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797B1 -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 - Google Patents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797B1
KR100609797B1 KR1020040020560A KR20040020560A KR100609797B1 KR 100609797 B1 KR100609797 B1 KR 100609797B1 KR 1020040020560 A KR1020040020560 A KR 1020040020560A KR 20040020560 A KR20040020560 A KR 20040020560A KR 100609797 B1 KR100609797 B1 KR 100609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guide
music
musical instru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980A (ko
Inventor
이찌까와도모노리
이노우에사또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그랜드 피아노는 악보 책(13)을 유지하기 위한 빌트인 악보대(7A)를 갖고, 빌트인 악보대(7A)는 피아노 캐비닛(2A)의 내측에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20/25)와, 피아노 캐비닛(2A) 상으로 연장하고 가이드에 연결된 악보판(7b)을 포함하고, 피아니스트가 악보판(7b)에 힘을 가할 때 가이드(20/25)가 악보판(7b)을 측방향으로 활주시켜 피아니스트가 악보 책(13)을 적절한 위치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가이드(25)의 대부분이 피아노 캐비닛(2A)의 내측에 숨겨지기 때문에, 피아니스트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동일한 외관을 느낄 수 있다.
캐비닛, 건반, 음색 발생 시스템, 악보대, 가이드

Description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 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LATERALLY ADJUSTABLE BUILT-IN MUSIC RACK AND MUSIC RACK USED THEREIN}
도1은 악보대가 설비된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2는 악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악보대를 갖는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4는 도3의 A-A 선을 따라 취한 빌트인 악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 빌트인 악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 빌트인 악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에 결합된 빌트인 악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건반 악기에 결합된 빌트인 악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2C/2D: 캐비닛
3C: 건반
3D/3E/3F: 음색 발생 시스템
7A, 7B, 7C, 7D, 7E: 악보대
20/25, 31/25C, 40/41, 50/41A, 50A/41B: 가이드
본 발명은 건반 악기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악보대 조립체를 구비한 건반 악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건반 악기가 시장에서 팔리고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 오르간 및 전자 피아노는 건반 악기의 일부이다. 악보대는 그랜드 피아노와 같은 어쿠스틱 피아노와 전자 피아노에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악보대들은 각각 악보판을 갖고, 악보판은 일반적으로 절첩 가능하다. 피아니스트가 연주를 위해 건반 악기를 준비할 때, 그 또는 그녀는 악보판을 세우고 악보판에 악보를 놓는다.
다음의 설명에서, 용어 "전방"은 "후방"보다 건반 악기의 악절을 연주하기 위해 걸상에 앉아있는 연주자에 근접한 위치를 지시한다. 전방 지점과 상응하는 후방 지점 사이의 방향은 "전후방" 방향이라 지칭하고, "측"방향은 전후방 방향을 직각으로 가로지른다.
도1은 그랜드 피아노의 통상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면부호 1은 그랜드 피아노를 지시한다. 그랜드 피아노(1)는 피아노 캐비닛(2), 건반(3), 건반 뚜껑(4) 및 상부 보드(5)를 포함한다. 건반대(2a)는 피아노 캐비닛(2)의 저부의 일부를 한정하고, 건반(3)은 건반대(2a)에 장착된다. 백색 건(3A) 및 흑색 건(3B)은 건반(3)에 결합되고 공지된 패턴으로 배열된다. 피아노 캐비닛(2)은 플로어 상의 레그(2b)에 의해 지지되고, 페달 박스(2c)는 피아노 캐비닛(2)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액션 유닛, 댐퍼 유닛, 해머 및 현들은 피아노 캐비닛(2) 내에 수납되지만, 해당 기술 분야 종사자에게 공지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설명이 생략된다.
데스크 레일(6)은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악보대(7)는 데스크 레일(6) 상에 제공된다. 악보대(7)는 악보판(7a), 지주(8), 데스크 레일(6) 상에 형성된 톱니(11) 및 미끄럼 방지 블록(14)(도2 참조)을 포함한다. 악보판(7a)은 그 하단부에서 힌지(9)에 의해 데스크 레일(6)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악보판(7a)은 일점쇄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 레일(6) 상에 눕혀지고 데스크 레일(6) 상에 세워진다. 미끄럼 방지 블록(14)은 데스크 레일(6) 상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데스크 레일(6) 상에 고정된다. 미끄럼 방지 블록(14)은 악보판(7a)의 전방면 상에 악보를 보유하도록 힌지(9)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다.
지주(8)는 힌지(10)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그 일단부에서 힌지(10)에 의해 악보판(7a)의 배면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스토퍼(12)가 지주(8)의 각운동의 제한을 설정한다. 스토퍼(12)는 힌지(10) 주위에서 악보판(7a)의 배면으로부 터 후방 하향으로 돌출하고, 소정의 각도로 배면에 대해 경사진다. 사용자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지주(8)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지주는 스토퍼(12)를 초과할 수 없다. 톱니(11)는 지주(8)의 하단부의 이동가능 범위와 중첩되고, 지주(8)는 톱니(11)와 결합 가능하다.
피아니스트가 연주를 위해 악보대를 준비할 때, 그 또는 그녀는 먼 단부에서 악보판(7a)을 파지하고 악보판(7a)을 상승시킨다. 중력은 지주(8)를 악보판(7a)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악보판(7a)이 적절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 피아니스트는 악보판(7a)을 후방으로 약간 밀어낸다. 다음에, 지주(8)는 톱니(11) 중 하나와 결합되고 적절한 각도 위치에서 악보판(7a)을 유지한다. 피아니스트는 악보판(7a)에 악보(13)를 놓는다.
피아니스트가 악보를 보기 어렵다고 느끼면, 그 또는 그녀는 악보판(7a)을 전방으로 당기고, 톱니(11)로부터 지주(8)를 결합 해제한다. 피아니스트는 악보판(7a)을 적절한 각도 위치로 재조정하고 악보판(7a)을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다음에, 지주(8)는 다른 톱니(11)에 결합되고, 악보판(7a)을 적절한 각도 위치로 유지한다.
피아니스트가 악보대(7)를 절첩할 때, 피아니스트는 악보판을 먼 단부 위치에서 파지하고, 약간 당긴다. 다음에, 지주(8)는 톱니(11)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피아니스트는 지주(8)를 악보판(7a)의 배면에 대해 가압하고 악보판(7a)을 후방으로 민다. 다음에, 힌지(9)는 악보판(7a)이 회전하도록 하고 데스크 레일(6) 상으로 떨어진다.
본 출원인은 다른 종래 기술들을 연구하여 다음 세 문헌, 즉, 이후부터 "제1 종래기술 문헌"이라 하는 심사된 일본 실용신안 출원 소54-42900호의 공보, "제2 종래 기술 문헌"이라 하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81591호 및 "제3 종래 기술 문헌"이라 하는 일본 특허 공개 평5-241567호를 찾았다.
제1 종래 기술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악보대는 측방향으로 활주 가능하여 피아니스트가 악보판을 그 또는 그녀와 대면하도록 적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악보대는 업라이트 피아노의 전방 보드에 고정된 측방향 바아와 스프링 캐쳐에 의해 측방향 바아에 연결된 악보판을 포함한다. 스프링 캐쳐는 악보판과 함께 측방향 바아를 따라 활주 가능하여 피아니스트는 활주 운동을 통해 적절한 위치로 악보판을 조정한다.
