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137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137A
KR20060119137A KR1020050041734A KR20050041734A KR20060119137A KR 20060119137 A KR20060119137 A KR 20060119137A KR 1020050041734 A KR1020050041734 A KR 1020050041734A KR 20050041734 A KR20050041734 A KR 20050041734A KR 20060119137 A KR20060119137 A KR 2006011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storage container
ligh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137A/ko
Priority to US11/388,572 priority patent/US20060262570A1/en
Priority to JP2006129796A priority patent/JP2006323382A/ja
Priority to CNA200610082726XA priority patent/CN1866107A/zh
Publication of KR2006011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의 측벽과 마주하는 측부에 돌기가 형성된 도광판을 구비한다. 도광판은 수납용기의 내부에서 유동되면, 수납용기의 측벽과 돌기만이 접촉되기 때문에, 수납용기와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과 수납용기간에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광판, 마찰, 소음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과 수납용기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돌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용기와 상기 도광판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램프 유닛 200, 910 : 도광판
300 : 광학 시트 400 : 반사시트
500, 920 : 수납용기 800, 900, 12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 유닛, 광을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램프 유닛 및 도광판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다.
대부분의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지면에 대해 세워서 사용한다.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제품, 랩탑 컴퓨터 등에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 확보를 위해서 지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외부의 힘이 액정표시장치로 가해지면, 외부의 힘이 작용하는 동안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순간 뒤틀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광판이 유동된다. 특히, 폴더형 제품은 본체와 액정표시장치가 흰지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폴더형 제품을 접거나 펼때마다 도광판이 유동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이 수납용기의 내부에서 유동되면, 도광판과 수납용기간에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한다. 그 결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수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및 도광판으로 이루어진다.
도광판은 기판 및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수납용기와 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 광원 및 수납용기로 이루어진다.
도광판은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한다. 광원은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한다. 수납용기는 도광판 및 광원이 안착되는 바닥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측부와 마주하도록 연장된 측벽, 측벽과 도광판의 측부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수납용기, 도광판, 광원 및 표시패널로 이루어진다.
도광판은 수납용기에 수납되고,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기판 및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고, 수납용기와 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광원은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광판으로 광을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도광판의 상부에 구비되고, 도광판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도광판은 수납용기 내부에서 유동되면 수납용기의 측벽과 돌기만이 접촉되기 때문에, 수납용기와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과 수납용기간에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 유닛 (100), 상기 램프 유닛(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 하는 도광판(200), 상기 도광판(200)의 상부에 구비된 광학 시트(300), 상기 도광판(200)의 하부에 구비된 반사시트(400) 및 수납용기(50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유닛(100)은 전원 제공받아 상기 광을 발생하는 램프(110), 및 상기 램프(110)를 수납하고, 상기 램프(11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램프 커버(120)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 커버(120)는 상기 램프(110)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가 코팅된다. 상기 램프 커버(120)에 코팅된 반사 부재는 상기 램프(110)로부터의 광을 상기 도광판(200)측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선광원 형태로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면광원 형태의 광을 출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램프 유닛(100)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게 형성되는 쐐기 형상을 가지나, 상기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도광판(20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광학 시트(300)는 도광판(2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특성, 예컨대, 휘도 증가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켜 출사하고, 상기 광학 시트(300)로는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등이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적어도 1매 이상의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요구되는 휘도 특성에 따라 별도의 확산 시트나 프리즘 시트를 더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300)는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납용기(500)와 결합하는 제1 및 제2 시트 고정부(310, 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시트 고정부(310, 320)는 상기 광학 시트(300)의 양 측부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320, 330)에는 상기 수납용기(500)와 결합하기 위한 홀들(321, 33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200)의 아래에 구비된 상기 반사시트(400)는 상기 도광판(200)의 하부면으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수납용기(500)는 상기 램프 유닛(100), 상기 도광판(200), 상기 광학 시트(300), 및 상기 반사시트(400)를 수납한다. 상기 수납용기(500)는 바닥면(510), 및 상기 바닥면(510)으로부터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측벽(5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51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의 무게를 최소화하도록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바닥면(510)에는 상기 반사시트(400), 상기 도광판(200), 및 상기 광학시트(300)가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 유닛(100)은 상기 수납용기(500)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수납용기(5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도광판(200)과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의 사이에 수납된다.
