 주체적인 구조체가 되는 제1의 주 외면커버(120)와, 제1의 주 외면커버(120)의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면패널(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면패널(121)을 투명수지재료로 형성하며, 상기 서브 표시부(105)와 상태 램프부(108)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에 내면으로부터 도장을 실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투명감이 있는 다양한 디자인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통상, 서브 표시부(105)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투명판을 외면패널(121)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품개수를 경감하여 조립성,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판을 외면패널(121)과 일체 성형으로 했지만, 프론트 패널(115)과 같이 투명판(116)은 별도록 설치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반대로, 프론트 패널(115)의 구조를 이 외면패널(121)과 동일한 일체 성형으로 해도 좋다.
또, 제1의 주 외면커버(120)에는 한쌍의 임의 설정키부(107)를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122)나 제2 스피커부(106)의 방음구멍(12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프레임(113)의 전면측에, 유지틀(124)을 통해서 설치되는 주 표시부(102)와, 제1 스피커부(103)를 설치하고, 메인 프레임(113)의 후면측에 서브 제어기판(112)이 설치된다. 또한, 서브 제어기판(112)에는 유지판(125)을 통해서 설치되는 서브 표시부(105)와, 제2 스피커부(106)와, 상태 램프부(108)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 서브 제어기판(112)의 이면측에는 임의 설정키부(107)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점이 설치되어, 임의 설정키부(107)를 누름으로써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주 표시부(102)와 제1 스피커부(103)는 서브 제어기판(112)에 결선된다. 그리고, 이 서브 제어기판(112)은 띠모양 코드(126)를 통해서 제어기판(213)과 접속된다. 이 띠모양 코드(126)는 연결부(300)를 통해서 결선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연결부(300)의 한쪽에서 카메라부(400)의 신호선(402)을 결선하고, 다른쪽에서 띠모양 코드(126)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결선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이 휴대전화기(1)의 외관을 설명한다. 먼저, 도6을 참조하여, 제2의 상태의 외관을 설명한다. 이 휴대전화기(1)는 제2의 상태에서 최대 횡폭(W)(서브 표시부(105)의 근방)이 50㎜이며 높이(H)가 100㎜, 최대 두께(D)(앞쪽에서 뒤쪽까지의 길이)가 26㎜로 되어 있으며, 손바닥으로 감싸쥐기 쉬우며, 또 주머니에 들어가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휴대전화기(1)는 제2의 케이스(200)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제1의 케이스(100)를 제2 케이스쪽으로 접으므로서, 제2의 상태를 도6(b)와 같이, 사용자에 대해서 정면으로 마주 볼 수 있다. 이 제2의 상태는 최상부에 연결부(300)가 배치되며, 그 아래쪽에 상태 램프부(108), 또 그 아래쪽에 서브 표시부(105), 그 아래쪽에 한쌍의 임의 설정키부(107) 사이에 제2 스피커부(106)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종 조작표시류는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이 휴대전화기(1)의 아래쪽을 한 손으로 쥐면, 그 위쪽에 배치되는 상기 조작표시류의 조작이나 시인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최상부의 연결부(300)의 중앙에 카메라부(400)를 배치하고, 이 아래쪽 근방에 상태 램프부(108)를 사이에 두고 서브 표시부(105)를 근접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도6(b)와 같이, 카메라부(400)를 정면으로 마주 보게 하여, 사용자의 자화상을 촬영하고, 서브 표시부(105)로 화상을 체크해도, 카메라부(400)와 서브 표시부(105)가 상하에 근접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시선이 어긋나는 등의 불합리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상태 램프부(108)는 이 휴대전화기(1)의 위쪽 중앙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쥐어도 시인성이 양호하다. 또, 의장적으로도, 카메라부(400)와 서브 표시부(105)가 외면패널(121)에 의해, 다른 조작기기류와 구분지어져, 시각그룹으로서 구획되므로, 기능과 디자인이 융합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부(400)는 이 휴대전화기(1)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의 상태에서는, 그 상부를 상단부에 노출하므로, 이 노출부분을 다른 한쪽 손으로 가볍게 돌리 수 있으므로, 이 카메라부(400)를 간단하게 회전시켜, 카메라부(400)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카메라부(400)는 양측의 연결커버(209)보다 상단(도6(b)의 상단부 참조)이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끝부분에 맞아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낮게 형성함으로써, 카메라(4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이 카메라부(400)의 렌즈부를 구비한 면과 대향하는 배면은, 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보아 마이너스 원호이며, 양측의 연결커버(209)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카메라(400)의 보호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너스 원호는 도6의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커버(209)와 카메라부를 연결시키는 형상(타원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카메라부(400)의 화각을 정면으로 마주 볼 수 있는 정면방향과, 대향하는 배면방향을 간단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한편, 임의 설정키부(107)는 도6(b)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제2의 상태의 휴대전화기(1)를 한 손으로 쥐는 경우, 휴대전화기(1)의 아래쪽을 손 안에 넣어 잡는다. 이와 같이 쥐는형태라면, 임의 설정키부(107)가 배치되는 위치는 쥐는 한쪽 손의 엄지손가락의 동작범위이므로, 사용자는 이 휴대전화기(1)를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 한쌍의 임의 설정키부(107)는, 사이에 제2 스피커부(106)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블라인드(blind) 조작을 행해도 오조작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 설정키부(107)의 배치에 의하면, 조작하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서브 표시부(105)의 시인성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서브 표시부(105)의 측면이 되는 제2의 케이스(200)의 측면에 모드 절환스위치(206)를 설치하고 있다(도7(b) 참조). 