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540B1 - 알림용진동발생장치및이를이용한휴대용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알림용진동발생장치및이를이용한휴대용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540B1
KR100348540B1 KR1019980710447A KR19980710447A KR100348540B1 KR 100348540 B1 KR100348540 B1 KR 100348540B1 KR 1019980710447 A KR1019980710447 A KR 1019980710447A KR 19980710447 A KR19980710447 A KR 19980710447A KR 100348540 B1 KR100348540 B1 KR 100348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requency
signal
notifica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049A (ko
Inventor
도시히데 하마구찌
고오이찌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139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77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815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155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05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using digitally weighted transdu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Description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 장치{VIBRATION GENERATOR FOR REPORTING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휴대용 통신 기기 등의 소형 기기에는 예를 들어 착신 알림, 소정 시각 알림 등의 알림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알림 수단에는 벨 등의 음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그러나, 최근 주위 사람들에 대한 배려에서 음에 의한 알림 수단 뿐만 아니라 기기를 진동하는 것에 의한 알림 수단도 내장하여 상황에 따라 양쪽 알림 수단을 사용하고, 또는 어느 하나의 알림 수단을 선택 사용하도록 한 소형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부터 자주 사용되고 있는 음 발생 장치에는 도9의 (a) 및 (b)와 같은 링거(100)가 있다. 이것은 영구 자석(101) 및 요크(102)에 의해 구성되고 케이스(104) 내에 고정된 자기 회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요크(102)에 코일(103)을 고정하고, 요크(102)에 대향하는 위치에 진동판(105)을 배치한다. 상기 진동판(105)의 주위 모서리를 케이스(104)에 고정하고, 개구부를 구비한 상부덮개(106)를 케이스(104)에 고정한다.
코일(103)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요크(102)는 전자석화되어 선단에 자극이 발생한다. 이 요크(102)에 발생한 자극과 진동판(105)이 지니는 자극에 의해, 진동판(105)은 다른 극이면 요크(102)에 흡인되고 같은 극이면 요크(102)로부터 반발한다. 따라서, 코일(103)에 단속적으로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진동판(105)은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공기를 진동시켜 음파를 생성하고, 상기 음파가 상부 덮개(106)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진동판(105)의 진동수를 가청 범위 진동수(약 20Hz 내지 약 20kHz)로 설정함으로써 음에 의한 알림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로서는 도10과 같은 회전축(201)에 편심추(202)를 구비한 원통형 직류 모터(200)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모터(200)에 통전하면 편심추(202)가 회전축(20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 진동을 기기에 전달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알림을 실현할 수 있다.
종래의 음에 의한 알림 수단 및 진동에 의한 알림 수단의 양 쪽을 내장하는 기기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음을 발생하는 음 발생 장치 및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 장치 두 종류를 각각 배치할 필요가 있었다. 도11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300은 휴대 전화기 본체, 301은 안테나, 302는 수화 스피커, 303은 송화 마이크, 304는 디스플레이, 305는 각종 조작 버튼이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 본체(300)에는 착신을 음으로 알리기 위한 상술한 링거(100) 및 착신을 진동으로 알리기 위한 진동용 원통형 직류 모터(20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음에 의한 알림 수단과 진동에 의한 알림 수단의 별개의 두 종류의 알림 수단이 필요해져서 기기의 소형화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알림 장치만을 사용할 때보다도 기기내에 넓은 공간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음 발생 기능과 진동 발생 기능을 함께 지니는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페이저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 또는 손목 시계, 완구 등의 소형 기기에 이용되는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 및 이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의 코일에 흘려 보내는 전류의 주파수에 대한 진동 부재의 진폭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이용한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블록도.
도6은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에 부여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이용한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도7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블록도.
