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637B1 -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637B1
KR100508637B1 KR10-1999-0001640A KR19990001640A KR100508637B1 KR 100508637 B1 KR100508637 B1 KR 100508637B1 KR 19990001640 A KR19990001640 A KR 19990001640A KR 100508637 B1 KR100508637 B1 KR 10050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ange selection
selection position
lever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282A (ko
Inventor
미요시게이스케
히아사후미히코
Original Assignee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49Transmission controlled by flexible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67Control convertible between automatic and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와 케이블 부재와의 관계를 분리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변속조작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계를 분리할 필요가 없는 장소에서 시트프 레버가 분리방향으로 요동(搖動)되어도, 확실하게 그 케이블 분리를 저지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 부재(203)와 시프트 레버(21)를 개구(206)를 통하여 상대 이동 자유롭게 하고, 케이블 분리장소(240)이외의 장소에서는, 시프트 레버(21)를 분리방향으로 요동시켜도, 그 요동이 상기 개구(206)에 의해 흡수되어 슬라이드 부재(203)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APPARATUS FOR INPUTTING OPERATIONS OF TRANSMISSION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하고, 특히, 유압제어 회로에 구비된 매뉴얼 밸브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를 시프트 레버에 의한 레인지 선택조작에 따라 이동시키는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최근, 차량용의 자동변속기로서, 변속단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속특성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 변속 레인지 이외에, 시프트 레버를 소정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서 변속단을 절환하는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 변속 레인지를 구비한 것이 실용화되고 있고, 이와같은 자동변속기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7-280072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자동변속기에 있어서는, 시프트 레버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제1 시프트 게이트내에서 요동 조작함으로써, P(주차), R(후퇴), N(중립), D(드라이브)등의 각 레인지가 선택 가능하게 되며, 상기 D레인지에 있어서 자동변속이 달성됨과 동시에, 이 D레인지의 선택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게이트를 매개로 시프트 레버를 상기 제1 시프트 게이트에 평행으로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 변속 레인지(M레인지)용의 제2 시프트 게이트로 절환하고, 이 제2 시프트 게이트내에서 시프트 레버를 중립위치에서 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변속단이 1단 시프트 업되고, 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변속단이 1단 시프트 다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자동변속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작동압의 공급/배출을 받아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해방되며, 이에따라 엔진과 구동륜과의 사이의 동력전달경로를 절환하는 클러치나 브레이크등의 다수의 마찰요소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들 마찰요소에 대한 상기 작동압의 공급/배출을 행하는 유압제어회로에, 상기 회로의 작동유의 유로를 각 레인지에 대응시켜 절환하는 밸브 부재(매뉴얼 밸브)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밸브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케이블이 설치되어, 시프트 레버가 상기 레인지 선택을 위한 요동위치사이에서 요동되면, 그 요동이 상기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유압제어회로내의 밸브부재로 전달되며, 이에따라 상기 밸브 부재가 시프트 레버에 의해 선택된 레인지에 대응하여 이동하고, 그 레인지용의 유로가 실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에 상기와 같은 수동 변속 레인지가 자동 변속 레인지등과 함께 병설되어 있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즉, P, R, N, D등의 각 레인지간 절환을 위한 제1 시프트 게이트와, M레인지를 구성하는 제2 시프트 게이트가 상호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동변속을 위한 상기 제2 시프트 게이트(M레인지)내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방향이 다른 레인지간 절환을 위한 제1 시프트 게이트내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방향과 같아지고, 그 결과, M레인지내의 수동 변속시에도 상기 케이블을 매개로 밸브 부재가 유압제어 회로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수동변속시의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업 또는 시프트 다운의 요동조작이 느려져, 조작 필링이 저하할뿐만 아니라, 이 밸브부재를 매개로 설정된 전진주행용의 유로가, 상기 밸브 부재의 이동에 의해 적정하게 실현되지 않을 염려가 발생한다. 예를들면 D레인지의 전방에 N레인지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프트 레버를 M레인지의 중립위치에서 전방의 시프트 업 위치로 요동조작하는 것이, D레인지에서 전방의 N레인지 방향으로 시프트 레버를 가깝게하도록 요동 조작하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되어, 그 결과 유로가 N레인지용의 유로에 가까워, 전진 주행시에 체결되는 마찰요소에 대한 작동압이 저하 내지 부족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공보에서는, 시프트 레버를 상기 연결 게이트를 매개로 D레인지에서 M레인지방향으로 요동시켰을 시는, 상기 레버와 상기 케이블과의 관계를 분리, 반대로 시프트 레버를 M레인지에서 D레인지방향으로 요동시켰을 시에는, 상기 레버와 상기 케이블과의 관계를 복귀시키도록 하고, P레인지에서 D레인지 사이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대해서는 그 동작을 상기 밸브 부재에 전달하는 한편, M레인지내의 수동변속을 위한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대해서는 그 동작을 상기 밸브부재에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함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개시의 기술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할 과제가 잔존한다.
즉, 상기 공보개시 기술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의 D, M레인지사이의 절환을 위한 가로방향의 요동이 그대로 직접 상기 레버와 케이블과의 연결관계의 절단, 접속동작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상기 시프트 레버가 그 이외의 레인지 선택을 위해 제1 시프트 게이트내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레버에 가로방향의 하중이 걸려 상기 레버가 상기 D, M레인지사이의 절환때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요동되었을 시는, 그 시점에서 상기 레버와 케이블과의 연결관계가 절단되며, 그 결과, 유압 제어회로의 밸브부재에 시프트 레버의 동작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프트 레버와 매뉴얼 밸브와의 사이에 변속 제어용의 케이블이 설치된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의 상기 문제점에 대처하는 것으로, 시프트 레버가 D레인지 및 M레인지 선택 위치에 없는 동안은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기 D레인지 및 M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의 케이블과의 연결관계의 절단, 접속동작과 같은 레버 조작이 행해져도, 그 시프트 레버와 케이블과의 연결관계의 절단, 접속동작이 확실하게 저지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이용한다.
우선,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청구항1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1발명」이라고 한다)은 시프트 레버의 다수의 요동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와,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거하는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가 설정되며, 시프트 레버의 제1 방향의 요동에 의해 이동 레인지 선택위치사이의 절환이 행해지며, 또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해 변속단이 절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 위치 및 자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로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회로의 유로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인지 선택위치에 따라 절환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과 연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와 시프트 레버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부재와, 이 케이블 부재와 시프트 레버의 연계상태를 절단하는 위치와 접속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 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제1 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2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되고,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요동에 따른 절단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3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3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1발명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이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를 제1, 제2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에, 상기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의 단부와 당접하는 당접부가 설치됨으로써,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 제1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 전달되지 않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절단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4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4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는 제1방향에 있어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 힘이 가해져 밀리고, 또한, 시프트 레버에, 이 미는힘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가 설치됨으로써,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5에 기재한 설명(이하 「제5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제2 방향에 있어서만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1 케이스 부재와, 이 제1 케이스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상대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2 케이스 부재가 구비되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절단 불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 및 슬라이드 부재는 각각 개별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상대 요동 가능하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일체로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다수의 부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6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6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5발명에 있어서, 제2 케이스 부재에는, 선단부가 기부보다 확대된 다수의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에는 이들 돌기에 대응시켜, 상기 돌기의 각 선단부가 삽입통과 가능한 폭이 넓은 홈부와, 각 기부만이 삽입 통과 가능한 폭이 좁은 홈부가 제1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도록 연속하여 설치되고,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폭이 넓은 홈부에 제2 케이스 부재의 돌기가 삽입 통과된 후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폭이 좁은 홈부와 상기 돌기가 계합됨으로써,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다수의 부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7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7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제2 방향에 있어서만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1 케이스 부재와, 이 제1 케이스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상대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2 케이스 부재가 구비되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절단불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 및 슬라이드 부재는 각각 개별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상대 요동 가능하고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일체로 지지되며, 또한, 슬라이드 부재는 접속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일체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제2 케이스 부재 및 시프트 레버가 일체로 되어 제2 방향에 있어서 요동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절단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및 시프트 레버가 일체로 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상대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8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8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서,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 및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의 사이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절환시에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절환시와 같은 거리만큼 제1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9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9발명」이라고 한다)은 시프트 레버의 다수의 요동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와,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거하는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가 설치되고, 시프트 레버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간의 절환이 행해지며, 또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따라 변속단이 절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 및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로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회로의 유로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인지 선택위치에 따라 절환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과 연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부재와, 이 케이블 부재와 시프트 레버의 연계상태를 절단하는 위치와 접속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제1 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또한, 시프트 레버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요동에 따른 절단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청구항10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10발명」이라고 한다)은 시프트 레버의 다수의 요동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와,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거하는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가 형성되며, 시프트 레버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절환이 행해지고, 또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따라 변속단이 절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서,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 및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절환시에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절환시와 같은 거리만큼 제1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입력장치로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회로의 유로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인지 선택위치에 따라 절환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과 연동시키도록 상기 밸브 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부재와, 이 케이블 부재와 시프트 레버의 연계상태를 절단하는 위치와 접속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제1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본 원 각 발명은 각각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제1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에 의한 다수의 레인지 선택위치가 D레인지까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M레인지가 상기 레버를 D레인지에서 제1 방향에 있어서 요동시킴으로써 선택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레버가 D레인지까지의 범위내에 있을 때는, 이동부재가 케이블과 상기 레버와의 연계를 접속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에 따라 밸브 부재가 이동한다.
이에대해, 상기 레버가 D레인지에서 M레인지 방향으로 제1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었을 때는, 상기 이동부재가 케이블과 상기 레버와의 연계를 절단하는 위치로 이동하므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에 따라 밸브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이에따라 상기 레버가 M 레인지내에 있어서 수동변속을 위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어도, 유로가 전진 주행용의 유로에서 다른 뉴트럴 레인지용의 유로등으로 절환되지 않음과 동시에, 그 요동조작이 느려지는 것이 회피된다.
그리고, 그 경우에 상기 레버가 D레인지까지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가 상기와 같이 D레인지측에서 M레인지측으로의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는, 그 레버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이동부재가 접속위치에서 절단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확실하게 회피됨과 동시에, 이 이동부재에 시프트 레버의 요동력이 작용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재가 비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특히 제2 발명에 의하면, M레인지의 선택시에, 이동부재가 절단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M레인지 스위치를 온하는 기능을 함께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점수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가 시프트 레버에 대해 제1 방향에 있어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로 됨으로써, 이 슬라이드 부재와 시프트 레버가 연동되거나 되지 않는 것이 실현되며, 그 결과, 시프트 레버가 D레인지 및 M레인지에 없을 때에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방향의 요동이 이동부재에 전달되지 않고, 또한, 시프트 레버가 D레인지 또는 M레인지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방향의 요동이 이동부재에 전달되게 된다.
