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373A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373A
KR20180031373A KR1020160119915A KR20160119915A KR20180031373A KR 20180031373 A KR20180031373 A KR 20180031373A KR 1020160119915 A KR1020160119915 A KR 1020160119915A KR 20160119915 A KR20160119915 A KR 20160119915A KR 20180031373 A KR20180031373 A KR 2018003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tate
electronic device
user interface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605B1 (ko
Inventor
신정우
김준환
고정원
김문휘
김혜진
노경욱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605B1/ko
Priority to EP17192124.0A priority patent/EP3296838B1/en
Priority to EP20188322.0A priority patent/EP3748467A1/en
Priority to US15/710,051 priority patent/US10114418B2/en
Priority to DE202017007468.0U priority patent/DE202017007468U1/de
Priority to CN201710851058.0A priority patent/CN107846501B/zh
Priority to CN202110401137.8A priority patent/CN113099034B/zh
Publication of KR2018003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전자수첩,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전자메일(e-mail)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촬영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메신저 기능, 게임 기능,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제한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크기도 제약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멀티 디스플레이에 의해 전자 장치에서 보다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에 의한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멀티 디스플레이 구현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의 운영에 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폴딩 형태 및 언폴딩 형태 간에 형태 변경에 대응하여, 제1 객체 기반의 홈 화면, 또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될 시, 제1 객체(예: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간의 간격을 증가하고, 증가된 제1 객체 간의 간격에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예: 위젯)를 표시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폴딩 시 일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타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예: 폴딩 형태 및 언폴딩 형태 간에 변경)에 대응하여, 제1 객체(예: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예: 홈 화면), 또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예: 위젯)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예: 홈 화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될 시, 제1 객체 간의 간격을 증가하고, 증가된 제1 객체 간의 간격(예: 빈 영역)에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를 표시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폴딩 시 일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타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젯을 사용하기 위해 홈 화면에 별도의 설정 과정을 통해 추가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경하는 동작만으로도, 위젯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본 홈 화면의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위젯 간 상호 전환이나 사이즈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예: 폴딩 -> 언폴딩, 언폴딩 -> 폴딩)되는 것에 대응하여, 홈 화면에 대한 새로 고침(refresh)을 실행하여 아이콘 또는 아이콘 및 위젯에 의한 홈 화면을 실시간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전자 장치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경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경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프로세서(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또는 카메라(camer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냉장고,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전자 액자,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recording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제안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예: 폴딩(folding) 형태(또는 기본 형태), 언폴딩(unfolding) 형태(또는 확장 형태))에 대응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멀티 디스플레이(multi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접기(이하, 폴딩) 및 펼치기(이하, 언폴딩)에 의해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폴딩 또는 언폴딩 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확장(extend 또는 spread) 및 수축(shrink)(예: 슬라이드 타입으로 멀티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형태)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예: 폴딩(수축)/언폴딩(확장)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예: 홈 화면(home screen))을 제1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가 기본 화면 모드(예: 폴딩(수축)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객체(예: 아이콘)(이하, 제1 객체)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가 확장 화면 모드(예: 언폴딩(확장)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객체(예: 아이콘)와 어플리케이션 객체에 연관된 미니 어플리케이션 객체(예: 위젯(widget))(예: 이하, 제2 객체)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기본 화면 모드에서 확장 화면 모드(예: 폴딩 상태 ->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확장 화면 모드에서 기본 화면 모드(예: 언폴딩 상태 -> 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예: 폴딩 형태 및 언폴딩 형태 간에 변경)에 대응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예: 홈 화면), 또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예: 홈 화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될 시, 제1 객체 간의 간격을 증가하고, 증가된 제1 객체 간의 간격(예: 빈 영역)에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를 표시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객체와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폴딩 시 일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타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객체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터치스크린(touchscreen)(130), 오디오 처리부(140), 메모리(150), 인터페이스부(160), 카메라 모듈(170), 제어부(180)(예: 프로세서),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1에 도시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예: 생체 인식 모듈(예: 지문 인식 모듈), 조도 센서, 전면 카메라 모듈, 근접 센서 등)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그 종류에 따라, 카메라 모듈(170) 등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술한 전자 장치(100)의 구성들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또는 본체)에 안착되거나, 또는 그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5), 그리고 위치 산출 모듈(11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무선 통신부(110)는 주변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예: 근거리 통신 모듈, 원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무선 통신부(110)의 적어도 일부(예: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랜 모듈(113) 등)는, 미니 어플리케이션 객체(예: 위젯)의 동작(또는 기능)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예: 푸시(push)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 전자 장치 또는 다양한 서버들(예: 어플리케이션 서버, 관리 서버, 통합 서버(integration server), 프로바이더 서버(provider server), 컨텐츠 서버(content server), 인터넷 서버(internet 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다양한 형태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전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mmWave(millimeter wav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예: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상시 온(on)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예: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턴-오프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7)은 삼각 측량의 원리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input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물리 버튼,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셔틀(jog & shuttle), 그리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0)는 전자 펜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0)는 포스 터치(force touch)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센서는,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면, 포스 센서(force sensor), 홍채 인식 센서(iris scan sensor),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terrestrial sensor),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 UV(ultra violet) 센서, 또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체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 디스플레이(131) 형태 변경 기능, 유저 인터페이스 전환 기능, 파워 온/오프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카메라 모듈(170)의 온/오프 기능 등)을 개시(initiation)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0)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전자 펜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30)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출력 장치를 나타내며, 디스플레이(131)와 터치감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 역할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3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visual output)을 보여줄 수 있다. 