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478B1 -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478B1
KR100506478B1 KR10-2003-7002807A KR20037002807A KR100506478B1 KR 100506478 B1 KR100506478 B1 KR 100506478B1 KR 20037002807 A KR20037002807 A KR 20037002807A KR 100506478 B1 KR100506478 B1 KR 10050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hackle
pulley
ro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824A (ko
Inventor
가와카미시게노부
타키가와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66B1/3484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using load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에서는 다수의 섀클로드에 각각 로드측 풀리가 탑재되어 있다. 베이스에 고정된 프레임에는 다수의 프레임측 풀리가 탑재되어 있다. 로드측 풀리 및 프레임측 풀리에는 검출와이어의 중간부가 교호로 걸려있다. 검출와이어의 일단부는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다. 검출와이어의 타단부는 프레임에 탑재된 검출풀리에 감겨져 있다. 검출풀리의 회전각도는 센서본체에 의해 검출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LOAD DETECT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카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의 한 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베이스(1)에는 다수의 관통공(1a)이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공(1a)에는 섀클로드(2)가 관통되어 있다. 각 섀클로드(2)의 하단부에는 주로프(도시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카 및 균형추는 주로프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려 있다.
베이스(1)의 아래에는 베이스(1)의 하면에 대향하는 지지판(3)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3)에는 섀클로드(2)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3a)이 설치되어 있다. 각 섀클로드(2)의 상단부에는 스프링좌(4)가 부착되어 있다. 또, 각 섀클로드(2)의 상단부에는 섀클로드(2)에 대한 스프링좌(4)의 상방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너트(5)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와 스프링좌(4) 사이에는 섀클로드(2)의 하중을 받는 다수의 섀클스프링(코일스프링)(6)이 섀클로드(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1)의 관통공(1a)에는 섀클로드(2)를 둘러싸는 다수의 섀클파이프(7)가 관통되어 있다. 각 섀클파이프(7)의 상단부는 스프링좌(4)에 고정되어 있다.
섀클파이프(7)의 하단부에는 검출판(8)이 고정되어 있다. 검출판(8)에는 섀클로드(2)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8a)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3)상에는 차동트랜스(9) 및 회전이 자유롭게 된 풀리(10)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판(8)과 차동트랜스(9) 사이에는 와이어(11)가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11)의 중간부는 풀리(10)에 감겨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의 하중은 주로프, 섀클로드(2), 너트(5), 스프링좌(4) 및 섀클스프링(6)을 통해서 베이스(1)로 지지된다. 또, 카의 하중의 변화에 따라 섀클로드(2) 및 스프링좌(4)가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는 동시에, 섀클스프링(6)이 신축된다.
스프링좌(4)의 변위량은 섀클파이프(7)를 통해서 검출판(8)에 전달된다. 또, 스프링좌(4)마다의 변위량의 미소한 상위는 검출판(8)에 의해 평균화된다. 검출판 (8)의 변위는 와이어(11)를 통해서 차동트랜스(9)에 전달된다. 차동트랜스(9)로부터는 검출판(8)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차동트랜스(9)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연산함으로서 카의 하중을 구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중 검출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평 8-560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섀클스프링(6)의 신축량을 스프링좌 (4) 및 섀클파이프(7)를 통해서 검출판(8)에서 평균화 된 변위량을 와이어(11)를 통해서 차동트랜스(9)에 전달하고 있으므로 전달경로가 복잡하고, 전달경로의 도중에서 오차가 발생하고, 검출정밀도가 저하되는 염려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섀클로드의 변위를 간단한 전달경로로 전달하고, 하중의 검출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는 카, 카를 매다는 여러개의 주로프, 주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받는 베이스, 주로프의 단부에 접속되고, 하중에 따라 베이스에 대해 변위하는 다수의 섀클로드 및 섀클로드와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섀클로드의 변위에 의해 신축되는 다수의 섀클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고, 섀클로드의 변위로부터 카의 하중을 검출하는 것으로, 섀클로드중의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섀클로드와 일체로 변위되는 풀리 지지부재, 풀리 지지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로드측 풀리,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중간부가 로드측 풀리에 감겨있는 동시에, 일단부가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는 검출와이어, 프레임에 탑재되고, 또 검출와이어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검출와이어를 통해서 섀클로드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검출풀리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검출풀리를 표시하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너트 및 지지좌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지지좌를 표시하는 저면도,
도 14는 도 10의 섀클로드가 경사진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의 반단면도,
도 17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의 일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1)의 상부에는 베이스(12)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2)는 예를 들면 승강로(11)내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보, 또는 기계실의 바닥부이다. 베이스(12)에는 구동장치(13)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장치(13)는 구동시브(14)를 가지고 있다.