다음에, 특히 제4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가 D레인지측에서 M레인지측으로 부세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그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D레인지측에서 M레인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결국 슬라이드 부재는 시프트 레버의 요동과 연동하여 제1 방향에서 이동해도,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동안은, 시프트 레버만이 요동하고, 슬라이드 부재는 접속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다음에, 특히 제5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가 제1, 제2 케이스 부재를 매개로 제1, 제2 방향에 있어서 요동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그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에 다수의 부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이 슬라이드 부재의 양단부에 제1 케이스 부재등의 다른 부재가 당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시프트 레버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응력이 작용해도, 이 슬라이드 부재가 비틀리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에 특히 제6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에 대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의 돌기와 슬라이드 부재의 홈부와의 계합이 실현되고, 이에따라 간편한 방법으로 슬라이드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특히 제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접속위치로 이동했을 때는, 케이블이 연결된 제1 케이스 부재와 일체화하고, 절단위치로 이동했을 때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분리되므로,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와 케이블과의 연계상태가 접속 또는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특히 제8발명에 의하면, 각 레인지 선택위치가 구체화되며, 그에 의하면, 다수의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걸쳐 전개된 배치로 되며, 특히 P 레인지와 R레인지간의 절환시에는, D레인지와 M레인지간의 절환시와 같은 방향 또한 같은 거리만큼 시프트 레버가 요동된다. 따라서, D레인지와 M레인지간의 절환시에 케이블의 분리가 행해지도록 구성하면, P레인지와 R레인지간의 절환시에도 케이블의 분리가 행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속조작 입력장치에서는, D레인지와 M레인지간의 절환시 이외일 때는, 아무리 그와같은 레버 조작이 행해져도, 그 레버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재가 접속위치에 지지되므로, 케이블의 분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P레인지와 R레인지간의 절환시에는 확실하게 그 절단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9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발명으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 및 제2 발명으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이 함께 얻어지고, 또한 제10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발명으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 및 제8 발명으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이 함께 얻어지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변속조작 입력장치(1)중 차량의 승원실(乘員室)내에 나타난 부분의 평면도, 도2는 승원실내에 나타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동(同) 장치(1)의 개략 평면도, 도3은 동 장치(1)를 좌측방향에서 본 일부 절결 측면도, 및 도4는 도2의 a-a선에 따른 동 장치(1)의 세로 단면도로써,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는, 운전석과 조수석사이의 콘솔(X)에 구비되며, 상기 콘솔(X)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Y)내에 상기 장치(1)의 커버(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2)에는, 차체 전후방향(도1 및 도2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 및 도3 및 도4에 있어서 죄우의 방향을 말하고, 이하 간단히 「전후방향」이라고 한다) 및 차체폭 방향(도1 및 도2에서 좌우방향 및 도3 및 도4에 있어서 바로 앞 맞은편 방향을 말하고, 이하 간단히 「폭방향」 또는 「좌우방향」이라고 한다)으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짧은 직선상의 관통홈이 조립되어 전체로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긴 지그재그형상으로 된 개구(2a)가 형성되며, 이 개구(2a)를 통하여 시프트 레버(3)의 상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3)는 특히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상반부를 구성하는 원주부재(4)와, 하반부를 구성하는 수지성의 기(基)부재(5)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레버(3)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원주부재(4)의 상단부에 운전자가 레버 조작을 할 시, 그립하는 노브(4a)가 부착되어 조작부로 되어 있다. 또한, 기부재(5)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커버(2)의 하방에는,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하층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6)가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6)는 전후 네곳의 볼트 구멍(7…7)(도3 참조)에 삽입 통과된 볼트(8…8)(도2 참조)에 의해 차체에 부착됨과 동시에, 이 베이스 부재(6)의 상방에는,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상층부분을 구성하는 어퍼 플레이트(9)가 배치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9)는 전후 세개소의 비스구멍에 삽입 통과된 비스(10…10)(도2 및 도3 참조)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6)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어퍼 플레이트(9)의 양측부의 전후 네개소에 설치된 돌기(11…11)(도2 참조)와, 이에 대응시켜 상기 커버(2)의 양측부의 전후 네개소에 설치된 후크(도시하지 않음)의 계합을 통하여 상기 커버(2)가 이 어퍼 플레이트(9)에 상방에서 계지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9)가 상기 커버(2)에 의해 덮여있다.
베이스 부재(6)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중공 상자형상의 돌출부(12)가 설치되고, 시프트 레버(3)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같이, 이 돌출부(12)내에 있어서, 제1 케이스 부재(13) 및 제2 케이스 부재(14)를 매개로, 차체 전후방향 및 차체 폭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어퍼 플레이트(9)는 이 요동지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커버(2)에서 돌출되는 시프트 레버(3)가 삽입 통과하도록 시프트 게이트(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 시프트 게이트(15)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주부재(4)로 나타나는 시프트 레버(3)의 도시위치에서 좌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연통로(G1)와 상기 제1 연통로(G1)의 종단부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통로(G2)와, 상기 제2 연통로(G2)의 종단부에서 우측으로 상기 제1 연통로(G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3 연통로(G3)와, 상기 제3 연통로(G3)의 종단부에서 더 후측으로 연장되는 제4 연통로(G4)와, 상기 제4 연통로(G4)의 종단부에서 더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로(G1)의 시작단부와 폭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로 되돌아가는 제5 연통로(G5)와, 상기 제5 연통로(G5)의 종단부에서 더 후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6 연통로(G6)와, 상기 제6 연통로(G6)의 종단부에서 다시 좌측으로 상기 제1 연통로(G1)의 길이와 같은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로(G1)의 종단부 내지 제3 연통로(G3)의 시작단부와 폭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이르는 제7 연통로(G7)와, 상기 제7 연통로(G7)의 종단부에서 앞측으로 상기 제6 연통로(G6)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8 연통로(G8)와, 상기 제7 연통로(G7)의 종단부에서 후측으로 상기 제8 연통로(G8)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9 연통로(G9)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2)의 개구(2a)와 마찬가지로, 전체로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긴 지그재그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어퍼 플레이트(9)의 시프트 게이트(15)와 상기 커버(2)의 개구(2a)가 상호 형상이 대응하도록 상하로 겹쳐져 배치되며,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이들 시프트 게이트(15)와 개구(2a)를 동시에 삽입 통과하고 있음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3)가 전후좌우로 요동되었을 때에는, 이 레버(3)는 시프트 게이트(1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프트 게이트(15)의 가장자리부에만 당접하고, 커버(2)의 개구(2a)와는 당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프트 레버(3)와 시프트 게이트(15)와의 당접에 의해 상기 레버(3)의 요동이 억제되며, 이에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요동 경로가 실질적으로 상기 시프트 게이트(15)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어, 이 시프트 레버(3)의 요동 경로는 상기 제1∼제9연통로(G1∼G9)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도시 위치, 즉 제1 연통로(G1)의 시작단부가 P레인지 선택위치로 되며, 이하 이들 후방을 향해 순서대로 R레인지, N레인지, D레인지의 각 선택위치가 상기 시프트 게이트(15) 내지 상기 레버(3)의 요동 경로에 따라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제3 연통로(G3)의 종단부 및 제4 연통로(G4)의 시작단부가 R 레인지의 선택위치, 제5 연통로(G5)의 종단부 및 제6 연통로(G6)의 시작단부가 N 레인지의 선택위치, 제6 연통로(G6)의 종단부 및 제7 연통로(G7)의 시작단부가 D레인지의 선택위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를 탑재한 차량의 자동 변속기는, 상기 D레인지가 선택되었을 시는, 미리 차속이나 엔진 부하(스로틀 개도)등에 따라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여 변속단을 절환하는 자동변속기를 달성하도록 되어 있는데, 같은 전진주행 레인지로서 D레인지와는 별도로 M레인지가 설치되며, 이 M레인지가 선택되었을시는, 시프트 레버(3)의 요동에 따라 변속단을 절환하는 수동변속을 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M레인지의 선택위치도 또한 상기 시프트 게이트(15) 내지 상기 레버(3)의 요동 경로에 따라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D 레인지 선택위치의 좌측방향의 제7 연통로(G7)의 종단부 및 제8 및 제9 연통로(G8, G9)의 시작단부가 M레인지의 중립위치, 제8 연통로(G8)의 종단부가 변속단을 일단 시프트 업시키는 M레인지의 시프트 업 위치, 제9 연통로(G9)의 종단부가 변속단을 일단 시프트 다운시키는 M레인지의 시프트 다운 위치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P레인지 선택위치에 있는 시프트 레버(3)를 제1 연통로(G1)에 따라 좌측으로 요동시킨 후(이하, 시프트 레버(3)가 요동되는 방향을 간단히 「셀렉트방향」이라고 하고, 또한 이 「셀렉트 방향」의 시프트 레버(3)의 요동조작을 간단히 「셀렉트 조작」이라고 한다), 제2 연통로(G2)에 따라 후측으로 요동시키고(이하, 시프트 레버(3)가 요동되는 이 방향을 간단히 「시프트 방향」이라고 하고, 또한, 이 「시프트 방향」의 시프트 레버(3)의 요동 조작을 간단히 「시프트 조작」이라고 한다), 다음에 제3 연통로(G3)를 따라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우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R레인지가 선택되며, 여기에서 다시 제4 연통로(G4)를 따라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후측으로 요동시킨 후, 제5 연통로(G5)에 따라 셀렉트 방향에 있어서 우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N레인지가 선택되며, 여기에서 다시 제6 연통로(G6)를 따라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후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D레인지가 선택되며, 여기에서 다시 제7 연통로(G7)에 따라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좌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M레인지가 선택되고, 이 M레인지의 선택위치를 전체로서 구성하고, 또한 M레인지 선택위치내의 수동 변속을 위한 시프트 레버(3)의 요동통로를 전체로서 구성하는 제8 및 제9 연통로(G8, G9)에 따라 시프트 레버(3)를 중립위치에서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앞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변속단이 일단 시프트 업되며, 마찬가지로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후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변속단이 일단 시프트 다운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는 항상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우측으로 미는 힘이 있고, 따라서, 예를들면 P레인지에서 R레인지로의 절환시에는, 운전자가 행하는 조작으로서는, 시프트 레버(3)를 상기 미는힘에 저항하여 셀렉트방향으로 좌측으로 요동시킨 후,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후측으로 요동시키면 되고, 시프트 레버(3)는 제2 연통로(G2)의 종단부에 이른 시점에서 상기 미는힘에 의해 제3 연통로(G3)의 종단부까지 저절로 요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시프트 레버(3)의 요동위치로서 상기 레버(3)에 의한 P, R, N, D, M의 다섯개의 레인지 선택위치가, 시프트 방향에서 4포지션,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3포지션(P레인지 선택위치와 R레인지 선택위치간의 절환 조작시의 시프트 레버(3)가 연통하는 제2 연통로(G2)를 포함하여 생각한다)이 되도록 전개 배치되어 있다. 특히, M레인지 선택위치를, R레인지 선택위치나 혹은 상기 R 레인지 선택위치와 P레인지 선택위치간의 절환 조작시에 시프트 레버(3)가 통과하는 제2 연통로(G2)와 마찬가지로, 셀렉트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일열 배치된 P레인지 선택위치, N레인지 선택위치 및 D레인지 선택위치의 좌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M레인지 선택위치만을 우측으로 배치했을 시, 즉,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4포지션, 셀렉트방향에 있어서도 4포지션(마찬가지로 P레인지 선택위치와 R레인지 선택위치간의 절환 조작시에 시프트 레버(3)가 통과하는 제2 연통로(G2)를 포함하여 생각한다)로 했을 때에 비해, 상기 레버(3)의 셀렉트방향의 조작폭이 짧아 콤팩트하게 되고, 운전자가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요동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회피되며, 특히 M 레인지 선택위치내의 수동변속 조작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회피된다.
