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45Y1 -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2445Y1 KR940002445Y1 KR2019890008004U KR890008004U KR940002445Y1 KR 940002445 Y1 KR940002445 Y1 KR 940002445Y1 KR 2019890008004 U KR2019890008004 U KR 2019890008004U KR 890008004 U KR890008004 U KR 890008004U KR 940002445 Y1 KR940002445 Y1 KR 9400024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rp
- loom
- woven fabric
- overrun
- prevention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03D49/14—Compensating for tension differences during shed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에 과낳 유체분사식직기에 의한 직포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 부분 측면도.
제 2 도는 동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분 측면도.
제 3 도는 동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클로오드펠(cloth fell) H1, H2: 양아틀(heald frame)
W : 정렬날실 P : 규제부재
R : 바디 1 : 윗쪽프레임
12 : 옆판 2 : 아랫쪽프레임
22 : 옆판
본 고안은,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웨일스트리이크(wale streak) 방지구조, 상세하게는, 에어제트직기(air jet loom)나 워터제트직기(water jet loom) 또는 레이피아직기(rapier loom)등의 고속직기에 의한 제직(製織)시에, 클로오드펠(cloth fell)과 잉아틀(heald frame)과의 사이에서 날줄(捺朱) (warp)의 개구방향으로의 오버런(over run)을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직포에 나타나는 웨일스트리이크(wale streak)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직정도(情度)의 향상을 통해서 직포의 품질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이다.
에어 내지 워터방식등의 유체분사식직기는 고속운전에 적용한 직기인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와같은 고속직기에서는, 잉아틀의 상하동작에 의한 날줄의 개구운동중의 이동관성력이 개구한계에 달한 때에 이 날줄에 보다 크게 작용하여 이것을 개구방향으로 활모양으로 변위시킨다라는, 소위 「오버런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경향은, 날줄장력이 낮은 실 또는 인장강도(영율(Young's modulus))가 낮은 실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전체날줄의 장력을 목표값에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세번수(細番手)직물이나 영율에 산포(dispersion)가 있는 강연사(强撚絲)를 날줄로하는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는, 이 오버런양이 다른날줄보다 비정상적으로 큰 날줄(이하, 오버런한 실, 혹은 오버런실이라함)이 나타나기 쉽다.
더구나, 오버런한 날실은 클로오드펠과 잉아틀과의 사이에서, 잉아틀의 상하동작에 따라서 관성력이 연속적으로 반복작용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날실은 날줄장력, 인장강도가 더욱 저하되어 실이 늘어지고, 이 상태에서 제직을 진행시켜 나가면 오버런실이 인근의 정상실과 밀접하여 서로 나란한 것에 의해 직포의 세로방향으로 웨일스트리이크를 발생한다라는 직물로서의 중대한 결점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고속직기에서의 상기된 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클로오드펠과잉아틀과 사이에서 날실의 개구방향으로의 웨일스트리이크를 규제하여 직포에 나타나는 웨일스트리이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과제로 한다.
본 고안자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용한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 (H2)과의 사이에, 정렬(整列) 날실(W)의 최대개구시에 이 정렬날실(W)과 맞닿아 동 날실의 개구방향으로의 오버런을 규제하는 규제부재(P)를 직포의 폭전역 또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서 설치하는 장치를 채용하여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유체분사식직기에 의한 직포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분측면도, 제 2 도는 동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분 측면도, 제 3 도는 동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분 측면도이다.
제 1 도에서, 부호(H1), (H2)로 표시한 것은, 정렬날실(W)의 윗실과 아랫실을 개폐구(開閉口)동작시키는 잉아틀로서, 한쪽의 잉아틀(H1)이 최대로 상승하고, 다른쪽의 잉아틀(H2)의 최대로 하강했을 때에 「북(shuttle) 입구」 (S)의 개구(開口) (shedding)가 최대로 된다.
