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388B1 -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388B1
KR100501388B1 KR10-2003-0048420A KR20030048420A KR100501388B1 KR 100501388 B1 KR100501388 B1 KR 100501388B1 KR 20030048420 A KR20030048420 A KR 20030048420A KR 100501388 B1 KR100501388 B1 KR 100501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opper
front cap
til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352A (ko
Inventor
송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3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프레임(5)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로어힌지브라켓트(11)와 일단이 프런트힌지볼트(1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브라켓트(13)와, 이 로어브라켓트(13)의 자유단과 리어힌지볼트(1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프런트캡(1)의 캡프레임(1a)과도 결합이 이루어지는 어퍼브라켓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힌지볼트(14)가 위치한 로어브라켓트(13)의 후부에는 스톱퍼브라켓트(31)의 일단이 용접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브라켓트(31)에는 리바운드 스톱퍼(33)가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가 부드러운(soft) 재질의 특성을 갖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프런트캡(1)의 틸팅작동시 충격력의 대부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틸팅작동시의 소음도 줄어들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suspension for tilting front cab of truck}
본 발명은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바운드 스톱퍼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부드러운 특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틸팅 작업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트럭(truck)은 외관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이 구비된 프런트캡(1)과,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인 리어데크(도시않됨) 및, 상기 프런트캡(1)과 리어데크사이에 설치되는 리어캡(3)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런트캡(1)과 리어캡(3)은 차량의 정비시 작업자에 의해 틸팅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캡(1)의 틸팅을 위해 작업자가 프런트캡(1)의 일측부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이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프런트캡(1)을 고정시키던 록킹장치가 해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런트캡(1)은 차체의 전방쪽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틸팅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차체의 전방쪽으로 기울어진 상기 프런트캡(1)은 프런트캡(1)과 차체프레임(5)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캡(1)의 전방쪽 하단에 위치하는 차체프레임(5)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로어힌지브라켓트(11)와, 이 로어힌지브라켓트(11)의 선단과 프런트힌지볼트(1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브라켓트(13)와, 이 로어브라켓트(13)의 종단과 리어힌지볼트(1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브라켓트(15)와, 상기 로어브라켓트(13)와 어퍼브라켓트(15)사이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에어스프링(16)과, 차체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를 통해 한 쌍의 로어브라켓트(13)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케넥팅아암(1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브라켓트(15)는 프런트캡(1)의 밑면을 지지하는 캡프레임(1a)과도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은 쇽업소버(18)와 범프 스톱퍼(19) 및 리바운드 스톱퍼(22)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쇽업소버(18)의 상단은 어퍼브라켓트(15)의 일측부에 구비된 쇽업소버브라켓트(15a)와 결합되고 반대편의 하단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와 근접된 로어브라켓트(13)에는 상기 어퍼브라켓트(15)쪽으로 돌출된 소정형상의 스톱퍼브라켓트(1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톱퍼브라켓트(13a)상에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을 구성하는 상기의 범프 스톱퍼(19)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쇽업소버브라켓트(15a)로부터 이격된 어퍼브라켓트(15)의 일측부에는 상단플랜지(15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로부터 이격된 로어브라켓트(13)의 일측부에는 하단플랜지(13b)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상단플랜지(15b)와 하단플랜지(13b)에는 이들을 관통하면서 상단부가 상기 상단플랜지(15b)상에 고정되는 스톱퍼볼트(21)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플랜지(13b)를 관통한 스톱퍼볼트(21)의 종단에는 상기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을 구성하는 리바운드 스톱퍼(22)가 너트(23)의 결합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프런트캡(1)의 일측부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이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프런트캡(1)을 고정시키고 있던 록킹장치가 해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어브라켓트(13)가 프런트힌지볼트(1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틸팅작업이 시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브라켓트(13)의 회전과 더불어 상기 어퍼브라켓트(15)는 리어힌지볼트(1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어브라켓트(13)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어퍼브라켓트(1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로어브라켓트(13)와 어퍼브라켓트(15)의 전체길이가 확장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a)을 통해 상기 어퍼브라켓트(15)와 결합을 이루는 프런트캡(1)이 점차적으로 상승되면서 틸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캡(1)의 틸팅동작은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22)가 상기 로어브라켓트(13)에 형성된 하단플랜지(13b)와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은 프런트캡(1)의 틸팅작동시 상기 프런트캡(1)의 유동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로어브라켓트(13)에 형성된 하단플랜지(13b)와 상기 스톱퍼볼트(21)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갭(G)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단플랜지(13b)와 스톱퍼볼트(21)사이에 갭(G)이 형성되면, 프런트캡(1)의 틸팅작동시 상기 하단플랜지(13b)에 접촉하는 리바운드 스톱퍼(22)의 접촉점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22)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22)가 딱딱한(Hard) 특성을 갖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구성의 증대를 위해 리바운드 스톱퍼(22)를 딱딱한(Hard) 