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129B1 -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129B1
KR100501129B1 KR10-2000-7007515A KR20007007515A KR100501129B1 KR 100501129 B1 KR100501129 B1 KR 100501129B1 KR 20007007515 A KR20007007515 A KR 20007007515A KR 100501129 B1 KR100501129 B1 KR 10050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notification
vibrating body
drive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933A (ko
Inventor
도시히데 하마구찌
히로까즈 겐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27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9950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674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3800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23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 B06B1/0269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 B06B1/0284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with consecutive, i.e. sequential generation, e.g. with frequency sw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50Application to a particular transducer type
    • B06B2201/52Electrodynamic transducer
    • B06B2201/53Electrodynamic transducer with vibrating magnet or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서 공진하는 진동체를 내장한 통지 유닛(2)과, 통지 유닛(2)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작성 회로(5)를 포함한 통지 장치에 있어서, 신호 작성 회로(5)는 통지 유닛(2)의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에서 주파수가 변동하는 구동 신호 Dv를 작성하여, 통지 유닛(2)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은,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순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 신호는 구형파 또는 정현파의 교번 파형을 포함하고, 주파수가 1.37 ∼ 2.98㎐에서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상기 통지 장치에 따르면,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충분한 통지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ALERTING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ALERT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및 페이저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 내장되어 착신을 통지하는 통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음향, 즉 가청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에 의해서 착신을 통지하는 음향 발생 장치(링거)와, 체감 가능한 진동, 예를 들면 수 100㎐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에 의해서 착신을 통지하는 진동 발생 장치가 내장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서 양자를 구별지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는 음향 발생 장치와 진동 발생 장치 양자를 내장하기 위한 스페이스의 여유는 거의 없고 이들 양 장치의 장비에 의해서 기기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출원인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기를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평 10-14194호). 상기 휴대 전화기는 안테나(1)가 돌출 설치된 편평한 케이싱(11) 표면에, 수화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12), 텐키 등의 조작 버튼(14), 및 송화 음성을 입력하는 송화부(13)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케이싱(11) 내부의 적합한 곳에 음향 및 진동 양자 모두에 의해서 착신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통지 유닛(2)이 부착되어 있다.
통지 유닛(2)은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가청대의 제1 주파수로 구동되어 음파를 발생하는 제1 진동체와,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주파수보다도 낮은 제2 주파수(수 100㎐ 이하)로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제2 진동체와,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진동체는 공통의 케이싱에 내장되며, 제1 진동체는 케이싱에 제1 진동판을 통하여 코일을 부착하여 구성되는 한편, 제2 진동체는 케이싱에 제2 진동판을 통하여 자석체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석체에는 제1 진동체의 코일을 수용하는 자기 갭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싱(21)에 주로 음파를 발생하는 제1 진동체(4)와, 주로 진동을 발생하는 제2 진동체(3)를 내장한 것으로써, 케이싱(21)은 원통형 본체(22)의 전면 개구부에, 방음구(25)를 갖는 링형의 정면 커버 부재(24)를 부착함과 함께, 본체(22)의 배면 개구부에는 링형의 배면 커버 부재(23)를 부착하여 전체가 조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진동체(4)는 케이싱 본체(22)와 정면 커버 부재(24) 간에 주변부가 협지된 원형의 제1 진동판(41)과, 제1 진동판(41)의 배면에 고정된 코일(4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진동체(4)는 수 100㎐를 넘는 가청대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2 진동체(3)는 케이싱 본체(22)와 배면 커버 부재(23) 간에 외주부가 협지된 링형의 제2 진동판(34)과, 제2 진동판(34)의 내주부에 고정된 외부 요크(32)와, 축 방향(상하 방향)에 부착되어 외부 요크(32)의 전면에 고정된 영구 자석(31)과, 영구 자석(31)의 전면에 고정된 내부 요크(33)로 구성되며, 외부 요크(32)와 내부 요크(33)의 대향면 간에 형성된 링형의 자기 갭부에 상기 제1 진동체(4)의 코일(42)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2 진동체(3)는 수 100㎐보다도 낮은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도 11은 제1 진동체(4)의 진동 특성 Cs와, 제2 진동체(3)의 진동 특성 Cv를 나타내고 있고, 각 진동체(4, 3)의 공진 주파수 Fs, Fv에서 진폭에 피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소리용 구동 신호 및 진동용 구동 신호로서 상기 공진 주파수 Fs, Fv를 통지 유닛(2)의 코일(42)로 공급함으로써 큰 통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음에 의한 통지를 행하는 경우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 Fs에 일치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2㎑ 정도)의 소리용 구동 신호 Ds를 상기 코일(42)에 공급하고, 진동에 의한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 Fv에 일치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100㎐ 정도)의 진동용 구동 신호 Dv'를 상기 코일(42)에 공급한다.
소리용 구동 신호 Ds가 통지 유닛(2)의 코일(42)로 공급되었을 때는 자기 갭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자력선과, 코일(42)을 흐르는 주위 방향의 전류와의 관계에서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서 코일(42)에는 축 방향의 구동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구동력은 공진점의 주파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1 진동체(4)가 공진하여 음파를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제2 진동체(3)는 공진점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이 음파의 발생에 의해서 청각적으로 착신을 통지한다.