상기 수납용기(500)는 상기 광학 시트(300)의 홀들(311, 321)과 대응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530, 5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530, 535)은 상기 홀들(311, 321)에 삽입되어 상기 광학 시트(300)를 상기 수납용기(500)에 고정한다.
상기 수납용기(5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40) 및 상기 램프(110)로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램프 와이어(미도시)를 고정하는 고정홀(5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540)는 상기 측벽(52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벽(5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홀(550)은 상기 측벽(520)에 형성되며, 상기 램프 유닛(100)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램프 와이어는 상기 고정홀(550)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램프 와이어의 상기 인출된 단부는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상기 수납용기(500)의 외측에 구비되는 백 커버(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램프 유닛(100)이 수납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방출한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램프 커버(120)의 하부면 및 상기 수납용기(500)의 일 측면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상기 백 커버(600)를 상기 램프 커버(120)와 별도로 구비하나, 상기 백 커버(600)의 기능을 갖는 램프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백 커버(60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램프 커버(120)와 접하는 제1 판(610) 및 상기 제1 판(6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접하는 제2 판(620)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 커버(120)는 상기 백 커버(600)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홀들(121, 122)을 구비하고, 상기 백 커버(600)의 상기 제1 판(610)은 제1 결합홀들(121, 122)과 대응하는 제2 결합홀들(611, 612)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납용기(500)의 배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홀들(121, 122, 161, 162)에 대응하는 결합홈들이 구비된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제1 결합홀들(121, 122) 및 제2 결합홀들(611, 612)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수납용기에 체결되는 스크류들(710, 720)에 의해 상기 램프 커버(120) 및 상기 수납용기(500)와 결합한다.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가이드면(210), 상기 가이드면(210)과 대향하는 출사면(220), 상기 가이드면(210) 및 상기 출사면(220)과 인접한 측부, 및 상기 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면(210)은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출사면(220)으로 제공하는 가이드 패턴(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출사면(220)은 상기 가이드면(2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광학 시트(300)(도 1 참조)로 제공한다.
상기 측부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31) 및 제1 내지 제3 측면들(232, 233, 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사면(231)은 상기 램프(110)와 마주하며, 상기 램프(110)로부터의 광이 입사된다. 상기 제1 측면(232)은 상기 입사면(231)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2 측면(233)은 상기 제1 측면(232)과 인접하고, 상기 입사면(231)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3 측면(234)은 상기 제2 측면(233) 및 상기 입사면(231)과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면(232)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입사면(231)과 상기 제1 측면(232)이 만나는 모서리(231a)와 상기 입사면(231)과 상기 제3 측면(234)이 만나는 모서리(231b)는 상기 도광판(200)이 상기 램프 유닛(100)(도 1 참조)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모따기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납용기(500)(도 1 참조)는 상기 모따기 된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광판(200)의 상기 모따기 된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200)이 상기 램프(11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들(232, 233, 234)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돌기들은 상기 도광판(200)과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돌기들의 개수는 상기 도광판(200)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들(232, 233, 234)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들(232, 233, 234)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들(241, 242, 243)은 상기 제1 측면(23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4 내지 제6 돌기들 (244, 245, 246)은 상기 제2 측면(233)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7 내지 제9 돌기들(247, 248, 249)은 상기 제3 측면(234)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은 상기 수납용기(500) 안에 구비된 상기 도광판(20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유동될 경우,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상기 도광판(200)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수납용기(500)와의 마찰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도 3 참조)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상기 제1 돌기(24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 내지 제9 돌기들(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제1 측면(232)에 위치하고, 상기 삼각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삼각뿔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각뿔 형상, 예컨대, 사각뿔 형성, 오각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가이드면(2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면(210)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면(241a), 상기 제1 측면(23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제2 면(241b), 및 상기 제1 측면(23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제2 면(241b)과 만나는 제3 면(241c)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면(241c)은 상기 제2 면(241b)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면(241a, 241b, 241c)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기 다수의 돌기와 상기 수납용기(500)간의 위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과 수납용기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은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위치 관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돌기(241)와 상기 수납용기(500)간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판(400), 상기 도광판(200) 및 상기 광학시트(300)는 상기 수납용기(500)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상기 도광판(200)의 제1 측면(232)에 구비된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제1 측면(232)과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돌기(241)의 높이(H1)는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상기 제1 측면(232)과의 거리(D)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약 0.8㎜의 폭(W1)을 갖고, 약 0.4㎜의 높이(H1)를 갖는다.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제1 내지 제3 면(241a, 241b, 241c)(도 4 참조)이 만나는 각뿔의 꼭지점(241d)이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인접한다.