시각적인 출력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1)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31)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과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경에 대응하여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 전환하고, 전환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홈 화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화면 예시들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31)는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131)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는 하나의 디스플레이(131)(예: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예: 한 번 접히는 형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는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제3 디스플레이(예: 두 번 접히는 형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디스플레이는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13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는 평면형 디스플레이 또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접거나(또는 말 수 있는) 펼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하우징에 체결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같이 구부렸다가 폈다 가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31)는 전술한 바에 따른 다양한 디스플레이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133)는 디스플레이(131)에 안착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30)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싱글터치(single-touch), 멀티터치(multi-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air gestur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133)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과 관련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133)는 디스플레이(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133)는 입력 도구(예: 사용자 손가락, 전자 펜 등)가 디스플레이(131)의 표면 상에 터치 또는 근접되는 위치 및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감지부(133)는 적용한 터치 방식에 따라 터치 시의 압력(예: 포스 터치)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8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141)로 전송하고, 마이크(MIC, microphone)(1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1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noise reduction algorithm)이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43)는 음성 명령 등과 같은 오디오 스트리밍의 입력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143)는 카드 등록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one or more programs)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은, 예를 들면, 미니 어플리케이션(예: 위젯)과 관련된 데이터(예: 날씨 정보, 주식 정보, 금융 정보, 뉴스 정보, 메일 정보, 메시지 정보, SNS 정보 등), 동영상, 이미지, 사진, 또는 오디오 등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실시간으로 획득된 데이터는 일시적인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하기로 확정된 데이터는 오래 보관 가능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80)(예: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13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예: 기본 동작 모드로, 예를 들면, 폴딩 상태 등)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예: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예: 확장 동작 모드로, 예를 들면, 언폴딩 상태, 변경된 상태, 확장 상태 등)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와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 데이터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상태 변경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변경이면,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고, 빈 영역에 제2 객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 데이터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상태 변경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 변경이면,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감소하고, 제2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 데이터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모듈(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50)는, 전자 결제 어플리케이션 모듈, 멤버십 관련 어플리케이션 모듈, 카드 등록 관련 어플리케이션 모듈, 바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들에 전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폰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카메라 모듈(170)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31) 및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카메라 모듈(170)은, 예를 들면, 칼라 정보를 획득하기 제1 카메라(예: 칼라(RGB) 카메라)와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예: 피사체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카메라(예: 적외선(IR, infrare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카메라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면 카메라는 제2 카메라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서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카메라는 제2 카메라와 함께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카메라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카메라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8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one or more processors)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어부(180)를 프로세서로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인터페이스(예: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내부 메모리 등을 별개의 구성요소로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예: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80)는 오디오 처리부(140), 인터페이스부(160), 디스플레이(131), 카메라 모듈(170) 등의 하드웨어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및 메모리(150)와 전기적 및/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와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동작, 상태 변경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변경이면,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는 동작, 빈 영역에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동작, 상태 변경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 변경이면,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감소하는 동작, 제2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부(180)의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31), 카메라 모듈(170) 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on/off)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면, 배터리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예: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 배터리 잔량 측정 회로(예: fuel gauge), 전력관리 집적회로(예: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회로, 승압 회로(예: booster circuit)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고, 상기 빈 영역에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을 통해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감소하고, 상기 제2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상기 제1 객체를 할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면에 상기 제2 객체를 할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플립(flip)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사용되지 않는 어느 일면은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빈 영역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시,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객체로 대체하고, 상기 제2 객체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대응되는 영역은 빈 영역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의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 화면 <201>은, 전자 장치(100)가 기본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 화면 <201>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형태가 폴딩 형태(또는 기본 형태, 수축 형태)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화면 <203>은, 전자 장치(100)가 확장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 화면 <203>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형태가 언폴딩 형태(또는 확장 형태)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화면 <2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설정에 대응하는 홈 화면(이하, 제1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을 가로 방향으로 운영되는 홈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50)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과 달리, 전자 장치(100)에 의해 기본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예: 시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독립된 배열(첫 번째 열의 가운데, 또는 첫 번째 행의 가운데 배치)을 가지는 것을 예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50)은 홈 화면에 포함하지 않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열로 홈 화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50)은 기본 배열에 포함하지 않고, 독립된 배열(예: 고정된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50)의 경우, 관련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에 따라 도면 부호 (250)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트리거 객체(trigger object)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홈 화면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세로 방향의 동작 모드(예: 세로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화면 구성(또는 배열)(예: 4x4, 4x5, 5x5)과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4x4 화면 구성을 예시로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의 수가 16개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페이지에 초과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의 배치 위치는 전자 장치(100)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시 화면 <2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이하, 제2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들 외에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미니 어플리케이션(이하,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설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위젯(215, 225, 235, 245, 25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예: 웹 브라우저)을 통하지 않고, 다양한 기능(예: 날씨, 달력, 계산기, 메모, 메일, 시계 등의 기능)과 다양한 정보(예: 날씨, 게임, 주식, 메일, 뉴스, SNS, 메시지 등의 정보)를 바로 사용 및/또는 확인할 수 있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젯(215, 225, 235, 245, 255)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체계와의 상호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주는 GUI의 하나인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젯(215, 225, 235, 245, 255)은, 날씨, 계산기, 시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과 각종 정보(예: 컨텐츠)를 담고 있는 작은 크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는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지 않고도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통해 다양한 관련 서비스를 바로 이용 및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홈 화면은, 제1 홈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홈 화면은 제1 홈 화면의 제1 아이콘(제1 객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아이콘(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아이콘(215, 225, 235, 245, 255)은 각각 대응되는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인접된 영역(예: 대상 제1 객체의 우측 또는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아이콘(215, 225, 235, 245, 255)은 각각 대응되는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의 일 측(예: 도 2에서는 우측)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1)가 세로 방향의 동작 모드(예: 세로 모드)에서 언폴딩(예: 가로 방향으로 화면 확장)되면, 예를 들면, 예시 화면 <201>에서 예시 화면 <203>과 같이 변경되면,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간 이격거리(또는 간격)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비율만큼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간의 이격거리를 세로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 화면 <201>의 최좌측 열의 아이콘 그룹(210)이 기준 열일 수 있고, 기준 열의 아이콘 그룹(210)의 우측의 아이콘(220, 230, 240)이 설정되는 이격거리 만큼 우측으로 쉬프트되어, 좌우 아이콘 사이에 빈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아이콘(250)은 