특성을 갖도록 제작하게 되면, 프런트캡(1)의 틸팅작동시 상기 하단플랜지(13b)에 접촉할 때 소음이 크게 발생되어 차량의 이미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바운드 스톱퍼(22)가 딱딱한(Hard) 특성을 갖게 되면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22)의 내구성은 증대되지만, 상기 하단플랜지(13b)와 접촉할 때 그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반대로 상기 하단플랜지(13b)의 내구성이 점차적으로 약화된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바운드 스톱퍼가 리어힌지볼트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그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드러운 특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프런트캡의 틸팅작동시 하단플랜지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로어힌지브라켓트와 일단이 프런트힌지볼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브라켓트와, 이 로어브라켓트의 자유단과 리어힌지볼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프런트캡의 캡프레임과도 결합이 이루어지는 어퍼브라켓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힌지볼트가 위치한 로어브라켓트의 후부에는 스톱퍼브라켓트의 일단이 용접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브라켓트에는 리바운드 스톱퍼가 상기 어퍼브라켓트의 후부와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의 정면도 및 개략적인 구성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체의 전방쪽으로 기울어진 프런트캡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틸팅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리바운드 스톱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대형 트럭(truck)은 외관상 도 1을 참조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이 구비된 프런트캡(1)과,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인 리어데크(도시않됨) 및, 상기 프런트캡(1)과 리어데크사이에 설치되는 리어캡(3)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런트캡(1)과 리어캡(3)은 차량의 정비시 작업자에 의해 틸팅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따라서, 차체의 전방쪽으로 기울어진 상기 프런트캡(1)은 프런트캡(1)과 차체프레임(5)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캡(1)의 전방쪽 하단에 위치하는 차체프레임(5)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로어힌지브라켓트(11)와, 이 로어힌지브라켓트(11)의 선단과 프런트힌지볼트(12)를 통해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브라켓트(13)와, 이 로어브라켓트(13)의 자유단과 리어힌지볼트(1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브라켓트(15)와, 상기 로어브라켓트(13)와 어퍼브라켓트(15)사이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에어스프링(16)과, 차체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를 통해 한 쌍의 로어브라켓트(13)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케넥팅아암(17;도1에 도시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브라켓트(15)는 프런트캡(1)의 밑면을 지지하는 캡프레임(1a;도1에 도시됨)과도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은 쇽업소버(18)와 범프 스톱퍼(19) 및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서 설치되는 리바운드 스톱퍼(33)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쇽업소버(18)의 상단은 어퍼브라켓트(15)의 일측부에 구비된 쇽업소버브라켓트(15a)와 결합되고 반대편의 하단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힌지볼트(12)와 근접된 로어브라켓트(13)에는 상기 어퍼브라켓트(15)쪽으로 돌출된 소정형상의 스톱퍼브라켓트(1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톱퍼브라켓트(13a)상에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10)을 구성하는 상기의 범프 스톱퍼(19)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리어힌지볼트(14)가 위치한 로어브라켓트(13)의 후부에는 스톱퍼브라켓트(31)의 일단이 용접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브라켓트(31)에는 리바운드 스톱퍼(33)가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마주 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의 리바운드 스톱퍼(33)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가류접착 방식에 의해 스톱퍼브라켓트(31)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브라켓트(31)는 종단면이 니은(ㄴ)자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어브라켓트(13)의 후부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로어브라켓트(13)와 결합이 되지 않은 자유단은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는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일정한 간격(C)을 유지하면서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프런트캡(1)의 일측부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이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프런트캡(1)을 고정시키고 있던 록킹장치가 해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어브라켓트(13)가 프런트힌지볼트(1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틸팅작업이 시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브라켓트(13)의 회전과 더불어 상기 어퍼브라켓트(15)는 리어힌지볼트(1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어브라켓트(13)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어퍼브라켓트(1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로어브라켓트(13)와 어퍼브라켓트(15)의 전체길이가 확장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a)을 통해 상기 어퍼브라켓트(15)와 결합을 이루는 프런트캡(1)이 점차적으로 상승되면서 틸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런트캡(1)의 틸팅동작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가 본 발명의 리바운드 스톱퍼(33)와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어퍼브라켓트(15)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리바운드 스톱퍼(33)가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의 재질을 부드러운(soft) 특성을 갖도록 변경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프런트캡(1)의 틸팅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전체적인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가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트럭의 프런트캡(1)은 틸팅작동시 소정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리바운드 스톱퍼(33)를 본 발명의 구조와 같이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와의 접촉점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리바운드 스톱퍼(33)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는 그 재질을 부드러운(soft)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프런트캡(1)의 틸팅작동시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가 