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500B1 -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 - Google Patents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500B1
KR100522500B1 KR10-2002-0002206A KR20020002206A KR100522500B1 KR 100522500 B1 KR100522500 B1 KR 100522500B1 KR 20020002206 A KR20020002206 A KR 20020002206A KR 100522500 B1 KR100522500 B1 KR 10052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late
posture
music
rest posi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532A (ko
Inventor
이치카와토모노리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30Couplers, e.g. for playing oct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어쿠스틱 피아노는 데스크레일(59)상에 눕혀지고 세워지는 보면판(11)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일방향 클러치와 릴리저(12a)가 데스크레일(59)과 보면판(11)에 연결된 축(12b) 사이에 설치되어, 피아니스트가 보면판을 세워서 이를 지지대 없이 최적각도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STEPLESS MUSIC RACK AN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음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주자의 전방에 음악악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음악기구에 설치된 붙박이식 악기용 보면대 및 이 악기용 보면대를 설치한 음악기구에 관한 것이다.
연주자가 음악기구상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에, 연주자는 일반적으로 악보 보면대상에 악보를 유지한다. 어쿠스틱 피아노, 전기피아노 및 오르간과 같은 몇몇 종류의 음악기구에는 악기용 보면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악기용 보면대는 일반적으로 폴더식이다. 연주자가 키보드 음악기구상에서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준비할 때, 연주자는 붙박이식 악기용 보면대을 세우고, 그곳에 악보를 놓는다.
도 1은 그랜드 피아노에 설치된 붙박이식 악기용 보면대의 일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기술의 붙박이식 악기용 보면대는 보드상에서 접어졌다 펴졌다하여, 피아노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종래기술의 붙박이식 악기용 보면대는 폴더식이다. 종래기술의 붙박이식 악기용 보면대는 보면판(2)과 지지대(3)를 포함한다. 보면판(2)은 하단이 힌지수단(4)에 의해 보드(1)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힌지(4)는 보면판(2)에 대해 회전축으로 된다. 이런 이유로, 보면판(2)은 화살표(AR1)가 가르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지대(3)는 그 일단이 힌지수단(5)에 의해 보면판의 배면의 중간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5)도 지지대(3)에 회전축으로 작용하여, 화살표(AR2)가 가르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일련하는 노치(6)들이 힌지(4)의 뒤쪽 보드(1)상에 일정피치로 형성되고, 지지대(3)는 그 하단에서 노치(6)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릴 수 있다. 보면판(2)에는 스토퍼(7)가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스토퍼(8)가 보면판(2)의 전방 보드(1)상에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7)는 힌지(5)의 근방에 설치되어, 보면판(2)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스토퍼(7)가 힌지(5)에 대해 경사져 있어, 스토퍼(7)와 배면사이의 각도가 소정각도로 조정된다. 따라서, 스토퍼(7)는 지지대(3)의 궤도상에 설치된다.
지지대(3)는 보면판(2)의 배면상에 포개어지고, 보면판(2)은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1)상에 눕혀진다. 피아니스트가 종래 그랜드 피아노상에서 연주를 하고자 할때, 피아니스트는 그 손가락으로 보면판(2)의 자유단을 잡고 보면판(2)을 세운다. 피아니스트가 보면판(2)을 회전하는 동안, 지지대가 그 자체 무게로 인해 보드(1)상에 수직방향으로 유지된다. 보면판(2)이 적절한 위치를 지나쳤을 때, 피아니스트는 보면판(2)을 그곳에 유지한체로 지지대(3)를 힌지(5)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지지대(3)가 스토퍼(7)와 접촉한다. 그 다음, 피아니스트는 적당위치에 보면판(2)을 복귀시킨다. 지지대(3)는 노치(6) 중 하나와 맞물리어, 보면판(2)을 적당위치에 유지시킨다. 피아니스트는 악보(9)를 보면판(2)상에 놓는다. 악보가 보드(1)상에 미끌어지더라도, 스토퍼(8)는 악보가 그 것을 지나 미끌어 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면판(2)과 스토퍼(8) 사이에 악보(9)가 유지된다.
