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925B1 - 휴대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925B1
KR100694925B1 KR1020040056976A KR20040056976A KR100694925B1 KR 100694925 B1 KR100694925 B1 KR 100694925B1 KR 1020040056976 A KR1020040056976 A KR 1020040056976A KR 20040056976 A KR20040056976 A KR 20040056976A KR 100694925 B1 KR100694925 B1 KR 10069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portable terminal
photographing
terminal devi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145A (ko
Inventor
사타케간지
가타오카에이지
도마츠겐
미즈노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01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07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011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1908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휴대 단말장치는, 촬영 수단을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또한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로 회전 이동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개방상태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개방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에 설치된 카메라 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에 설치된 클릭 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에 설치된 카메라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에 설치된 카메라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검출 기구 주변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검출 기구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카메라 애플리케 이션 기동에 관한 흐름도,
도 10은 종래의 휴대 단말장치의 사시도로서, 카메라 유닛이 렌즈 커버에 덮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동 휴대 단말장치의 사시도로서, 카메라 유닛이 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개방된 상태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개방된 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표시측 하우징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에 설치된 카메라 유닛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하우징 2 : 상부 하우징
11 : 조작부 21 : 표시부
22 : 카메라 유닛 22a : 축
23 : 회전체 24 : 카메라 모듈
25 : 발광부 26 : 플렉시블 기판
28 : 검출 기구 28a : 제 1 검출 스위치
28b : 제 2 검출 스위치 B : 분할 선
101 : 휴대 단말장치 102 : 표시측 하우징
122 : 카메라 유닛 126 : 제 1 개구부
127 : 제 2 개구부 128 : 케이싱
129 : 카메라 131 : 제 1 지표부재
132 : 제 2 지표부재 133 : 제 1 라벨 부재
134 : 제 2 라벨 부재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탑재한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노트 북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3년 7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3-201099 호 및 2003년 7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3-201100 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카메라 유닛을 탑재한 휴대전화,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 북 등의 휴대 단말장치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그 카메라 유닛을 탑재한 휴대 단말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휴대 단말장치(35)에서는,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 유닛이 렌즈 커버(36)에 덮여 있다. 슬라이드 레버(37)를 슬라이드 시키면 도 11과 같이 렌즈 커버(36)가 열리고, 카메라(38)와 미러(39)가 노출한다. 본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레버(37)의 기구에 전기적인 스위치가 짜 넣어져 있어, 휴대 단말장치(35)는, 렌즈 커버(36)가 열린 것을 검출해서 소정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렌즈 커버(36)를 수동으로 개폐할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장치의 카메라 기능을 기동하기 위한 의지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64273호 공보에는, 카메라 유닛이 회전하는 방식의 휴대 단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장치는, 카메라 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LCD의 배면측의 피사체 뿐만 아니라, LCD측의 피사체(유저 자신)도 LCD를 보면서 촬영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의 표면측 및 배면측에 개구부가 설정되고, 이 개구부 중 어느 하나에 노출 가능하게 배치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휴대 단말장치에서는, 카메라 유닛에 커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0의 휴대 단말장치(35)와 같이 사용자의 촬영 의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없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려고 할 때에, 사용자측에 카메라가 보이고 있을 경우는, 사용자는 카메라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가 숨겨져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가 보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으면 카메라 방향이 파악되기 어렵기 때문 번거롭다. 특히 순식간에 카메라 위치를 특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일순간의 셔터 기회를 놓치는 것으로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의 목적은, 회전식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고, 또한, 제 2의 목적은, 카메라의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촬영 수단을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또한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계지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로 회전 이동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격납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 다른 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의 적어도 2개소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복수의 촬영 위치 중 어디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된 상기 촬영 위치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의 화상의 출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에 지시 가능한 카메라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메라 