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543A -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 Google Patents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543A
KR20170124543A KR1020177023625A KR20177023625A KR20170124543A KR 20170124543 A KR20170124543 A KR 20170124543A KR 1020177023625 A KR1020177023625 A KR 1020177023625A KR 20177023625 A KR20177023625 A KR 20177023625A KR 20170124543 A KR20170124543 A KR 20170124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s
tape
comb
viscous material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841B1 (ko
Inventor
요하네스 브루스케
토마스 린트너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12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바디(9)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부품(1)들은 바디(9)의 빗살(1)을 형성하도록 바디(9)의 폭 방향(B)으로 결정된 거리(A)에서 서로 합쳐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부품(1)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바디(9)의 폭 방향(B)을 대면하는 그 단부면(8)들에, 특히 그 단부 영역(E)들에서 사전 결정된 양의 적어도 하나의 점성 재료(10-18)의 도포가 제공되며, 이어서 서로 합쳐진다. 본 발명은 또한 바디(9)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30),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바디(9)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본 발명은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에 관한 것이다.
바디(reed) 및 바디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제직 공정에서, 바디들은 북길(shed)을 통해 방금 삽입된 씨실을 이미 제직된 천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기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디는 바디의 폭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빗살(dent)들의 열을 가진다. 이러한 빗살들 사이의 갭은 날실들을 위한 방(room)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빗살들은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경계가 지어져서, 바디는 어느 정도의 안정성과 관리성을 가진다. 이러한 프레임 부재는 통상적으로 U-자 형상이며, 예를 들어 경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바디를 제조하는 다수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다른 문헌들 중에서 DE 2 226 194 A에 열거되어 있다:
하나의 방법에 따라서, 우선 반원형 막대들의 도움으로 빗살들의 단부 부분들 주위에서 모든 와이어들을 감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나의 예를 들면, 와이어들은 제직 공정 동안 필요한 방을 날실에 주는데 필요한 빗살들 사이의 거리를 한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와이어들은 또한 빗살들 사이에서 제1 상호 부착을 확립한다. 추가의 처리 단계에서, 빗살들의 단부들은 U-자 형상 프로파일 내로 삽입되고 바람직하게 합성수지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해 그 안에 매립되고, 이에 의해 바디의 상기된 프레임 부재들을 생성한다. 빗살들 주위에 와이어를 감는 것에 의해 상기된 갭 폭을 설정하는 것에 더하여, 나선형 스프링들은 빗살들 사이에 필요한 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을 돕도록 빗살들의 가장자리들 사이로 가압된다. 이러한 나선형 스프링들 및 와이어를 가지는 반원형 막대들은 그 후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과 동일한 높이의 접착제의 층으로 덮인다. 빗살들 주위를 감고 나선형 스프링들을 위한 와이어들은 매우 균일한 지름을 가져야만 하며, 요구된 빗살 간격마다 비축되어 유지되어야만 한다. 감기 절차는 와이어 지름과 빗살들의 두께에서의 불가항력 변동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나선형 스프링들은 수동으로 삽입되어야만 한다.
상기된 공보에 기술된 바디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갭 폭을 설정하기 위하여 빗살들 사이에 스페이서들을 삽입하거나 또는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빗살들의 단부들은 자유롭게 유지되며, 나중에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부착된다. 스페이서들은 다시 제거되거나 용해된다.
JP 2001 003240A는 바디를 생산하기 위한 작업 단계들을 설명한다. 당해 바디의 빗살들이 서로 이격되고 상세히 개시되지 않은 작업 단계를 통해 적소에 고정되면, 실 눈(thread eye)들은 관련된 빗살들 사이의 갭에 접착제를 압출하는 것에 의해 각 쌍의 빗살들 사이에 만들어진다. DE 2150 275 A1은 우선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의 부분들이 이것들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연화되는 것으로 시작하는, 바디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빗살들은 그런 다음 이러한 부분들 내로 가압된다.
기술된 방법의 결점들 중 하나는, 인접한 빗살들 사이에서 요구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얻기 위하여, 빗살들은 고가의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여야 하며, 이는 또한 공차의 척도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제품들은 삽입하는 것이 번거롭고, 광범위한 형태의 제품들을 비축하여야만 한다. 높은 비용은 당연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방법으로, 이러한 스페이서들은 빗살들 사이의 갭들로부터 다시 제거되어야만 하며, 이러한 것은 빗살 간격에서의 추가의 부정확성으로 이어진다. 아울러, 인용된 방법들은 저렴하지 않다(다시, 값비싼 스페이서들을 삽입할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상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함께,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저렴하고 정확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 및 제11항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제12항의 요지는 청구항 제1항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바디이다.
상기 목적은 빗살들 사이에서 요구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초기에 빗살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이 상기 빗살들에 제공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바디들은 간격 허용 오차가 반제품 및 그 삽입 방법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더욱 균일한 빗살 간격을 자랑한다.
빗살들은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이다. 빗살들의 길이는 북길의 기하학적 형태와 북길에 대한 빗살들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다. 직기(loom)에 설치된 빗살들의 길이 방향은 본질적으로 높이 방향에 대응하고, 날실들에 직각이다. 빗살들의 길이는 하나의 예를 들면 날실 움직임을 위하여 충분한 룸을 제공하여야만 한다. 아울러,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빗살의 단부 부분들을 매립하고, 이에 의해 바디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야만 한다. 특히, 고밀도 바디들의 경우에, 바디의 폭 방향으로 측정된 빗살들의 두께는 빗살들 사이의 갭과 동일한 크기이며, 빗살의 폭과 같이, 바디의 강성 요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낮은 밀도의 바디들의 경우에, 갭 폭에 대한 빗살 폭의 비율이 변할 수 있어서, 갭은 예를 들어 갭 폭을 더한 빗살 두께로 만들어진 거리의 70%를 차지한다. 에어 제트 직기(air-jet loom)들에 있는 바디용 빗살들은 공기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물측에서 특별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모든 빗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표면적이 어느 정도 크기의 표면적을 가지는 2개의 반대의 측면들만을 빗살들이 가지는 것이다. 빗살들의 다른 측면들은 단지 좁은 가장자리 독립체들이다.