피아니스트가 연주를 끝내면 다른 쪽에 주의를 돌릴 수 있다. 피아니스트는 종래의 보면판을 이하와 같이 눕힌다. 먼저, 피아니스트는 보면판(2)을 약간 잡아 당기고, 노치(6)로부터 지지대(3)를 해방시킨다. 그런 후, 피아니스트는 보면판(2)의 배면상의 근처에 지지대(3)를 포갠다. 끝으로, 피아니스트는 지지대(3)와 함께 보면판(2)을 보드(1)상에 눕힌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악기용 보면대에 있어서, 연주자가 악보를 최적위치에 놓을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주자는 저마다 키가 다르므로, 그랜드 피아노 전방의 의자에 앉는 자세가 다르다. 이는 최적위치가 각 연주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면판(2)이 보드(1)상에서 계단식으로 기울어지지만, 각도는 노치의 일정피치에서만 변화되고, 보면대(2)를 최적위치로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 다른 문제는 열악한 조작성에 있다. 지지대(3)는 보면판(2)의 배면에 연결되고, 연주자는 보면판(2)의 전방에 서있다. 연주자가 보면판(2)을 세우거나 눕혀놓을 때, 연주자는 지지대(3) 근처로 손을 뻗어서 지지대(3)를 조작한다. 어린이들의 경우 그 근처에 도달하기에는 팔이 짧기때문에 조작이 어렵게 느껴진다. 어린이가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지지대(3)를 조작한다면, 보면판(2)이 어린이의 손가락에서 미끌어질 수도 있다. 보면판(2)이 보드(1)상에 쓰러져서 아이의 손가락이 보드(1)와 보면판(2)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콘서트홀에서 그래드 피아노로 연주를 하는 동안, 청중의 일부가 피아니스트의 맞은편에 앉게 되고 피아니스트를 응시하게 된다. 그들의 시야로 지지대(3)가 들어오게된다. 대부분의 청중은 지지대(3)를 눈에 거슬린다고 느끼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없이 악보를 최적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눈의 거슬림도 없는 악기용 보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주요 목적은 그런한 악기용 보면대를 설치한 음악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문서가 놓여지는 보면판 및 고정부재와 보면판 사이에 설치된 자세변환시스템을 포함하는 위에 문서를 유지하기 위한 악기용 보면대에 있어서, 보면판은 휴지위치로부터 최대자세 각도위치를 경유해서 해제위치까지 변경하는 방식으로, 자세변환시스템에 의해 지지되고, 자세변환시스템은 보면판의 위치를 휴지위치에서 최대자세 각도위치까지 한방향으로 무단계 식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보면판이 해제위치에 도달했을 때, 보면판을 휴지위치에 복귀시키는 악기용 보면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 복수의 보드를 보유하는 케이스; 연주자의 손이 놓여지는 복수의 보드 중 하나에 설치된 키보드;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키보드에 연결되어 핑거링에 따라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시스템; 및 복수의 보드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문서가 놓여지는 보면판과 고정부재와 보면판 사이에 설치된 자세변환시스템을 포함하는 악기용 보면대를 포함하는 음악기구로서: 보면판은, 휴지위치로부터 최대자세 각도위치를 경유해서 해제위치까지 변경되는 방식으로, 자세변환시스템에 의해 지지되고, 자세변환시스템은 보면판의 위치를 상기 휴지위치에서 최대자세 각도위치까지 한방향으로 무단계 식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보면판이 해제위치에 도달했을 때, 보면판을 상기 휴지위치에 복귀시키는 음악기구를 제공한다.
제1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적용한 그랜드 피아노는 피아노 케이스(51), 다리(52), 상판(53), 덮개 지지대 또는 덮개막대(54), 키보드(55), 패달기구(61), 및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0)를 포함한다. 작동기구, 해머 및 현이 그랜드 피아노에 더 설치되어 있지만, 간결함을 목적으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피아노 케이스(51)는 건반대(56), 측면판(57), 소리판(58), 및 데스크 레일(59:desk rail)과 같은 각종 보드부재로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작동기구 및 해머는 피아노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고, 현은 소리판(58)을 가로질로 뻗어있다. 상판(53)은 측면판(57)에 힌지되어 있고, 그 사용자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 지지대(54)는 그 하단이 측면판(5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판(53)은 덮개 지지대(54)에 기대어 있다. 즉, 덮개지지대(54)는 상판(53)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다리(52)는 피아노케이스(5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피아노 케이스(51)를 평판면상에 유지한다. 키보드(55)는 건반대(56)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건뚜껑(60)으로 덮여진다.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0)가 데스크 레일(59)상에 설치되어, 의자에 앉아있는 피아니스트의 전방으로 악보(도시안됨)를 유지한다.
피아니스트가 키보드(55)상에서 연주할 때, 작동기구가 선택적으로 회전용 해머를 구동하고, 이 해머가 해당하는 현을 때려서 피아노 음을 생성한다. 작동기구/햄머의 동작은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0)는 크게 보면판(11), 자세변환기(12), 힌지(13) 및 스토퍼(14)를 포함하다. 예컨대, 나무로 제조된 보면판(11)은 일반적으로 부채꼴구성을 갖는다. 힌지(13)는 자세변환기(12)의 양측에 설치되어, 보면판(11)을 데스크레일(59)의 윗쪽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13)의 마찰이 미약하여, 자세변환기(12)의 도움없이는 힌지(13)가 보면판(11)을 소정의 자세각도로 유지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낮은 마찰이 필수적인 특성은 아니다. 또 다른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에서는 마찰력이 큰 힌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힌지(13)의 수는 보면대(11)의 크기에 따른다. 광폭의 보면대는 3개 또는 4개와 같은 2개 이상의 힌지(13)를 보유할 수도 있다. 자세변환기(12)는 사용자에게 무단계 조정을 제공한다. 이 보면판은 키보드의 전방에 앉아 있는 피아니스트의 맞은편으로 눕혀지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스크레일(59)상에서 세워진다. 보면판(11)과 데스크레일(59) 사이의 각도(α)는 0°에서 80°까지 변화한다.