이 위치는 왼쪽 손으로 이 휴대전화기(1)를 쥔 경우에 엄지손가락의 동작범위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이 모드 절환스위치(206)와 임의 설정키부(107)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이 휴대전화기(1)의 대부분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드 절환스위치(206)와 대향하는 제2의 케이스의 측면(우측면)에 캡으로 덮혀진 외부 접속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휴대전화기에서는 제2의 케이스의 저면(본 실시형태에서는, 도6(e))에 외부 접속부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예에서는 코드를 사용자측으로 인출하는 것으로 되므로, 코드가 번거롭다. 또한, 접속할 때에도 외부 접속부가 휴대전화기(1)의 길이방향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전화기(1)의 자세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자세변경이 용이하며, 또 접속할 때에도 오른쪽 손으로 조작하기 쉬우며, 코드를 횡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코드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측면에 외부 접속부(21)를 설치함으로써, 이 외부 접속부(21)를 제어기판(213)에 직접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나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케이스(200)의 배면의 편측에, 서브 안테나(14)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215)를 편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215)와 서브 안테나(14)를 병설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수납부(215)의 위쪽에 코넥터를 배치하는데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며, 외부 접속부(21)를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접속부(21)와 모드 절환스위치(206) 등을 제2의 케이스의 양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제2의 케이스(200)의 저면에 주 안테나(1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주 안테나(13)는 외부 접속부(21)를 배치하는 것에 비해 저면부분을 작게 끝부분이 좁아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6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의 주앙부분에서 저면을 향해 끝부분이 뾰족한 끝부분이 좁은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기(1)를 손바닥에 맞는 유지성이 양호한 휴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라면, 상기 연결부(300)를 상방위치로 하는 자세로 주머니에 넣기 쉬운 형상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서브 안테나(14)를 제2의 케이스(200)의 편측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이 배치에 의하면, 제1의 상태에서 제2의 상태로 변화시켜도, 서브 안테나(14)는 제1의 케이스(100)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상방위치에 고정된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2의 상태에서 임의 설정키부(107)나 모드 절환스위치(206)를 조작하여 서브 표시부(105)를 확인하거나, 카메라부(400)를 조작하는 것으로 되므로, 서브 안테나(14)가 제1의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있으면, 이 제2의 상태에서의 조작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케이스(200)의 상면의 편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서브 안테나(14)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이 제2의 상태의 조작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6(a)에 있어서, 218은 스트랩 설치부, 도6의 (d), (e)에 있어서, 219는 충전단자. 220은 충전대에 설치할 때의 위치맞춤 오목부이다. 또, 도6의 (a), (b), (d)에 있어서, 221은 이 카메라부(400)의 양호한 화각을 얻기 위한 노치부 절결부(切缺部)이다. 이 노치부(221)에 관해서는, 도9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도7을 참조하여 제1의 상태의 외관을 설명한다. 이 휴대전화기(1)는 제1의 상태에서 전장 L(높이)이 185㎜의 크기를 가지며, 사용자의 귀와 입의 길이에 맞추어 유지성이 양호한 형태로 하고 있다. 이 휴대전화기(1)는 제2의 케이스(200)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제1의 케이스(100)를 위쪽으로 펼침으로써,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어 있던 제1의 케이스의 내면(101)과 제2의 케이스(200)의 내면(201)을 노출시켜 제1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제1의 상태에서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카메라부(4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카메라부(400)의 상방위치가 되는 제1의 내면(101)에 주 표시부(102)가 배치되며, 아래쪽이 되는 제2의 내면(201)에는 조작부(20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제2의 케이스(200)에 제1의 상태에서 조작하는 조작부(204)가 집중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제2의 게이트(200)를 쥐면서 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쥐고, 또 조작할 수 있다. 또, 제2의 케이스(200)를 한 손으로 쥘 수 있으므로, 이 제2의 케이스(200)의 전면(제1의 내면(201))에 배치되는 조작부(204)를 다른 한쪽 손으로 조작되어도 케이스를 안정하게 쥘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204)의 위쪽 근방에는 카메라부(4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하는 다른 한쪽 손이 카메라부(400)의 화각을 방해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능한 카메라부(400)의 회전을 다른 한쪽 손으로 행해도, 이 카메라부(400)를 지지하는 제2의 케이스(200)는 한 손으로 쥘 수 있으므로 손 떨림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400)의 상부에는 주 표시부(102)가 배치되므로, 조작하는 손이 이 주 표시부(102)의 시인성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주 표시부(102)와 카메라부(400)는 근접 배치되고, 또한, 이 카메라부(400)가 주 표시부(102)의 좌우중앙에 배치되므로, 이 카메라부(400)에서 자화상을 촬영해도 주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시선의 어긋남을 경감할 수 있다.