바디를 제조하도록, 빗살들은 바람직하게, 빗살들이 상호 중첩되도록 한 줄로 배열되고, 그 면적 표면(areal surface)들은 서로 대향한다. 특정 양의 점성 물질은 빗살들의 표면들, 특히 빗살들의 단부 부분들에 도포되고, 단부들은 나중에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덮인다. 한 가지 예를 들면, 이러한 도포된 물질은 빗살들을 이격 유지한다. 다른 예를 들어, 물질이 접착제이면, 빗살들이 서로 영구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점성 물질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 상기된 빗살 사이 갭(inter-dent gap)이 정확한 크기인 것을 위하여, 도포되는 물질의 양은 명시된 양으로 정확히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계량 디바이스가 정확한 양의 점성 물질을 계량할 수 있으면, 즉 점성 물질을 분배할 수 있으면 유익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배는 빗살들이 묶여지기 전에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것은 또한 빗살들을 봉입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대신에, 도포에 앞서 명시된 양이 관련된 빗살의 하나의 면적 표면에 도포된다. 이러한 명시된 양은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에 통신될 수 있다. 계량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며, 제어 장비는 사용된 물질 및 빗살들 사이의 요구된 거리 및/또는 기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명시된 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물질이 액적 방식(dropwise)으로 도포되면, 액적이 도포되는 제1 빗살의 표면에서의 액적의 높이는 제1 빗살과 다음의 빗살이 서로 접합될 때 이것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이 맥락에서, 액적의 형상 및 이에 따른 높이가 또한 그것의 접촉 특성(예를 들면, 습윤성)에 의존하여 여러 번 변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점성 물질이 제1 빗살을 습윤하였으면, 액적은 경계곡면(bounding surface)에서 특정 형상을 취할 것이다. 제1 빗살이 제2 빗살과 접촉하게 되었으면, 액적은 제2 경계곡면에서 이러한 종류의 특정 형상을 또한 취할 것이다. 지금 2개의 표면 사이에 봉입되고 변형된 액적의 높이는 그 체적에 따라서 변경될 것이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적의 높이, 및 이에 따른 형상은 빗살들을 상호 접촉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개의 빗살을 이격시키는데 사용되는 체적 또는 중량을 명시한다. 이러한 체적들은 때때로 바디의 빗살들을 연속적으로 이격시킨다. 상기된 종래 기술의 방법은 종종 빗살들을 이격시키도록, 그러므로 빗살들을 적소에 고정하도록 사용된 와이어 또는 다른 고형체를 매립하도록 접착제(즉, 점성 물질)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방법과 유사한 규정된 체적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방법들은 (초기에) 빗살들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그 양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관계없이 점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된 물질의 점도는 도포된 물질이 빗살들 사이에서 필요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아야만 한다. 한편으로, 점도는 유동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물질이 규정된 양으로 더 이상 도포될 수 없을 정도로 높지 않아야만 한다. 물질은 스크류, 압력 서지(pressure surge), 열 또는 압전 액튜에이터 또는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계량 디바이스를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종류일 수 있다. 각각의 다른 시스템은 특정 점도의 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처리 또는 빗살로의 그 도포 동안, 그 점도(따라서 그 유동성)가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이 할당되는 범위 내에서 움직이면 유익하다. 다른 한편으로, 물질의 도포 후의 적시의 시점에서 또는 예측 가능한 시간까지, 점도가 2개의 빗살을 영구적으로 이격 유지하도록 충분히 높으면 유익하다. 접착제, 그러나 또한 수지 및 파라핀의 전체 범위는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점성 물질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상태를, 물질이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온도 범위 또는 다른 물리적 환경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때때로 필요하다. 상기된 사실로부터 열가소성 물질 및 상호 반응성 물질의 혼합물은 이러한 공보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점성 물질인 것으로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초기에 규정된 양의 점도 및 그 처리 동안, 본래의 빗살 사이 간격을 확립하도록 사용된 분배 가능한 물질이 여전히 완성된 바디에 있는 빗살들 사이에 있으면 유익하다. 이러한 것은 또한 서로 접합된 빗살들의 단부 부분들이 또한 경화되는 추가적인 점성 물질로 덮이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된 물질(일정량의 매립 화합물을 더한 규정된 양의 본래의 점성 물질) 모두는 마지막에 언급된 예에서 일어난다. 자연적으로, 이러한 것은 특히 빗살들의 단부 부분들에 도포된다. 이러한 단부 부분들에서, 특히, 이러한 2개의 물질은 서로 바로 인접하거나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규정된 양의 제1 물질이 매립 화합물에 의해 둘러싸일 가능성이 자주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적절한 양의 물질[예를 들어, 500 pl(픽트리 터) 이하]이 높은 반복 정확도로 도포될 수 있기 때문에 고밀도 바디(예를 들어, 50 빗살/cm 또는 그 이상)에 특히 유익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그 변화는 달리 사용된 반제품의 밀도보다 낮게 유지된다.