도9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링거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용 원통형 직류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의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는 영구 자석을 구비하고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에 지지된 제1 진동 부재와, 상기 영구 자석의 자속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코일을 구비하고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에 지지된 제2 진동 부재와, 상기 코일에 접속되어 설정된 소정 주파수의 전류를 코일에 통전하는 통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진동 부재 및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1 진동계와 상기 제2 진동 부재 및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2 진동계 중 한 쪽은 주파수가 가청 범위인 음파를 생성하여 외부에 전달하는 음원으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 진동계는 고정 부재에 진동을 전달하여 기기를 진동시키는 진동원으로서 사용된다.
통전부가 코일에 통전하면 영구 자석을 구비한 제1 진동 부재와 코일을 구비한 제2 진동 부재 사이에는 전류와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전류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류를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제1 진동계 및 제2 진동계에는 각각 상기 전자기력을 주기적인 강제력으로 하는 강제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강제 진동에 의해 음원으로서 사용되는 진동계는 주파수가 가청 범위인 음파를 생성하여 외부에 전달하고, 진동원으로서 사용되는 진동계는 고정 부재에 진동을 전달하여 기기를 진동시킨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 고유 진동수를 지니는 제1 진동 부재와 제2 고유 진동수를 지니는 제2 진동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코일과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기 회로를 구비한 진동 발생 장치와, 제1 및 제2 고유 진동수에 일치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1 및 제2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 공급하는 스위치 수단과, 자국(自局)에 대한 착신을 검출하는 착신 검출 수단과, 상기 착신 검출 수단의 착신 검출에 의해 사용자의 설정에 의거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착신 검출 수단에 의해 자국에 대한 착신이 검출되면,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내용에 따라 진동 또는 음 발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착신이 통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의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도시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두개의 진동계와 진동계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5)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5)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진동계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50)와 제2 진동계를 지지하고 또한 하부 케이스(50)와 결합하는 상부 케이스(51)에 의해 구성되고, 하부 케이스(50) 및 상부 케이스(51)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두개의 진동계가 수납된다. 상부 케이스(51)의 중앙부에는 외부에 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진동계는 금속 박판, 고무, 수지 등의 탄성재를 사용하여 면과 수직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스프링 부재(1)와 영구 자석(30)을 구비한 제1진동 부재(3)에 의해 구성되고, 제1 스프링 부재(1)의 내주측에 제1 진동 부재(3)가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고, 제1 스프링 부재(1)의 외주측이 하부 케이스(50)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제1 진동계는 하부 케이스(50)에 대하여 상하로 진동 가능해진다.
영구 자석(30)을 구비한 제1 진동 부재(3)에는 외부로의 자계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전류와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효율좋게 발생시키기 위해 영구 자석(30)의 상하에 각각 상부 요크(31) 및 하부 요크(32)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영구 자석(30)은 상면이 N극, 하면이 S극이 되도록 환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요크(31)는 내주에 수직벽을 구비한 링 부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하부 요크(32)는 중앙에 융기부를 지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요크(31)의 수직벽과 하부 요크(32)의 중앙 융기부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2 진동 부재(4)가 상하 이동 가능해지는 자기 갭(33)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진동계는 제1 스프링 부재(1)와 동일한 탄성재를 사용하여 면과 수직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스프링 부재(2)와 코일(40)을 구비한 제2 진동 부재(4)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스프링 부재(2)의 내주측에 제2 진동 부재(4)가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고, 제2 스프링 부재(2)의 외주측이 상부 케이스(51)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제2 진동 부재(4)는 상부 케이스(51)에 대하여 상하로 진동 가능해진다.