자세변환기(12)는 기계상자(12a), 축(12b) 및 커플러(12c)로 분리된다. 도 3내지 도 5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일방향 클러치와 릴리저가 기계상자(12a)내에 수용되고, 기계상자(12a)는 데스크레일(59)에 안착된다. 축(12b)은 일방향 클러치와 릴리저(12a)에 연결되어, 기계상자(12a)의 측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커플러(12c)는 보면판(11)의 배면에 고정되고, 축(12b)의 자유단부가 커플러수단(12c)에 의해 보면판(11)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축(12b)은 일반적으로 직사각 단면이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세스(12d)가 커플러(12c)에 형성되어 있다. 축(12b)의 자유단부가 리세스(12d)내로 삽입된다. 커플러(12c)는 리세스(12d)내의 축(12b)의 자유회전을 억제한다. 이런 이유로, 보면판(11)이 축(12b)과 함께 회전한다.
일방향 클러치는 사용자가 보면판(11)을 0°에서 80°까지 변화할 수 있게 해주고, 사용자가 이 보면판(11)의 회전을 멈춘 각도에서 유지시켜준다. 릴리저는, 보면판(11)이 100°와 110° 사이의 임의의 각도(β)에 도달하면 인에이블된다. 보면판(11)이 각도범위(β)에 도달할 때, 기계상자(12a)는 피아니스트에게 축(12b)이 일방향 클러치로부터 벗어났음을 짤깍하는 소리를 통해 알려준다. 적당한 스토퍼가 기계상자(12a)에 설치되어서, 보면판(11)은 임의의 각도범위(β)를 넘어 회전할 수 없다. 릴리즈기구는 일방향 클러치로부터 축(12b)을 이탈시켜서, 보면판이 0°의 휴지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해준다. 보면판(11)이 휴지위치(A: 도 6참조)에 복귀하는 동안, 기계상자는 축(12b)의 회전에 대항하여 적당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이런 이유로, 피아니스트가 그 손을 보면판(11)으로부터 떼더라도, 기계상자(12a)가 보면판(11)을 그 위치에 유지하여, 보면판(11)이 급격히 쓰러지지 않는다.
피아니스트가 보면판(11)을 수직자세로 유지하기를 원할 때에, 피아니스트는 보면판(11)을 자신을 향해 잡아당긴다. 그러면,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축이 보면판(11)과 함께 회전된다. 피아니스트가 회전을 멈추면, 일방향 클러치가 축(12b)을 유지함으로써 보면판(11)이 주어진 자세로 유지된다. 한편, 보면판(11)이 너무 수직자세에 가깝다고 피아니스트가 느낀 경우에는, 피아니스트는 최대 자세각도(80°)를 넘어서 보면판(11)을 회전시킨다. 보면판(11)이 100°와 110° 사이의 각도범위(β)에 도달하면, 축(12b)이 일방향 클러치로부터 이탈된다. 먼저 피아니스트는 데스크레일(59)상에서 보면판을 쓰러뜨린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면판(11)은 자세(C)에서 자세(A)로 전환된다. 일방향 클러치가 0°에서 다시 인에이블 된다. 일방향 클러치는 보면판(11)을 0°의 휴지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해주지만, 일방향 클러치는 휴지상태를 향한 회전에 대해서 적당한 저항력을 부여하여 보면판(11)이 급격히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피아니스트가 화살표(AR3)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면판(11)을 자신을 향하여 잡아 당긴다. 보면판(11)을 회전시킴에 따라 축(12b)이 회전된다. 보면판(11)이 자세각도(α)에서 최적위치에 도달할 때, 피아니스트는 회전을 멈추고, 일방향 클러치가 보면판(11)을 최적각도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자세변환기(12)의 힘에 의해 보면판(11)을 최적위치로 조정한다.
일방향 클러치와 릴리즈 기구는 시장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시장에서 구입가능한 릴리즈기구를 내장한 기계식 일방향 클러치는 일본 특허 공개 2001-12439호에 개재되어 있고, 로울러, 컴(cum) 및 스프링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일본 특허공개는 릴리즈기구를 내장한 기계식 일방향 클러치를 현관이나 리드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서는 키보드 음악 기구, 특히 악기용 보면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유압식 일방향 클러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유체는 실리더내에 밀봉되고, 로터, 체크밸브 및 스로틀밸브가 실린더 내부에 설치된다. 유체는 체크밸브에 의해 한방향으로만 흐르지만, 스로틀밸브는 유체흐름의 역방향으로 강한 저항력을 생성한다. 피아니스트가 자세각도(α)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면판(11)을 회전시키는 동안, 유체가 체크밸브를 통해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챔버로 유동한다. 그러나, 반대방향으로 보면판(11)이 힘을 받더라도, 체크밸브는 유체가 체크밸브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스로틀밸브만이 유체가 역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해준다. 스로틀밸브는, 보면판의 자체중량으로 인한 모먼트가 로터상에 영향을 주는 조건하에서는 유체를 유동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보면판을 미는 경우에는, 큰 모먼트가 로터상에 작용하고, 로터는 유체를 스로틀밸브를 통해 강제로 흐르게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악기용 보면대는 자세변환기(12)를 포함한다. 기계상자(12a)에 의해, 피아니스트는 보면판(11)을 휴지위치(A)에서 최대 자세각도(α) 쪽으로 회전할 수 있고, 어떠한 지지대도 없이 보면판(11)을 주어진 각도(α)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변환기에 의해, 피아니스트는 보면대(11)의 자세를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는 어떤 지지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청중들의 눈에 거슬리는 것이 없다. 따라서,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이 향상된다.