명시된 양의 점성 물질은 점 모양 방식으로, 비드의 형태로 또는 펼침(expanse)을 형성하도록 이를 펼치는 것에 의해 액적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빗살들이 그 길이와 너비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정확히 이격되는 것이 보장되고, 이에 의해 전체로서 표면의 평행도를 보장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도포된 물질의 높이(적어도 그 경화된 상태에서)는 빗살 사이 간격을 한정한다. 도포된 물질의 표면적은 점성 물질을 도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욱 큰 표면적에 비례하여 더욱 많은 비용이 든다. 더욱 큰 영역들은 빗살들의 평행도와 접착 본드의 강도를 가능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포된 물질의 구성은 추후에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접착 결합시키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잔류 빗살 표면적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프레임 부재들에 후속의 결합 동안 유동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별 구성이 도시되며, 그 효과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빗살은 강으로 만들어진다. 바디 제조 동안, 빗살들은 빗살 스트립의 코일로부터 직접 풀려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은 그런 다음 개별 빗살의 한쪽 면적 표면에 도포된다. 점성 물질이 도포된 빗살 표면은 지금 다른 빗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된 첫 번째의 2개의 상기된 단계의 타이밍에 관하여 다른 유익한 가능성이 있으며: 점성 물질은 길이로 절단되기 전에 미래의 빗살에 또한 도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빗살이 이송 단계 또는 다른 유익한 또는 필요한 공정 단계를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길이로 절단되는지에 관계없이, 면적 표면에 점성 물질이 공급될 수 있는 공정 동안 언제든지 점성 물질을 도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면적 표면에 대한 점성 물질의 균일한 도포를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은 계량 디바이스에 대한 그 접근성이다. 점성 물질은 최종적으로 장착된 빗살들에 유익하게 도포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계량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점성 물질은 다음 단계에서 함께 모일 예정인 빗살들 모두에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대체로, 본 발명에 따른 바디는 점성 물질의 연속적인 도포에 의해 제조된다. 그 하나 이상의 응용은 2개의 빗살 사이에 요구되는 간격을 확립하도록 기여한다. 종래의 방법에서, 빗살들 사이의 간격은 바디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들에 동시에 매립되는 고형체(solid body)들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디의 경우, 프레임 부재에 동시 매립을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빗살들 사이의 제1 영구 연결은 초기에 점성 형태로 규정된 양으로 도포되는 접착제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경화 특성을 가진 접착제가 특별히 선호된다. 일단 접착제가 경화되었으면, 접합된 빗살들은 이송 공정에 의해 부여되는 빗살 간격 또는 평행도의 어떠한 위험없이 추가 공정 단계, 예를 들어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대한 접착 결합으로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그 경화 특성이 에너지 투입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는 접착제가 사용되면 추가적으로 유익하다. 예를 들어, 자외선이나 고온의 영향으로 빠르게 경화되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활성화되는 접착제 시스템 또는 신속 경화 접착제의 사용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된 에너지 투입에 의해 활성화된 물질이 유익하다. 활성화는 예를 들어 화학 반응의 기동을 의미한다.
특히 유익한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다른 점성 물질이 도포된다. 다른 점성 물질들은 접합 공정 단계에서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점성 물질은 상이한 경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점성 물질은 도포시에 직접 경화되는 이격 재료(distancing material)일 수 있고, 단지 스페이서로서 작용하고 접착제 효과를 갖지 않을 수 있다. 파라핀은 이러한 물질의 가능한 예이다. 경화된 이격 재료는 예를 들어 모세관 힘에 대해 확실하게 이격된 채로 빗살들을 유지하도록 충분히 강해야 한다.
접착 재료가 경화되었으면 바디로부터 세척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이격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제 또는 열은 이격 재료의 세척 또는 제거를 돕거나 영향을 줄 수 있다. 세척될 수 있는 이격 재료의 사용은 제직 동안 날실들이 통과하고, 이에 이해 필요한 간격 및 평행도의 확립을 촉진하는 영역에서 또한 빗살 사이 "스페이서들"을 적용하는 추가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2 점성 물질은 접착제일 수 있다. 2개의 빗살을 영구적으로 접합하기 위하여, 접착제는 1개의 빗살이 다른 빗살과 접촉하기 전에 경화되지 않아야만 한다. 이격 재료는 신속하게 경화되고 빗살들이 접합되기 전에 그 최종 강도에 이미 도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빗살들은 그런 다음 이격 재료가 인접을 방지할 때까지 함께 밀릴 수 있으며, 접착제는 그런 다음 경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접착제의 경화는 에너지 투입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개시되거나 지원될 수 있다.
2개보다 많은 상이한 점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재료로서 복수의 상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제직 동안 날실이 통과하는 영역에서, 세척되거나 또는 다시 제거될 수 있는 이러한 이격 재료만이 가능하다(그 제거가 필수이기 때문에). 바디의 프레임 부재에 의해 덮인 단부 부분들에서, 다시 세척될 수 없는 이격 재료들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유익한 이격 재료들은 경화 후에 여전히 소성 변형될 수 있는 점성 물질이 또한 포함된다. 이러한 이점은 예를 들어, 추후에 설명되는 자동 제어 방법에서 중요하다.
특히, 복수의 점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점성 물질의 상이한 규정량을 사용할 추가의 가능성이 있다. 규정된 양은 예를 들어, 신속 경화 이격 재료들이 빗살의 면적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이 도포된 접착제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격 재료가 정확한 간격을 확립하고, 접착제가 충분히 직접 도포되지 않은 빗살들을 접착제가 습윤하여, 접착제 결합이 충분히 강한 것을 보장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접합 단계 동안 접촉 압력은 이격 재료들과의 접촉을 만들도록 양 빗살이 점성 접착제를 변위시키도록 충분히 높아야만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2개보다 많은 다른 점성 물질을 사용하고 각각 다른 규정된 양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은 예를 들어 표면 표면의 단부 또는 제직 동안 날실들이 통과하는 면적 면적의 단부 부분에 또는 그 중앙 부분에 도포되는지에 따라서 또한 변할 수 있다.
빗살들을 접합하는 동안, 빗살들 사이의 갭의 크기를 도량형으로 모니터하고 그 정확한 조정을 위해 제어 루프를 설정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측정은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측정 방법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다수의 유익한 절차가 존재한다:
ㆍ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역시 경화된 상태에서 변형 가능한 재료(예를 들어, 소성 변형)의 사용에 기초할 수 있다. 접촉 압력을 기존의 빗살과 접합되도록 새로운 빗살에서의 접촉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또는 서로에 대한 빗살들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이격 재료들은 요구되는 빗살 사이 거리가 얻어질 때까지 변형될 수 있다(소성으로).