제2 종래 기술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악보대는 휴대용 건반 악기에 이용되고, 휴대용 건반 악기에 부착 및 탈거된다. 종래의 악보대는 원통형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악보판, 원통형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악보판에 연결된 조절 기구 및 원통형 케이스를 휴대용 건반 악기에 연결하는 커플링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연주를 위해 휴대용 건반 악기를 준비할 때, 사용자는 커플링으로 원통형 케이스를 휴대용 건반 악기에 연결하고, 악보판을 적절할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악보판을 밀고 당긴다.
제3 종래 기술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악보대는 건반 악기로부터 탈부착되는 형식이다. 종래의 악보대는 패널과 악보판을 포함한다. 패널은 건반만큼 넓거나 그보다 더 넓고, 측방향 홈 또는 측방향 레일이 형성된다. 홈 또는 레일은 건반을 따라 연장하고 설부 또는 소켓이 악보판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다.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연주를 위해 건반 악기를 준비할 때, 패널은 건반에 부착되고 사용자는 설부 또는 소켓을 그 또는 그녀와 대면하는 적절한 위치에서 홈 또는 레일 내로 단단히 삽입한다. 설부 또는 소켓은 홈 또는 소켓을 한정하는 벽에 의해 끼이게 되어 악보판은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연주자가 악보판을 보는 것이 어렵다고 느끼면, 그 또는 그녀는 홈 또는 레일로부터 설부 또는 소켓을 당기고, 이전 위치보다 더 적절한 다른 위치에서 홈 또는 소켓 내로 설부 또는 레일을 삽입한다.
빌트인 악보대(7)를 갖는 종래의 그랜드 피아노(1)는 피아니스트가 2인 합주에서 악보(13)를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에 직면한다. 또한 연습생은 그 또는 그녀가 음악 선생님과 함께 나란히 앉을 때 악보를 보기 어렵다고 느낀다. 악보가 보기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는 악보대가 항상 건반의 중심에서 악보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제1 종래 기술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악보대는 측방향 바아가 피아노 캐비닛의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업라이트 피아노의 외관을 손상시킨다. 펠트의 일편이 악보판의 저부에 부착되더라도, 피아노 캐비닛은 악보판을 활주함으로써 외관이 손상되기 쉽다. 게다가, 측방향 바아가 악보판을 안내하기 위해 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연주자의 머리 위로 상승된 전방 보드가 종래의 악보대용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전방 보드들은 그랜드 피아노와 전자 키보드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악보대는 활용도가 적다.
제2 종래 기술 문헌에 개시된 탈착식 악보대에 직면하는 문제는 그랜드 피아 노(1) 고유의 것과 같은 것이다. 악보대 그 자체는 휴대용 건반 악기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는 원통형 케이스로부터 악보판을 탈착할 수 없다. 악보대가 휴대용 건반 악기에 조립될 때, 악보판은 자동으로 휴대용 건반 악기의 중심에 위치되고, 사용자는 악보판을 중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제3 종래 기술 문헌에 개시된 악보대에 직면하는 문제는 사용자가 악보판이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삽입 및 뽑아냄을 반복하는 것이다. 설부 및 레일은 단단히 끼워져서 사용자가 홈 또는 레일을 따라 악보판을 활주시킬 수 없다. 따라서, 조정 작업은 사용자에게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외관의 손상 없이 측방향 운동을 통해 문서의 측방향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악보대를 갖는 건반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넓은 전방 보드 없이 건반 악기에 이용되는 악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표면을 갖는 캐비닛과, 발생되는 음색의 피치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복수개의 건을 갖고 복수개의 건이 캐비닛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표면에 위치되는 건반과, 캐비닛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고 피치에 따라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건반에 연결되는 음색 발생 기구와, 문서가 놓여지는 악보판을 갖고 사용자가 건반에 평행하게 악보판을 이동시키도록 악보판에 연결되는 캐비닛의 내측에 숨겨진 가이드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악보대를 포함하는 음색을 발생시키는 건반 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그 상단부를 한정하는 상부면과 다른 표면을 갖고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캐비닛과, 발생되는 음색의 피치를 지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복수의 건을 갖고 복수개의 건이 캐비닛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전술한 다른 표면에 위치되는 건반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닛 내에 수납되고 해당 피치의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건반에 연결된 음색 발생 시스템과, 그 위에 문서를 보유하기 위해 상부면 상에 돌출하는 악보판과 상부면 주변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악보판을 건반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악보판에 연결되는 가이드를 갖는 악보대를 포함하는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한 건반 악기가 제공된다.
건반 악기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면 중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체화한 그랜드 피아노는 크게 피아노 캐비닛(2A), 건반(3C), 액션 유닛(3D), 해머(3E), 현(3F), 댐퍼(도시안됨) 및 빌트인 악보대(7A)를 포함한다. 피아노 캐비닛(2A)은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건반대(2e), 측부 보드(2f) 및 상부 비임(2h)을 포함한다. 피아노 캐비닛(2A)의 대부분은 목재로 제조되고 금속은 피아노 캐비닛(2A)에 부분적으로 이용된다. 건반대(2e)는 피아노 캐비닛(2A)의 저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건반(3C)이 건반대(2e)의 전방부에 장착된다. 측부 보드(2f)는 날개형으로 완만하게 굴곡되고 피아노 캐 비닛(2A)의 양 측부 및 후방을 형성한다. 상부 비임(2h)은 피아노 캐비닛(2A)의 전방의 상부를 형성하고, 측부 보드(2f)의 양 측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상부 비임(2h)은 측부 보드(2f)와 함께 상부 개구를 한정한다.
건반 뚜껑(4A)은 상부 비임(2h) 아래의 측부 벽(2f)의 전방부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어 건반(3C)은 건반 뚜껑(4A)으로 커버된다. 물론, 피아니스트가 건반 뚜껑(4A)의 전방부를 들어올릴 때, 건반 뚜껑(4A)은 회전하고 건반(3C)이 피아니스트에게 노출된다. 백색 건(3A)과 흑색 건(3B)은 도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공지된 패턴으로 배열되더라도, 건반 뚜껑(3C)은 백색 및 흑색 건(3A/3B)을 보호하고 백색 및 흑색 건(3A/3B) 배열의 윤곽만이 도3에서 파단선으로 지시된다. 백색 및 흑색 건(3A/3B)은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절첩식 상부 보드(5A)는 측부 보드(2f)에 힌지되고 내부 공간을 개폐한다.
레그(3G)는 피아노 캐비닛(2A)에 연결되고 피아노 캐비닛(2A)을 플로어에 수평으로 지지한다. 페달 박스(lyre box; 도시안됨)는 페달대(3H)에 의해 피아노 캐비닛(2A)으로부터 현수되고 푸트 페달 시스템(3J)은 페달 박스와 페달대(3H)에 의해 지지된다.