게다가, 피아니스트는 자세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단순히 보면판(11)을 밀고 당기기만 하면 된다. 보면판(11)의 배면으로 손을 뻗어서 지지대를 유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기는 자세변경을 용이하게 해준다.
결국, 기계상자(12a)는 보면판(11)의 회전에 대항하여 적당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보면판(11)이 급격히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자세의 변화가 용이하다.
제2실시예
도 7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또 다른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8)가 데스크레일(59)과 같은 보드상에 장착되어 있다.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8)는 보면판(19), 제어기(20), 자세변환기(21), 리미트 스위치(22), 및 스토퍼(도시안됨)를 포함한다. 보면판(19)은 상기 보면판(11)과 동일하고, 스토퍼는 스토퍼(14)와 비슷하게 데스크레일(59)상에서 악보가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자세변환기(21)는 한쌍의 기계상자(21a)와 한쌍의 축(21b)을 포함한다. 기계상자(21a)는 데스크레일(59)에 고정되고, 축(21b)은 기계상자(21a)로부터 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축(21b)은 보면판(19)의 양측부에 연결되어, 보면판(19)을 데스크레일(59)상에 유지한다. 따라서, 이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8)에는 힌지가 필요없다.
기계상자(21a)는 서로 구조가 동일하고, 기계상자(21a)마다 일방향 클러치와 전자기 릴리저를 구비한다. 일방향 클러치는 대응 축에 연결되고, 전자기 릴리저는 구동신호에 반응하여 일방향 클러치를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 시킨다. 구동신호는 제어기(20)로부터 공급되고, 제어기(20)는 리미트 스위치(22)로부터 공급된 검출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활성 및 비활성 레벨 사이에서 변경한다. 기계식 또는 유압식 일방향 클러치는 제1실시예의 클러치와 동일한 기계식 또는 유압식의 것이다. 보면판(19)이 각도범위(β)에 도달할 때, 기계상자(21a)는 피아니스트에게 짤깍하는 소리를 내어 각도범위에 도달한 것을 알려준다.
리미트 스위치(22)는 보면판(19)의 배면에 설치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개의 검출기(23A,23B)를 보유한다. 검출기(23A)는 화살표(AR4)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몸체(23c) 속으로 들어갈 수도 있고, 몸체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한편, 검출기(23B)는 화살표(AR5)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몸체(23c) 속으로 들어갈 수도 있고, 몸체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검출기(23A/23B)는 그들에게 가해지는 외적인 힘이 없다면 돌출되어져 있다. 보면판(19)이 수직위치를 넘어선 각도범위에 도달할 때, 보면판(19)은 검출기(23A)를 몸체(23c) 속으로 밀게되고, 리미트 스위치(22)는, 해제위치(90°이상의 자세각도(β))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검출신호를 제어기에 공급한다. 이후, 제어기(20)는 비활성 레벨의 구동신호를 전자기 릴리저에 공급하고, 전자기 릴리저는 축(21b)을 일방향 클러치로부터 해제시킨다. 한편, 보면판(19)이 0°인 휴지위치에 도달할 때, 보면판(19)은 검출기(23B)를 몸체(23c)내로 밀고, 리미트 스위치(22)는 휴지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기(20)에 공급한다. 그 다음, 제어기(20)는 활성레벨의 구동신호를 전자기 릴리저에 공급하고, 전자기 릴리저는 일방향 클러치를 인에이블 시킨다.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18)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면판(19)이 휴지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보면판(19)은 리미트 스위치(22)의 검출기(23B)를 몸체(22a) 속으로 밀고, 리미트 스위치(22)는 휴지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기(20)에 공급한다. 제어기(20)는 구동신호를 활성레벨에서 유지하고,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 릴리저를 인에이블한다.
피아니스트가 보면판(19)의 자세를 변경하고자 한다. 피아니스트는 보면판(19)을 자신을 향해 잡아 당긴다. 일방향 클러치는, 도10에서 화살표(AR7)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보면판을 회전시킨다. 보면판(19)이 최적위치에 도달하면, 피아니스트는 회전을 중지한다.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보면판(19)이 쓰러지지 않고, 최적위치에 보면판(19)이 유지된다.
