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510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10B1
KR100520510B1 KR10-2003-0083400A KR20030083400A KR100520510B1 KR 100520510 B1 KR100520510 B1 KR 100520510B1 KR 20030083400 A KR20030083400 A KR 20030083400A KR 100520510 B1 KR100520510 B1 KR 10052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developer
air
counseling
vacuum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702A (ko
Inventor
김정선
이현철
서영욱
크라스노슬로보드체브발레리
신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10B1/ko
Priority to US10/986,295 priority patent/US7046940B2/en
Priority to CNB2004100947582A priority patent/CN100365522C/zh
Publication of KR2005004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75Arrangements for shipping or transporting of the developing device to or from the user
    • G03G2215/0877Sealing of the developing device opening, facing the image-carry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 유닛은,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측을 향하여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기출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출입관, 및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출입관과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공기출입구측의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진공원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가지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현상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매체로의 화상기록을 위해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및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인쇄방식에 따라 잉크젯 방식과 전자사진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상술된 화상형성장치들 중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중 레이저빔 프린터를 일례로 들어 도시해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장치(110)와, 현상장치(120) 및 급지장치(110)로부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의 롤러(101~103)들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장치(120)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상담지체(121)와, 상기 상담지체(121)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광주사유닛(129)과, 현상제(T)를 수용하는 카트리지(125)와, 상기 상담지체(121)에 상기 정전잠상을 따라 화상이 형성되도록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담지체(122)와, 전사체(124)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롤러형상 또는 도시되지 않은 벨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현상장치(120)는, 상담지체(121)로의 현상제(T) 공급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의 사이에서 상담지체(121)의 회전에 의해 상담지체(121)의 회전방향(상담지체가 벨트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이동방향)을 따라 공기가 유동된다(A;도 2 참조). 이에 따라,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의 사이를 통해 현상제가 비산되어 현상장치(120)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의 현상장치(120)는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더 구비한다.
도 2는 종래의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현상제 비산방지유닛(130)은 상담지체(121) 및 현상제담지체(122)와 별도로 구동되는 한 쌍의 진공원(131)과,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의 사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덕트부재(133)를 포함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135는 흡입된 현상제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나타낸다.
상술된 종래의 현상제 비산방지유닛(130)을 구비하는 현상장치(120)의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JP11-327295에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길 바란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현상제 비산방지유닛(130)을 구비하는 현상장치(120)는, 한 쌍의 진공원(131) 각각이 상담지체(121) 및 현상제담지체(122)와 별도로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터(미도시)와, 그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장치(140)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현상장치(120)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구성요소의 추가에 따른 현상장치(120)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간단하고 저렴하게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사이에서 현상제가 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측을 향하여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기출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출입관; 및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공기출입관과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측의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진공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단 중 적어도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팬부재; 및 상기 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공기출입관과 연결되는 제 2 공기출입구, 상기 제 2 공기출입구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기출입구, 및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팬부재는 상기 제 1 유로상에 설치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팬부재는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구동될 때 그와 일체로 회전된다.
여기서, 팬부재는, 상기 팬부재의 회전구동시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팬부재의 회전구동시 상기 제 1 공기출입구 및 상기 공기출입관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른 상기 제 2 공기출입구의 하류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의 외곽을 둘러싸는 하우징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제 4 공기출입구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 3 공기출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제 3 공기출입구를 덮도록 설치될 경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 3 공기출입구의 단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일측단에 설치될 경우, 상기 공기출입관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유로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양측단에 쌍을 이루며 설치될 경우, 상기 제 1 및 한 쌍의 제 2 공기출입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공기출입관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유로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상기 공기출입관의 중앙부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상기 공기출입관의 중앙부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공원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제 1 공기흡입구를 통한 공기흡입효율의 저하가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상담지체 또는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의 출입방향은 팬부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팬부재가 축류팬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를 경유하는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은 상기 상담지체 또는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과 나란하게 되며, 팬부재가 원심팬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를 경유하는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은 상기 상담지체 또는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제 3 공기출입구를 경유하는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은 상기 주축방향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는 상기 연결유로에 의해서만 연결되도록 상호 격리되어 공기흡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종래기술에서 설명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의 일부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는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 및 현상제 비산방지유닛(230)을 포함하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230)은 진공원(240)과, 공기출입관(250)을 포함한다.