구동시브(14)에는 다수의 주로프(15)가 걸려있다. 주로프(15)의 일단부는 제1의 줄고정부(17a)를 통해서 베이스(12)에 접속되어 있다. 주로프(15)의 타단부는 제2의 줄고정부(17b)를 통해서 베이스(12)에 접속 되어 있다. 카(18) 및 균형추 (19)는 주로프(15)에 의해 승강로(11)내에 매달려 있다. 또, 제1의 줄고정부(17a)에는 하중 검출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2는 도 1의 하중 검출장치(16)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베이스(12)를 관통하는 다수의 섀클로드 (21)의 하단부에는 각각 주삭(15)이 접속되어 있다. 각 섀클로드(21)의 상단부에는 스프링좌(22)가 부착되어 있다. 또, 각 섀클로드(21)의 상단부에는 섀클로드(21)에 대한 스프링좌(22)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다수의 너트(23)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2)와 스프링좌(22) 사이에는 섀클로드(21)의 하중을 받는 다수의 섀클스프링(코일스프링)(24)이 섀클로드(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줄고정부(17a)에는 섀클로드(21), 스프링좌(22), 너트(23) 및 섀클스프링(24)을 가지고 있다.
각 섀클로드(21)의 상단부에는 섀클로드(21)와 함께 변위하는 풀리 지지부재 (25)가 다수의 너트(2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각 풀리 지지부재(25)에는 회전가능한 로드측 풀리(27)가 탑재되어 있다.
베이스(12)상에는 프레임(28)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8)에는 회전가능한 다수의 프레임측 풀리(29)가 탑재되어 있다. 로드측 풀리(27) 및 프레임측 풀리 (29)에는 검출와이어(30)의 중간부가 교호로 감겨있다. 검출와이어(30)의 일단부는 봉나사(31a) 및 다수의 너트(31b)를 갖는 체결구(31)를 통해서 프레임(28)에 체결되어 있다.
프레임(28)에는 검출와이어(30)를 통해서 섀클로드(21)의 변위량(섀클스프링 (24)의 신축량)을 검출하는 검출기(32)가 탑재되어 있다. 검출기(32)는 프레임(28)에 고정된 검출축(33), 검출와이어(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감겨 검출축(33)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검출풀리(34), 검출와이어(30)를 감는 방향(도 2의 반시계방향)으로 검출풀리(34)를 작동하고, 검출와이어(30)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으로서의 토션스프링(35) 및 검출풀리(34)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각도센서(36)를 가지고 있다.
각도센서(36)는 검출풀리(34)에 탑재된 센서기판(36a), 센서기판에 탑재된 센서본체(36b) 및 커넥터(도시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 센서본체(36b)로는 예를 들면 센서본체(36b)의 각도(경사)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경사센서가 사용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18)의 하중이 변화하면, 섀클로드(21)가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는 동시에, 섀클스프링(24)이 신축된다. 또, 섀클로드(21)가 변위하면, 풀리 지지부재(25) 및 로드측 풀리(27)도 일체로 변위되고, 검출와이어 (30)의 일단부에서 검출풀리(34)까지의 길이가 변화하고, 검출풀리(34)의 회전각도가 변화된다.
