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171B1 - 제직용 바디 - Google Patents

제직용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171B1
KR100514171B1 KR10-2003-0040159A KR20030040159A KR100514171B1 KR 100514171 B1 KR100514171 B1 KR 100514171B1 KR 20030040159 A KR20030040159 A KR 20030040159A KR 100514171 B1 KR100514171 B1 KR 10051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insertion
blades
blade
depth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466A (ko
Inventor
야마모토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직용 바디는 위사 삽입이 쉬운 안내 홈을 갖고, 바디날개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직용 바디는, 앞 가장자리부에 각각 오목부를 갖는 복수의 바디날개를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배치하여 위사 안내 홈을 형성하고, 최소한 한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를, 다른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보다 크게 함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오목부만큼 작게 하여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에 가깝게 하고, 나아가 복수의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 중에서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뒤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직용 바디{Reed for Weaving}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직기에 이용되는 분할 바디나 일체 바디와 같은 제직용 바디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직기는, 복수의 경사를 복수의 경사군으로 나누고, 그들 경사군을 군마다 개구장치에 의해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경사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개구에 위사를 삽입시킨 후에 그 위사를 복수의 바디날개를 포함하는 제직용 바디에서 바디치기를 행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직물을 생산한다.
각 바디날개는, 한쪽에 위치하는 앞 가장자리부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고, 다른 쪽에 위치하는 뒤 가장자리부를 평탄하게 하고 있다. 바디는 그와 같은 복수의 바디날개를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어 위사의 안내 홈을 형성하도록 서로 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직기 성능의 한 요인으로서, 위사 삽입의 원활성을 들 수 있다. 위사 삽입측으로부터의 위사가 삽입되기 쉽도록 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개평2-269833호 공보나 특개평9-26845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사용 안내 홈의 상하간 치수를 위사 삽입측 만큼 크게 하는 기술이 있다.
위의 두 특허의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안내 홈은 똑같이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가 다른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보다 크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것만큼 작게(얕게) 되어, 다른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에 가까워지는, 소위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다른 바디날개란, 상세하게는 바디날개 사이에 경사가 지나게 되는 바디날개이다.
그러나, 상기 두 특허의 종래기술에서는,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의 형상이 다른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게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홈의 테이퍼 형상을 보다 크게 확대하기 위해 오목부의 깊이를 크게 하면, 오목부와 뒤 가장자리부와의 거리가 현저하게 짧아지고, 바디날개 자체의 강도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 삽입이 쉬운 안내 홈을 갖고 바디날개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는, 앞 가장자리부 및 뒤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바디날개로서, 각각 위사 안내용 오목부를 상기 앞 가장자리부에 갖는 복수의 바디날개를, 위사의 안내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배치하고, 위사 삽입 방향에 있어서 최소한 한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를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보다 크게 함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오목부 만큼 작게 하여 상기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에 가까워져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바디날개의 상기 뒤 가장자리부 중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는 영역을 뒤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상기 바디는, 오목부의 깊이가 큰 바디날개측을 위사 삽입측으로 한 상태로 직기에 설치된다.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 중 오목부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는 영역이 뒤쪽으로 돌출해 있으면, 그들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를 크게 하여, 위사 삽입의 용이 및 원활성을 높게 해도, 그들 바디날개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 다른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를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하면, 다른 바디날개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디를 전체적으로 가볍게 하고, 바디치기 운동에 따른 바디의 관성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바디의 움직임이 빨라지기 때문에, 바디치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직기를 고속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상하간 치수를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상하간 치수보다 크게 함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오목부 만큼 작게 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보다 안정된 위사 삽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는, 복수의 바디날개를 공통의 상하 구금(口金)(고정부재)에 설치한 소위 일체 바디에 적용해도 좋고, 복수의 바디날개를 각각의 상하 구금에 설치한 소위 분할 바디에 적용해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직용 바디(10)는 첫번째 폭의 분할 바디(12)와, 두번째 폭의 분할바디(14)와, 세번째 폭(최종 폭)의 분할 바디(16)를 위사 삽입 방향(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직렬로 직기에 배치된다. 위사(18)는 압축공기와 함께 위사삽입 노즐(20)에서 분사되어 경사의 개구로 위사 삽입된다.
