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527A -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527A
KR20110054527A KR1020090111203A KR20090111203A KR20110054527A KR 20110054527 A KR20110054527 A KR 20110054527A KR 1020090111203 A KR1020090111203 A KR 1020090111203A KR 20090111203 A KR20090111203 A KR 20090111203A KR 20110054527 A KR20110054527 A KR 2011005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ode
screen data
sub display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류동석
권민정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527A/ko
Priority to US12/945,017 priority patent/US20110117971A1/en
Priority to CN2010800522548A priority patent/CN102612807A/zh
Priority to EP10831796.7A priority patent/EP2502353A4/en
Priority to PCT/KR2010/008162 priority patent/WO2011062429A2/en
Publication of KR2011005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각 표시부들 간의 연계 동작에 의한 기능 실행 및 그의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1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 과정과,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제1표시부 기반의 상기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 과정과, 상기 변환된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2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메인 표시부, 서브 표시부, 전자문서, 일반모드, 특화모드

Description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T LEAST TWO DISPLAY UNITS}
본 발명은 휴대단말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각 표시부들 간의 연계 동작에 의해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는 휴대단말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단말의 편리한 사용 및 빠르고 직관적인 정보의 전달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발전과 더불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근래의 휴대단말은 상기 다양한 기능들 중 전자책, 전자신문, 전자메 일, 웹페이지 등의 전자문서 기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는 단순히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기능만을 지원하고 있어 사용자가 전자문서 리딩(reading) 중에 전자문서를 이용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에서는 전자문서 관련 화면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 크기 제약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의 화면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의 가독성 및 직관성이 낮아 사용자의 전자문서 이용에 따른 접근성 및 이용률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의 유기적인 연결 동작에 의해 휴대단말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각 표시부들의 연계 동작에 의해 화면데이터를 유기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 간의 연계 동작으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서브 표시부 기반으로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기반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제1모드에서 제1표시부를 운용하고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 시 상기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간의 연계에 의해 유기적으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제1모드 지원을 위한 제1표시부와 제2모드 지원을 위한 제2표시부를 구분하고 제2모드에 따른 제2표시부 운용 시 사용자의 요청 이벤트 기반의 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표시부 운용을 통해 전자문서를 직관적으로 제 공하고 상기 제2표시부 기반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 사용자 입력 기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1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 과정과,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제1표시부 기반의 상기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 과정과, 상기 변환된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2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표시 장치는, 휴대단말의 제1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 관련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휴대단말의 제2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 관련 화면데이터 표시 및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될 시 상기 제1표시부의 화면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이원화된 표시부들로 운용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이원화된 표시부들을 제1모드 지원을 위한 제1표시부와 제2모드 지원을 위한 제2표시부로 구분하고,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간의 연계에 의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제1모드(일반모드) 지원을 위한 제1표시부(메인 표시부)와 제2모드(특화모드) 지원을 위한 제2표시부(서브 표시부) 간의 연계를 통해 전자문서 기반의 화면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표시 방식을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일반모드 및 특화모드 간의 전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메인 표시부 및 서브 표시부 간의 연계에 의해 화면데이터 표시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으로 특화모드로 진입 시 상기 특화모드에서 서브 표시부 기반으로 전자문서 표시를 통해 사용자의 전자문서 리딩 시의 가독성 및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단말에서 전자문서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그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특화모드에서 서브 표시부 기반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 사용자 기반의 요청 이벤트에 따라 서브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 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각 표시부들 간의 연계 동작에 의한 기능 실행 및 그의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각 표시부들의 연계 동작에 의해 화면데이터를 유기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 이원화를 이용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모드 지원을 위한 제1표시부와 제2모드 지원을 위한 제2표시부를 구분하고 제2모드에 따른 제2표시부 운용 시 사용자의 요청 이벤트 기반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이원화된 표시부들로 운용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이원화된 표시부들을 제1모드 지원을 위한 제1표시부와 제2모드 지원을 위한 제2표시부로 구분하고,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간의 연계에 의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를 일반모드로 명명하고, 상기 제2모드를 특화모드로 명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모드(일반모드) 지원을 위한 상기 제1표시부를 메인 표시부라 명명하고 상기 제2모드(특화모드) 지원을 위한 상기 제2표시부를 서브 표시부라 명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 및 상기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및 그의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은 가로 방향 기반의 폴더 타입으로 제공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a는 가로 방향 기반의 슬라이드 타입으로 제공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b는 세로 방향 기반의 슬라이드 타입으로 제공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3은 세로 방향 기반의 폴더 타입으로 제공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4a 및 도 4b는 세로 방향 기반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도 4a 및 도 4b와 같은 바 타입의 휴대단말은 가로 방향 기반으로도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540, 55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메인 표시부(540)와 서브 표시부(550)와 같이 이원화된 표시부들을 구비하며, 메인 표시부(540)와 서브 표시부(550) 각각은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기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표시부(54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1기능(예컨대, 메인 기능) 운용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 표시 부(55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제2기능(예컨대, 부가 기능) 운용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기능과 부가 기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으로 휴대단말이 지원하는 기능 및 특성에 따라 결정되어 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표시부(550)는 상기 도 1 내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 및 도 3과 같은 폴더 타입 휴대단말의 서브 표시부(55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와 같이 2개의 표시부들로 구성되어 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더 타입 휴대단말의 서브 표시부(550)의 경우 하나의 구성으로 운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메인 표시부(540)가 상측 서브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가 하측 서브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a 및 도 2b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의 서브 표시부(550)는 하나의 구성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메인 표시부(540)가 상측 서브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가 하측 서브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a 및 도 4b와 같은 바 타입 휴대단말은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 구성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표시부(54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성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 타입 휴대단말은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하나의 표시부 구성 또는 전면의 표시부 구성을 생략하고, 후면에 하나의 표시부 구성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표시부(540)는 상기 후면에 구성된 하나의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 타입 휴대단말은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하나의 표시부 구성 또는 전면의 표시부 구성을 생략하고, 후면에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 구성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표시부(540)는 상기 후면에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브 표시부(54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 및 하측 서브 표시부(553)와 같이 2개의 표시부들로 구성되어 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의 상기 바 타입 휴대단말은 상기 서브 표시부(550)가 상기 휴대단말의 후면에서 하나의 구성으로 운용될 시 메인 표시부(540)가 상측 서브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가 하측 서브 표시부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가 운용되는 상태를 일반모드로 명명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가 운용되는 상태를 특화모드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10> 및 <310>은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단말은 일반모드에서 메인 표시부(540)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일반모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대기화면 및 사용자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특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일반모드에서 기 설정된 업데이트 정보 수신 상태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일 영역(예컨대, 업데이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당된 업데이트 정보 영역)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업데이트 정보 확인을 위한 입력신호가 생성될 시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는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정보 영역에 발생하는 터치신호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 확인을 위한 기능키를 가지는 입력부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120> 및 <320>은 사용자가 상기 폴더 타입의 휴대단말의 바디들(100, 200)을 오픈하는 조작에 따라 휴대단말의 구조가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바디는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120> 및 <320>과 같이 제1바디(100) 및 제2바디(200) 중 적어도 하나의 바디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이 오픈 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 상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 표시는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120> 및 <320>과 같은 동작에 의해 휴대단말의 바디들(100, 200) 간 간격이 일정이상 이격될 시 상기 사용자의 바디 오픈에 따른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바디들(100, 200) 간 이격 기반으로 바디들(100, 200)이 오픈되어 특화모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 또는 바디들(100, 200)이 클로즈 되어 일반모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하드웨어적인 전 환키 기반, 소프트키에 의한 전환버튼 기반, 음성인식 기반 또는 모션인식 기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130> 및 <330>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들(100, 200)을 오픈하는 조작에 따라 상기 바디들(100, 200) 간 이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130> 및 <330>은 상기 휴대단말이 특화모드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130> 및 <330>과 같이 바디들(100, 200)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기능은 비활성화 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540) 상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 표시는 생략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1 및 도 3의 폴더 타입 휴대단말은 특화모드에서 서브 표시부(550)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3과 같은 폴더 타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화모드에서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 오픈 이전에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상기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화면데이터가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게 적절하게 리사이징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된 화면데이터가 특정 전자문서를 구성하는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해당하는 화면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하나의 특정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연계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게 일정 비 율로 확대하고 확대된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표시부(550)를 이용한 상세 운용 동작 및 그에 따른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10> 및 <270>은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220> 및 <280>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들(100, 200)을 오픈하는 조작에 따라 휴대단말의 구조가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부호 <210> 및 <270>과 상기 참조부호 <220> 및 <280>를 기반으로 하는 동작은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210> 및 <270>의 동작 설명은 상기 도 1 및 도 3의 참조부호 <110> 및 <310>의 동작 설명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참조부호 <220> 및 <280>의 동작 설명은 상기 도 1 