한편, 진동용 구동 신호 Dv'가 통지 유닛(2)의 코일(42)로 공급되었을 때는 마찬가지로 코일(42)에는 축 방향의 구동력이 발생하지만 제1 진동체(4)의 공진점은 상기 구동력의 주파수로부터 어긋나 있기 때문에, 제1 진동체(4)는 거의 진동하지 않고, 상기 구동력의 주파수에 공진점을 갖는 제2 진동체(3)가 상기 구동력의 반력을 받아서 공진하고 진동을 발생한다. 이 진동의 발생에 의해서, 체감적으로 착신을 통지한다.
그런데, 상기 통지 유닛(2)에서는 진동판(41, 34), 요크(32, 33) 및 영구 자석(31)의 형상 치수, 재질 등 진동체(4, 3)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여, 각 진동체(4, 3)의 공진 주파수에 변동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제2 진동체(3)를 구성하고 있는 제2 진동판(34)의 두께가 120㎛±8㎛의 공차를 가지고 있고, 판 두께 t가 120㎛일 때의 공진 주파수 Fv가 100㎐인 경우, 공진 주파수 Fv는 판 두께 t의 1.5승에 비례하므로 공진 주파수의 변동은 100㎐±10㎐가 된다.
도 12는 치수 공차 등에 의해서, 실선의 진동 특성 a가 파선의 진동 특성 b, c에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어긋남이 없는 진동 특성 a에서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서, 어긋남이 생긴 진동 특성 b의 진동체를 구동하였다고 하면, 공진은 발생하지 않고 진동체의 진폭은 공진점에서의 피크치 Wp에서부터 값 W'로 대폭 저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변동을 무시하여 일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에 의해서 통지 유닛을 구동한 경우, 진동체의 진폭에도 변동이 생기고 충분한 통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착신 시에 호출자의 전화 번호를 표시하거나 전화기를 페이저로서 동작시키는 등, 각종 동작 모드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동작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서 통지 유닛의 통지 기능으로서는 착신의 통지뿐만 아니라, 전화기로 설정되어 있는 각종 동작 모드를 통지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충분한 통지 효과가 얻어지는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착신의 통지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통지 동작이 가능하고, 더구나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충분한 통지 효과가 얻어지는 통지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지 장치는, 구동 신호의 공급을 받아 공진해야 할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작성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변동하고, 그 변동 과정에서 공진 주파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통지 장치에 따르면, 진동체의 치수 공차 등에 의해서 공진 주파수에 변동이 있었다고 해도,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변동하므로, 그 변동 과정에서 참된 공진 주파수에 일치한 시점에 공진이 발생하고 큰 진폭이 얻어지게 된다. 그 후,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참된 공진 주파수로부터 어긋났을 때는 공진은 발생하지 않고, 진폭은 작아지지만 다시 공진 주파수에 일치함으로써 진폭은 증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에 따라, 진동체의 진폭은 공진 시의 진폭을 피크로서 증감을 반복한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은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은 실험적, 경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구할 수 있고, 상기 변동폭에 대응시킴으로써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을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는 사실상 들리지 않을 정도의 낮은 주파수, 구체적으로는 수100㎐ 이하의 저주파수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동체의 진동은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진폭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체감적인 통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동 신호는 펄스형 또는 정현파상의 교번 파형을 가지고 있고, 그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0.5 ∼ 10㎐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37 ∼ 2.98㎐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2.18㎐의 주기로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체감적으로 효과가 높은 주기로 공진이 발생한다.
또한,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삼각파, 정현파 또는 톱니형파로 변동한다. 특히,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톱니형파로 변동시킨 경우, 상기 톱니형파의 주기에 일치하는 일정한 주기로 공진이 발생하게 되고, 불쾌감이 없는 통지가 가능하다. 또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은 연속적인 것에 한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점증 또는 점감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착신을 통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통지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통지 장치의 공진 주파수에 변동이 있었다고 해도, 충분한 통지 효과가 얻어지므로 착신을 확실하게 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공진이 발생하여 진동체의 진폭은 공진 시의 진폭을 피크로 하여 증감을 반복하므로, 청각적 또는 체감적으로 큰 통지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착신의 통지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통지 동작을 행해야 할 통지 장치를 내장하고, 상기 통지 장치는 구동 신호의 공급을 받아서 공진해야 할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신호 공급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동 신호 공급 회로는 통지 내용에 따라 통지 내용마다 다른 통지 지령 신호를 작성하는 지령 신호 작성 수단과, 통지 지령 신호를 받아서,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주파수가 변동함과 함께, 상기 주파수의 변동 상태가 통지 지령 신호마다 다른 구동 신호를 작성하고, 진동체에 공급하는 구동 신호 작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통지 장치의 진동체의 치수 공차 등에 의해서 공진 주파수에 변동이 있었다고 해도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변동하므로, 그 변동 과정에서 참된 공진 주파수에 일치한 시점에 공진이 발생하고, 큰 진폭이 얻어지게 된다. 그 후,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참된 공진 주파수로부터 어긋났을 때는 공진은 발생하지 않고 진폭은 작아지지만, 다시 공진 주파수에 일치함으로써 진폭은 증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에 따라서 진동체의 진폭은 공진 시의 진폭을 피크로 하여 증감을 반복한다.