액션 유닛(3D), 해머(3E), 현(3F) 및 댐퍼(도시 안됨)들은 피아노 캐비닛(2A) 내에 수납된다. 액션 유닛(3D)은 백색 및 흑색 건(3A/3B)의 후방부와 링크되고 피아니스트가 연관된 백색 및 흑색 건(3A/3B)을 누름에 따라 액션 유닛(3D)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댐퍼(도시 안됨)는 눌려진 백색 및 흑색 건(3A/3B)에 의해 작동된다. 연관된 백색 및 흑색 건(3A/3B)이 휴지 위치에 머물 러 있는 동안, 댐퍼는 현(3F)과 접촉하여 보유되고 현(3F)이 부지불식간에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눌려진 백색 및 흑색 건(3A/3B)은 연관된 댐퍼가 단부 위치쪽 방향으로 현(3F)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현(3F)이 진동하도록 한다. 해머(3E)들은 액션 유닛(3D)들에 각각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작동된 액션 유닛(3D)에 의해 자유 회전을 하도록 구동된다. 현은 해머(3E)의 배열 상으로 수평으로 신장되고 어쿠스틱 피아노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자유 회전의 단부에서 해머에 의해 타격된다. 따라서, 건반(3C), 액션 유닛(3D)들, 해머(3E)들, 댐퍼들 및 현(3F)들은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유사하게 작동하고, 이후에 더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빌트인 악보대(7A)는 피아노 캐비닛(2A)에 고정되고 건반 악기에 부착 및 탈거되는 형식은 아니다. 빌트인 악보대(7A)는 후방 플레이트(7b), 기부(20) 및 슬라이더(25)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기부(20)와 슬라이더(25)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후방 플레이트(7b)는 목재로 제조된다. 그러나, 기부(20)와 슬라이더(25)는 목재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7b)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 후방 보드의 후방 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이다. 기부(20)는 피아노 캐비닛(2A) 내로 끼워 넣어지고 피아노 캐비닛(2A) 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기부(20)는 건반(3C)과 평행하다. 슬라이더(25)는 기부(20) 상에서 측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방식으로 기부(20)와 연결된다. 후방 플레이트(7b)는 슬라이더(25)에 고정되고, 따라서 화살표(AR1)로 지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5)와 함께 기부(20) 상에서 측방향으로 활주한다. 따라 서, 피아니스트는 후방 플레이트(7b)를 슬라이더(25)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또는 그녀와 대면하는 적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기부(20)는 피아노 캐비닛(2A) 내에 끼워 넣어지고, 따라서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상세히는, 홈(2j)이 상부 비임(2h)에 형성되고 상향으로 측방향 개방된다. 홈(2j)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금속은 사다리꼴 프리즘 형상이고 기부(20)로서 이용된다. 기부(20)는 홈(2j)만큼 길다. 홈(2j)은 기부(20)의 형태와 동일하여 기부(20)는 홈(2j) 내에 편안하게 수용된다. 기부(20)는 상부 비임(2h)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부(20)는 상부 비임(2h)에 끼워 넣어진다.
기부(20)는 홈(23)이 형성되고, 홈(23)은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홈(23)은 상향 개방되고 5 내지 10도로 후방으로 경사진다. 그러나, 홈(23)은 기부(20)보다 짧고 도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보드(2f)로 개방되지 않는다. 작은 리지(14)가 기부(20)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측부 보드(2f)의 양 측부 사이로 측방향 연장한다.
상부면(22)은 작은 리지(14)와 홈(23) 사이에서 연장하고 후방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경우, 장식 패널(24)이 홈(23)의 적어도 전방에서 상부면(22)에 접착된다. 그러나, 상부면(22)은 임의의 장식 패널 없이 측부 보드(2f)의 양 측부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장식 패널(24)은 또한 후방으로 경사진다. 악보 책(13)은 후방 플레이트(7b)에 대해 놓여지고 장식 패널(24) 상에 직립하도록 된다. 장식 패널(24)이 후방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악보 책(13)은 자세를 유지한다. 악보 책(13)이 장식 패널(24) 상에서 전방으로 활주하더라도, 악보 책(13)은 결코 작은 리지(14)를 초과하지 않고, 따라서 플로어로 떨어지지 않는다.
슬라이더(25)는 후방 플레이트(7b)만큼 넓고, 상부는 두 갈래로 갈라진다. 즉, 슬라이더(25)는 활주 플레이트부(25A)와 보드 수용부(25B)로 나누어진다. 활주 플레이트부(25A)는 홈(23)의 폭보다 약간 작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한편, 보드 수용부(25B)는 후방 플레이트(7b)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전방 벽과 후방 벽을 갖는다. 윤활 시트(26)는 활주 플레이트부(25A)의 전후방면과 보드 수용부(25B)의 후방면에 접착되고, 펠트 또는 인조 가죽으로 제조된다. 윤활 시트(26)가 활주 플레이트부(25A)에 접착되더라도, 전체 두께는 홈(23)의 폭과 대략 동일하여 활주 플레이트부(25A)가 화살표(AR2)로 지시된 바와 같이 홈(23) 내로 삽입 탈거 가능하다. 윤활 시트(26)는 활주 플레이트부(25A)와 기부(20)가 금속 대 금속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피아니스트가 측방향(AR1)으로 슬라이더(25)를 이동시킬 때, 윤활 시트(26)는 금속 내부벽 상에서 부드럽게 활주하고,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활 시트(26)로 커버된 활주 플레이트부(25A)는 느슨해지지 않아서 후방 플레이트(7b)는 결코 기부(20) 상에서 뜻하지 않게 움직이지 않는다.
보드 수용부(25B)는 후방 플레이트(7b)만큼 넓고, 후방 플레이트(7b)는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공간(27) 내에 편안하게 수용된다. 후방 플레이트(7b)는 보드 수용부(25B)에 접착된다. 이와 달리, 후방 플레이트(7b)는 나사에 의해 보드 수용부(25B)에 고정된다.