더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카메라부를 연결부(300)의 회전축(303)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도9(b)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카메라부(400)를 조작자측을 향해 자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동도(b)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카메라부(400)를 180도 회전시켜 풍경을 촬영할 수도 있다. 물론, 이 카메라부(400)는 회전각도를 임의의 위치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쥔 손으로 이 카메라부(400)의 화각을 조정하는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일이 없으므로, 쥔 손에 부담을 주는 일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이 카메라부(400)는 임의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촬영시에, 이 카메라부(400)가 부주의로 움직이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카메라부(400)는 주위의 상기 연결커버(209)보다 작게(측면에서 보아 연결커버(209)의 투영면적 내) 형성되므로, 촬영시에 이 카메라부(400)에 어떠한 것이 부주의로 접촉되어 카메라부(400)가 움직이는 일을 경감할 수 있다.
조작부(204)는 중앙에 배치되는 결정키(222)와, 그 주위에 배치되는 커서 이동키(223)와, 커서 이동키(223)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택키와, 숫자나 문자 등의 입력을 행하는 텐키(202)와, 텐키(202)의 위쪽에 배치된 전원(종화(終話))키(227)와, 발신키(228)와, 클리어(되돌림)키(229)로 구성된다. 커서 이동키(223)는 링모양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이 조작면을 8방향으로 기울게 하는 것에 의해, 주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커서(선택위치)를 기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커서에 의해 선택된 메뉴는 결정키(222)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선택키는 인터넷키(224a)와, 메일키(224b)와, 임의의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한쌍의 소프트키(224c, 224d)로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키(224c, 224d)는 통화모드의 초기설정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되어, 주 표시부(102)의 아래쪽에 표시된 기능표시 아이콘(241, 242)에 대응한 조작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른 모드나 계층을 진행한 표시모드에 있어서는, 각 모드에서 설정되어, 주 표시부(102)의 표시화면 하부에 표시되는 기능표시 아이콘(241, 242)에 대응한 조작이 행해지도록, 소프트키(224c, 224d)의 기능이 설정된다. 또, 제2의 케이스(200)의 측면에는 전 모드 절환스위치(206)와 매너모드 설정키(225)와 이어폰 잭(커버 포함)(2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케이스(200)를 쥐는 한쪽 손(오른쪽 손 조작)의 엄지손가락의 동작범위에 조작계를 배치했기 때문에, 이 휴대전화기(1)를 한 손으로 쥐고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키(224a)와 메일키(224b), 텐키(202) 등을 조작하여, 통화, 메일, 인터넷, 주소록표시, 화상선택표시, 음악을 듣는 등의 각종의 조작이나 입출력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도8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케이스(200)에 대한 제1의 케이스(100)의 개폐각도(θ1)를 160°에서 170°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가 연결부(300)를 통해서 굴절한 상태로 제1의 상태가 유지되므로, 통화중에, 마이크부(205)와 제1 스피커부(103)를 사용자의 귀와 입에 맞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굴절한 형태라면, 서브 안테나(14)를 잡아뽑은 상태라도, 이 서브 안테나(14)가 제1의 케이스(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커버(209)의 배면측에, 제1의 케이스(100)의 움직임을 멈추는 한쌍의 돌기부(2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부(226)는 한쌍의 연결커버(209)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내측에 설치한 카메라부(4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9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00)에 카메라부(40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 카메라부(400)에서 촬영한 내용을 제1의 상태에서도, 제2의 상태에서도 촬영내용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카메라부(400)를 한쌍의 연결부(300) 내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휴대전화기(1)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카메라부(400)를 연결부(300) 내에 포함시키면, 이 카메라부(400)의 화각 내에 케이스의 일부가 찍혀버리는 과제가 있다. 예컨대,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면이 원형으로 퍼지는 화각 θ의 촬영범위를 구비한 카메라부(400)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부(400)를 연결부(300)의 회전축(303)과 동일 선상의 축선(303a)으로 회전시킨 경우, 폴딩한 케이스가 이 카메라부(400)의 화각 θ의 범위 내로 찍히게 된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카메라부(400)를 180도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제1의 케이스(100) 또는 제2의 케이스(200)의 일부가 찍히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이 화상은, 이 카메라부(400)의 렌즈위치를 제1의 케이스(100) 또는 제2의 케이스(200)의 전면과 동일 또는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해결수단으로는 소형화하는 카메라부를 크게 취급하는 것이 되므로, 실장밀도를 낮게 하여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카메라부(400)를 연결커버(209)의 투영면적 내의 내측에 들어가는 크기로 하고 있으므로, 큰 과제이다. 종래예에서는, 제1의 상태만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상기 과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큰 과제가 된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부(400)에 인접하는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의 단부에 원호모양의 노치부(면 컷트)(127, 22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노치부(127, 221)는 카메라부(400)의 렌즈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카메라부(400)의 화각 θ의 범위내(원추형) 만큼을 절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100)보다 제2의 케이스(200)의 두께가 내부 실장품과의 관계로 크게 되므로, 제2의 케이스(200)의 노치부(221)를 제1의 케이스(100)의 노치부(127)보다 깊게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카메라부(400)를 연결부(300)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축선(303a)을 통해서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180도 회전시키면, 주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화상이 상하 역전하게 된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0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서 소정각도를 검지하여, 이 소정각도로 표시내용이 상하 역전하도록 제어부(10)가 제어한다.
