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330B1 -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330B1
KR102118330B1 KR1020190008596A KR20190008596A KR102118330B1 KR 102118330 B1 KR102118330 B1 KR 102118330B1 KR 1020190008596 A KR1020190008596 A KR 1020190008596A KR 20190008596 A KR20190008596 A KR 20190008596A KR 102118330 B1 KR102118330 B1 KR 10211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hin plate
plate material
furnace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동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티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티에스(주) filed Critical 삼성에스티에스(주)
Priority to KR102019000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 리드는, 무산화열처리된 420J2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박판소재를 프레싱하여 이루어지며, 횡곡 d/lo<1.1mm/1m, 전곡 l/lo<21mm/300mm, 폭 평탄도 p/w<8㎛/1mm, 및 길이 평탄도 dw/lw<0.43%를 만족하고(여기서, d는 길이방향 치올림값, lo는 길이값, l은 자유단에서의 처짐값, p는 폭방향 치올림값, w는 폭값, dw는 웨이브 높이값, lw는 웨이브 길이값임), 상기 무산화열처리된 420J2 스테인리스강은, 0.1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갖는 평면형 420J2 스테인리스강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1 가열로에서 930℃~106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 내에서 350℃~15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와 연결된 제1 냉각로에서 150℃~8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냉각로 외부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3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1차 냉각 공정; 상기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2 가열로에서 250℃~38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2차 열처리 공정; 및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2 가열로와 연결된 제2 냉각로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REED FOR LO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으로 사용되는 섬유 직조기의 핵심 소모품인 리드(reed), 종광(heald), 드롭퍼(dropper)의 소재로 종전에는 301 스테인리스강 소재를 냉간압연하여 비커스 경도 500-530의 소재를 프레스-바렐연마-표면폴리싱-레베링 공정을 거친 후 조립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 고속 직조기의 운전속도가 고속화되어 보다 더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는 고장력 열처리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직조기의 리드로 420J2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되, 무산화열처리공정을 통해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 리드는, 무산화열처리된 420J2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박판소재를 프레싱하여 이루어지며, 횡곡 d/lo<1.1mm/1m, 전곡 l/lo<21mm/300mm, 폭 평탄도 p/w<8㎛/1mm, 및 길이 평탄도 dw/lw<0.43%를 만족하고(여기서, d는 길이방향 치올림값, lo는 길이값, l은 자유단에서의 처짐값, p는 폭방향 치올림값, w는 폭값, dw는 웨이브 높이값, lw는 웨이브 길이값임), 상기 무산화열처리된 420J2 스테인리스강은, 0.1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갖는 평면형 420J2 스테인리스강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1 가열로에서 930℃~106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 내에서 350℃~15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와 연결된 제1 냉각로에서 150℃~8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냉각로 외부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3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1차 냉각 공정; 상기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2 가열로에서 250℃~38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2차 열처리 공정; 및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2 가열로와 연결된 제2 냉각로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은, 0.1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갖는 평면형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1 가열로에서 930℃~106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 내에서 350℃~15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와 연결된 제1 냉각로에서 150℃~8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냉각로 외부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3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1차 냉각 공정; 상기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2 가열로에서 250℃~38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2차 열처리 공정;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2 가열로와 연결된 제2 냉각로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공정; 상기 2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 및 상기 권취된 박판소재를 프레스기로 공급하는 프레스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판소재는 420J2 스테인리스강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로는 로내 무산화를 위해 수소와 질소가 8:2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가스가 투입되고, 상기 제2 가열로는 질소가스가 투입되어 상기 박판소재가 공기와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로와 상기 제2 냉각로는 각각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냉각판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판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냉각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시키며 간접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박판소재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1 가열로, 상기 제1 냉각로, 상기 제2 가열로 및 상기 제2 냉각로를 연속하여 통과하며, 상기 제1 가열로의 입구와 상기 제1 냉각로의 출구, 상기 제2 가열로의 입구와 상기 제2 냉각로의 출구에는 각각 상기 박판소재 둘레에 밀착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내열성 직물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직조기의 리드로 420J2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되, 무산화열처리공정을 통해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 리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박판소재의 품질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산화열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산화열처리공정을 포함한 직조기 리드를 제조하는 공정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산화열처리된 박판소재의 롤 형태의 재료제품 및 직조기 리드의 완제품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 리드는 420J2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박판소재를 프레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4b 참조). 특히, 박판소재로 사용되는 420J2 스테인리스강은 무산화열처리장치를 통해 무산화열처리되어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압연된 스테인리스 300계열 제품으로 리드 등의 부품을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이 높은 경화 열처리된 스테인리스 400계열 중 420J2 스테인리스강을 무산화열처리하여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직조기 리드로 사용되는 박판소재는 무산화열처리를 통해서, 도 1a 내지 도 1d에서와 같이, 횡곡 d/lo<1.1mm/1m, 전곡 l/lo<21mm/300mm, 폭 평탄도 p/w<8㎛/1mm, 및 길이 평탄도 dw/lw<0.43%의 품질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d는 길이방향 치올림값, lo는 길이값, l은 자유단에서의 처짐값, p는 폭방향 치올림값, w는 폭값, dw는 웨이브 높이값, lw는 웨이브 길이값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 리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소재로 사용되는 420J2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무산화열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무산화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산화열처리장치(1)는 제1 가열로(10), 제1 냉각로(20), 제2 가열로(30), 제2 냉각로(40)를 포함할 수 있다.