다른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의 이격거리 증가에 대응하여 제1 아이콘(250)의 우측으로 빈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간의 이격거리(예: 간격)는 기준 열(예: 아이콘 그룹(210))을 시작으로 동일한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예시 화면 <201>에서 아이콘 간 이격거리(예: X축 방향으로 아이콘들 간 간격)가 “M”이라 가정할 시, 예시 화면 <203>에서 아이콘 간 이격거리(예: X축 방향으로 아이콘들 간 간격)는, 예를 들면, M x 2, M x 2.5 등과 같이 M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변경되는 형태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또는 언폴딩 되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에 따라, 홈 화면을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31)가 기본 화면 모드(예: 폴딩(수축)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예: 제1 객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제1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31)가 확장 화면 모드(예: 언폴딩(확장)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예: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연관된 미니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예: 제2 아이콘(215, 225, 235, 245, 255)으로, 위젯)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제2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기본 화면 모드에서 확장 화면 모드(예: 폴딩 상태 ->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제2 아이콘(215, 225, 235, 245, 255)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확장 화면 모드에서 기본 화면 모드(예: 언폴딩 상태 -> 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제2 아이콘(215, 225, 235, 245, 255)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예: 폴딩 -> 언폴딩, 언폴딩 -> 폴딩)되는 것에 대응하여, 홈 화면에 대한 새로 고침(refresh)을 실행하여 아이콘 또는 아이콘 및 위젯에 의한 홈 화면을 실시간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아이콘(예: 위젯)은 디스플레이(131)의 확장 방향에 따라,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젯(215, 225, 235, 245, 255)은 디스플레이(131)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격거리가 증가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사이의 빈 영역에서, 대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131)가 우측 방향으로 확장되고,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이 해당 아이콘의 좌측에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우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좌측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호출하여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의 우측 빈 영역에 해당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좌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우측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호출하여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의 좌측 빈 영역에 해당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측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호출하여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의 하측 빈 영역에 해당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상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하측의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호출하여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의 상측 빈 영역에 해당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연관된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디스플레이(131)의 확장 방향에 따라, 해당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을 중심으로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위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홈 화면에서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는 빈 영역(26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위젯을 표시하지 않고 공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위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홈 화면에서, 대응하는 위젯이 존재하지 않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아이콘에 연관된 캡쳐된 이미지(예: 마지막 실행 화면의 캡쳐된 썸네일 이미지)를 위젯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1)의 확장에 따라 위젯을 표시할 때,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마지막으로 실행된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의 표시 위치에 캡쳐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브라우저 아이콘의 경우 마지막으로 표시된 웹 페이지 화면을 캡쳐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선택(예: 터치) 시 아이콘에 대응하는 미리 지정된 기능(예: 브라우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시 해당 실행 화면(예: 캡쳐된 화면에 대응하는 전체 화면 또는 관련 사이트의 웹 페이지 등)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설정에 따라,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위젯(또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아이콘들 간의 이격에 따라 위젯이 표시되는 위치에, 빈 영역 또는 위젯이 없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131) 타입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다양한 방식으로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는 전자 장치(100)가 각각 하나의 폴딩 축(310, 410)을 가지는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전자 장치(100)가 두 개의 폴딩 축(510, 520)을 가지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가 가질 수 있는 폴딩 축들의 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방향의 폴딩 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0)는 폴딩 축(310)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펴지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3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예: 제1면, 제2면)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바깥쪽으로 접히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제1면)과 후면(제2면)에 각각 디스플레이(131)가 구현되고, 디스플레이(131)가 노출되도록 바깥쪽으로 접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접혔다는 것은 전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131)가 구현되지 않은 전자 장치(100)의 일 면(예: 배면)에 포함된 두 부분(예: 하우징)이 대면되어, 두 부분이 완전히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해진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접혔다는 것은 전자 장치(100)의 일 면에 포함된 두 부분이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지만, 거의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펼쳐졌다는 것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예: 제1면)의 디스플레이(131)와 후면(예: 제2면)의 디스플레이(131)가 외부로 노출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131)와 같이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디스플레이(131)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큰 면적에 근접할 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방향의 폴딩 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0)는 폴딩 축(410)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펴지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4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예: 제1면, 제2면)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접히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제1면)과 후면(제2면)에 각각 디스플레이(131)가 구현되고, 디스플레이(131)가 노출되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접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접혔다는 것은 전자 장치(100)의 일 면(예: 디스플레이(131)의 일 면)에 포함된 어느 두 부분들이 서로 마주 봄으로써, 두 부분이 완전히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해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접혔다는 것은 전자 장치(100)의 일 면에 포함된 두 부분이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지만, 거의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펼쳐졌다는 것은, 전자 장치(100)의 제1면의 디스플레이(131)와 제2면의 디스플레이(131)가 외부로 노출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131)와 같이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디스플레이(131)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큰 면적에 근접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예시에서, 폴딩 축(310, 410)은 전자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도록 도시되었으나, 폴딩 축(310, 410)은 전자 장치(100)에서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폴딩 축(310, 410)을 기준으로 비 대칭적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폴딩 축(310, 410)에 의해 나뉘어지는 두 면이 마주보는 크기(또는 접힌 후 구분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131)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접힘 정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형태는 완전히 접히거나, 완전히 펼쳐진 형태의 중간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 또는 접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접힘 상태 또는 접힘 정도를 감지하여 전자 장치(100)에 채용된 디스플레이(131)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도 3과 같은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감지하면, 전자 장치(100)가 사용되는 디스플레이(131)(예: 전면(제1면) 또는 후면(제2면))를 판단하고, 판단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디스플레이(131)의 일 면은 활성화 하고, 사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131)의 타 면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도 4와 같은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131)의 모든 면(예: 제1면 및 제2면)을 모두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두 개의 폴딩 축들(510, 52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두 개의 폴딩 축(510, 520)은 각각 전자 장치(100)를 삼등분 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채용되는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0)는 폴딩 축(510, 520)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펴지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폴딩 축(510, 520)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폴딩 축(510, 520)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면의 디스플레이(131)가 외부에 노출되고, 제1면의 배면과 제2면의 배면이 대면하여 접히고, 제2면과 제3면의 디스플레이(131)가 대면하여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폴딩 축(510, 520)이 전자 장치(100) 상에서 채용되는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폴딩 축(510, 520)을 기준으로 비 대칭적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폴딩 축(510, 520)을 기준으로 완전히 접힌 경우에도 폴딩 축(510, 520)들에 의해 구분되는 전자 장치(100)의 각 면이 완전히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전자 장치(100)에 폴딩 축(510, 520)이 구비된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디스플레이(131)가 채용될 수 있고, 전술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에 채용된 디스플레이(131)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예: 폴딩 및 언폴딩)를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감지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어느 일 측(예: 폴딩 축, 하우징 끝단, 대면되는 디스플레이(131)의 베젤 등)에 위치하여 전자 장치(10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펼침 