분할 바디(12, 14, 16)의 각각은 복수의 바디날개(22)를 위사 삽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바디날개(22)에 형성된 오목부(24)에 의해 위사(18)의 안내 홈(26)을 형성하고 있다. 각 오목부(24)는 상하면(24a, 24a)과 바닥부(안쪽면)(24b)에 의해, 모서리를 둥글게 한 U자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디날개(22)는 상하방향으로 길고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양 선단부는 둥글게 되어 있다. 각 바디날개(22)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직전(織前)측이 되는 앞 가장자리부(30)와, 반 직전측이 되는 뒤 가장자리부(32)를 갖고 있다.
분할 바디(12, 14, 16)의 각각은 도3 및 도4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28)와 같이, 복수의 바디날개(22)와, 상하 구금(설치부재)(34 및 36)과, 좌우 측부의 구금(결합부재)(38 및 4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 홈(26)은 각 바디날개(22)에 형성된 오목부(24)를 분할 바디(12, 14, 16)마다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바디날개(22)는, 각 바디날개(22)가 그 두께방향을 위사 삽입 방향으로 하고, 오목부(24)가 정렬하여 분할 바디마다 안내 홈(26)을 형성하도록, 위사 삽입 방향으로 병렬로 나열된 상태로, 윗부분 및 아랫부분이 각각 U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갖는 상부 구금(34)의 홈(34a) 및 하부 구금(36)의 홈(36a)에 삽입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바디날개(22)의 공간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스페이서(42)에 의해, 경사를 지나가게 하기 위한 공간(44)으로 되어 있다(도4 참조). 도시한 예에서는, 스페이서(42)는 압축 또는 인장 타입의 코일 스프링이고, 또한 코일 스프링(42)의 각 링 형상부는 서로 이웃하는 바디날개(2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을 유지하고 있다.
제직용 바디(28)는, 복수의 바디날개(22)를 상기와 같이 배치한 상태로, 날개 모체로서 작용하는 측부 구금(38 및 40)을 각각 위사 삽입측 및 반 위사 삽입측에 끼우고, 측부 구금(38 및 40)을 상하 구금(34 및 36)에 리벳이나 나사 등으로 설치함으로써 조립된다.
측부 구금(38, 40)의 각각은 바디날개(22)보다 약간 두꺼운 두께를 갖는 띠형상의 판재의 양 단부를 두께방향으로 구부려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단부에 위치하는 바디날개(22)의 오목부(24)를 폐쇄하지 않도록 상하 구금(34, 36)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구금(38 및 40)은 각각 위사 삽입측 끝 및 반 위사 삽입측 끝에 위치하는 바디날개(22)의 뒤 가장자리부(32)에서 오목부(24)까지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상하간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직용 바디(28)를 이용하는 분할 바디(12, 14, 16)는 안내 홈(26)이 경사가 존재하는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안내 홈(26)이 서로 연결되면서 직물의 직전(織前)과 마주보도록, 하부 구금(36)에 있어서 암(arm)(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바디 스레이(도시하지 않음)에 직렬로 설치된다.
도2(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디날개(22)는 직물의 직전(織前)측이 되는 앞 가장자리부(30)의 중앙에 돌출부(46)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46)에 오목부(24)를 갖고 있다.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 삽입측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바디날개(22a) 오목부(24)의 바닥부(24b)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앞 가장자리부(30)의 연장선상에서 뒤 가장자리부(32) 쪽으로 위치해 있다. 이에 의해, 각 바디날개(22a)의 오목부의 깊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바디날개(22a)의 뒤 가장자리부(32) 중, 오목부(24)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영역은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상하 구금(34, 36)에 삽입되는 바디날개 부분의 뒤 가장자리부(32)의 양단부의 위치보다도 뒤쪽으로 돌출하여, 돌출영역(48)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바디날개(22a)의 오목부의 깊이를 충분한 크기로 하여, 위사 삽입의 용이 및 원활성을 높게 해도, 돌출영역(48)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날개(22a)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바디날개(22a)의 돌출영역(48)의 범위는 돌출부(46)의 범위와 거의 동일하고, 상기 돌출영역(48)의 형상은 받침대 형상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영역(48)은 바디날개(22a)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및 형상을 갖고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오목부(24)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는 영역에 있어서 돌출영역(48)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오목부(24)의 바닥부(24b)까지의 상하간 치수가 일정하게 되도록 돌출영역(48)의 형상이 원호 형상이어도 좋다.
이에 대해, 다른 각 바디날개(22b)의 바닥부(24b)는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에 있어서 앞 가장자리부(30)의 연장선상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다. 또한, 다른 각 바디날개(22b)의 다른쪽 뒤 가장자리부(32)는 바디날개(22b)의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직선상(즉, 평탄)으로 되어 있다.
