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321B1 -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321B1
KR100522321B1 KR10-2000-0015283A KR20000015283A KR100522321B1 KR 100522321 B1 KR100522321 B1 KR 100522321B1 KR 20000015283 A KR20000015283 A KR 20000015283A KR 100522321 B1 KR100522321 B1 KR 10052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data signal
substrate
display devic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488A (ko
Inventor
엔도코고
오이시에이지
아루가야수히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경량 그리고 박형으로, 단자 접속 프로세스가 간단한 표시 장치를 실현한다.
유리 기판(23)이 유리 기판(24)에 대해 돌출하는 돌출 영역(23A)에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가 실장되고, 이들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 상에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가요성을 갖는 제어 회로 기판(22)이 탑재되어 있다. 제어 회로 기판(22)의 신호용 출력 측 단자부(22A)는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에 접속된 입력용 배선(29)의 끝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또, 유리 기판(24)의 돌출 영역(24A)에 실장된 주사용 드라이버 IC(31)에 접속된 입력용 배선(32)의 끝 부분에 제어 회로 기판(22)의 주사용 출력 측 단자부(22B)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 회로 기판(22)이 양 유리 기판(23, 24)의 단차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20)를 박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플랫 패널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련된다.
최근, 표시 장치는 휴대 기기, 가정, 오피스·공장, 자동차 등의 정보 표시 단말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 저전압,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현재, 미래를 포함하여 전자 디스플레이의 중심적 존재로, 저소비 전력을 살려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 등으로의 응용이 점점 왕성해지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 혹은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다이오드(TFD:Thin Film Diode) 등의 2단자형 비선형 소자를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1)가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패널(2)과, 각종 전자 부품을 실장한 프린트 기판(3)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2)과 프린트 기판(3)은 2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4, 5)을 개재시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유리 기판(6, 7)을 갖고 있다. 이들 유리 기판(6, 7) 사이에는 액정이 봉지되어 있다. 유리 기판(6)의 대향 안쪽면에는 복수의 신호 전극(8)이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7)의 대향 안쪽면에는, 상기 신호 전극(8)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주사 전극(9)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2)의 소정의 측면 가장자리부(도 7에 있어서 아래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6)의 가장자리부가 유리 기판(7)의 가장자리부보다 측면 방향(도면 중,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액정 표시 패널(2)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부에 인접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도면 중, 왼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다른쪽 유리 기판(7)의 가장자리부가 한쪽 유리 기판(6)의 가장자리부보다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기판(6)의 대향 안쪽면에 있어서의 돌출 영역(6A)에는,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10, 11)가 COG(Chip On Glass) 실장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10, 11)는 상기 복수의 신호 전극(8)이 연재된 출력 단자부(8A)와, 돌출 영역(6A)의 가장자리부 측에 배치·형성된 입력 단자부(1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유리 기판(7)의 대향 안쪽면에 있어서의 돌출 영역(7A)에는 주사용 드라이버 IC(13)가 COG 실장되어 있다. 이 주사용 드라이버 IC(13)는 상기 복수의 주사 전극(9)이 연재된 출력 단자부(9A), 돌출 영역(7A)의 가장자리부 측에 배치·형성된 입력 단자부(1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4)의 출력 측 단자 부분(4A)은 유리 기판(6)의 돌출 영역(6A)의 긴 변 부분을 따라 배치·형성된 복수의 입력 단자부(1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다른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의 출력 측 단자 부분(5A)은 유리 기판(7)의 돌출 영역(7A)의 긴 변 부분을 따라 배치·형성된 복수의 입력 단자부(14)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4)의 입력 측 단자부(4B)는 제어 회로 기판으로서의 프린트 기판(3)에 형성된 출력 단자부(15)에 접합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의 입력 측 단자 부분(5B)은 프린트 기판(3)에 형성된 출력 단자부(16)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3)에는 소정의 배선이 형성됨과 동시에, 액정 표시 패널(2)을 제어·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텐 키 등의 입력부를 구비하며, 입력부로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로 데이터 표시를 행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패널과 프린트 기판이 섀시(패널 수납 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프린트 기판이 액정 표시 패널의 후방 측에 배치되도록 2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굴곡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 기판으로서의 프린트 기판(3)이 액정 패널(2)의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두께나 전자기기의 표시부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나 전자기기의 경량화나 박형화를 도모할 때에, 프린트 기판(3)의 존재가 그것을 저지했었다. 