각도는 전자 장치(100)가 폴딩 축에 의해 나뉘어진 두 면이 폴딩 축과 이루는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펼침 각도를 측정하여 전자 장치(100)가 완전히 접히거나 구부러졌는지, 또는 완전히 펼쳐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측정한 펼침 각도가 180도이거나 이에 근접한 각도인 경우,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히 펼쳐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1)가 측정한 펼침 각도가 0도이거나 이에 근접한 각도인 경우, 전자 장치(201)의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히 접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측정한 펼침 각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이내인 경우, 전자 장치(100)의 디스프레이가 미리 결정된 정도로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펼쳐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태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마그네틱 센서, 홀 센서, 제스쳐 센서, 또는 벤딩 센서 적외선 센서, 적외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은 롤-업(roll-up) 방식의 디스플레이(예: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예: 롤러블 전자 장치)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롤러블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원통형으로 말려 있는 전자 장치(100)를 펼치는 정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는 예시 <601>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고, 예시 <603>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가 예시 <601>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예: 설정된 제1 범위 내까지 펼쳐진 경우), 바 타입의 폰 형태(예: 폴딩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가 예시 <603>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예: 설정된 제2 범위까지 펼쳐진 경우), 태블릿 형태(예: 언폴딩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펼쳐지는 펼침 곡률 정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태 감지 센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가 펼쳐지는 펼침 곡률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펼침 곡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임계 곡률(threshold curvature)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임계 곡률보다 큰 곡률로 펼쳐진 디스플레이(131)의 영역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크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예시 <601>과 같이 바 타입의 폰 형태(예: 폴딩 상태)로 사용되는지, 예시 <603>과 같이 태블릿 형태(예: 언폴딩 상태)로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1)의 디스플레이(131)에 가상의 임계 선(threshold line)(610)을 두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감지 센서는 디스플레이(131)에서 임계선(610)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부분의 곡률 차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곡률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131)가 임계 선을 넘어서는 면적만큼 외부로 노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크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예시 <601>과 같이 바 타입의 폰 형태(예: 폴딩 상태)로 사용되는지, 예시 <603>과 같이 태블릿 형태(예: 언폴딩 상태)로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말리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1)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도 3, 도 4 또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폴딩 축에 기반하여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펼쳐질 수 있고, 도 6의 예시와 같이 원통형으로 말리거나 펴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말리거나, 펼쳐지거나 또는 그 정도에 따라, 하나의 전자 장치(100)가 가질 수 있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동작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사용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이벤트는 디스플레이(131)가 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03 및 동작 70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여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인지, 또는 언폴딩 상태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705의 예), 동작 707에서, 폴딩 상태의 디스플레이(131)에 기반하여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기본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판단하면, 기본 화면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기반의 홈 화면으로 구성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예시 화면 <201>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705의 아니오), 동작 709에서, 언폴딩 상태의 디스플레이(131)에 기반하여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확장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판단하면, 확장 화면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위젯 기반의 홈 화면으로 구성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예시 화면 <203>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제어부(180)는 동작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131)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1)의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131)의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태 변경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13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 감지에 응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전환에 관련된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진행 경과에 따른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가,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되어(예: 넓어지는), 빈 영역의 크기가 변경(증가)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의 증가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이 점차 나타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위젯을 페이드 인(fade in) 방식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가,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되어(예: 좁아지는), 빈 영역의 크기가 변경(감소)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의 감소에 대응하여 위젯이 점차 사라지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위젯을 페이드 아웃(fade out) 방식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제어부(180)는 상태 변경 완료에 대응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아이콘과 위젯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아이콘과 위젯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경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동작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사용되는 동작(예: 디스플레이(131) 턴-온)에 응답하여 동작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3 및 동작 80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여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인지, 또는 언폴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805의 예), 동작 811에서, 아이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홈 화면에 설정된 아이콘과, 아이콘에 할당된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홈 화면의 화면 구성(예: 4x4, 4x5, 5x5 등)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동작 813에서, 제어부(180)는 제1 홈 화면 상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아이콘 기반으로 구성된 제1 홈 화면을 포함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면(동작 815의 예), 동작 821로 진행하여, 동작 821 이하의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제어부(180)는 상태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815의 아니오), 동작 831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1)를 턴-오프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홈 화면의 특정 아이콘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련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805의 아니오), 동작 821에서, 아이콘 정보 및 위젯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홈 화면에 설정된 아이콘과, 아이콘에 할당된 위치,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홈 화면의 화면 구성(예: 4x4, 4x5, 5x5 등)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동작 823에서, 제어부(180)는 제2 홈 화면 상에 아이콘과 위젯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아이콘 및 위젯 기반으로 구성된 제2 홈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면(동작 825의 예), 동작 811로 진행하여, 동작 811 이하의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825의 아니오), 동작 831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선택된 위젯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경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동작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131)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1)의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131)의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태 변경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어부(180)는 상태 변경이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인지, 또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현재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형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1)의 현재 동작 상태(예: 폴딩 상태, 언폴딩 상태)에서 변화에 따라 언폴딩 상태 변경 또는 폴딩 상태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903의 예), 동작 905에서, 제1 홈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 별 연관 위젯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젯을 호출하여 버퍼링 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제1 홈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예: 간격)를 증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좌우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를 증가하거나, 상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제1 홈 화면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가,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되어(예: 넓어지는), 빈 영역의 크기가 변경(증가)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동작 909에서,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사이의 빈 영역에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의 증가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이 점차 나타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실제 위젯이 표시되기 이전에, 실제 위젯에 대응하는 위젯 쉐도우(widget shadow)를 이용하여 위젯이 페이드 인 방식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위젯 쉐도우는 전환 효과를 위해 크기가 특정 방향(예: 언폴딩 방향에 따른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가상의 가변 객체를 나타낼 수 있다. 위젯 쉐도우는, 실제 위젯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작 911에서,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 변경 완료에 대응하여 빈 영역에 위젯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위젯 쉐도우를 위젯으로 대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13에서, 제어부(180)는 아이콘 및 위젯에 기반하여 구성된 제2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의 예시가 도 2의 예시 화면 <203>에 도시된다.