조작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카메라 유닛의 회전 이동에 의해 가압되는 스위치이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때에는 가압되고, 또 상기 격납 위치에 있는 때에는 가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유닛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격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부에서 노출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외면에, 지표 부재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격납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 다른 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의 적어도 2개소에 있고, 각각 2개소의 상기 촬영 위치에 상기 개구부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2개의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표부재는, 상기 2개의 케이싱의 맞닿는 부분을 타 넘어서 붙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의 케이싱의 맞닿는 부분을 타 넘는 평탄한 면이 설정되고, 상기 지표부재는, 상기 평탄한 면에 부착되는 라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표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표부재의 상기 카메라 유닛에 부착될 때 내측이 되는 면 또는 외측이 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맞닿는 부분에 겹치는 위치에 인쇄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촬영 장치를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고 또,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계지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정되고, 상기 촬영 위치에 상기 카메라 유닛을 계지할 때 상기 촬영 장치가 노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외면에,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촬영 위치에 있다고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개구부에서 노출하는 지표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장치는, 촬영 수단을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고, 또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계지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촬상 수단을 기동시키는 기동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격납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 다른 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의 적어도 2개소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동 단계는, 상기 검출 단계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복수의 촬영 위치의 우리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된 상기 촬영 위치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의 화상의 출력하는 방향을 변 경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도록 상기 기동 단계에 지시 가능한 카메라 조작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 단계는, 상기 카메라 조작 단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개방된 상태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휴대 단말장치는, 휴대 단말 장치 본체로서, 하부 하우징(1)과, 상부 하우징(2)과, 힌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1)은, 텐키 버튼(11a)과, 커서 버튼(11b)과, 결정 버튼(11c)을 갖는 조작부(1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 등의 제어 수단(도면에 도시 안 됨)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 수단에는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어, 후술하는 카메라 유닛(22)이 격납 위치로부터 촬영 위치로 회전 이동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24)을 기동 상태로 하는 기능, 복수 설치된 카메라 유닛(22)의 촬영 위치에 따라, 후술하는 표시부(21)에 출력하는 화상의 상하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능, 카메라 유닛(22)이 촬영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24)을 기동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능 등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도 기억되어, 필요에 따라서 호출해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은, 표시부(21)와, 카메라 유닛(22)을 구비하고 있다.
힌지부(3)는, 하부 하우징(1)의 단부와 일체화된 하부 힌지(3a)와, 상부 하우징(2)의 단부와 일체화된 상부 힌지(3b)를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1)과 상부 하우징(2)을 연결하고, 하부 하우징(1)에 대하여 상부 하우징(2)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부 하우징(1)의 조작부(11)를 갖는 면과 상부 하우징(2)의 표시부(21)를 갖는 면이 마주 보도록 힌지부(3)를 지점으로 하여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 형성되어, 조작부(11)에 의해 입력된 문자 등의 정보, 휴대 단말장치 내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 혹은 화상 등의 정보, 카메라 유닛(22)을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에, 촬영된 화상의 표시 또는 카메라 유닛(22)이 잡은 동화상의 실시간 표시 및 휴대 단말장치 내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는 송 수신장치에 의해 송 수신된 화상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 유닛(2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의 카메라 모듈(24)이 표시부(21)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촬영하면, 표시부(21)를 보면서 표시부(21)측의 피사체가 촬영 가능해진다. 한편, 그 상태로부터, 카메라 유닛(22)의 단부를 손가 락 등으로 굴리면서 상부 하우징(2)내에서 반전시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21)의 반대측에 카메라 모듈(24)이 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촬영하면, 표시부(21)를 보면서 표시부(21)의 반대측에 있는 피사체가 촬영 가능해진다.
카메라 유닛(22)의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카메라 유닛(22)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에 내장되고, 상부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22)은, 축(22a)을 가져서 축(22a)의 양단을 상부 하우징(2) 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카메라 조작 수단)(23)과, 회전체(23) 내에 배치된 촬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모듈(24) 및 발광부(25)와, 회전체(23)의 단부에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24) 및 발광부(25)에 접속된 플렉시블 기판(2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22)은, 상부 하우징(2) 내에 있어서 케이싱(2a)에 격납되어 있다. 이 케이싱(2a)의 외측에는, 정전 대책용의 판금(2b)이 첨부되어 있다.