다음에, 도1 및 도6, 도7, 도10을 참조하여, 이 휴대전화기(1)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이 휴대전화기(1)는 도7(a) 및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100)를 펼친 상태에서, 전원키(227)를 눌러 온상태로 함으로써, 제어부(10)는 이 휴대전화기(1)를 초기설정으로 설정되어 있는 통화모드로 동작시켜, 전화기능의 대기상태로 한다. 이 대기상태에서는 통화기능이 주체가 되며, 각 조작계나 표시내용이 전화기능의 표시가 된다.
예컨대, 제1의 상태에서는, 주 표시부(102)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가 배경으로서 표시됨과 동시에, 주 표시부(102)의 위쪽에 설치된 상태 표시부(102a)에, 전파상태나 메일의 착신의 유무, 일시 등이 표시된다. 또한, 일시의 표시에 관해서는, 주 표시부(102)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 표시부(102)에 일시를 표시하는 경우는 배경과 겹치도록 표시된다.
이 대기상태에서, 전화를 수신하면, 제2 스피커부(106)에서 착신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주 표시부(102)에 상대의 전화번호 등이 표시된다. 또, 이 대기상태에서는, 커서 이동키(223)나 결정키(222), 인터넷키(224a), 메일키(224b) 등을 통해서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각종 설정치의 변경이나, 인터넷 접속, 메일발신 등이 가능하다. 또, 주 표시부(102)의 아래쪽에는, 기능표시 아이콘(241, 242)이 표시되며, 소프트키(224c, 224d)는 기능표시 아이콘(241, 242)에 표시된 기능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제1의 상태에서 제1의 케이스(100)가 폴딩되어 제2의 상태로 이행하면, 제어부(10)는 내부 절환스위치(22)에 의해,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검지하여, 제1의 상태에서 온상태인 주 표시부(102)를 오프상태로 하고, 제1의 상태에서는 기능이 오프상태인 제1의 케이스의 외면(104)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부(105)나 임의 설정키부(107)를 동작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제2 스피커부(106)는 제1 및 제2의 상태 중 어느 상태라도 동작가능 상태로 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의 상태의 초기설정으로서 전화모드의 대기상태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상태에서는, 서브 표시부(105)에 전파상태나 메일의 착신의 유무, 일시 등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전화나 메일을 수신하면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2 스피커부(106)에서 수신음을 발신하거나, 수신한 것을 서브 표시부(105)나 상태 램프부(108)에 표시한다. 또, 이 전화모드에서 임의 설정키(107)를 조작하면, 이 임의 설정키(107)로 설정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의 큰 특징인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는, 모드 절환스위치(206)를 조작한다. 제어부(10)는 모드 절환스위치(206)가 조작되면, 카메라부(400)를 동작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주 표시부(102) 또는 서브 표시부(105)에 동화상모드 또는 정지화상모드의 도시하지 않는 표시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제1의 상태에서는, 주 표시부(102)에 카메라부(400)에서 촬영하고 있는 내용을 표시한다. 이 주 표시부(102)의 표시화면의 하부에는 도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기능표시 아이콘(241, 242, 243)이 표시되며, 중앙에는 촬영개시/정지 아이콘, 양측에는 녹화설정메뉴 표시 아이콘과 되돌리는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다. 이 3개의 기능표시 아이콘(241, 242, 243)은 결정키(222)와 소프트키(224c, 224d)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예컨대 중앙의 촬영개시/정지 아이콘은 결정키(222), 양측의 녹화설정메뉴 표시 아이콘과 되돌리는 아이콘은 소프트키(224c, 224d)를 누름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오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동화상모드 또는 정지화상모드의 표시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결정키(222)를 누름으로써, 카메라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이 카메라부(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렌즈부를 조작자측으로 향하게 하면 자화상이, 180도 회전시키면 풍경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도10(a)는 왼쪽 손의 한쪽 손 조작을 모식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왼쪽 손의 손바닥과 4개의 손가락으로, 제2의 케이스(200)를 쥐고, 엄지손가락으로 커서 이동키(223)나 결정키(222), 텐키(202)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부(400)의 화각 θ를 촬영 대상에 향하면, 이 내용을 주 표시부(102)에서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이들 촬영한 내용은 커서 이동키(223) 등의 조작으로 편집화면을 표시하여, 각종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당연히, 카메라부(400)는 회전하므로, 반전시키면, 자화상을 상기 주 표시부(102)에 표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제2의 상태에서는, 서브 표시부(105)에 카메라부(400)에서 촬영하고 있는 내용을 표시한다. 