진공원(240)은 현상제담지체(122)의 양측단에 설치된다. 상담지체(121)가 롤러형상으로 형성되고, 현상제담지체(122)가 벨트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진공원(240)은 상담지체(121)의 양측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가 모두 롤러로 형성되는 경우, 필요하다면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 모두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원(240)은 팬부재(270)와, 그 팬부재(270)의 외곽을 둘러싸는 케이싱(241)과, 필터(260)를 포함한다.
팬부재(270)는 중앙부가 현상제담지체(122)의 회전축(123)에 결합되어 현상제담지체(122)가 회전구동될 때 현상제담지체(122)와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팬부재(270)는 현상제담지체(122)의 회전구동시 회전하여 후술될 공기출입관(250)의 제 1 공기출입구(251)를 통해 제 1 공기출입구(251) 주변의 공기가 비산되는 현상제(T;도 1참조)와 함께 흡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싱(241)은 팬부재(270)의 외곽을 둘러싸는 제 1 케이싱(242)과, 그 제 1 케이싱(242)의 개방단을 덮는 제 2 케이싱(248)을 포함한다. 제 1 케이싱(242)은 팬부재(270)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공간부(243)가 내부에 형성되며, 현상제담지체(122)의 회전축(123)이 삽입되는 제 1 관통공(247)을 구비한다. 제 2 케이싱(248)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현상제담지체(122)의 회전축(123)이 삽입되는 제 2 관통공(248a)을 구비하며, 일측에는 후술될 공기출입관(250)의 개방단과 연결되는 제 2 공기출입구(249)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공기출입구(249)를 통해 케이싱(24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케이싱(242)의 내측에 형성된 격벽(244)에 의해 형성된 제 1 공기유로(242a;도 6 참조)에 의해 안내된다. 즉, 케이싱(24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공기유로(242a)에 의해 제 1 케이싱(242)의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어 배기덕트(246)의 제 3 공기출입구(245)를 통해 배출된다.
필터(260)는 배기덕트(246)에 장착되어, 제 3 공기출입구(24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현상제를 걸러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필터(260)는 직육면체의 프레임(261)과, 프레임(261)의 개방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성 필터부재(26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260)의 형상은 꼭 본 실시예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원추형 또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260)는 제 3 출입구(245)의 면적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이는 필터부재(265)에 의해 걸러진 현상제에 의해 제 3 공기출입구(245)가 막혀 케이싱(240) 내부의 공기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260)는, 배기덕트(246)가 미도시된 현상장치(220;도 9참조)의 하우징(228;도 9참조)의 외부에 노출될 경우, 현상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배기덕트(246)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공기출입관(250)은 상담지체(121)와 현상제담지체(122)가 마주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양측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출입관(250)은 그 외주면에 관통형성된 제 1 공기출입구(251)와, 진공원(240)과의 연결시 제 1 공기출입구(251)와 한 쌍의 진공원(240)들을 연결하도록 양단이 개방되게 공기출입관(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공기유로(2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출입관(250)은 관형상으로 형성된 것만 설명되지만, 공기출입관(250)이 덕트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본 실시예의 공기출입관(250)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공기출입구(251)는 그 길이가 긴 슬릿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제 1 공기출입구(251)가 상호 구분되는 복수개의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공기출입관(250)의 제 1 공기출입구(251) 및 제 2 공기유로(253)는 현상제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형태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공기출입구(251)는 공기출입관(250)의 중앙부로 진행할 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공기유로(253)는 공기출입관(250)의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진공원(240)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제 1 공기출입구(251)의 흡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1 공기출입구(251)와 제 2 공기유로(253)를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시킴으로써, 흡입효율이 높은 공기출입관(250)의 양단부보다 흡입효율이 낮은 공기출입관(250)의 중앙부에서의 공기유동속도가 빠르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제 1 공기출입구(251)를 통한 공기의 흡입효율이 공기출입관(250)의 주축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에서는 팬부재(270)가 제 1 공기출입구(25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팬부재(270)는 제 1 공기출입구(251)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기의 흐름이 본 실시예의 경우와 반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260)의 설치가 생략될 수 있는 등 현상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구성에 따르면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담지체(1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A;도 2 참조)과, 팬부재(27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고속 화상인쇄를 위해 상담지체(121)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는 최근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상담지체(12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과 팬부재(27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이 서로 충돌하여 인쇄되는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바꾸기 위해 팬부재(270)의 구성을 바꿀 때에는 상술된 문제점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230')은 진공원(240)과, 공기출입관(250')을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다. 그러나, 지지 브라켓(235)을 더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 지지 브라켓(235)은 공기출입관(250')의 끝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상장치의 구조에 따라 그 설치가 생략되기도 한다. 한편, 진공원(240)은, 현상제담지체(경우에 따라 상담지체)의 일측단에만 설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기술구성이 제 1 실시예의 진공원(240)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출입관(250')은 진공원(240)의 실치위치에 대응하여 앞선 제 1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가진다. 