제2 진동 부재(4)는 코일(40), 상기 코일(40)을 지지하는 보빈(41) 및 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진동판(43)에 의해 구성된다. 보빈(41)은 원통 형상이며 제2 스프링 부재(2)에 부착되고, 보빈(41)의 외주에 코일(40)이 권취되어 있다. 보빈(41)의 상면에는 진동판(43)이 배치된다. 코일(40) 및 보빈(41)은 제1 진동 부재(3)의 자기 갭(33)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각 진동계가 배치된 하부 케이스(50) 및 상부 케이스(51)를 결합하고, 코일(40)의 단자(42, 42)를 설정된 소정 주파수의 전류를 코일(40)에 흘려 보내는 통전부(6)(도1에는 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 제1 진동 부재(3)에 있어서 도2의 (a) 및 (b)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의 자기 회로가 영구 자석(30), 상부 요크(31), 하부 요크(32) 및 자기 갭(33)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자기 갭(33) 내부의 자계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게 된다. 또, 코일(4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장치의 상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이라고 하면, 자계와 상기 자계에 교차하는 전류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2의 (a)와 같이 제1 진동 부재(3) 및 제2 진동 부재(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한다. 역으로, 코일(40)에 흘려 보내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도2의 (b)와 같이 제1 진동 부재(3) 및 제2 진동 부재(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진동 부재(3) 및 제2 진동 부재(4)에 각각 외력으로서 주기적인 전자기력을 작용시키게 되어 한 세트의 영구 자석(30) 및 코일(40)에 의해 제1 진동계 및 제2 진동계에 각각 강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강제 진동에 의해 제1 진동계는 제1 진동 부재(3)를 케이스(50, 51)에 충돌시키거나 또는 제1 스프링 부재(1)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50, 51)에 진동을 전달하여 기기를 진동시켜 진동에 의한 알림을 실현할 수있다. 또, 이 강제 진동에 의해 제2 진동계는 제2 진동 부재(4)의 진동판(43)이 공기를 진동시켜 음파를 생성하고, 상기 음파가 상부 케이스(51)의 개구부(52)를 통해 외부에 전달된다. 음파의 진동수가 가청 범위(약 20Hz 내지 약 20kHz)이면 음에 의한 알림을 실현할 수 있다.
어떤 진동계가 음 발생원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려면 인간의 청감상 가장 감도가 높은 2 내지 3 kHz의 주파수로 가능한 한 크게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종래부터 기기의 진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진동 발생 장치의 주파수는 대략 100 Hz 전후이다. 따라서, 어떤 진동계가 진동원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려면 100 Hz 전후의 주파수로 가능한 한 크게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두개의 진동계는 모두 1자유도 진동계이며, 그 고유 진동수(f0)는 점성 계수는 미소하기 때문에 무시하고, 또 스프링 부재의 질량을 진동 부재의 질량보다도 훨씬 작다고 해서 무시하면,
f0= (1/2π)(k/m)1/2
로 표시된다. 여기서, π는 원주율, k는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상수, 또 m은 진동 부재의 질량이다. 따라서, 각 진동계에 있어서의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상수와 진동 부재의 질량을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고유 진동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제1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f01)를 3 kHz로 하고, 제2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f02)를 100 Hz로 하고, 제1 진동 부재(3) 및 제2 진동 부재(4)의 질량이 대략 동일하다고 하고,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의 주파수와 제1 진동 부재(3) 및 제2 진동 부재(4)의 각각의 진폭의 관계를 설명한다.
1자유도 진동계에 있어서, 전류와 자계에 의한 주기적인 외력을 진동 부재에 가할 때 진동 부재의 진폭(G)은 코일의 인덕턴스를 무시하면,
|G| = (KBL) / {r2(k-mω2)2+ K4B4L4ω2}1/2
로 표시된다. 여기서, K는 비례 상수, B는 자기 갭(33) 내부의 자속 밀도, L은 코일(40)의 유효 길이, r은 코일(40)의 직류 저항, 또 ω는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의 각주파수(=2πf)이다. 이 때의 진동 부재의 진폭과 전류 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가 도3이다.