연주가가 또 다른 피아니스트로 바뀐다. 이 바뀐 피아니스트에게는 보면판을 좀 더 기울이는 것이 적당하다고 가정한다. 피아니스트는 최대 자세각도(α)를 넘어 자신을 향해 도 11의 화살표(AR8)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보면판(19)을 잡아당긴다. 보면판(19)이 각도범위(β)에 도달할 때, 기계상자(21a)는 찰칵소리를 발생시켜서 피아니스트에게 각도범위(β)에 진입한 것을 알려주고, 보면판(19)은 검출기(23A)를 몸체(22a) 속으로 민다. 리미트 스위치(22)는 검출신호를 제어기(20)에 공급하고, 제어기는 구동신호를 비활성 레벨로 전환한다. 그 다음, 전자기 릴리저는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디스에이블 시키고, 축(21b)이 일방향 클러치로부터 해제된다. 피아니스트는 보면판을(19)을 밀어서 화살표(AR6)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보면판(19)을 회전시킨다. 피아니스트가 보면판(19)에서 손가락을 떼더라도 기계상자(21a)가 화살표(AR6)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항하여 적당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보면판(19)이 급격히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면판(19)이 휴지위치에 도달할 때, 검출기(23B)가 가압되고, 리미트 스위치(22)가 검출신호를 제어기(20)에 발생시킨다. 제어기는 보면판(19)이 휴지위치에 도달함을 인지하여 구동신호를 활성레벨로 전환한다. 구동신호가 전자기 릴리저에 공급되고, 전자기 릴리저는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인에이블 시킨다.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피아니스트는 화살표(AR6)의 반대방향으로만 보면판(19)을 회전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는 보면판(19)을 자신을 향해 잡아 당기어 보면판(19)을 화살표(AR7)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보면판(19)이 최대각도에 도달할 때, 피아니스트는 회전을 중지하고, 일방향 클러치는 보면판(19)을 최적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기는 휴지위치에서 최대 자세각도(α)까지의 임의의 각도로 보면판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자세변환기의 도움에 의해 보면판을 개인적인 최적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는 보면판을 단순히 밀고 당김으로써 자세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면판을 어느 자세각도에 유지하기위해 어떤 지지대도 필요치 않는다. 이 결과 키보드 음악기구의 외관이 향상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자세변환시스템은 자세변환기(12)과 힌지(13)로만 이루어진다. 제 2실시예에서는, 자세변환기(21), 제어기(20) 및 리미트 스위치(22)의 조합으로 자세변환시스템을 형성한다.
유압식 일방향 클러치는 미국특허 제5,942,702호에 개시된 로터리 댐퍼의 변형예일 수도 있다. 이 미국특허는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에 양도되었다. 이 발명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에 양도될 예정이다. 쓰럼짐없이 자세각도(α)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항하여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로틀(81)이 넓혀지고, 또 다른 체크밸브(82)가 스프링(84)에 의해 로터(83)쪽으로 밀린다. 로터(83)는 실린더(85)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분할벽(88)과 함께 실린더(85)의 내부에 두개의 챔버(86,87)를 형성한다. 이들 챔버(86,87)는 유체로 충전된다. 스로틀(81)은 유체가 챔버(86,87) 사이를 큰 저항없이 흐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다.
보면판이 세워질 때, 로터(8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체가 챔버(86)로부터 챔버(87)로 흐른다. 체크밸브(89)는 분할벽(88)에 형성된 구멍을 개방하여 유체가 큰 저항력없이 이 구멍을 통해 지나가도록 해준다. 피아니스트가 회전을 정지한다. 이후, 체크밸브(89)가 구멍을 폐쇄하고, 체크밸브(82/89)는 챔버(86,87)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시킨다. 보면판 자체중량의 성분력에 의해 작은 모먼트가 로터에 작용하더라도, 스프링(84)에 의해 스토틀(81)이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피아니스트가 보면판에 힘을 가하면, 로터(83)는 체크밸브(82)에 대항하여 큰압력을 가하고, 체브밸브(82)가 스프링(8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로터(83)로부터 떨어진다. 그 결과, 유체는 챔버(87)에서 챔버(86)로 흐르고, 보면판의 자세가 변경된다.
도 13은 릴리저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는 보면판(90)과 자세변환시스템(91)으로 분리된다. 보면판(90)은 보드(92) 위쪽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세변환시스템(91)은 보면판(90)의 우측상에서 보드(92)에 안착된다. 자세변환시스템(91)은 일방향 클러치(93)와 릴리저(94)를 포함한다. 일방향 클러치는 기계식이거나 유압식이다. TOK Bearing co.,Ltd에서 제조한 일방향 클러치 또는 Daido Precision Industries co.,Ltd에서 제조한 자유휠이 자세변환시스템(91)에 사용가능하다. 릴리저(94)는 릴리저(94)와 결합되고, 릴리저(94)와 함께 케이스(95)내에 수용된다. 일방향 클러치(93)는 하우징(93a)과 로터(93b)로 구성된다. 하우징(93a)은 케이스(95)내에서 회전가능하고, 로터(93b)는 하우징(93a)내에서 한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로터(93b)는 그 좌단부가 보면판(90)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보면판(90)을 일으켜 세우면, 로터(93b)는 하우징(93a)에 대해 회전된다. 그러나, 일방향 클러치 기구는 사용자가 로터(93b)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릴리저(94)는 케이스(95)에 고정되고, 요크(yoke)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94a)와, 요크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한 플런저(94b), 및 요크와 플런저(94b)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94c)을 포함한다. 전류가 솔레노이드(94a)를 통해 흐르는 동안, 플런저(94b)는 스프링(94c)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93a)에 대해 밀린다. 이런 이유로, 하우징(93a)은 케이스(95)에 대해 밀린다. 따라서, 하우징(93a)은 솔레노이드(94a)가 임의의 전자기력을 발생하지 않는 한 케이스(95)내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보면판(90)을 눕히길 원할 경우, 사용자는 솔레노이드(94a)에 전류를 인가하고, 솔레노이드(94a)는 자기계를 생성한다. 플런저(94b)는 스프링(94c)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요크속으로 수용되고, 상기 힘이 하우징(93a)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하우징(93a)이 케이스(95) 내에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보면판(90)을 밀어서, 보면판(90)을 보드(92)상에 눕힌다. 따라서, 릴리저(94)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면판(90)을 눕힐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각종 변형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보면판(11)은 L-자 단면일 수 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악보는 스토퍼 없이 보면판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스토퍼(14)는 필수 구성부품은 아니다. 보면판(11)은 합성수지, 금속 및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각 보면판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는, 수형피아노, 전기피아노, 전자키보드, 오르간, 하프시코드, 및 복합 키보드 음악기구와 같은 각종 키보드형 음악기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복합 키보드 음악기구는 어쿠스틱 키보드 음악기구와 전기시스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무성 피아노, 자동 연주피아노 및 연습용 키보드는 복합 키보드 음악기구의 예를 나타낸다. 무성피아노 및 자동연주 피아노를 이하에 간략하게 설명한다.