피아니스트가 그 또는 그녀의 연주를 위해 그랜드 피아노를 준비한다고 가정 하면, 그 또는 그녀는 악보 책(13)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악보대(7A)를 체크한다. 피아니스트가 후방 플레이트(7b)가 부적절한 것을 발견한다면, 그 또는 그녀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더(25)를 민다. 슬라이더(25)는 홈(23)을 따라 활주하고, 후방 플레이트(7b)는 적절한 위치에 도달한다. 다음에, 피아니스트는 측방향으로 미는 것을 중지한다. 기부(20)와 슬라이더(25)는 후방 플레이트(7b)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한다. 피아니스트는 후방 플레이트(7b)에 악보 책(13)을 놓고, 경사진 장식 패널(22)은 악보 책(13)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연습생이 그 또는 그녀의 음악 선생과 측 대 측으로 함께 앉아 있거나 또는 2인 합주(four-handed performance)를 위해 두 명의 피아니스트가 건반(3C) 전방에 앉을 때, 연습생 또는 피아니스트는 슬라이더(25)를 측방향으로 밀고 그 또는 그녀와 대면하도록 후방 플레이트(7b)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악보판의 양측에 넓은 빈 공간이 생성된다. 빈 공간은 연습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악 선생은 장식 패널(24) 상에 메트로놈 및/또는 시계를 놓을 수 있다. 한편, 많은 음악 책 및/또는 책이 장식 패널(24)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연주에 어떤 악보도 요구되지 않을 때, 후방 플레이트(7b)는 슬라이더(25)와 함께 기부(2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건반 악기, 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는 측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후방 플레이트(7b)를 갖는 빌트인 악보대(7A)를 갖는다. 악보 책(13)은 홈(23)을 따라 활주 가능한 후방 플레이트(7b)의 측방향 운동을 통해 적절한 위치로 조절된다. 피아니스트는 홈(23)으로부터 캐리어(25)를 뽑아내거나 끼워 넣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적절한 위치로 악보 책(13)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탈착식 패널 또는 가이드 바아 중 어느 것도 건반 악기용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기부(20)는 피아노 캐비닛(2A) 내에 끼워 넣어지고, 후방 플레이트(7b)만이 피아노 캐비닛(2A)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외관이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악보대(2A)는 건반 악기의 외관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 악기는 다른 부가의 장점을 갖는다. 작은 리지(14)는 기부(20)의 일부를 형성하고 경사진 상부면(22)은 기부(20)의 표면의 일부이다. 작은 리지 또는 경사진 플레이트 중 어느 것도 빌트인 악보대(7A)용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금속이 기부(20) 내에 형성되지만, 작은 리지(14)와 경사진 상부면(22)은 다른 부분들과 함께 동시에 형성된다. 조립 작업은 단순하다. 따라서, 제조자는 악보대의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은 감소된다.
다른 장점은 윤활 시트(26)가 슬라이더(25)를 소음없이 측방향으로 활주시키는 것이다. 윤활 시트(26)는 빌트인 악보대(7A)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는 아니지만, 윤활 시트(26)는 기부(20)의 내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슬라이더에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면들 중 도5를 참조하면, 다른 그랜드 피아노가 빌트인 악보대(7B)와 함께 도시된다. 제2 실시예를 채용한 그랜드 피아노는 빌트인 악보대(7B)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개시된 그랜드 피아노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설명은 빌트인 악보대(7B)에 주력하고, 다른 부품은 도3에 도시된 상응하는 부품을 지시하는 도면 부호가 붙여진다.
빌트인 악보대(7B)는 후방 플레이트(7c), 테이블(10A), 캐리어(25C) 및 가이드 레일(31)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후방 플레이트(7c)와 테이블(20A)은 목재로 제조되고 캐리어(25C)와 가이드 레일(31)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후방 플레이트(7c), 테이블(20A)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고, 합성 수지가 이러한 구성 부품들(7c, 20A, 25C 및 31)에 활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은 피아노 캐비닛(2A) 내로 끼워 넣어지고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가이드 레일(31)은 건반(3C)과 평행하다. 캐리어(25C)는 가이드 레일(31)과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후방 플레이트(7c)는 캐리어(25C)에 의해 지지되어, 캐리어(25C)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빌트인 악보대(7B)는 적절한 측방향 위치로 이동되고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얕은 홈(2k)이 상부 비임(2h)에 형성되고, 홈(2j)과 유사하게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얕은 홈(2k)은 상향으로 개방되고 가이드 레일(31)이 얕은 홈(2k) 내로 삽입된다. 가이드 레일(31)은 얕은 홈(2k)과 길이가 동일하고, 상부 비임(2h)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31)은 상부 비임(2h)에 끼워 넣어지고 상부 비임(2h)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가이드 레일(31)은 가이드 레일(31)의 길이 상으로 측방향으로 신장된 가이드 공간(32)을 갖고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공간(32)은 건반(3C)과 평행하다. 가이드 공간(32)은 채널형 단면을 갖고, 한 쌍의 블로킹부가 내향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블로킹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이유로, 가이드 공간(32)은 블로킹부들 사이를 통해 피아노 캐비닛(2A)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이 경우에, 가이드 레일(31)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알루미늄 합금은 압출을 통해 가이드 레일(31)로 성형된다.
캐리어(25C)는 하부 활주부(25D)와 상부 보드 수용부(25E)를 갖는다. 이 경우에, 캐리어(25C)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알루미늄 합금은 압출을 통해 캐리어(25C)로 성형된다. 하부 활주부(25D)는 역 T자형 단면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하부 활주부(25)는 가이드 공간(32)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하부 활주부(25)는 가이드 공간(32) 내로 삽입되고 가이드 레일(31)의 블로킹부들 사이에서 상향 돌출된다. 블로킹부는 하부 활주부가 상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하부 활주부(25D)는 가이드 레일(31)과 활주식으로 결합된다. 도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윤활 시트가 가이드 레일(31)과 활주부(25D) 사이에 삽입되고, 캐리어(25D)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부드럽게 활주하도록 한다. 선형 볼 베어링이 활주부(25D)와 가이드 레일(3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넓은 개구(도시안됨)가 가이드 레일(31) 상에 형성되고 가이드 공간(32)은 넓은 개구를 통해 대기로 개방된다. 개구는 활주부(25D)가 이를 통과하기에 충분하게 넓다. 캐리어(25C)가 가이드 레일(31)에 조립될 때, 활주부(25D)는 넓은 개구를 통해 가이드 공간(32) 내로 삽입된다.
보드 수용부(25E)는 두 갈래로 갈라지고,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공간은 후방 플레이트(7c)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두 갈래로 갈라진 보드 수용부(25E) 는 후방 플레이트(7c)와 폭이 동일하고 후방 플레이트(7c)는 보드 수용부(25E)에 편안하게 수용된다. 후방 플레이트(7c)는 보드 수용부(25E)에 접착되거나 볼트 결합된다. 따라서, 후방 플레이트(7c)는 캐리어(25C)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테이블(20A)은 악보대(7B)가 가이드 레일(31)과 개별적으로 준비된다. 테이블(20A)은 가이드 레일(31)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부 비임(2h)에 고정된다. 테이블(20A)은 가이드 레일(31)보다 길고 가이드 레일(31)에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테이블(20A)은 상부면(22A)을 갖고, 상부면(22A)은 후방으로 경사진다. 작은 리지(14A)가 전방 단부 라인을 따라 돌출하고, 악보 책(13)이 이를 초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사면(22A) 및 작은 리지(14A)는 경사면(22) 및 작은 리지(14)와 유사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악보 책(13)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후방 플레이트(7c)의 측방향 운동을 통해 적절한 위치로 조절 가능하다. 피아니스트는 캐리어(25C) 또는 후방 플레이트(7c) 상에만 힘을 가한다. 피아니스트는 가이드 레일(31)로부터 후방 플레이트(7c)를 끌어내거나 잡아당길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악보 책(13)을 적절한 위치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은 피아노 캐비닛(2A) 내로 끼워 넣어진다. 보드 수용부(25E)와 후방 플레이트(7c)의 일부만이 청중에게 보여진다. 따라서, 악보대(7B)는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도면 중 도6을 참조하면, 다른 빌트인 악보대(7C)가 본 발명을 채용한 그랜드 피아노의 피아노 캐비닛(2A)에 제공된다. 빌트인 악보대(7C)는 또한, 후방 플레이트(7d), 캐리어(41) 및 테이블(20B)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40)은 피아노 캐비닛(2A)에 형성되고, 캐리어(41)는 가이드 홈(40) 내에서 활주한다. 따라서, 임의의 가이드 레일이 캐리어(41)용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부품의 수는 감소되고,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가이드 홈(40)은 측부 보드(2f)의 양 측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캐리어(41)는 가이드 홈(40)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가이드 홈(40)은 건반(3C)과 평행하고 캐리어(41)가 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 플레이트(7d)는 캐리어(41)에 의해 지지되고, 캐리어(41)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테이블(20B)은 가이드 홈(40)의 전방에 제공된다. 캐리어(41)의 대부분은 가이드 홈(40) 내에서 안보이게 된다. 후방 플레이트(7c)와 테이블(20B)만이 청중에게 보여진다. 따라서, 빌트인 악보대(7C)는 표준 악보대와 동일한 외관을 갖는다.