ㆍ 점성 물질(들)의 다음의 도포에 앞서 현재 측정된 값의 함수로서 점성 물질(들)의 규정된 양을 조정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ㆍ 2개의 상기된 제어 변수의 조합 또는 추가 제어 변수의 포함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빗살들 사이의 거리가 빗살들을 함께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핸들링 디바이스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조정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부착된 빗살은 제1 접착 본드가 경화될 때까지 핸들링 디바이스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접착제의 규정된 양은 빗살을 모두 확실히 습윤하는데 충분한 크기이고 접착제가 경화되면 빗살들을 서로 접착하도록 선택되어야만 한다. 이격 재료는 그런 다음 필요하지 않다.
바디들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본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점성 물질을 빗살에 도포할 목적으로 설정된 계량 디바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도포되는 각각의 점성 물질의 양 및/또는 각각의 도포 공정을 위한 양이 개별적으로 규정될 수 있으면 유익하다. 계량 디바이스는 상기된 원리 중 하나에 따라서 점성 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특히 이격 재료들을 위한 가열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요구된 점성 물질을 계량하는데 도움이 되는 추가 유닛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점성 물질 도포를 위해 준비된 빗살을 면적 표면에 위치시키는 제1 핸들링 디바이스에 의해 이점이 제공된다. 스트립을 풀고 이를 길이로 절단하는 디바이스 및/또는 개별적으로 준비된 빗살들을 위한 저장소는 이러한 핸들링 디바이스보다 우선할 수 있다. 저장소에 있는 빗살들의 비축물은, 그 기하학적 형태가 공기 채널을 포함하는 에어 제트 직기들의 빗살에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제1 핸들링 디바이스는 코팅 준비 상태로 빗살을 위치시키도록 설정된다. 빗살들의 면적 표면의 모든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점성 물질(들)의 도포를 가능하게 하도록, 코팅 위치의 빗살들 및/또는 계량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축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어야만 한다. 아울러, 그 코팅 위치에 있는 빗살과 계량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가의 축 또는 다른 축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제2 핸들링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코팅 위치로부터 코팅된 빗살을 수집하고, 이전에 끼워진 빗살과 그 코팅 표면을 접촉시킨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핸들링 디바이스는, 새롭게 코팅되는 빗살이 이전의 빗살과 접촉되는 상대 위치가 각각의 빗살에 대해 개별적으로 규정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는 각각의 2개의 인접한 빗살들 사이에, 규정된 양의 경화된 본래의 점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body)를 포함하며, 몸체는 인접한 빗살들의 각각의 면적 표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몸체 또는 이러한 몸체들, 또는 그 중 일부는 빗살들 사이에 영구 접착 결합을 형성하고 및/또는 빗살들 사이의 갭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화된 재료의 체적이 보다 적은 점성 재료의 체적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몸체 또는 이러한 몸체들은 액적, 비드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기하학적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이전 참조), 빗살들의 지역 표면의 상이한 크기의 영역을 덮을 수 있다. 규정된 양의 경화되고 본래의 점성 재료를 포함하는 몸체 또는 몸체들은 빗살의 단부 부분들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빗살들의 단부 부분들은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덮인 길이 방향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외부 부분들이다. 바디에 설치된 빗살들의 길이 방향은 바디의 상승 방향에 대응한다.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이 고정되는 적어도 그 단부 부분들에서, 바디의 프레임 부재들을 빗살들에 고정하는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수단(예를 들어, 납땜 등)이 있는 영역들이 빗살들 사이에 존재하면 유익하다.
일반적으로, 규정된 양의 경화되고 본래의 점성 재료로 만들어진 복수의 몸체가 인접한 빗살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몸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체적을 가진다. 특히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이런 종류의 몸체들은 특히 점성 물질이 점 모양 방식으로 또는 작은 표면적을 가지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도포된 경우에 얻어진다. 체적들은 그런 다음 계량 디바이스의 허용 한계에 의해 지시된 자릿수에서만 다르다. 이러한 것은 이러한 몸체들이 이격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예를 들어 바디 제조 방법의 자동으로 제어된 변형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빗살 간격의 균일성은 계량 디바이스의 정밀도에 의존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경화되고 본래 점성 물질로 만들어진 몸체들의 크기의 변화에 기인하는 인접한 빗살들 사이의 갭의 크기에서의 변화는 와이어 또는 와이어 코일들과 같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제품의 사용보다 작은 간격 부정확성으로 이어진다. 특정 비율의 고형체들은 점성 물질에 첨가될 수 있으며,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접착제 기술에 익숙한 다른 첨가제도 역시 점성 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상기된 바와 같이, 폐쇄 또는 개방 루프 제어 시스템을 통합하는 공정이 사용되면, 점성 재료에서 고형체없이 작업하는 것이 또한 유익할 수 있다.
바디는 빗살들이 서로, 그러나 또한 외부로부터 부착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과 연결된 주변부/프레임 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프로파일들은 상기된 바와 같이 빗살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들은 빗살이 초기에 서로 부착된 후에 빗살에 결합된다. 프로파일들은 바디에 더욱 큰 안정성을 부여하고, 빗살들 상에 직접 힘을 발휘함이 없이 슬레이(sley)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바디에서, 대칭인 U-자 형상 프로파일은 종종 바디의 상부 및 저부에서 사용된다. 종래 기술의 방법에 따라서 빗살을 감싸는 것은 통상적으로 날실 입구측 및 출구측 상에, 즉 동일한 상승 위치에 대칭으로 매립/결합되는 빗살들을 유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대칭 배치는 와이어들이 미끄러지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이러한 방식으로 비대칭으로 감싸인 빗살이 종래 기술의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은 이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는 최종 효과에서 비대칭인 프로파일을 가지는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단일의 비대칭 프로파일이 고려될 수 있지만,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판형 물체의 형태를 하는 2개 이상의 평탄 또는 L-자 형상 프로파일도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바디의 주변은 프로파일들 사이의 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에서 완전히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빗살들이 여기에서 추가 프로파일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개별 프로파일들 또는 플레이트들은 가능한 결합 공정 동안 접착제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거나 탈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배열은 상측 주변 부분에서 날실 빔에 더욱 가깝게, 프로파일이 빗살들의 위로부터 덜 멀리 중앙 영역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디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부재가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범위로 중심 영역에 도달하는 임의의 다른 구성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측정은 바람직하게 주변 부분의 치수를 특정한 북길의 기하학적 형태 및 북길의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바디의 움직임에 적응시키는 것에 의해 바디의 전체 높이가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변 부분/프레임 영역은 높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바디의 부분이며, 여기에서, 날실은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없다. 그 이유는 바디의 프레임 또는 -종래 선행 기술의 바디에서-, 나선형 스프링 또는 감싸는 와이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의 감소 가능한 전체 높이는 직기에서 작동할 때 바디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것은 높은 회전 속도의 경우에 특히 적용된다. 전체 높이는 높이 방향으로 측정되며, 이 방향으로의 바디의 최대 연장을 나타낸다.