휴대 전화나 휴대성을 중시한 포켓 사이즈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는, 특히 광체의 두께 치수가 한계까지 구해져 있다. 또, 이러한 제어 회로 기판에 의한 두께 문제는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이나, 상술한 2단자형 비선형 소자를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를 화소마다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나,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했다. 이렇게,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성, 이동성의 관점에서, 각종 표시 장치의 소형·경량화가 요망되어, 이에 동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에 사용하는 전자 부품을 한정된 크기, 중량 내에서 어떻게 고밀도 실장할 수 있을지가 과제가 되고 있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10, 11)가 실장된 유리 기판(6)의 돌출 영역(6A)에 접합시키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4)과, 주사용 드라이버 IC(13)가 실장된 유리 기판(7)의 돌출 영역(7A)에 접합시키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을 각각 독립으로 프린트 기판(3)에 접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듈 공정이 번잡해져 편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 각각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4, 5)을 따로 프린트 기판(3)에 접합하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3)에 배치·형성하는 출력 단자부(15, 16)끼리가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실장기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4, 5)을 프린트 기판(3)에서 접합시킬 때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만큼의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복수(2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사용하는 것이 프린트 기판(3)의 소형화를 저지하는 요인이 되었었다.
더욱이, 프린트 기판(3)에는 제어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용 배선 수단(15)을 별도 접속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단자 접속 프로세스가 번잡했다.
그래서, 이 발명이 과제로 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량 그리고 박형으로, 단자 접속 프로세스가 간단한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를 얻는 데에는 어떠한 수단을 강구하면 좋을지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재료층이 끼워진 표시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한쪽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가 다른쪽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또한 돌출부에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표시 장치로, 드라이버 IC 상에 돌출부의 영역에 거의 수용되도록 제어 회로 기판이 탑재되며, 제어 회로 기판이 상기 드라이버 IC의 입력 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한쪽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가 다른쪽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측면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 즉 다른쪽 기판과 한쪽 기판이 형성하는 단차부에 드라이버 IC가 실장되고, 드라이버 IC 상에 제어 회로 기판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어 회로 기판을 상기 단차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패널에 대해 별도 제어 회로 기판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을 개재시켜 접속할 필요 없이,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 1 기판에 있어서의 제 2 기판과의 대향면에 주사 전극이 형성되고, 또한 제 2 기판에 있어서의 제 1 기판과의 대향면에 신호 전극이 형성되며, 양 기판이 전기 광학 재료층을 끼고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이 서로 인접하는 측면 가장자리부 중, 한쪽 측면 가장자리부에 제 1 기판이 제 2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를 갖고, 또한 다른쪽 측면 가장자리부에 제 2 기판이 제 1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돌출하는 제 2 돌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제 1 돌출부에 주사 전극에 접속되는 주사용 드라이버 IC가 실장되며, 제 2 돌출부에 신호 전극에 접속되는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표시 장치로,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에 실장된 상기 드라이버 IC 상에, 제어 회로 기판이 이 돌출부의 평면 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탑재되어, 이 돌출부에 실장된 드라이버 IC의 입력 측 단자가 제어 회로 기판의 출력 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에 실장된 드라이버 IC 상에 제어 회로 기판을 탑재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별도 제어 회로 기판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을 개재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에 있어서의 단차에 드라이버 IC와 제어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배치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제어 회로 기판에서 주사용 드라이버 IC와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와의 양쪽에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자 