상기 도광판(200)이 상기 수납용기(500) 내에서 유동될 경우, 상기 도광판 (200)은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상기 제1 돌기(241)가 서로 접촉되며, 상기 도광판(200)의 제1 측면(232)과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제1 돌기(241)는 상기 각뿔의 꼭지점(241d)만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점접촉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광판(200)이 유동될 경우, 상기 제2 내지 제9 돌기들(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도 3 참조)도 상기 제1 돌기(241)와 마찬가지로, 각뿔의 꼭지점만 상기 측벽(520)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수납용기(500) 내에서 유동되면,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의 각뿔의 꼭지점들만이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접촉된다.
특히,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가 외부의 힘에 의해 뒤틀리면, 상기 도광판(200)과 상기 수납용기(500)간에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한다.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의 각뿔의 꼭지점들만이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수납용기(500)와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상기 도광판(200)과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간의 마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판(200)은 재질적 특성 때문에, 상기 소음을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즉, 두 물체들 간의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은 마찰 계수가 상대적으 로 높은 물질에서 발생하는데,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수납용기(500)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광판(200)은 아크릴 수지계열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e Methacrylate : 이하, PMMA)로 이루어지며, 상기 PMMA의 마찰계수는 약 0.83μ(mu)이다. 상기 수납용기(500)는 상기 PMMA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이하, PC)로 이루어지며, 상기 PC의 마찰계수는 약 0.36μ이다.
상기 도광판(200)과 상기 수납용기(500)간에 마찰이 발생하면, 상기 도광판(200)이 상기 수납용기(500)보다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200)에서 상기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납용기(500)와 접촉되는 상기 도광판(200)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돌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돌기(270)는 상기 제1 측면(232)으로부터 돌출되고,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270)는 상기 제1 측면(232)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1 돌기(270)는 상기 제1 측면(232)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270)는 상기 출사면(220)으로부터 연장된 제1 면(271), 상기 제1 면(271)과 대향하는 제2 면(272), 상기 제1 측면(23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제3 면(273), 및 상기 제1 측면(27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제3 면(273)과 만나는 제4 면(27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271)은 상기 출사면(220)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면(272)은 상기 가이드면(210)으로부터 상기 제1 면(27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3 및 제4 면들(273, 274)은 상기 제1 측면(232)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면(271, 272)과 서로 만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광판(200)이 상기 수납용기(500)(도 1 참조) 내에서 유동되면, 상기 제1 돌기(270)는 상기 제3 및 제4 면들(273, 274)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275)와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이 서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제1 돌기(270)의 상기 모서리(275)만이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측면(232)과 상기 측벽(520)은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마찰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제1 돌기(270)의 상기 제3 및 제4 면들(273, 274)을 커버하는 소음 방지 부재(280)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상기 소음 방지 부재(280)가 상기 제1 돌기(270)에 구비된 것을 일례로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돌기(270) 뿐만 아니라, 제2 내지 제9 돌기들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음 방지 부재(280)는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과 상기 제1 돌 기(270)간의 마찰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1 돌기(270) 및 상기 수납용기(500)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제1 돌기(270)가 상기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용기(500)가 상기 PC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소음 방지 부재(280)는 상기 PMMA 및 상기 PC 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이하, PET)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PET의 마찰 계수는 약 0.18μ내지 약 0.08μ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소음 방지 부재(28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돌기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수납용기(500)와 결합하여 상기 도광판(200)을 상기 수납용기(500)에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 부재들(250, 2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50)는 상기 제1 측면(23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260)는 상기 제1 측면(232)과 대향하는 제3 측면(233)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부재들(250, 260)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 고, 상기 제2 고정 부재(2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 부재(250)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그 두께는 인접한 제1 측면(23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은 상기 제1 고정 부재(250)를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홀(521)을 더 구비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은 상기 제2 고정 부재(260)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삽입홀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삽입홀(521)은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와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50)는 상기 제1 삽입홀(521)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200)을 상기 수납용기(500)에 고정한다.
상기 도광판(200)이 상기 수납용기(500)의 내부에서 유동되면,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와 상기 측벽(520)의 상기 제1 삽입홀(521)을 정의하는 내면간에 마찰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출사면(220)과 인접한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의 상면(251)과 상기 측벽(520)간의 마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의 상면(251)은 부식 처리된다.