무성피아노는, 예컨대 그랜드 피아노 또는 수형피아노와 같은 어쿠스틱 피아노와 전기음 생성시스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피아니스트는 어쿠스틱음 또는 전기음으로 연주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가 전기음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무성피아노에는 햄머 스토퍼와 전기음 생성시스템이 설치된다. 햄머스토퍼는 해당 햄머에 설치되고,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해머스토퍼가 자유위치에 지속될 경우, 해머스토퍼의 간섭없이 해당하는 현 세트를 때린다. 햄머스토퍼가 차단위치로 전환되면, 햄머스토퍼는 햄머의 괘도내에 들어가고, 햄머가 현을 때리기 전에 햄머스토퍼 상에서 리바운드된다. 전기음 생성 시스템은 피아노음을 대신하여 전기음을 생성하여 사용자는 이웃에 폐를 끼치지 않고 손가락연습을 할 수 있다.
자동연주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자동연주시스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어쿠스틱피아노는 그랜드피아노 이거나 수형피아노이다. 자동연주피아노는 키보드의 아래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구동형 건반 액츄에이터와 제어기를 포함한다. 음악데이터 코드의 세트가 제어기에 공급될 때, 제어기는 이 음악데이터 코드 세트를 분석하여 키보드로부터 이동될 건반과, 이 건반을 움질일 시간을 선택한다. 해당하는 시간이 되면, 제어기는 해당하는 건반 아래의 솔레노이드 구동형 건반 액츄에이터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솔레노이드 구동형 건방 액츄에이터는 주어진 시간에 건반을 움직이고, 건반이 작동유니트를 구동하여 현에 대한 햄머의 자유회전을 일으킨다.
실제사용을 위한 키보드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변형예이다. 햄머 조립체와 현은 비터(beater)와 충격흡수기로 대체된다. 연습생이 키보드상에서 연주를 행하는 동안, 눌려진 건반은 대응하는 작동유니트를 구동시키고, 이 작동유니트는 익스케이프(escape)를 통해 햄머의 자유회전을 차례대로 일으킨다. 비터는 충격흡수기 상에서 리바운드되어 피아노음이 생성되지 않는다. 전자음 생성 시스템이 실제사용을 위해 키보드내에 더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센서가 비터를 감시하여, 주기적으로 비터의 현재위치를 보고한다. 제어기는 일련의 위치데이터정보를 분석하여 눌려진 건반을 구별한다. 제어기는 키보드상에서 손으로 눌려진 음악데이터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음생성기에 공급한다. 음생성기는 음악데이터코드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사운드시스템은 오디오신호를 전자음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연습생은 전자음을 통해서 핑거링 연습을 행할 수 있다.