롤 형태로 권취된 박판소재(TS)는 순차적으로 제1 가열로(10), 제1 냉각로(20), 제2 가열로(30) 및 제2 냉각로(40)를 연속하여 통과하며 무산화열처리될 수 있다. 무산화열처리과정에서 박판소재(TS)의 형상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박판소재(TS)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제1 가열로(10)에 투입되기 전에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50)와 제2 냉각로(40)에서 배출되어 권취되기 전에 설치된 브리들 장치(60)를 통해서 박판소재(TS)의 전후방으로 텐션을 가하도록 하여 형상교정을 하도록 한다. 즉, 박판소재(TS)에 대해 무산화열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박판소재(TS)를 전후방으로 잡아당겨서 형상교정을 수행한다.
무산화열처리장치를 통해 무산화열처리된 박판소재(TS)는 이후 권취 공정을 통해 롤 형태의 스트립(2) 재료제품으로 제조되거나, 프레스 공정을 통해 직조기의 리드(3) 완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리드 외에 종광, 드롭퍼 등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직조기의 리드(3)는 420J2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박판소재(TS)로 이루어지며, 420J2 스테인리스강의 물리적 성질 및 직조기의 리드(3)로서 요구되는 경도(Hardness)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열처리가공공정을 거쳐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무산화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무산화열처리공정을 거쳐 무산화열처리함으로써 상술한 제품의 품질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산화열처리공정을 포함한 직조기 리드를 제조하는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산화열처리공정은 롤 형태로 권취된 평면형 박판소재를 제1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1차 열처리 공정(S10), 1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박판소재를 3단계로 분할된 온도 범위에서 분할냉각시키는 1차 냉각 공정(S20),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박판소재를 제2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2차 열처리 공정(S30), 2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박판소재를 냉각시키는 2차 냉각 공정(S4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무산화열처리공정 중 1차 열처리 공정(S10)은 소입 공정(quenching process)으로서, 0.1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갖는 평면형 박판소재(TS)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1 가열로(10)에서 930℃~1060℃의 온도에서 가열한다.
제1 가열로(10)는 대략 길이가 6m, 폭 1.5m, 높이 1.8m의 크기를 가지며, 박판소재(TS)를 간접가열하는 머플식 타입일 수 있다. 박판소재(TS)는 제1 가열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략 1000mm~1300mm/분의 속도로 이동하며 가열될 수 있다.
제1 가열로(10)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진입할 수 없는 분위기를 조성시켜 박판소재(TS)가 공기와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그 방법에 있어서 로내 무산화를 위해 수소와 질소가 8:2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가스가 투입되어 진공분위기를 조성하고, 박판소재(TS)가 투입되는 제1 가열로(10)의 입구에는 박판소재(TS) 둘레에 밀착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재(70)는 내열성 직물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산화열처리공정 중 1차 냉각 공정(S20)은, 1차 열처리 공정(S10) 후 가열된 박판소재(TS)를 제1 가열로(10) 내에서 350℃~15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1차 냉각 단계(S21), 1차 냉각된 박판소재(TS)를 제1 가열로(10)와 연결된 제1 냉각로(20)에서 150℃~8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단계(S22), 및 2차 냉각된 박판소재(TS)를 제1 냉각로(20) 외부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3차 냉각 단계(S23)로 분할하여 냉각시킨다.