여기서,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커버(2)와 어퍼 플레이트(9)간에는 상기 개구(2a) 및 시프트 게이트(15)를 폐쇄하도록 슬라이드 시트(16)가 끼워져 있다. 이 슬라이드 시트(16)는 상기 커버(2) 및 어퍼 플레이트(9)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설치된 가이드용 凹부(도2 내지 도4에 어퍼 플레이트(9)의 가이드용 凹부(17)만 도시)내에 배치되어 그 슬라이드 이동이 전후방향에 있어서만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긴구멍(18)(도1 참조)을 통하여 시프트 레버(3)에 계합되며, 상기 시프트 레버(3)가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요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레버(3)가 상기 긴구멍(18)내를 이동하게 되지만, 상기 레버(3)가 시프트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었을 때는, 그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시트(16)가 상기 가이드용 凹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상기 커버(2)에서 하방으로 배치된 부분의 구조를 도5 이하의 도면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중, 도5는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우측방향에서 본 개략 측면도, 도6은 시프트 레버(3)의 바로 전방에서 상기 레버(3)에 따른 절단면의 동 장치(1)의 정면측에서의 개략의 세로 단면도, 도7은 시프트 레버(3)의 바로 후방에서 상기 레버(3)에 따른 절단면의 동 장치(1)의 배면측에서의 개략의 세로 단면도, 및 도8은 시프트 레버(3)의 주변 요부를 도시하는 개략의 평단면도로써, 우선, 베이스 부재(6)에 대한 시프트 레버(3)의 부착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이 시프트 레버(3)는 베이스 부재(6)에 제1 케이스 부재(13) 및 제2 케이스 부재(14)를 매개로 차체 전후방향 및 차체폭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3)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기부재(5)는, 특히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반부를 구성하는 원주부재(4)가 돌입하는 대략 사각기둥형상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전면에 설치된 블록형상부(22)로부터 전방에서 조금 상방으로 돌출하는 전측 판상체(23)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조금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측 판상체(24)를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21)의 하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보스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케이스 부재(13, 14)는 각각 전후 좌우의 측면을 가지고, 그 중 제1 케이스 부재(13)는 제2 케이스 부재(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치수로 되고, 도3, 도5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부(前部) 좌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후술하는 변속제어등을 위한 조작용 케이블(26)이 연결된 상방 연장설치부(27)와, 도4, 도5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부(後部) 우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다수의 디텐트 凹부가 형성된 측면에서 봐서 부채형상의 후방 연장설치부(2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며, 한편, 제2 케이스 부재(14)는 제1 케이스 부재(1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칫수로 되어, 도4 내지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의 양측면의 상단부에, 각각 전후방향의 돌기와 절결로 구성되는 대략 T자상의 계지부(29, 29)가 형성되며, 또한, 도4, 도5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면이 상기 시프트 레버(3)의 후측 판상체(2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후방으로 부풀어 돌출된 팽출부(30)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 부재(6)의 전술의 하방 돌출부(12)에는, 상기 돌출부(12)의 좌우의 양측면간에 걸쳐 삽입 통과된 지축(31)이 구비되며, 이 지축(31)에, 제2 케이스 부재(14)가 제1 케이스 부재(13)내에 수용된 상태로, 이들 양 케이스 부재(13, 14)가 각각의 좌우의 양측면의 하단부에서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들 양 케이스 부재(13, 14)가 모두 베이스 부재(6)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구비됨과 동시에,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 케이스 부재(13)의 전후 양측면사이에 걸쳐 제2 지축(32)이 삽입 통과되며, 이 지축(32)에, 시프트 레버(3)의 기부재(5)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14)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가 그 하단 보스부(25)에서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시프트 레버(3)가 제2 케이스 부재(14)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 부재(13) 및 제2 케이스 부재(14)는 모두 베이스 부재(6)에 대해 전후방향에 있어서만 요동 자유롭게 되고, 또한, 이 경우에 이들 양 케이스 부재(13, 14)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호 상대 요동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3)는 이들 양 케이스 부재(13, 14)에 대해 좌우방향에 있어서 요동자유롭게 되고, 또한, 그 경우에, 상기 시프트 레버(3)는 상기 전후방향에서 제2 케이스 부재(14)와 일체로 요동 자유롭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3)가 베이스 부재(6)에 차체 전후방향 및 차체 폭방향에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상기 레버(3)가 시프트 방향에서 요동되었을때에는, 그 요동에 따라 제2 케이스 부재(14)도 좌우방향으로 가설(架設)된 상기 제1 지축(31)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한편, 상기 레버(3)가 셀렉트방향에서 요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레버(3)만이 전후방향으로 가설된 상기 제2 지축(3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요동하고, 제1, 제2 케이스 부재(13, 14)가 연동하여 상기 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6)와 어퍼 플레이트(9)와의 사이에, 시프트 레버(3)를 셀렉트방향에서 우측으로 힘을 가하여 미는 레버 부세(附勢)기구, 시프트 레버(3)의 요동조작에 절도감을 부여하는 레버 조작 절도기구, M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 시프트 레버(3)를 중립위치로 힘을 가하여 미는 중립부세기구, M레인지 선택위치내의 시프트 레버(3)의 시프트 업 조작 및 시프트 다운 조작을 검출하는 시프트 업 스위치 및 시프트 다운 스위치의 조작기구,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선택위치에 없을 때는 운전석의 키 조작부의 키 실린더에서의 엔진 시동 키의 빠짐을 규제하는 키 인터 록 기구,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 인터 록 기구에서 록 케이블을 시프트 레버(3)의 P레인지 선택위치에 대한 동작으로 연동시켜 이동시키는 케이블 이동기구, P레인지 선택위치 및 N레인지 선택위치에서의 시프트 레버(3)의 셀렉트 조작을 규제하는 시프트 록 기구, 시프트 레버(3)와 조작용 케이블(26)의 연계를 절단하는 케이블 분리기구, 시프트 레버(3)의 D레인지 선택위치에서의 셀렉트 조작에 의해 M레인지가 선택된 것을 검출하는 M레인지 스위치의 조작기구, 및 시프트 레버(3)와 상기 시프트 게이트(15)의 당접시의 충격력을 억제하는 하중받침기구등이 설치되어 있고, 다음에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구비된 이들 각 기구의 구성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함과 동시에, 이 때, 각 기구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에 대해서도 상기 시프트 게이트(15) 내지 요동경로에 따라 시프트 레버(3)의 동작과 관련시켜 함께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레버 부세기구에서 설명하면, 이 기구는, 도5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우측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베이스부재(6)의 상면에 수직 설치된 벽부(41)와, 시프트 레버(3)의 기부재(5)에 형성된 전면 블록형상부(22)에 비스 고정된 판 스프링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설치 벽부(41)의 시프트 레버(3)측의 면은 상술의 하방 돌출부(12)의 우측 내면과 연속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벽부(41)의 시프트 레버(3)측의 반대면, 즉, 우측외면은 그 전반부에 있어서, 상방으로 폭이 좁고 하방으로 폭이 넓은 곡절면(曲折面)(41a)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42)는 시프트 레버(3)의 전면 블록 형상부(22)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케이스부재(13)의 우측면에 형성된 개구(43)를 거쳐, 그 선단부가 상기 수직 설치 벽부(41)의 우측외면의 곡절면(41a)에 계지되어 있다.
그 경우에, 이 판 스프링부재(42)가 계지하는 수직 설치 벽부(41)의 곡절면(41a)은, 시프트 레버(3)가 셀렉트방향에서 좌측으로 요동되며, 그에따라 상기 판 스프링부재(42)가 전체로서 이 수직 설치 벽부(41)에서 좌측방향으로 멀어졌을 시에는, 상기 판 스프링부재(42)의 선단부가 상기 곡절면(41a)에 따라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상기 판 스프링부재(42)에 하방으로 눌려 되돌아오려는 스프링복원력이 발생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같은 수직 설치 벽부(41)와 판 스프링부재(42)와의 계합에 의해, 시프트 레버(3)에 항상 우측방향으로의 미는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와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곡절면(41a)은,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선택위치와 N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에 있는 범위내에서 상기 판 스프링부재(42)가 계지하도록 수직 설치 벽부(41)의 전반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3)가 시프트 게이트(15) 내지 요동 경로의 최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P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우측방향으로의 미는힘에 의해 상기 레버(3)는 안정적으로 상기 P레인지 선택위치에 위치되고, 여기에서 시프트 레버(3)를 R레인지 선택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간에 상호 직교하는 제1 연통로(G1)와 제2 연통로(G2)와 제3 연통로(G3)가 있으므로, 우선 상기 미는힘에 저항하여 상기 레버(3)를 제1 연통로(G1)에 따라 좌측으로 셀렉트 조작할 필요가 발생하고, 그 미는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프트 레버(3)를 제2 연통로(G2)에 따라 후방으로 시프트 조작하게 된다. 그 중, 제3 연통로(G3)에 따라 상기 레버(3)의 우측으로의 요동은 상기 미는힘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R레인지 선택위치에 시프트 레버(3)가 있을 때는, 상기 레버(3)에는 아직 약간의 우측으로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있다.
한편, R레인지 선택위치에서 N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시프트 레버(3)의 이동은,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간에 상호 직교하는 제4 연통로(G4)와 제5 연통로(G5)가 있는데, 제5 연통로(G5)에 따라 상기 레버(3)의 요동이 상기 미는힘에 의해 행해지게 되므로, 조작은 간단히 상기 레버(3)를 아직 약간의 미는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4 연통로(G4)에 따라 후방으로 시프트 조작하면 되고, 또한, 상기 N레인지 선택위치에서 D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시프트 레버(3)의 이동은,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사이에 시프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연통로(G6)가 있는 것만으로 되므로, 간단히 상기 시프트 레버(3)를 후방으로 시프트 조작하면 된다. 그리고, 이 D레인지 선택위치에 시프트 레버(3)가 요동된 시점에서는, 상기 레버(3)의 판 스프링부재(42)와 상기 벽부(41) 전반부의 곡절면(41a)과의 계합이 종료한다.
다음에 레버 조작 절도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기구는 도4, 도5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케이스 부재(13)의 후면 우측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와,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위치에서 베이스 부재(6)의 상면에 수직 설치된 지지부(43)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2 판 스프링부재(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의 상면은, 시프트 레버(3)의 전후방향의 요동 지점인 제1 지축(31)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호면으로 되며, 이 원호면에 후방으로부터 P레인지용, R레인지용, N레인지용 및 D, M 양 레인지 겸용의 각 위치 결정을 위한 디텐트 凹부p, r, n, 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판 스프링부재(44)는, 상기 지지부(43)에 볼트(45) 및 회전 정지핀(46)을 이용하여 후단부가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전단부는 곡절성형된 계합부로 되고, 상기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의 각 레인지용 凹부p, r, n, d중 시프트 레버(3)의 요동 위치에 대응하는 凹부에 계합된다.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3)가 각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위치 결정되고,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선택위치와 D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범위에서 시프트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시에, 그 레인지 선택조작에 절도감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의 시프트 레버 부세기구를 구성하는 수직 설치 벽부(41)의 후반부는, 도5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레버 부세용의 전반부의 상기 곡절면(41a)이 도중에 절단되고, 그 대신에, 마찬가지로 곡절면이지만, 그 상단부가 상기 레버 부세용 전반부의 곡절면(41a)의 상단부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된 제2 곡절면(4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 선택위치에 요동되었을 시는, 상기 레버(3)에 구비된 상기 제1 판 스프링부재(42)가 이 제2 곡절면(41b)에 계지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3)가 이 D레인지 위치와 상기 D레인지 위치의 좌측방향에 배치된 M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에서 셀렉트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상기 제1 판 스프링부재(42)가 그 스프링 복원력에 저항하고, 이 후반부의 제2 곡절면(41b)의 중간부의 정상부를 넘도록 되어있다.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 산택위치와 M레인지 선택위치사이에서 셀렉트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그 레인지 선택조작에 절도감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D, M레인지간의 선택조작시에는, 상기와 같이 시프트 레버(3)가 셀렉트방향에서 요동되는데, 이 레버(3)와 제1 케이스 부재(13)는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일체로 되어서는 요동하지 않으므로, 제1 케이스 부재(13)의 상기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와 제2 판 스프링부재(44)와의 계합은 D, M 양 레인지 겸용 디텐트 凹부d에 머물러 있다.