다른 각 바디날개(22b)의 오목부(24)의 깊이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각 바디날개(22b)의 바닥부(24b)에서 뒤 가장자리부(32)까지의 상하간 치수는 바디날개(22b)의 하단부 영역의 상하간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디날개(22b) 전체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가 균일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각 분할 바디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위사 삽입측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바디날개(22a)의 오목부(24)의 깊이는 도2(B)에 나타낸 다른 바디날개(22b)의 오목부(24)의 깊이보다 크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22a)의 오목부(24) 만큼 작게 되어, 다른 바디날개(22b)의 오목부(24)의 깊이에 가까워져 있다. 이에 의해, 각 분할 바디의 안내 홈(26)까지의 깊이는 위사 삽입측에서 반 위사 삽입측을 향할수록 점차 얕아지고, 위사 삽입 방향에 있어서 도중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위사 삽입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22a)에 있어서는, 돌출영역(48)을 뒤 가장자리부(32)에 갖고 있기 때문에, 돌출영역(48)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오목부(24)의 바닥부(24b)까지의 상하간 치수를 바디날개(22a)의 상하단 영역의 상하간 치수, 또는 바디날개(22b)의 바닥부(24b)에서 뒤 가장자리부(32)까지의 치수와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바디날개(22a)에 있어서도, 오목부(24) 부근의 기계적 강도가 다른 곳의 강도보다 저하되지 않는다.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22a)의 오목부(24)의 상하간 치수는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22a)의 오목부 만큼 점차 좁아지고, 다른 바디날개(22b)에 가장 가까운 바디날개(22a)의 오목부(24)의 상하간 치수가 다른 바디날개(22b)의 오목부(24)의 상하간 치수에 가장 근접하도록, 다른 바디날개(22b)의 오목부(24)의 상하간 치수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각 분할 바디의 안내 홈(26)의 상하간 치수는 위사 삽입측에서 반 위사 삽입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고, 위사 삽입 방향에 있어서 도중부터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내 홈(26)은 깊이방향에 더하여 폭방향에도 테이퍼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바디날개(22a)는 5개이지만, 그와 같은 바디날개(22a)의 수는 5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오목부(24)의 깊이가 다른 바디날개(22b)의 오목부(24)의 깊이보다 큰 모든 바디날개(22a)가 뒤 가장자리부(32) 측에 돌출영역(48)을 갖는 대신에, 예를 들어, 그들 바디날개(22a) 중 위사 삽입측의 4개 이하의 바디날개(22a)만이 뒤 가장자리부(32)에 돌출영역(48)을 갖고, 나머지 1 이상의 바디날개(22a)의 뒤 가장자리부(32)는 바디날개(22b)와 같은 평탄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나아가, 모든 돌출영역(48)의 크기는 같을 필요는 없고, 바디날개(22a)의 강도가 유지 가능한 범위에서, 돌출영역(48)의 크기를 바디날개(22a)마다 바꾸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돌출영역(48)의 크기를 반 위사 삽입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작게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각 분할 바디의 안내 홈(26)의 깊이 및 상하간 치수가 위사 삽입측에서 반 위사 삽입측을 향할수록 점차 작게 되어 있으면, 위사 삽입의 용이 및 원활성이 향상한다.
또한, 바디날개(22a)의 뒤 가장자리부(32)의 중앙영역에 뒤쪽으로 돌출한 돌출영역(48)을 형성하면, 복수의 바디날개(22a)의 오목부(24)의 깊이를 크게 하고, 그와 같은 돌출영역을 다른 바디날개(22b)에 형성하지 않으면, 바디날개(22a)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분할 바디 전체가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분할 바디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나아가, 바디날개(22a)의 뒤 가장자리부(32)에 돌출영역(48)을 형성하고, 바디날개(22b)의 뒤 가장자리부(32)를 평탄하게 하면, 바디날개(22b)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분할 바디가 전체적으로 가벼워지고, 바디치기 운동에 따른 분할 바디의 관성력이 작아진다. 그 결과, 바디의 움직임이 빨라지기 때문에, 바디치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직기를 고속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분할 바디(12, 14, 16)는 모두 상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도5에 나타낸 형상을 가져도 좋다. 특히, 최종 폭의(반 위사 삽입측의) 분할 바디(16)는 도5에 나타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를 참조하면, 제직용 바디(50)는, 상단측에 2개의 스페이서(42)를 갖추고 있는 것과, 반 위사 삽입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부 날개 모체(52)가 바디날개(22b)의 뒤 가장자리부(32)에서 오목부(24)의 바닥부(24b)까지의 상하간 치수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판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3 및 도4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28)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5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50)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28)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도3 및 도4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28)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발생한다. 도6을 참조하면, 도3의 실시예에 대하여, 반 위사 삽입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상하간 치수가, 반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오목부만큼 작게 되어 있는 바디이다. 상기 제직용 바디(28)를 사용하면, 반 위사 삽입측에 있는 바디에 대하여 위사 삽입의 용이 및 원활성이 향상한다.