및 도 3의 참조부호 <120> 및 <320>의 동작 설명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단말의 바디들(100, 200) 간 간격이 일정이상 이격될 시 상기 사용자의 바디 오픈에 따른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바디들(100, 200) 간 이격 기반으로 바디들(100, 200)이 오픈되어 특화모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 또는 바디들(100, 200)이 클로즈 되어 일반모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소프트키에 의한 전환버튼 기반, 음성인식 기반 또는 모션인식 기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230> 및 <290>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 들(100, 200)을 오픈하는 조작에 따라 상기 바디들(100, 200) 간 이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230> 및 <290>은 상기 휴대단말이 특화모드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230> 및 <290>과 같이 바디들(100, 200)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기능은 비활성화 되고 상기 메인 표시부(54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로서 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은 특화모드에서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를 함께 제공하되,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서브 표시부(550)의 하나인 상측 서브 표시부(551)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화모드에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는 상측 서브 표시부로 운용되는 메인 표시부(540)와 하측 서브 표시부로 운용되는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2a 및 도 2b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화모드에서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바디들(100, 200) 오픈 이전에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전자문서 기반의 특정 페이지가 표시된 경우 상측 서브 표시부(551)로 동작하는 메인 표시부(540)에 상기 특정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하측 서브 표시부(553)로 동작하는 서브 표시부(550)에 상기 특정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가로 방향 기반의 수평으로 동작 시 상기 하나의 특정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로 동작하는 메인 표시부(540)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로 동작하는 서 브 표시부(550)를 연계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게 일정 비율로 확대하고 확대된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표시부(550)를 이용한 상세 운용 동작 및 그에 따른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을 기반으로 후술하는 화면 예시들에 대한 설명의 응용으로 운용될 수 있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 및 도 4b는 바 타입의 휴대단말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도 4a는 휴대단말의 전면에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가 구비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도 4b는 휴대단말의 전면에 메인 표시부(540)가 구비되고 휴대단말의 후면에 서브 표시부(550)가 구비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 타입의 휴대단말은 일반모드에서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 기반으로 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일반모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에서 전자문서 기반의 특정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화모드로 모드 전환 시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로 운용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하측 서브 표시부(553)로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드 전환은 사용자 인터랙션 즉 전술한 모드 인터랙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소프트키에 의한 전환버튼 기반, 음성인식 기반 또는 모션인식 기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부호 <410>은 상기 바 타입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일반모드에서 메인 표시부(540)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일반모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대기화면 및 사용자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특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일반모드에서 기 설정된 업데이트 정보 수신 상태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일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업데이트 정보 확인을 위한 입력신호가 생성될 시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는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정보 영역에 발생하는 터치신호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 확인을 위한 기능키를 가지는 입력부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420> 또는 참조부호 <430>은 사용자가 상기 바 타입의 휴대단말을 회전하는 조작에 따라 휴대단말의 후면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부호 <420>은 상기 휴대단말의 후면에 하나의 표시부가 구성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참조부호 <430>은 상기 휴대단말의 후면에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이 구성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바 타입 휴대단말은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운용 중에 회전과 상태 변화를 인지할 시 상기 상태 변화에 따른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4b의 바 타입 휴대단말은 상기 회전 기반으로 특화모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 또는 일반모드로 진입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상기 회전 등과 같은 상태 변화를 인지하는 모션인식 기반을 비롯하여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소프트키에 의한 전환버튼 기반 또는 음성인식 기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 4b의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을 회전하는 조작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후면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은 상기 휴대단말이 특화모드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과 같이 휴대단말이 특화모드 진입 시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기능은 비활성화 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540) 상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 표시는 생략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4b의 바 타입 휴대단말은 특화모드에서 서브 표시부(550)만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4b의 참조부호 <420>과 같은 바 타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화모드에서 하나의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화면데이터가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게 적절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b의 참조부호 <430>과 같은 바 타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화모드에서 상측 서브 표시부(551) 및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의한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두 개의 표시부들로 운용되는 상기 서 브 표시부(5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화면데이터가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게 적절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된 화면데이터가 특정 전자문서를 구성하는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해당하는 화면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하나의 특정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연계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게 일정 비율로 확대하고 확대된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표시부(550)를 이용한 상세 운용 동작 및 그에 따른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을 기반으로 후술하는 화면 예시들에 대한 설명의 응용으로 운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특화모드에서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화모드 진입 이전에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특화모드 기반의 전자문서의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경우 상기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와 연계하여 유기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상기 도 1 내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표시부의 이원화를 통해 일반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와 특화모드에서의 화면 표시를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전자책(e-book), 전자신문(e-paper), 웹 페이지, 전자메일 등의 전자문서 뷰어 기능을 특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 도 1 내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표시부들을 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모듈(510)과, 입력부(520)와, 표시부(530)와, 오디오처리부(560)와, 저장부(570) 및 제어부(58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6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530)는 메인 표시부(540)와 서브 표시부(55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제어부(58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기지국 등)와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영상통신 등의 무선통신과 메시지 서비스 및 인터넷(Internet) 등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frequency)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제어부(580)의 제어에 따라 콜 발신 또는 콜 수신 시 그에 따른 시그널을 설정된 통신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채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채널과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등과 같은 방식의 인터넷통신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인터넷 기반 통신을 지원할 시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인터넷통신모듈(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2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제어부(580)의 제어에 따른 서브 표시부(550) 운용 시 제2바디(200) 또는 휴대단말의 후면에 형성되는 이전 페이지 전환키(863), 다음 페이지 전환키(865) 및 메뉴키(86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520)는 본 발명에서 일반모드 및 특화모드 전환을 위한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생성하는 전환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예컨대, 3*4 방식 등)의 키패드(keypad) 및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모드에서 상기 제어부(580)의 제어 기반으로 운용되는 메인 표시부(540)와 상기 휴대단말의 특화모드에서 상기 제어부(580)의 제어 기반으로 운용되는 서브 표시부(5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 및 하측 서브 표시부(553)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특화모드 운용 시 상기 메인 표시부(540)가 상측 서브 표시부(551)로 동작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가 하측 서브 표시부(553)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5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재생 화면, 통화 화면 등의 일반적인 기능 기반으로 운용되는 일반모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메인 표시부(540)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530)는 전자책 화면, 전자신문 화면, 웹 페이지 화면, 전자메일 화면 등의 특정 기능 기반(예컨대, 전자문서 기반)으로 운용되는 특화모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서브 표시부(550)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5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3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53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530) 특히,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기반의 출력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6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6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58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58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56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예컨대,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능 실행 시의 효과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피커(SPK)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1바디(100) 기반으로 내측 및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일반모드 및 특화모드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SPK)는 바 타입의 휴대단말의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되어 일반모드 및 특화모드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전자문서 데이터, 폰북 데이터, 통화로그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방송 데이터, 사진 데이터 등),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웹 서버, 외부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의 지원 기능들 중 설정된 해당 기능/메뉴의 바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70)는 본 발명의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 유기적 연계에 의한 운용과 관련된 제어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70)는 상기 휴대단말 이용 및 특화모드에 따른 서브 표시부(550) 운용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면, 업데이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화면 예시들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70)는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 전환에 따라 서브 표시부(550) 운용 시 연계되는 화면데이터 등을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7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7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510)과, 상기 입력부(520)와, 상기 메인 표시부(540)와, 상기 서브 표시부(55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560) 및 상기 저장부(570) 등과 같은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모드 및 특화모드 간의 전환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로 전환 시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의 화면 크기 및 설정 비율에 따라 변환하여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표시하는 일련의 기능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운용 제어 시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현재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80)는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운용 동작 및 그의 기능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80)의 상세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의 일련의 제어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메인 제어부와 서브 제어부로 구분되어 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58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510) 모두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58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510)과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등의 위치정보 수신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 및 인터넷 기반의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도 5의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통신 기반의 통화 기능 또는 인터넷 기반의 통화 기능 및 특화모드를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유무선 전화기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휴대단말의 일반모드 지원을 위한 메인 표시부와 특화모드 지원을 위한 서브 표시부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단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 간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로 전환 시 표시부의 운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운용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도 1의 참조부호 <110>과, 도 2a의 참조부호 <210>과, 도 2b의 참조부호 <270>과, 도 3의 참조부호 <310>과, 도 4a와, 도 4b의 참조부호 <4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모드 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601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대기화면 및 상기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요소(예컨대, 아이콘, 위젯 등)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 시가 상기 도 8a의 참조부호 <810>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대기모드에 존재하는 상태를 가정하지만, 반드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대기모드를 시작으로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603단계). 