이와같이, P레인지 선택위치와 D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범위내에서의 시프트 방향의 레인지 선택조작에 대해서는,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와 제2 판 스프링부재(44)의 계합에 의해 절도감이 부여되고, 상기 시프트 방향과 직교하는 셀렉트방향의 D레인지 선택위치와 M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에서 레인지 선택조작에 대해서는 수직 설치 벽부(41)의 후반부의 곡절면(41b)과 제1 판 스프링부재(42)의 계합에 의해 절도감이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M레인지 선택위치내의 시프트 레버(3)의 중립 부세 기구 및 상기 레버(3)에 의한 시프트 업, 시프트 다운의 양 스위치 조작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2, 도3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어퍼 플레이트(9)의 하면에는, M레인지 선택위치의 좌측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축(51)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지축(51)에, 시프트 게이트(15)에서 상기 M레인지 선택위치를 전체로서 구성하는 제8 연통로(G8) 및 제9 연통로(G9)내에 각각 진출하는 전후 한쌍의 아암부(52, 52)를 가지는 캠 부재(53)가 회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어퍼 플레이트(9)의 하면에는, M레인지 선택위치의 우측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부(54)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부(54)에,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판 스프링부재(55)가 부착되고, 이 제3 판 스프링부재(55)의 선단부가 상기 캠 부재(53)의 후면에 설치된 위치결정용의 凹부(56)에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캠 부재(53)에 형성된 상기 전후 한쌍의 아암부(52, 52)사이의 반원형의 凹부(57)가 M레인지의 중립위치, 즉,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셀렉트방향에 있어서 좌측으로 요동되었을 시에 취할 수 있는 위치에 일치되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캠 부재(53)의 좌측부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핀(58)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핀(58)을 끼우도록 하여, 캠 부재(53)의 좌측방향의 위치에 시프트 업용의 스위치(61)가, 또한, 캠 부재(53)의 전방의 위치에 시프트 다운용의 스위치(62)가 각각 어퍼 플레이트(9)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3)가 제7 연통로(G7)에 따라 D레인지에서 M레인지로 절환 조작되었을 때는, 도18에도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레버(3)의 원주부재(4)가 캠 부재(53)의 반원형 凹부(57)에 끼워져, 이 중립위치에서 상기 캠 부재(53)와 제3 판 스프링부재(55)와의 계합에 의해, 상기 시프트 레버(3)가 이 M레인지의 중립위치에 밀려 지지됨과 동시에, 이 중립위치에서 제3 판 스프링부재(55)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시프트 레버(3)를 제8 연통로(G8)에 따라 전방으로 요동시키면, 캠 부재(53)가 도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상기 캠 부재(53)의 좌측 전방돌출단부의 핀(58)에 의해 시프트 업 스위치(61)의 절편이 눌려져 상기 스위치(61)가 온으로 되는 한편, 반대로 이 중립위치에서 제3 판 스프링부재(55)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시프트 레버(3)를 제9 연통로(G9)에 따라 후방으로 요동시키면, 캠 부재(53)가 도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상기 캠 부재(53)의 좌측 앞돌출단부의 핀(58)에 의해 시프트 다운 스위치(62)의 절편이 눌려져 상기 스위치(62)가 온으로 되게 된다.
그 경우에, 이들 캠 부재(53)나 시프트 업 스위치(61) 혹은 시프트 다운 스위치(62)가 각각 어퍼 플레이트(9)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고, 이 부착위치는, 예를들면 베이스 부재(6)위의 위치에 비해, 상기 스위치 기구를 조작하는 시프트 레버(3)의 요동지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비교적 떨어진 장소이므로, 이 스위치 기구는 상기 레버(3)의 시프트 방향의 일정각도의 요동에 대해 큰 스트로크로서 온 오프 조작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캠 부재(53)나 스위치(61, 62)의 칫수 정밀도나 부착위치에 다소 오차가 발생해도, 시프트 레버(3)의 요동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와같은 오차에 의해 스위치(61, 62)를 온 오프시키는 위치가 떨어져 있어도 운전자의 수동변속을 위한 요동 조작에 대해서는 영향이 적고, 항상 대략 일정한 타이밍에서 변속동작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3)에 직접 스위치(61, 62)를 조작하지 않고, 캠 부재(53)를 매개로 온 오프 조작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상기 스위치(61, 62)의 레이 아웃의 자유도가 커지고, 예를들면 시프트 게이트(15)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등,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3 판 스프링부재(55)의 중립위치로의 미는힘에 의해, 시프트 레버(3)가 D에서 M으로 조작되었을 때는, 확실하게 상기 M레인지에서의 중립위치에서 캠 부재(53)의 반원형의 凹부(57)와 계합함과 동시에, 수동 변속 조작에 있어서도 적당한 저항력이 시프트 레버(3)에 주어지게 된다.
또한, 이 시프트 레버(3)의 M레인지의 수동변속을 위한 전후의 요동조작시에는, 상술의 레버 조작 절도 기구의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와 제2 판 스프링부재(44)의 계합부위도 D, M 양 레인지 겸용 디텐트 凹부(d)내에 있어서 전후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서도, 상기 레버(3)가 M레인지의 중립위치에 미는힘으로 밀리고, 또한, 시프트 업 조작시 및 시프트 다운 조작시에, 시프트 레버(3)에 제2 판 스프링부재(44)에 의한 저항력이 작용하게 된다.
다음에, 키 인터록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키 인터 록 기구와 시프트 록 기구가 대략 같은 구성하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우선, 이들 양 기구의 전체 구성을 도9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즉,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가 탑재된 차량의 운전석에 있어서, 스티어링 핸들(101)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102)의 비교적 상부의 하면에는, 운전자에 의해 엔진 시동 키(K)가 LOCK(시프트 록), Acc(악세사리), ON(엔진 전기계통 온), START(엔진 시동)등의 다수의 회동위치에 회동 조작되는 키 조작부(100)가 배치되며, 이 키 조작부(100)와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사이에 록 케이블(70)이 화살표A, B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록 케이블(70)은,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시프트 레버(3)가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P레인지 선택위치로 투입되었을 시에 화살표A방향(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대해서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선택위치에서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 투입되었을 시는 화살표B방향(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대해서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록 케이블(70)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했을 시는 상기 키 조작부(100)에서 시동 키(K)를 다른 회동위치에서 상기 키(K)가 빠짐 가능한 LOCK 위치로 회동할 수 있고, 반대로 록 케이블(70)이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했을 시는 상기 키 조작부(100)에서 시동 키(K)를 다른 회동위치에서 상기 LOCK위치로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도10 및 도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키 조작부(100)는 스티어링 칼럼(102)에 지지되며, 시동 키(K)의 회동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키 실린더(103)를 수용하는 실린더 수용 케이스(104)와, 상기 록 케이블(70)의 일단부를 격납(格納)하는 케이블 격납 케이스(105)를 가지고, 실린더 수용 케이스(104)내에는, 시동 키(K)의 회동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캠 부재(106)와, 상기 캠 부재(106)의 캠면에 스프링(107)의 미는힘에 의해 일단이 당접하는 이동체(108)가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블 격납 케이스(105)내에 수용된 케이블(70)의 일단부에는 블록체(10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108)의 케이블(70)측의 면에는 돌기(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동 키(K)가 LOCK 위치로 회동되었을 시는, 캠 부재(106)가 도11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이동체(108)가 스프링(107)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키(K)반대방향(도10 및 도11에 있어서 좌측 조금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때 돌기(110)가 케이블(70)의 일단부의 블록체(109)와 당접하는 위치로 진출하는 한편, 반대로 시동 키(K)가 LOCK 위치 이외의 다른 회동위치로 회동되었을 시는, 캠 부재(106)가 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이동체(108)가 스프링(107)의 미는힘에 의해 키(K)방향(도10 및 도11에서 우측으로 조금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돌기(110)가 케이블(70)의 일단부의 블록체(109)와 당접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退避)한다.
또한,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선택위치에서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 요동 조작되면, 케이블(70)은 B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격납 케이스(105)내의 블록체(109)는, 도11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격납 케이스(105)내에서 상기 이동체(108)의 돌기(110)와 당접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3)를 P레인지 선택위치에 투입하지 않으면, 시동 키(K)의 빠짐을 금지하는 키 인터 록이 실현됨과 동시에, 시동 키(K)가 빠짐된 상태에서는 시프트 레버(3)를 P레인지 선택위치에서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 요동할 수 없도록 하는 시프트 록이 실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키 인터 록기구에서 케이블을 A, B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이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기구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상의 부재(81)와, 상기 레버(3)의 상기 전측 판상체(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상부재(81)는, 베이스 부재(6)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지축(도시하지 않음)과, 어퍼 플레이트(9)의 하면에 형성된 보스부(82)에 각각 상하 양단부가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들 베이스 부재(6)와 어퍼 플레이트(9)에 걸쳐 가설됨과 동시에, 어퍼 플레이트(9)에 가까운 그 상부에, 시프트 레버(3)측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설치부(83)가, 또한, 베이스 부재(6)에 가까운 그 하부에,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설치부(84)가 각각 설치되고, 이 하측 연장설치부(84)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상기 록 케이블(70)의 타단이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상부재(81)는, 이 하측 연장설치부(84)와 베이스 부재(6)에 양단부가 각각 계지된 덩굴처럼 감긴 스프링부재(85)에 의해, 항상 도2에서 시계방향으로 밀려있고, 도12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측 연장설치부(83)가 좌측방향으로, 하측 연장설치부(84)가 후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이 P레인지 선택위치로 요동되었을 시는, 그 때 상기 제1 연통로에 따라 행해지는 셀렉트방향의 우측으로의 요동에 의해, 시프트 레버(3)의 기부재(5)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측 판상체(23)가 상기 상측 연장설치부(83)를 우측방향으로 압압하고, 그 결과, 그 압압력을 받아, 도12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둥상 부재(81)가 덩쿨 처럼 감긴 스프링부재(85)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상기 케이블(70)이 전방, 즉 A방향으로 이동하고, 키 조작부(100)에 있어서 시동 키(K)가 빠짐 가능해 짐과 동시에, 반대로 시프트 레버(3)가 P레인지 선택위치로부터 그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 요동될 시에는, 그 때 상기 제1 연통로에 따라 행해지는 셀렉트 방향의 좌측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 전측 판상체(23)의 상측 연장설치부(83)에 대한 압압력이 제거되며, 그 결과, 도12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넝쿨처럼 감긴 스프링부재(85)의 미는힘을 받아, 기둥상 부재(8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상기 케이블(70)이 후방, 즉 B방향으로 이동하고, 키 조작부(100)에 있어서 시동 키(K)가 빠짐 불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에, 