즉, 검출풀리(34)의 회전각도가 카(18)의 하중에 따라 변화된다. 또, 검출풀리(34)의 회전각도는 센서본체(36)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센서본체(36)로부터는 카(18)의 하중에 비례한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이 센서본체(36)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연산함으로서, 카(18)의 하중(부하)을 구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하중 검출장치(16)에서는 검출와이어(30)의 일단부에서 검출풀리 (34)까지의 길이의 변화량이 3개의 섀클로드(21)의 변위량의 합계의 2배가 되므로 변위량을 확대해서 검출할 수가 있고, 간단한 구조로 검출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풀리(34)의 직경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검출와이어(30)의 변화량에 대한 검출풀리(34)의 회전각도의 변화량을 조정할 수가 있고, 검출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분해능 및 검출각도의 설정을 쉽게 할 수가 있다. 즉, 센서본체 (36b)의 출력특성을 고려해서 가장 검출정밀도가 높은 범위내에서 센서본체(36b)의 각도가 변화하도록 풀리(34)의 직경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주로프(15)의 개수의 변화에 대해 쉽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 검출와이어(30)의 일단부는 봉나사(31a) 및 다수의 너트(31b)를 갖는 체결구(31)를 통해서 프레임(28)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프레임(28)에 대해 봉나사 (31a)를 변위시킴으로서, 검출와이어(30)를 이동시켜 검출풀리(34)의 각도의 초기 설정을 쉽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1)의 상부에는 구동장치(41)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41)에는 구동시브 및 편향활차(4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시브(42) 및 편향활차(43)에는 여러개의 주로프(44)가 감겨져 있다. 주로프(44)의 일단부에는 카(45)가 매달려 있다. 주로프(44)의 타단부에는 균형추 (46)가 매달려 있다. 주로프(44)의 일단부에는 제1의 줄고정부(47a)를 통해서 카 (45)에 접속되어 있다.
주로프(44)의 타단부는 제2의 줄고정부(47b)를 통해서 균형추(46)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줄고정부(47a)에는 하중 검출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하중 검출장치(16)의 구조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으나, 도 2 및 도 3과는 상하가 거꾸로 사용되고 있다. 또,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베이스(12)는 예를들면 카(45)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들보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2: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를 표시 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4에 표시한바와 같이 하중 검출장치(16)를 카(45)에 탑재함으로서 1: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가 있고,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검출풀리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검출풀리를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면에서 프레임(28)에는 검출와이어(30)를 통해서 섀클로드(21)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검출기(51)가 탑재되어 있다.
검출기(51)는 프레임(28)에 고정된 검출축(33), 검출와이어(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감기고, 검출축(3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검출풀리(52), 검출와이어 (30)를 감는방향(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검출풀리(52)를 작동하고, 검출와이어 (30)에 장력을 주는 장력부여수단(53) 및 검출풀리(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해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본체(36)를 가지고 있다.
장력부여수단(53)은 일단부가 검출풀리(52)에 고정되어 감겨져 있는 장력부여 와이어(54)와 이 장력부여 와이어(54)와 프레임(28)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인장스프링(55)을 가지고 있다.
검출풀리(52)의 외주부에는 제 1 및 제2의 홈(52a),(52b)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홈(52a)에는 검출와이어(30)가 감기고, 제2의 홈(52b)에는 장력부여 와이어 (54)가 감겨져 있다.
또, 검출풀리(52)의 외주부에는 슬릿(5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52)에는 고정금구(56)가 삽입되어 있다. 검출와이어(30)의 타단부 및 장력부여 와이어 (54)의 일단부는 슬릿(52c)과 고정금구(56) 사이에 끼워지고, 검출풀리(52)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같은 하중 검출장치에서는 장력부여 와이어(54) 및 인장스프링(55)을 갖는 장력부여수단(53)을 사용 하였으므로 검출풀리(52)의 직경이 변해도 검출와이어 (30)에 부여되는 장력은 인장스프링(55)의 스프링력과 같고, 검출와이어(30)에 대해 장력을 안정되게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검출풀리(52)의 직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또, 검출와이어(30) 및 장력부여 와이어(54)는 검출풀리(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30),(54)와 검출풀리(52)와의 사이에서의 미끄럼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와이어(30),(54)은 제 1 및 제 2의 홈(52a),(52b)에 따로따로 감겨져 있으므로 검출풀리(52)의 회전각도가 큰 경우에도 교차하는 일없이 원만하게 감을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검출풀리(52)의 주방향의 같은 장소에 와이어(30) ,(54)를 고정 하였으나 다른 장소에 별개로 고정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프레임(28)에는 검출와이어(30)를 통해서 섀클로드(21)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검출기(57)가 탑재되어 있다.