서로 접촉될 때 그 충격력을 대부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의 증대 및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채택하게 되면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 부품의 대부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절감효과 및 원가의 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퍼브라켓트의 후부에 리바운드 스톱퍼가 위치되도록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가 부드러운(soft) 재질의 특성을 갖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프런트캡의 틸팅작동시 충격력의 대부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틸팅작동시의 소음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트럭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런트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에 사용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에서 리바운드 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의 정면도 및 개략적인 구성의 개념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런트캡 5 - 차체프레임
11 - 로어힌지브라켓트 12 - 프런트힌지볼트
13 - 로어브라켓트 14 - 리어힌지볼트
1a - 캡프레임 15 - 어퍼브라켓트
31 - 스톱퍼브라켓트 33 - 리바운드 스톱퍼

Claims (2)

  1. 차체프레임(5)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로어힌지브라켓트(11)와 일단이 프런트힌지볼트(1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브라켓트(13)와, 이 로어브라켓트(13)의 자유단과 리어힌지볼트(1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프런트캡(1)의 캡프레임(1a)과도 결합이 이루어지는 어퍼브라켓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힌지볼트(14)가 위치한 로어브라켓트(13)의 후부에는 스톱퍼브라켓트(31)의 일단이 용접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브라켓트(31)에는 리바운드 스톱퍼(33)가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브라켓트(31)는 상기 로어브라켓트(13)와 결합이 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종단면이 니은(ㄴ)자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바운드 스톱퍼(33)는 상기 어퍼브라켓트(15)의 후부와 일정간격(C)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KR10-2003-0048420A 2003-07-15 2003-07-15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KR100501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20A KR100501388B1 (ko) 2003-07-15 2003-07-15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20A KR100501388B1 (ko) 2003-07-15 2003-07-15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52A KR20050008352A (ko) 2005-01-21
KR100501388B1 true KR100501388B1 (ko) 2005-07-18

Family

ID=3722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420A KR100501388B1 (ko) 2003-07-15 2003-07-15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68B1 (ko) * 2005-07-01 2006-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캡 서스펜션
CN102320337A (zh) * 2011-06-30 2012-01-1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驾驶室前悬置装置及重型汽车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581U (ja) * 1983-11-29 1985-06-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チルトキヤブの懸架装置
JPS62125681U (ko) * 1986-02-03 1987-08-10
JPH0338291A (ja) * 1989-07-06 1991-02-19 Toshiba Corp 上水高度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364880A (ja) * 1989-07-31 1991-03-2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ソケット装置
JPH0524486U (ja) * 1991-09-17 1993-03-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チルト式キヤブのヒンジキヤツプ取付構造
JPH0629986U (ja) * 1992-09-28 1994-04-1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ブのティルト安定装置
JPH08230721A (ja) * 1995-02-27 1996-09-10 Mitsubishi Motors Corp キャブチルト装置
KR100270548B1 (ko) * 1997-08-30 2000-11-01 정몽규 상용차량의 캡 틸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581U (ja) * 1983-11-29 1985-06-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チルトキヤブの懸架装置
JPS62125681U (ko) * 1986-02-03 1987-08-10
JPH0338291A (ja) * 1989-07-06 1991-02-19 Toshiba Corp 上水高度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364880A (ja) * 1989-07-31 1991-03-2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ソケット装置
JPH0524486U (ja) * 1991-09-17 1993-03-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チルト式キヤブのヒンジキヤツプ取付構造
JPH0629986U (ja) * 1992-09-28 1994-04-1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ブのティルト安定装置
JPH08230721A (ja) * 1995-02-27 1996-09-10 Mitsubishi Motors Corp キャブチルト装置
KR100270548B1 (ko) * 1997-08-30 2000-11-01 정몽규 상용차량의 캡 틸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52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4493C (en) Vehicle cab suspension system
US8998183B2 (en) Suspension apparatus
US7131670B2 (en)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KR100501388B1 (ko)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JP4025420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ロッド
JP2008143252A (ja) 懸架装置
JP2535685Y2 (ja) キヤブ装架装置
KR20070094182A (ko) 차량의 좌굴 방지를 위한 리어서스펜션
JP3304833B2 (ja) キャブ支持構造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7219421B2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KR100475913B1 (ko) 상용차의 리프스프링과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JPS6338144Y2 (ko)
JP3893811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構造
JP2593898Y2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
JPS6321510Y2 (ko)
JP2564239Y2 (ja) キャブチルト装置
CN114889709A (zh) 驾驶室翻转辅助安全结构
KR100422835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판 스프링 조립체
JP6285202B2 (ja) 車両の車軸部バンパ支持構造
KR200260362Y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348058B1 (ko) 트럭의 토션 바아 아암 지지장치
KR19980038535A (ko) 대형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KR100471753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