도3을 참조하면, 진동 부재의 진폭은 전류 주파수가 약 100Hz 이하인 영역에서는 제1 진동 부재(3) 쪽이 제2 진동 부재(4)보다도 훨씬 크며, 그 차이가 약 59dB이다. 전류 주파수가 약 100Hz일 때에 제1 진동 부재(3)의 진폭이 최대가 된다. 주파수가 약 100Hz를 초과하면 제1 진동 부재(3)의 진폭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한다. 한편, 제2 진동 부재(4)의 진폭은 주파수가 약 3 kHz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가하고, 약 3kHz일 때에 최대가 되어 제1 진동 부재(3)보다도 커진다. 그리고, 주파수가 약 3kHz를 초과하면 제1 진동 부재(3)와 마찬가지로 제2 진동 부재(4)의 진폭도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통전부(6)가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1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 f01=100 Hz 또는 제2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 f02=3 kHz로 절환하는 절환 회로를 통전부(6)에 접속하고, 상기 절환 회로에 의해 통전부(6)가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의 주파수를 약 100 Hz로 하면, 제1 진동 부재(3)가 제2 진동 부재(4)보다도 크게 진동하여 오직 기기의 진동만에 의한 알림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절환 회로에 의해 통전부(6)가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의 주파수를 약 3kHz로 하면, 제2 진동 부재(4)가 제1 진동 부재(3)보다도 크게 진동하여 음만의 발생에 의한 알림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부재(3)가 케이스(50, 51)에 충돌함으로써 진동을 전달하는 경우, 제1 진동 부재(3) 및 케이스(50, 51)가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의 (a) 및 (b)와 같이 제1 진동 부재(3)에 있어서의 충돌하는 부분에 고무 등의 완충재(7)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재(7)는 케이스(50, 51)에 있어서의 충돌하는 부분에 배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을 한정하거나 또는 범위를 감축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기술적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부재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제1 진동 부재(3)의 상방에 제2 진동 부재(4)를 배치했지만, 영구 자석(30)에 의한 자계와 코일(4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제1 진동 부재(3) 및 제2 진동 부재(4)가 진동 가능한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만 하면 각 부재의 형상 및 위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진동계에 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진동판을 배치하여 음원으로 하고, 제2 진동계를 케이스(50, 51)를 거쳐 기기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원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50, 51)에 형성되는 개구부(52)의 위치는 음원 부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기의 진동 또는 음이 사용자에 의해 감지만 되면 각 진동계의 질량 또는 스프링 상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통전부(6)가 생성하는 전류는 도2의 (a) 및 (b)와 같이 주기적으로 전류의 방향이 변화하는 교류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물체를 강제적으로 진동시키려면 상기 물체에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외력을 가하면 되고, 따라서 코일(40)에 통전하는 전류는 주파수가 일정하기만 하면 교류파형과 같이 1주기 사이의 평균 전류값이 제로일 필요는 없으며, 또 전류의 파형도 정현파, 삼각파 등 임의의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진동계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50, 51) 내에 수납되었지만 기기에 직접 배치할 수도 있다. 즉, 고정 부재(5)는 긱기 자체 또는 기기에 고정되는 부재이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응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상술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한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8은 휴대 전화기 본체, 81은 안테나, 82는 수화 스피커, 83은 송화 마이크, 84는 디스플레이, 85는 각종 조작 버튼이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 본체(8)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9)가 내장되어 있다.
도5는 이 제1 실시 형태의 블록도로서, 송화 마이크(8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 회로(10)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 회로(11)로 신호 처리되고, 무선 회로(12)로 주파수 변환 및 변조된 후 소정의 송신 출력으로 안테나(81)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안테나(8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무선 회로(12)로 주파수 변환 및 복조가 행해지고, 신호 처리 회로(11)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취출하고,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수화 스피커(82)로부터 출력된다. 도면 부호 13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이다.