즉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관련 인터랙션 또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인터랙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관련 인터랙션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전자문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자문서에 관련된 업데이트 정보가 해당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랙션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업데이트 관련 인터랙션을 업데이트 인터랙션이라 약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인터랙션이 전자문서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인터랙션인지(605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 표시 방식 전환 즉 모드 전환을 위한 모드 전환 인터랙션인지(631단계)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상기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상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바디들(100, 200)을 오픈하는 것을 기반으로 발생하는 바디오픈 인터랙션,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또는 소프트키 기반으로 입력되는 키 인터랙션, 음성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음성 인터랙션 및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모션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모션 인터랙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인터랙션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을 감 지할 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 6, 도 8a 및 도 8b의 예시에서는 도 1과 같은 폴더 타입 휴대단말을 기준으로 바디오픈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만약, 상기 인터랙션이 상기 업데이트 인터랙션이면(605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업데이트 정보 영역에 표시한다(607단계).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a의 참조부호 <820>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8a의 참조부호 <8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업데이트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메인 표시부(540)에서 기 할당된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825)에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 표시 후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생성되는 요청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609단계). 상기 요청 이벤트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 출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며, 상기 요청 이벤트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에 직접 발생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터치이벤트 또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의 업데이트 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 출력을 명령하는 기능키 기반의 키이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요청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기반의 터치이벤트인 경우를 가정하며,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a의 참조부호 <830>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요청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문서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611단계). 여기 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전자문서를 다운로드하여 버퍼링 또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요청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버퍼링 또는 저장하는 전자문서를 로드하여 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가 가지는 링크정보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서비스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접속에 의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요청 이벤트에 따라 전자문서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a의 참조부호 <840>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8a의 참조부호 <8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기반으로 요청되는 전자문서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전자문서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를 팝업창(847)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팝업창(847)은 바디 오픈을 통해 전자문서에 특화된 특화모드에서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리딩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예시는 전자신문, 전자메일 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문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간 연계를 통해 웹 페이지, 전자책 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문서와 같이 업데이트 정보가 필요 없는 동작에서는 화면 표시 방식을 전환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 및 업데이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613단계). 상기 제어부(580)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이 없으면(613단계의 No) 사용자 요청 기반의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615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또는 특정 아이콘 선택에 따른 기능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이 있으면(613단계의 Yes) 전자문서를 로딩 한다(617단계). 상기 전자문서는 전자책, 전자신문, 전자메일,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특정 전자문서가 로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의 로딩은 상기 611단계에서 다운로드하거나 특정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어 제공되는 전자문서를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하기 위해 버퍼링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로 전환되는 과정 즉 바디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소프트키에 의한 전환버튼 기반, 음성인식 기반 또는 모션인식 기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버퍼링하는 전자문서에 대한 텍스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619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웹 기반의 전자문서를 텍스트 기반의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작업 또는 텍스트 기반의 전자문서를 구성하는 각 텍스트의 폰트(font) 크기를 서브 표시부(550) 사이즈에 맞추어 변환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표시방식을 체크할 수 있다(621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바디 오픈 시 가로 방향으로 동작 중인지 세로 방향으로 동작 중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가로방향 표시 또는 세로방향 표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결정된 표시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변환된 전자문서를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한다(623단계).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60> 및 참조부호 <870>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60>은 상기 표시방식이 가로방향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70>은 상기 표시방식이 세로방향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부호 <860>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하나의 서브 표시부(550)로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전자문서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되는 전자문서의 페이지 화면은 메인 표시부(540)에서 표시된 한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화면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전자문서의 1페이지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의 1페이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870>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구분하여 변환된 전자문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되는 전자문서의 페이지 화면은 메인 표시부(540)에서 표시된 특정 페이지 및 상기 특정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에 대응하는 각 화면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전자문서의 1페이지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상기 전자문서의 1페이지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상기 전자문서의 2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60> 및 참조부호 <8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픈되는 각 바디들(100, 200)에 오디오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와 페이지 전환 또는 메뉴 활성화를 위한 하드웨어적인 키들(863, 865, 867)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가 제공되는 제1바디(100)에 상기 스피커(SPK)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가 제공되는 제2바디(200)에 이전 페이지 전환키(863), 다음 페이지 전환키(865) 및 메 뉴키(86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바디들(100, 200)의 내측 구성이 반드시 참조부호 <860> 및 참조부호 <87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제1바디(100) 및 제2바디(200)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623단계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을 통한 상기 전자문서 표시 후 사용자 요청 기반의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625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사용자의 페이지 전환키(863, 865) 운용에 따른 페이지 전환을 제어하거나 상기 메뉴키(867) 운용에 따른 기본메뉴, 옵션메뉴, 서브옵션메뉴 등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해당 메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기능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동작에 따른 상세 동작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603단계에서 감지하는 인터랙션이 상기 업데이트 인터랙션이 아니면(605단계의 No) 상기 인터랙션이 모드 전환 인터랙션인지 판별한다(631단계).
만약, 상기 인터랙션이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이 아니면(631단계의 No)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 기반의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633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또는 특정 아이콘 선택에 따른 기능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터랙션이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이면(631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표시방식을 체크할 수 있다(635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바디 오픈 즉 특화모드 진입 시 가로 방향으로 동작 중인지 세로 방향으로 동작 중인지를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결정된 표시방식을 기반으로 설정된 화면을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초기 메뉴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대응하는 대기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이전에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운용된 전자문서를 추출하여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설정된 화면 표시 후 사용자 요청 기반의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639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사용자의 페이지 전환키(863, 865) 운용에 따른 페이지 전환을 수행하거나 상기 메뉴키(867) 운용에 따른 메뉴 화면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메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기능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동작에 따른 상세 동작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도 6, 도 8a 및 도 8b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로 전환 즉 바디 클로즈(close) 상태에서 바디 오픈 상태로 전 환되는 것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도 7, 도 8b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특화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즉 바디 오픈 상태에서 바디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특화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표시부의 운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화모드 진입 예컨대, 바디 오픈에 따른 서브 표시부(550)를 운용하고(701단계) 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703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화면 표시 중에 모드 전환 인터랙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705단계).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상기 특화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상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바디들(100, 200)을 클로즈 하는 것을 기반으로 발생하는 바디클로즈 인터랙션,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또는 소프트키 기반으로 입력되는 키 인터랙션, 음성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음성 인터랙션 및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모션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모션 인터랙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인터랙션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 7 및 도 8b의 예시 에서는 도 1, 도 6, 도 8a 및 도 8b에 대응하여 폴더 타입 휴대단말을 기준으로 바디클로즈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705단계에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바디클로즈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며, 상기 바디클로즈 인터랙션은 전술한 바디오픈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역 동작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으면(705단계의 No)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 기반의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707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사용자 요청 기반의 요청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특화모드를 종료하고 바디 클로즈에 따른 일반모드에서의 기 설정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705단계의 Yes) 전환방식을 체크할 수 있다(709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전환방식은 상기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전자문서 화면 표시 중에 모드 전환 인터랙션이 발생할 시 이전에 수행 중인 동작(예컨대, 전자문서 화면 표시)에 대한 처리 방식을 나타내며, 이러한 전환방식은 사용자 설정 또는 기본 설정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전환방식이 대기모드 방식인 경우 메인 표시부(540)를 구동하고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711단계). 