동작 903에서,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903의 아니오), 동작 921에서, 제2 홈 화면을 구성하는 위젯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홈 화면 상에 표시된 위젯 및 위젯의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23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제2 홈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예: 간격)를 감소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좌우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하거나, 상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제2 홈 화면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가,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되어(예: 좁아지는), 빈 영역의 크기가 변경(감소)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동작 925에서, 제어부(180)는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의 감소에 대응하여, 아이콘들 사이의 위젯이 점차 사라지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사이의 위젯을 대응되는 위젯 쉐도우로 대체하고, 위젯 쉐도우를 이용하여 위젯이 페이드 아웃 방식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27에서,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 변경 완료에 대응하여 아이콘들 사이의 위젯을 제거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아이콘들 사이의 위젯을 표시하지 않고, 빈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29에서, 제어부(180)는 아이콘에 기반하여 구성된 제1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의 예시가, 도 2의 예시 화면 <201>에 도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0은 전술한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폴딩 축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31)(예: 제1면, 제2면)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바깥쪽으로 접히는 형태의 전자 장치(100)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은 전자 장치(100)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제1면과 제2면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1001>은, 전자 장치(100)가 확장 화면 모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예: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 및 위젯 기반으로 구성된 제2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예시 화면 <1001>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언폴딩 상태인 경우, 제1면(예: 전면(front screen)으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131))과 제2면(예: 후면(back screen)으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131))을 이용한 확장 화면 모드에서 아이콘 및 위젯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003>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폴딩 상태인 경우, 제1면을 이용한 기본 화면 모드에서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005>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폴딩 상태인 경우, 제2 면을 이용한 기본 화면 모드에서 위젯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예시 화면 <1001>과 같이, 확장 화면 모드에 의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예시 화면 <10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에 할당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하고, 전면으로 동작하는 제1면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본 화면 모드에서 제1면에 아이콘 기반으로 구성된 홈 화면을 포함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면이 사용되는 경우 제2면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31)는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제2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31)는 표시 및 입력이 되지 않도록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예시 화면 <10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면에 할당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하고, 후면으로 동작하는 제2면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본 화면 모드에서 제2면에 위젯 기반으로 구성된 홈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면에 제공되는 위젯은, 제1면에 제공되는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면이 사용되는 경우 제1면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31)는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제1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31)는 표시 및 입력이 되지 않도록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는 예시 화면 <1003>과 같은 상태에서 예시화면 <1005>와 같이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어느 일 면(예: 제1면 또는 제2면)을 사용하는 중에 전자 장치(100)의 타 면(예: 제2면 또는 제1면)을 사용하고자 전자 장치(100)을 뒤집을(flip)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폴딩 상태에서, 어느 일 면을 통해 기본 화면 모드에 의한 표시를 처리하는 중에 전자 장치(100)의 플립을 감지하면, 타 면을 통해 기본 화면 모드에 의한 표시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면(예: 전면)을 통해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100)의 플립에 응답하여, 제2면(예: 후면)을 통해 위젯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플립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제1면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면(예: 후면)을 통해 위젯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100)의 플립에 응답하여, 제1면(예: 전면)을 통해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플립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제2면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언폴딩 상태이고, 확장 화면 모드로 동작 중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에서 제1 아이콘(예: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예: 위젯)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제어부(18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아이콘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위젯을 구분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콘을 제1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할당(설정)할 수 있고, 제2 아이콘을 제2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할당(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동작 1105와 동작 1107은 사전에 설정 및 관리될 수 있고, 도 11에서 관련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동작 1101 이후에, 동작 1109로 바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동작 1109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가 제1 화면에 의한 동작 상태인지, 또는 제2 화면에 의해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제1면(예: 전면)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제2면(예: 후면)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제어부(180)는 제1 화면 동작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1109의 예), 동작 1111에서, 제1 화면에 제1 아이콘에 의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폴딩 상태에서, 기본 화면 모드로 동작할 때, 제1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구성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제어부(180)는 화면 전환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을 통해 제1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100)의 플립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제어부(180)는 화면 전환을 감지하면(동작 1113의 예), 동작 1121로 진행하여, 동작 1121 이하의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제어부(180)는 화면 전환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1113의 아니오), 동작 1131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1)를 턴-오프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홈 화면의 특정 아이콘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련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의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제2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제어부(180)는 제2 화면 동작 상태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1109의 아니오), 동작 1121에서, 제2 화면에 제2 아이콘에 의한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폴딩 상태에서, 기본 화면 모드로 동작할 때, 제2 화면에 위젯으로 구성된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23에서, 제어부(180)는 화면 전환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화면을 통해 제2 아이콘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100)의 플립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123에서, 제어부(180)는 화면 전환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1113의 