접속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어 회로 기판을 탑재한 드라이버 IC의 입력 측 단자가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돌출부의 표면에 형성된 입력용 배선의 일단에 접속되며, 입력용 배선의 타단은 돌출부의 짧은 변 근방까지 돌려 배치되고 또한 제어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회로 기판이 돌출부의 짧은 변 근방에서 입력용 배선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회로 기판을 만곡시키기 쉬워, 입력용 배선에 접속한 상태에서 드라이버 IC 상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제어 회로 기판이 가요성을 갖는 절연성 수지 기판에 회로 배선이 형성됨과 동시에, 표시 패널의 구동 제어에 공급되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제어 회로 기판을 돌출부에 형성한 입력용 배선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어 회로 기판이 이 제어 회로 기판이 탑재된 돌출부에 인접하는 돌출부의 짧은 변 근방에 형성된 입력용 배선의 한쪽 끝 부분에 접속하도록 연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접속 회로 기판에 별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접합시키지 않고, 직접 제어 회로 기판을 인접하는 돌출부의 짧은 변 근방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접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제어 회로 기판이 복수층의 배선층 사이에 절연층이 개재되고, 또한 스루 홀 또는 비어 홀에 의해 소정의 상하 배선층이 접속된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복수층의 배선층을 스루 홀 또는 비어 홀을 개재시켜 접속함으로써, 배선의 집적도나 실장 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어 회로 기판이 가요성을 갖는 입력용 배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회로 기판을 입력용 배선부를 개재시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져, 배선 접속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재료층이 액정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 등에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음 과 동시에, 단자 접속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공정이 용이한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재료층이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재료를 포함하는 EL 발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EL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 회로 기판을 고집적화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는 상기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에 신호 입력을 행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며, 표시 장치가 광체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 표시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기기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패널이 제어 회로 기판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 편리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제어 회로 기판이 입력부와의 접속을 행하는 가요성을 갖는 입력용 배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부 측으로 접속하는 입력용 배선부를 제어 회로 기판이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 입력용 배선의 접합 공정을 요하지 않고, 조립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박막 다이오드(TFD:Thin Film Diode) 등의 2단자형 비선형 소자를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1)에서는, i개의 데이터선(X1 내지 Xi)과 j+1개의 주사선(Y1 내지 Yj)과의 각 교점에 있어서 화소 영역(P)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화소 영역(P)은 액정층(18)과 TFD 소자(19)가 직렬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주사선(Y1 내지 Yj)의 1개는 도 2에 있어서의 주사선(26)과 동일하다.
그리고, 각 주사선(Y1 내지 Yj)은 주사 신호 구동 회로(300)에 의해, 또, 각 데이터선(X1 내지 Xi)은 데이터 신호 구동 회로(200)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더욱이, 주사 신호 구동 회로(300) 및 데이터 신호 구동 회로(200)는 구동 제어 회로(12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1에서는, TFD 소자(19)가 주사선 측에 접속되고, 액정층(18)이 데이터선 측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TFD 소자(19)를 데이터선 측에 액정층(18)을 주사선 측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동 제어 회로(120)는 주사 신호 구동 회로에 대해, 데이터 신호 및 주사 신호에 있어서의 전압치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용 동기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터 신호 구동 회로에 대해, 동기 신호, 화상 신호로부터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소정 포맷의 데이터 신호 등을 공급하고 있다.
더욱이, 전원 회로(130)는 각 구동 회로에 소정의 고전위, 저전위, 기준 전위 등의 각종 제어 전위를 공급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구동 제어 회로(120) 및 전원 회로(130)가 탑재된 제어 회로 기판을 액정 표시 패널에 탑재된 드라이버 IC 상에 재치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각 부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20)는 액정 표시 패널(21)과, 이 액정 표시 패널(21)에 탑재된 제어 회로 기판(22)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액정 표시 패널(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패널(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유리 기판(23, 24)을 갖고 있다. 양 유리 기판(23, 24) 사이에는, 표시 영역을 주회하도록 실재(도시 생략한다)가 개재되고, 양 유리 기판(23, 24)에서 끼며 또한 실재로 둘러싸인 틈에 액정(도시 생략한다)이 봉지되어 있다.