도면 부호 14는 착신 검출 회로로서 자국에 대한 호출을 검출한다. 즉, 휴대 전화기는 항상 공중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파를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동시에 신호 처리 회로(11)로 신호 처리되는 제어 신호로부터 자국으로의 호출의 유무를 착신 검출 회로(14)에 의해 검출한다. 도면 부호 16은 착신시의 알림을 음으로 행하거나 또는 진동으로 행하는 것을 설정하는 호출 설정 수단으로, 조작 버튼(15) 하나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조작 버튼(15) 중 어느 버튼 조작의 조합으로서 구성된다. 호출 설정 수단(16)의 조작은 제어 회로(13)에 전해지고, 제어 회로(13)는 착신 검출 회로(14)의 착심 검출시에 스위치 수단(17)을 절환한다. 도면 부호 18 및 19는 각각 제1, 제2 신호 발생 수단이며,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9)에 부여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도6은 이들 제1 신호, 제2 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신호는 동도면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0 Hz의 구형파이고,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9)의 제1 진동 부재(도1의 도면 부호 3)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제1 신호를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9)에 부여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9)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2 신호는 동도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kHz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기간과 신호 발생을 정지하는 휴지 기간으로 구성된다. 이 제2 신호를 진동 발생 장치(9)에 부여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9)의 제2 진동 부재(도1의 도면 부호 4)를 진동시켜 음을 발생시킨다. 이 때, 신호 발생 기간과 휴지 기간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링거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출 설정 수단(16)의 설정에 의해, 착신시에는 제어 회로(13)의 제어에 의해 제1 또는 제2 신호 발생 수단(18, 19) 중 어느 하나가 진동 발생 장치(9)에 인가되어 착신이 있었다는 것을 진동 또는 음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진동 발생 장치(9)를 내장하는 소형 진동 호출기(20)를 휴대 전화기 본체(8)와는 별개체로 형성한 것이다. 도8은 이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5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착신 검출 회로(14)에 의해 자국으로의 착신이 검출되면, 제어 회로(13)의 제어에 의해 송신 회로(21)에 의해 내장 안테나(22)를 거쳐 소형 진동 호출기(20)에 대하여 착신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호출 설정 수단(16)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신호가 송신된다. 소형 진동 호출기(20)는 휴대 전화기 본체(8)로부터 송신되는 이 착신 신호를 내장 안테나(24)를 거쳐 수신 회로(23)로 수신하면, 스위치 수단(17)을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의거해서 제1 또는 제2 신호 발생 수단(18, 19) 중 어느 한 신호를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9)에 인가한다. 이 결과, 착신이 있었던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소형 진동 호출기(20)로 진동 또는 음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것을 알린다. 이와 같이,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호출기를 휴대 전화 본체와는 별개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몸에 지니는 것이 용이해지며 보다 확실한 착신 알림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는 하나의 전자기 구동 부품에 의해 두개의 진동계에 강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진동에 의해 한 쪽 진동계가 음원으로서 음 발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쪽 진동계가 진동원으로서 기기의 진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알림용 장치를 소형화 및 저가격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절환 회로에 의해 한 쪽 진동계에 공명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오직 음 또는 기기의 진동 중 어느 한 쪽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환 회로에 의해 음 발생 기능 또는 기기의 진동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통신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확실한 착신 알림을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영구 자석을 구비하고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에 지지된 제1 진동 부재와, 상기 영구 자석의 자속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코일을 구비하고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에 지지된 제2 진동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진동 부재 및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1 진동계는 신체에 감지될 수 있는 저주파수의 고유 진동수(f01)를 지니고 고정 부재에 진동을 전달하여 기기를 진동시키는 진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2 진동 부재 및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2 진동계는 가청 범위의 진동수인 고유 진동수(f02)를 지니고 주파수가 가청 범위인 음파를 생성하여 외부에 전달하는 음원으로서 사용되고, 코일에 통전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1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f01)에 대략 일치하는 주파수 또는 제2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f02)에 대략 일치하는 주파수로 절환함으로써 제1 진동계와 제2 진동계의 어느 한 쪽을 구동시키는 절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진동 부재는 충돌에 의해 고정 부재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