기본적으로 현상제담지체(122)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관형상으로 형성된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제 1 공기출입구(251')와 제 2 공기유로(253')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공기출입구(251')는 지지 브라켓(235;도 7참조)이 설치된 현상제담지체(122)의 일측단측으로 진행할 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공기유로(253')는 지지 브라켓(235)이 설치된 일측단이 폐쇄되며, 지지 브라켓(235)이 설치된 현상제담지체(122)의 일측단쪽으로 진행할 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진공원(240)에 의해 제 1 공기출입구(251')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흡입력이 진공원(240)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진공원(240)이 현상제담지체(122)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경우에도 공기출입관(250')의 전부분에서 현상제의 흡입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230")은 케이싱(241") 및 팬부재(270")를 포함하는 진공원과, 공기출입관(250")을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230")은 팬부재(270")가 앞선 실시예들의 경우와 상이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현상장치(220)의 구성이 변경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270")는 앞선 실시예들과 같이 원심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축류형으로 형성된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팬부재(270")가 원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싱(24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케이싱(24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호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는, 현상제담지체(122)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케이싱(241") 내부로 유입되고, 현상제담지체(122)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케이싱(241")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현상장치(220)의 하우징(228)에는 케이싱(241")의 제 3 공기출입구(245")와 연결되는 별도의 제 4 공기출입구(228a)가 형성되어야 하며, 필터부재(265")는 제 4 공기출입구(228a)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앞선 실시예와 같은 필터(260;도 4참조)의 장착을 위한 공간이 현상장치(220)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현상장치(220)의 전체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고, 현상장치(220)의 구조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부재(270,270")가 상담지체(121) 및/또는 현상제담지체(122)의 회전축(123)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화상기록을 위한 현상장치(220)의 구동시 상담지체(121) 및/또는 현상제담지체(122)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구동원 및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진공원(240)을 구동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현상장치(22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현상장치(220)의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출입부재(250)의 형상이 개량됨으로써 진공원(24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공기출입부재(250)를 통한 공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출입부재(250)를 통한 현상제의 흡입효율이 향상된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의 V-V 단면선을 따라 공기유입관의 내부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의 작동상태를 도 3의 VI-VI 단면선을 따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선을 따라 공기출입관의 내부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220 : 현상장치
121 : 상담지체 122 : 현상제담지체
228 : 하우징
230, 230', 230": 현상제 비산방지유닛
240 : 진공원 250, 250', 250" : 공기출입관
251, 251', 251" : 제 1 공기출입구 241, 241" : 케이싱
242 : 제 1 케이싱 248 : 제 2 케이싱
249 : 제 2 공기출입구 245, 245" : 제 3 공기출입구
244 : 격벽 240a : 제 1 유로
253, 253', 253" : 제 2 유로 270, 270" : 팬부재

Claims (20)

  1.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담지체와, 상기 현상제의 공급시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의 사이로 현상제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측을 향하여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기출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출입관; 및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공기출입관과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측의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진공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단 중 적어도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팬부재; 및
    상기 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공기출입관과 연결되는 제 2 공기출입구, 상기 제 2 공기출입구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기출입구, 및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팬부재는 상기 제 1 유로상에 설치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는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구동될 때 그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의 회전구동시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의 회전구동시 상기 제 1 공기출입구 및 상기 공기출입관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른 상기 제 2 공기출입구의 하류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의 외곽을 둘러싸는 하우징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제 4 공기출입구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 3 공기출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3 공기출입구의 단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기출입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공기출입관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유로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어느 하나의 양측단에 쌍을 이루며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한 쌍의 제 2 공기출입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공기출입관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유로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상기 공기출입관의 중앙부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어느 하나의 양측단에 쌍을 이루며 설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로부터 상기 공기출입관의 중앙부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상담지체 또는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를 경유하는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은 상기 상담지체 또는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출입구를 경유하는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은 상기 상담지체 또는 상기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제 3 공기출입구를 경유하는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은 상기 주축방향과 소정 각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는 원심팬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는 상기 제 1 유로에 의해서만 연결되도록 상호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7.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담지체와, 상기 현상제의 공급시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의 사이로 현상제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측을 향하여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기출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출입관; 및