즉 상기 제어부(580)는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90>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에 따라 일반모드 진입 시 예컨대, 바디 클로즈 시 상기 운용 중인 서브 표시부(550)의 기능을 비활성화 한다(713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오프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자문서의 표시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 기반의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715단계). 예를 들면,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90>과 같이 제시된 대기화면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어떠한 인터랙션도 발생하지 않을 시 상기 메인 표시부(540)를 오프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전환방식이 유지 방식인 경우 메인 표시부(540)를 구동하고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서 표시되던 전자문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721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제공되던 전자문서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540)의 표시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60>에서 참조부호 <880>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만약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가로 방향에 의해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구분하여 운용 중인 경우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제공되던 전자문서의 화면과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70>에서 참조부호 <880>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에 따라 일반모드 진입 시 예컨대, 바디 클로즈 시 상기 운용 중인 서브 표시부(550)의 기능을 비활성화 한다(723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오프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자문서의 표시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 기반의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725단계). 예를 들면, 상기 도 8b의 참조부호 <880>과 같이 제시된 전자문서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참조부호 <880>과 같이 제시된 전자문서의 표시를 종료하고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등을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전환방식이 종료 방식인 경우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에 따라 일반모드 진입 시 예컨대, 바디 클로즈 시 메인 표시부(540)와 서브 표시부(550)의 기능을 비활성화 한다(731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오프 중인 메인 표시부(540)의 기능 제어는 생략하고 상기 운용 중인 서브 표시부(550) 오프 및 상기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전자문서의 표시를 초기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화면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연계 동작에 의해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업데이트 정보 선택에 따라 표시된 전자문서의 화면데이터가 서브 표시부(550)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사용자가 특정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예컨대, 저장된 전자책 실행 등)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910>에서 제1바디(100)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스피커(SPK)가 제공될 수 있고, 제2바디(200)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하측 서브 표시부(553)와, 전환키들(863, 865) 및 메뉴키(867)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는 상기 화면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를 위해 기본 제공되는 기본 메뉴 및 상기 메뉴키(867)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는 옵션메뉴 등이 소프트키 형태로 제공되는 메뉴영역(98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뉴영역(980)은 현재 서브 표시부(55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소스(source)에 따라 표시되거나 표시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메뉴영역(980)은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토글되어 표시되거나 표시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는 현재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관련정보 표시영역(99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련정보 표시영역(990)은 상기 화면데이터의 전자문서의 전체 페이지 수, 현재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제공된 화면데이터의 페이지 및 상기 전체 페이지 수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 페이지에 따른 진행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서브 표시부(550)에 현재 제시된 페이지의 다음/이전 페이지로 전환을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전환키들(863, 865)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부호 <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 제시된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로 전환을 위한 입력신호를 상기 전환키(865)에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전환키(865)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다음 페이지 전환에 대응하는 요청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 전환에 따라 관련정보 표시영역(990)이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페이진 전환에 따라 진행된 페이지 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페이지 값에 다라 상기 관련정보 표시영역(99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920> 또는 참조부호 <930>과 같이 특정 페이지가 제공된 상태에서 해당 페이지에서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옵션메뉴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메뉴키(867)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930> 기반의 화면데이터에서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옵션메뉴를 활성화를 위해 참조부호 <9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키(867)에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메뉴키(867)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옵션메뉴 활성화에 대응하는 요청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참조부호 <9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영역(980)에 제시된 기본 메뉴를 옵션메뉴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상측 서브 표시부(551) 및 하측 서브 표시부(553)의 터치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참조부호 <910> 내지 참조부호 <940>과 같이 바디 오픈에 따른 초기 화면데이터 표시 및 화면데이터의 전환 표시하는 과정 중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입력기능(터치기능)은 오프 상태로 하고 표시기능만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메뉴영역(980)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입력기능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리딩에 오래 걸리는 전자책의 경우 상기 메뉴영역(980)의 표시 생략 및 입력기능을 오프하고 사용자 요청 시에만 표시 및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리딩이 짧고 빈번한 이동이 발생할 수 있는 전자신문의 경우 상기 메뉴영역(980)을 제공 및 입력기능을 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의 입력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메뉴키(867) 기반으로 생성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옵션메뉴를 활성화 할 시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입력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950>와 같이 옵션메뉴를 활성화한 상태 에서 희망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제시된 화면데이터의 내용 중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dictionary) 검색 기능을 위한 제스처를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96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96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서 특정 단어(예컨대, 'inflation' 단어)가 위치된 영역에 요청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탭(tap)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의 특정 단어(예컨대, 'inflation' 단어)에 대한 사전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단어 검색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의 단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단어를 기반으로 사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 검색이 완료될 시 참조부호 <9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해 검색된 내용을 팝업 창(975) 실행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전 검색 기능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상기 팝업 창(975)은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서 제시된 메뉴영역(980) 상단에 출력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나, 상기 팝업 창(975)은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하측 서브 표시부(553) 중 임의의 영역에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 시야 확보를 위해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하측 서브 표시부(553)가 아닌 상측 서브 표시부(551) 중 임의의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팝업 창(975)을 기반으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클립 기능 등을 운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팝업 창(975)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상기 팝업 창(975)의 출력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팝업 창(975)은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서 제거되고 상기 참조부호 <960>과 같은 상태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전자문서 등을 보다 큰 사이즈의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리딩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문서 리딩 중에 특정 단어에 대한 자동 검색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화면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연계 동작에 의해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업데이트 정보 선택에 따라 표시된 전자문서의 화면데이터가 서브 표시부(550)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사용자가 특정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예컨대, 저장된 전자책 실행 등)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면데이터는 상기 도 9의 운용에 따라 참조부호 <950>에 제공된 화면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도 9의 운용에 따라 참조부호 <970>에 제공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도 10에서는 상기 참조부호 <950>의 화면데이터에서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도 10의 참조부호 <1010>에서는 메뉴영역(980)에 옵션메뉴가 활성화되고 이를 기반으로 서브 표시부(550)의 입력기능이 온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010>와 같이 옵션메뉴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제시된 화면데이터의 내용 중 특정 단어, 특정 문장 또는 특정 문단에 대해 언더라인(underline) 적용을 위한 제스처를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102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10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서 특정 문장(예컨대, 'Economic activity is leveling out' 문장)에 언더라인을 그리는 요청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드래그(drag)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의 특정 문장(예컨대, 'Economic activity is leveling out' 문장)에 대한 언더라인을 상기 드래그 이벤트 변화에 따라 실시간 적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언더라인을 적용하는 중에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해제될 시 상기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적용된 언더라인을 직선의 언더라인으로 변환하여 언더라인 기능을 적용하고, 아울 러 하측 서브 표시부(553) 하단의 메뉴영역(980) 상단에 서브옵션메뉴(1035)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참조부호 <1030>에 나타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메뉴영역(980)에 제시되는 옵션메뉴 및 서브옵션메뉴(1035)를 이용하여 상기 언더라인이 표시된 특정 문자에 대한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 중 <handwriting> 또는 <pencil> 등의 설정된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제어부(580)에 의해 적용된 언더라인을 참조부호 <1020>과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그려진 형태의 언더라인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 중 <cancel> 등의 설정된 메뉴 선택을 통해 참조부호 <1010>과 같은 상태의 이전 단계(예컨대, 언더라인 기능 해제 등)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 중 <highlight> 등의 설정된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언더라인 적용된 특정 문장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메뉴영역(980)에 제시된 옵션메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상기 도 10에서는 검색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참조부호 <10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영역(980)의 옵션메뉴 중 <Search>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0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를 이용하여 검색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기 설정된 검색화면을 제공하고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키워드 입력을 위한 가상의 키패드(1055)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제공되는 검색화면은 검색어 입력창(1051)과 특정 검색 기능 수행을 위해 구분된 검색메뉴들(105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Search> 메뉴에 따른 기능 활성화 시 상기 참조부호 <1020> 내지 참조부호 <10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라인이 적용된 특정 문장을 상기 검색화면의 검색어 입력창(1051)에 자동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언더라인 기능이 적용된 특정 문장을 추출하여 버퍼링하고 검색 기능 실행 시 상기 버퍼링된 특정 문장을 로딩하여 검색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s참조부호 <105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검색메뉴 선택에 따른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부(570)에서 관련정보를 검색하는 기능,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관련정보를 