회동함으로써 록 케이블(70)을 키(K)의 빠짐 가능한 위치와 불가능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상기 기둥상 부재(8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되며, 시프트 레버(3)의 압압력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성하는 연장설치부(83)가 상부에, 상기 케이블(70)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연장설치부(84)가 하부에, 각각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록 케이블(70)을, 어퍼 플레이트(9)의 전단부나 슬라이드 시트(16)등의 다른 부분재와 간섭시키지 않고, 레이 아웃성 좋게 키 조작부(100)사이에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3)의 압압력이 입력되는 상기 연장설치부(83)가 시프트 레버(3)의 요동지점에서 상방에 비교적 떨어진 어퍼 플레이트(9)에 근접한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술의 M레인지의 스위치 기구와 마찬가지로, 이 상측 연장설치부(83)는 상기 레버(3)의 셀렉트방향의 일정각도의 요동에 대해 큰 스트로크로 압압, 회동 조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상 부재(81)나 그 상하의 연장설치부(83, 84)에서, 다소의 칫수 정밀도 내지 부착위치의 오차가 발생해도, 상기 기둥상 부재(81)는 시프트 레버(3)의 요동에 의해 확실하게 큰 진동폭으로 회동되며, 이에따라, 록 케이블(70)을 확실하게 유효한 길이만큼 A,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키 인터 록 기구의 신뢰성이 도모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두개의 연장설치부(83, 84)의 상호 다른 목적이 각각 달성되어, 각 목적의 양립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기둥상부재(81)는, 그 상하의 양단부가 어퍼 플레이트(9)와 베이스 부재(6)로 지지되어, 이들 2개의 부재(6, 9)에 상하에 걸쳐 가설되어 있으므로, 그 지지강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또한, 어퍼 플레이트(9)의 상방에는 커버(2)가 구비되며, 이 기둥상 부재(81)가 이들 2개의 부재(2, 9)의 겹쳐진 장소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원실내에서 잘못하여 예를들면 음료가 엎질려져, 콘솔(X)의 개구(Y)에서 내부로 침입해도, 그 음료는 커버(2)의 상면을 통해 베이스 부재(6)로 낙하하고, 이 기둥상부재(81)에 전달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회피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시동 키(K)가 LOCK위치에 있는 동안은, 상기 케이블(70)의 B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며, 따라서 시프트 레버(3)를 전방의 P레인지 선택위치로부터 후방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 시프트 방향에서 요동시키는 것이 규제되는데, 이 이외에 도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브레이크 페달(111)의 밟힘을 검출하는 검출 유니트(112)와, 이 검출 유니트(112)에서 브레이크 페달(111)의 밟힘이 검출되었을 시에는, 상기 유니트(112)에서의 온 신호에 따라 여자(勵磁)되는 솔레노이드(113)가 구비되고, 브레이크 페달(111)이 밟히지 않으면, 솔레노이드(113)가 온으로 되지않고,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3)를 P레인지 선택위치로부터 셀렉트 방향에서 좌측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풋 브레이크 연동의 시프트 록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3, 도6 및 도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 부재(6)의 상면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3)의 좌측방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제2 세로벽(91)이 수직 설치되어 있고, 이 세로벽(91)의 내면의 비교적 전방부에, 전후 한쌍의 지축(92, 92)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축(92, 92)에,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와 후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4)를 가지는 전방측 레버 부재(95)와,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와 전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7)을 가지는 후방측 레버부재(98)와의 전후 한쌍의 레버 부재(95, 98)가 각각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양 레버부재(95, 98)의 후방, 전방의 연장설치 봉형상부(94, 97)끼리는, 각 선단부에서 상대 회전 자유롭게 계합하여 실린더 기구를 구성함과 동시에, 전방측 레버 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의 대략 중간부에는, 베이스 부재(6)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솔레노이드(113)의 플런져(11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113)가 비여자(非勵磁)일 때에는, 플런져(114)가 튀어나오고, 전측 레버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가 지축(9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 전방의 연장설치 봉형상부(94, 97)끼리 계합을 통하여 후측 레버 부재(98)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가 지축(9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되며,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113)가 여자되었을 시에는, 플런져(114)가 안으로 들어가고, 전측 레버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가 지축(9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상기 계합을 통하여, 후측 레버부재(98)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가 지축(9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에, 특히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솔레노이드(113)의 플런져(114)와 전방측 레버 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는 차체 폭방향에서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연결되며, 따라서, 이 양부재(93, 114)가 중첩된 연결부에 있어서는, 차체 폭방향의 두께가 커진다. 한편, 도3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양 레버부재(95, 98)가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2 세로벽(91)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전방측 레버 부재(95)의 회동지축(92)의 상방에는, 후방으로 향해 절결된 凹부(91a)가 형성되며, 이 凹부(91a)내에 상기 양부재(93, 114)의 연결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따라, 제2 세로벽(91)을 폭방향에 있어서 특히 좌측으로 기울여 수직 설치시키지 않아, 이 세로벽(91)과 연결부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는, 전방측 레버 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에 형성된 구멍과, 플런져(114)측의 핀이 계합되어 있는데, 그 경우에, 전방측 레버 부재(95)의 구멍은, 특히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긴 구멍(95a)으로 되며, 이에따라 플런져(114)의 진퇴 직선운동과,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의 요동 운동사이에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프트 록 기구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P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경우는, 브레이크 페달(111)이 밟혀졌을 시에, 상기 솔레노이드(113)가 여자됨과 동시에, 그 이외에도, 시프트 레버가 N레인지 선택위치에 있는 경우는, 차속이 소정 이하로 내려갔을 시에 상기 솔레노이드(113)가 여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3 또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방측 레버 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가 후방으로 요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가 시프트 게이트(15)의 제1 연통로(G1)상으로 진출하고, 도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방으로 요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가 제1 연통로(G1)상에서 퇴피하는 한편, 마찬가지로 도13 또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측 레버 부재(98)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가 전방으로 요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가 시프트 게이트(15)의 제5 연통로(G5)상에 진출하고, 도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으로 요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가 제5 연통로(G5)상에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따라,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P레인지에서는, 브레이크 페달(111)을 밟지않으면, 상기 P레인지에서 시프트 레버(3)를 셀렉트 조작할 수 없으므로, 결국, 상기 시프트 레버(3)를 후방의 주행 레인지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없고, 또한, 주행중에 전진후퇴의 반복을 행할 경우는, 차속이 소정 차속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시프트 레버(3)를 도15에 도시한 N레인지로부터 셀렉트 조작할 수 없으므로, 결국, 시프트 레버(3)를 상기 N레인지를 경유시켜 D레인지 방향으로부터 전방의 R레인지로 요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특히, 전자의 P레인지 시프트 록의 동작을 상술의 키 인터 록 동작과 조합시키면, 결국, 시동시에는 레인지가 P레인지에 없으면 엔진을 시동시킬 수 없고, 또한 그 후 브레이크 페달(111)이 밟혀진 상태가 아니면, 레버(3)를 주행 레인지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에따라, 발진시 갑자기 튀어나가는 것이 유효하게 회피되게 된다.
그 경우에, 특히 도6 및 도13∼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기부재(5)의 좌측면에는 돌기(99)가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이 돌기(99)와, 전후 한쌍의 레버 부재(95, 98)의 상방 봉형상 연장설치부(93, 96)가 당접함으로써, 시프트 레버(3)의 셀렉트 조작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방 봉형상 연장설치부(93, 96)가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셀렉트 방향에 따라 압압되고, 또한, 한쌍의 레버 부재(95, 98) 그 자체가 베이스 부재(6)에 수직 설치된 상기 좌측방의 세로벽(9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시프트 록시의 당접시의 충격이, 이들 레버 부재(95, 98)에 가해지는 것도, 이들 레버부재(95, 98)가 상기 좌측방의 세로벽(91)에 배면측에서 지지되고, 상기 세로벽(91)에 의해 그 충격력을 막아내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레버부재(95, 98)가 지축(92, 92)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그 결과 파손되는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억제되게 된다.
특히, 시프트 레버(3)의 돌기(99)와 당접하는 것이, 지축(92, 92)에서 연장설치되며, 충격력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형상의 봉형상의 부재(93, 96)이므로, 상기의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억제되는 효과가 크다.
또한, P레인지용의 시프트 록 레버(95)와 N레인지용의 시프트 록 레버(98)와의 2개의 레버부재를 링크로 연결하고, 단일 솔레노이드(113)로 양 레버부재(95, 98)를 상호 연동시켜 작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각 레버부재(95, 98)에 각각 전용의 솔레노이드를 구비할 때에 비해,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부품점수 내지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 케이블의 분리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또한,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를 제2 지축(32)으로 직접 지지하는 제2 케이스 부재(14)는, 대략 상기 레버(3)의 기부재(5)의 각주(角柱)형상 본체(21)에 따른 범위로 전개된 좌우의 양벽부(201, 202)를 가진다. 그리고 그 좌우 양벽부(201, 202)의 각 상단부는, 각각 전부 및 후부에 상하 이단의 돌출부(t…t) 및 상기 돌출부(t…t)에 끼워진 절결부(k…k)를 가지는 대략 T자상의 단층형상의 계지부(29, 29)로 되어 있다(도4, 도5 및 도13도 참조). 그 경우에 우측의 계지부(29)의 치수는 좌측의 계지부(29)의 치수에 비해, 전후방향의 폭이 전체적으로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계지부(29, 29) 즉, 제2 케이스 부재(14)의 좌우의 양벽부(201, 202)의 상단부에, 도6, 도7, 도8 및 도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동 블록체(203)가 끼워 부착되어 있다. 이 이동 블록체(203)는, 도8 및 도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평면에서 봐서 외형이 다각형상으로 되고, 또한 그 내부에는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봐서 다각형상의 개구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개구부(204)는, 크게 세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의 폭이 가장 좁은 평면에서 봐서 가장 우측의 부분(205)과, 그 폭보다 큰 전후방향의 폭을 가지는 중앙부의 부분(206)과 그 폭보다 더 큰 전후방향의 폭을 가지는 가장 좌측 부분(207)으로 이루어진다.