주변 부분에 대한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물체들의 사용은 예를 들어 결합 동안 유익할 수 있다. 개별 플레이트들의 끼움 동안, 그 전에 도포되었을 수 있는 접착제는 U-자 형상 프로파일보다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공간 내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간이 완전히 충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이점은 다양한 재료 또는 두께가 다양한 플레이트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들의 강성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다른 재료 특성 역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간적 방향(spatial direction)은 공간에서의 일정 방향이다. 이러한 공간적 방향이 서로 직각이면 때때로 유익하다.
본 발명은 지금 그 실시예 및 도면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유익하게, 개개의 실시예를 위해 설명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본 발명에 적용된다.
도 1은 빗살의 면적 표면에서 보았을 때의 종래 기술의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빗살의 면적 표면에서 보았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빗살의 면적 표면에서 보았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또 추가의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날실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바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살들의 비축물의 상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면이다.
도 6은 바디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한 바디를 도시한다.
도 1은 빗살(1)의 면적 표면(8)을 보았을 때의 종래 기술의 바디(6)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시야 방향은 바디(9)의 폭 방향(B)에 대응한다. 빗살(1)은 바디(9)의 프레임(2)에 의해 상부 및 저부에 고정되고, 프레임(2)은 U-자 형상 프로파일로서 실행된다. 빗살(1)과 바디(9)의 프레임(2)을 접합하는 접착제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접착제는 U-자 형상 프로파일과 빗살(1) 사이 및 인접한 빗살(1)들의 면적 표면(8) 사이에 어느 정도까지 도시되지 않은 공간에 있다. 바디(9)의 프레임(2)에 접한 반원형 막대(3)들 뿐만 아니라 막대(3)들 주위에 감겨진 와이어(4)들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면은 각각의 반원형 막대에 인접하는 3개의 나선형 스프링(5)들을 도시한다. 나선형 스프링(5)들과 반원형 로드(3)들은 바디(9)의 프레임(2)과 동일 높이인 접착제(6)를 덮는 것에 의해 마스킹된다.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들의 수에서 상이한 많은 종래의 실시예들이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나선형 스프링(5)들은 때로는 U-자 형상 프로파일 내에서 바디(9)의 프레임(2)에 위치된다. 그러나, 모든 가능한 종래 기술 변형은 그 품질을 저해하는 2개의 특징들을 가진다: 첫째, 빗살(1) 및 반원형 막대(3) 주위에 감겨지는 와이어(4)는 프레임(2) 내부에서 바디(9)의 프레임(2) 내로 도입되는 접착제를 가두며, 빗살(1)들은 와이어(4)들과 나선형 스프링(5)들 사이에서 결합되지 않으며; 두 번째로, 빗살(1)들은 와이어(4)들에 의해 반원형 막대(3)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빗살 (1)들의 폭에서의 불가피한 변화 때문에, 개별 빗살(1)들은 적절히 고정되지 않거나(보다 좁은 빗살(1)의 경우에) 또는 굽어진다(보다 넓은 빗살(1)의 경우에).
도 2는 빗살(1)의 면적 표면(8)에서 보았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바디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다음의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우선 반원형 막대(3), 와이어(4)들 또는 나선형 스프링(5)들이 요구되지 않고, 그러므로 이것들을 덮기 위한 접착 본드(6)가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바디(9)의 프레임 부재(2)들 사이의 공간이 그 높이 방향(H)으로 더욱 큰 한편, 전체 높이(G)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것이 즉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9)가 더욱 작은 전체 높이(G)로 설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제직 동안 지배적인 관성력을 고려하여, 이러한 조치는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키고 직기에서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도면을 단순화하도록, 바디(9)의 프레임(2)과 빗살(1) 사이에 여유 공간이 없다는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바디(9)의 프레임(2)을 빗살(1)에 결합하는 접착제 또한 도면을 단순화하도록 생략되었다. 접착제 액적(10) 또는 점 모양 스페이서(11)들로 표시되는 12개의 원은 바디(9)의 상부 프레임(2) 내에 도시되어 있다. 원의 수, 접착제 액적(10) 또는 점 모양 스페이서(11)로서 그 정렬 형태 및 그 지정은 여기에서 무작위로 선택되었으며, 당해 바디(9) 상에 만들어진 요건에 대해 임의로 적응될 수 있다. 특히, 접착제 액적(10)들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이한 접착제 액적(10) 또는 점 모양 스페이서(11)들은 이러한 것이 특정 용도에 유익하면 또한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바디(9)의 하부 프레임(2) 내의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에서, 예로서, 연장된 형태의 접착제/스페이서 비드(13)는 밀폐된 형태로 접착제/스페이서 비드(14)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높이 방향(H), 즉 상기 바디(9)의 2개의 프레임 부재(2) 사이의 부분에서 볼 때 중앙 부분에, 9개의 원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사이의 공간에서 점 모양 스페이서(12)들로서 지칭된다. 여기에서도, 3개의 점 모양 스페이서의 3개의 열은 각각 임의적이다. 임의의 다른 배열이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모양 스페이서들"의 가능성은 접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표시될지라도 또한 배제되지 않는다. 