검색하는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을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색화면에 제시된 검색메뉴들(1053)은 상기와 같은 검색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각 메뉴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희망하는 검색 기능에 할당된 특정 메뉴 선택을 통해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도 11에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라 제시된 화면데이터에서 특정 문자(단어, 문장, 문단 등)를 선택하고 기 설정된 제스처 기반의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의 제어 부(580)는 제스처 기반의 입력신호를 감지할 시 해당 제스처에 따라 생성된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스처가 기 설정된 의미 있는 제스처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해당 제스처가 선택된 특정 문자에 대한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를 의미하는 제스처인지, 선택된 특정 문자에 대한 노트(note)를 의미하는 제스처인지, 선택된 특정 문자에 대한 검색(search)을 의미하는 제스처인지, 선택된 특정 문자를 첨부파일 또는 첨부내용으로 하는 제스처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특정 문자에 대해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선택된 특정 문자에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어하거나, 선택된 특정 문자에 노트(note)를 추가 제어하거나, 선택된 특정 문자를 기반으로 검색 기능을 실행을 제어하거나, 선택된 특정 문자를 전자메일 등에 첨부파일 또는 첨부내용으로 하는 첨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1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검색메뉴들(1053) 중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메뉴에 사용자 입력 기반의 요청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탭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메뉴에 링크된 검색 서버로의 접속을 제어하고 해당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웹 페이지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참조부호 <1120> 내지 참조부호 <1150>에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검색메뉴들(1053)에서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하는 메뉴에 링크된 검색 서버(예컨대, 구글 웹 서버)를 추출하고 추출된 검색 서버로의 접속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검색 서버 접속 시 상기 검색어 입력창(1051)에 생성된 검색어 즉 상기 언더라인 기능에 따라 버퍼링 중인 특정 문장들을 상기 검색 서버에 검색어로서 전송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검색 서버에서는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들을 웹 페이지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웹 페이지는 HTML 및 XML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 하고 그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가공하여 표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1120> 내지 참조부호 <11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진행 상태를 주소 입력창(1125)을 통해 제공하고, 다운로드 진행 상태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서부터 하측 서브 표시부(553)로 순차적으로 표시 제어한다. 상기 진행 상태는 상기 주소 입력창(1125)에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검색 서버 접속 후 다운로드 진행 시 참조부호 <1120> 내지 참조부호 <11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소 입력창(1125)이 특정 색상 기반으로 점차적으로 채워지는 프로그레시브 바 기반의 효과 표시를 제어하고 해당 웹 페이지에 대한 다운 로드 진행이 완료될 시 참조부호 <11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로그레시브 바 기반의 진행 상황 표시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진행 상태는 현재 제시되는 기능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관련정보 표시영역(1127)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검색 서버 접속 후 다운로드 진행 시 참조부호 <1120> 내지 참조부호 <11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 설정된 "opening the page..." 등과 같은 문구를 상기 관련정보 표시영역(1127)에 표시 제어하고 해당 웹 페이지에 대한 다운로드 진행이 완료될 시 참조부호 <11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 설정된 "done" 등과 같은 문구를 상기 관련정보 표시영역(1127)에 표시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요청된 검색어 즉 상기 특정 문장 기반으로 검색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의 다운로드가 완료될 시 상기 참조부호 <11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를 연계한 웹 페이지 화면을 표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웹 페이지는 참조부호 11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페이지 기반의 검색어 입력창에 상기 검색어로 선택된 특정 문자가 자동 입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150>과 같은 화면에서 희망하는 검색정보를 선택하는 요청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탭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탭 이벤트가 입력된 영역의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제어하고 해당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웹 페이지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참조부호 <1160> 및 참조부호 <1170>에 나타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참조부호 <1120> 내지 참조부호 <115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 기반의 웹 페이지 다운로드, 다운로드 진행 상태 및 화면 표시 등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검색정보 기반의 웹 페이지를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2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화면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연계 동작에 의해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가 서브 표시부(550)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사용자가 특정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예컨대, 서비스 서버 접속 및 웹 페이지 다운로드 등)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면데이터는 상기 도 11의 운용에 따라 참조부호 <1170>에 제공된 특정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도 12에서는 참조부호 <12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1의 참조부호 <1170>의 화면데이터에서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2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 부(550)에 제시된 웹 페이지의 표시모드(display mode) 전환을 위한 요청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더블 탭 이벤트(double tap even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상측 서브 표시부(551) 또는 하측 서브 표시부(55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더블 탭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더블 탭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모드를 웹 뷰 모드(web view mode) 또는 텍스트 뷰 모드(text view mode)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된 웹 페이지에 대한 현재 표시모드가 웹 뷰 모드일 시 상기 더블 탭 이벤트에 대응하여 텍스트 뷰 모드로 전환 제어하고, 현재 표시모드가 텍스트 뷰 모드일 시 상기 더블 탭 이벤트에 대응하여 웹 뷰 모드로 전환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웹 뷰 모드는 웹 페이지를 HTML 및 XML 등의 웹 기반으로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텍스트 뷰 모드는 상기 웹 페이지를 일반 텍스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도 12에서는 웹 뷰 모드에서 텍스트 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더블 탭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모드를 참조부호 <1210>과 같은 웹 뷰 모드에서 참조부호 <1220>과 같은 텍스트 뷰 모드로 전환하여 표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텍스트 뷰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의 텍스트들을 기반으로 표시할 화면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텍스트 뷰 모드에 따른 상기 화면데이터 구성 시 기 텍스트의 폰트 크기를 기 설정된 폰트 크기로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참조부호 <1210>에서 관련정보 표시영역(112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뷰 모드의 따른 웹 페이지 구성 표이지 수가 2페이지라 가정하면, 상기 텍스트 뷰 모드의 따른 페이지 수는 상기 2페이지보다 증가된 4페이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웹 뷰 모드 또는 텍스트 뷰 모드에 따라 적절한 화면데이터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220>과 같이 텍스트 뷰 모드 기반 또는 참조부호 <1210>과 같이 웹 뷰 모드 기반의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옵션메뉴 활성화를 위한 요청 이벤트를 메뉴키(867) 기반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영역(980)에 제공된 기본메뉴를 옵션메뉴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230>과 같이 옵션메뉴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에 제시된 화면데이터의 내용 중 특정 단어, 특정 문장 또는 특정 문단에 대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위한 제스처를 상기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1230> 내지 참조부호 <1260>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1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 시작 부분에 하이라이트 표시 시작 부분을 알리는 기 설정된 제스처(예컨대,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1
" 기호 기반의 제스처) 기반으로 요청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제스처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제스처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상기 제스처 이벤트에 따라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2
" 기호 표시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제스처 이벤트를 감지할 시 하측 서브 표시부(553) 하단의 메뉴영역(980) 상단에 서브옵션메뉴(1035)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2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 종료 부분에 하이라이트 표시 종료 부분을 알리는 기 설정된 제스처(예컨대,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3
" 기호 기반의 제스처) 기반으로 요청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제스처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제스처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상기 제스처 이벤트에 따라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4
" 기호 표시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 중 <highlight> 등의 설정된 메뉴 선택을 통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명령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하이라이트 표시 시작부분 즉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5
" 기호가 마킹(marking)된 부분부터 하이라이트 표시 종료부분 즉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6
" 기호가 마킹된 부분까지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메뉴 선택에 따른 조작 없이 기 설정된 제스처 기반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1250> 및 참조부호 <1260>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230> 및 참조부호 <1240>과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 부분을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7
" 기호와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8
" 기호로 마킹한 후 참조부호 <12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를 명령하는 기 설정된 제스처(예컨대,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09
" 기호 기반의 제스처) 기반으로 요청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제스처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2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스처 이벤트에 따라 하이라이트 표시 시작부분 즉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10
" 기호가 마킹된 부분부터 하이라이트 표시 종료부분 즉 "
Figure 112009070634856-PAT00011
" 기호가 마킹된 부분까지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하이라이트 표시 제어 후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이라이트 표시된 부분의 내용을 기 설정된 저장영역에 특정 파일 타입(예컨대, txt 파일, pdf 파일 등)으로 자동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저장은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 중 <highlight> 또는 <note>와 같이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하이라이트 표시 제어 후 일정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지 않을 시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를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서 제거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550)의 터치기능을 오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터치기능 오프 시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오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하이라이트 표시 제어 후 상기 하이라이트 표시된 부분의 내용을 전자메일에 자동 첨부하는 메일작성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부는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클립기능에 의해 내용을 복사하여 메일 작성의 본문 내용으로 첨부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이 특정 파일 타입으로 저장될 시 해당 파일을 첨부파일로 첨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3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화면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연계 동작에 의해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된 화면데이터가 서브 표시부(550)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사용자가 특정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예컨대, 저장된 전자책 실행 등)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13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타입 또는 설정에 따라 메뉴영역(980)에 제공되는 기본메뉴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310>과 같이 특정 화면데이터가 제공된 상태에서 참조부호 <13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옵션메뉴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메뉴키(867)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메뉴키(867)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옵션메뉴 활성화에 대응하는 요청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참조부호 <13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영역(980)에 옵션메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330>과 같이 옵션메뉴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옵션메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상기 도 13에서는 서브 표시부(550)를 통한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백그라운드 뮤직(BGM, Background Music)을 재생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참조부호 <13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영역(980)의 옵션메뉴 중 <Menu>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3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을 위한 메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 및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기 설정된 다수개의 메뉴 아이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1350>에서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와 