아니오), 동작 1131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 제어, 제2 홈 화면에서 선택된 특정 위젯 실행, 또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의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제2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 등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시 화면 <1201>은, 전자 장치(100)가 가로 방향의 동작 모드(예: 가로 모드)에서 기본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 화면 <1201>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형태가 폴딩 형태(또는 기본 형태, 수축 형태)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화면 <1203>은, 전자 장치(100)가 가로 방향의 동작 모드(예: 가로 모드)에서 확장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 화면 <1203>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형태가 언폴딩(또는 확장 형태)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화면 <12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설정에 대응하는 홈 화면(이하, 제1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을 세로 방향으로 운영되는 홈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50)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과 달리, 전자 장치(100)에 의해 기본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예: 시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독립된 배열(첫 번째 열의 가운데, 또는 첫 번째 행의 가운데 배치)을 가지는 것을 예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50)은 홈 화면에 포함하지 않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열로 홈 화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50)은 기본 배열에 포함하지 않고, 독립된 배열(예: 고정된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트리거 객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홈 화면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로 방향의 동작 모드(예: 가로 모드)에 대응하는 다양한 화면 구성(또는 배열)(예: 4x4, 5x4, 5x5)과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4x4 화면 구성을 예시로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의 수가 16개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페이지에 초과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의 배치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시 화면 <12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이하, 제2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들 외에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미니 어플리케이션(이하, 위젯)(1215, 1225, 1235, 1245, 1255)을 설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위젯(1215, 1225, 1235, 1245, 125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예: 웹 브라우저)을 통하지 않고, 다양한 기능(예: 날씨, 달력, 계산기, 메모, 메일, 시계 등의 기능)과 다양한 정보(예: 날씨, 게임, 주식, 메일, 뉴스, SNS, 메시지 등의 정보)를 바로 사용 및/또는 확인할 수 있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젯(215, 225, 235, 245, 255)은, 날씨, 계산기, 시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과 각종 정보(예: 컨텐츠)를 담고 있는 작은 크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는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지 않고도 위젯(215, 225, 235, 245, 255)을 통해 다양한 관련 서비스를 바로 이용 및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홈 화면은, 제1 홈 화면이 세로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홈 화면은 제1 홈 화면의 제1 아이콘(제1 객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과,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제2 아이콘(위젯)(1215, 1225, 1235, 1245, 12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아이콘(1215, 1225, 1235, 1245, 1255)은 각각 대응되는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에 인접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아이콘(1215, 1225, 1235, 1245, 1255)은 각각 대응되는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의 일 측(예: 도 12에서는 하측)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1)가 가로 방향의 동작 모드(예: 가로 모드)에서 언폴딩(예: 세로 방향으로 화면 확장) 되면, 예를 들면, 예시 화면 <1201>에서 예시 화면 <1203>과 같이 변경되면,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 간 이격거리(또는 간격)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비율만큼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 간의 이격거리를 가로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 화면 <1201>의 최상측 행의 아이콘 그룹(1210)이 기준 행일 수 있고, 기준 행의 아이콘 그룹(1210)의 하측의 아이콘(1220, 1230, 1240)이 설정되는 이격거리만큼 하측으로 쉬프트되어, 상하 아이콘 사이에 빈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아이콘(1250)은 다른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의 이격거리 증가에 대응하여 제1 아이콘(1250)의 하측으로 빈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 간의 이격거리(예: 간격)는 기준 행(예: 아이콘 그룹(1210))을 시작으로 동일한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예시 화면 <1201>에서 아이콘 간 이격거리(예: Y축 방향으로 아이콘들 간 간격)가 “N”이라 가정할 시, 예시 화면 <1203>에서 아이콘 간 이격거리(예: Y축 방향으로 아이콘들 간 간격)는, 예를 들면, N x 2, N x 2.5 등과 같이 N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경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기본 화면 모드에서 확장 화면 모드(예: 폴딩 상태 ->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과 제2 아이콘(1215, 1225, 1235, 1245, 1255)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확장 화면 모드에서 기본 화면 모드(예: 언폴딩 상태 -> 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과 제2 아이콘(1215, 1225, 1235, 1245, 1255)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1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예: 폴딩 -> 언폴딩, 언폴딩 -> 폴딩)되는 것에 대응하여, 홈 화면에 대한 새로 고침을 실행하여 아이콘 또는 아이콘 및 위젯에 의한 홈 화면을 실시간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아이콘(예: 위젯)은 디스플레이(131)의 확장 방향에 따라,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에 연관된 위젯(1215, 1225, 1235, 1245, 1255)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젯(1215, 1225, 1235, 1245)은 디스플레이(131)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격거리가 증가되는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 사이의 빈 영역에서, 대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에 연관된 위젯(1215, 1225, 1235, 1245, 1255)을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131)가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고,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이 해당 아이콘의 하측에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1)가 확장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아이콘의 우측 빈 영역, 좌측 빈 영역, 하측 빈 영역, 또는 상측 빈 영역에 해당 아이콘과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1210, 1220, 1230, 1240, 1250)에 연관된 위젯(1215, 1225, 1235, 1245)을, 디스플레이(131)의 확장 방향에 따라, 해당 아이콘(1210, 1220, 1230, 1240)을 중심으로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동작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3에서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 표시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확장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예: 세로 모드, 가로 모드)에 기반하여 확장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세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1)가 가로 방향으로 화면 확장인지, 또는 전자 장치(100)의 가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1)가 세로 방향으로 화면 확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305에서, 제어부(180)는 동작 1303의 판단하는 표시 모드에 따라, 아이콘들 간 이격거리(예: 간격) 증가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가로 방향에서 우측으로 확장되는 경우, 아이콘들 간 이격거리 증가 방향을 우측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세로 방향에서 하측으로 확장되는 경우, 아이콘들 간 이격거리 증가 방향을 하측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결정된 방향에 대응하여 아이콘들 간 이격거리를 증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가,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되어(예: 넓어지는), 빈 영역의 크기가 변경(증가)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좌우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를 증가하거나, 상하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사이의 빈 