  3. 제3항에 있어서, 제1 진동 부재 또는 고정 부재에 있어서 진동할 때에 충돌하는 부분에 완충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
  4. 신체에 감지될 수 있는 저주파수인 제1 고유 진동수(f01)를 지니는 제1 진동 부재와 가청 범위의 진동수인 제2 고유 진동수(f02)를 지니는 제2 진동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코일과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기 회로를 구비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와, 제1 및 제2 고유 진동수에 일치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1 및 제2 신호 발생 수단(18, 19)과, 상기 제1 및 제2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의 코일에 접속함으로써 제1 진동체와 제2 진동체의 어느 한 쪽을 구동시키는 스위치 수단과, 자국에 대한 착신을 검출하는 착신 검출 수단과, 상기 착신 검출 수단의 착신 검출에 의해 사용자의 설정에 의거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5. 자국에 대한 착신을 검출하는 착신 검출 수단과 상기 착신 검출 수단의 착신 검출에 의해 사용자의 설정에 의거해서 제1 또는 제2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본체와, 상기 송신 회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호출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출기는 신체에 감지될 수 있는 저주파수인 제1 고유 진동수(f01)를 지니는 제1 진동 부재와 가청 범위의 진동수인 제2 고유 진동수(f02)를 지니는 제2 진동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코일과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기 회로를 구비한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와, 제1 및 제2 고유 진동수에 일치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1 및 제2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알림용 진동 발생 장치의 코일에 접속함으로써 제1 진동 부재와 제2 진동 부재의 어느 한 쪽을 구동시키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휴대 전화기 본체로부터 송신되는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의거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절환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진동 부재는 구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제2 진동 부재는 구동시에 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2 진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신호 발생 기간과 휴지 기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1 진동 부재는 구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제2 진동 부재는 구동시에 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9.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 진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신호 발생 기간과 휴지 기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9980710447A 1996-06-21 1997-06-20 알림용진동발생장치및이를이용한휴대용통신장치 KR100348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39996A JP2877758B2 (ja) 1996-06-21 1996-06-21 報知用振動発生装置
JP96-161399 1996-06-21
JP96-248156 1996-09-19
JP24815696A JP2931554B2 (ja) 1996-09-19 1996-09-19 携帯用通信装置
PCT/JP1997/002147 WO1997048502A1 (fr) 1996-06-21 1997-06-20 Generateur de vibrations pour signalisation et equipement de communication portable l'utilis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049A KR20000022049A (ko) 2000-04-25
KR100348540B1 true KR100348540B1 (ko) 2002-10-30

Family

ID=2648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447A KR100348540B1 (ko) 1996-06-21 1997-06-20 알림용진동발생장치및이를이용한휴대용통신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04085B2 (ko)
EP (1) EP0906790B1 (ko)
KR (1) KR100348540B1 (ko)
CN (1) CN1116123C (ko)
AU (1) AU714329B2 (ko)
BR (1) BR9709837A (ko)
CA (1) CA2258762C (ko)
DE (1) DE69738820D1 (ko)
WO (1) WO1997048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2303A1 (fr) * 1998-07-06 2000-01-13 Sanyo Electric Co., Ltd. Generateur de sons/vibrations
TW475315B (en) * 1999-04-13 2002-02-01 Tokin Corp Vibration actuator having three vibration modes
EP1862226B1 (en) * 1999-04-16 2013-06-05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mechanism and vibrating actuator with such a power supply mechanism
TW550873B (en) 1999-05-17 2003-09-01 Nec Tokin Corp Electrodynamic type of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54376B1 (ko) * 1999-12-08 2002-09-28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US6487300B1 (en) * 1999-12-17 2002-1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speaker
JP3596401B2 (ja) * 2000-01-25 2004-12-02 ヤマハ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522639A (ja) 2000-02-17 2003-07-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音再生手段と振動発生手段の一部とを形成する電気音響交換器を有した装置
