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724B1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724B1
KR100495724B1 KR10-2002-0010109A KR20020010109A KR100495724B1 KR 100495724 B1 KR100495724 B1 KR 100495724B1 KR 20020010109 A KR20020010109 A KR 20020010109A KR 100495724 B1 KR100495724 B1 KR 10049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vex portion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116A (ko
Inventor
와키타나오히데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201)을 갖는 기판(4)과, 기판(4)을 둘러싸는 프레임체(3a)를 구비하며, 기판(4)의 측면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6)가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프레임체(3a)의 측면 내측에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7)가 설치되어 있으며,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져 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시 패널의 표시 장치에의 고정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으로 대표되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인듐주석 산화물(ITO)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을 구비한 유리 기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가볍고 또한 깨지지 않아서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시장에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표시 패널은 회로 기판, 도광판 등과 함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302)을 그 지지체가 되는 케이스(301) 또는 다른 구성 부품에 설치할 때에는 패널(302)과 그들과의 상대 위치를 규정한 상태로 패널(302)이 그것들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301)에 패널(302)을 둘러싸는 프레임(304)이 설치되며, 그 프레임(304)에 패널(302)을 감입함으로써 해당 패널(302)이 위치 결정되고, 그 후, 패널(302)이 적당한 수단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된다.
그런데, 유리 기판을 사용한 패널의 경우,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패널(302)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303)가 사용되었었다. 그러나, 이 고정 방법으로는, 양면 점착 테이프(303)를 케이스(301) 등에 점착하기 위해 손이 많이 간다. 또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표시 패널을 양면 점착 테이프로 고정시키면, 일단 고정시킨 후, 위치 등을 수정하기 위해 패널을 벗길 때에, 플라스틱 기판에 강한 응력이 가해져 소성 변형하여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착탈이 자유롭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프레임체(frame body)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프레임체의 측면 내측에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 또한, 표시 패널을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상기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탄성력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기판을 프레임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가 쿠션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쿠션이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서 상기 기판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마찰력이 생김으로써 상기 기판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표시 패널을 착탈이 자유롭도록 또한 용이하게 프레임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는 ロ자형 또는 コ자형인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올려져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있고, 동시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 나아가서는, 표시 패널을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기둥 모양이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오목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받침대 측과 상기 기판 측에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볼록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받침대 측과 상기 기판 측에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끼워져,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결합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표시 패널을 착탈이 자유롭도록 또한 용이하게 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올려져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 나아가서는 표시 패널을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기둥 모양이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오목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기판 측과 상기 받침대 측에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볼록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기판 측과 상기 받침대 측에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끼워져,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결합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표시 패널을 착탈이 자유롭도록 또한 용이하게 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올려져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이 상기 받침대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 나아가서는 표시 패널을 착탈이 자유롭도록 또한 용이하게 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기능층이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액정층으로 유도하는 도광판인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표시 패널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각각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광 기능층이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또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여도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는 인가 전압에 의해 가스가 여기하여 자외선을 발하고, 그 자외선이 무기 형광체에 접촉하여 발광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전압이 유기 형광체에 인가되어 발광한다. 