회전체(23)는, 동일축에서 직경이 상이한 대 직경부(23a)와 소 직경부(23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그들 대 직경부(23a)와 소 직경부(23b)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 직경부(23a)의 소 직경부(23b)측의 단부에는, 회전체(23)를 손가락의 중앙부로 굴려서 용이하게 회전 가능해지도록, 복수의 오목부(23c)가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23)는, 그 내부에 카메라 모듈(24), 발광부(25) 및 플렉시블 기판(26)이 부착 가능하게 되도록, 상하로 분할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한, 회전체(23)의 측면에는, 카메라 모듈(24) 및 발광부(25)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각각 개구부(23d, 23e)가 설치되고, 그들 개구부(23d, 23e)에는, 카메라 모듈(24)의 촬영 창 및 발광부(25)의 발광면을 보호하도록, 각각 투명판(23f, 23g)이 설치된다.
또, 이하에 있어서, 투명판(23f)이 향하고 있는 방향, 즉 촬영 방향을 단순히 「카메라 유닛(22)의 방향」이라고 부른다.
카메라 모듈(24)은, 플렉시블 기판(26)의 한쪽의 연재부(26a) 위에 배치되어, 그 연재부(26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24)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부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CCD 혹은 CMOS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발광부(25)는, 플렉시블 기판(26)의 다른 쪽의 연재부(26b) 위에 배치되어, 그 연재부(26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발광부(25)는, 카메라 모듈(24)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도시하지 않는 구동부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기 직전에 발광하는 플래시로서의 기능이 주어져 있고, 예를 들면 백색 LED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 같이, 회전체(23)를 구성하는 대 직경부(23a)의 단부에는, 회전시킨 카메라 유닛(22)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켜 두기 위해서, 클릭 기구(27)가 설치된다. 이 클릭 기구(27)는, 케이싱(27a)과, 케이싱(27a) 내에 설치된 스프링(27b)과, 스프링(27b)에 의해 회전체(23)에 가압되는 금속 구(27c)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27b)은, 케이싱(2a)의 외부에 설치된 판금(2b)에 의해 케이싱(27a)의 외부로부터 가압되어 있다.
또한, 금속 구(27c)가 접촉하는 대 직경부(23a)의 단부에는 노치부(23h)가 설치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굴려서 회전시킨 카메라 유닛(22)을 정지시킬 경우, 스프링(27b)의 탄성력에 의해 대직경부(23a)의 단부에 가압되어 있는 금속 구(27c)가 노치부(23h)에 끼워지는 것으로 카메라 유닛(22)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22)의 단부에는, 카메라 유닛(22)이 회전할 때, 그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검출수단)(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 기구(28)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스위치(28a)(제 1 검출 스위치), (28b)(제 2 검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어, 카메라 유닛(22)이 휴대 단말장치의 한쪽의 면을 향하고 있는 위치(제 1 촬영 위치), 카메라 유닛(22)이 휴대 단말장치의 다른 쪽의 면을 향하고 있는 위치(제 2 촬영 위치) 및 카메라 모듈(24)의 투명판(23f)이 하우징(2)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격납 위치)의 어느 쪽에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22a)에 두개의 돌기부(30, 31)가 설치되어 있어, 한쪽의 돌기부(30)가 제 1 검출 스위치(28a)를 개폐하고, 다른 쪽의 돌기부(31)가 제 2 검출 스위치(28b)를 개폐한다. 2개의 검출 스위치(28a, 28b)는 함께 축(22a)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같은 각도 위치에 설치되지만, 두개의 돌기부(30, 31)는 축(22a)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180°상이한 각도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두개의 검출 스위치(28a, 28b)의 ON/OFF 타이밍은 카메라 유닛(22)의 회전 이동 각도에 대하여 180°위상이 다르다.