1차 냉각 단계(S21)는 제1 가열로(10) 내의 출구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냉각로(20)는 제1 가열로(10)의 출구와 연속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박판소재(TS)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1 가열로(10)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제1 냉각로(20)로 투입되어 2차 냉각 단계(S22)가 수행될 수 있다. 2차 냉각 단계(S22)는 간접수냉방식으로 수행되며, 구체적으로, 제1 냉각로(20)는 냉각수(C)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유로(22)가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냉각판(21)을 구비하며, 냉각판(21)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박판소재(TS)를 냉각판(21) 사이의 공간을 통과시키며 간접냉각시킨다. 제1 냉각로(20)의 출구에는 박판소재(TS) 둘레에 밀착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3차 냉각 단계(S23)는 박판소재(TS)가 제1 냉각로(20)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서 외부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무산화열처리공정 중 2차 열처리 공정(S30)은 소려 공정(tempering process)으로서,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박판소재(TS)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2 가열로(30)에서 250℃~380℃의 온도에서 가열한다. 앞선 1차 열처리 공정(S10)과 1차 냉각 공정(S20)을 통해 발생된 내취열성과 내부응력을 2차 열처리 공정(S30)을 통해 제거하며, 박판소재(TS)에 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가열로(30)는 대략 길이가 5m, 폭 1.5m, 높이 1.8m의 크기를 가지며, 제1 가열로(10)와 마찬가지로 박판소재(TS)를 간접가열하는 머플식 타입일 수 있다. 박판소재(TS)는 제2 가열로(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략 1000mm~1300mm/분의 속도로 이동하며 가열될 수 있다.
제2 가열로(30)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진입할 수 없는 분위기를 조성시켜 박판소재(TS)가 공기와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그 방법에 있어서 로내 무산화를 위해 질소가스가 투입되어 진공분위기를 조성하고, 박판소재(TS)가 투입되는 제2 가열로(30)의 입구에는 박판소재(TS) 둘레에 밀착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무산화열처리공정 중 2차 냉각 공정(S40)은, 2차 열처리 공정(S30) 후 가열된 박판소재(TS)를 제2 가열로(30)와 연결된 제2 냉각로(40)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킨다. 2차 냉각 공정(S40)을 통해서 박판소재(TS)의 평탄도를 교정할 수 있다.
2차 냉각 공정(S40)은 앞선 1차 냉각 공정(S20)의 2차 냉각 단계(S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냉각로(40)는 냉각수(C)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유로(42)가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냉각판(41)을 구비하며, 냉각판(41)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박판소재(TS)를 냉각판(41) 사이의 공간을 통과시키며 간접냉각시킨다. 제2 냉각로(40)의 출구에는 박판소재(TS) 둘레에 밀착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무산화열처리공정을 통해 420J2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박판소재(TS)는 목표 수치인 비커스 경도 510~540HV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품의 품질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한편, 2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박판소재(TS)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S50)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상술한 무산화열처리공정을 거쳐 무산화열처리된 박판소재(TS)는 권취 공정(S50)을 통해서 롤 형태의 스트립(2) 재료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무산화열처리된 박판소재(TS)를 프레스기로 공급하여 펀칭하는 프레스 공정(S6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에서와 같이, 프레스 공정(S60)을 통해서 직조기 리드(3)의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프레스기에 장착되는 금형을 교체함으로써 리드 외에 종광, 드롭퍼 등의 직조기의 다른 부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드는 물론 종광과 드롭퍼 등의 직조기의 다른 부품들도 상술한 무산화열처리된 박판소재(TS)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무산화열처리장치
10... 제1 가열로
20... 제1 냉각로
30... 제2 가열로
40... 제2 냉각로
50... 브레이크 장치
60... 브리들 장치
70... 완충부재

Claims (7)

  1. 무산화열처리된 420J2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박판소재를 프레싱하여 이루어지며, 횡곡 d/lo<1.1mm/1m, 전곡 l/lo<21mm/300mm, 폭 평탄도 p/w<8㎛/1mm, 및 길이 평탄도 dw/lw<0.43%를 만족하고(여기서, d는 길이방향 치올림값, lo는 길이값, l은 자유단에서의 처짐값, p는 폭방향 치올림값, w는 폭값, dw는 웨이브 높이값, lw는 웨이브 길이값임),
    상기 무산화열처리된 420J2 스테인리스강은,
    0.1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갖는 평면형 420J2 스테인리스강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1 가열로에서 930℃~106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 내에서 350℃~15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와 연결된 제1 냉각로에서 150℃~8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냉각로 외부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3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1차 냉각 공정;
    상기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2 가열로에서 250℃~38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2차 열처리 공정; 및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2 가열로와 연결된 제2 냉각로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공정;
    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리드.