따라서, 광 기능층을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또는 액정으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각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프레임체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프레임체에 서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 나아가서는 표시 패널을 착탈이 자유롭도록 프레임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광 기능층에 상기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가 설치된 가요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양단이 상기 기판의 다른 주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가요성 회로 기판의 양단이 기판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요성 회로 기판 끝을 고정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 이외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콤팩트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한쪽 끝이 상기 광 기능층을 갖는 상기 기판의 면에 고정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광 기능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 측의 상기 기판의 면에 고정 핀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오목부 또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핀이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 구멍에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가 상기 광 기능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 측의 상기 기판의 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회로 기판을 광 기능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 측의 상기 기판의 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한쪽 끝이 상기 광 기능층을 갖는 상기 기판의 면에 고정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광 기능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 측의 상기 기판의 면에 오목부 또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핀이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 구멍에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가 상기 광 기능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 측의 상기 기판의 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여도, 회로 기판을 광 기능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 측의 상기 기판의 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표시 패널은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측면에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기판을 둘러싸는 프레임체를 준비하고, 그 프레임체의 측면 내측에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표시 패널을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표시 패널을 감합에 의해 고정시킬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마찬가지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용 광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를 갖지 않는, 예를 들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1)는 액정 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2)과 케이스(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2)은 미소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어레이 기판(4)과 대향 기판(5) 사이에 액정(201)이 봉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4)은 여기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4)은 여기서는 직사각형을 가지며, 그 내면의 소정 영역(여기서는 중앙부)이 표시 영역(4b)으로 되어 있다. 이 표시 영역에 ITO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여기서는 반사막을 겸하고 있다)과, 필요에 따라서 화상 신호선, 주사 신호선, 스위칭 소자 등(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는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4) 내면의 표시 영역(4a) 이외의 영역(이하, 비표시 영역이라 한다)(4b)에 화소 전극, 스위칭 소자 등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 및 그 제어 회로를 갖는 LSI(도시하지 않는다. 이하, 구동용 LSI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대향 기판(5)은 어레이 기판(4)의 표시 영역(4b)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면의 대략 전역에 걸쳐 대향 전극(도시하지 않는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향 기판(5)이 어레이 기판(4)의 표시 영역(4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용 LSI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전압이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되며, 그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액정(201)이 변조된다. 그리고, 그 액정(201)의 변조도에 따라서, 광원으로부터의 표시용 광(여기서는 외광)의 투과율이 변화하고, 이로써, 표시 패널(2)에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어레이 기판(4) 및 대향 기판(5)은 화상 표시 장치(1)의 표시부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어레이 기판(4)에는 그 외주(단면)의 비표시 영역(4a)에 위치하는 부분에 케이스(3)와의 감합부(嵌合部)로서, 복수(여기서는 4개)의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 오목부는 어레이 기판(4)의 모든 두께에 걸치는 반원주 형상의 홈(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홈(6)은 복수의 어레이 기판(4)의 패턴이 형성된 대판 시트(large-sized sheet)로부터 개개의 어레이 기판(4)을 레이저 등에 의해 자를 때에 형성된다. 케이스(3)는 여기서는 플라스틱제로,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는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1)의 본체를 구성함과 동시에, 표시 패널(2)이 고정되는 패널 고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3)는 표시 패널(2)을 정확하게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3)는 특히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을 수용한 경우에, 그 측부(프레임체)(3a)가 표시 패널(2)과의 사이에 약간 갭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표시 패널(2)의 두께보다 조금 큰 깊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3)의 측부(3a) 내면에는 어레이 기판(4)과의 감합부로서, 복수(여기서는 4개)의 감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 볼록부는 중앙부(7a)가 반원통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양단부(7b)가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7)은 케이스(3) 측부(3a)에 있어서, 어레이 기판(4)의 홈(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그 반원통 형상의 중앙부(7a)의 축 방향이 케이스(3)의 깊이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양단부(7b)가 나사, 접착제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측부(3a)에 고정되어 있다. 판 스프링(7)의 반원통 형상의 중앙부(7a)는 어레이 기판(4)의 홈(6)과 감합하였을 때, 약간 오목하게 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2)의 케이스(3)에의 설치 및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표시 패널(2)을 케이스(3)에 설치하는 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2)을 케이스(3)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케이스(3)에 삽입한다. 이 때, 표시 패널(2)을 그 어레이 기판(4)이 케이스(3)의 바닥부(3b)에 접할 때까지 가압한다. 이로써, 표시 패널(2)이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로써, 표시 패널(3)의 어레이 기판(4)의 홈(6)과 케이스(3)의 판 스프링(7)의 중앙부(7a)가 감합하여, 그 판 스프링(7)의 중앙부(7a)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recess) 탄성 변형한다. 그렇게 하면, 이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판 스프링(7)이 어레이 기판(4)의 홈(6)을 가압하여, 이 가압력에 의해 홈(6)의 표면과 판 스프링(7) 중앙부(7a)의 표면 사이에 마찰력이 생긴다. 이로써, 어레이 기판(4)이 케이스(3)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압력에 의해, 표시 패널(2)이 그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한편, 표시 패널(2)을 케이스(3)로부터 제거하는 데는 케이스(3)를 적절히 고정시켜, 표시 패널(2)을 상기 마찰력에 의한 저항력보다 큰 힘으로 뺀다. 그렇게 하면, 표시 패널(2)이 케이스(3)로부터 빠진다.