부호(R)로 표시한 것은,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 (H2)과의 사이에 날실(W)의 윗실과 아랫실의 각 실을 다수개 줄지어 설치한 바디날개(reed wire) (E)사이에 끌어넣은 바디로서, 도시하지 않은 기지의 바디를 치는 장치(beating-up motion)에 의해 클로오드펠(C) 옆면에 요동(搖動)가능하게 세워설치되고, 북입구(S)로 통과한 씨실(緯失)을 클로오드펠(C)에 부딪쳐서 위입(緯入)된 씨실을 날실(W)과 직교착(直交錯)시킨다.
이 바디(R)는, 바디날개(E)의 양 끝부분쪽에 종단면자 형상으로 제작한 윗쪽프레임(upper frame) (1)과 아래쪽프레임(lower frame) (2)을 보유하고, 각 프레임(1) (2)내에는 코일형상의 지지부재(11) (12)가 장착되어져 바디날개(E)의 양쪽을 고정하고 있다.
바디(R)의 윗쪽프레임(1) 및 아래쪽프레임(2)에는, 클로오드펠(C)쪽의 각 옆판(12) (22) 에날실(W)의 오버런을 규제하는 규제부재(P)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P)는 프레임의 긴쪽방향으로 뻗어있고, 정렬날실(W)의 정지상태에서의 최대개구시에 있어서 정상인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정상실(Wa)과 맞닿든가, 또는 약간 떨어지도록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그 앞끝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날실(W)의 손상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 이 규제부재(P)의 폭은, 직포의 폭보다도 약간 길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규제부재(P)는 바디의 프레임 옆판을 단지 연장한 것이므로, 통상의 직기구조에서는 제 1 도와 같이, 직기운전중에 날실(W)의 최대개구시에 있어서, 윗옆실옆의 규제부재(P)에는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의 중간으로부터 그 잉아틀 접근위치에 있어서 오버런실(Wb)이 약간 접촉하는 한편, 아랫실 옆의 규제부재(P)에는,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2)의 중간부근의 위치에서 오버런실(Wb)이 약간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오버런실(Wb)은 그 자체의 진폭량이 규제부재(P)에 의해서 규제되어지기 때문에, 예를들면, 정렬날실중에 웨일스트리이크 발생요인이 되는 날실장력이 낮은 실, 또는 인장강도가 약한 실이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그 실의 장력, 인장강도를 그 이상 약하게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수 있고, 그렇게하여 그 실의 늘어남이 억제가능하여 직포에 웨일스트리이크가 발생하지 않게된다.
본 실시예구조는, 제 2 도에 표시된 것처럼, 윗실 옆의 규제부재(P)를 윗쪽프레임(1), 또는 아래쪽프레임(2)의 각 옆판(12), (22)으로부터 클로오드펠옆으로 반출하여 날실옆으로 굴곡시켜 채널(channel)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규제부재(P)의 앞끝이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 사이의 대략 중앙에서 날실(Wb)을 억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 1 도의 것에 비해 윗쪽옆에 있는 오버런실의 진폭량이 더욱 감소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각실시예구조는, 규제부재(P)를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 (H2)과의 중간부근의 위치에서 오버런실(Wb)을 규제하고 있지만, 제 3 도에 표시한바와같이 바디(R)와 잉아틀(H1), (H2)과의 사이에 직포의 폭보다도 약간 긴 봉형상의 규제부재(P)를 고정하고, 이 위치에서 그 실을 규제하여도 동일한 작용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는 대강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지는 것은 결코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의 기재내에서 각각이 설계변경이나 구성의 첨가가 가능하며, 예를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규제부재(P)는, 윗실옆 및 아래실옆의 어느쪽이든 한쪽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좋고, 또 프레임의 옆판에 제1실시예와 같은 규제부재(P)와 제1실시예에의 변형예와 같은 규제부재(P)를 병렬하여 설치함으로서 오버런실에의 규제수를 증가시키는 것과같은 것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또, 규제부재(P)는 반드시 직포의 폭에 걸쳐서 설치해야할 필요가 업고, 웨일스트리이크가 발생하는 장소에 대응시켜 부분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이상, 실시예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에 의하면, 정렬 날실의 최대개구시에 이 정렬날실의 오버런이 클로오드펠과 잉아틀과의 사이에 설치한 규제부재에 의하여 규제되므로, 날실의 오버런의 진폭량이 적정하게 규제되어져, 각 날실을 평면형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아틀의 상하동작을 고속화하여도 날실장력 또는 인장강도가 낮은 날실이 늘어나지 않고, 그러므로 고속직기에 의해 직포에 나타나는 웨일스트리이크의 발생으로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 (H2)과의 사이에, 