하측 서브 표시부(553) 모두에 메뉴 아이템들이 제공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메뉴 아이템들은 기 설정된 메뉴 아이템들의 개수에 따라 상측 서브 표시부(551) 또는 하측 서브 표시부(553)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 기반으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뉴 아이템들의 개수가 8개라 가정할 시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는 참조부호 <1340>에서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계속하여 표시하고,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는 8개의 메뉴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3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아이템들 중 백그라운드 뮤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아이템에 사용자 입력 기반의 요청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이벤트는 탭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 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메뉴아이템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메뉴아이템이 백그라운드 뮤직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아이템인 것을 인지할 시 백그라운드 뮤직으로 기 설정된 오디오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오디오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재생 제어하고 제1바디(100)에 구비된 스피커(SPK)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백그라운드 뮤직 재생 시 참조부호 <13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아이템들의 표시는 생략하고 이전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백그라운드 뮤직 재생에 따른 관련 정보를 팝업 창(1375) 기반으로 일정시간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백그라운드 뮤직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는 안내정보 또는 현재 재생되는 백그라운드 뮤직의 오디오파일명, 곡명, 가수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클로즈한 후 메인 표시부(540)를 구동하고 백그라운드 뮤직 리스트를 설정하는 메뉴 선택 및 설정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팝업 창(1375)에 탭 이벤트를 입력하여 백그라운드 뮤직 리스트를 설정하는 메뉴 호출, 선택 및 설정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370>과 같이 팝업 창(1375)을 출력한 후 일정시간 이상 백그라운드 뮤직 기능 제어와 관련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시 참조부호 <13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팝업 창(1370)의 출력을 제 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백그라운드 뮤직 기능 제어 중에 특화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예컨대, 바디클로즈 인터랙션 등)을 감지할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백그라운드 뮤직 재생을 종료하거나, 또는 메인 표시부(540) 운용 중에도 계속하여 재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3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참조부호 <1350>에서 서브 표시부(553) 기반으로 제시된 메뉴 아이템들에 발생하는 사용자 요청 이벤트를 기반으로 그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아이템들 중 전자책 등의 구입을 요청하는 메뉴 아이템 기반으로 요청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메뉴 아이템에 링크된 해당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접속을 기반으로 관련 구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80)는 사용자의 요청 이벤트 기반으로 구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 및 하측 서브 표시부(553) 간에 적응적으로 표시 제어한다. 이러한 구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화면데이터는 상기 접속되는 서비스 서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4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 부(550)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화면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연계 동작에 의해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된 화면데이터가 서브 표시부(550)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사용자가 특정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예컨대, 저장된 전자책 실행 등)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14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타입 또는 설정에 따라 메뉴영역(980)에 제공되는 기본메뉴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410>과 같이 서브 표시부(550)를 통한 화면데이터를 리딩 중에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콜(call)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참조부호 <1410>과 같이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화면데이터 제공 중에 특정 발신 휴대단말로부터 인커밍 콜(incoming call)을 수신하면 콜 수신에 따라 기 설정된 벨소리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콜 수신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화면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142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14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80)는 인커밍 콜을 감지하면 상기 인커밍 콜을 발신하는 발신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저장부(570)의 폰북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전화번호들 중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검 색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관련정보를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1420>과 같이 추출된 전화번호와 함께 설정된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및 인커밍 콜 수신 상태정보 등의 관련정보를 표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폰북에 상기 인커밍 콜에 따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검색되지 않을 시 상기 인커밍 콜에 따른 전화번호만을 표시하고 이미지 표시영역 및 사용자 이름 표시영역에는 공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80)는 인커밍 콜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메뉴 아이템들을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인커밍 콜 수신을 거절하고 거절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메뉴 아이템, 인커밍 콜 수신을 거절하는 메뉴 아이템, 인커밍 콜 수신을 수락하는 메뉴 아이템 등의 구성을 하측 서브 표시부(553)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420>과 같이 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커밍 콜 수신을 확인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들 중 희망하는 특정 메뉴 아이템 선택을 통해 상기 인커밍 콜 수신에 대한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부호 <14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인커밍 콜을 수락하는 메뉴 아이템에 사용자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메뉴 아이템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인커밍 콜을 수락하는 요청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발신 휴대단말과의 콜 연결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발신 휴대단말과의 콜 연결이 완료될 시 콜 연결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참조부호 <144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14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인커밍 콜 수락을 감지하면 콜 수행에 따른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제공된 관련정보 중 인커밍 콜 수신 상태정보를 상기 타이머 기반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콜 연결 중에 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옵션메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홀드(hold), 비디오 콜(video call), 콜 종료(end call), 스피커 오프(Speaker off), 뮤트(mute), 블루투스 헤드셋 연결(BT headset) 등의 옵션메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콜 연결에 따라 상기 발신 휴대단말 사용자와의 콜 수행 중에 상기 옵션메뉴들 중 특정 메뉴 선택에 의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인커밍 콜을 비디오 콜로 전환하거나 상기 인커밍 콜을 잠시 보류하거나 상기 콜 연결을 종료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14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콜 연결을 종료하는 옵션메뉴에 사용자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발신 휴대단말과의 콜 연결을 종료 제어한다. 이때, 상기 콜 연결 종료는 상기 발신 휴대단말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콜 연결을 종료 제어할 시 참조부호 <14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콜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에서 상기 화면 데이터로의 화면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4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 운용 중에 인커밍 콜을 수신할 설정 방식에 따라 스피커폰모드, 헤드셋모드, 일반모드 전환 후 통화모드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통화모드를 기반으로 콜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콜 관련 기능 수행 시 제1바디(100)에 형성된 마이크(MIC)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 기반의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화면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연계 동작에 의해 메인 표시부(540) 기반으로 표시된 화면데이터가 서브 표시부(550)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사용자가 특정모드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예컨대, 저장된 전자책 실행 등)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1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타입 또는 설정에 따라 메뉴영역(980)에 제공되는 기본메뉴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510>과 같이 특정 화면데이터가 제공된 상태에서 옵션메뉴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메뉴키(867)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메뉴키(867)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옵션메뉴 활성화에 대응하는 요청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참조부호 <15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영역(980)에 옵션메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520>과 같이 옵션메뉴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옵션메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상기 도 15에서는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제공된 화면데이터를 기반으로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참조부호 <15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영역(980)의 옵션메뉴 중 <Text To Speech>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5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서브 표시부(553) 기반으로 TTS 기능 실행 및 제어를 위한 메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의 화면데이터 표시는 유지하고,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TTS 기능 실행 및 제어를 위한 아이템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5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들 중 TTS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아이템에 사용자 입력 기반의 요청 이벤트(예컨대, 탭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탭 이벤트가 발생된 아이템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아이템이 TTS 기능을 실행하는 아이템인 것을 인지할 시 참조부호 <1550>에 나타낸 바 와 같이 TTS 기능 실행을 제어하고 제1바디(100)에 구비된 스피커(SPK) 기반으로 상기 TTS 기능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TS 기능은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표시된 화면데이터의 처음 부분에서부터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TTS 기능 제어를 위한 아이템을 이용하여 특정 구간(예컨대, 30초)만큼 뒤로 이동 후 재생, 특정 구간(예컨대, 30초)만큼 앞으로 이동 후 재생, 일시정지, 정지, 이전 섹션(section) 이동, 재시작, 다음 섹션 이동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TTS 기능 실행 후 참조부호 <1560> 침 참조부호 <15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를 클로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용모드를 특화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메인 표시부(540)를 구동하고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대기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서브 표시부(550)의 운용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40)는 참조부호 <17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TTS 기능 실행 및 제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대기화면과 함께 TTS 기능 제어 GUI(1685)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580)는 서브 표시부(550)에 운용 기반으로 TTS 기능 실행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바디를 클로즈 하는 제스처에 따라 발생하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예컨대, 바디클로즈 인터랙션 등)을 감지할 시 메인 표시부(540) 구동 및 서브 표시부(550) 오프를 제어하고, 아울러 TTS 기능 운용에 따른 관련 GUI(1685)를 상기 메인 표시부(540)에 표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TTS 기능 운용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바디 외측에 형성되는 스피커(SPK) 기반으로 출력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화면데이터 기반으로 TTS 기능 실행 중 휴대단말의 이용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하더라도 메인 표시부(540)를 통해 제공되는 TTS 기능 제어 GUI(1685)를 기반으로 바디를 오픈하지 않고서도 TTS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운용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도 16의 동작은 전술한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16에서는 전자문서로서 업데이트 정보로서 전자메일 수신정보가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825)에 제공되고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메일 기능 중 수신메일 기능에 의하여 메인 표시부(540)에 수신 전자메일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전자메일의 전자문서를 이용한 운용 시 참조부호 <1630> 및 참조부호 <16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825)에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제1요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825)을 확장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요청 이벤트는 드래그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조부호 <1640>에서 확장된 상기 업데이트 정보 표시영역(825)에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제2요청 이벤트에 따라 수신메일 기능을 통해 메인 표시부(540)에 관련 화면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요청 이벤트는 탭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참조부호 <1650>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1650> 및 참조부호 <16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메일에 첨부파일이 존재할 시 첨부파일 필드(1655)에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제3요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첨부파일 필드(1655)에 첨부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버퍼링하고 참조부호 <1670>과 같이 관련 화면데이터를 메인 표시부(540)에 제공한다. 상기 도 16에서는 상기 첨부파일이 PDF 파일인 것을 예시로 한다.