그 경우에, 가장 우측 부분(205)의 폭은, 제2 케이스 부재(14)의 우측벽부(202)의 계지부(29)의 절결부(k, k)간의 폭과 대략 같으며, 중앙부(206)의 폭은, 레버(3)의 기부재(5)의 본체를 구성하는 사각 기둥부분(21)의 전후방향의 폭, 좌측벽부(201)의 계지부의(29)의 절결부(k, k)사이의 폭 및 우측벽부(202)의 계지부(29)의 돌출부(t, t)사이의 폭과 대략 같으며, 그리고, 가장 좌측부분(207)의 폭은, 좌측벽부(201)의 계지부(29)의 돌출부(t, t)사이의 폭과 대략 같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동 블록체(203)는, 상기 중앙부의 개구부(206)에 레버(3)의 기부재(5)의 본체 사각기둥부분(21)과, 우측벽부(202)의 계지부(29)의 돌출부(t, t)가 모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상기 가장 좌측의 개구부(207)에, 좌측벽부(201)의 계지부(29)의 돌출부(t, t)가 삽입 통과되도록, 상방향에서 시프트 레버(3)와 제2 케이스 부재(14)에 끼워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우측 벽부(202)의 계지부(29)의 절결부(k, k)와 가장 우측의 개구부(205)가 계합되고, 레버(3)의 기부재(5)의 본체 사각기둥부분(21)이 그대로 중앙부의 개구부(206)내에 머물러 이들 양자가 계합하고, 또한, 좌측벽부(201)의 계지부(29)의 절결부(k, k)와 중앙부의 개구부(206)가 계합하고, 이에따라 제2 케이스부재(14)에 지지되며, 이 이동 블록체(203)는 상기 좌우의 계지부(29, 29)와 개구부(204)와의 계합을 통하여, 차체폭 방향에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14)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마찬가지로 차체폭 방향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3)에 대해서도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시프트 레버(3)와 제2 케이스 부재(14)가 일체로 되어 차체 전후방향에서 요동했을 시는, 이 이동 블록체(203)는, 상기 레버(3) 및 제2 케이스 부재(14)와 일체로 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블록체(203)는, 제2 케이스 부재(14)의 좌측벽부(201)의 외면과의 사이에 끼워 설치된 스프링(210)에 의해, 항상 좌측방향으로 밀려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의 개구부(206)와 가장 우측의 개구부(205)와의 경계에 형성된 전후 단부(211, 211)와, 레버(3)의 본체 사각기둥부분(21)의 우측 전후의 각부가 당접하고, 상기 스프링(210)의 미는힘에 의해 이동 블록체(203)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예를들면 P레인지나 N레인지 혹은 D레인지에 있어, 상기 레버(3)가 상기 부세기구에 의해 우측으로 미는힘에 밀리고, 셀렉트 방향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의 각부와 블록체(203)의 단부(211, 211)의 당접에 의해, 상기 블록체(203)가 가장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이때, 상기 시프트 록 기구의 레버부재(95, 98)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6)의 전술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제2 세로벽(91)의 내면에, 상기 블록체(203)의 좌측 단부가 근접하여 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시프트 레버(3)가 이 위치에서 상기 부세기구에 의한 우측으로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셀렉트방향에서 좌측으로 요동되면, 상기 레버(3)의 각부와 블록체(203)의 단부(211, 211)의 당접 위치도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블록체(203)가 상기 스프링(201)의 미는힘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좌측단부가 상기 제2 세로벽(91)의 내면과 당접한다. 또한, 이 때, 제2 케이스 부재(14)는 상술한 바와같이 좌우방향으로는 요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레버(3)가 다시 좌측으로 요동되어도, 상기 블록체(203)는 상기 제2 세로벽(91)과의 당접에 의해 그 이상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상기 제2 세로벽(91)을 넘어서는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케이스 부재(14)는 좌우방향으로 요동되지 않으므로, 시프트 레버(3)의 좌측으로의 요동에 따라 스프링(210)이 더 압축되며, 그 결과, 과도하게 큰 미는힘이 블록체(203) 내지 제2 세로벽(91)에 작용되는 일도 없다. 즉, 시프트 레버(3)만이, 상기 레버 부세기구에 의한 우측으로의 미는힘만에 저항하여 좌측으로 요동되며, 블록체(203)에는 그 시프트 레버(3)의 폭방향의 요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케이스 부재(13)에 있어서는, 전면 좌측부에 조작용 케이블(26)의 일단이 연결되며, 그 연결부(27)에 차체폭방향의 두께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면 우측 단부의 상술의 후방으로의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의 전단부분이 차체폭방향의 두께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체(203)의 외형으로서는, 이에 대응하도록, 좌측전방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220)이, 또한, 우측후부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221)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전방후방 돌출부분(220, 221)사이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13)의 연결부(27)의 후단부와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의 전단부간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대략 같게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블록체(203)가 상술과 같이 좌측방의 제2 세로벽(91)에서 그 좌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기간동안은, 바꿔말하면, 상기 블록체(203)가 제1 케이스 부재(13)에 대해 비교적 우측으로 위치하는 기간동안은, 이 블록체(203)의 상기 좌측 전방 돌출부(220)가 제1 케이스 부재(13)의 좌측전방부의 케이블 연결부(27)의 두께부와 서로 접함과 동시에, 블록체(203)의 상기 우측 후방 돌출부(221)가, 제1 케이스 부재(13)의 우측 후부의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의 두께부와 서로 접하고, 이에따라, 상기 블록체(203)는 제1 케이스 부재(13)에 대해, 차체 폭방향에서는 상대 이동해도 차체 전후방향에 있어서는 일체화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3)가 전후로 요동되었을 시는, 원래 이 방향에서 상기 레버(3)와 일체화되어 있는 제2 케이스 부재(14)는 원래부터 이들 시프트 레버(3)와 제2 케이스 부재(14)의 양쪽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블록체(203) 또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뿐만 아니라, 이 블록체(203)와 상기 상호 당접 관계를 통하여 일체화된 제1 케이스 부재(13)도 전후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1 케이스 부재(13)에 연결된 상기 조작 케이블(26)은, 시프트 레버(3)의 시프트 방향의 요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케이블 이동에 연동하고, 상기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회로에 설치된 매뉴얼 밸브가 각 레인지용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유압제어회로의 유로가 각 레인지용으로 절환되게 된다.
즉,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가 탭재된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회로는, 도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매뉴얼 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에 있어서는, 오일 펌프(도시하지 않음)에서 토출된 작동압이 레귤레이터 밸브에 의해 소정 라인압으로 조압(調壓)되며, 그 조압된 소정 라인압이 메인라인(L1)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 회로에는, D레인지, M레인지 및 R레인지로 체결되는 클러치나 브레이크등의 마찰요소(도시하지 않음)에 작동압을 공급하는 유로(L2)와, D레인지 및 M레인지로 체결되는 마찰요소(도시하지 않음)에 작동압을 공급하는 유로(L3)와, R레인지 및 N레인지(내지 P레인지)로 작동압이 공급되는 유로(L4)가 설치되고, 이들 유로(L2∼L4)와 상기 메인 라인(L1)간에 상기 매뉴얼 밸브(V)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D레인지나 M레인지의 전진 주행 레인지에서는, 상기 매뉴얼 밸브(V)(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밸브의 스풀)가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메인 라인(L1)과 유로(L2) 및 (L3)이 이 밸브(V)를 매개로 연통되고, 이들 유로(L2, L3)에 작동압이 공급되며, 전진 주행시에 체결되어야할 소정 마찰요소가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 매뉴얼 밸브(V)는, 상기 조작용 케이블(26)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16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13)의 전방으로의 요동에 따라 케이블(26)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밸브(V)가 도16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13)의 후방으로의 요동에 따라 케이블(26)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밸브(V)가 도16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전방으로 요동되어 레인지가 N레인지로 절환되었을 시에는, 도16에서 매뉴얼 밸브(V)가 소정거리만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유로가 절환되고, 메인 라인(L1)과 유로(L4) 및 (L5)가 이 밸브(V)를 통해 연통하고, 상기 유로(L2, L3)에 공급된 작동압이 드레인되며, 이때까지 체결된 판 마찰요소가 해방되어, 뉴트럴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이 회로에는, 또한 D레인지, M레인지 및 N레인지로 작동압이 공급되는 유로(L5)가 병설되어 있다. 이 유로(L5)에 작동압이 공급되었을 시에는, 상기 작동압이 레규레이터 밸브에 피드 백되어, 라인압이 감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제1 케이스 부재(13)가 블록체(203)를 통하여 시프트 레버(3) 및 제2 케이스 부재(14)와 일체화되어 전후방향에서 요동함으로써, 이 제1 케이스 부재(13)에 연결된 조작 케이블(26)의 이동에 연동하여 매뉴얼 밸브(V)가 각 레인지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유압 제어회로의 유로가 각 레인지용으로 절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벽(91)에는, 도3, 도7, 도8 및 도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의 선택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블록체(203)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시켜, 상기 블록체(203)가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의 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블록체(203)의 좌측단부는 아무것도 당접하지 않고, 상기 세로벽(91)를 넘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상기 레버 부세 기구에 의한 우측으로의 미는힘이 상기 블록체(203)를 좌측으로 미는 스프링(210)의 미는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3)가 전방으로부터 요동되고, 이 D레인지 선택위치에 이르렀다고 해도, 그 순간에 상기 블록체(203)가 상기 개구(240)를 삽입 통과하여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시프트 레버(3)가 상기 레버 부세기구에 의한 우측으로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좌측으로 셀렉트 조작되었을 시에 비로소 상기 블록체(203)가 상기 개구(240)를 삽입 통과하고, 제2 세로벽(91)을 넘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에서 좌측으로 셀렉트 조작되었을 시, 즉 M레인지 선택위치로 절환되었을 시에는, 상기 레버(3)가 M레인지의 중립위치에 이르게 되고, 이 때 블록체(203)가 좌측으로 이동하는데, 이 시점에서, 상기 블록체(203)와 제1 케이스 부재(13)와의 상호 당접이 해제되며, 따라서 이들 사이의 일체화가 해제된다. 즉, M레인지로 절환된 후의 상태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3)가 수동변속을 위해 전후방향으로 요동되었을 시는, 상기 레버(3)와 블록체(203)와 제2 케이스 부재(14)가 일체로 되어 전후방향으로 요동 내지 이동하는데, 제1 케이스 부재(13)에는 그 전후방향의 요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M레인지 내에서 수동변속을 위해 시프트 레버(3)가 시프트 조작되어도, 제1 케이스 부재(13)는 전후방향으로 요동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조작 케이블(26)이 이동하지 않아, 그 결과, 매뉴얼 밸브(V)가 유압 제어회로내에서 이동하지 않고, D레인지 내지 M레인지의 전진 주행 레인지가 선택되었을 시의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전진 주행용의 유로가 예를들면 인접하는 N레인지용 유로등의 다른 레인지용 유로에 근접하거나 절환되지 않고, 전진 주행시에 체결되는 마찰요소에 대한 작동압이 드레인에 의해 저하하고, 체결용에 필요한 유압이 부족한등 문제점이 확실하게 회피되게 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3)가 다시 M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우측으로 요동되면, 블록체(203)는 상기 레버(3)와의 단부 및 각부의 당접을 통하여 마찬가지로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 때, 다시 제1 케이스 부재(13)의 상호 당접, 일체화상태가 부활하고, 이후, 시프트 레버(3)의 전방으로의 요동에 따라 케이블(26)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블록체(203)와 제1 케이스 부재(13)의 일체화가 해제되는 기간동안, 즉 M레인지가 선택되는 기간동안은, 제1 케이스 부재(13)의 후측부의 부채형상 연장설치부(28)와 제2 판 스프링부재(44)와의 계합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부재(13)는 D레인지 혹은 M레인지 위치에 유지되므로, 상기 기간중에 제1 케이스 부재(13)가 자유롭게 전후방향으로 요동하고, M에서 D로의 절환시에, 블록체(203)와 제1 케이스 부재(13)의 일체화가 실현되지 않는 문제점은 회피된다.
한편, 도3, 도7, 도8 및 도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세로벽(91)에 형성된 개구(240)의 좌측 외측방향외에는, M레인지가 선택된 것을 검출하는 M레인지 스위치(250)가 작은벽(251)을 통하여 구비되어 있고, 상기 D레인지에서 M레인지에의 시프트 레버(3)의 조작시의 블록체(203)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이 M레인지 스위치(250)의 조작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블록체(203)가 상기 세로벽(91)의 개구(240)를 삽입 통과하고, 상기 세로벽(91)을 넘어 좌측방향으로 이동했을 시는, 상기 블록체(203)의 좌측 단부가 상기 M레인지 스위치(250)의 절편을 압압하고, 이에따라 상기 스위치(250)를 온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상기 블록체(203)의 좌측단부는, 전후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도17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수동 변속시에 시프트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시에 있어서도, 항상 상기 블록체(203)가 상기 M레인지 스위치(250)를 계속 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 조작 케이블 분리기구에 있어서는, 시프트 레버(3)가 D레인지 위치에서 M레인지 위치로 요동되었을 때만, 상기 시프트 레버(3)와 조작 케이블(26)의 연계가 절단되고, 그리고 다시 시프트 레버(3)가 M레인지 위치에서 D레인지 위치로 요동되었을 시에, 상기 시프트 레버(3)와 조작 케이블(26)의 관계가 접속된다.