또한, 표시 패널(2)을 케이스(3)로부터 제거할 때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이면, 볼록부는 소성 변형하여도 된다. 단, 상기 설명과 같이, 볼록부를 오목부에 끼우거나, 떼거나 할 때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면, 볼록부는 탄성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그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케이스(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착탈이 자유롭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한 표시 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감합 볼록부가 도 1의 판 스프링(7) 대신 쿠션 부재(2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쿠션 부재(21)는 고무 등의 부피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중앙부(21a)가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21b)가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쿠션 부재(12)는 그 반원주 형상의 중앙부(21a)의 축이 케이스(3)의 깊이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쿠션 부재(22)의 중앙부(21a)는 어레이 기판(4)의 홈(6)과 감합하였을 때, 약간 수축하게 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쿠션 부재(21)가 어레이 기판(4)의 홈(6)과 감합하였을 때, 그 중앙부(21a)의 수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쿠션 부재(21)의 중앙부(21a)가 홈(6)을 가압한다. 이로써, 도 1의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감합 오목부가 판 스프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32)은 도 1의 판 스프링(7)을 뒤집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32a)가 반원통 형상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4)에는 이 판 스프링(32)의 중앙부(32a)를 갭을 가지면서 수용하는 각주 형상의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3)의 감합 볼록부는 케이스(3)의 측부(3a)의 모든 높이에 걸치는 반원주 형상의 돌기(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22)와 판 스프링(32)과의 감합 관계는 도 1의 구성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도 1의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 3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감합 오목부가 쿠션 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쿠션 부재(34)는 제 1 변형예의 쿠션 부재(2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제 2 변형예의 판 스프링(3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의 돌기(22)와 쿠션 부재(35)와의 감합 관계는 제 1 변형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제 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 4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감합 오목부가 도 1의 홈(6)으로 구성되며, 케이스(3)의 감합 볼록부가 제 2 변형예의 돌기(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6) 및 돌기(22)는 홈(6)에 돌기(22)가 압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돌기(22)의 단면 직경이 홈(6)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케이스(3)의 개구부로부터 바닥부(3b)를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 패널(2)이 케이스(3) 내에 삽입되면, 케이스(3)의 돌기(12)가 어레이 기판(4)의 홈(6)에 압입되어, 그 압입에 의한 서로의 마찰력에 의해, 어레이 기판(4), 나아가서는 표시 패널(2)이 케이스(3)에 고정된다. 또한, 이 압입에 의해, 표시 패널(2)이 그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그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케이스(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제 5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에 감합 볼록부가 설치되고, 케이스(3)에 감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4)의 감합 볼록부가 그 모든 두께에 걸치는 반원주 형상의 돌기(8)로 구성되며, 케이스(3)의 감합 오목부가 판 스프링(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10)은 제 2 변형예의 판 스프링(32)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케이스(3)의 측부(3a)에는 이 판 스프링(10)을 수용하는 각주 형상의 오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9)는 제 2 변형예의 오목부(3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8)와 판 스프링(10)과의 감합 관계는 제 2 변형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제 2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제 6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케이스(3)의 감합 오목부가 제 5 변형예의 판 스프링(10) 대신 쿠션 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쿠션 부재(23)는 제 3 변형예의 쿠션 부재(34)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제 5 변형예의 판 스프링(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4)의 돌기(8)와 쿠션 부재(23)와의 감합 관계는 제 5 변형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제 5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제 7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감합 볼록부가 판 스프링(35)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35)은 도 1의 구성예의 판 스프링(7)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3)의 감합 오목부는 케이스(3) 측부(3a)의 모든 높이에 걸치는 반원주 형상의 홈(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홈(24)과 판 스프링(35)과의 감합 관계는 도 1의 구성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도 1의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제 8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감합 볼록부가 쿠션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쿠션 부재(33)는 제 1 변형예의 쿠션 부재(2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의 돌기(8)와 쿠션 부재(33)와의 감합 관계는 제 1 변형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제 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제 9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감합 볼록부가 제 5 변형예의 돌기(8)로 구성되며, 케이스(3)의 감합 오목부가 제 7 변형예의 홈(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24)에 돌기(8)가 압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홈(24)과 돌기(8)와의 압입에 대한 치수 관계는 제 4 변형예와 동일하며, 이로써, 제 4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합」에는 감합 부분의 약간의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제 4, 제 9 변형예)을 따르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이상의 구성예에서는 어레이 기판(4)과 케이스(3)와의 감합 부분을 복수 설치하였지만, 이것은 1이상이면 된다. 이 경우, 어레이 기판(4)의 감합 부분이 설치된 변과 대향하는 변이 케이스(3)와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예에서는 표시 패널(2)과 케이스(3)와의 감합 부분으로서, 감합 볼록부와 감합 오목부를 설치하였지만, 표시 패널(2) 및 케이스(3)의 한쪽에 상기 구성예의 감합 볼록부와 동일한 볼록부를 설치하여, 다른쪽이 대응하는 부분은 평탄한 채로 하여도 된다. 