직기에서 날실들이 빗살(1)들 사이에서 안내되는 이러한 중앙 부분에서 중요한 것은 바디 제조의 완료시에 잔류물 없이 스페이서들이 거의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은 빗살(1)의 면적 표면(8)에서 보았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바디(9)의 단면도이다. 접착제 액적(10) 및 바디(9)의 하부 프레임(2) 내의 점 모양 스페이서(11)의 진열은 도 2의 진열과 다르다. 접착제/스페이서 표면(15)은 당해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추가의 대안을 보여준다. 연장된 접착제/스페이서 비드(13)는 빗살(1)의 측면 가장자리들에 대해 둔각으로 도포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특수한 구성은, 그 추후 고정을 위해 바디(9)의 프레임(2) 내부에 도포된 접착제가 추후에 바디(9)의 프레임 부재(2)들 사이의 영역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착제는 날실들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추후에 제거되어야만 한다. 연장된 접착제/스페이서 비드(13)를 선형뿐만 아니라 곡선 형태로 수행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바디(9)의 다중 부품 프레임(20)들을 위한 다양한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9)의 다중 부품 프레임(20)은 비대칭이다. 날실 입구측(41) 및 날실 출구측(42) 상의 프로파일들은 높이 방향(H)으로 상이한 각도로 연장된다. 특히, 제1 프레임 프로파일(21)은 돌출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4)는 바디(9)의 다중 부품 프레임(20)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가, 날실들이 안내되는 바디의 중앙 영역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해하는 밀봉 립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날실 방향(K)은 명확성의 목적을 위해 도시된다. 날실 입구측은 도면 부호 41로 지시되고, 출구측은 도면 부호 42로 지시된다. 바디(9)의 다중 부품 프레임(20)을 위한 다른 고려 가능한 구성에서, 도면에서 프로파일(22)의 위치에서의 프로파일은 생략될 것이다.
도 4는 빗살(1)의 적층체(7)의 상세를 도시하는 날실 방향(K)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또한 단순화된다: 모든 접착제 액적 및 점 모양 스페이서들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도시된다. 절차 순서 및 광범위한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접착제 액적들의 측면들 및/또는 단면도에서 점 모양 스페이들은 또한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할 수 있다. 빗살(1)들은 도면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절단되었다. 더욱이, 사이 공간에 있는 점 모양 스페이서(11)들과 점 모양 스페이서(12)들 사이의 거리의 비는 도시된 거리(T)(빗살 사이 갭 폭을 더한 빗살 두께의 맥락에서)에 대해 부정확할 수 있으거나, 또는 적어도 도 2 및 도 3에서 사용된 척도에 대응하지 않는다. 도면은 4개의 빗살(1)의 단면을 도시한다. 빗살 적층체(7)는 위로부터 5번째 빗살(1)의 추가 준비가 되었다. 이 시점에서, 바디(9)는 0.5m 이하 내지 4m 이상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많은 수의 빗살(1)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될 바디의 길이에 관한 상한 또는 하한은 없다. 이미 언급했듯이, 도면에 도시된 빗살 적층체(7)는 위로부터 5번째 빗살의 추가 준비가 되었다. 점 모양 스페이서(11)들, 이 예에서 상승된 접착제 액적(16) 및 사이 공간 점 모양 스페이서(12)는 최상측의 빗살에 이미 도포되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점 모양 스페이서들/액적들은 추가되도록 다음의 빗살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차 효율성의 이유로, 빗살 적층체(7)와 추가될 다음의 빗살(1) 모두에 접착제/스페이서들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유익한 실시예의 2개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접착/스페이서 적층체(17)는 저부와 다음의 저부 사이에 도시된다. 뿐만 아니라, 서로의 옆에 접착제 액적과 점 모양 스페이서들을 정렬하면(비드 및 펼침을 형성하도록), 이것들은 서로의 상부에 또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은 또한 움푹 들어간 점 모양 스페이서(18)를 도시한다. 특히, 복수의 다른 점성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이한 규정된 양이 선택되어, 상승된 액적(16) 및 움푹 들어간 접착제 액적/점 모양 스페이서(18)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빗살 스트립(32)은 빗살 스트립의 코일(31)로부터 핸들링 디바이스, 이 경우에 진공 그리퍼(vacuum gripper)(5)로 공급된다. 절단 디바이스(33)는 빗살 스트립(32)으로부터 빗살(1)을 분리하고, 빗살(1)은 그런 다음 진공 그리퍼(35)에 의해 홀딩된다. 진공 그리퍼(35)는 개략 절단도로 도시되고, 여기에서, 진공 그리퍼(35)의 진공 공간(36)이 또한 보일 수 있다. 진공 그리퍼(35)는 계량 디바이스(34)에 빗살(1)의 면적 표면(8)을 제공한다. 계량 디바이스(34)는 규정된 양의 하나 이상의 점성 물질을 면적 표면(8)에 도포한다. 접착제 액적/점 모양 스페이서(10-18)들은 이미 빗살(1)의 면적 표면(8) 상에서 보이는 한편, 접착제 액적/점 모양 스페이서(19)는 여전히 계량 디바이스(30)와 빗살(1) 사이의 공기 중에 있다. 빗살(1)은 방향(38)으로의 추가의 움직임에 의해 빗살 적층체(7)에 접합된다. 바디의 거리(T)(빗살 사이 갭을 더한 빗살 폭)와 다양한 형태의 접착제 액적 및 점 모양 스페이서(10-18)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9)의 도면이다. 높이 방향(H)으로의 전체적인 높이(G), 바디의 폭 방향(B) 및 날실 방향(K)은 명확성의 목적을 위해 도시된다. 바디(9)의 프레임 영역(25)도 도시되어 있다. 바디(9)의 프레임 영역(25)들은 높이 방향(H)에서 보았을 때 날실들이 바디(9)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바디(9)의 부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9)에서, 프레임 영역은 프레임 부재(2, 20)들과 함께 시작한다. 종래 기술의 바디에서, 바디(9)의 프레임 영역(25)은 빗살(1) 주위에 감기는 나선형 스프링(5) 또는 와이어(4)들로 시작한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한 바디(9)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바디(9)의 상부 프레임 부재(2)는 생략되었으며, 이에 의해, 본래 점성이 있는(제1 및 추가의) 몸체(39)들을 보이게 하며, 이것들은 그렇지 않으면 바디(9)의 프레임 부재(2)에 의해 숨겨진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본래의 점성체들은 동일한 체적을 가진다.