또한, 착신이나 그 밖의 장치 동작에 따라서 그 동작을 통지하기 위한 특정한 통지 지령 신호가 작성되며, 상기 통지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체를 다른 진동 상태에서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가 작성된다. 예를 들면, 통상의 착신 시에는, 착신 통지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주파수의 변동이 연속하는 제1 구동 신호가 작성되는 한편, 특정한 호출자로부터의 착신 시에는 호출자 통지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일정 주기로 단속하는 제2 구동 신호가 작성된다. 제1 구동 신호에 의해서 통지 장치가 구동되었을 때는 일정 주기로 공진이 발생하는데 대하여, 제2 구동 신호에 의해서 통지 장치가 구동되었을 때는 간헐 주기적으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 진동 상태의 차이에 의해서 호출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전화기로서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모드 통지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의 변동이 제1 주기를 갖는 구동 신호가 작성되며, 페이저 기능 등의 다른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모드 통지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의 변동이 제2 주기를 갖는 구동 신호가 작성된다. 이 결과, 다른 동작 모드에서는 간헐 주기적인 공진의 발생 상태에 차이가 생긴다. 이 진동 상태의 차이에 의해서 동작 모드의 식별이 가능하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은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은 실험적, 경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구할 수 있어, 상기 변동폭에 대응시킴으로써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을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는 가청대 주파수보다도 낮고, 구체적으로는 수 100Hz 이하의 저주파수이며,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동체의 진동은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진폭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체감적인 통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동 신호는 펄스형 또는 정현파상의 교번 파형을 가지고 있고, 그 주파수는 1 ∼ 수 ㎐로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체감적으로 효과가 높은 주기로 공진이 발생한다. 또한,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삼각파, 정현파, 또는 톱니형파로 변동한다. 특히,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톱니형파로 변동시킨 경우, 상기 톱니형파의 주기에 일치하는 일정한 주기로 공진이 발생하게 되며, 불쾌감이 없는 통지가 가능하다. 또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은 연속적인 것에 한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점증 또는 점감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공진이 발생하여 진동체의 진폭은 공진 시의 진폭을 피크로 하여 증감을 반복하므로, 청각적 또는 체감적으로 큰 통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진동 상태의 차이에 의해서 통지 내용의 식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통지 유닛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진동체의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4는 구동 신호의 파형도.
도 5는 다른 예에서의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진동체의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또 다른 예에서의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7은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상기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소리용 구동 신호와 진동용 구동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11은 진동체의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공진 주파수의 어긋남에 의한 진폭의 저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변조 주파수의 최적 범위를 구하기 위해서 행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변조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상기 변조 신호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7은 동작 모드 식별을 위해서 채용되는 2 종류의 변조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18은 동작 모드 식별을 위해서 채용되는 3 종류의 변조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을 도 9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에 실시한 2개의 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1)가 돌출되어 설치된 편평한 케이싱(11) 표면에, 스피커를 내장한 수화부(12), 텐키 등의 조작 버튼(14), 마이크로폰을 내장한 송화부(13)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케이싱(11) 내부의 적합한 곳에는 음향 또는 진동에 의해서 착신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유닛(2)이 부착되어 있다.
통지 유닛(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의 케이싱(21)에 주로 음파를 발생하는 제1 진동체(4)와 주로 진동을 발생하는 제2 진동체(3)를 내장한 것이다. 케이싱(21)은 원통형 본체(22)의 전면 개구부에, 방음구(25)를 갖는 링형의 정면 커버 부재(24)를 부착함과 함께, 본체(22)의 배면 개구부에는 링형의 배면 커버 부재(23)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제1 진동체(4)는 케이싱 본체(22)와 정면 커버 부재(24) 간에 주변부가 협지된 원형의 제1 진동판(41)과, 제1 진동판(41)의 배면에 고정된 코일(4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진동체(4)는 수 100㎐를 넘는 가청대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2 진동체(3)는 케이싱 본체(22)와 배면 커버 부재(23) 간에 외주부가 협지된 링형의 제2 진동판(34)과, 제2 진동판(34)의 내주부에 고정된 외부 요크(32)와, 축방향(상하 방향)에 부착되며 외부 요크(32)의 전면에 고정된 영구 자석(31)과, 영구 자석(31)의 전면에 고정된 내부 요크(33)로 구성되며, 외부 요크(32)와 내부 요크(33)의 대향면 간에 형성된 링형의 자기 갭부에 상기 제1 진동체(4)의 코일(42)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2 진동체(3)는 사실상 들리지 않을 정도의 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50㎐ ∼ 300㎐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진동판(41, 34)은 금속, 고무, 수지 등의 주지의 탄성 자재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판(34)에는 큰 변위량을 얻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칼자국(depth of cut) 등이 형성된다.