그리고, 그 레버(3)와 케이블(26)과의 연계의 절단이, 블록체(203)와 제1 케이스 부재(13)의 일체화가 해제됨으로써 행해지는데, 그 일체화를 해제하기 위한 상기 블록체(203)의 셀렉트방향의 이동이, D레인지 위치 내지 M레인지 위치에 있어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레인지 위치에서는 상기 블록체(203)의 셀렉트 방향의 이동이 세로벽(91)에 의해 저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때 레버(3)와 블록체(203)가 셀렉트 방향에서 상대 요동 내지 상대 이동 가능한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가 크게 셀렉트 방향에서 요동되어도 그에따른 과도한 누름력등이 블록체(203)나 세로벽(91)등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P레인지에서 R레인지로의 절환시에, 시프트 레버(3)가 제1 연통로(G1)에 따라 요동 경로의 가장 좌측까지 요동되어도, 레버(3)와 케이블(26)의 연계가 절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블록체(203)가 세로벽(91)을 파괴하고, 상기 세로벽(91)을 넘어 레버(3)와 케이블(26)의 관계를 절단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유효하게 회피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이동 블록체(203)가 제2 케이스 부재(14)의 상단부에서 좌우 양벽(201, 202)의 두개소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설령 상기 블록체(203)의 양단부가 세로벽(91)이나 제1 케이스 부재(13)와 당접하고, 시프트 레버(3)를 중심으로 하는 응력이 작용해도 상기 블록체(203)는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이동 블록체(203)와 제2 케이스 부재(14)가 치수가 상호 다른 좌우의 계지부(29, 29)와 블록체(203)의 3종류의 개구(205, 206, 207)에 의해 간편한 형태로 계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블록체(203)의 조립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다음에, 시프트 레버(3)와 시프트 게이트(15)의 당접 충격력을 억제하는 하중받침기구를 설명한다.
이 기구는, 도4, 도15 및 도18∼도2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기부재(5)의 본체(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에서 조금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측 판상체(24)와, 상기 레버(3)의 후방으로부터 어퍼 플레이트(9)의 하면에 설치된 하방 돌기(301)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는 어퍼 플레이트(9)에 형성된 시프트 게이트(15)와 당접함으로써, 그 전후 좌우방향의 요동이 규제되며, 이에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3)의 요동 경로가 상기 시프트 게이트(15)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레인지 선택 조작시에, 시프트 게이트(15)는 상기 레버(3)에 의해 당접되며, 이 때에 당접 충격력이 가해지므로, 이 시프트 게이트(15)에는, 그와같은 무수한 회수에 걸쳐 레버(3)의 요동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얻어진다.
그리고, 특히,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의 시프트 게이트(15)에는, M레인지 선택위치가 설치되고, 그 결과, N레인지 선택위치와 D레인지 선택위치간의 제6 연통로(G6)와, 상기 M레인지 선택위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8 연통로(G8)가 모두 시프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평행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시프트 게이트(15)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정되며, 그 결과, R레인지 선택위치에서 N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절환 조작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4 연통로(G4)의 종단부와, 상기 제8 연통로(G8)의 종단부(시프트 업 위치)가 상호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5 연통로(G5), 제6 연통로(G6), 제7 연통로(G7) 및 제8 연통로(G8)로 둘러싸인 부분의 시프트 게이트(15)의 형상(보다 구제적으로는 시프트 게이트(15)를 형성하기 위한 어퍼 플레이트(9)부분의 형상)이, 기부가 얇은 돌출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 전후좌우의 네방향에서 레버(3)의 당접력이 가해졌을 시에는, 그 내구성의 문제가 현저해진다.
이 기구는, 특히 이 부분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도19에 화살표C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원기둥 부재(4)가, R레인지에서 N레인지로의 조작시에 시프트 게이트(15)의 상기 부분의 전단부와 당접할 때에는, 상기 판상체(24)의 후단부와 하방 돌기(301)의 전단부가, 화살표D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와는 별도의 장소에서 당접하고, 또한 도20에 화살표E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레버(3)의 원기둥상 부재(4)가 M레인지의 시프트 업 위치에서 우측방향으로 요동된 경우에 시프트 게이트(15)의 상기 부분의 좌측부와 당접할 시에는, 상기판상체(24)의 우측부와 하방돌기(301)의 좌측부가, 화살표F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와는 별도의 장소에서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따라, 레버(3)와 게이트(15)의 당접력이 분산되어 상기 게이트(15)의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판상체(24)가 시프트 레버(3)에, 하방 돌기(301)가 어퍼 플레이트(9)에 설치되고, 또한 어퍼 플레이트(9)에는 시프트 게이트(15)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상호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도모되고, 각각의 당접이 대략 동시에 일어나도록 설정하기 쉬워져, 효과적으로 충격력이 분산되게 된다.
또한, N에서 D로의 절환시에는, 상기 판상체(24)가 하방돌기(301)의 우측방향을 간섭하지 않고 통과하고, 또한 D에서 M으로의 절환시에는, 상기 판상체(24)가 하방돌기(301)의 후방을 간섭하지 않고 통과한다.
이와같이, 제5, 제6, 제7, 제8의 네개의 연통로(G5∼G8)로 둘러싸인 어퍼 플레이트(9)의 부분이 기부가 얇은 약한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R에서 N으로의 시프트 조작시와, 시프트 업 위치에서의 우측으로의 요동시 뿐만 아니라, 다른 두방향에서도 당접 충격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즉, N에서 D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레버가 좌측으로 요동 조작될 때와, D에서 M으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레버가 앞으로 요동 조작될 때인데, 이들은 모두 레인지의 절환 도중이고, 위치 결정용 디텐트 凹부의 산을 넘는 중이므로, 그와같은 레버(3)의 조작은 일어나기 어렵다. 그러나,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판상체(24)와 하방 돌기(301)가 당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역시 게이트(15)의 내구성은 확보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기부가 얇아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에 있어서, 어퍼 플레이트(9)에, 예를들면 금속판등의 보강재를 메워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상기 시프트 록용의 솔레노이드(113)가 작동 불량을 일으키거나, 그 플런져(114)가 스틱하는 등으로 하여, 시프트 록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의 조치로 압압됨으로써, 시프트 록 기구의 전후 양 레버 부재(95. 98)를 강제적으로 해제위치에 요동시키는 푸시 바(4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푸시 바(400)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하로 연장되는 봉형상으로 되며, 도1에도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지름이 확대된 상단부(400a)가 커버(2)에 설치된 원형 凹부(402)에 이르러 압압 조작부로 됨과 동시에, 도6에도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하단부(400b)가 시프트 록 기구의 전측 레버 부재(95)의 대략 좌측방향까지 이르고 있다.
한편, 상기 전측 레버 부재(95)에는, 도3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 세로벽(91)의 전측 가장자리부의 전방을 통과하고, 그리고 상기 세로벽(91)을 넘어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설치부(401)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연장설치부(401)의 선단부에, 상기 푸시 바(400)의 하단부(400b)가 상방에서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푸시 바(400)가, 커버(2)내의 조작부(400a)에서 운전자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었을 시에는, 도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푸시 바(400)의 하단부(400b)가 상기 전측 레버 부재(95)의 연장설치부(401)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이에따라, 상기 전측 레버 부재(95) 전체가 솔레노이드가 여자되었을 때와 같이 회동하고, 그 결과, 상기 전측 레버부재(95)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3)가 전방의 시프트 록 해제위치에, 후측 레버부재(98)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96)가 후방의 시프트 록 해제위치에 각각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에, 상기 전측 레버부재(95)의 피압압(被押壓) 연장설치부(401)가 제2 세로벽(91)을 넘어 좌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 연장설치부(401)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푸시 바(400)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세로벽(91)에 대해 좌측의 위치에, 바꿔말하면, 상기 제2 세로벽(9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2 세로벽(91)에 대해 외측 위치에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있는 한편, 내측에는, 상기 변속조작 입력장치(1)에 구비된 각종 기구 내지 그 부재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푸시 바(400)의 배치위치에 대해 자유도가 확보되며, 이에따라, 상기 푸시 바(400)의 상단부(400a)를 커버(2)에서 운전자가 압압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방향이 시프트 방향, 좌우방향이 셀렉트방향으로 되어 있는데, 시프트 방향 내지 셀렉트방향으로 이와같은 차체의 방향과는 관계없는 것은 말 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에 의한 다수의 레인지 선택위치가 D레인지까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M레인지가 상기 레버를 D레인지에서 제1 방향에서 요동시킴으로써 선택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레버가 D레인지까지의 범위내에 있을 때는, 이동부재가 케이블과 상기 레버와의 연계를 접속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에 따라 밸브부재가 이동한다.
이에 대해, 상기 레버가 D레인지에서 M레인지 방향으로 제1 방향에서 요동되었을 시는, 상기 이동부재가 케이블과 상기 레버와의 관계를 절단하는 위치로 이동하므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의 제2방향의 요동에 따라 밸브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이에따라, 상기 레버가 M레인지내에서 수동변속을 위해 제2 방향에서 요동되어도, 유로가 전진 주행용의 유로에서 다른 뉴트럴 레인지용의 유로등으로 절환되지 않음과 동시에, 그 요동조작이 느려지는 것이 회피된다.
그리고, 그 경우에, 상기 레버가 D레인지까지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가 상기와 같이 D레인지측에서 M레인지측으로의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시는, 그 레버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이동부재가 접속위치에서 절단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확실하게 회피됨과 동시에, 이 이동부재에 시프트 레버의 요동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이동부재가 비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특히 제2 발명에 의하면, M레인지의 선택시에, 이동부재가 절단위치로 이동했을 시는, 상기 이동부재가 M레인지 스위치를 온하는 기능을 함께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점수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가, 시프트 레버에 대해 제1 방향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이 슬라이드 부재와 시프트 레버가 연동되거나 연동되지 않는 것이 실현되며, 그 결과, 시프트 레버가 D레인지 및 M레인지에 없을 때에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방향의 요동이 이동부재로 전달되지 않고, 또한, 시프트 레버가 D레인지 또는 M레인지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방향의 요동이 이동부재에 전달되게 된다.
다음에, 특히, 제4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가 D레인지측에서 M레인지측으로 밀림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그 미는힘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D레인지측에서 M레인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결국 슬라이드 부재는 시프트 레버의 요동과 연동하여 제1 방향에서 이동해도,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접속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은 시프트 레버만이 요동하고, 슬라이드 부재는 접속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다음에, 특히, 제5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가 제1, 제2 케이스 부재를 통하여 제1, 제2 방향에서 요동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그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에 다수의 부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이 슬라이드부재의 양단부에 제1 케이스 부재등의 다른 부재가 당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시프트 레버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응력이 작용해도, 이 슬라이드 부재가 비틀리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에 특히 제6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에 대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의 돌기와 슬라이드 부재의 홈부의 계합이 실현되고, 이에따라 간편한 방법으로 슬라이드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특히, 제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접속위치로 이동했을 시는, 케이블이 연결된 제1 케이스 부재와 일체화되고, 절단위치로 이동했을 시에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별체화되므로, 이에따라, 시프트 레버와 케이블의 연계상태가 접속 또는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특히 제8 발명에 의하면, 각 레인지 선택위치가 구체화되며, 이에따라, 다수의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걸쳐 전개된 배치로 되며, 특히 P레인지와 R레인지간의 절환시에는, D레인지와 M레인지간의 절환시와 같은 방향과 또한 같은 거리만큼 시프트 레버가 요동된다.