카메라 유닛(22)이 유저 자기측[표시부(21)측]을 향하고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 제 1 검출 스위치(28a)가 ON되고, 제 2 검출 스위치(28b)가 OFF 된다. 카메라 유닛(22)이 유저에 대하여 상대측으로 향하고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 제 1 검출 스위치(28a)가 OFF되고, 제 2 검출 스위치(28b)가 ON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24)의 투명판(23f)이 가려지는 위치에 있을 경우, 검출 스위치(28a, 28b)의 쌍방이 OFF가 된다.
또한, 돌기부(30, 31)는 각각 검출 스위치(28a, 28b)를 개폐하는 동시에, 이들 스위치(28a, 28b)에 의해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카메라 유닛(22)을 자기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돌기부(30)가 제 1 검출 스위치(28a)를 ON으로 하는 동시에, 검출 스위치(28a) 자체가 스토퍼가 되어 돌기부(30)와 걸리고, 카메라 유닛(22)의 과도 한 회전 이동을 규제한다. 돌기부(31)와 검출 스위치(28b)에 관해서도 같다. 이에 의해 카메라 유닛(22)은 180°의 범위에서만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본 검출 기구(28)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과 다르고, 두개의 돌기부(30, 31)는 축(22a)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같은 각도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 두개의 검출 스위치(28a, 28b)는 축(22a)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다른 각도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돌기부(30, 31)가 카메라 유닛(22)의 회전 각도에 따라 검출 스위치(28a, 28b)를 누르는 것으로, 검출 스위치(28a, 28b)가 ON/OFF가 된다.
카메라 유닛(22)이 유저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제 1 검출 스위치(28a)가 ON 되고, 제 2 검출 스위치28b가 OFF로 된다(포지션 1). 유저가 카메라 유닛(22)을 회전시키면, 돌기부(30)가 제 1 검출 스위치(28a)로부터 떨어져, 어느 쪽의 검출 스위치도 OFF가 된다(포지션 2). 또한, 카메라 유닛(22)을 회전시키면, 카메라 유닛(22)이 휴대 단말장치의 외측을 향하고, 돌기부(31)에 의해 제 2 검출 스위치(28b)가 가압되어, 제 1 검출 스위치(28a)가 OFF가 되고, 제 2 검출 스위치(28b)가 ON이 된다(포지션 3). 다시 카메라 유닛(22)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부(31)가 제 2 검출 스위치(28b)로부터 떨어져, 어느 쪽의 검출 스위치도 OFF가 된다(포지션 2).
다음에,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장치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휴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실행할 경우, 휴대 단말장치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하부 하우징(1)에 포개져 있는 상부 하우징(2)을 손으로 연다. 그리고 유저가 카메라 유닛(22)을 회전시키고, 카메라 유닛(22)이 피사체(유저 자기측 또는 상대측)에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에 설치된 조작부(11)의 결정 버튼(11c)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촬영한다.
이 때의 휴대 단말장치측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카메라 모듈(24)의 투명판(23f)이 하우징(2)에 가려져 있는 위치로부터 피사체를 향해서 회전한 경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킨다.