적당한 연장체가 보면판이나 축과 함께 동시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검출기(22A/23B)가 이 연장체를 모니터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없이 악보를 최적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눈에 거슬림 없는 악기용 보면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한 악기용 보면대를 설치한 음악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그랜드 피아노의 종래 악기용 보면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그랜드 피아노내에 설치된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I-II선을 따라 잘려진 단면도로서,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III-III선을 따라 잘려진 단면도로서,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내에 설치된 자세변환기(attitude changer)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자세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에 사용된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10 및 11은, 상이한 자세각도에서의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유압식 단방향 클러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에 설치된 릴리저(releaser)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6)

  1. 문서가 놓여지는 보면판(11;19) 및
    고정부재(59)와 상기 보면판(11;19) 사이에 설치된 자세변환시스템(12/13 ;20/21/22)을 포함하는 문서를 유지하기 위한 악기용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보면판(11;19)은, 휴지위치(A)로부터 최대자세 각도위치(B)를 경유해서 해제위치(C)까지 변경되는 방식으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20/21/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20/21/22)은 상기 보면판(11;19)의 위치를 상기 휴지위치(A)에서 최대자세 각도위치(B)까지 한방향으로 무단계 식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상기 보면판이 해제위치(C)에 도달했을 때, 상기 보면판(11;19)을 상기 휴지위치(A)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은,
    그 일단이 상기 보면판(11)에 연결된 축(12b); 및
    상기 고정부재(59)에 고정되고, 상기 휴지위치(A)와 상기 해제위치(C) 사이의 제1각도범위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축(12b)을 제1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상기 해제위치(C)에서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축(12b)이 휴지위치(A)에 도달할 때 까지, 상기 축(12b)을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축(12b)의 타단에 연결된 기구를 보유하는 기계상자(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은, 상기 보면판이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59)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보면판(1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힌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20/21/22)은,
    상기 보면판(19)에 제1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축(21b); 및
    상기 고정부재(59)에 안착되고, 상기 휴지위치(A)와 상기 해제위치(C) 사이의 제1각도범위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축(21b)을 제1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상기 해제위치(C)에서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보면판(19)이 휴지위치(A)에 도달할 때 까지, 상기 축(21b)을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축(21b)의 제2단부에 연결된 각각의 기구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계상자(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은,
    상기 보면판(19)이 상기 해제위치(C)에 도달할 때 제1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제1검출기(23A);
    상기 보면판(19)이 상기 휴지위치(A)에 도달할 때 제2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제2검출기(23B); 및
    상기 제1검출신호에 반응하여 비활성 레벨의 구동신호로 상기 기구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제2검출신호에 반응하여 활성레벨의 구동신호로 상기 기구를 인에이블시키는 제어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8.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 복수의 보드(56/57/58/59)를 보유하는 케이스(51);
    연주자의 손가락이 놓여지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보드 중 하나(56)에 설치된 키보드(55);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키보드(55)에 연결되어 핑거링에 따라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보드 중 다른 하나(59)에 설치되고, 상기 문서가 놓여지는 보면판(11;19), 및 고정부재(59)와 상기 보면판(11;19) 사이에 설치된 자세변환시스템(12/13;20/21/22)을 포함하는 악기용 보면대(10;18)를 포함하는 음악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면판(11;19)은, 휴지위치(A)로부터 최대자세 각도위치(B)를 경유해서 해제위치(C)까지 변경되는 방식으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20/21/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20/21/22)은 상기 보면판(11;19)의 위치를 상기 휴지위치(A)에서 최대자세 각도위치(B)까지 한방향으로 무단계 식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상기 보면판이 해제위치(C)에 도달했을 때, 상기 보면판(11;19)을 상기 휴지위치(A)에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12/13)은,
    그 일단이 상기 보면판(11)에 연결된 축(12b); 및
    상기 고정부재(59)에 고정되고, 상기 휴지위치(A)와 상기 해제위치(C) 사이의 제1각도범위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축(12b)을 제1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상기 해제위치(C)에서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축(12b)이 휴지위치(A)에 도달할 때 까지, 상기 축(12b)을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축(12b)의 타단에 연결된 기구를 보유하는 기계상자(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 시스템(12/13)은, 상기 보면판이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59)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보면판(1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힌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20/21/22)은,
    상기 보면판(19)에 제1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축(21b); 및
    상기 고정부재(59)에 안착되고, 상기 휴지위치(A)와 상기 해제위치(C) 사이의 제1각도범위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축(21b)을 제1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상기 해제위치(C)에서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보면판(19)이 휴지위치(A)에 도달할 때 까지, 상기 축(21b)을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축(21b)의 제2단부에 연결된 각각의 기구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계상자(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은,
    상기 보면판(19)이 상기 해제위치(C)에 도달할 때 제1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제1검출기(23A);
    상기 보면판(19)이 상기 휴지위치(A)에 도달할 때 제2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제2검출기(23B); 및
    상기 제1검출신호에 반응하여 비활성 레벨의 구동신호로 상기 기구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제2검출신호에 반응하여 활성레벨의 구동신호로 상기 기구를 인에이블시키는 제어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음생성시스템은,
    상기 키보드의 건반에 의해 각각이 구동되는 복수의 작동유니트;
    상기 건반이 대응하는 작동유니트를 구동할 때, 상기 복수의 작동유니트에 의해 각각이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햄머; 및
    상기 복수의 햄머에 의해 때려져서 음을 생성하는 복수의 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기구.