    상기 공기출입관과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측의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진공원;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출입관의 내부에 상기 제 1 공기출입구와 상기 진공원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공기유로는 상기 진공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상기 진공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9.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담지체와, 상기 현상제의 공급시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의 사이로 현상제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가 마주하는 부위측을 향하여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기출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출입관; 및
    상기 공기출입관과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측의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진공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출입구는 상기 진공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0. 제 17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은,
    상기 상담지체와 현상제담지체 중 롤러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단 중 적어도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팬부재; 및
    상기 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공기출입관과 연결되는 제 2 공기출입구, 상기 제 2 공기출입구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기출입구, 및 상기 제 2 및 제 3 공기출입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팬부재는 상기 제 1 유로상에 설치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KR10-2003-0083400A 2003-11-22 2003-11-22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52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400A KR100520510B1 (ko) 2003-11-22 2003-11-22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US10/986,295 US7046940B2 (en) 2003-11-22 2004-11-12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er scatter prevention unit 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B2004100947582A CN100365522C (zh) 2003-11-22 2004-11-17 用于电子照相成像设备的显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400A KR100520510B1 (ko) 2003-11-22 2003-11-22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702A KR20050049702A (ko) 2005-05-27
KR100520510B1 true KR100520510B1 (ko) 2005-10-11

Family

ID=3458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400A KR100520510B1 (ko) 2003-11-22 2003-11-22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46940B2 (ko)
KR (1) KR100520510B1 (ko)
CN (1) CN1003655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0195B2 (en) * 2004-10-08 2008-03-0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cattered toner sucking port
JP4748216B2 (ja) * 2008-12-15 2011-08-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236294A (zh) * 2010-04-21 2011-11-09 株式会社东芝 显影装置、图像形成装置及显影装置的减压方法
JP2013068930A (ja) * 2011-09-05 2013-04-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6284023B2 (ja) * 2014-04-24 2018-02-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206330A (ja) * 2015-04-20 2016-1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40629B2 (ja) * 2015-08-05 2019-07-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46621B2 (ja) * 2016-07-05 2021-10-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833454B2 (ja) * 2016-10-31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66208B2 (ja) * 2017-03-30 2021-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681221B (zh) * 2018-08-21 2024-04-2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供给容器
EP3798734B1 (en) 2018-09-26 2023-07-19 Ninestar Corporation Toner outlet structure and toner cartridge
US10534314B1 (en) * 2018-10-26 2020-01-1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ostatic process unit fan impeller and cooling duct
JP2020204657A (ja) * 2019-06-14 2020-12-24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空気の循環を有する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4271A (ja) 1986-02-21 1987-08-26 Ricoh Co Ltd トナ−吸引装置
JPS6455575A (en) 1987-08-26 1989-03-02 Fujitsu Ltd Developing device
JPH06202458A (ja) 1992-12-28 1994-07-22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JPH06267570A (ja) * 1993-03-17 1994-09-22 Youyuu Tansanengata Nenryo Denchi Hatsuden Syst Gijutsu Kenkyu Kumiai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電解質板
JPH0973230A (ja) * 1995-09-04 1997-03-18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US5862440A (en) * 1997-04-11 1999-01-19 Moore Business Forms, Inc. Toner delivery device
KR19990011671A (ko) * 1997-07-25 1999-02-18 윤종용 내부압력 조정용 배기구를 갖는 현상장치
JPH11327295A (ja) * 1998-05-08 1999-11-26 Minolta Co Ltd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379478B1 (ko) 2000-10-13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형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5522C (zh) 2008-01-30
US7046940B2 (en) 2006-05-16
US20050111874A1 (en) 2005-05-26
CN1619432A (zh) 2005-05-25
KR20050049702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510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612788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
US69378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8274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790059B2 (ja) 画像形成装置
JP4902393B2 (ja) ダクト、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305879A (zh) 显影装置及图像形成装置
CN105223794B (zh) 送风系统和具备它的图像形成装置
JP5196255B2 (ja) 導風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17890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9678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215232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311519A (ja) オゾン処理装置
JP2020204657A (ja) 空気の循環を有する現像装置
JP6701819B2 (ja)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596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84564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65404A (ja) 冷却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87207B2 (ja) 機器の排気構造、画像形成装置
JP2000267440A (ja) 現像機
JP2002278389A (ja) フィルタ取付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706340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244682A (ja) 画像形成装置に使用する送風機構
JP2002181422A (ja) 排気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25512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