즉,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의 상면(251)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도록 요철들을 구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측벽(250)과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상기 제1 고정 부재(250)와 상기 수납용기(500)의 측벽(520)간의 마찰 때문에, 상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 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고, 그 기능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0)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 유닛(100), 상기 램프 유닛(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 하는 도광판(910), 상기 도광판(200)의 상부에 구비된 광학 시트(300), 상기 도광판(200)의 하부에 구비된 반사시트(400) 및 수납용기(92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유닛(100)은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광을 발생하는 램프(110) 및 상기 램프(110)를 수납하는 램프 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910)은 상기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면광원 형태의 광을 출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램프 유닛(100)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게 형성되는 쐐기 형상을 가지나, 상기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910)은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가이드면(911), 상기 가이드면(911)과 대향하는 출사면(912), 및 상기 가이드면(911) 및 상기 출사면(912)과 인접한 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면(911)은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출사면(912)으로 제공하는 가이드 패턴(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출사면(912)은 상기 가이드면(911) 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광학 시트(300)로 제공한다.
상기 측부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913) 및 제1 내지 제3 측면들(914, 915, 9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사면(913)은 상기 램프(110)와 마주한다. 상기 제1 측면(914)은 상기 입사면(913)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2 측면(915)은 제1 측면(914)과 인접하고, 상기 입사면(913)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3 측면(916)은 상기 입사면(913)과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면(914)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수납용기(920)는 상기 반사시트(400), 상기 도광판(910) 및 상기 광학 시트(300)를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용기(920)는 바닥면(921), 상기 바닥면(921)으로부터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측벽부(922), 및 상기 측벽부(922)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921)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0)의 무게를 최소화하도록 다수의 개구부(921a)를 갖는다. 상기 바닥면(921)에는 상기 반사시트(400), 상기 도광판(910), 및 상기 광학시트(300)가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 유닛(100)은 상기 수납용기(920)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수납용기(9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측벽부(922)는 제1 내지 제4 측벽들(922a, 922b, 922c, 922d)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측벽(922a)은 상기 램프 유닛(100)과 접하며, 상기 램프 유닛(100)은 상기 도광판(910)과 상기 제1 측벽(922a)과의 사이에 수납된다. 상기 제2 측벽(922b)은 상기 제1 측벽(922a)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3 측벽(922c)은 상기 제2 측벽(922b)과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벽(922a)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4 측벽(922d)은 상기 제3 측벽(922c)과 인접하고, 상기 제2 측벽(922b)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제2 내지 제4 측벽(922b, 922c, 922d)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내지 제4 측벽들(922b, 922c, 922d)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제2 내지 제4 측벽들(922b, 922c, 922d)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도광판(910)의 측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91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상기 제1 측벽(922a)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다수의 돌기는 제1 내지 제9 돌기들(923a, 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돌기들의 개수는 상기 도광판(910)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들(923a, 923b, 923c)은 상기 제2 측벽(922b)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4 내지 제6 돌기들(923d, 923e, 923f)은 상기 제3 측벽(922c)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7 내지 제9 돌기들(923g, 923h, 923i)은 상기 제4 측벽(922d)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923a, 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은 상기 수납용기(920) 안에 구비된 상기 도광판(91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유동될 경우, 상기 도광판(910)의 제1 내지 제3 측면들(914, 915, 916)과 상기 수납용기(910)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0)는 상기 도광판(910)과 상기 수납용기(920)간의 마찰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923a, 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상기 제1 돌기(923a)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 내지 제9 돌기들(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돌기(923a)는 상기 제2 측벽(922b)에 구비되고, 삼각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돌기(923a)는 상기 삼각뿔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각뿔 형상, 예컨대, 사각뿔 형성, 오각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돌기(923a)는 일면(PS)은 상기 수납용기(920)의 상기 바닥면(921)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도광판(910)이 상기 수납용기(920) 내에서 유동되면, 상기 제1 돌기(923a)는 각뿔의 꼭지점(PA)만이 상기 도광판(910)과 접촉된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용기(920)는 상기 광학 시트(300)의 홀들(311, 321)과 대응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924a, 924b)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924a, 924b)은 상기 홀들(311, 321)에 삽입되어 상기 광학 시트(300)를 상기 수납용기(920)에 고정한다.