JP2001353471A (ja) * 2000-04-14 2001-12-25 Tokin Corp 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3949912B2 (ja)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KR100486080B1 (ko) * 2000-08-08 2005-04-29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유도형 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장착 구조 및 휴대용정보기기
US7372968B2 (en) * 2000-11-08 2008-05-13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 driver
KR100370640B1 (ko) * 2000-11-20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스피커
JP3632594B2 (ja) 2000-11-28 2005-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装置
US6560347B2 (en) * 2000-12-19 2003-05-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 actuator
KR100500129B1 (ko) * 2001-03-02 2005-07-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음향 변환장치
JP2002361174A (ja) * 2001-06-11 2002-12-1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1168192C (zh) * 2001-09-10 2004-09-22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可变振动发生装置及装备有振动发生装置的电子机器
JP3837157B2 (ja) * 2001-11-02 2006-10-25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電気−機械振動変換器
US6700251B2 (en) * 2001-11-06 2004-03-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Vibrating device for axially vibrating a movable member
CN1327975C (zh) * 2003-09-22 2007-07-25 思考电机(上海)有限公司 电磁式促动器
GB2412501B (en) * 2004-03-26 2007-10-31 Univ Southampton An electromagnetic device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KR100596060B1 (ko) * 2004-04-14 2006-07-03 주식회사 에이 이 패스 휴대 통신 단말기의 진동발생장치
EP1674165A1 (fr) * 2004-12-22 2006-06-28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vibrant muni de moyens de protection contre des chocs mécaniques pour un objet portable
US7755227B2 (en) * 2005-10-19 2010-07-13 Alps Electric Co., Ltd. Vibration generator
JP4795839B2 (ja) * 2006-04-17 2011-10-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00424986C (zh) * 2006-08-25 2008-10-08 天津三星电机有限公司 音频控制电机振动的装置
US20080084384A1 (en) * 2006-10-05 2008-04-10 Immersion Corporation Multiple Mode Haptic Feedback System
JP2008225690A (ja) * 2007-03-09 2008-09-25 Sony Corp 振動体、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8525384B2 (en) * 2008-03-10 2013-09-03 Nidec Copal Corporation Motor
KR101571562B1 (ko) * 2008-10-22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모터
JP5659426B2 (ja) * 2010-02-16 2015-01-28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01133415B1 (ko) * 2010-05-14 2012-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060813B1 (ko) 2010-05-14 2011-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133422B1 (ko) * 2010-05-14 2012-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DE102010039981B4 (de) * 2010-08-31 2023-02-02 Robert Bosch Gmbh Druckversorgungseinheit für ein Fluidaggregat und Fluidaggregat
KR101046003B1 (ko) * 2010-11-17 2011-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171602B1 (ko) * 2010-11-30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101171619B1 (ko) * 2010-11-30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JP5461381B2 (ja) * 2010-12-17 2014-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01501624B1 (ko) * 2012-03-30 2015-03-11 쿄세라 코포레이션 휴대단말
JP5923798B2 (ja) * 2012-04-16 2016-05-25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01519265B1 (ko) * 2013-12-18 201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운드제너레이터
JP6517591B2 (ja) * 2015-06-01 2019-05-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6803685B2 (ja) * 2016-05-27 2020-12-2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108319364B (zh) * 2018-01-12 2021-05-1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具有触觉反馈振动器的电子装置
KR102044846B1 (ko) * 2018-02-20 2019-11-14 김동만 스틱형 진동 드라이버
US11806748B2 (en) * 2018-04-25 2023-11-07 Marelli Corporation Tactile generation apparatus and tactile generation method
US10882075B2 (en) * 2018-06-04 2021-01-05 Onkyo Corporation Vibrator
CN109725522A (zh) * 2018-12-29 2019-05-07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手表带、手表、手表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82808B (zh) * 2019-03-14 2022-08-1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振动生成装置
CN111817525B (zh) * 2020-07-31 2021-10-08 歌尔股份有限公司 激励振动组件和电子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234A (en) * 1975-02-14 1979-09-25 Yonkers Edward H Reciprocating motor