단, 이 경우는 표시 패널(2) 및 케이스(3)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서로 직교하는 변에 상기 볼록부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표시 패널(2) 및 케이스(3)의 한쪽 상기 볼록부와 다른쪽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표시 패널(2)이 케이스(3)에 고정됨과 동시에, 표시 패널(2)이 그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감합 부분을 어레이 기판(4)의 비표시 영역(4a)에 설치하였지만, 이것을 표시 영역(4b)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감합 부분을 대향 기판(5)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어레이 기판(4)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고 하였지만, 어레이 기판(4)은 유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플라스틱 쪽이 유리보다도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측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기판(4) 쪽이 측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기판(4)보다 제조가 용이하다. 이 관점에서, 어레이 기판(4)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 도 6까지는 어레이 기판(4)에 오목부(6)를 설치하고, 도 7에서 도 11까지는 어레이 기판(4)에 볼록부(8)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장의 어레이 기판(4)에 오목부(6)와 볼록부(8)의 양자를 설치하여도 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표시 패널을 감합에 의해 고정시킬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부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1)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로, 도시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표시용 광을 표시 패널(2)로 유도하는 도광판(받침대)(41)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41)은 도시되지 않은 케이스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2)이 도광판(41)에 서로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42)이 패널 고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그 밖의 점은 제 1 실시예과 동일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어레이 기판(4)의 외면(하면)에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결합 오목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 오목부(43)는 어레이 기판(4) 외면의 비표시 영역(4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도광판(41)은 소정의 굴절율을 갖는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며, 어레이 기판(4)과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41)의 상면(광 출사면)에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결합 볼록부(42)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42)는 도광판(41) 상면의 상기 어레이 기판(4)의 결합 오목부(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41)의 결합 볼록부(42)는 기부(base portion)(42a)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선단부(42b)가 큰 직경으로 형성된 계단형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42) 선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는 라운딩되어, 상기 계단부는 기부(42a)로부터 선단부(42b)로 직경이 확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 볼록부(42)는 도광판(41)으로부터 어레이 기판(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광판(41)으로부터 어레이 기판(4)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기부(42a))과 커져 있는 부분(선단부(42b))을 각각 도광판(41) 측과 어레이 기판(4) 측에 갖고 있다.
한편, 어레이 기판(4)의 결합 오목부(43)는 상기 결합 볼록부(42)와 대략 비슷하며, 해당 결합 볼록부(42)보다 약간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입구부(43a)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안쪽 부분(43b)이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또한 입구부(43a)로부터 안쪽 부분(43b)으로 직경이 확대하는 계단형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구의 둘레 가장자리는 라운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결합 오목부(43)는 도광판(41)으로부터 어레이 기판(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광판(41)으로부터 어레이 기판(4)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입구부(43a))과 커져 있는 부분(안쪽 부분(43b))을 각각 도광판(41) 측과 어레이 기판(4) 측에 갖고 있다.
그리고, 결합 볼록부(42)의 선단부(42b)는 결합 오목부(43)의 입구부(43a)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볼록부(42) 선단부(42b)의 직경과 결합 오목부(43)의 입구부(43a)와의 치수 관계는 결합 볼록부(42)가 결합 오목부(43)에 대하여 삽입 및 제거될 때에, 결합 볼록부(42)의 선단부(42b) 및 결합 오목부(43)의 입구부(43a)의 적어도 한쪽이 약간 탄성 변형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어레이 기판(4)의 결합 오목부(43)의 위치를 도광판(41)의 결합 볼록부(42)의 위치에 맞추고, 이어서, 표시 패널(2)을 도광판(41)에 가압하면, 도광판(41)의 결합 볼록부(42)가 어레이 기판(4)의 결합 오목부(43)에 삽입된다. 그렇게 하면, 결합 오목부(43)의 안쪽 부분(43b)에 결합 볼록부(42)의 선단부(42b)가 딱 맞게 들어가, 결합 오목부(43)의 입구부(43a)에 결합 볼록부(42)의 선단부(42b)가 결합하며, 이로써, 표시 패널(2)이 도광판(41)에 고정된다. 또한, 이로써, 표시 패널(2)이 그 두께 방향 및 해당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2)을 상기 소정의 힘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기면, 결합 볼록부(42)가 결합 오목부(43)로부터 빠져, 표시 패널(2)이 도광판(41)으로부터 이탈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그 두께 방향 및 해당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도광판(4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착탈이 자유롭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4)에 결합 볼록부(45)를 설치하고, 도광판(41)에 결합 오목부(44)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결합 볼록부(45) 및 결합 오목부(44)가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이 도 13의 경우와 역방향이 되는 것 외에는 도 13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표시 패널을 도광판(41)에 가압하면, 어레이 기판(4)의 결합 볼록부(45)가 도광판(41)의 결합 오목부(44)에 삽입되어, 결합 오목부(44)의 안쪽 부분(44b)에 결합 볼록부(45)의 선단부(45b)가 딱 맞게 들어가, 결합 오목부(44)의 입구부(44a)에 결합 볼록부(45)의 선단부(45b)가 결합한다. 이로써, 표시 패널이 도광판(4)에 고정됨과 동시에, 표시 패널이 그 두께 방향 및 해당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단, 기판 성형 시에 그 표면에 볼록부를 설치하면, 이후 공정에 있어서의 핸들링 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4)에 결합 오목부를 설치하여, 도광판(41)에 결합 볼록부를 설치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결합 볼록부 및 결합 오목부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였지만,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표시 패널을 나사로 고정시킬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12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의 고정 수단으로서 나사(71)를 갖고 있다. 