가이드 홈(40)은 상부 비임(2h)에 형성되고 깊은 홈(41a)과 얕은 홈(41b)으로 분리된다. 깊은 홈(41a)은 얕은 홈(41b)과 접촉하여 가이드 홈(40)은 앵글 비임과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 캐리어(41)는 수직부(41a)와 수평부(41b)로 나뉘어진다. 수직부(41a)는 수평부(41b)의 전방 단부 라인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캐리어(41)는 앵글 비임과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캐리어(40)는 가이드 홈(40)과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
캐리어(41)는 가이드 홈(40) 내로 삽입된다. 수직부(41a)는 깊은 홈(40a) 내에 수용되고, 수평부(41b)는 얕은 홈(40b)의 저부를 한정하는 상부 비임(2h)의 내부면에 놓여진다. 윤활 시트(26b)는 수평부(41b)의 저부면과 수직부(41a)의 측면에 접착된다. 윤활 시트(26b)는 윤활 시트(26)와 동일하고 캐리어(41)가 가이드 홈(40) 내에서 부드럽게 활주하는 것을 허용한다. 깊은 홈(40a)을 한정하는 내부 벽은 수직부(41a)가 깊은 홈(40a) 내에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캐리어(41)는 가이드 홈(40)에서 안정적이다. 악보 책(13)이 후방 플레이트(7d)를 통해 캐리어(40)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모멘트를 가하더라도, 캐리어(41)는 가이드 홈(40) 내에서 자세를 유지한다.
캐리어(40)는 토크 힌지(42)를 포함하고, 토크 힌지(42)는 수평부(41b)의 상부면과 후방 플레이트(7d)의 후방면 사이에 제공된다. 토크 힌지(42) 상에 모멘트가 가해질 때, 토크 힌지(42)는 후방 플레이트(7d)와 상부 비임(2h) 사이에서 각도(α)로 변화한다. 이 경우에, 각도(α)는 0도에서 80도 사이에서 변화된다. 피아니스트가 그랜드 피아노를 떠날 때, 후방 플레이트(7d)는 상부 비임(2h) 상에서 절첩될 수 있다. 토크 힌지(42)의 각도(α)의 변화를 개시하는 임계 모멘트는 후방 플레이트(7d)의 자체 중량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보다 더 크다. 이러한 이유로, 임의의 모멘트가 토크 힌지(42)에 가해지지 않는 동안, 토크 힌지(42)는 각도(α)가 변화되지 않고 후방 플레이트(7d)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빌트인 악보대(7C)는 피아니스트가 측방향 위치뿐만 아니라 각도(α)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테이블(20B)은 가이드 홈(41)의 전방에 제공되고 작은 리지와 경사진 상부면(22B)을 갖고 형성된다. 테이블(20B)은 테이블(20A)과 유사하고, 편의상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반 악기, 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 빌트인 악보대(7C)는 피아니스트가 가이드 홈(40)을 따라 후방 플레이트(7d)의 측방향 운동을 통해 악보 시트와 같은 문서를 연주자에게 대면하도록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도록 허용한다. 피아니스트는 캐리어(41)를 가이드 홈(40)으로부터 뽑아내거나 가이드 홈(40)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피아니스트는 후방 플레이트(7d) 상에 힘을 가하도록 예상된다. 따라서, 빌트인 악보대(7C)는 피아니스트가 문서를 적절한 위치로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캐리어(41)의 대부분은 피아노 캐비닛(2A) 내에 숨겨지고 외관은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동일하다.
후방 플레이트(7d)는 토크 힌지(42)에 의해 틸트되어 문서는 후방 플레이트(7d)의 틸트 운동을 통해 피아니스트의 눈으로 지시된다.
제3 실시예를 채용한 그랜드 피아노는 피아노 캐비닛(2A)에 직접 형성된 가이드 홈(40)에 의해 부품의 수가 감소되는 부가의 장점이 있다.
제4 실시예
도면 중 도7을 참조하면, 빌트인 악보대(7D)가 본 발명을 채용한 건반 악기에 합체된다. 어쿠스틱 피아노, 오르간 또는 전자 키보드가 건반 악기로서 제공된다. 악기는 캐비닛(2C), 건반(도시안됨) 및 음색 발생 시스템(도시안됨)을 포함한다. 건반 악기로서 어쿠스틱 피아노가 제공되는 경우에, 액션 유닛들, 해머들 및 현들이 전체로써 음색 발생 시스템을 구성한다. 한편, 전자 키보드가 건반 악기일 때, 전자음 발생 시스템과 증폭기 및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 시스템이 음색 발생 시스템에 결합된다.
빌트인 악보대(7D)는 후방 플레이트(7e), 캐리어(41A) 및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캐비닛(2C)의 상부면의 일부는 후방으로 경사지고, 임의의 테이블이 캐비닛(2C)의 상부면에 제공되지 않는다. 캐리어(41A) 및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의 대부분이 캐비닛(2C) 내에 숨겨지기 때문에, 외관은 어쿠스틱 피아노 또는 전자 키보드와 동일하다. 후방 플레이트(7e)는 토크 힌지(42a)에 의해 캐리어(41A)에 연결되고 캐비닛(2C) 상으로 돌출한다. 토크 힌지(42a)는 토크 힌지(42)와 동일하고, 편의상 이후에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은 캐리어(41A)에 연결된다.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은 캐리어(41A)에 힘을 가하고 후방 플레이트(7e)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은 전기 모터(50a), 스위치 박스(51a), 순환 벨트(52) 및 한 쌍의 풀리(53, 54)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50a)는 캐비닛(2C) 내측에 제공되고, 캐비닛(2C)의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출력 샤프트(51b)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풀리(53)는 출력 샤프트(51b)에 고정된다. 다른 풀리(54)는 타 측에 제공되고, 브라켓(도시안됨)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순환 벨트(52)는 건반(3C)에 평행한 풀리(53, 54) 사이에서 신장되고, 캐리어(41A)는 순환 벨트(52)에 고정된다. 도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톱니가 풀리(53, 54)에 형성되고 순환 벨트(52)는 내측면에 톱니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풀리(53)로부터 순환 벨트(52)까 지 심각한 미끄러짐 없이 토크가 정확하게 전달된다.