상기 수납용기(920)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9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92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921a, 921b, 921c, 921d)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921a, 921b, 921c, 921d)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0)는 상기 수납용기(9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백 커버(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램프 유닛(100)이 수납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방출한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램프 커버(120)의 하부면 및 상기 수납용기(920)의 제1 측벽(921a)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상기 백 커버(600)를 상기 램프 커버(120)와 별도로 구비하나, 상기 백 커버(600)의 기능을 갖는 램프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백 커버(60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기 다수의 돌기와 상기 도광판(910)간의 위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용기와 상기 도광판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923a, 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은 상기 도광판(910)과의 위치 관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돌기(923a)와 상기 도광판(910)간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판(400), 상기 도광판(910) 및 상기 광학시트(300)는 상기 수납용기(920)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상기 수납용기(920)의 제2 측벽(922b)에 구비된 상기 제1 돌기(923a)는 상기 제2 측벽(922b)과 상기 도광판(910)의 제1 측면(914)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돌기(923a)의 높이(H2)는 상기 수납용기(920)의 제2 측벽(922b)과 상기 도광판(910)의 제1 측면(914)과의 거리(D)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923a)는 상기 약 0.8㎜의 폭(W2)을 갖고, 약 0.4㎜의 높이(H2)를 갖는다.
상기 제1 돌기(923a)의 상기 각뿔의 꼭지점(PA)은 상기 도광판(910)의 제1 측면(914)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도광판(910)이 상기 수납용기(920) 내에서 유동되면, 상기 수납용기(920)는 상기 도광판(910)의 제1 측면(914)과 상기 제1 돌기(923a)가 서로 접촉되며, 상기 제1 측면(914)과 상기 제2 측벽(922b)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제1 돌기(923a)는 상기 각뿔의 꼭지점(PA)만 상기 도광판(910)의 제1 측면(914)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수납용기(920)는 상기 도광판(910)의 제1 측면(914)과 점접촉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광판(910)이 상기 수납용기(920) 내에서 유동되면, 상기 제2 내지 제9 돌기들(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도 11 참조)도 상기 제1 돌기(923a)와 마찬가지로, 각뿔의 꼭지점만 상기 도광판(910)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용기(920)의 측벽들(922a, 922b, 922c, 922d)은 상기 도광판(910)이 상기 수납용기(920) 안에서 유동되면,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923a, 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의 각뿔의 꼭지점들만이 상기 도광판(910)의 측부와 접촉된다.
특히,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0)가 외부의 힘에 의해 뒤틀리면, 상기 도광판(910)과 상기 수납용기(920)간에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한다. 상기 수납용기(920)는 상기 제1 내지 제9 돌기들(923a, 923b, 923c, 923d, 923e, 923f, 923g, 923h, 923i)의 각뿔의 꼭지점들만이 상기 도광판(910)의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들(914, 915, 916)(도 10 참조)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910)과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0)는 상기 도광판(910)과 상기 수납용기(920)간의 마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에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200)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번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100), 상기 광을 발생하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0), 및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1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탑 샤시(13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100)는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110),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인쇄회로기판(1120), 데이터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들(1130), 및 게이트측 TCP들(11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1111), 상기 TFT 기판(1111)과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컬러필터 기판(1112) 및 상기 TFT 기판(111)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1112)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1111)은 다수의 화소(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된다. 각 화소는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라인(미도시)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각 화소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동작되는 TFT 및 화소 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1112)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RGB 색화소(미도시) 및 공통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TFT 기판(1111)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1112)과의 사이에는 상기 액정층이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의 소오스측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에는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칩, 상기 구동신 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등이 실장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의 일 단부에는 상기 데이터측 TCP들(1130)이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측 TCP들(11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으로부터 인가된 상기 구동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로 제공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의 게이트측에는 상기 게이트측 TCP들(1140)이 부착된다. 상기 게이트측 TCP들(11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으로부터 인가된 상기 게이트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로 인가한다.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100)의 아래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로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0)가 구비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0)에 구비된 수납용기(500)에 수납된다. 상기 수납용기(500)에 구비된 가이드부(54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의 위치를 가이드 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의 상부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을 상기 수납용기(500)에 고정하는 상기 탑 샤시(1300)가 구비된다. 상기 탑 샤시(13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0)에 구비된 수납용기(500)와 대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10)을 상기 수납용기(500)에 고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및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납용기의 측벽과 인접한 돌기들을 갖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도광판은 수납용기 내에서 유동되면, 돌기들만이 수납용기의 측벽과 접촉되고, 도광판의 측면은 수납용기의 측벽과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광판은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외부의 힘에 의해 뒤틀리더라도 수납용기의 측벽과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와 도광판간의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 및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도광판의 측면과 인접한 돌기들을 갖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도광판이 수납용기 안에서 유동되더라도 돌기들만이 도광판의 측면과 접촉되고, 수납용기의 측벽과 도광판이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납용기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외부의 힘에 의해서 뒤틀리더라도 도광판의 측면과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와 도광판간의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수납용기; 및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용기와 점 접촉하는 돌기를 갖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기판의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돌기의 적어도 세 개의 면이 만나는 꼭지점과 상기 수납용기의 측벽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기판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도광판은,