유리 기판(23)의 대향 안쪽면(유리 기판(24)과 대향하는 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 신호 전극(25)이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신호 전극(25)은 광을 투과시키는 예를 들면, 산화 인듐 주석(ITO:Indium Tin Oxide)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신호 전극(25)은 소정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 X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개재시키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24)의 대향 안쪽면(유리 기판(23)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신호 전극(25)과 직교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 Y방향)을 따라 복수의 주사 전극(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사 전극(26)은 표시 광을 반사하는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주사 전극(26)은 마찬가지로 소정 간격을 개재시키고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유리 기판(23)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신호 전극(25)과 유리 기판(24)에 형성된 복수의 주사 전극(26)과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TFD 소자(19) 및 화소 전극, 액정층(18)이 직렬 접속되어, 소위 X-Y 매트릭스 형상의 화소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1)의 소정의 측면 가장자리부(도면 중, 아래쪽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23)의 둘레 가장자리가 유리 기판(24)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측면 방향(도면 중,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액정 표시 패널(21)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부에 인접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도 2에서는 왼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반대로 유리 기판(24)의 둘레 가장자리가 유리 기판(23)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측면 방향(도면 중, 왼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유리 기판(23)의 대향 안쪽면에 있어서의 돌출 영역(23A)에는,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가 COG(chip on glass) 실장되어 있다. 또한, 이들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는 복수의 신호 전극(25)이 연재된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부(25A)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복수의 입력용 배선(29)의 한쪽 끝 부분(입력 단자부)(29A)이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는 이들 출력 단자부(25A) 및 입력용 배선(29)의 한쪽 끝 부분(29A)에 대해, 페이스 다운에 의해 플립 칩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8)의 하면에 돌출 설치한 뱀프(28A)가 입력용 배선(29)의 한쪽 끝 부분(29A)에 이방성 도전 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30)을 개재시켜 접속·접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입력용 배선(29)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아서, 다른쪽 끝 부분(출력 단자부)(29B)이 돌출 영역(23A)의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영역(24A)과 반대 측)의 짧은 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입력용 배선(29)의 다른쪽 끝 부분(29B)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 회로 기판(22)의 신호용 출력 측 단자부(22A)에 ACF(33)를 개재시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 기판(22)은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 상에 절연 기판(34)을 개재시켜 탑재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24)의 대향 안쪽면에 있어서의 돌출 영역(24A)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용 드라이버 IC(31)가 COG 실장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와 마찬가지로, 주사용 드라이버 IC(31)는 상기 복수의 주사 전극(26)이 연재된 출력 단자부(26A)와, 입력용 배선(32)의 한쪽 끝 부분(입력 단자부)(32A)에 대해, 페이스 다운에 의한 플립 칩 실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입력용 배선(32)은 유리 기판(24)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23)의 돌출 영역(23A)에 가까운 쪽의 짧은 변 근방까지 연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짧은 변 근방까지 연재된 입력용 배선(32)의 다른쪽 끝 부분(출력 단자부)(32B)은 상기 제어 회로 기판(22)에 접속된다.
또한,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 및 주사용 드라이버 IC(31)의 입력 측 단자 수(입력용 배선(29, 32) 수)는 출력 측 단자 수(신호 전극(25), 주사 전극(26) 수)에 비해 대폭 적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영역(23A) 및 돌출 영역(24A)의 짧은 변을 따라 배치·형성해도, 단자의 배치 면적이 좁아진다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어 회로 기판(2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회로 기판(22)에는, 도 1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120) 및 전원 회로(130)의 부분을 구성하는 전자 부품이 탑재된 회로 기판으로, 전체로서 가요성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 기판(22)은 평면적으로 보아 유리 기판(23)의 돌출 영역(23A) 내에 거의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 기판(22)에 있어서의 신호용 출력 측 단자부(22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끝 부분에는, 유리 기판(24)의 돌출 영역(24A)의 짧은 변에 연장되는 주사용 출력 측 단자부(2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주사용 출력 측 단자부(22B)는 입력용 배선(32)의 다른쪽 끝 부분(32B)에 도시하지 않은 ACF를 개재시키고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 회로 기판(22)은 이 제어 회로 기판(22)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 입력용 배선(2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 기판(2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35)의 표리면에 소정 패턴의 배선(36, 3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배선(36, 37)끼리는, 적당히, 스루 홀(또는 비어 홀)(38)을 개재시켜 접속되어 제어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베이스 시트(35)의 표리면에 형성된 배선(36, 37)은 절연성 피복막(39, 40)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위치의 배선(36)이 드러나도록 절연성 피복막(39)에 개구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9A)에 의해 드러난 패드로서의 배선(36)에, 각종 전자 부품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전원 회로(130)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으로서의 파워 IC(41)를 페이스 다운에 의해 뱀프(41A)와 배선(36)을 ACF(42)를 개재시켜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어 회로 기판(22)에 있어서의 신호용 출력 측 단자부(22A), 주사용 출력 측 단자부(22B) 및 제어 신호 입력용 배선(22C)은 상기 베이스 시트(35)가 연재 되며, 마찬가지로 배선 패턴이 적당히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어 회로 기판(22)은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 상에 절연 기판(34)을 개재시켜 탑재되는 것으로, 이들 드라이버 IC(27, 28)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이 절연 기판(34)은 제어 회로 기판(22)을 탑재한 상태에서의 제어 회로 기판(22)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되지만, 제어 회로 기판(22)이 소정의 강성을 갖는 경우는 절연 기판(34)을 생략해도 된다.