도 9의 단계(ST1) 및 단계(ST2)에서, 검출 스위치(28a, 28b)의 상태를 검출한다. 어느 쪽이 ON일 경우, 이미 카메라 모듈(24)이 피사체측을 향해서 회전한 후의 상태이기 때문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기동을 실행할 필요는 없고, 플로우의 최초로 복귀한다. 어느 쪽의 검출 스위치(28a, 28b)도 OFF이면 단계(ST4)에서 지금의 상태를 포지션 2(중간위치)라고 인식한다. 이어서 단계(ST5)에서 제 1 검출 스위치(28a)가 ON이 된 것을 검출하면, 단계(ST6)에서 카메라 방향을 포지션 1이라고 인식하고, 단계(ST7)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포지션 1의 경우, 피사체는 유저 자신이기 때문에, 액정의 표시를 상하 좌우 반전시킨다. 이로써 카메라가 회전하는 것으로 생기는 상하 역전을 제어하고, 또한, 카메라의 화상을 좌우 반전해서 액정화면에 베껴 낼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액정화면을 거울과 같이 사용해서 자기의 모습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단계 ST5에서 제 1 검출 스위치(28a)의 ON을 검출할 수 없었을 경우, 단계 ST9로에 이동한다. 단계 ST9에서 제 2 검출 스위치(28b)의 ON을 검출하면, 단계 ST10에서 카메라 방향을 포지션 3으로 인식하고, 단계 ST11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단계 ST9에서 제 2 검출 스위치(28b)의 ON을 검출할 수 없었을 경우, 플로우의 최초로 되돌아온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란, 카메라 모듈(24)로의 전력공급을 실행하고, 촬영을 특히 도시하지 않는 백업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처리 등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포지션이 중간으로부터 자기측(또는 상대측)으로 변경된 경우에, 유저가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검출 스위치(28a) 및 제 2 검출 스위치(28b)가, 카메라 유닛(22)의 회전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겸한다. 따라서 달리 카메라 유닛(22)의 회전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의 간략화, 컴팩트화를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이 자기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와, 상대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화상을 출력하는 방향을 다르게 해, 카메라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표시부(21)에 있어서의 상하 반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 모듈(24)의 투명판(23f)이 하우징(2)에 가려져 있는 위치를 검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포지션 2의 경우는, 카메라의 촬영 가능한 화각에 대하여 휴대전화 자신의 하우징이 간섭하기 때문에, 카메라 기능을 정지하거나 또는 그동안은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화상 대신에 별도의 화상을 표시부(21)에 베껴 내도 좋다.
또는, 동화상 촬영중에 있어서 카메라 유닛(22)의 회전 동작을 행하여 반대면의 촬영을 실행할 경우, 양쪽의 검출 스위치(28a, 28b)가 OFF의 중에는 촬영을 일단 정지하고, 다음 검출 스위치(28a 또는 28b)가 ON이 되기까지 포즈 상태로 대기한다. 이로써, 한정된 녹화 시간 내에서 여분의 영상을 녹화하는 일이 없는 설정이 가능해진다.
또는, 쌍방의 검출 스위치(28a, 28b)가 OFF의 경우, 유저가 키 조작에 의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려고 했을 경우에 표시부(21)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카메라 유닛(22)은 비사용 상태인 것이 대부분이어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평소는 포지션 2의 카메라 격납 상태로 해 놓고, 필요할 때만 포지션 1이나 3의 상태를 선택한다. 여기서, 검출 스위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포지션 2의 상태에 있어서는 쌍방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로도 되도록 구성했다. 따라서, 검출 스위치(28a, 28b)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 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1)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측 하우징(102)과, 조작측 하우징(103)과, 힌지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장치(101)는, 비사용 시에는 표시측 하우징(102)과 조작측 하우징(103)이 힌지부(104)를 지점으로서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표시측 하우징(102)은, 표시부(121)와, 카메라 유닛(1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측 하우징(102)에는 수용부(123)가 설정되어 있고, 이 수용부(123)는, 표시측 하우징(102)의 표면(124)으로부터 이면(다른 표면)(125)까지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어, 표면(124) 및 이면(125)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하는 제 1 개구부(126) 및 제 2 개구부(12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122)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측 하우징(102에 내장되어 회전 이동 가능한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128)과, 이 케이싱(128) 내에 설치된 카메라(129)와, 상기 케이싱(128)의 외면의 2개소에 배치된 제 1 지표부재(131), 제 2 지표부재(13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카메라 유닛(122)은, 카메라 (129)의 방향이 도 14에 있어서의 오른쪽 방향/하측 방향/왼쪽 방향의 3개소에서 클릭(click) 감을 갖게 해서 계지 가능해지도록 표시측 하우징(102)에 짜 넣어져 있어, 도 14에 있어서의 상측에 카메라(129)가 향하지 않게 규제되어 있다. 