도 1은 상기 통지 유닛(2)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휴대 전화기는 조작 버튼(14)의 조작에 의해서, 음향에 의한 착신의 통지 또는 진동에 의한 착신의 통지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호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선택 조작에 따라서 호출 설정 회로(55)가 제어 회로(54)에 대하여 호출 방법의 설정을 행한다.
통지 유닛(2)에는 스위치(59)를 통하여 소리용 신호 작성 회로(57)와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가 접속되며 스위치(59)의 전환 동작은 제어 회로(54)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기지국에서 보내진 전파는 안테나(l)에 의해서 일정 주기로 항상 수신되고 있으며, 수신된 신호는 무선 회로(51)로써 주파수 변환 및 복조가 실시된 후, 신호 처리 회로(52)에 공급되며 디지털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추출된다. 신호 처리 회로(52)의 동작은 제어 회로(54)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신호 처리 회로(52)로부터 얻어지는 제어 신호는 착신 검출 회로(53)로 공급되어 자국에 대한 호출의 유무가 검출된다. 한편, 신호 처리 회로(52)로 얻어지는 음성 신호는 도시 생략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거쳐서 스피커로부터 방음되게 된다.
소리용 신호 작성 회로(57)는 음향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가청대 주파수의 소리용 구동 신호 Ds를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는 체감 가능한 진동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수 100㎐ 이하의 저주파수의 진동용 구동 신호 Dv를 발생하는 것으로,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와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로 구성되어 있다.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 및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회로(54)는 착신 검출 회로(53)에 의해서 자국에 대한 호출이 검출된 경우, 조작 버튼(14)에 의한 호출 설정에 따라서 스위치(59)를 전환한다. 소리에만 의해서 착신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스위치(59)를 소리용 신호 작성 회로(57) 측에 전환하여 소리용 구동 신호만을 통지 유닛(2)으로 공급한다. 한편, 진동에만 의해서 착신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스위치(59)를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 측으로 전환하여, 진동용 구동 신호만을 통지 유닛(2)으로 공급한다.
소리용 신호 작성 회로(57)가 작성하는 소리용 구동 신호 Ds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청대인 2㎑의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를 16㎐의 주기로 단속시켜서 형성되며, 상기 펄스의 단속에 의해서 "프르르 …"라고 들리기 쉬운 통지음을 생성함으로서 2㎑의 주파수는, 도 11에 도시하는 진동 특성 Cs에서의 공진 주파수 Fv에 일치하고 있다.
한편,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가 작성하는 진동용 구동 신호 Dv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가 진동으로서 느끼기 쉬운 100㎐ 정도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주파수가 예를 들면 100㎐±10㎐의 범위에서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것으로 중심 주파수 100㎐는 도 11에 도시하는 진동 특성 Cv에서의 공진 주파수 Fv에 일치하고 있다.
도 3a는 진동용 구동 신호 Dv의 주파수 F를 삼각파로 변동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고, 주파수 F는 중심 주파수 Fm=100Hz로서 ±ΔF=±10㎐의 변동폭을 갖고, 그 변동 주파수(1/Tm)는 0.5 ∼ 1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주파수의 변동폭 ±ΔF는 제2 진동체(3)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 경우, 가령 제2 진동체(3)의 공진 주파수에 어긋남이 없었다고 하면, 주파수 F가 중심 주파수 Fm에 일치했을 때 공진이 발생하고, 도 3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점에서의 진폭 Wp를 피크로 하여 변동하는 진폭 곡선 Wa가 얻어진다.
또한, 제2 진동체(3)의 공진 주파수에 진동판 등의 치수 공차에 의한 어긋남이 생기고, 예를 들면 도 3a의 P점에 참된 공진점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구동 신호의 주파수 F가 이 P점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공진이 발생하고, 도 3b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점에서의 진폭 Wp를 피크로서 변동하는 진폭 곡선 Wb가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용 구동 신호 Dv의 주파수를 Fm±ΔF의 범위에서 변동시킴으로써,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항상 공진점에서의 진폭 Wp를 피크로 하여 변동하는 진폭을 얻을 수 있고, 충분한 통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진폭의 변동이 체감적인 통지 효과를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일정 주파수 Fm에서 제2 진동체(3)를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2 진동체(3)의 공진 주파수에 어긋남이 생기면 공진은 발생하지 않고, 제2 진동체(3)의 진폭은 도 3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점에서의 피크치 Wp에서부터 대폭 저하한 작은 값 W'가 된다. 따라서, 충분한 통지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진동용 구동 신호 Dv의 주파수는 삼각파로 변동시키는 방식뿐만 아니라 정현파나 톱니형파로 변동시키는 방식도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형파로 변동시킨 경우에 있어서, 가령 제2 진동체(3)의 공진 주파수에 어긋남이 없다고 했을 때는 도 5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점에서의 진폭 Wp를 피크로 하여 변동하는 진폭 곡선 Wa가 얻어지며, 제2 진동체(3)의 공진 주파수에 어긋남에 있었다고 해도 도 5b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점에서의 진폭 Wp를 피크로서 변동하는 진폭 곡선 Wb가 얻어지게 된다. 특히 이 경우 제2 진동체(3)의 공진은 일정 주기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불쾌감이 없는 통지가 실현된다.