  2. 0.1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갖는 평면형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1 가열로에서 930℃~106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 내에서 350℃~15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가열로와 연결된 제1 냉각로에서 150℃~8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1 냉각로 외부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3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1차 냉각 공정;
    상기 1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조성된 제2 가열로에서 250℃~38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2차 열처리 공정;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가열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제2 가열로와 연결된 제2 냉각로에서 80℃~상온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2차 냉각 공정;
    상기 2차 냉각 공정 후 냉각된 상기 박판소재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 및
    상기 권취된 박판소재를 프레스기로 공급하는 프레스 공정;
    을 포함하는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소재는 420J2 스테인리스강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열로는 질소가스가 투입되어 상기 박판소재가 공기와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로와 상기 제2 냉각로는 각각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냉각판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판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박판소재를 상기 냉각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시키며 간접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소재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1 가열로, 상기 제1 냉각로, 상기 제2 가열로 및 상기 제2 냉각로를 연속하여 통과하며,
    상기 제1 가열로의 입구와 상기 제1 냉각로의 출구, 상기 제2 가열로의 입구와 상기 제2 냉각로의 출구에는 각각 상기 박판소재 둘레에 밀착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내열성 직물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KR1020190008596A 2019-01-23 2019-01-23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KR10211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96A KR102118330B1 (ko) 2019-01-23 2019-01-23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96A KR102118330B1 (ko) 2019-01-23 2019-01-23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30B1 true KR102118330B1 (ko) 2020-06-03

Family

ID=7108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596A KR102118330B1 (ko) 2019-01-23 2019-01-23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33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3525A (en) * 1915-01-27 1922-10-31 Beckers Gustav Reed for looms
US1449686A (en) * 1920-09-24 1923-03-27 Christopher T Mace Reed for weaving looms
KR19990087207A (ko) * 1996-12-26 1999-12-15 야스이 쇼사꾸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US6394146B2 (en) * 2000-05-30 2002-05-2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Split reed including a weaving reed and an auxiliary reed having a non-planar guide path
US6401762B1 (en) * 1998-06-10 2002-06-11 Picanol N.V. Reed and reed dent for weaving machines
US6516834B2 (en) * 1998-06-10 2003-02-11 Picanol Nv Reed with bracing arrangement
US20180057980A1 (en) * 2015-03-10 2018-03-01 Groz-Beckert K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Reed, and Ree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3525A (en) * 1915-01-27 1922-10-31 Beckers Gustav Reed for looms
US1449686A (en) * 1920-09-24 1923-03-27 Christopher T Mace Reed for weaving looms
KR19990087207A (ko) * 1996-12-26 1999-12-15 야스이 쇼사꾸 수분사 직기용 리드 및 이 리드를 이용한 제직방법
US6401762B1 (en) * 1998-06-10 2002-06-11 Picanol N.V. Reed and reed dent for weaving machines
US6516834B2 (en) * 1998-06-10 2003-02-11 Picanol Nv Reed with bracing arrangement
US6394146B2 (en) * 2000-05-30 2002-05-2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Split reed including a weaving reed and an auxiliary reed having a non-planar guide path
US20180057980A1 (en) * 2015-03-10 2018-03-01 Groz-Beckert K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Reed, and Re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318B2 (en) Rapid heating apparatus of continuous annealing line
JP6633025B2 (ja) コア板の製造方法
US20120028069A1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2118330B1 (ko) 직조기 리드 및 직조기 리드의 제조 방법
RU243880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магния
US10472691B2 (en) Hot-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hardened shaped components from steel sheet
EP29576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itrid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S11008637B2 (en) Method of producing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trip
CN112605166B (zh) 一种带钢矫直方法及其装置
KR20140021422A (ko) 소재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2453004B1 (ko) 언코일러에 권취되는 강판 코일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 밴드
JP4277344B2 (ja) テンションレベラおよびストリップの矯正方法
JP2002226912A (ja) 鋼材の熱処理方法
JP3350372B2 (ja) 銅合金条材の歪取り焼鈍方法及び光輝焼鈍炉
KR20010068737A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강 코일의 진공무산화연속 열처리 방법
US202001491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lates
KR101230160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233722A (ja) 冷間圧延鋼板の製造法
KR101620711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040783A (ja) リードフレームの加工装置
CN116200591A (zh) 一种铝硅镀层热成形钢热处理的方法
JP2006002183A (ja) 厚鋼板の熱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S5512522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inuous annealing of steel strip
JP2000042632A (ja) テンションレベラならびにストリップの矯正方法
WO2012128230A1 (ja) 金属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