이 서브 표시부(105)의 표시화면에도, 아래쪽에 임의 설정키부(107)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기능표시 아이콘(도시 생략)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기능표시 아이콘을 보면서 대응하는 임의 설정키부(107)를 조작함으로써, 오조작을 하는 일 없이, 촬영화면을 서브 표시부(105)에 표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화상모드 또는 정지화상모드의 표시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임의 설정키부(107)를 누름으로써, 카메라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이 카메라부(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렌즈부를 조작자측으로 향하게 하면 자화상이, 180도 회전시키면 풍경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도10(b)는 왼쪽 손의 한 손 조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왼쪽 손의 손바닥과 4개의 손가락으로, 제2의 케이스(200)를 쥐고, 엄지손가락으로 임의 설정키부(107)를 조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부(400)의 화각 θ를 촬영 대상에 향하면, 이 내용을 서브 표시부(105)에서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당연히, 카메라부(400)는 회전하므로, 반전시키면, 자화상을 주 표시부(102)에 표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촬영한 내용은 제1의 상태에서 커서 이동키(223) 등의 조작으로 편집화면을 표시하여, 각종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에서도, 휴대전화기(1)를 동일한 쥐는자세로, 또 동일한 조작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부(400)의 회전동작범위를 0도에서 180도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의 상태에서, 카메라부(400)를 180도 이상 회전시켜, 렌즈부가 케이스에서 노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렌즈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 제2의 실시형태 >
다음에, 도11, 도12를 참조하여, 제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1은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2)의 외관도이며, (a)가 제2의 상태의 외관도, (b)가 제1의 상태의 왼관도이다. 도12는 휴대전화기(2)의 부품 구성도이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휴대전화기(2)는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50)를 편측으로 기운 구조로 하고, 다른 편측에 상기 연결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부(410)를 설치한 점을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11(b)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제1의 케이스(100)의 내면(101)에 주 표시부(102)를 설치하고, 상기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제2의 케이스의 내면(201)에 터치패널 표시부(250)를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2개의 내면의 상기 연결부(300)와 대향하는 단부측에는, 각각 제1의 스피커부(103)와 마이크부(205)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의 케이스(100)의 내면(101)와 대향하는 제1의 케이스의 외면(104)에는 서브 표시부(105)와 제2 스피커부(106)와 한쌍의 임의 설정키부(107)와 상태 램프부(108)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의 실시형태에서도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에서도 촬영 내용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서브 안테나(14)를 제1의 케이스(100)의 외면(104)에 설치하고 있다. 이 서브 안테나(14)는 단부측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돌출한 단부를 통해서 제1의 케이스(100)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 이 서브 안테나(14)는 제1의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므로 감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도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50)는 제1의 케이스(100)에서 돌출하여 설치되는 제1의 연결커버(351)와, 제2의 케이스(200)에서 돌출하여 설치되는 제2의 연결커버(3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연결커버(351, 352)에는, 그 내부에 도시하지 않는 연결 기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연결커버의 한쪽,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연결커버(351)가 제1의 케이스(100)의 편측의 측면에 연결하여 형성된다.
한편, 다른쪽의 연결커버,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연결커버(352)가 거의 중앙에서 형성된다. 이 2개의 연결커버(351, 352)는 서로 회전축(353)을 통해서 축선(353A)을 중심으로 제1의 케이스(100)와 제2의 케이스(200)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350)를 편측에 집중 배치했기 때문에, 다른 편측에 큰 카메라 수납공간(35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의 연결커버(352)의 편측에 카메라부(410)와의 회전축(355)을 설치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한 제2의 연결커버(352)의 양측에 회전축(353, 355)을 대향하여 설치하여, 양 회전축(353, 355)의 축선(353a)을 일치시키고 있다.