도3, 도4 및 도6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28)의 구조 및 도5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50)의 구조는 다수의 바디날개를 위사 삽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한 일체 바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분할 바디 및 일체 바디 어느 경우에도, 모든 바디날개(22)의 뒤 가장자리부(32)에 돌출영역(48)을 형성하고, 오목부(24)의 깊이를 크게 하여, 안내 홈(26)의 깊이를 크게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22a)의 오목부(2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바디날개(22a)와 같이 형성된다.
모든 분할 바디의 안내 홈(26)을 상기와 같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1 이상의 분할 바디, 예를 들어 분할 바디(12, 14)의 안내 홈(26)을 상기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직기에는 위사 삽입측이 왼쪽이 되는 직기, 오른쪽이 되는 직기, 및 좌우 양측이 되는 직기 등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모두 왼쪽에서 위사 삽입되는 직기에 이용된다.
그러나, 오른쪽에서 위사 삽입되는 직기에 이용되는 바디는, 그들의 오른쪽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24)가 상기 바디날개(22a)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좌우 양측에서 위사 삽입되는 직기에 이용되는 바디는, 그들 도면에 있어서 좌우의 각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24)가 상기 바디날개(22a)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제직용 바디는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최소한 한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가 상기 바디날개(22a)와 같은 오목부(24)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직용 바디는 위사 삽입이 쉬운 안내 홈을 갖고 바디날개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용 바디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에서 이용하는 바디날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위사 삽입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개략 측면도이고, (B)는 바디날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3은 제직용 바디(분할 바디 또는 일체 바디)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위사 삽입측 측면도이고, (B)는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고, (C)는 중앙부분의 측면도이고, (D)는 반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제직용 바디의 부분 확대도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다.
도5는 제직용 바디(분할 바디 또는 일체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위사 삽입측 측면도이고, (B)는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고, (C)는 중앙부분의 측면도이고, (D)는 반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다.
도6은 제직용 바디(분할 바디 또는 일체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위사 삽입측 측면도이고, (B)는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고, (C)는 중앙부분의 측면도이고, (D)는 반 위사 삽입측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28, 50: 제직용 바디 12, 14, 16: 분할 바디
18: 위사 20: 위사 삽입 노즐
22: 바디날개 22a: 위사 삽입측 바디날개
22b: 다른 바디날개 24: 오목부
24a: 오목부의 측면 24b: 오목부의 바닥부
26: 안내 홈 30: 바디날개의 앞 가장자리부
32: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 48: 바디날개의 돌출영역

Claims (5)

  1. 앞 가장자리부 및 뒤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각각 위사 안내용 오목부를 상기 앞 가장자리부에 갖는 복수의 바디날개를, 위사 안내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배치한 제직용 바디에 있어서,
    위사 삽입 방향에 있어서 최소한 한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깊이는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오목부만큼 작게 되어 상기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에 가까워져 있고,
    상기 한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는 상기 뒤 가장자리부 중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는 영역이 뒤쪽으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용 바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디날개의 오목부의 상하간 치수는 다른 바디날개의 상기 오목부의 상하간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위사 삽입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바디날개의 오목부만큼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바디날개의 뒤 가장자리부는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일체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분할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KR10-2003-0040159A 2002-08-01 2003-06-20 제직용 바디 KR100514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4387A JP2004068164A (ja) 2002-08-01 2002-08-01 製織用筬