또한, 진동용 구동 신호 Dv의 주파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소한 주파수 폭으로 단계적으로 점증 또는 점감시키는 방식이 채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를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 및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는 진동용 구동 신호의 주파수에 변조를 실시하기 위한 변조 신호 Sm을 발생하는 것으로써, 변조 신호는 도 3a나 도 5a에 도시하는 진동용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 파형과 동일 파형에 작성된다. 이와 같은 변조 신호의 작성에는 종래로부터 주지의 신호 발생 회로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는 용량 소자 C 및 저항 소자 R1, R2로 이루어지는 충전부(6)의 출력단에, 제1 비교기(61) 및 제2 비교기(62)를 통하여 RS-플립플롭 회로(63)를 접속함과 함께, 상기 RS-플립플롭 회로(63)의 출력단에는 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64) 및 T-플립플롭 회로(65)를 접속한 것이다. 제1 비교기(61)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전술한 변조 신호 Sm이 입력되며 제2 비교기(6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참조 전압 신호 Vref가 입력된다.
도 8은 상기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즉, 충전부(6)가 전력의 공급을 받아 충전됨으로써, 상기 충전부(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 Vo는 서서히 증대하고, 상기 신호의 크기가 변조 신호 Sm의 레벨에 도달하면, 제1 비교기(61)로부터 RS-플립플롭 회로(63)로 세트 신호가 공급되고, RS-플립플롭 회로(63)의 출력 So가 ON이 된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64)가 ON이 되며 충전부(6)의 방전이 개시되는 것이다.
그 후, 충전부(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 Vo가 참조 전압 신호 Vref의 레벨까지 저하하면, 제2 비교기(62)가 ON이 되며, 제2 비교기(62)로부터 RS-플립플롭 회로(63)로 리세트 신호가 공급되고, RS-플립플롭 회로(63)의 출력이 OFF가 된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64)가 OFF가 되며 충전부(6)의 충전이 재개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충전부(6)가 충방전을 반복하고(도 8a), RS-플립플롭 회로(63)의 출력 So가 ON/OFF를 반복하는 과정에서(도 8b), 상기 출력 So의 상승에 동기하여 T-플립플롭 회로(65)의 출력이 ON에서부터 OFF, OFF에서부터 ON으로 전환된다.
이 결과, T-플립플롭 회로(65)로부터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신호 Vo가 변조 신호 Sm의 레벨로 도달할 때마다 온/오프하는 구동 신호 Dv가 얻어진다. 여기서, 변조 신호 Sm이 예를 들면 삼각파로 변동함으로써 구동 신호 Dv의 주기 To도 삼각파로 변동하게 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조 구동 신호 Dv가 얻어지는 것이다.
변조 구동 신호 Dv의 주기 To의 변동 주파수 즉 변조 신호 Sm의 주파수에 관해서 그 최적인 범위를 조사하도록 우선 피험자 3명(A, B, C)을 대상으로 하여 통지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페이저)를 피험자의 손바닥에 놓고 변조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서, 그 진동 감각을 말하게 하였다. 신고치는 최고의 감도로 진동을 지각했을 때를 100, 진동을 느꼈을 때를 0으로 하는 임의의 수치로 하였다. 또는 실험에서는 진동 감각 100이 되는 변조 주파수를 최초로 검색하고, 그 후 서서히 변조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진동 감각에 변화가 생겼을 때 적절하게 신고시키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서부터 피험자 3명 모두, 변조 주파수가 1.5 ∼ 2.5㎐일 때 진동 감각이 최고가 되며 이 범위에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저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밝힌 바와 같이, 진동 감각의 저하량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변화 경향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도 13은 지각 특성의 기본적인 변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 피험자 10명(a ∼ j)에 대하여 상기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페이저)를 피험자의 손바닥에 놓고 변조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서, 가장 지각 감도가 커지는 변조 주파수(최적 변조 주파수)를 말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피험자 최적 변조 주파수[㎐]
a 2.25
b 2.31
c 2.10
d 2.03
e 2.77
f 2.11
g 2.29
h 1.85
i 1.83
j 2.23
Ave±SD 2.177±0.268
이 표에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최적 변조 주파수의 개인차는 아주 작기 때문에, 이들의 평균치 Ave=2.177㎐를 보편적인 최적 변조 주파수로 할 수 있다. 또한, 표 1의 최적 변조 주파수의 표준 편차 SD는 0.268이 되므로, 상기 평균치 Ave를 중심으로 하여 표준 편차 SD의 3배의 범위(Ave±3SD), 즉 1.37 ∼ 2.98㎐의 범위 내에 변조 주파수를 설정하면, 거의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매우 높은 통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통지 유닛은 도 2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통지 유닛(2)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회로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소리용 신호 작성 회로(57)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음향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가청대 주파수의 소리용 구동 신호 Ds를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는 체감 가능한 진동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수 100㎐ 이하의 저주파수의 진동용 구동 신호 Dv를 발생하는 것으로,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와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로 구성되어 있다.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 및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와 전환 스위치(59) 간에는 ON/OFF 스위치(71)가 개재하고 있고,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 및 ON/OFF 스위치(71)의 동작이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 전환부(7)를 가지고 있고,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로부터 주기 전환부(7)로 제어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진동용 신호 처리 회로(58)로 공급하는 변조 신호 Sm의 주기가 전환된다.