스위치 박스(51a)는 캐비닛(2C)에 고정되고 연주자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한 쌍의 누름 버튼(51c)이 스위치 박스(51a) 상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51c)을 누를 때, 전기 모터(50a)는 풀리(53)를 회전 구동시키고 캐리어(41A)는 후방 플레이트(7e)와 함께 좌측으로 측방향 이동된다. 후방 플레이트(7e)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누름 버튼(51c)에서 제거하고 전기 모터(50a)는 회전을 정지한다. 사용자가 다른 버튼(51c)을 누를 때, 전기 모터(50a)는 출력 샤프트(51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따라서, 캐리어(41A)는 후방 플레이트(7e)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된다. 적절한 위치에 후방 플레이트(7e)가 도달할 때, 사용자는 누름 버튼(51c)으로부터 그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제거하여 후방 플레이트(7e)는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악보 책은 순환 벨트(52)를 따라 후방 플레이트(7e)의 측방향 운동을 통해 적절한 위치로 조절 가능하고,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은 건반 악기의 외관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제5 실시예
도면 중 도8을 참조하면, 다른 빌트인 악보대(7E)가 본 발명을 채용한 건반 악기에 결합된다. 건반 악기는 어쿠스틱 피아노 또는 전자 키보드이고 캐비닛(2D)을 갖는다. 빌트인 악보대(7E)는 연주자에게 대면하는 적절한 위치로 조절 가능하고, 빌트인 악보대(7E)의 대부분은 캐비닛(2D) 내에 숨겨진다. 이러한 이유로, 외관은 상응하는 표준 건반 악기와 동일하다.
빌트인 악보대(7E)는 후방 플레이트(7f), 테이블(도시안됨), 캐리어(41B) 및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를 포함한다.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는 캐비닛(2D)의 내측에 설치되고 숨겨진다. 후방 플레이트(7f)는 캐리어(41B)에 의해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에 연결되고, 측방향, 즉, 건반(3C)과 평행한 방향으로 양방향 이동된다. 후방 플레이트(7f)만이 캐비닛(2D)으로부터 돌출하고 외관은 상응하는 표준 건반 악기와 동일하다. 테이블(도시안됨)이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의 앞의 캐비닛(2D)에 제공되지만, 테이블은 도8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는 전기 모터(50b), 스위치 박스(도시안됨) 및 랙(55)과 피니언(56)의 조합체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50b)는 캐비닛(2D)의 중심 주위에 위치되고, 출력 샤프트(41e)는 전방으로 돌출한다. 피니언(56)은 출력 샤프트(41e)에 고정된다. 한편, 랙(55)은 캐리어(41B)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피니언(56)은 랙(55)과 맞물림 결합되어 보유된다.
이 경우에, 랙(55)은 캐리어(41B)와 전기 모터(50b)에 고정된다. 그러나, 피니언(56)은 캐비닛(2D)에 의해 지지되는 랙(55)과 맞물림 결합되어 보유되는 방식으로 캐리어(41B)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스트로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캐비닛(2D)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긴 랙은 후방 플레이트(7f)를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주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스트로크가 증가된다.
사용자가 스위치 박스(도시안됨)의 누름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를 때, 전기 모터(50b)는 피니언(56)을 회전 구동하고, 랙(55)은 캐리어(41B) 및 후방 플레이트(7f)와 함께 좌측으로 측방향 이동시킨다. 후방 플레이트(7f)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 사용자는 누름 스위치에서 그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제거하고 전기 모터(50b)는 회전을 중지한다.
사용자가 후방 플레이트(7f)를 대향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다른 버튼을 누르고 전기 모터(50b)는 피니언(56)을 대향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랙(55)은 캐리어(41B) 및 후방 플레이트(7f)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된다. 적절한 위치로 후방 플레이트(7f)가 도달하면, 사용자는 누름 버튼으로부터 그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제거하여 후방 플레이트(7f)는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빌트인 악보대(7E)는 랙(55)을 따라 후방 보드(7f)의 측방향 운동을 통해 악보 책을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는 것을 허용하고, 캐비닛(2D) 내측에 숨겨진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는 사용자에게 건반 악기가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해당 기술 분야 종사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남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부 비임(2h)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어떤 제한도 설정하지 않는다. 기부(20) 또는 가이드 레일(31)은 피아노 캐비닛(2A) 내측의 측부 보드(1f)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기부(20) 또는 가이드 레일(31)은 예를 들어, 데스크 레일 또는 레일들, 상부 전방 보드 및 탑 보드와 같은 피아노 캐비닛의 다른 부품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7b, 7c, 7d, 7e, 7f)는 경사진 표면부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후방 플레이트(7b, 7c, 7d, 7e, 7f)는 경사진 표면부의 구성 요소이다. 이 경우에, 후방 플레이트는 L자형 단면을 갖고, 악보 책은 후방 플레이트부에 대해 놓여지고 경사진 표면부는 악보 책의 받침부를 지지한다.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 50A)는 후방 플레이트(7b, 7c, 7d, 7e, 7f)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캐리어가 후방 플레이트와 구동 기구 사이에서 생략될 수 있다.
단일 후방 플레이트(7b)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어떤 제한도 설정하지 않는다. 한 쌍의 슬라이더들과 후방 플레이트(7b)들이 2인 합주용으로 홈(2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윤활 시트(26)는 홈(23)을 한정하는 내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임의의 리세스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리어는 하향으로 개방되는 리세스를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은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일방향 클러치 및 자유 잠금 힌지가 상부 비임(2h)과 후방 플레이트(7d)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마찰 디스크 또는 다른 종류의 틸트 기구가 또한 악보대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한편, 지주가 후방 플레이트(7d)의 후방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주는 후방 플레이트(7d)를 주어진 각도 위치로 유지한다.
빌트인 악보대는 소음식 피아노 또는 자동 연주 피아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소음식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 또는 업라이트 피아노에 기초하여 제조되고 해머 스토퍼 및 전자음 발생 시스템이 피아노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해머 스토퍼 는 자유 위치와 블로킹 위치 사이에서 변경된다. 피아니스트가 어쿠스틱 피아노 톤으로 악절을 연주하는 동안, 소음식 피아노는 해머 스토퍼를 해머의 궤도 외측으로 유지하여 해머가 어쿠스틱 피아노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현을 선택적으로 타격한다. 피아니스트가 전자음으로 악절을 연주할 때, 해머 스토퍼는 해머의 궤도, 즉 블로킹 위치로 이동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으로 악절을 연주하는 동안, 해머는 회전 구동되고 현에 도달하기 전에 해머 스토퍼에서 되튕겨진다. 어떤 현도 해머로 타격되지 않고 따라서 진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음 발생 시스템은 건 운동을 모니터하고 발생되는 어쿠스틱 피아노 음색에 상응하는 전자 음색을 전자적으로 생성시킨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어쿠스틱 피아노 음색 또는 전자 음색을 통해 소음식 피아노에서 악절을 연주할 수 있다.