상기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20)는 유리 기판(23)과 유리 기판(24)에서 단차를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 상에 제어 회로 기판(22)을 탑재한 상태에서, 제어 회로 기판(22)의 최상부가 유리 기판(24)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드라이버 IC, 제어 회로 기판(22), 절연 기판(34)을 포함한 높이 치수가 유리 기판(24)의 두께 치수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어 회로 기판(22)의 최상부가 유리 기판(2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성이 되어도, 별도로, 프린트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제어 회로 기판을 준비할 경우에 비해, 액정 표시 장치(20)의 두께 치수를 대폭 단축할 수 있다는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20)를 광체(섀시)(51)에 수납하여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기판(23)의 돌출 영역(23A) 상(대향 안쪽면 상)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27, 28) 상에 제어 회로 기판(22)을 탑재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20)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광체(51)의 박형화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20)를 표시부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5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1)이 광체(51)에 수납되고, 이 광체(51)에 형성된 개구부(51A)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21)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드러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입력부로서의 키보드(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퍼스널 컴퓨터(50)의 표시부에 있어서는, 상기 이유로 광체(51)를 박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50)의 박형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 회로 기판(22)에 일체적으로 제어 신호 입력용 배선(22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의 배선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부(키보드(52))로의 접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예를 들면 호출기, 액정 텔레비젼, 뷰 파인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휴대 전화, 텔레비젼 전화 등의 박형화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련되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의 요지에 따르는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TFD(Thin Film Diode) 소자를 화소 전극마다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이나,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라도 된다. 이들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라도 물론 된다. 또, 표시 장치로서는, 이 밖에, EL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EL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재료로서, 형광 재료를 포함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며, 주사 전극이나 신호 전극 등의 구성은 액정 표시 장치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 회로 기판(22)을 유리 기판(23)의 돌출 영역(23A)에 배치했지만, 유리 기판(24)의 돌출 영역(24A)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양 돌출 영역(23A, 24A)에 각각 기능을 분담하는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해도 된다. 또, 제어 회로 기판(22)은 단자 접속을 행하는 각 접속 단자부 근방만이 가요성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더욱이, 제어 회로 기판(22)에 형성하는 배선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다층 구조라도 되고, 단층 구조라도 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널용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했지만, 유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회로 기판을 단차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표시 패널에 대해 별도 제어 회로 기판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을 개재시켜 접속할 필요 없이,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제어 회로 기판에서 주사용 드라이버 IC와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와의 양쪽에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자 접속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접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복수층의 배선층을 스루 홀 또는 비어 홀을 개재시켜 접속함으로써, 배선의 집적도나 실장 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 등에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자 접속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공정이 용이한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표시 장치의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를 광체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액정 표시 장치 21: 액정 표시 패널
22: 제어 회로 기판 23, 24: 유리 기판
23A, 24A: 돌출 영역 25: 신호 전극
26: 주사 전극 27, 28: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
29: 입력용 배선 31: 주사용 드라이버 IC
32: 입력용 배선 34: 절연 기판
35: 베이스 시트 36, 37: 배선
38: 스루 홀 39, 40: 절연성 피복막
41: 파워 IC(전자 부품) 50: 퍼스널 컴퓨터
51: 광체 51A: 개구부
52: 키보드(입력부)

Claims (12)

  1.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재료층이 협지(挾持)된 표시 패널의, 상기 기판의 한쪽이 다른쪽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영역에, 해당 돌출 영역의 긴변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표시 장치로서,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 위에 중첩되어 재치(載置)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돌출 영역에 거의 수용되도록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 위에 재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서의 일단(一端)에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가 설치되고,