도 15는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16a, 도 16b는 상기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는 제1 및 제2 비교기(73, 74), 복수의 파라미터 선택 저항 R1, R2, R3, 전환 스위치 S, 귀환 저항 Rb, Rc, 컨덴서 C 등을 구비하고, 파라메터 선택 저항 R1, R2, R3 및 전환 스위치 S에 의해서 주기 전환부(7)가 구성되어 있다. 전환 스위치 S는 상기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전환된다. 이 결과, 파라미터 선택 저항의 저항치 R에 따라서, 도 16b에 도시하는 제2 비교기(74)의 출력 전압(변조 신호 Sm)의 기울기(VB/CR)가 변화한다. 또한, 도 15 중 E점에서의 전압 E가 도 16a와 같이 (E=Vcc-VB) 내지 (E=Vcc+VB)으로 상승할 때마다 도 15b와 같이 제2 비교기(74)의 출력 전압이 저하하여, 톱니형 변조 신호 Sm이 얻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변조 신호 Sm의 주기를 복수 종류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는 제어 회로(54)로부터 얻어지는 모드 통지 지령 신호에 따라서, 주기 전환부(7)를 구성하는 상기 전환 스위치 S에 대한 전환 제어 신호와, ON/OFF 스위치(71)에 대한 ON/OFF 제어 신호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미리 특정한 1 또는 복수의 호출자의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호출자로부터의 착신 시에는 상기 착신이 착신 검출 회로(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어 회로(54)가 그와 같은 착신이 있는 취지의 통지를 지령하는 모드 통지 지령 신호를 작성하고,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가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주기 전환부(7)를 제어하고,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 T0을 갖는 톱니형파의 변조 신호를 발생시킴과 함께, ON/OFF 스위치(71)를 항상 온으로 하여, 상기 변조 신호에 따라서 주파수가 변동하는 구동 신호를 통지 유닛(2)으로 공급한다. 이 결과, 통지 유닛(2)에는 주기 T0으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등록되어 있는 호출자로부터의 착신 시에는 상기 착신이 착신 검출 회로(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어 회로(54)가 그와 같은 착신이 있는 취지의 통지를 지령하는 모드 통지 지령 신호를 작성하고,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가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주기 전환부(7)를 제어하고,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 T0을 갖는 톱니형파의 변조 신호를 발생시킴과 함께, ON/OFF 스위치(71)를 도 17b와 같이 일정 주기 T1로 온/오프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 T1로 온/오프를 반복하는 단속적인 구동 신호가 통지 유닛(2)으로 공급된다. 이 결과, 통지 유닛(2)에는 구동 신호의 온 기간에 공진이 발생하고, 오프 기간에 공진이 정지하게 되며 진동 상태가 변화한다. 이에 의해서, 등록되어 있는 호출자로부터의 착신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가 예를 들면 전화기, 페이저 및 트랜시버로서의 3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서, 전화기로서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착신에 따라서,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가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주기 전환부(7)를 제어하여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 T2를 갖는 톱니형파의 변조 신호를 발생시킴과 함께 ON/OFF 스위치(71)를 항상 온으로 하여, 상기 변조 신호에 따라서 주파수가 변동하는 구동 신호를 통지 유닛(2)으로 공급한다. 이 결과, 통지 유닛(2)에는 주기 T2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페이저로서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가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주기 전환부(7)를 제어하여,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 T3을 갖는 톱니형파의 변조 신호를 발생시킴과 함께, ON/OFF 스위치(71)를 항상 온으로 하여, 상기 변조 신호에 따라서 주파수가 변동하는 구동 신호를 통지 유닛(2)으로 공급한다. 이 결과, 통지 유닛(2)에는 도 18a의 경우와는 다른 주기 T3으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트랜시버로서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가 변조 신호 발생 회로(56)의 주기 전환부(7)를 제어하여,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 T2를 갖는 톱니형파의 변조 신호를 발생시킴과 함께, ON/OFF 스위치(71)를 일정 주기 T4로 온/오프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 T4로 온/오프를 반복하는 구동 신호가 통지 유닛(2)으로 공급된다. 이 결과, 통지 유닛(2)에는 구동 신호의 온 기간에 공진이 발생하고 오프 기간에 공진이 정지하여 주기적인 공진의 발생이 단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진동 상태의 차이에 의해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착신이 있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 작성 회로(72)에 의한 ON/OFF 스위치(71)의 온/오프의 타이밍은 도 17c 및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동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동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따르면, 공진 주파수의 변동에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공진이 발생하여, 진동체의 진폭은 공진 시의 진폭을 피크로 하여 증감을 반복하므로, 청각적 또는 체감적으로 큰 통지 효과가 얻어진다. 더구나, 진동 상태의 차이에 의해서 통지 내용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리 발생 장치와 진동 발생 장치의 기능을 더불어 갖는 통지 유닛(2)에 한하지 않고, 소리 발생 장치와 진동 발생 장치를 개별로 구비한 통지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지 유닛(2)의 진동체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력을 이용한 것에 한하지 않고, 공진을 이용한 것이면 주지의 여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압전 소자를 이용한 것도 채용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를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 구동 신호 Dv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진동용 신호 작성 회로(5) 및 ON/OFF 스위치(71)를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하고, 상술한 구동 신호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 상태의 차이에 의한 통지 내용으로서는 착신 시의 동작 모드의 통지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배터리 전압 저하의 경고 등, 여러가지의 기능 동작의 통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a 및 도 17c에 도시하는 구동 신호의 온/오프 및 온/오프 주기의 전환과,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구동 신호의 변동 주기의 전환을 조합함으로써 다수의 동작 내용의 통지가 가능하다.