정렬날실(W)의 최대개구시에 이 정렬날실(W)과 약간 접촉하여 동 날실의 개구방향으로의 오버런을 규제하는 규제부재(P)를 직포의 폭전역 또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 직표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클로오드펠(C)과 잉아틀(H1), (H2)과의 사이에서 정렬날실(W)의 최대기구시에 이 정렬날실에 약간 접촉하여 동 날실의 개구방향으로의 오버런을 규제하는 규제부재(P)를, 바디(R)의 프레임(1), (2)에 클로오드펠(C)옆의 옆판(12), (22)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웨일스크리이크 방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클로오드펠(C)와 잉아틀(H1), (H2)과의 사이에 정렬날실(W)의 최대개구시에 이 정렬날실에 약간 접촉하여 동 날실의 개구방향의 오버런을 규제하는 규제부재(P)를, 바디(R)와 잉아틀(H1), (H2)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웨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101258 | 1988-07-30 | ||
JP1988101258U JPH0222388U (ko) | 1988-07-30 | 1988-07-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2985U KR900002985U (ko) | 1990-02-07 |
KR940002445Y1 true KR940002445Y1 (ko) | 1994-04-15 |
Family
ID=1429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08004U KR940002445Y1 (ko) | 1988-07-30 | 1989-06-09 |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222388U (ko) |
KR (1) | KR940002445Y1 (ko) |
-
1988
- 1988-07-30 JP JP1988101258U patent/JPH0222388U/ja active Pending
-
1989
- 1989-06-09 KR KR2019890008004U patent/KR94000244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2985U (ko) | 1990-02-07 |
JPH0222388U (ko) | 1990-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75479A1 (en) |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of weaving looms | |
GB2036816A (en) | Narrow fabric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same | |
US4031926A (en) | Loom with means for introducing the filling threads by means of a fluid | |
US3945406A (en) | Leno selvedge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leno selvedge | |
US8770235B2 (en) | Reed and weaving machine for weaving pattern formation in woven fabrics with additional pattern effects | |
US4478259A (en) | Reed for jet weaving machines | |
KR940002445Y1 (ko) |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 |
US3727646A (en) | Apparatus for compensating the deviations of warp tension in weaving looms | |
US4244402A (en) | Device for inserting a weft yarn in jet operated weaving machines | |
US10287713B2 (en) | Warp shedding apparatus of loom | |
US4299257A (en) | Selvage forming device | |
US3667508A (en) | Guide element for the weft picking means in a loom | |
US6386241B1 (en) | Leno weaving | |
US3203452A (en) | Weft confining comb for pneumatic looms | |
BR9608076A (pt) | Tear | |
US4997010A (en) | Cloth support with cloth guiding surface for close engagement with reed side walls | |
US3724509A (en) | Temple for terry loom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US3720237A (en) | Arrangement for holding weft threads | |
US4529015A (en) | Device designed to help the insertion of a weft yarn in a weaving loom | |
US3776281A (en) | Weft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 |
JPS621269Y2 (ko) | ||
JPH02269833A (ja) |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 |
EP0095167B1 (en) |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loom | |
JPS63781Y2 (ko) | ||
JPH0118617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