    상기 돌기의 외면을 커버하고, 상기 수납용기 및 상기 돌기 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수납용기; 및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용기와 선 접촉하는 돌기를 갖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기판의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프리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기판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돌기의 외면을 커버하고, 상기 수납용기 및 상기 도광판 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7.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이 안착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도 광판의 측부와 마주하도록 연장된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도광판의 측부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도광판의 측부와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도광판의 측부와 선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0.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고,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용기와 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고,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용기와 선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패널로 제공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이 안착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측부와 마주하도록 연장된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도광판의 측부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50041734A 2005-05-18 2005-05-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60119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734A KR20060119137A (ko) 2005-05-18 2005-05-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US11/388,572 US20060262570A1 (en) 2005-05-18 2006-03-24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129796A JP2006323382A (ja) 2005-05-18 2006-05-09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CNA200610082726XA CN1866107A (zh) 2005-05-18 2006-05-15 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734A KR20060119137A (ko) 2005-05-18 2005-05-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137A true KR20060119137A (ko) 2006-11-24

Family

ID=3742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734A KR20060119137A (ko) 2005-05-18 2005-05-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62570A1 (ko)
JP (1) JP2006323382A (ko)
KR (1) KR20060119137A (ko)
CN (1) CN1866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309A (ko) * 2011-08-31 2013-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US9964696B2 (en) 2011-05-27 2018-05-08 Lg Innotek Co., Ltd. Lightin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13543A (en) * 2006-09-08 2008-03-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Backlight module and flat panel display
JP4962086B2 (ja) * 2007-03-28 2012-06-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104770B2 (ja) * 2008-03-28 2012-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US20100082356A1 (en) * 2008-09-30 2010-04-0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career paths
KR20100127177A (ko) * 2009-05-25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US20110299298A1 (en) * 2010-06-08 2011-12-08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Inc. Backlight module
TWI561868B (en) * 2014-05-23 2016-12-1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Back plate assembly and backlight module
CN110082962A (zh) * 2019-05-30 2019-08-02 伟志光电(深圳)有限公司 一种结构轻薄化的侧入式背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9554B2 (en) * 2000-12-27 2005-06-21 Finisar Corporation Wafer integration of micro-optics
TW548479B (en) * 2001-02-27 2003-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for the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43716A (ja) * 2003-07-23 2005-02-1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20060079234A (ko) * 2003-09-19 2006-07-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TWI249056B (en) * 2004-01-29 2006-02-11 Quanta Display Inc Shock damping design backlight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4696B2 (en) 2011-05-27 2018-05-08 Lg Innotek Co., Ltd. Lighting module
KR20130024309A (ko) * 2011-08-31 2013-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6107A (zh) 2006-11-22
US20060262570A1 (en) 2006-11-23
JP2006323382A (ja)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913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0840715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7006168B2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fixing groove and fixing member to secure display module
KR100953424B1 (ko) 양방향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액정표시장치
EP312164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43120B1 (ko) 백라이트 유닛,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6008902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13886B1 (ko) 액정표시장치
CN106842694B (zh) 背光单元及包括其的显示装置
JP2005235771A (ja) 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100069365A (ko) 표시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602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0901252B2 (en) Display device
CN108121110B (zh) 液晶显示装置及包括液晶显示装置的电子装置
US987467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70350B1 (ko) 표시 장치
KR2007004801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611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3072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5198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30008791A (ko)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700164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바텀
KR1016215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605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72887A (ko)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