Claims (17)

  1.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서 공진하는 진동체와, 통지 동작시에 상기 진동체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작성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신호는 구형파 또는 정현파형의 교번 파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변동하고, 그 변동 과정에서 공진 주파수를 통과하고, 그 변동의 주기 Tm은 0.5 ∼ 10㎐의 주파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의 주기 Tm은 1.37 ∼ 2.98㎐의 주파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의 주기 Tm은 2.18㎐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은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는 수 100㎐ 이하의 저주파수이며,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동체의 진동은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진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범위를 진폭으로 하는 삼각파, 정현파 또는 톱니형파로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점증 또는 점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체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주벽에 고정단을 포함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자유단에 부착된 자석체와, 상기 자석체에 대향 배치된 코일을 포함하고, 코일에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장치.
  10. 착신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장치는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서 공진하는 진동체와, 통지 동작시에 상기 진동체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작성 회로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구형파 또는 정현파형의 교번 파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변동하고, 그 변동 과정에서 공진 주파수를 통과하고, 그 변동의 주기 Tm은 0.5 ∼ 10㎐의 주파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착신의 통지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통지 동작을 행하는 통지 장치를 내장하고, 상기 통지 장치는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서 공진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신호 공급 회로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 공급 회로는,
    통지 내용에 따라서 통지 내용마다 다른 통지 지령 신호를 작성하는 지령 신호 작성 수단; 및
    통지 지령 신호를 받아서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주파수가 변동함과 함께, 상기 주파수의 변동 상태가 통지 지령 신호마다 다른 구동 신호를 작성하고, 진동체에 공급하는 구동 신호 작성 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 작성 수단은, 상기 주파수의 변동이 통지 지령 신호에 따라서 연속하거나 또는 통지 지령 신호에 따른 특정한 주기로 단속하는 구동 신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 작성 수단은, 상기 주파수의 변동이 통지 지령 신호에 따른 특정한 주기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폭은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반 원인의 공차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의 변동폭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체의 공진 주파수는 수 100㎐ 이하의 저주파수이며,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동체의 진동은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진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령 신호 작성 수단은 착신을 통지하기 위한 착신 통지 지령 신호, 호출자를 구별하기 위한 호출자 통지 지령 신호 및/또는 장치의 동작 모드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통지 지령 신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지 장치의 진동체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주벽에 고정단을 포함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자유단에 부착된 자석체와, 상기 자석체에 대향 배치된 코일을 포함하고, 코일에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0-7007515A 1998-01-08 1998-12-28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 KR100501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0198 1998-01-08
JP1998-002501 1998-01-08
JP10527698A JP2995032B2 (ja) 1998-04-16 1998-04-16 無線通信装置
JP1998-105276 1998-04-16
JP26674898A JP3363800B2 (ja) 1998-01-08 1998-09-21 報知装置及びこれを具えた無線通信装置
JP1998-266748 1998-09-21
PCT/JP1998/006014 WO1999034934A1 (fr) 1998-01-08 1998-12-28 Dispositif d'avertissement et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comportant celui-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933A KR20010033933A (ko) 2001-04-25
KR100501129B1 true KR100501129B1 (ko) 2005-07-18

Family

ID=2727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515A KR100501129B1 (ko) 1998-01-08 1998-12-28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36251B1 (ko)
EP (1) EP1053796B1 (ko)
KR (1) KR100501129B1 (ko)
CN (1) CN1163312C (ko)
CA (1) CA2318568C (ko)
DE (1) DE69837053T2 (ko)
HK (1) HK1033443A1 (ko)
ID (1) ID25920A (ko)
WO (1) WO1999034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150B1 (en) * 2000-11-21 2005-02-01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device
JP4630957B2 (ja)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JP2002119912A (ja) * 2000-10-12 2002-04-23 Nec Saitama Ltd 複合音響アクチュエータ駆動回路及び携帯情報端末
KR100419161B1 (ko) * 2001-08-22 2004-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다기능 액츄에이터
JP4469261B2 (ja) * 2004-11-22 2010-05-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伝送装置
CN101112073B (zh) * 2005-02-03 2012-06-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改进的声音再生的音频装置