한편, 상기 도 16에서 참조부호 <1650> 또는 참조부호 <167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바디를 오픈하고 서브 표시부(550)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메일에 관련된 화면데이터 또는 상기 PDF 파일에 관련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그에 따른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7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도 10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특정 단어, 특정 문자 또는 특정 문단에 대해 언더라인을 표시하고 서브옵션메뉴(1035)를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메뉴영역(980)에 제시되는 옵션메뉴 및 서브옵션메뉴(1035)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상기 도 17에서는 <pencil> 메뉴에 의한 기능 및 <Clip this page> 메뉴에 의한 클리핑(clipping)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7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브옵션메뉴(1035)에서 <pencil>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 부(580)는 상기 <pencil> 메뉴에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요청 이벤트를 감지하면 <pencil> 기능을 활성화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720> 내지 참조부호 <17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텍스트 기반의 특정 문자들에 대하여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1720>의 경우 사용자가 그리기 제스처 기반으로 특정 문자를 마킹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참조부호 <1730> 및 참조부호 <1740>의 경우 사용자가 쓰기 제스처 기반으로 특정 문자(예컨대, e-book + phone)를 입력하여 마킹하는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7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뉴영역(980)에서 <Clip this page>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참조부호 <1720> 내지 참조부호 <1740>에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마킹에 의하여 수정된 화면데이터를 클리핑 하여 버퍼링하거나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새로운 파일명으로 저장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7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서브 표시부(550)에 표시된 화면데이터(사용자 수정사항 포함)가 클리핑 됨을 안내하는 클리핑 정보(1755)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참조부호 <1730>과 같이 클리핑된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요청 이벤트에 따라 전자메일의 첨부파일로 첨부하고 전자메일 기능 중 발신메일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예시를 하기 도 1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8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전술한 도 17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서브 표시부(550) 기반으로 제공된 화면데이터를 클리핑 하고 클리핑된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8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영역(980)에서 전자메일 실행을 위한 <Send to>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Send to> 메뉴에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요청 이벤트를 감지하면 참조부호 <18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기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전송 기능에 따른 첨부 파일의 타입 선택을 지정할 수 있는 타입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전송 기반의 기능 실행 아이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제공되는 실행 아이템들은 메시지 전송, 전자메일 전송, 달력 전송, 페이스북(facebook) 전송, 메모 전송, 스토리(story) 전송 및 전송 기반의 기능 설정을 위한 설정 등과 관련된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이전 단계 즉 상기 참조부호 <1820>에서와 같이 <Clip this page> 메뉴에 의해 클리핑 기능 실행에 따라 화면데이터를 클리핑 함에 따라 참조부호 <1830>에서 전송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 상측 서브 표시부(553)의 타입 선택 화면에서 <current clipped page> 항목에 자동 선택 지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8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서브 표시부(553)의 전송 기반의 기능 실행 아이템들 중 전자메일 실행을 위한 <E-mail>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8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550)를 이용하여 전자메일 기능 중 발신메일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측 서브 표시부(551)에 메일 작성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하측 서브 표시부(553)에 키워드 입력을 위한 가상의 키패드(1055)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첨부파일 입력필드(1851)에 상기 클리핑된 화면데이터의 첨부파일을 자동 첨부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80)는 참조부호 <1810> 기반으로 클리핑 되는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거나 기 설정된 파일 타입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80)는 전자메일 기능 실행 시 상기 버퍼링된 화면데이터를 기 설정된 파일 타입(예컨대, PDF 파일 등)으로 변환하여 상기 첨부파일로 첨부하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파일 타입으로 저장된 화면데이터 파일을 첨부파일로 첨부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18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자 메일주소, 제목, 본문내용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각 입력필드들(1853, 1855, 1857)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해당 필드를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8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문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필드(1857)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80)는 상기 입력필드(1857)를 활 성화 제어하고 사용자 기반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필드(1857)를 활성화한 후 참조부호 <18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서브 표시부(553) 기반으로 제공된 가상의 키패드(1055)를 이용하여 해당 본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상측 서브 표시부(551)의 입력필드(1857)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그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사용자는 수신자 메일주소 및 제목 등의 입력을 완료하고 메일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라 제시된 화면데이터에서 특정 문자(단어, 문장, 문단 등)를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 표시부(550)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의 페이지를 클리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특정 문자 또는 클리핑된 페이지를 전송 기능에 의해 전자메일, 메모, 메시지, 달력 등의 기능과 연계하여 전송 기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특정 문자를 전자메일의 본문내용으로 자동 입력하거나, 또는 클리핑된 페이지를 첨부파일로 자동 첨부하여 전자메일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문자들의 경우 전송 기반의 기능 실행 시 내용정보로서 자동 입력될 수 있으며, 클리핑 되는 페이지의 경우 전송 기반의 기능 실행 시 첨부파일로서 자동 첨부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제스처 기반으로 선택되는 특정 문자의 경우 사용자 설정 및 선택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문자들의 설정된 타입의 파일로 변환하여 첨부파일로 자동 첨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메인 표시부(540)와 서브 표시부(580)를 연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 실행을 운용하는 동작을 상기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어부(580)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하나의 제어부(580)에 의해 운용 제어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일반모드에서 메인 표시부(540) 운용과 관련된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제어부와 특화모드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과 관련된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서브 제어부로 구분하고 각 제어부들 간의 연계에 의해 본 발명의 동작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가 분리된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5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서브 제어부의 구성을 가지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 간 통신을 위하여 중간 처리 통신(Inter Process Communication) 기능을 담당하는 DPRAM(Dual-Port RAM)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메인 표시부(540) 및 서브 표시부(550) 간의 연계를 통해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 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 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서 특화모드로 전환 시 표시부의 운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특화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표시부의 운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운용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서브 표시부(550) 운용에 따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휴대단말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제1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 관련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휴대단말의 제2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 관련 화면데이터 표시 및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될 시 상기 제1표시부의 화면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로 구분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은 하나의 표시부로서 운용되어 유기적인 하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개별의 각 표시부들로 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을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표시 장치.