상기 카메라부(410)는 편측을 상기 회전축(355)으로 하고 있으며, 이 회전축측에 렌즈부(410a)를 배치하고, 다른 편측에 광원(플래시)(412)을 배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편측 회전축의 카메라부(410)로 하고 있으므로, 회전축측에 렌즈부(412)를 배치함으로써, 렌즈부(412)를 휴대전화기(2)의 좌우중심에 가깝게 할 수 있다. 한편, 편측 지지의 카메라부(410)로 한 것에 의해, 개방측에 연결기구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광원(412)을 배치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소비전력이 적은 LED광원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이 적은 촬영에 유효하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넓은 카메라 수납부(354)를 이용하여, 광원(412)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 표시부(250)로 함으로써, 다양한 조작 스위치를 이 터치패널 표시부(250)에 표시하여, 이것을 터치함으로써 조작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폴딩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카메라부의 촬영이 용이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장치 블록도,
도3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부품 전개도,
도4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1의 케이스의 부품 전개도,
도5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
도6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2의 상태의 외관도,
도7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1의 상태의 외관도,
도8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1의 케이스의 개폐동작의 우측면도,
도9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2의 상태에서의 카메라부의 설명도,
도10은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유지자체의 설명도,
도11은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외관도,
도12는 휴대전화기의 부품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기
10 제어부
11 메모리
12 고주파 회로부
13 주 안테나
14 서브 안테나
15 배터리
16 카메라 회로부
17 구동회로부
18 진동부
108 상태 램프부
19 음성회로부
21 외부 접속부
22 내부 절환스위치
100 제1의 게이트
101 제1의 케이스의 내면,
102 주 표시부
103 제1 스피커부
104 제1의 케이스의 외면
105 서브 표시부
106 제2 스피커부
107 임의 설정키부
108 상태 램프부
109 제1의 내면커버
110 제1의 외면커버
111 제1의 장치군
112 서브 제어기판
113 메인 프레임
114 제1의 주 내면커버
115 프론트 패널
116 투명판
117 오목부
118 주 표시부용 개구부
119 방음구멍
120 제1의 주 외면커버
121 외면패널
122 개구부
123 방음구멍
124 유지틀
125 유지판
126 띠모양 코드
127 노치부
200 제2의 케이스
201 제2의 케이스의 내면
202 텐키
204 조작부
205 마이크부
206 모드 절환스위치
207 제2의 내면커버
208 제2의 외면커버
209 연결커버
210 키 시트
210a 돌기부
211 내부 장치군
212 스위치 기판
212a 접점
213 제어기판
214 개구부
215 배터리 수납부
216 오목부
217 배터리 커버
218 스트랩 설치부
219 충전단자
220 위치맞춤 오목부
221 노치부
222 결정키
223 커서 이동키
224a 인터넷키
224b 메일키
224c 소프트키
224d 소프트키
225 매너모드 설정키
226 돌기부
227 전원(종화)키
228 발신키
229 클리어(되돌림)키
241 기능표시 아이콘
242 기능표시 아이콘
243 기능표시 아이콘
250 터치패널 표시부
300 연결부
301 제1 연결부
301a 아암부
301 제2 연결부
302a 아암부
303 회전축
303a 축선
304 설치부
305 장치수납공간
350 연결부
400 카메라부
401 회전기구
410 카메라부

Claims (9)

  1. 제1의 케이스(筐體)와 제2의 케이스를 연결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와, 통화모드와 촬영모드를 절환하는 모드 절환스위치와, 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를 펼친 제1의 상태와,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를 폴딩(folding)한 제2의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의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 노출하고,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케이스 면에 주 표시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2의 상태의 어느 상태에서도 노출하는 케이스 면에 서브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 노출하고, 제2의 상태에서 은폐되는 케이스 면에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절환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의 어느 상태에서도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어느 상태에서도 노출하는 케이스면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모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화상을 제1의 상태에서는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고, 제2의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설정키는, 제1 및 제2의 어느 상태에서도 노출하는 케이스 면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모드에서는 촬영조작키가 설정되며, 상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서브 표시부의 화상을 절환하는 절환조작키가 설정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제1의 상태에서 상기 주표시부와 조작부를 구비한 케이스면으로부터 밖으로 펼쳐지게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형성된 장치수납공간 내에, 양단부를 상기 아암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투영면적 내에 배치되고,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상기 카메라부의 주위를 형성하는 상기 아암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의 케이스면은,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부를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각을 유지하는 호모양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적어도 180°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절환스위치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모드를, 정지화상모드와 동화상모드로 절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키는, 한쌍의 보턴(button)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보턴은, 상기 카메라부와 대향하는 상기 서브 표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한쌍의 보턴의 한쪽은, 상기 제2의 상태에서의 촬영모드에서 촬영보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턴은, 상기 촬영모드가 동화상모드에서는 기록개시키가 설정되며, 정지화상모드에서는 촬영키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 노출되는 케이스 면에 배치된 주표시부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표시부를 배치한 케이스 면과 대향하는 케이스 면에 배치된 서브 표시부와 설정키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케이스는, 상기 제1의 상태에서 노출되는 케이스 면에 배치된 텐키와 커서키와, 상기 텐키와 상기 커서키를 배치한 케이스 면과 대향하는 케이스 면에 배치된 배터리 수납부와, 상기 2개의 대향하는 케이스 면을 연결하는 케이스 측면에 배치된 모드 절환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아암부와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제1의 상태에서 상기 주표시부와 조작부를 구비한 케이스면으로부터 밖으로 펼쳐지게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한 쌍의 아암부 사이에 형성된 장치수납공간 내에, 그 양단부를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축 또한 상기 한 쌍의 아암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투영면적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을 따라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서브 표시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설정키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설정키는 상기 주표시부를 배치한 케이스면과 대향하는 케이스면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8. 삭제