어레이 기판(4)의 비표시 영역(4a)에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이 설치되고, 도광판(42) 상면의 상기 어레이 기판(4)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7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은 예를 들면, 복수의 어레이 기판(4)의 패턴이 형성된 대판 시트로부터 개개의 어레이 기판(4)을 레이저 등에 의해 꺼낼 때에 형성된다. 그 밖의 점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은 관통 구멍으로, 나사 구멍(73)은 오목 구멍이다. 또한, 양자 모두 관통 구멍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광판(41)에 어레이 기판(4)을 포개어, 나사(71)를 어레이 기판(4)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을 통해 도광판(41)의 나사 구멍(73)에 박음으로써, 표시 패널(2)이 도광판(41)에 고정된다. 또한, 이로써, 표시 패널(2)이 그 두께 방향 및 해당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나사(71)를 제거함으로써, 표시 패널(2)이 도광판(41)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그 두께 방향 및 해당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도광판(4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을 용이하게 착탈이 자유롭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가요성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오목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101)는 유기 EL 장치이다. 이 유기 EL 장치(101)의 요부는 플라스틱 기판(51)을 갖고 있다. 플라스틱 기판(51)의 표면에는 유기 EL층(52)이 설치되어 있다. 유기 EL층(52)은 예를 들면 MgAl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음극(54)을 두고 플라스틱 기판(51) 상에 형성되며, 더욱이 그 상면에는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지는 양극(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 기판(51)의 이면에 복수(여기서는 2개)의 고정 핀(5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핀(57)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기판(51) 형성 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기판(51) 표면의 한쪽 끝 부분에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한쪽 끝 부분의 이면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다른쪽 끝 측 표면에는 구동용 LSI(56)가 탑재되고, 또한 플라스틱 기판(51)의 고정 핀(57)을 헐겁게 통과하게 하는 관통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요성 회로 기판(55)은 아래쪽으로 구부려지고 또한 선단 측의 관통 구멍(55a)이 플라스틱 기판(51)의 고정 핀(57)에 감입됨으로써 플라스틱 기판(51)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가요성 회로 기판(55)이 굽은 부분으로부터 이전 부분이 플라스틱 기판(51) 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관통 구멍(55a) 대신, 고정 핀(57)이 감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고정 핀(57)을 감합 삽입함으로써, 가요성 회로 기판(55)을 플라스틱 기판(51)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고정 핀을 가요성 회로 기판(55)에 설치하여,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플라스틱 기판(51)에 설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기판(51) 상의 양극(53) 및 음극(54)은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배선을 통하여 구동용 LSI(56)에 접속되며, 해당 구동용 LSI(56)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적당한 곳에 배치된 머더보드(motherboard)(61)에 배선(6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회로 기판(55)에 있어서는 이면에 형성된 제 1 배선이 플라스틱 기판(51)의 양극(53) 및 음극(54)에 이르는 배선에 접속되며, 제 1 배선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표면에 형성된 제 2 배선에 접속되며, 그 제 2 배선이 구동용 LSI(56)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머더보드(6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용 LSI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유기 EL층(52)이 구동되며, 이로써, 유기 EL층(52)이 발광하여 표시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플라스틱 기판(51) 상에 형성된 유기 EL층(52), 양극(53) 및 음극(54)이 표시부를 구성하여, 플라스틱 기판(51)이 표시 패널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표시 장치(101)를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와 비교한다. 도 17은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플라스틱 기판(51)이 케이스(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60)의 하면에는 머더보드(61)가 설치되고, 이 머더보드(61)에 커넥터(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63)에 플라스틱 기판(51)의 끝 부분에 한쪽 끝 부분을 고정된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다른쪽 끝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종래 예에서는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스(60) 등의 표시 패널 이외의 부재가 필요시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1)는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양단이 플라스틱 기판(5)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요성 회로 기판(55)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 이외의 부재가 필요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콤팩트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핀(57)과 관통 구멍(55a)에 의하여 가요성 회로 기판(55)을 플라스틱 기판(51)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회로 기판이 가요성하지 않은 경우라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16의 가요성 회로 기판(55)을 가요성 배선에 강성 회로 기판을 접속한 것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 기판이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을, 마찬가지로, 유기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의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유기 EL 장치에 적용할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을, 마찬가지로,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의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각각 결합부 및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어레이 기판에 설치하였지만, 이것을 대향 기판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감합부를 기판의 외주와 케이스 측부 사이에 설치하였지만, 이것을 제 2 실시예의 결합부와 같이, 기판의 하면과 도광판의 상면 사이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감합 오목부를 원주 형상으로 형성하여, 감합 볼록부를 스프링 탄성에 의해 축소 직경 가능한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기판을 도광판에 고정시켰지만, 이것을 케이스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기판을 고정시키는 대상은 화상 표시 장치의 본체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된 부재이면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며,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는, 또는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착탈이 자유롭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 및 종래보다도 부재 수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4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5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6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7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8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9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의 결합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 표시 장치 2: 표시 패널