영역에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아이콘들 간의 이격거리의 증가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이 점차 나타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실제 위젯이 표시되기 이전에, 실제 위젯에 대응하는 위젯 쉐도우를 이용하여 위젯이 페이드 인 방식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위젯 쉐도우는 전환 효과를 위해 크기가 특정 방향(예: 언폴딩 방향에 따른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가상의 가변 객체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311에서,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 변경 완료에 대응하여 빈 영역에 위젯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위젯 쉐도우를 위젯으로 대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313에서, 제어부(180)는 아이콘 및 위젯에 기반하여 구성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의 예시가 도 2의 예시 화면 <203> 및 도 12의 예시 화면 <1203>에 도시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예시 화면 <1401>은, 전자 장치(100)가 기본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 화면 <201>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형태가 폴딩 형태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화면 <1403>은, 전자 장치(100)가 확장 화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제4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 화면 <1403>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1) 형태가 언폴딩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화면 <1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는 다른 홈 화면(이하, 제4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4 홈 화면은 제1 홈 화면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위젯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위젯은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홈 화면의 위젯은 제1 홈 화면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배치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아이콘에 연관되는 위젯이 없는 경우, 제4 홈 화면에서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치는 빈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예시 화면 <1401>에서 예시 화면 <1403>과 같이 변경되면, 아이콘들아 사라지고, 대응되는 위치에 각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이 나타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변화되는 형태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4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또는 언폴딩 되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에 따라, 홈 화면을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제4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31)가 기본 화면 모드(예: 폴딩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객체(예: 제1 아이콘으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제4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31)가 확장 화면 모드(예: 언폴딩 상태)에서 제1 아이콘에 연관된 미니 어플리케이션 객체(예: 제2 아이콘으로, 위젯)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 변화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4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기본 화면 모드에서 확장 화면 모드(예: 폴딩 상태 ->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2 아이콘 기반의 제4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1)가 확장 화면 모드에서 기본 화면 모드(예: 언폴딩 상태 -> 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아이콘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1 아이콘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1)가 우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을 호출하고, 호출된 위젯을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구성하여 제4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예: 프로세서)는 동작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131)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1)의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131)의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형태가 변경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태 변경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제어부(180)는 상태 변경이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인지, 또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현재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형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1)의 현재 동작 상태(예: 폴딩 상태, 언폴딩 상태)에서 변화에 따라 언폴딩 상태 변경 또는 폴딩 상태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1503의 예), 동작 1511에서, 제1 홈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젯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1 홈 화면에서 아이콘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아이콘과 연관된 위젯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제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홈 화면의 아이콘에 연관된 위젯을 구분할 수도 있다.
동작 1513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제1 홈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을 제거하고 위젯 쉐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제1 홈 화면의 아이콘을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사라지도록 하고, 아이콘의 해당 위치에 위젯 쉐도우를 점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515에서, 제어부(180)는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아이콘이 점차 사라지면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위젯이 점차 나타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실제 위젯이 표시되기 이전에, 실제 위젯에 대응하는 위젯 쉐도우를 이용하여 위젯이 페이드 인 방식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517에서,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 변경 완료에 대응하여 위젯에 기반하여 구성된 제2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한 언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위젯 쉐도우를 위젯으로 대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의 예시가 도 14의 예시 화면 <1403>에 도시된다.
동작 1519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519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면(동작 1519의 예), 동작 1521로 진행하여, 동작 1521 이하의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519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1519의 아니오), 동작 1531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 또는 선택된 위젯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등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제어부(180)는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인 것을 판단하면(동작 1503의 아니오), 동작 1521에서, 제2 홈 화면을 구성하는 위젯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홈 화면에서 위젯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위젯과 연관된 아이콘을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위젯이 존재하지 않는 빈 영역에 대해서는, 빈 영역에 매핑된 아이콘을 식별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위젯이 제공되는 위치에 빈 영역 대신 캡쳐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캡쳐된 이미지에 매핑된 아이콘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1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제1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홈 화면의 위젯, 빈 영역, 또는 캡쳐된 이미지에 연관된 아이콘을 구분할 수도 있다.
동작 1523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제2 홈 화면을 구성하는 위젯을 제거하고 위젯 쉐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제2 홈 화면의 위젯을 진행 경과에 따라 점차 사라지도록 하고, 위젯(예: 빈 영역 포함)의 해당 위치에 위젯 쉐도우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525에서, 제어부(180)는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동안, 위젯이 점차 사라지면서 위젯(빈 영역 포함)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아이콘이 점차 나타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80)는 위젯 쉐도우를 이용하여 위젯이 페이드 아웃 방식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527에서, 제어부(180)는 폴딩 상태 변경 완료에 대응하여 아이콘에 기반하여 구성된 제1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완전한 폴딩 상태로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위젯 쉐도우를 아이콘으로 대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의 예시가 도 14의 예시 화면 <1401>에 도시된다.