1 : 빗살 2 : 바디 프레임, U-자 형상 프로파일
3 : 반원형 막대 4 : 와이어
5 : 나선형 스프링 6 : 접착제 커버링
7 : 빗살들의 적층체 8 : 빗살의 면적 표면
9 : 바디 10 : 접착제 액적, 규정된 양
11 : 점 모양 스레이서, 규정된 양 12 : 사이 공간에 있는 점 모양 스페이서, 규정된 양
13 : 접착제/스페이서의 개방 단부형 비드, 규정된 양
14 : 접착제/스페이서의 폐쇄 단부형 비드, 규정된 양
15 : 접착제/스페이서의 펼침, 규정된 양
16 : 접착제의 상승 액적, 비드 또는 펼침, 규정된 양
17 : 접착제/스페이서의 적층체, 규정된 양
18 : 움푹 들어간 점 모양 스페이서, 규정된 양
19 : 공기 중의 접착제 액적/점 모양 스페이서
20 : 다중 부품 바디 프레임 21 : 제1 프레임 프로파일
22 : 제2 프레임 프로파일 23 : 제3 프레임 프로파일
24 : 돌출부 25 : 바디의 프레임/주변 영역
30 : 디바이스 31 : 빗살 스트립의 코일
32 : 빗살 스트립 33 : 커팅 디바이스
34 : 계량 디바이스 35 : 진공 그리퍼
36 : 진공 그리퍼에서의 상승 공간 37 : 그리퍼의 제1 움직임 방향
38 : 그리퍼의 제2 움직임 방향 39 : 본래의 점성체(제1 및 추가의)
41 : 날실 입구측 42 : 날실 출구측
A : 빗살 사이 거리(= 갭 폭) B : 바디(9)의 폭 방향, 면적 표면(8)에 직각인 방향
E : 빗살의 단부 부분 G : 바디(9)의 전체 높이
H : 높이 방향 K : 날실 방향
T : 빗살 사이 갭폭을 더한 빗살 두께로 이루어진 거리

Claims (15)

  1. 바디(9)의 빗살(dent)(1)들을 형성하도록,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이 바디(9)의 폭 방향(B)으로 이격된 주어진 거리(A)에서 서로 접합되는, 제직 바디(weaving reed)(9)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ㆍ주어진 빗살 사이 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상기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바디(9)의 폭 방향(B)으로 대향하는 그 면적 표면(8), 특히 단부 부분(E)들에 도포되는 규정된 양의 적어도 하나의 점성 물질(10-18)이 제공되며,
    ㆍ상기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는 그런 다음 다음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10-18)은 점 모양 방식(10, 11, 12)으로 또는 비드(13, 14)의 형태로 층(15)간(layerwise) 액적 방식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 중 적어도 하나는,
    ㆍ길이로 절단되며,
    ㆍ그 면적 표면(8)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10-18)을 가지며,
    ㆍ그런 다음 추가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와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구 접합부(10)가 규정된 양의 적어도 하나의 점성 물질(10-18)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 사이의 거리(A)는 상기 규정된 양의 적어도 하나의 점성 물질(10-18)에 의해 영구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 사이의 거리(A)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이 초기에 합쳐질 때 최대한 신속하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경화가 에너지 투입에 의해 상당히 영향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점성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및 제2 점성 물질이 사용되며, 이러한 2개의 물질은 상이한 경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점성 물질은 상기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이 제1 시간 동안 합쳐지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들이 서로 합쳐진 후에 측정되며, 도포된 상기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10-18) 및/또는 상기 물체(1)들을 서로 합치도록 사용된 접촉 압력은 이러한 측정된 값에 따라서 개방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규정된 양의 점성 물질(10-18)이 빗살(1)들의 면적 표면(8)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계량 디바이스(34)를 가지는,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빗살들을 접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코팅 위치로부터, 상기 빗살의 코팅된 표면이 이전에 부착된 빗살과 접촉하는 위치로 상기 코팅된 빗살을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링 디바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빗살(8)들의 기능을 취하고 바디(9)의 폭 방향(B)으로 이격된 주어진 거리(A)에서 열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들을 포함하는 제직 바디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몸체(39)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몸체는, 규정되고 경화된 본래 점성 물질, 즉 빗살들에 도포되었을 때에 분배 가능하고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의 면적 표면(8)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2개의 스트립 또는 테이프 형상 물체(1)의 면적 표면(8)과 접촉하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바디.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몸체(39)는 규정되고 경화된 양의 본래 점성 물질로 또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몸체와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바디.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1)들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영역(25)은 높이 방향(H)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바디의 2개의 측면들 중 한쪽 측면의 상기 바디(9)의 중앙 부분이 다른쪽 측면보다 가까운 단부에서 빨리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바디.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ㆍ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영역(25)은 플레이트형 물체(21, 22, 23)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공간 방향들로 결합되며,
    ㆍ제1 공간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영역을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형 물체(21, 22, 23)는 제2 공간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영역을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형 물체(21, 22, 23)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바디.