  3.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1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 과정과,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제1표시부 기반의 상기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 과정과,
    상기 변환된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2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 과정은
    제1모드에서 업데이트 인터랙션에 따른 업데이트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제1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 기반으로 화면데이터 표시 후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과정은
    상기 제1표시부 기반의 상기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2표시부의 규격 에 대응하게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제1표시부를 오프하고 상기 제2표시부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 오픈에 따른 바디오픈 인터랙션,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또는 소프트키 기반으로 입력되는 키 인터랙션, 음성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음성 인터랙션 및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모션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모션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 과정 후 사용자 제스처 입력 기반의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 과정 후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제2표시부 기반의 상기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 과정과,
    상기 변환된 전자문서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1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 감지 시 제1표시부 운용에 대한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인터랙션은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바디 클로즈에 따른 바디클로즈 인터랙션, 하드웨어적인 전환키 기반 또는 소프트키 기반으로 입력되는 키 인터랙션, 음성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음성 인터랙션 및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모션인식 기반으로 입력되는 모션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운용 방법.
  13. 휴대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원화된 표시부들로 운용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이원화된 표시부들을 제1모드 지원을 위한 제1표시부와 제2모드 지원을 위한 제2표시부로 구분하고,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간의 연계에 의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에 하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에 다른 화면데이터들을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드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제1표시부 기반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2표시부 규격에 대응하게 변환하고 변환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2표시부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90111203A 2009-11-18 2009-11-18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54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03A KR20110054527A (ko) 2009-11-18 2009-11-18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US12/945,017 US20110117971A1 (en) 2009-11-18 2010-11-12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display units
CN2010800522548A CN102612807A (zh) 2009-11-18 2010-11-18 用于操作具有至少两个显示单元的移动终端的方法和设备
EP10831796.7A EP2502353A4 (en) 2009-11-18 2010-11-18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DISPLAY UNITS
PCT/KR2010/008162 WO2011062429A2 (en) 2009-11-18 2010-11-18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display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03A KR20110054527A (ko) 2009-11-18 2009-11-18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27A true KR20110054527A (ko) 2011-05-25

Family

ID=4401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203A KR20110054527A (ko) 2009-11-18 2009-11-18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17971A1 (ko)
EP (1) EP2502353A4 (ko)
KR (1) KR20110054527A (ko)
CN (1) CN102612807A (ko)
WO (1) WO201106242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373A (ko) * 2016-09-20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5431B2 (en) * 2008-03-19 2017-05-09 Egalax_Empia Technology Inc. Touch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a plurality of touch driving electrodes of touch display
US20120068940A1 (en) * 2010-09-20 2012-03-22 Pixart Imaging Inc. Electronic device
JP5724344B2 (ja) * 2010-12-06 2015-05-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カスタマイズ制御方法及びカスタマイズ制御プログラム
EP2649782A2 (en) * 2010-12-10 2013-10-16 Yota Devices IPR Ltd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USD654452S1 (en) * 2011-05-19 2012-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657329S1 (en) * 2011-05-19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668629S1 (en) * 2011-08-10 2012-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8878794B2 (en) 2011-09-27 2014-11-04 Z124 State of screen info: easel
US9686088B2 (en) * 2011-10-19 2017-06-20 Facebook, Inc. Notification profile configuration based on device orientation
TW201344555A (zh) * 2012-04-16 2013-11-01 Hon Hai Prec Ind Co Ltd 多顯示器控制系統
KR101899817B1 (ko) * 2012-08-01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2771651U (zh) * 2012-09-03 2013-03-06 腾云科技(江苏)有限公司 双显示触摸屏双核电子书包
USD702207S1 (en) * 2012-09-21 2014-04-08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CN104838352B (zh) * 2012-12-07 2018-05-08 优特设备有限公司 在多表面装置中的动作初始化
KR102108118B1 (ko) * 2013-05-13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77493B1 (ko) * 2013-05-31 2017-09-11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N104396207B (zh) * 2013-06-21 2017-09-1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多显示器接入的方法和设备
USD752008S1 (en) * 2013-09-26 2016-03-2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56951S1 (en) * 2014-02-03 2016-05-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63847S1 (en) * 2014-03-31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63846S1 (en) * 2014-03-31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64431S1 (en) * 2014-05-09 2016-08-2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phone
US9785187B2 (en) * 2014-08-07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computing device
KR20160066873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D780175S1 (en) * 2015-06-03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9942367B2 (en) 2015-10-13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573705A (zh) * 2015-12-26 2016-05-1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US20170212870A1 (en) * 2016-01-26 2017-07-27 Issuu, Inc.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Content from a PDF Document on a Small Screen
USD806705S1 (en) 2016-11-01 2018-01-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TWI653568B (zh) * 2016-11-03 2019-03-1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處理裝置、方法與電子系統
CN106647937A (zh) * 2016-11-04 2017-05-10 李绍宏 双屏笔记本电脑及其使用方法
US10372398B2 (en) 2017-04-04 2019-08-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USD825556S1 (en) 2017-08-10 2018-08-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831025S1 (en) 2017-08-10 2018-10-16 Apple Inc. Housing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8600428B (zh) * 2018-04-02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USD940127S1 (en) 2018-04-23 2022-01-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N113504851A (zh) * 2018-11-14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US11238215B2 (en) 2018-12-04 2022-02-01 Issuu,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ocial assets from electronic publications
US11172110B2 (en) 2019-01-08 2021-11-09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945978S1 (en) 2019-01-08 2022-03-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45977S1 (en) 2019-01-08 2022-03-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76895S1 (en) 2019-03-15 2023-01-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11616896B2 (en) 2019-01-08 2023-03-28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9889630B (zh) 2019-01-11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USD970460S1 (en) 2019-03-15 2022-11-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71170S1 (en) 2019-09-09 2022-11-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71171S1 (en) 2019-09-09 2022-11-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74352S1 (en) 2019-11-22 2023-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74353S1 (en) 2019-11-22 2023-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82005S1 (en) 2021-04-09 2023-03-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82006S1 (en) 2021-04-09 2023-03-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961B1 (en) * 2004-12-13 2008-12-16 Palm, Inc. Compact palmtop computer system and wireless telephone with foldable dual-sided display
US20030011534A1 (en) * 2001-07-13 2003-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privacy for enhanced presentations with real-time updates
US7187363B2 (en) * 2001-11-30 2007-03-06 Palm, Inc. Integrated handheld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a sliding form factor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CN100385475C (zh) * 2002-12-27 2008-04-3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和电子机器
US20040229664A1 (en) * 2003-05-12 2004-11-18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ndable display
US20050237699A1 (en) * 2004-04-21 2005-10-27 David Carroll Multi-screen mobile computing system
US20060270445A1 (en) * 2005-05-25 2006-11-30 Ivan Miramontes Full qwerty web-phone with hidden second keypad
US7844301B2 (en) * 2005-10-14 2010-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KR100652767B1 (ko) * 2005-11-11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와 방법
US20080231741A1 (en) * 2007-03-21 2008-09-25 Mcintyre Dale F Camera with multiple displays
KR20090005716A (ko) * 2007-07-10 2009-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405948B1 (ko) * 2007-10-22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413473B1 (ko) * 2007-11-20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ATE504155T1 (de) * 2008-05-29 2011-04-1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KR101533099B1 (ko) * 2008-08-22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373A (ko) * 2016-09-20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2429A2 (en) 2011-05-26
US20110117971A1 (en) 2011-05-19
CN102612807A (zh) 2012-07-25
EP2502353A2 (en) 2012-09-26
EP2502353A4 (en) 2016-06-15
WO2011062429A3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4527A (ko)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US9477401B2 (en) Function exec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10228824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user input elements in displayed content
US9329770B2 (en) Portabl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to display the top of an electronic document
JP5912083B2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101911804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54234B1 (ko) 스크롤 바의 직각 드래깅
US8201109B2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150149955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CN102362252A (zh) 用于基于触摸的文本输入的系统和方法
KR10165033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2272707A (zh) 手势映射的滚动
KR2010004771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40240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
US1028966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eipt and presentation of input and feedback
KR101370895B1 (ko)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4796131B2 (ja) 筆記による及び/又は可聴音によるユーザ指示に応える、電子デバイス内のデータ管理のための、方法、電子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0006225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302170A1 (en) Method for operating input mode of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input means
KR20140030398A (ko)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111106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서적 내용을 출력하는 방법
Karch et al. Typing, Copy, and Search
Grothaus et al. Browsing the Internet with Safa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