검출기(57)는 프레임(28)에 고정된 검출축(33), 검출와이어(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감기고, 검출축(33)을 중심으로해서 회전가능한 검출풀리(52), 검출와이어(30)를 감는 방향(도 8의 반시계 방향)으로 검출풀리(52)를 작동하고, 검출와이어(30)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58) 및 검출풀리(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본체(36)를 가지고 있다,
장력부여수단(58)은 일단부가 검출풀리(52)에 고정되어 감겨져 있는 장력부여 와이어(54)와, 이 장력부여 와이어(54)의 타단부에 매달려 있는 추(59)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3과 같다.
이와같은 하중 검출장치에서는 검출와이어(30)에 부여되는 장력이 추(59)의 중량으로 결정되므로 장력이 항상 일정하고 검출와이어(30)의 신장이 일정해진다.
따라서, 검출정밀도를 향상 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검출풀리(34)의 외주부에는 지침(61)이 고정되어 있다. 또, 프레임 (28)에는 지침(61)에 대향하는 눈금(62)이 매겨져 있다. 다른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같은 하중 검출장치에서는 검출풀리(34)의 각도 조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가 있고, 검출풀리(34)의 각도의 초기설정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카(18)에 정격하중의 반의 하중(하프로드)가 걸려있는 상태를 기준상태로 하고, 기준상태에서 눈금(62)이 0의 위치를 지침(16)이 가리키도록 조정하면 기준상태 보다도 하중이 적을때는 지침(16)은 0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또, 기준상태 보다도 하중이 많을때는 지침(61)은 0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실시의 형태 6.
다음의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풀리 지지부재(25)는 섀클로드(21)가 관통하는 수평부(25a)를 가지고 있다. 섀클로드(21)에는 수평부(25a)의 상면에 대향하는 지지좌(63)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좌(63)의 상부에의 이동은 넛(26)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수평부(25a)에는 지지좌(63)에 점 접촉하는 한쌍의 반구상의 돌기부(64)가 고정되어 있다. 수평부(25a)와 넛(23)와의 사이에는 섀클로드(21)가 관통하는 고무등의 탄성체(65)가 개재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의 넛(26) 및 지지좌(63)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지지좌 (63)를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면에서 지지좌(63)의 저면에는 섀클로드(21)의 횡단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의 단면 V자형의 지지홈(63a)이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부(64)는 섀클로드(21)의 횡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하나의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돌기부(64)의 선단부는 지지홈(63a)내에 삽입되고 지지홈(63a)의 내벽에 당접하고 있다. 다른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같은 하중 검출장치에서는 풀리 지지부재(25)와 섀클로드(21)와의 사이에 지지좌(63)와 돌기부(64)를 개재시켜 돌기부(64)를 지지좌(63)에 점접촉 시켰으므로 수평부(25a)에 대한 섀클로드(21)의 상대적인 경사를 허용할 수가 있다.
즉, 카(18)의 승강에 의해 섀클로드(21)가 경사진 경우에도 검출와이어(3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로드측풀리(27)가 항상 같은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 있으므로 로드측 풀리(27)는 기울지 않는다.
따라서, 섀클로드(21)의 경사에 의한 검출오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4는 도 10의 섀클로드(21)가 경사진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고, 섀클로드 (21)는 요동중심 C를 중심으로 경사져 있다.
또, 수평부(25a)와 섀클스프링(24)과의 사이에는 탄성체(65)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섀클로드(21)가 격렬하게 움직인 경우에도 돌기부(64)가 지지좌(63)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풀리 지지부재(25)를 섀클로드(21)에 대해 안정시켜 요동 시킬 수가 있다. 또, 접촉부에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7.
다음,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의 반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넛(23)과 스프링좌(22)와의 사이에는 섀클로드(21)를 둘러싼 원통상의 칼라(71)가 배치되어 있다. 섀클로드(21)의 하중은 넛(23), 칼라(71) 및 스프링좌(22)를 통해서 섀클스프링(24)에 전달된다.