KR1020177023625A 2015-03-10 2016-03-09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KR102515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8490.1A EP3067451A1 (de) 2015-03-10 2015-03-1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und webblatt
EP15158490.1 2015-03-10
PCT/EP2016/055009 WO2016142418A1 (de) 2015-03-10 2016-03-0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und webbla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543A true KR20170124543A (ko) 2017-11-10
KR102515841B1 KR102515841B1 (ko) 2023-03-31

Family

ID=5263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625A KR102515841B1 (ko) 2015-03-10 2016-03-09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6527B2 (ko)
EP (2) EP3067451A1 (ko)
JP (1) JP6853181B2 (ko)
KR (1) KR102515841B1 (ko)
CN (1) CN107407020B (ko)
WO (1) WO2016142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5095B1 (de) * 2017-07-07 2020-09-30 Groz-Beckert KG Webblat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2118330B1 (ko) * 2019-01-23 2020-06-03 삼성에스티에스(주)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EP3792382B1 (de) * 2019-09-10 2024-02-07 Groz-Beckert KG Webblatt mit einer vielzahl von lamell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1563A (ko) * 1974-03-06 1975-09-23
JP2001003240A (ja) * 1999-06-21 2001-01-09 Sanyo Trading Kk 綜絖の機能を有する手織機用おさおよび手織機
KR100514171B1 (ko) * 2002-08-01 2005-09-13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직용 바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2365A (en) * 1949-03-08 1951-10-23 Ernest J Mcfetters Loom reed
US2783780A (en) * 1953-07-24 1957-03-05 Wagner Curt Reed
US2989088A (en) * 1958-07-18 1961-06-20 Schmidt Mfg Co Reed frame
US3189056A (en) * 1961-10-18 1965-06-15 Steel Heddle Mfg Co Textile reed
DE2150275B2 (de) * 1970-10-15 1976-08-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Saint Paul, Minn. (V.St.A.) Webriet
DE2226194A1 (de) 1972-05-30 1973-12-13 Braeck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beblaettern
JPS49101664A (ko) * 1973-02-03 1974-09-26
US4519098A (en) * 1983-06-08 1985-05-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Wearing apparel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of wearing apparel
DE19618368B4 (de) * 1996-05-08 2005-11-2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Anordnung aus Fadenführungselementen einer Kettenwirk- oder Strickmaschine und einem Träger
DE19928885C1 (de) * 1999-06-24 2001-03-29 Groz Beckert Kg Modul mit Adapter für unterschiedliche Barren
DE10227532B4 (de) * 2002-06-20 2006-02-23 Groz-Beckert Kg Modul für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Maschen bildende Maschinen
FR2913435B1 (fr) * 2007-03-07 2009-12-04 Schonherr Textilmaschb Gmbh Peigne de metier a tisser,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 tel peig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peigne.
CN202989445U (zh) 2012-10-10 2013-06-12 王娃 一种纺织机绞织钢筘
CN203229717U (zh) 2013-03-27 2013-10-09 吴江市金平华纺织有限公司 夹持式异形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1563A (ko) * 1974-03-06 1975-09-23
JPS5438233B2 (ko) * 1974-03-06 1979-11-20
JP2001003240A (ja) * 1999-06-21 2001-01-09 Sanyo Trading Kk 綜絖の機能を有する手織機用おさおよび手織機
KR100514171B1 (ko) * 2002-08-01 2005-09-13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직용 바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8525A1 (de) 2018-01-17
WO2016142418A1 (de) 2016-09-15
CN107407020B (zh) 2019-12-03
US10626527B2 (en) 2020-04-21
US20180057980A1 (en) 2018-03-01
KR102515841B1 (ko) 2023-03-31
EP3268525B1 (de) 2019-05-29
JP6853181B2 (ja) 2021-03-31
EP3067451A1 (de) 2016-09-14
CN107407020A (zh) 2017-11-28
JP2018511714A (ja)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4543A (ko) 제직 바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바디
US5622411A (en) Process for joining bristle bundles to a plastic bristle carrier and apparatus for the same
RU2564338C1 (ru) Новый промежуточный материал постоянной ширин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ых деталей при помощи прямого способа
RU2446948C2 (ru) Пултрузионны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офиля
US93346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mposite fiber material in the form of a fiber strip impregnated with a polymer
KR101775251B1 (ko) 로터 블레이드의 제조를 위한 프리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RU2535694C2 (ru) Новый промежуточный упрочняющий материал, состоящий из множества разделительных нитей, покрытых тонким нетканым материалом
US2016036825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nents, in particular elongated profile sections from band-shaped pre-impregnated fibers (prepreg)
CZ20023504A3 (cs) Dílec nebo prvek rámové, kostrové a podobné konstrukce, způsob jeho výroby a zařízení pro jeho provádění
EP2150394B1 (en) Method for producing joined belt
WO2011014638A1 (en) Spliced fiber glass roving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splicing fiber glass rovings
CN103608168A (zh) 具有改善的耐分层性的罩纱带材
ITTO20080232A1 (it)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un elemento strutturale allungato in materiale composito tramite formatura e cura in autoclave con sacco a vuoto
CZ2014587A3 (cs) Izolační sklo a způsob jeho výroby
PL116763B1 (en) Process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rods of cross-linked and glued fibrous material,especially cigarette filters or flomaster element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cigarette filters
EP3635361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forming a droplet or droplets onto a fibre
JP2018515703A (ja) 窓のブロック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A2755502A1 (en) Partially fixated semi-finished textile
TWI675632B (zh) 用於製造刷子或刷毛筆的方法及用於該方法的設備
US7871484B2 (en) Method for bonding a dry fiber strip to a dry fiber strand
US20220225686A1 (en) Method and mounting frame for manufacturing a vaporizer unit for an inhaler
KR101672744B1 (ko) 옹벽용 보강재의 제조방법
JP2004314323A (ja) 通気性,通液性を備えたハニカムコアの製造方法
EP096634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icherungselements sowie ein entsprechendes sicherungselement
DE19741068C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exiblen Bürstentei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