자동 연주 피아노는 또한 그랜드 피아노 또는 업라이트 피아노에 기초하여 만들어진다. 자동 연주 시스템은 피아노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제어기 및 솔레노이드 작동식 건 작동기는 자동 연주 시스템의 필수부를 형성한다. 제어기는 적절한 정보 저장 매체로부터 이미 공급된 음악 데이터 코드를 분석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눌려지는 건과 눌림 개시 타이밍을 결정한다. 시간이 되면, 제어기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건 작동기에 구동 신호를 적절한 타이밍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솔레노이드 작동식 건 작동기는 건반의 핑거링 없이 연관된 건을 이동시켜 액션 유닛을 통해 해머가 회전 구동된다. 해머는 어쿠스틱 피아노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현을 타격한다. 따라서, 자동 연주 피아노는 인간 연주자의 임의의 핑거링 없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악 데이터 코드는 기록 시스템에 의 한 원래 연주에서 생성된다.
악보대(7A, 7B, 7C 및 7D)는 업라이트 피아노에 설치될 수 있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좁은 슬롯은 전방 보드에 설치되고 피아노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구는 슬롯을 통해 후방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좁은 슬롯은 잘 보이지 않아 표준 업라이트 피아노와 외관이 거의 동일하다.
모터(50a, 50b)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작동식 작동기, 푸트 페달 및 링크 시스템의 조합 또는 핸들 및 링크 시스템의 조합과 같은 다른 종류의 동력 공급원으로 대체될 수 있다.
풀리(53, 54) 및 순환 벨트(52)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에 어떤 제한도 설정하지 않는다. 와이어 또는 체인이 전기 모터(50a)와 캐리어(41A)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청구항 용어는 후술한 바와 같이 그랜드 피아노/건반 악기의 부품들과 상호 관련이 있다. "캐비닛"은 피아노 캐비닛(2A) 및 캐비닛(2C, 2D)에 상응한다. 액션 유닛(3D), 해머(3E) 및 현(3F)은 "음색 발생 시스템"의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이고, 전자음 발생 시스템과 음 시스템은 전자 키보드에서 "음색 발생 시스템"으로써 제공된다. 다른 요소 "악보판"은 후방 플레이트(7b, 7c, 7d, 7e, 7f)와 경사면부(22) 또는 테이블(20A, 20B)의 조합에 상응한다. 후방 플레이트가 경사면부와 일체식인 경우에, 후방 플레이트와 경사면부 전체는 "악보판"을 구성한다. 기부(20)와 슬라이더(25)의 조합, 가이드 레일(31)과 캐리어(25C)의 조합, 가이드 홈(40)을 한정하는 내부면과 캐리어(41)의 조합, 모터 작동식 구동 시스템(50)과 캐리어(41A)의 조합 및 모터 작동식 구동 기구(50A)와 캐리어(41B)의 조합은 다른 요소 "가이드"에 상응한다.
토크 힌지(42, 42a)는 다른 요소 "틸트 기구"의 예이다. 일방향 클러치, 자유 잠금 힌지, 지주 및 마찰 디스크는 또한 "틸트 기구"로써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관의 손상 없이 측방향 운동을 통해 문서의 측방향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악보대를 갖는 건반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한 건반 악기이며,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표면을 갖는 캐비닛(2A, 2C, 2D)과,
    발생되는 음색의 피치를 지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복수의 건을 갖고, 상기 캐비닛(2A, 2C, 2D)의 외측으로 상기 복수의 건이 노출되도록 상기 표면에 위치된 건반(3C)과,
    상기 캐비닛(2A, 2C, 2D)에 수납되고 상기 피치에서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건반에 연결되는 음색 발생 시스템(3D, 3E, 3F)과,
    문서(13)가 놓여지는 악보판(7b, 7c, 7d, 7e, 7f)과, 사용자가 악보판을 상기 건반(3C)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악보판(7b, 7c, 7d, 7e, 7f)에 연결되는 가이드(20/25, 31/25C, 40/41, 50/41A, 50A/41B)를 갖는 악보대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25, 31/25C, 40/41, 50/41A, 50A/41B)는 상기 캐비닛(2A, 2C, 2D)의 내측에 숨겨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가이드의 잔여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25, 31/25C, 40/41, 50/41A, 50A/41B)는 상기 캐비닛(2A)의 부품 부재(2h) 내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가이드의 잔여부는 상기 부품 부재 상의 개방 공간에 노출되는 건반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구성 부재(2h) 내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23)이 형성된 기부(20)와,
    상기 홈(23)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더(25)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25)의 활주 운동을 통해 상기 홈(23)을 따라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악보판의 부품(7b)에 연결되는 건반 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20)는, 후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악보판의 다른 부품을 형성하는 상부면(22)을 포함하는 건반 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20)는 상기 건반(3C)과 평행한 기부의 전방 단부를 따라 연장하고 악보판의 다른 부품을 형성하는 리지(1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22)은 상기 리지(14)와 상기 홈(23) 사이에서 연장하는 건반 악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홈(23)을 한정하는 기부(20)의 내부면과 슬라이더(25) 사이에 윤활 시트(2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20)가 홈(23)을 따라 부드럽게 활주하는 건반 악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구성 부재(2h)에 끼워 넣어지고 건반(3C)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리세스(32)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31)과,
    상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세스(32)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25D)를 갖는 캐리어(25C)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25C)는 캐리어(25C)의 측방향 운동을 통해 리세스(32)를 따라 악보판이 위치를 변경하도록 악보판의 부품(7c)에 연결되는 건반 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판은 가이드 레일(31)의 전방에서 상기 구성 부재(2h)에 제공된 테이블(20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20A)은 후방으로 경사진 상부면(22A)을 갖는 건반 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20A)은 전방 단부를 따라 리지(14A)가 형성되고, 상부면(22A)은 리지(14A)와 테이블(20A)의 후방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건반 악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건반(3C)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는 홈(40)을 한정하는 상기 구성 부재(2h)의 내부면과,
    상기 홈(40)을 따라 활주하도록 홈(40)에 놓여지고 악보판의 부품(7d)에 연결되는 캐리어(41)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40/41, 50/41A)와 악보판(7d, 7e)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문서(13)가 경사지도록 하는 틸트 기구(42, 42a)를 더 포함하는 건반 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40/41/7d/20B, 50/41A/7e)는 상기 캐비닛(2A, 2C)의 구성 부재(2h) 내에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지는 건반 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건반(3C)을 따라 평행하게 가이드 홈(40)을 한정하는 상기 구성 부재(2h)의 내부면과,
    상기 가이드 홈(40)을 따라 활주하도록 가이드 홈(40)에 놓여지고 상기 틸트 기구(42)를 통해 악보판의 부품(7d)에 연결되는 캐리어(41)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40)은 건반을 따라 연장하는 얕은 홈(40b)과, 건반을 따라 연장하고 얕은 홈과 접촉하는 깊은 홈(40a)을 포함하여 가이드 홈은 역L자 단면을 갖고,
    상기 캐리어(41)는 활주식으로 얕은 홈(40b)의 저부를 한정하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 놓여지는 얇은 부분(41b)과 상기 얇은 부분(41b)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고 얇은 부분(41b)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깊은 홈(40a) 내에 수용되는 두꺼운 부분(41a)을 포함하는 건반 악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부드럽게 활주하도록 캐리어(41)와 상기 내부면 사이에 제공된 윤활 시트(26b)를 더 포함하는 건반 악기.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악보판(7e, 7f)에 연결된 부분(41A, 41B)을 갖고 건반에 평행하게 악보판(7e, 7f)을 이동시키도록 건반에 평행하게 이동되는 구동 기구(50, 50A)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출력 샤프트(51b)를 갖는 모터(50a/51a/51c)와,
    상기 출력 샤프트(51b)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53)와,
    상기 건반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풀리(53)로부터 이격되고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다른 풀리(54)와,
    상기 풀리(53)와 다른 풀리(54) 사이에서 신장된 루프 부재(52)와,
    상기 루프 부재(52)와 악보판(7e) 사이에 고정된 캐리어(41A)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출력 샤프트(51e)를 갖는 모터(50b)와, 상기 출력 샤프트(51e)에 고정된 피니언(56)과, 건반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랙(55)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50b)와 상기 랙(55)은 캐리어(41B)와 캐비닛(2D)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건반 악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캐리어(41A)와 악보판(7e) 사이에 연결된 틸트 기구(42a)를 더 포함하는 건반 악기.