JPJP-P-2002-00224387 2002-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466A KR20040012466A (ko) 2004-02-11
KR100514171B1 true KR100514171B1 (ko) 2005-09-13

Family

ID=3118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159A KR100514171B1 (ko) 2002-08-01 2003-06-20 제직용 바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68865B2 (ko)
EP (1) EP1394306B1 (ko)
JP (1) JP2004068164A (ko)
KR (1) KR100514171B1 (ko)
CN (1) CN1483875A (ko)
DE (1) DE60320725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543A (ko) * 2015-03-10 2017-11-10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7297A4 (en) 2012-01-24 2015-12-09 Nike Innovate Cv WEAVES WITH REACTIVE MATERIALS
CN104114473B (zh) 2012-01-24 2017-03-1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间歇编织接合器
CN102704155B (zh) * 2012-06-01 2013-11-06 绍兴市水富纺织器材有限公司 节能高效型异形筘片
CN103381643B (zh) * 2013-06-27 2017-02-08 蓝星(北京)特种纤维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纤维剑杆织布机筘齿及其制造方法
CN110820138A (zh) * 2019-12-11 2020-02-21 绍兴市越泉纺织器材有限公司 一种加强型喷气织机用钢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149198B1 (ko) * 1971-07-27 1973-05-24
JPS5331860A (en) * 1976-09-03 1978-03-25 Nissan Motor Air guide for airrjet loom
JPH02269833A (ja) 1989-04-10 1990-11-05 Nissan Motor Co Ltd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TW206265B (ko) * 1991-04-01 1993-05-21 Toyoda Automatic Loom Co Ltd
IT1266634B1 (it) * 1993-10-27 1997-01-09 Nuovo Pignone Spa Pettine perfezionato per telaio tessile ad aria
DE4424271C1 (de) * 1994-07-09 1995-06-29 Dornier Gmbh Lindauer Luftwebmaschinen mit Kantenniederhalter
DE19545840C1 (de) 1995-12-08 1997-01-23 Dornier Gmbh Lindauer Webblatt (Riet)
JPH10204753A (ja) 1997-01-13 1998-08-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エア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4553486B2 (ja) * 1998-06-10 2010-09-29 ピカノール エヌ.ヴィ. 織りおさとおさ羽
US6019139A (en) * 1998-09-30 2000-02-01 Stell Heddle Mfg. Co. Weaving reed having reinforced dents
US6079453A (en) * 1998-10-30 2000-06-27 Palmetto Loom Reed Company, Inc. Reed with reed dents having modified chin sections
JP3405962B2 (ja) * 2000-05-30 2003-05-12 津田駒工業株式会社 分割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543A (ko) * 2015-03-10 2017-11-10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KR102515841B1 (ko) 2015-03-10 2023-03-31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68164A (ja) 2004-03-04
EP1394306B1 (en) 2008-05-07
KR20040012466A (ko) 2004-02-11
EP1394306A3 (en) 2004-12-29
EP1394306A2 (en) 2004-03-03
US6968865B2 (en) 2005-11-29
US20040020548A1 (en) 2004-02-05
CN1483875A (zh) 2004-03-24
DE60320725D1 (de)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171B1 (ko) 제직용 바디
EP2194175B1 (en) Heald frame
US7147010B2 (en) Heddle frame and weaving loom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h frame
US5413151A (en) Gripper loom rapier guide arrangement
JP4126438B2 (ja) 細板型綜絖
EP1209267B1 (en) Weft insertion apparatus for rapier loom
JP4553486B2 (ja) 織りおさとおさ羽
EP2037021A2 (en) Vibration control apparatus for heald frames of loom
US4777989A (en) Guide means for weft-carrying grippers and gripper straps of looms
KR200377714Y1 (ko) 직기용 종광
JP7462924B2 (ja) サイドステイ、ヘルドフレーム、及び、織機
US2771909A (en) Loom reed and actuating means therefor
WO2014136197A1 (ja) 織機用ヘルドとヘルド取付枠部材及び織機
US5058629A (en) Sley for a magnetic shuttle
JPH0343260Y2 (ko)
JPH02182947A (ja) 織布支持部材を有する織機
JPH0345969Y2 (ko)
JPH0634379Y2 (ja) 織機のヘルドフレーム装着装置
JP3866374B2 (ja) 空気噴射織機の筬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32138A (ja) レピアバンドのガイドユニット
KR200244714Y1 (ko) 고속직기용 판형종광의 눈
JPS6022094B2 (ja) 3軸織物製造用織機に対するヘルド
JP3531329B2 (ja) 織機に用いる耳形成用筬及び織機における耳形成装置
KR940002445Y1 (ko)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JPS59500226A (ja) 横糸插入チャン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