  16. 위에 문서가 놓여지고, 휴지위치로부터 최대자세 각도위치를 경유해서 해제위치까지 변경되는 보면판; 및
    고정부재와 상기 보면판 사이에 설치된 자세변환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문서를 유지하는 악기용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시스템(81/82/83/84/85/86/87/88/89)은, 상기 보면판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보면판을 상기 휴지위치로부터 최대자세 각도위치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힘이 상기 보면판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 상기 휴지위치와 상기 최대자세 각도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보면판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
KR10-2002-0002206A 2001-01-15 2002-01-15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 KR100522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6188 2001-01-15
JP2001006188A JP4783982B2 (ja) 2001-01-15 2001-01-15 楽器用譜面板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32A KR20020061532A (ko) 2002-07-24
KR100522500B1 true KR100522500B1 (ko) 2005-10-18

Family

ID=1887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206A KR100522500B1 (ko) 2001-01-15 2002-01-15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4412B2 (ko)
JP (1) JP4783982B2 (ko)
KR (1) KR100522500B1 (ko)
CN (1) CN100397481C (ko)
DE (1) DE1020130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0512B2 (ja) * 2001-07-13 2011-10-2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譜面台傾斜機構
JP2004133085A (ja) * 2002-10-09 2004-04-30 Yamaha Corp 鍵盤楽器における鍵盤蓋の係止装置
US7825312B2 (en) * 2008-02-27 2010-11-02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2013097278A (ja) * 2011-11-02 2013-05-20 Roland Corp 楽器
JP6144463B2 (ja) * 2012-05-31 2017-06-0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譜面台の角度調整具、及び、この角度調整具を備える鍵盤楽器
DE102013006139B4 (de) * 2013-04-10 2015-10-08 Falk Kurvenal Ruck Notenpult für einen Flügel
JP5994159B2 (ja) * 2015-01-15 2016-09-21 雅人 星 連結支持具
CN105029901A (zh) * 2015-08-13 2015-11-11 王少荷 一种带保护功能的活动演讲架
JP6724467B2 (ja) * 2016-03-25 2020-07-1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譜面押さえ構造
CN106023972B (zh) * 2016-08-05 2019-10-29 侯乐萌 一种智能钢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639A (ja) * 1996-11-29 1998-06-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譜面台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7275A (en) * 1974-07-01 1975-06-03 Kenneth D Heist Automatic slide music stand
JPS5182442A (ja) * 1975-01-17 1976-07-20 Hitachi Ltd Hiitohonpushikikukichowaki
US4463651A (en) * 1981-06-23 1984-08-07 Mordechai Hammer Page-turning device
US4667558A (en) * 1985-08-16 1987-05-26 Murphy Reuel A Music rack for organs
JPS6240934A (ja) * 1985-08-19 1987-02-21 Aizawa Tekkosho:Kk プレスブレ−キの制御装置
JPS63193125U (ko) * 1987-05-29 1988-12-13
JP2637324B2 (ja) * 1991-11-13 1997-08-0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自動演奏装置におけるソレノイド駆動装置
US5493943A (en) * 1992-04-23 1996-02-27 Sharp Kabushiki Kaisha Page turner
JP2955813B2 (ja) * 1994-01-21 1999-10-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オイルダンパを用いた鍵盤蓋開閉装置
JP3224675B2 (ja) * 1994-02-18 2001-11-0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楽器の譜面立て
DE19506971C1 (de) * 1995-02-28 1996-04-04 Carl Sauter Pianofortemanufakt Notenpult
US5575097A (en) * 1995-03-16 1996-11-19 Jeffrey P. Chou Page turning device
JP3317109B2 (ja) * 1995-10-16 2002-08-26 ヤマハ株式会社 譜面台装置
US5833199A (en) * 1996-05-09 1998-11-10 Wenger Corporation Music stand
JP3677869B2 (ja) * 1996-05-30 2005-08-0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における鍵盤蓋の緩衝装置
US5942702A (en) 1997-08-06 1999-08-2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fall-board assembled with case by means of oldham's coupling
JP3405166B2 (ja) * 1997-12-15 2003-05-12 ヤマハ株式会社 楽器の蓋体構造
JP3565728B2 (ja) * 1998-11-30 2004-09-1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譜面台
US6107558A (en) * 1999-02-17 2000-08-22 Cowan; William W. Universal semi-automatic hand-portable page-changer
JP2001012493A (ja) 1999-07-01 2001-01-16 Tok Bearing Co Ltd 開閉機構
JP2001195055A (ja) * 1999-10-28 2001-07-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大屋根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639A (ja) * 1996-11-29 1998-06-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譜面台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32A (ko) 2002-07-24
JP4783982B2 (ja) 2011-09-28
CN100397481C (zh) 2008-06-25
DE10201305A1 (de) 2002-09-05
US20020092400A1 (en) 2002-07-18
US6864412B2 (en) 2005-03-08
DE10201305B4 (de) 2006-02-09
JP2002215132A (ja) 2002-07-31
CN1373466A (zh)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500B1 (ko)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
US7943843B2 (en) Reactive force control apparatus for pedal of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US6528713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eight controllable pedals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JP3456243B2 (ja) 平形鍵盤楽器
JP2004334008A (ja) 電子鍵盤楽器のペダル装置
JP3341438B2 (ja) 鍵盤楽器
KR100609797B1 (ko)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
US6423889B2 (en)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easily regulating escape timing, silent system cooperative therewith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US7488884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sloped top surface
KR20030063171A (ko) 키보드 악기
CN100545904C (zh) 装配有自动的顶板间隔件的键盘乐器
US6452079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hammer stopper promptly driven for rotation by means of rigid link work
EP1424682B1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6660917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fall board formed with clearance for fingers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S6044665B2 (ja) ピアノ用演奏トレ−ニング装置
JPH07271351A (ja) 鍵盤楽器
JPH0331979Y2 (ko)
JP2505153B2 (ja) 鍵盤楽器
JP3373684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20090059183A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JP2005043849A (ja) バー型ペダル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