3: 케이스 3a: 측부(프레임체)
3b: 바닥부 4: 어레이 기판
4a: 비표시 영역 4b: 표시 영역
5: 대향 기판 6: 홈
7: 판 스프링
7a, 10a, 21a, 23a, 32a, 33a, 34a, 35a: 중앙부
7b, 10b, 21b, 23b, 32b, 33b, 34b, 35b: 양단부
8: 돌기 9: 오목부
10: 판 스프링 21: 쿠션 부재
22: 돌기 23: 쿠션 부재
24: 홈 32: 판 스프링
33: 쿠션 부재 34: 쿠션 부재
35: 판 스프링 41: 도광판
42, 45: 결합 볼록부 42a, 45a: 작은 직경부
43, 44: 결합 오목부 43a, 44a: 입구부
51: 플라스틱 기판 52: 유기 EL층
53: 양극 54: 음극
55: 가요성 회로 기판 55a: 관통 구멍
56: 구동용 LSI 57: 고정 핀
61: 머더보드 62: 배선
63: 커넥터 71: 나사
72: 나사 삽입 통과 구멍 73: 나사 구멍
101: 화상 표시 장치 201: 액정

Claims (30)

  1.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프레임체(frame body)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체의 측면 내측에는 상기 오목부를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프레임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가 채워지거나 비워진 기둥형상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상기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쿠션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이 고무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8.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발광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프레임체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체의 측면 내측에는 상기 볼록부를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프레임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는, 화상 표시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상기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쿠션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이 고무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5. 삭제
  16.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ロ자형 또는 コ자형인, 화상 표시 장치.
  17.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투과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올려져 있는 받침대(base)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으며,
    또한, 상기 광 기능층은 액정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액정층으로 유도하는 도광판인, 화상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기둥형상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오목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받침대 측과 상기 기판 측에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볼록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받침대 측과 상기 기판 측에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끼워지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결합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9. 공급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광을 투과 또는 차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광 기능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올려져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으며,
    또한, 상기 광 기능층은 액정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액정층으로 유도하는 도광판인, 화상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기둥형상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오목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기판 측과 상기 받침대 측에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볼록부를 절단한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과 커져 있는 부분을 각각 상기 기판 측과 상기 받침대 측에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끼워지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져 있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의 단면적이 커져 있는 부분이 결합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제 1 항, 제 8 항, 제 17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24. 제 1 항, 제 8 항, 제 17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2-0010109A 2001-02-27 2002-02-26 화상 표시 장치 KR100495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52154 2001-02-27
JP2001052154 2001-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116A KR20020070116A (ko) 2002-09-05
KR100495724B1 true KR100495724B1 (ko) 2005-06-16

Family

ID=1891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109A KR100495724B1 (ko) 2001-02-27 2002-02-26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28721B2 (ko)
KR (1) KR100495724B1 (ko)
CN (1) CN1372160A (ko)
SG (1) SG112826A1 (ko)
TW (1) TW54847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625B1 (ko) 2008-03-25 2009-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289068B1 (ko) * 2006-10-31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67B1 (ko) * 2002-03-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0887633B1 (ko) * 2002-09-30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28482B1 (ko) * 2002-12-24 2009-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580551B1 (ko) 2003-06-19 2006-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JP2005043716A (ja) * 2003-07-23 2005-02-1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4400161B2 (ja) * 2003-09-26 2010-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376597B2 (ja) * 2003-11-26 2009-12-02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GB0402766D0 (en) * 2004-02-09 2004-03-10 Invensys Controls Uk Ltd Information display module
JP4647218B2 (ja) * 2004-02-27 2011-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TWI274934B (en) * 2004-09-23 2007-03-01 Jemitek Electronics Corp Flat display module
JP4176695B2 (ja) * 2004-09-27 2008-11-05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
CN100336429C (zh) * 2005-05-13 2007-09-0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装置模块的组件