동작 1529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529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면(동작 1529의 예), 동작 1511로 진행하여, 동작 1511 이하의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529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상태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1529의 아니오), 동작 1531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31)의 턴-오프 또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등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는 과정, 상기 빈 영역에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을 통해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감소하는 과정, 상기 제2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상기 제1 객체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면에 상기 제2 객체를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플립(flip)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사용되지 않는 어느 일면은 비활성화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빈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시,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객체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객체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유저 인터페이스에서는 대응되는 영역은 빈 영역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의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30: 터치스크린
131: 디스플레이
150: 메모리
180: 제어부(예: 프로세서)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고,
    상기 빈 영역에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을 통해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감소하고,
    상기 제2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상기 제1 객체를 할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면에 상기 제2 객체를 할당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플립(flip)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사용되지 않는 어느 일면은 비활성화 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빈 영역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시,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객체로 대체하고, 상기 제2 객체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대응되는 영역은 빈 영역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의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동작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기본 배열에 기반하여 제1 객체 기반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동작 상태가 제2 상태이면, 확장 배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된 제2 객체 기반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확장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는 과정,
    상기 빈 영역에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태 변경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을 통해 위젯 쉐도우에 의한 전환 효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경되는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상태 변경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 변경이면, 상기 제1 객체 사이의 빈 영역의 크기를 감소하는 과정,
    상기 제2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상태 변경 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상기 제1 객체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면에 상기 제2 객체를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면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플립(flip)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사용되지 않는 어느 일면은 비활성화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빈 영역으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시,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2 객체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객체 기반의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관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대응되는 영역은 빈 영역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지막 실행 화면의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19915A 2016-09-20 2016-09-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4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915A KR102545605B1 (ko) 2016-09-20 2016-09-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17192124.0A EP3296838B1 (en) 2016-09-20 2017-09-20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0188322.0A EP3748467A1 (en) 2016-09-20 2017-09-20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5/710,051 US10114418B2 (en) 2016-09-20 2017-09-20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E202017007468.0U DE202017007468U1 (de) 2016-09-20 2017-09-20 Elektronische Vorrichtung
CN201710851058.0A CN107846501B (zh) 2016-09-20 2017-09-20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CN202110401137.8A CN113099034B (zh) 2016-09-20 2017-09-20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915A KR102545605B1 (ko) 2016-09-20 2016-09-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373A true KR20180031373A (ko) 2018-03-28
KR102545605B1 KR102545605B1 (ko) 2023-06-20

Family

ID=5996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915A KR102545605B1 (ko) 2016-09-20 2016-09-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14418B2 (ko)
EP (2) EP3748467A1 (ko)
KR (1) KR102545605B1 (ko)
CN (2) CN107846501B (ko)
DE (1) DE202017007468U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54A1 (ko) * 2018-08-23 2020-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1256890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08304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화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1818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WO2023195624A1 (ko) * 2022-04-05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80779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KR102255793B1 (ko) * 2018-06-14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7093301A (zh) * 2018-08-15 2023-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装置
CN109327610A (zh) * 2018-09-21 2019-02-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装置
US11133574B2 (en) * 2018-10-16 2021-09-2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munication device
CN109407926B (zh) * 2018-10-17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9714813A (zh) * 2019-01-08 2019-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00119020A (ko) * 2019-04-09 202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CN110225186A (zh) * 2019-05-13 2019-09-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可折叠式电子设备
CN110262713B (zh) * 2019-05-2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308769B (zh) * 2019-06-28 2021-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
JP7238642B2 (ja) * 2019-06-28 2023-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2445386A (zh) * 2019-08-31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806829B (zh) * 2019-09-05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设备的显示方法及折叠屏设备
JP2021052397A (ja) * 2019-09-24 2021-04-01 中松 義郎 スーパースマートフォン及びスマートフォンシステム
US11127321B2 (en) * 2019-10-01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transitions and optimizations for foldable computing devices
KR20210041271A (ko) 2019-10-07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의 조명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52708A (ko) * 2019-10-30 202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져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30017891A1 (en) * 2019-12-31 2023-01-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1262994B (zh) * 2020-01-09 2021-07-1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折叠屏智能设备的任务选择方法和装置
US11188202B2 (en) 2020-03-10 2021-1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KR102254597B1 (ko) * 2020-10-15 2021-05-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운영 방법
JP7474179B2 (ja) * 2020-10-22 2024-04-24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1803268B2 (en) * 2020-12-0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thereof
CN113488516B (zh) * 2021-06-28 2022-05-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3182685A1 (ko) * 2022-03-22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EP4273676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52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50094477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3462B2 (en)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US8863038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CN101989166A (zh) * 2009-08-06 2011-03-23 龙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支持双触摸屏显示的人机交互方式
KR101881865B1 (ko) *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JP2013105310A (ja) *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2043810B1 (ko) * 2012-08-20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2959B1 (ko) *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375737B (zh) * 2013-08-12 2018-08-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CN103455245B (zh) 2013-08-20 2017-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微件面积调节的方法及装置
KR102276272B1 (ko) * 2014-05-21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60062636A1 (en) * 2014-09-02 2016-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41693A (ko) *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571987B (zh) * 2014-12-08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4598104B (zh) * 2014-12-31 2019-01-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微件处理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52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50094477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54A1 (ko) * 2018-08-23 2020-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1256890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08304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화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1818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WO2023195624A1 (ko) * 2022-04-05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80779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605B1 (ko) 2023-06-20
EP3296838A1 (en) 2018-03-21
US20180081398A1 (en) 2018-03-22
US10114418B2 (en) 2018-10-30
CN107846501A (zh) 2018-03-27
CN107846501B (zh) 2021-06-29
EP3748467A1 (en) 2020-12-09
CN113099034B (zh) 2023-02-17
EP3296838B1 (en) 2020-11-04
DE202017007468U1 (de) 2021-10-12
CN113099034A (zh)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60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18203008B2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CN107688370B (zh) 用于控制显示器、存储介质、和电子设备的方法
KR10254560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237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ouch input
CN110476189B (zh) 用于在电子装置中提供增强现实功能的方法和设备
KR102352172B1 (ko) 전자 장치들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102218901B1 (ko) 색 보정 방법 및 장치
US2015033888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2119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9907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cover of note in electronic device
KR2015008203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77217B1 (ko) 블록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03293B2 (en) Electronic device that executes assigned operation in response to touch pressure,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