  20.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한 건반 악기이며,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상단부를 한정하는 상부면과 다른 표면을 갖는 캐비닛(2A, 2C, 2D)과,
    발생되는 음색의 피치를 지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복수의 건을 갖고,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상기 복수의 건이 노출되도록 상기 다른 표면에 위치되는 건반(3C)과,
    상기 캐비닛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고 상기 피치에서 음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건반에 연결되는 음색 발생 시스템(3D/3E/3F)과,
    문서가 놓여지는 악보판(7b, 7c, 7d, 7e, 7f)과, 사용자가 악보판을 건반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악보판에 연결되는 가이드(20/25, 31/25C, 40/41, 50/41A, 50A/41B)를 갖는 악보대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25, 31/25C, 40/41, 50/41A, 50A/41B)가 상부면의 근처에 제공되어 악보판(7b, 7c, 7d, 7e, 7f)이 상기 상부면 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판(7b, 7c, 7d)에 연결된 가이드의 부품(25, 25C, 41)은 가이드의 다른 부품에 부착 및 탈거되는 건반 악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악보판(7d, 7e)의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40, 41A)와,
    상기 건반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캐리어를 활주시키는 주행 경로(31, 52)와,
    상기 캐리어와 악보판 부품의 일부 사이에 제공되어 악보판이 캐리어 상에서 틸트되는 틸트 기구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
  23. 제20항에 있어서, 레일(20, 31, 2h)에는 하나의 리세스(23, 32, 40)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가이드의 부품을 형성하는 주행 경로로서 제공되고 가이드의 다른 부품을 형성하는 캐리어(25, 25C, 41)는 상기 레일로부터 탈착식인 건반 악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부품에 어떤 힘도 가하지 않고 건반을 따라 악보판(7e, 7f)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지시에 반응하는 구동 시스템(50, 50A)을 포함하는 건반 악기.
  25. 문서(13)가 놓여지는 악보판(7b, 7c, 7d, 7e, 7f)을 포함하는 건반 악기에 이용되는 악보대에 있어서,
    캐비닛의 내측에 숨겨지고 사용자가 악보판을 건반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악보판에 연결된 가이드(20/25, 31/25C, 40/41, 50/41A, 50A/4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건반 상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과 상기 건반에서 연주하기 위해 건반대의 전방에 앉아있는 연주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철수되는 건반 악기.
KR1020040020560A 2003-03-27 2004-03-26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 KR100609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87404A JP3885754B2 (ja) 2003-03-27 2003-03-27 鍵盤楽器用譜面板の取付構造
JPJP-P-2003-00087404 2003-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980A KR20040084980A (ko) 2004-10-07
KR100609797B1 true KR100609797B1 (ko) 2006-08-08

Family

ID=3282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560A KR100609797B1 (ko) 2003-03-27 2004-03-26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09095B2 (ko)
EP (1) EP1463029A2 (ko)
JP (1) JP3885754B2 (ko)
KR (1) KR100609797B1 (ko)
CN (2) CN2716953Y (ko)
TW (1) TWI2330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5754B2 (ja) * 2003-03-27 2007-02-2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用譜面板の取付構造
US7479591B2 (en) * 2006-08-30 2009-01-20 Wheeler Ray L Mobile music entertainment systems
WO2009108437A1 (en) *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DE112009000289T5 (de) * 2008-04-23 2011-02-17 Mitsubishi Electric Corp. Inhaltswiedergabevorrichtung und Programm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969698B1 (en) * 2013-10-18 2015-03-03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chassis and key guide structure for keyboard instrument
CN104505072A (zh) * 2014-12-09 2015-04-08 德清玛米亚乐器有限公司 带可调节琴谱架的数码钢琴
CN104505069A (zh) * 2014-12-09 2015-04-08 德清玛米亚乐器有限公司 可折叠式钢琴琴谱架
JP7046672B2 (ja) * 2018-03-28 2022-04-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長尺部品の取付け構造
CN108648731A (zh) * 2018-06-30 2018-10-12 浙江欧莱克琴业有限公司 一种电子钢琴用支撑架
JP7183768B2 (ja) * 2018-12-20 2022-1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楽器
US10796675B1 (en) * 2020-01-13 2020-10-06 Marty H. Turney Piano footed sheet music holder
CN111243562B (zh) * 2020-02-25 2023-05-26 许昌学院 一种钢琴教学琴谱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6345A (en) * 1952-01-29 1953-01-20 Walter L Caldwell Lamp to illuminate the keyboard and music rack of organs
US4593597A (en) * 1985-02-28 1986-06-10 Albrecht Ernest E Page-turning apparatus
JP4686804B2 (ja) * 1999-10-08 2011-05-25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
JP2001242868A (ja) * 2000-02-28 2001-09-07 Casio Comput Co Ltd 譜面立ての取付構造
JP3885754B2 (ja) * 2003-03-27 2007-02-2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用譜面板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09095B2 (en) 2006-03-07
JP2004294789A (ja) 2004-10-21
EP1463029A2 (en) 2004-09-29
CN2716953Y (zh) 2005-08-10
CN1534593B (zh) 2010-04-28
CN1534593A (zh) 2004-10-06
TWI233088B (en) 2005-05-21
JP3885754B2 (ja) 2007-02-28
TW200419529A (en) 2004-10-01
KR20040084980A (ko) 2004-10-07
US20040187667A1 (en)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797B1 (ko)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빌트인 악보대를 구비한 건반악기 및 그에 이용된 악보대
US7019201B2 (en)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US20040025673A1 (en)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JPH10153992A (ja) 鍵盤楽器
US20060272469A1 (en)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US6444885B2 (en)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US6992242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automatic top board spacer
US4656913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keyboard and cover
US7488884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sloped top surface
US6864412B2 (en) Stepless music rack an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US6781046B2 (en)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KR100594765B1 (ko) 손가락홈이 형성된 건반덮개를 구비한 키보드 음악기구
JP2005070565A (ja) 電子楽器のペダル装置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