EP1716935A1 (en) * 2005-04-26 2006-11-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brator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8390437B2 (en) * 2008-04-25 2013-03-05 Google Inc. Ultrasonic vibrator
CN103297904B (zh) * 2013-05-18 2015-09-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双振膜扬声器模组
CN104735949B (zh) * 2013-12-19 2019-0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喇叭振膜线圈的驱动装置、散热装置、方法及移动终端
JP7011164B2 (ja) * 2018-03-15 2022-02-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走査装置
CN209201321U (zh) * 2018-12-05 2019-08-0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3064A (en) * 1968-10-11 1971-11-23 Bell & Howell Co Paging receiver having cycling eccentric mass
US3628150A (en) * 1970-08-03 1971-12-14 Zenith Radio Corp Selective paging system
US4674069A (en) * 1982-12-16 1987-06-1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relating to moving bodies
DE3340808A1 (de) * 1983-11-11 1985-05-23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Warntongeber fuer mobile verkehrsrundfunkempfaenger
JP2570923Y2 (ja) * 1991-05-17 1998-05-13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変換器
GB2287377B (en) 1991-06-12 1995-12-13 Mitel Corp Digitally controlled ringer signal generation
JPH05176498A (ja) * 1991-12-20 1993-07-13 Secoh Giken Inc 振動発生装置
JPH066428A (ja) * 1992-06-18 1994-01-14 Nec Corp 着呼識別機能付電話機
JPH06118964A (ja) 1992-10-01 1994-04-28 Toyota Motor Corp ブザー吹鳴装置
CA2096882A1 (en) 1993-05-25 1994-11-26 William T.E. Hooper Ringmaster
US5649020A (en) * 1994-08-29 1997-07-15 Motorola, Inc. Electronic driver for an electromagnetic resonant transducer
US5524061A (en) 1994-08-29 1996-06-04 Motorola, Inc. Dual mode transducer for a portable receiver
JPH08125720A (ja) 1994-10-28 1996-05-17 Sony Corp 受信機
JPH08238901A (ja) 1995-03-07 1996-09-17 Seiko Instr Inc 振動による信号報知装置
EP0813787B1 (en) 1995-03-08 2001-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telephone set having calling party dependent ringing
US5754096A (en) * 1995-05-26 1998-05-19 Seiko Instruments Inc. Electronic apparatus with vibration informing function
JP3366507B2 (ja) * 1995-09-05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JPH0998205A (ja) 1995-10-03 1997-04-0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JP3493592B2 (ja) 1996-02-20 2004-02-0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937939B2 (ja) * 1996-04-25 1999-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振器、加振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H09307631A (ja) 1996-05-09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呼出方法
JPH1056498A (ja) 1996-08-07 1998-02-24 Sutatsufu Kk 携帯電話器用着信報知装置
US5828295A (en) * 1996-09-04 1998-10-27 Motorola, Inc. Mode tracking transducer driver for a non-linear transducer
TW353849B (en) * 1996-11-29 1999-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to-mechanical-to-acoustic converter and portable terminal unit
US5936516A (en) * 1997-01-31 1999-08-10 Motorola, Inc. Vib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969780B2 (ja) 1997-03-19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33443A1 (en) 2001-08-31
DE69837053T2 (de) 2007-11-08
KR20010033933A (ko) 2001-04-25
EP1053796B1 (en) 2007-02-07
CN1285771A (zh) 2001-02-28
EP1053796A1 (en) 2000-11-22
CA2318568A1 (en) 1999-07-15
DE69837053D1 (de) 2007-03-22
WO1999034934A1 (fr) 1999-07-15
US7936251B1 (en) 2011-05-03
CA2318568C (en) 2007-09-18
CN1163312C (zh) 2004-08-25
ID25920A (id) 2000-11-09
EP1053796A4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540B1 (ko) 알림용진동발생장치및이를이용한휴대용통신장치
US5649020A (en) Electronic driver for an electromagnetic resonant transducer
KR100417017B1 (ko) 전기 신호를 휴대 전자 장치의 소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다기능 컨버터
KR100501129B1 (ko) 통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
KR100594674B1 (ko) 전기-기계/음향 변환기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기계/음향 변환 장치
EP0970759B1 (en) Vibration generator for notification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vibration generator
US6255937B1 (en) Notifying device using alternating drive signals
JP3363800B2 (ja) 報知装置及びこれを具えた無線通信装置
KR100870281B1 (ko) 착신 통보 장치와 착신 통보 방법 및 휴대 단말기
JP3668042B2 (ja) 報知装置
JP3263632B2 (ja) 通信機器及びその調整装置
JP2995032B2 (ja) 無線通信装置
JPH1119590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JP2931559B2 (ja) 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MXPA00006737A (en) Alerting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alerting device
JP2931554B2 (ja) 携帯用通信装置
JP3332853B2 (ja) 無線通信装置
JPH10272417A (ja) 報知用振動発生装置
JPH1110082A (ja) 報知機能を具えた機器
JPH1170365A (ja) 電気−機械−音響変換装置
JPH08251259A (ja) 無線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