풀리 지지부재(25)의 수평부(25a)는 칼라(collar)(71)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수평부(25a)와 스프링좌(22)와의 사이에는 탄성체(65)가 개재되어 있다. 수평부(25a)의 위쪽에는 칼라(71)를 둘러싼 원환상의 지지좌(가이드 부재)(72)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좌(72)의 하면에는 수평부(25a)에 대향하는 원환상의 지지홈(72a)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홈(72a)는 V자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수평부(25a)에는 한쌍의 반구상의 돌기부(64)가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부(64)는 섀클로드(21)의 횡단면 중심을 통하는 하나의 직선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돌기부(64)의 선단부는 지지홈(72a)내에 삽입되고 지지홈(72a)의내벽에 당접해 있다. 칼라(71)의 외주부에는 지지좌(72)의 위쪽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륜(예를들면 E링)(73)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하중 검출장치에서는 스프링좌(22)를 섀클로드(21)에 고정하기 위한 넛(23)이 스프링좌(22)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풀리 지지부재(25)는 섀클스프링(24) 근방에 부착할 수가 있고 섀클로드(21)의 경사에 의한 오차를 억제할 가 있고 검출정밀도를 향상 시킬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실시의 형태 7의 구조에 의하면 검출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넛(23)을 스프링좌(22)에서 떼어서 배치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인접하는 섀클로드 (21)의 간격이 좁은 경우, 인접하는 섀클로드(21)와 같은 높이에 넛(23)이 나착되어 있으면,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지 않고, 넛(23)을 조이는 것이 곤란해 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 도 15와 같이 섀클로드(21)의 길이 및 넛(23)의 조이는 위치(높이)를 변경함으로써 넛(23)의 조임을 쉽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검출풀리(34),(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검출기(32), (51),(57)를 표시 하였으나, 검출와이어(30)의 타단부의 변위량에서 섀클로드(21)의 변위량을 검출할 수 있으면, 예를들어 차동 트랜스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3개의 섀클로드(21) 모두에게 지지부재(25) 및 로드측풀리(27)를 탑재 하였으나 다수의 섀클로드중 일부에만 풀리 지지부재(25) 및 로드측 풀리를 탑재해도 된다.
예를들면, 다수의 섀클로드중의 하나에만 풀리 지지부재 및 로드측 풀리를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측 풀리는 불필요하게 되나 로드측 풀리에 검출와이어를 걸어줌으로써 섀클로드의 변위를 확대해서 검출할 수가 있다.
또, 다수의 섀클로드에 풀리 지지부재 및 로드측 풀리를 탑재하는 경우 N개 (N는 2이상의 정수)의 로드측 풀리에 대해 N-1개의 프레임측 풀리를 사용하고 검출와이어를 교호로 거는것이 가장 적합하다.

Claims (3)

  1. 카, 상기 카를 매다는 다수의 주로프, 상기 주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받는 베이스, 상기 주로프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하중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해 변위하는 다수의 섀클로드 및 상기 섀클로드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섀클로드의 변위에 의해 신축되는 다수의 섀클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고, 상기 섀클로드의 변위로부터 상기 카의 하중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로서,
    상기 섀클로드중의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섀클로드와 일체로 변위되는 풀리 지지부재,
    상기 풀리 지지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로드측 풀리,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중간부가 상기 로드측 풀리에 감겨 있고,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는 검출와이어,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검출와이어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검출와이어를 통해서 상기 섀클로드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검출와이어의 중간부가 감겨진 회전가능한 프레임측 풀리
    를 구비하고,
    N개(N은 2개 이상의 정수)의 상기 섀클로드에 상기 풀리 지지부재 및 상기 로드측 풀리가 각각 탑재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N-1개의 상기 프레임측 풀리가 탑재되고, 상기 검출와이어의 중간부는 상기 로드측 풀리와 상기 프레임측 풀리에 교호로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검출와이어의 타단부가 감겨있는 회전가능한 검출풀리,
    상기 검출풀리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본체, 및
    상기 검출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지지부재는 상기 섀클로드가 관통하는 수평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섀클로드에는 상기 수평부에 대향하는 지지좌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에는 지지좌에 점 접촉하는 한 쌍의 돌기부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수평부에 대한 상기 섀클로드의 상대적인 경사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KR10-2003-7002807A 2001-06-28 2001-06-28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KR100506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5589 WO2003002445A1 (fr) 2001-06-28 2001-06-28 Detecteur de charg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824A KR20030028824A (ko) 2003-04-10
KR100506478B1 true KR100506478B1 (ko) 2005-08-03

Family