    해당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는 상기 돌출 영역의 짧은변의 한쪽과 이것에 인접하는 측의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의 실장 위치와의 사이의 돌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의 입력 배선의 단부(端部)와 접속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형성된 배선이 상기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의 입력 배선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기판에서의 상기 제 2 기판과의 대향면에 주사 전극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기판에서의 상기 제 1 기판과의 대향면에 데이터 신호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이 전기 광학 재료층을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의 상기 제 1 기판이 상기 제 2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이 상기 제 1 기판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돌출하는 제 2 돌출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돌출 영역에 상기 주사 전극에 접속되는 주사용 드라이버 IC가 실장되며,
    상기 제 2 돌출 영역에 상기 제 2 돌출 영역의 긴변을 따라서 상기 데이터 신호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표시 장치로서,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 위에 중첩되어 재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제 2 돌출 영역내에 거의 수용되도록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 위에 재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서의 일단에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가 설치되며,
    해당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는 상기 제 2 돌출 영역의 짧은변의 한쪽과 이것에 인접하는 측의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의 실장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의 입력 배선의 단부와 접속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브 IC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형성된 배선이 상기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신호용 드라이버 IC의 입력 배선의 단부와 접속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해당 회로 기판의 신호용 출력측 단자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주사용 출력측 단자부가 형성되고,
    해당 주사용 출력측 단자부는 상기 제 1 돌출 영역에서 상기 주사용 드라이버 IC의 입력 배선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복수층의 배선층 사이에 절연층을 개재시켜, 스루 홀 또는 비어 홀에 의해 소정의 상하 배선층이 접속된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해당 회로 기판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배선이 형성된 배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재료층은 액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재료층은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 재료를 포함하는 EL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해당 표시 장치에 신호 입력을 행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 장치가 광체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회로 기판은 해당 회로 기판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배선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입력부와 접속된 배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절연 기판을 통하여 상기 신호용 드라이버 IC 위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0-0015283A 1999-03-26 2000-03-25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522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84769A JP2000276068A (ja) 1999-03-26 1999-03-26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99-84769 199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488A KR20000071488A (ko) 2000-11-25
KR100522321B1 true KR100522321B1 (ko) 2005-10-18

Family

ID=1383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283A KR100522321B1 (ko) 1999-03-26 2000-03-25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19801B1 (ko)
EP (1) EP1039331B1 (ko)
JP (1) JP2000276068A (ko)
KR (1) KR100522321B1 (ko)
CN (1) CN1135424C (ko)
DE (1) DE60030612T2 (ko)
HK (1) HK1031918A1 (ko)
TW (1) TWI269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2598B2 (ja) * 2000-08-24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TWI304909B (ko) 2000-10-04 2009-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2002258766A (ja) * 2001-02-28 2002-09-11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108021A (ja) * 2001-09-28 2003-04-11 Hitachi Ltd 表示装置
US7508479B2 (en) 2001-11-15 2009-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89139B1 (ko) * 2001-11-15 200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온 글라스 싱글칩 액정표시장치
KR100511349B1 (ko) * 2001-12-29 2005-08-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3977299B2 (ja) 2002-09-18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マトリクス基板、及び電子機器
KR101124846B1 (ko) * 2002-12-30 2012-03-2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캐리어 및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JP2004247373A (ja) 2003-02-12 2004-09-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JP3770240B2 (ja) * 2003-02-20 2006-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925466B1 (ko) * 2003-02-27 200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4357868B2 (ja) * 2003-04-25 2009-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4349009B2 (ja) 2003-06-24 2009-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5062582A (ja) * 2003-08-18 2005-03-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20060039658A (ko) * 2004-11-03 200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키트
WO2007063787A1 (en) * 2005-12-02 2007-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786582B2 (en) * 2009-10-27 2014-07-2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8711570B2 (en) * 2011-06-21 2014-04-29 Apple Inc. Flexible circuit routing
US9041176B2 (en) 2012-10-08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semiconductor module structure