즉, 카메라(129)는, 도 14에 있어서의, 오른쪽 방향/하측 방향/좌측 방향의 3게소만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28)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128a)과 제 2 케이싱(128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싱(128b)에는, 촬영부로서의 카메라(129)와, 발광부(130)가 배치되어, 이들을 제 1 케이싱(128a)에 의해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128a)과 제 2 케이싱(128b)의 분할 선(B)은, 카메라(129)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는 다른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제 1 지표부재(131) 및 제 2 지표부재(132)는 케이싱(128)의 회전 축선을 끼어서 상호의 분할 선(B)을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지표부재(131, 132)는, 투명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 라벨 부재(133)와, 제 2 라벨 부재(134)를, 케이싱(128a와 128b)으로 끼우도록 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라벨 부재(133, 134)의 케이싱(128)측의 외면(135, 136)에는, 분할 선(B)을 가리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이 문자는,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의 F 넘버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129)의 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 등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카메라(129)의 방향에 의해, 줌 비율이나 화상 반전, 화질 조정 등의 처리를 변경하면, 이 취지를 기재해 두면, 사용자로서는 상황에 적당한 카메라(129)의 기동을 실행하기 쉽다. 이들의 문자 등은 개구부(126, 127)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며, 노출되어 있는 문자 등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케이싱(28)의 회전 방향을 인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유닛(122)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측 하우징(102)측으로 카메라(129)가 향한 상태에서 촬영할 경우, 표시부(121)를 보면서 표시부(121)측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121)측으로 카메라(129)가 향한 상태로부터, 케이싱(128)을 손가락 등으로, 도 12에 도시하는 C로부터 D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개구부(126)로부터 제 1 지표부재(131), 제 2 개구부(127)로부터 제 2 지표부재(132)가 나타나게 되어 있다. 이 때, 카메라(129)는, 표시측 하우징(102)의 내부를 향되어 있다.
이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케이싱(128)을 C로부터 D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키면, 이면(125)측에 카메라(129)가 향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촬영하면, 표시부(121)를 보면서 이면(125)측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개구부(126)측에는 지표부재(131) 혹은 지표부재(132)는 노출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케이싱(128)을 D로부터 C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표면(124)측에 카메라(129)를 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개구부(127)측에는 지표부재(131) 혹은 지표부재(132)는 노출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 에 설명한다.
이 휴대 단말장치(101)를 이용하여 이면(125)측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개구부(126)로부터 지표부재(131)가 나타나고 있을 때에는, 표시측 하우징(102)내에 카메라(129)가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C로부터 D방향으로 케이싱(128)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129)가 이면(125)측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에 카메라(129)를 향한 후, 소정의 셔터 버튼을 누름으로써 촬영을 실행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1)는, 제 1 지표부재(131) 및 제 2 지표부재(13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개구부(126), 제 2 개구부(127)로부터 제 1 지표부재(131), 제 2 지표부재(132)가 노출하고 있을 때에는, 카메라(129)는 표면(124)측 혹은 이면(125)측의 어느 쪽도 향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시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카메라(129)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케이싱(128)의 회전 방향을 인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01)를 접은 상태에 있어서도, 제 2 지표부재(132)의 유무에 의해, 카메라(129)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부(126) 혹은 개구부(127)의 한쪽만을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지표부재(131) 혹은 지표부재(132)가 노출하고 있는 경우, 카메라(129)가 표시측 하우징(102)의 내부를 향하고 있고, 노출하지 않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보지 않고 있는 측의 개구부(126) 혹은 개구부(127)에 카메라(129)가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