ID=1173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807A KR100506478B1 (ko) 2001-06-28 2001-06-28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31227B1 (ko)
JP (1) JP4994565B2 (ko)
KR (1) KR100506478B1 (ko)
CN (1) CN1230370C (ko)
DE (1) DE60132118T2 (ko)
WO (1) WO2003002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763B (fi) 2006-06-05 2010-02-26 Kone Corp Menetelmä kuorman mittaamiseksi hississä ja hissi
EP2393746B1 (de) * 2009-02-09 2013-09-04 Inventio AG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r belastungsprüfung in einer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solchen prüfung
FI125121B (fi) * 2011-07-06 2015-06-15 Kone Corp Hissi ja menetelmä hissin modernisoimiseksi
CN102358541B (zh) * 2011-08-31 2014-12-1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称重装置
JP5886682B2 (ja) * 2012-05-09 2016-03-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CN103342273A (zh) * 2013-07-11 2013-10-09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多倍率滑轮组的秤重装置
CN106458518A (zh) * 2014-04-02 2017-02-22 奥的斯电梯公司 可移除式轿厢操作面板
CN105032232B (zh) * 2015-07-07 2017-03-29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动态计量配比混合装置
EP3257801B1 (en) * 2016-06-16 2020-08-05 KONE Corporation Terminal arrangement and elevator
JP2018177435A (ja) * 2017-04-10 2018-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秤装置
JP6720110B2 (ja) * 2017-04-26 2020-07-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および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113165837B (zh) * 2018-12-06 2022-07-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张力测定装置
CN112478980A (zh) * 2020-12-11 2021-03-12 曹正书 一种垂直电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412Y2 (ko) * 1976-11-25 1981-04-23
JPS58176862U (ja) * 1982-05-19 1983-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荷重検出装置
JPH028176A (ja) * 1988-06-24 1990-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荷重検出装置
JP2502158B2 (ja) * 1989-12-12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荷重検出装置
JPH07323976A (ja) * 1994-06-01 1995-12-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長さ及び張力調整装置
JPH1111826A (ja) * 1997-06-27 1999-01-19 Fujitec Co Ltd ロープ取り付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1227A4 (en) 2005-06-22
DE60132118T2 (de) 2008-12-11
EP1431227B1 (en) 2007-12-26
DE60132118D1 (de) 2008-02-07
EP1431227A1 (en) 2004-06-23
JP4994565B2 (ja) 2012-08-08
WO2003002445A1 (fr) 2003-01-09
CN1449354A (zh) 2003-10-15
CN1230370C (zh) 2005-12-07
JPWO2003002445A1 (ja) 2004-10-14
KR20030028824A (ko) 200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478B1 (ko)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KR930011619B1 (ko) 승강기용 하중검출장치
US6021873A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elevator load
JP2017061368A (ja) 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ー装置の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方法
US20050133312A1 (en) Dam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JP6170810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52283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08538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補償用索状体案内装置
JP200651311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WO2018105110A1 (ja) エレベータの秤装置
US5105109A (en)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CA2613937A1 (en) Lift system
WO2021224988A1 (ja) エレベータの懸架体外れ止め装置及び巻上機
EP0372576A1 (en)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JPWO2002038480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側荷重検出装置
JP201301440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重量検出装置
CN108689274B (zh) 电梯的称重装置
JP2502158B2 (ja) エレベ―タ用荷重検出装置
JP7019073B2 (ja) エレベータの張力測定装置
JP36944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35338B2 (ja)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WO2020115861A1 (ja) エレベータの張力測定装置
WO2021084615A1 (ja) エレベータの張力測定装置
KR20160134991A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5200038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テンション測定装置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