  9. 삭제
KR10-2003-0009378A 2002-09-20 2003-02-14 휴대전화기 KR100524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4283 2002-09-20
JP2002274283A JP3675430B2 (ja) 2002-09-20 2002-09-20 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809A KR20040025809A (ko) 2004-03-26
KR100524532B1 true KR100524532B1 (ko) 2005-10-28

Family

ID=3208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378A KR100524532B1 (ko) 2002-09-20 2003-02-14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957083B2 (ko)
JP (1) JP3675430B2 (ko)
KR (1) KR100524532B1 (ko)
CN (2) CN2684482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17407A (zh) 2001-12-21 2007-08-15 捷讯研究有限公司 带键盘的手持式电子设备
JP4071568B2 (ja) * 2002-07-30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4080395B2 (ja) * 2002-08-02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US7505581B2 (en) * 2002-12-06 2009-03-17 Lg Electronics Inc.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100464979B1 (ko) * 2002-12-12 2005-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조립장치
KR100496960B1 (ko) * 2002-12-1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조립장치
CN1305336C (zh) * 2003-03-19 2007-03-14 三星电子株式会社 便携式无线终端中的照相机镜头
JP2004312090A (ja) * 2003-04-02 2004-11-04 Rohm Co Ltd 携帯電子機器
JP4010975B2 (ja) * 2003-04-07 2007-11-2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4312476A (ja) *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4188867B2 (ja) * 2003-04-14 2008-12-03 三星電子株式会社 回転型カメラレンズハウジング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KR20040099874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ATE433634T1 (de) * 2003-07-08 2009-06-15 Lg Electronics Inc Rotierende kameraanordnung für mobilübertragungsvorrichtung
JP2005045563A (ja) * 2003-07-23 2005-02-17 Nec Saitama Ltd 携帯情報端末
KR100694925B1 (ko) * 2003-07-24 2007-03-1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장치
TWI230311B (en) * 2003-07-28 2005-04-01 Benq Corp Automatic homing apparatus of a rotatable module
US7801566B2 (en) * 2003-07-28 2010-09-21 Nec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operation keys and a display on opposite sides
US7450977B2 (en) * 2003-07-31 2008-11-11 Vodafone K.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66276B1 (ko) *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US7505072B2 (en) * 2003-10-31 2009-03-17 Casio Computer Co., Ltd. Noise-reduce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5046187A1 (ja) * 2003-11-06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4118231B2 (ja) * 2003-12-17 200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4102768B2 (ja) * 2004-02-06 2008-06-1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TWI230535B (en) * 2004-02-20 2005-04-01 Benq Corp Rotary apparatus having digital camera module
US7495700B2 (en) * 2004-04-05 2009-02-24 Casio Computer Co., Ltd. Moving image capture device,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method, and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program
US20050239448A1 (en) * 2004-04-12 2005-10-27 Bayne Anthony J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dvertising and associated coupons via mobile media platforms
KR100834626B1 (ko) * 2004-05-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WO2005117400A1 (ja) * 2004-05-31 2005-12-08 Sharp Kabushiki Kaisha 携帯通信端末
US8064946B2 (en) 2004-06-21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463315B2 (en) 2004-06-21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54703A1 (en) * 2004-06-21 2007-11-01 Griffin Jason T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219158B2 (en) * 2004-06-21 2012-07-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982712B2 (en) * 2004-06-21 2011-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986301B2 (en) 2004-06-21 2011-07-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92711A1 (en) * 2006-02-13 2007-08-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primary actions menu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8271036B2 (en) * 2004-06-21 2012-09-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54700A1 (en) * 2004-06-21 2007-11-01 Griffin Jason T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628045B2 (ja) * 2004-08-31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224712B2 (ja) * 2004-09-24 2009-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器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595691B1 (ko) * 2004-11-04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스피커 업다운 장치
KR100672513B1 (ko) * 2004-11-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CN1633136B (zh) * 2004-12-29 2010-09-22 海信集团有限公司 具有影像自动切换的手机
KR100630068B1 (ko) * 2005-01-25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05842B1 (ko) * 2005-03-04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WO2007032407A1 (ja) * 2005-09-14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端末
US20070135093A1 (en) * 2005-12-08 2007-06-14 Agere Systems Incorpor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hildren's safe mod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70142102A1 (en) * 2005-12-19 2007-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keypads and main body thereof
JP2007194855A (ja) * 2006-01-18 2007-08-02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