WO2015178059A1 (ja) * 2014-05-22 2015-11-26 シャープ株式会社 接続配線
US20160335835A1 (en) * 2015-05-15 2016-11-17 Wms Gaming Inc. Gaming systems and electronic gaming machines with multi-display device arrangements
KR102391249B1 (ko) * 2015-05-28 2022-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574158B (zh) * 2017-03-14 2020-10-09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902769B2 (en) * 2017-07-12 2021-01-26 Facebook Technologies, Llc Multi-layer fabrication for pixels with calibration compensation
CN107561764A (zh) * 2017-10-30 2018-01-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77U (ko) * 1990-07-16 1992-03-18
JPH08262467A (ja) * 1995-03-20 1996-10-11 Toshiba Corp 表示装置及び半導体素子
KR19980077966A (ko) * 1997-04-24 1998-11-16 윤종용 Lcd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9980080419A (ko) * 1997-03-27 1998-11-25 가따오까마사따까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0953C2 (de) * 1979-11-01 1984-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Bildanzeigeeinrichtung
JPS59231518A (ja) 1983-06-14 1984-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とプリント基板の接続装置
JPH01259395A (ja) 1988-04-11 1989-10-17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02769U (ko) 1989-02-03 1990-08-15
JP2724890B2 (ja) 1989-11-14 1998-03-09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回路の立体組立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3077A (ja) 1990-05-24 1992-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塗りつぶし装置
US6067062A (en) * 1990-09-05 2000-05-23 Seiko Instruments Inc. Light valve device
US5347154A (en) * 1990-11-15 1994-09-13 Seiko Instruments Inc. Light valve device using semiconductive composite substrate
US5241454A (en) 1992-01-22 1993-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tlilayered flexible circuit package
JPH05224224A (ja) 1992-02-10 1993-09-03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5303109A (ja) 1992-04-27 1993-11-16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US5592199A (en)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H06235929A (ja) 1993-02-10 1994-08-23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5467210A (en) * 1993-02-16 1995-11-14 Casio Computer Co., Ltd. Arrangement of bonding IC chip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777610A (en) * 1993-10-28 1998-07-07 Sharp Kabushiki Kaisha Small-sized, lightweight display device easy to rewor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5841414A (en) 1994-08-16 1998-11-24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878954A (ja) 1994-09-08 1996-03-22 Citizen Watch Co Ltd 発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62199A (ja) 1995-08-30 1997-03-07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20079A (ja) 1995-10-26 1997-05-0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124097A (ja) 1997-07-03 1999-01-29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873478B2 (ja) * 1997-12-25 2007-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77U (ko) * 1990-07-16 1992-03-18
JPH08262467A (ja) * 1995-03-20 1996-10-11 Toshiba Corp 表示装置及び半導体素子
KR19980080419A (ko) * 1997-03-27 1998-11-25 가따오까마사따까 액정표시장치
KR19980077966A (ko) * 1997-04-24 1998-11-16 윤종용 Lcd패널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0612T2 (de) 2007-01-11
JP2000276068A (ja) 2000-10-06
EP1039331A3 (en) 2001-01-24
EP1039331A2 (en) 2000-09-27
HK1031918A1 (en) 2001-06-29
CN1269521A (zh) 2000-10-11
TWI269913B (en) 2007-01-01
CN1135424C (zh) 2004-01-21
KR20000071488A (ko) 2000-11-25
EP1039331B1 (en) 2006-09-13
DE60030612D1 (de) 2006-10-26
US7119801B1 (en) 200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321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6972966B1 (en) Composite flexible wiring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20334675A1 (en) Display panel
KR100522320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US6617521B1 (en)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454792B1 (ko) 가요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6542374B1 (en) Circuit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circuit board
US756733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519021B1 (en) Wiring board for connection of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831841B2 (en) Flexible substrat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12280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半導体素子、並びに電子機器
JP2000294895A (ja) 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回路基板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76097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4077588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69799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52984A (ja) 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305476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375767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1094220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1044575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8083177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