따라서, D레인지와 M레인지간의 절환시에 케이블의 분리가 행해지도록 구성하면, P레인지와 R레인지간의 절환시에도 케이블의 분리가 행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속조작 입력장치에서는, D레인지와 M레인지간의 절환시 이외의 때는, 아무리 그와같은 레버 조작이 행해져도, 그 레버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재가 접속위치에 지지되므로, 케이블의 분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P레인지와 R레인지간의 절환시에는 확실하게 그 절단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제9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발명으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 및 제2 발명으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이 함께 얻어지고, 또한 제10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발명에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 및 제8 발명에서 얻어지는 작용과 같은 작용이 함께 얻어지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변속조작 입력장치중 승원실내에 나타난 부분의 평면도,
도2는 동 장치의 개략의 평면도,
도3은 동 장치의 일부 절결한 개략의 좌측면도,
도4는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동 장치의 개략의 우측면도,
도6은 동 장치의 시프트 레버의 주변구조를 도시하는 전방에서의 개략의 확대 단면도,
도7은 마찬가지로 후방에서의 개략의 확대 단면도,
도8은 마찬가지로 상방에서의 개략의 확대단면도,
도9는 동 장치의 키 인터 록 구조 및 시프트 록 기구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10은 동 기구의 키 조작부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11은 마찬가지로 설명도,
도12는 키 인터 록 기구의 록 케이블 이동기구 작용의 설명도,
도13은 P레인지의 시프트 록 기구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도,
도14는 마찬가지로 설명도,
도15는 N레인지의 시프트 록 기구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도,
도16은 매뉴얼 밸브 주변의 유압제어회로의 설명도,
도17은 조작 케이블 분리 기구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도,
도18은 하중 받침기구 및 스위치 조작기구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도,
도19는 마찬가지로 설명도,
도10은 마찬가지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조작 입력장치 2 : 커버
3 : 시프트 레버 6 : 베이스 부재
9 : 어퍼 플레이트 13 : 제1 케이스 부재
14 : 제2 케이스 부재 15 : 시프트 게이트
23 : 전측 판상체 24 : 후측 판상체
26 : 조작용 케이블 27 : 상방 연장설치부
28 : 후방 연장설치부 29 : 계지부
41 : 제1벽부 42 : 제1 판스프링 부재
44 : 제2 판스프링부재 53 : 캠 부재
55 : 제3 판스프링부재 57 : 캠 부재의 凹부
61 : 시프트 업 스위치 62 : 시프트 다운 스위치
70 : 록 케이블 81 : 기둥상 부재
83 : 기둥상 부재의 상측 연장설치부
84 : 기둥상 부재의 하측 연장설치부
91 : 제2 벽부
93 : 전측 레버부재의 상방 연장설치 봉형상부
95 : 전측 레버 부재 98 : 후측 레버 부재
100 : 키 조작부 113 : 솔레노이드
203 : 이동 블록체 204 : 이동 블록체의 개구부
240 : 개구 250 : M 레인지 스위치
301 : 하방돌기 G1∼G9 : 연통로
V : 매뉴얼 밸브

Claims (10)

  1. 시프트 레버의 다수의 요동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와,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거하는 수동 변속이 달성되는 수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가 설치되며, 시프트 레버의 제1 방향의 요동에 의해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절환이 행해지고, 또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해 변속단이 절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 위치 및 자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로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회로의 유로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인지 선택위치에 따라 절환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과 연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부재와, 이 케이블 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연계상태를 절단하는 위치와 접속하는 위치와의 사이에 요동 자유롭게 구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 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제1 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되고,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요동에 따른 절단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이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를 제1, 제2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에, 상기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의 단부와 당접하는 당접부가 설치됨으로써,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 제1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 전달되지 않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절단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는 제1방향에 있어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 미는힘으로 밀리고, 또한, 시프트 레버에, 이 미는힘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가 설치됨으로써,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부터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제2 방향에 있어서만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1 케이스 부재와, 이 제1 케이스 부재애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상대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2 케이스 부재가 구비되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절단 불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 및 슬라이드 부재는 각각 개별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상대 요동 가능하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일체로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다수의 부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케이스 부재에는, 선단부가 기부보다 확대된 다수의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에는, 이들 돌기에 대응시켜, 상기 돌기의 각 선단부가 삽입 통과 가능한 폭이 넓은 홈부와, 각 기부만이 삽입 통과 가능한 폭이 좁은 홈부가 제1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연속하여 설치되고,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폭이 넓은 홈부에 제2 케이스 부재의 돌기가 삽입 통과된 후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폭이 좁은 홈부와 상기 돌기가 계합됨으로써,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다수의 부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제2 방향에 있어서만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1 케이스 부재와, 이 제1 케이스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상대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2 케이스 부재가 구비되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절단 불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 및 슬라이드 부재는, 각각 개별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상대 요동 가능하고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일체로 지지되고, 또한, 슬라이드 부재는, 접속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일체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제2 케이스 부재 및 시프트 레버가 일체로 되어 제2 방향에서 요동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절단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및 시프트 레버가 일체로 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 상대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서,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 및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절환시에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절환시와 같은 거리만큼 제1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9. 시프트 레버의 다수의 요동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와,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거하는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가 설치되고, 시프트 레버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사이의 절환이 행해지며, 또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따라 변속단이 절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 및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로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회로의 유로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인지 선택위치에 따라 절환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과 연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부재와, 이 케이블 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연계상태를 절단하는 위치와 접속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제1 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또한, 시프트 레버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레버의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요동에 따른 절단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10. 시프트 레버의 다수의 요동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변속특성에 의거하는 자동변속이 달성되는 자동 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와, 시프트 레버의 요동에 의거하는 수동변속이 달성되는 수동변속 레인지의 선택위치가 설치되며, 시프트 레버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이들 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절환이 행해지고, 또한,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내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세프트 레버의 요동에 따라 변속단이 절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로서,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 및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가,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이고, 또한,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뉴트럴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주차 레인지 선택위치와 후퇴 레인지 선택위치 사이의 절환시에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와의 사이의 절환시와 같은 거리만큼 제1 방향에 있어서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로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회로의 유로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인지 선택위치에 따라 절환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과 연동시키도록 상기 밸브 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부재와, 이 케이블 부재와 시프트 레버와의 연계상태를 절단하는 위치와 접속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및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이외의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 또는 수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접속위치와 절단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레버의 자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부터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의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에서 자동변속 레인지 선택위치로의 제1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가 상기 다른 레인지 선택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레버의 자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에서 수동 변속 레인지 선택위치측으로의 제1방향의 요동이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KR10-1999-0001640A 1998-02-10 1999-01-20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KR100508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470998A JP3840330B2 (ja) 1998-02-10 1998-02-10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98-044709 1998-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282A KR19990072282A (ko) 1999-09-27
KR100508637B1 true KR100508637B1 (ko) 2005-08-17

Family

ID=1269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640A KR100508637B1 (ko) 1998-02-10 1999-01-20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92770B1 (ko)
EP (1) EP0936383B1 (ko)
JP (1) JP3840330B2 (ko)
KR (1) KR100508637B1 (ko)
DE (1) DE69902830T2 (ko)
ES (1) ES218241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7698C2 (de) * 1999-08-10 2001-09-13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eines automatischen Kraftfahrzeuggetriebes
JP4548751B2 (ja) * 1999-10-08 2010-09-22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スイッチ装置
KR100320521B1 (ko) * 1999-12-28 2002-01-12 이계안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 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 장치
JP2001246956A (ja) * 2000-03-07 2001-09-11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1248716A (ja) * 2000-03-07 2001-09-1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2002144905A (ja) * 2000-11-16 2002-05-22 Niles Parts Co Ltd 自動変速機用シフト操作装置
JP4782948B2 (ja) * 2001-06-29 2011-09-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2003127695A (ja) * 2001-10-25 2003-05-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88693B1 (ko) * 2002-06-27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매뉴얼 모드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변속기 레버 장치
JP4047643B2 (ja) * 2002-07-03 2008-02-1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US6766706B2 (en) * 2002-11-01 2004-07-27 Deere & Company Control lever assembly
US6826979B2 (en) * 2002-11-06 2004-12-07 Deere & Company Force balance condition minimizer for an operating lever
US20040118236A1 (en) * 2002-12-19 2004-06-24 Mannoh Kogyo Co., Ltd. Gate type shift lever apparatus
US6917867B2 (en) * 2003-04-10 2005-07-12 Caterpillar Inc Operator input device with tactile feedback
USPP15990P3 (en) * 2003-04-23 2005-09-20 J. C. Bakker & Sons Limited Lilac plant named ‘Golden Eclipse’
US7393304B2 (en) 2003-05-15 2008-07-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gear position indicator
US7221248B2 (en) * 2003-05-15 2007-05-2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olenoid with noise reduction
US7568404B2 (en) 2004-07-26 2009-08-04 Ghsp,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having neutral lock
US7328782B2 (en) * 2004-07-26 2008-02-1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Vehicle shifter with powered pawl having neutral lock
JP4666979B2 (ja) * 2004-08-30 2011-04-06 富士機工株式会社 ゲート式シフトレバー装置のキーインターロック構造
JP4796913B2 (ja) * 2006-07-28 2011-10-19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キーインター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US7559874B2 (en) * 2006-07-31 2009-07-14 Chrysler Llc Vehicle shift module
KR100925933B1 (ko) * 2008-07-24 2009-1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US8656802B2 (en) 2011-09-30 2014-02-25 Kongsberg Automotive Ab Shifter assembly for providing mechanical and electronic actuation to a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hifter assembly
DE102014210126A1 (de) * 2014-05-27 2015-12-03 Zf Friedrichshafen Ag Gangwahleinheit für ein Automatikgetrieb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angwahleinheit
IT201600083331A1 (it) * 2016-08-08 2018-02-08 Silatech S R L Dispositivo di comando, particolarmente per cambio di velocità di autoveicolo.
JP6671038B2 (ja) * 2016-09-26 2020-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変速機の入力装置
JP2019006133A (ja) * 2017-06-20 2019-01-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220A (en) * 1988-03-10 1991-09-03 Dr. Ing. H.C.F. Porsche Ag Shifting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JPH03153957A (ja) * 1989-11-09 1991-07-01 Aisin Aw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択装置
JP2508728Y2 (ja) * 1990-02-28 1996-08-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替え装置
EP0575658B1 (en) * 1992-06-30 1998-10-28 Aisin Aw Co., Ltd. Shift system having a manual speed selecting mechanism for a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3085081B2 (ja) 1994-04-11 2000-09-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操作レバ−装置
DE4426207C5 (de) 1994-07-23 2008-08-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ählein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DE19526059C2 (de) * 1995-07-17 1999-05-27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EP1018612B1 (en) * 1995-10-24 2003-10-01 Fuji Kiko Co., Ltd. Shift lever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DE19600526C2 (de) * 1996-01-10 1998-02-19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fz
IT1286288B1 (it) * 1996-03-29 1998-07-08 Roltra Morse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un cambio automat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2830T2 (de) 2003-07-31
JPH11227488A (ja) 1999-08-24
JP3840330B2 (ja) 2006-11-01
KR19990072282A (ko) 1999-09-27
EP0936383B1 (en) 2002-09-11
ES2182411T3 (es) 2003-03-01
DE69902830D1 (de) 2002-10-17
US6192770B1 (en) 2001-02-27
EP0936383A1 (en) 199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637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 입력장치
KR20100118516A (ko) 핸들 스위치
CN101523087A (zh) 用于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的换档装置
US20050223834A1 (en) Inline automatic/manual shifter
US6009769A (en) Shift lock units for shift lever devices
US3082638A (en) Transmission gear shift assembly
JP390837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AU2006252188B2 (en) Shift lever device
US6308814B1 (en) Parking lock mechanism for gate type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JP390837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US6569058B2 (en) Linear motion shifter
JP4036979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構造
US6321615B1 (en) Single rail top cover assembly
JP3987622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H1122748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H1122748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914341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70531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75171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72566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3643256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103917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379968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47626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