US8904286B2 (en) 2006-02-13 2014-12-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primary actions menu on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92714A1 (en) * 2006-02-13 2007-08-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primary actions menu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alphabetic keyboard
US8537117B2 (en) 2006-02-13 2013-09-17 Blackberry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selectively generates a menu in response to received commands
KR100800827B1 (ko) * 2006-09-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립 업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78024B1 (ko) * 2006-12-28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양면 스피커와양면 마이크 제어 방법
JP4302745B2 (ja) * 2007-02-19 2009-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917985B2 (en) * 2007-08-29 2014-12-23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JP4260215B1 (ja) *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US8177441B2 (en) * 2007-08-29 2012-05-15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CN101594761A (zh) * 2008-05-30 2009-1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JP4181211B1 (ja) 2008-06-13 2008-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起動用プログラム
US8130275B2 (en) 2008-06-13 2012-03-06 Nintendo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hotographing application launch program execu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US8848100B2 (en) 2008-10-01 2014-09-30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launch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providing photographing functionality
US8625305B2 (en) * 2008-10-31 2014-01-0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ic device
CN101750698A (zh) * 2008-12-10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JP2010171899A (ja) * 2009-01-26 2010-08-05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EP2226787B1 (en) * 2009-03-03 2016-1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KR2011005452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US9092963B2 (en) 2010-03-29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racking device
US8905107B2 (en) 2011-02-18 2014-12-09 Superior Communications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18418B2 (en) 2011-02-18 2018-03-1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8393377B2 (en) 2011-02-18 2013-03-12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010396B2 (en) 2011-02-18 2015-04-21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033019B2 (en) 2011-02-18 2015-05-19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8326383B1 (en) * 2011-05-24 2012-12-04 Superior Communications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825123B1 (en) 2012-10-16 2014-09-02 Juan Carlos Gudino Passthrough case for a smart phone
US9288471B1 (en) * 2013-02-28 2016-03-15 Amazon Technologies, Inc. Rotatable imaging assembly for providing multiple fields of view
KR20150025548A (ko)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상태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982A (en) 1987-08-18 1989-03-28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ress-free contacts
JPH07103962B2 (ja) 1987-12-25 1995-11-08 三井造船株式会社 流動層ボイラの燃料切換方法
JP3255995B2 (ja)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JPH1065780A (ja) 1996-08-22 1998-03-06 Hitachi Ltd テレビ電話機能付きの携帯電話機
JP3516328B2 (ja)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0253113A (ja)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0253124A (ja) 1999-03-01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機能付き情報携帯端末
JP3546997B2 (ja) 1999-12-2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4385490B2 (ja)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520009B2 (ja) 2000-10-02 2010-08-0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392831B2 (ja) * 2001-04-03 2003-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3906655B2 (ja) * 2001-07-03 2007-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030037052A (ko) 2001-11-02 200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12560A (ja) 2004-04-08
CN2684482Y (zh) 2005-03-09
US20050287953A1 (en) 2005-12-29
US20040204064A1 (en) 2004-10-14
CN1484417A (zh) 2004-03-24
US7460885B2 (en) 2008-12-02
JP3675430B2 (ja) 2005-07-27
KR20040025809A (ko) 2004-03-26
US6957083B2 (en) 2005-10-18
CN1222148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532B1 (ko) 휴대전화기
EP1580966B1 (en) Portable device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003318B2 (en) Mobile phone with camera
KR2008004371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구비한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장치
CN100579139C (zh) 便携式电子设备
JP4123994B2 (ja) 携帯電話機
US20060100003A1 (en) Folding type electronic device
JP4771966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2344592A (ja) 携帯端末装置
JP2008182601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194853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
JP2005286431A (ja) 携帯機器
JP2001044877A (ja) 折り畳み可能な携帯通信端末装置
US20070121000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amera
JP4668932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5311728A (ja) 移動端末装置
JP200905556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286429A (ja) 携帯機器
KR100716715B1 (ko) 회전바형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510189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40069372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05277781A (ja) 携帯機器
JP2005294959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20050010577A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