또한, 케이싱(128a)과 케이싱(128b)의 분할 선(B)에 걸쳐서 라벨 부재(133, 13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계승해 똑바로 볼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미관을 손상하는 일이 없는 카메라 유닛(12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싱(128)의 외면(135, 136)에 인자되어 있는 문자를 라벨 부재(135, 136)로 덮는 것에 의해, 케이싱(128)을 손가락 등에 의해 회전시키는 조작에 따르는 문자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1)는, 지표부재(131, 132)에 사용하는 라벨 부재로서 손가락을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특히, 투명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였지만, 이 대신에, 종이의 라벨이어도 무방하고, 또는 아크릴이나 유리 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라벨 부재(133, 134)에 접하는 케이싱(128)측의 면에 문자를 인자했지만, 이 대신에 케이싱(128)에 대향하는 라벨 부재(133, 134)의 표면에 문자를 인자해도 무방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단말장치로서, 휴대전화 뿐만아니라, 예컨대,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휴대 단말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광부 뿐만아니라, 예를 들면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혹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장치의 조작 내용을 시인하기 위한 소형 액정화면 등, 휴대 단말장치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는 장치가 내장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의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검출 스위치 및 제 2 검출 스위치가, 카메라 유닛의 회전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겸하고 있으므로, 달리 카메라 유닛의 회전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의 간략화, 컴팩트화를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이 자기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와, 상대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화상을 출력하는 방향을 다르게 하여, 카메라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하 반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촬영 수단을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또한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계지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로 회전 이동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격납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 다른 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의 적어도 2개소에 있는
    휴대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복수의 촬영 위치 중 어디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된 상기 촬영 위치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의 화상의 출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에 지시 가능한 카메라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메라 조작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카메라 유닛의 회전 이동에 의해 가압되는 스위치이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압되고, 또한 상기 격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압되지 않는
    휴대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유닛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격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외면에 지표부재가 설치되는
    휴대 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격납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 다른 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의 적어도 2개소에 있고,
    각각 2개소의 상기 촬영 위치에 상기 개구부가 마련되는
    휴대 단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축방향으로 분할되는 2개의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표부재는, 상기 2개의 케이싱의 맞닿는 부분을 타 넘어서 부착되는
    휴대 단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싱의 맞닿는 부분을 타 넘는 평탄한 면이 마련되고, 상기 지표부재는, 상기 평탄한 면에 부착되는 라벨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표부재의 상기 카메라 유닛에 부착될 때 내측이 되는 면 또는 외측 이 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맞닿는 부분에 겹치는 위치에 인쇄가 실시되는
    휴대 단말장치.
  11.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촬영 장치를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또한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계지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 위치에 상기 카메라 유닛을 고정할 때 상기 촬영 장치가 노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외면에,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개구부에서 노출하는 지표부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장치.