KR20060119137A (ko) * 2005-05-18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1232045B1 (ko) * 2005-08-24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WO2007023847A1 (ja) * 2005-08-25 2007-03-01 Nec Corporation 携帯機器の筐体
JP4306663B2 (ja) * 2005-09-20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支持装置、電気光学装置の支持方法
JP5061277B2 (ja) * 2005-11-21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20070127144A1 (en) * 2005-12-06 2007-06-07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film and frame with high resistance to thermal distortion
TWI318314B (en) * 2006-04-13 2009-12-11 Au Optronics Corp Flat displa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TWI327662B (en) * 2006-04-21 2010-07-21 Au Optronics Corp An optical module
KR100805532B1 (ko) * 2006-06-09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JP4908150B2 (ja) 2006-10-18 2012-04-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の保持構造及び撮像装置
US8269918B2 (en) * 2006-10-27 2012-09-1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source with overlapping light guide element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281320B (zh) * 2007-04-04 2011-10-19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01149529B (zh) * 2007-11-01 2010-04-21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背光模块
CN101556392B (zh) * 2008-04-10 2012-12-26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液晶显示器
TW201022765A (en) * 2008-12-04 2010-06-16 Hannspree Inc Panel holding device and method
CN101587262B (zh) * 2008-05-23 2011-06-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01364360B (zh) * 2008-08-22 2010-11-10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平面显示器
TWI403164B (zh) * 2008-09-01 2013-07-21 Au Optronics Suzhou Corp Ltd 平面顯示器
BRPI0920737A2 (pt) * 2008-09-30 2016-05-17 Sharp Kk dispositivo de iluminação e dispositivo de display de cristal líquido
KR101521261B1 (ko) * 2009-01-29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백라이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199477B2 (en) * 2009-06-11 2012-06-12 Apple Inc. Portable computers with spring-mounted displays
JP5273804B2 (ja) * 2009-07-13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396019B (zh) * 2009-09-21 2013-05-11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 背光模組
US20110068664A1 (en) * 2009-09-23 2011-03-24 Wen-Hung Huang Waterproof panel frame structure
US20110080722A1 (en) * 2009-10-03 2011-04-07 Fujitsu Limited Display apparatus
CN102375483B (zh) * 2010-08-18 2014-04-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机构及采用该固定机构的电子装置
CN102375482A (zh) * 2010-08-18 2012-03-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机构及采用该固定机构的电子装置
CN102458057A (zh) * 2010-10-22 2012-05-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045972A (zh) * 2010-11-15 2011-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组装方法
TWI426837B (zh) * 2010-11-29 2014-02-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組裝方法
TWI467284B (zh) * 2010-12-08 2015-01-0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TWI437326B (zh) * 2010-12-30 2014-05-1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之導光板定位設計
CN202209588U (zh) * 2011-08-18 2012-05-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US8582048B2 (en) 2011-08-18 2013-11-1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080932A1 (en) * 2011-09-27 2013-03-28 Sanjiv Sirpal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toggle
CN102322600A (zh) * 2011-10-12 2012-01-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TWM425334U (en) * 2011-11-25 2012-03-21 Henghao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8928833B2 (en) 2011-11-29 2015-01-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CD device
CN102494273A (zh) * 2011-11-29 2012-06-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US9417379B2 (en) * 2012-02-03 2016-08-1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TWI528133B (zh) * 2012-02-13 2016-04-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具外框卡合設計之顯示裝置
US9104067B2 (en) * 2012-03-07 2015-08-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CD device comprising backlight module
CN102606960A (zh) * 2012-03-26 2012-07-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
US8752992B2 (en) 2012-03-26 2014-06-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CN102748651A (zh) * 2012-05-15 2012-10-24 达运精密工业(厦门)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US9195270B2 (en) 2012-05-25 2015-11-24 Wistr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notebook computer
TWI520669B (zh) * 2012-05-25 2016-02-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筆記型電腦的螢幕
US9894781B2 (en) *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DE102012210484B4 (de) 2012-06-21 2017-02-02 Osram Oled Gmbh Verfahren für ein schlüssiges Verbinden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mit einem Verbindungsstück, Verbindungsstruktur für ein kraftschlüssiges Verbinden und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vorrichtung
KR102009657B1 (ko) 2012-10-31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표시 단말기
DE102013111422A1 (de) 2013-10-16 2015-04-30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ontaktiervorrichtung und optoelektronische Baugruppe
DE102014213797A1 (de) * 2014-07-16 2016-01-21 BSH Hausgeräte GmbH Anzeigevorrichtung mit einem Display und Haushaltsgerät mit einer solchen Anzeigevorrichtung
JP6612756B2 (ja) * 2014-08-08 2019-11-27 株式会社カネカ 面状発光パネル