JPS5853782Y2 (ja) * 1979-01-08 1983-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個人選択呼出受信機
US4312118A (en) * 1980-03-28 1982-01-26 Ct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speaker construction
US4635287A (en) * 1983-10-19 1987-01-06 Mutsuo Hirano Audio-frequency electromechanical vibrator
JPS5994997A (ja) 1983-10-22 1984-05-31 Bodeisonitsuku Kk 電気−機械振動変換器
JPH02105640A (ja) 1988-10-14 1990-04-18 Nec Corp 個別選択呼出し受信機の振動素子駆動回路
JPH0659459B2 (ja) * 1988-11-08 1994-08-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アラーム装置
US4931765A (en) * 1989-02-09 1990-06-05 Motorola, Inc. Unitized housing for silent and tone pager alerting system
US5107540A (en) * 1989-09-07 1992-04-21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resonant vibrator
US5172092A (en) 1990-04-26 1992-12-15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udible and tactile alerts
US5528697A (en) * 1991-05-17 1996-06-1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JPH0548447A (ja) 1991-08-08 1993-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cxoの負荷回路
JP3133792B2 (ja) 1991-09-30 2001-02-13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ィンド構造
JPH06120866A (ja) 1992-10-05 1994-04-28 Copal Co Ltd 振動発生装置
US5379032A (en) * 1992-11-02 1995-01-03 Motorola, Inc. Impulse transducer enunciator
JPH0757159A (ja) 1993-08-11 1995-03-03 Sayama Precision Ind Co 携帯装置の為の無音警報用振動発生装置
JPH07140984A (ja) 1993-11-17 1995-06-02 Tdk Corp 発音装置
JPH07273843A (ja) 1994-03-25 1995-10-20 Nec Corp 携帯無線機の着信通報方法及び通報装置
JPH09117721A (ja) * 1994-09-28 1997-05-06 Seiko Instr Inc 振動モジュール
JP3366507B2 (ja) * 1995-09-05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9980032013A (ko) * 1995-12-15 1998-07-25 모리시타요오이찌 진동 발생장치
US5786741A (en) * 1995-12-21 1998-07-28 Aura Systems, Inc. Polygon magnet structure for voice coil actuator
JP3493592B2 (ja) * 1996-02-20 2004-02-0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WO1998042454A1 (fr) * 1997-03-21 1998-10-01 Sanyo Electric Co., Ltd. Generateur de vibrations jouant un role d'avertisseur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utilisant ledit generateur
KR200160178Y1 (ko) * 1997-08-05 1999-11-01 이종배 다용도 진동 및 호출음 발생장치
US5896076A (en) * 1997-12-29 1999-04-20 Motran Ind Inc Force actuator with dual magnetic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91197A (en) 1998-01-07
EP0906790B1 (en) 2008-07-09
EP0906790A1 (en) 1999-04-07
US20010013729A1 (en) 2001-08-16
BR9709837A (pt) 1999-08-10
AU714329B2 (en) 1999-12-23
DE69738820D1 (de) 2008-08-21
US6404085B2 (en) 2002-06-11
CA2258762C (en) 2002-12-31
EP0906790A4 (en) 2001-10-17
CA2258762A1 (en) 1997-12-24
KR20000022049A (ko) 2000-04-25
CN1227513A (zh) 1999-09-01
CN1116123C (zh) 2003-07-30
WO1997048502A1 (fr) 199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540B1 (ko) 알림용진동발생장치및이를이용한휴대용통신장치
EP0791405B1 (en) Vibration actuator for pager
US6628798B2 (en) Vibration actuator having three vibration modes
KR19980032013A (ko) 진동 발생장치
US6281785B1 (en) Vibration generator for notification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vibration generator
JPH1014195A (ja) 報知用振動発生装置
JP2877758B2 (ja) 報知用振動発生装置
WO1998057761A1 (fr) Avertisseur
JPH10258253A (ja) 振動発生方法と振動発生装置
JP2937939B2 (ja) 加振器、加振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WO2001060530A1 (en) Apparatus hav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m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nd a part of vibration generating means
WO1999034934A1 (fr) Dispositif d'avertissement et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comportant celui-ci
JP3113612B2 (ja) 携帯用通信装置
JP3493600B2 (ja) 音声および低周波振動発生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0295833A (ja) 報知装置
JP2931554B2 (ja) 携帯用通信装置
JP2931559B2 (ja) 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JP2002200461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H10272417A (ja) 報知用振動発生装置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51B1 (ko) 진동 스피커
JPH11191795A (ja) 電話機用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話機
JP2995032B2 (ja) 無線通信装置
AU5710399A (en) Vibration actuator for pager
JP2001103589A (ja) スピーカ一体型振動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