  12.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장치는, 촬영 수단을 갖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또한 촬영 위치와 격납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카메라 유닛이 적어도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키는 기동 단계를 갖는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격납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 다른 쪽으로 회전 이동시킨 위치의 적어도 2개소에 있는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단계는, 상기 검출 단계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복수의 촬영 위치 중 어디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된 상기 촬영 위치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의 화상의 출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 상태로 하도록 상기 기동 단계에 지시 가능한 카메라 조작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 단계는, 상기 카메라 조작 단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촬영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56976A 2003-07-24 2004-07-21 휴대 단말장치 KR100694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1099A JP4520711B2 (ja) 2003-07-24 2003-07-24 携帯端末装置
JPJP-P-2003-00201099 2003-07-24
JP2003201100A JP4121908B2 (ja) 2003-07-24 2003-07-24 携帯端末装置
JPJP-P-2003-00201100 2003-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145A KR20050012145A (ko) 2005-01-31
KR100694925B1 true KR100694925B1 (ko) 2007-03-14

Family

ID=3422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976A KR100694925B1 (ko) 2003-07-24 2004-07-21 휴대 단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47773A1 (ko)
KR (1) KR100694925B1 (ko)
CN (1) CN1004960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233B2 (ja) * 2004-11-17 2010-08-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
TWI262015B (en) * 2004-12-20 2006-09-11 Asmobile Comm Inc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WI250790B (en) * 2005-01-07 2006-03-01 Asustek Comp Inc Display device having rotational image-capturing module
CN100430770C (zh) * 2005-05-27 2008-11-05 黄金泉 一种照相手机镜头转向装置
KR100703462B1 (ko) * 2005-06-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FI20055361A (fi) * 2005-06-29 2006-12-30 Nokia Corp Menetelmä käännettävällä kameralla varustetussa matkaviestimessä ja matkaviestin
EP1788808A1 (en) * 2005-11-22 2007-05-23 Asmobile Communication Inc.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7672584B2 (en) * 2006-03-06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evice
US20070269202A1 (en) * 2006-05-17 2007-11-22 Motorola, Inc. Camera lens cover and reflector for mobile station
CN101750853B (zh) * 2008-12-17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取像模组
TWI426338B (zh) * 2008-12-26 2014-02-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取像模組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298236B2 (en) 2012-03-02 2016-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power level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a second power level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US9706089B2 (en) 2012-03-02 2017-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8786767B2 (en) 2012-11-02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Rapid synchronized lighting and shuttering
US9904828B2 (en) * 2013-01-31 2018-02-27 Denso Wave Incorporated Portable information code reader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KR20140145301A (ko) * 2013-06-13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모드 중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9594970B2 (en) * 2014-08-28 2017-03-14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with camera at or near junction of first panel and second panel
US9860452B2 (en) 2015-05-13 2018-01-02 Lenovo (Singapore) Pte. Ltd. Usage of first camera to determine parameter for action associated with second camera
US10816878B2 (en) * 2017-01-30 2020-10-27 Kameron Miller Electronic device privacy cover
WO2020033389A1 (en) * 2018-08-07 2020-02-13 Gopro, Inc. Camera and camera mou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243A (ja) * 1999-03-12 2000-11-30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外装用シート及びカメラ
JP2002073207A (ja) * 2000-08-29 2002-03-12 Sony Corp カメラ搭載の携帯型情報端末
US7106357B2 (en) * 2001-08-27 2006-09-12 Olympus Optical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feature
JP2003309748A (ja) * 2002-02-13 2003-10-31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056383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4131805B2 (ja) * 2002-07-24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47773A1 (en) 2005-03-03
CN100496062C (zh) 2009-06-03
CN1578337A (zh) 2005-02-09
KR20050012145A (ko)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925B1 (ko) 휴대 단말장치
JP4112414B2 (ja) 携帯端末装置
US7295773B2 (en) Camera, an image inputting apparatus,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transforming the camera configuration
US20090316036A1 (en)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JP4488088B2 (ja) スチルカメラ
KR20030003056A (ko) 휴대형 단말기
US20030142971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having multi-function rotary device and protective cover
KR1005318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JP452071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41570B1 (ko) 양방향 촬영이 용이한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JP4121908B2 (ja) 携帯端末装置
JP4263067B2 (ja) 携帯機器
JP2020034606A (ja) 撮像装置及びレンズ鏡筒
JP4381738B2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
JP2009300558A (ja) 撮像装置
JP2010130102A (ja) 携帯電子機器
JP2004260688A (ja) 携帯端末装置
JP4018582B2 (ja) カメラとフラッシュ機能を有する携帯通信端末
JP2005124127A (ja) 携帯機器
KR1006198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의 장착 구조
JP2004349809A (ja) 携帯端末装置
JP2002287204A (ja) カメラ
JP2003075899A (ja) カメラ
JP2001216049A (ja) 小型電子機器
KR20060026154A (ko) 개인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커버장치 및 그 커버장치를이용한 촬영모드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