DE102014113991B4 (de) * 2014-09-26 2020-06-04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 Baugrupp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optoelektronischen Baugruppe
CN104297976B (zh) * 2014-10-22 2017-0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边框
US10120225B2 (en) * 2015-04-22 2018-11-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nclosure snugly engaged with display panel
CN104964252A (zh) * 2015-05-19 2015-10-07 李峰 镶嵌式led外壳的锁闭结构
CN105042524B (zh) * 2015-09-09 2018-03-16 李峰 栓式锁紧紧固结构及其安装方法
JP6517730B2 (ja) * 2016-05-26 2019-05-22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205678520U (zh) * 2016-06-21 2016-11-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80057773A (ko) * 2016-11-21 2018-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0401902B1 (en) * 2017-11-30 2019-09-03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display
US10586943B2 (en) * 2017-12-22 2020-03-10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isplay panel
CN108303826B (zh) * 2018-02-08 2020-1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102493155B1 (ko) * 2018-03-26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8470754B (zh) * 2018-03-30 2020-06-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9407379A (zh) * 2018-12-04 2019-03-01 惠科股份有限公司 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715146B (zh) * 2019-08-13 2021-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組裝的方法
KR20210085846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5509004A (zh) * 2021-06-22 2022-12-23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805A (ja) * 1998-08-28 2000-03-14 Fuji Xerox Co Ltd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1021884A (ja) * 1999-07-08 2001-01-26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785743B (en) * 1978-10-11 1979-12-27 W Richter Improvements relating to supplying paint
DE2936319C2 (de) * 1979-09-08 1984-11-2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Digitale Einrichtung zur Kurzschluß-, Überstrom- und Schieflastsicherung von elektrischen Leistungsverbrauchern
JPH0239127A (ja) * 1988-07-29 1990-02-08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5592199A (en) *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570267A (en) * 1995-07-12 1996-10-29 Ma; Hsi-Kuang Flat display module
JP3296160B2 (ja) 1995-10-24 2002-06-2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
JPH09297542A (ja) * 1996-05-09 1997-11-18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この表示装置を有する携帯形機器
JP3219718B2 (ja) * 1997-10-02 2001-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1202787A (ja) * 1998-01-13 1999-07-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258839B1 (ko) * 1998-01-24 2000-06-15 윤종용 엘씨디모듈
JPH11259021A (ja) * 1998-02-17 1999-09-2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390941B2 (ja) 1998-07-14 2003-03-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密封型液晶表示装置
KR100512091B1 (ko) * 1998-09-24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KR200218685Y1 (ko) * 1999-06-28 2001-04-02 김순택 액정 표시소자의 조립구조
JP2001027752A (ja) 1999-07-14 2001-01-30 Sony Corp 液晶表示パネル固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372905B2 (ja) * 1999-07-15 2003-02-04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805A (ja) * 1998-08-28 2000-03-14 Fuji Xerox Co Ltd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1021884A (ja) * 1999-07-08 2001-01-26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8B1 (ko) * 2006-10-31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03625B1 (ko) 2008-03-25 2009-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8479B (en) 2003-08-21
US20020125815A1 (en) 2002-09-12
CN1372160A (zh) 2002-10-02
KR20020070116A (ko) 2002-09-05
SG112826A1 (en) 2005-07-28
US6828721B2 (en) 2004-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724B1 (ko) 화상 표시 장치
US685485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58551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5158707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6215551A (ja) 表示装置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157487A1 (en) Display device
WO2012106342A2 (en) Component illumination apparatus,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WO2012023484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7826005B2 (en) Light source supporting member,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JP2002328623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表示パネ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060120112A1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with integrated frame
KR1015216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225824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130135901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3295788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表示パネ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5005147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571626B2 (en) Backlight unit of display device
US73274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fixing device for light-guiding plate
US201500025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field of the invention
JP2006222424A (ja) 収納容器、基板の収納方法及びそれを含む表示装置
WO2011083600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383981B1 (ko) 램프 고정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표시장치
US2008007986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908161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