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110B1 -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110B1
KR100495110B1 KR10-2002-0050460A KR20020050460A KR100495110B1 KR 100495110 B1 KR100495110 B1 KR 100495110B1 KR 20020050460 A KR20020050460 A KR 20020050460A KR 100495110 B1 KR100495110 B1 KR 10049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tray
chassis
record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822A (ko
Inventor
요 카메이
나오타카 세키타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를 섀시에 수납시에 플렉시블 배선판의 일부분이 트레이와 섀시의 틈새에 끼워지지 않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플렉시블 배선판(13)은, 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15)과, 제 1 배선판(15)과 반대방향(A방향)으로 되접어 꺾이는 제 2 배선판(17, 19)을 갖는다. 제 2 배선판(17, 19)은, 만곡부분(17b, 19b)이 되는 제 1 구간(17A, 19A)과, 만곡부분(17b, 19b)과 단자(17a, 19a) 사이에 형성된 제 2 구간(17B, 19B)으로 나누어진다. 제 2 구간(17B, 19B)의 측방에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보강부(44, 46)가 설치된다. 보강부(44, 46)는, 사다리꼴형으로 돌출하고, 제 2 구간(17B, 19B)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성을 높인다. 그 때문에, 제 2 구간(17B, 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 기록재생장치{FLEXIBLE WIRING BOAR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측과 가동측 사이를 만곡되게 접속하고, 가동측의 이동에 따라서 만곡부분도 이동하도록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CD-ROM 또는 CD-R, CD-RW, DVD-ROM, DVD-RAM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하, 「디스크」라고 칭함) 등의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디스크장치에서는,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의 요구에 따라, 디스크장치 자체를 박형화를 꾀하고 있고, 이 때문에 디스크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좁게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에는, 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에 클램프된 디스크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광 픽업이 설치된다. 그리고, 디스크장치에서는, 섀시 내부에 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가동측인 트레이와 고정측인 섀시 내의 기판 사이가 플렉시블 배선판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판은, 평면 형상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섀시 내의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되고, 타단이 일단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만곡되어 트레이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트레이의 이동에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판의 만곡부분도 이동하여 트레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종래 예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a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장치(102)를 구성하는 트레이(106)에는, 디스크가 적재되는 턴테이블(134)과,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픽업부(도시하지 않음)등이 설치된다.
또한, 트레이(106)와 섀시(104) 사이에는, 플렉시블 배선판(110)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배선판(110)은, 트레이(106)와 섀시(104)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만곡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판(110)은, 트레이(106)에 배치된 기판(138)과 섀시(104)내에 배치된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고, 트레이(106)가 이동할 때, 만곡부(110a)가 트레이(106)의 활주에 따라 섀시(104)내를 이동한다.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장치(102)의 박형화에 의해 섀시(104) 내부는 좁고, 플렉시블 배선판(110)이 완만하게 휠 수 없다. 따라서, 트레이(106)가 섀시(104)내에 수납될 때에는, 플렉시블 배선판(110)의 만곡부(110a)가 섀시(104)의 상부판(104a)에 접촉한다. 그 경우, 상부판(104a)과의 접촉저항에 의해 만곡부(110a)가 활주할 수 없게 되면, 플렉시블 배선판(110)이 느슨해져 버려 트레이(106)와 섀시(104)의 틈새(108)로부터 플렉시블 배선판(110)의 일부분(110b)이 비어져 나와 버린다.
또한, 트레이(106)가 섀시(104)내로 계속 이동하면, 트레이 후 가장자리(106a)와 섀시 앞 가장자리(104b) 사이에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110)의 비어져 나온 부분(110b)을 끼워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트레이의 섀시 수납시에 플렉시블 배선판의 일부분이 트레이와 섀시의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을 상기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고정측부재와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부재와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을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제 2 배선판의 양측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을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고정측부재와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보강용 도전패턴을 설치하고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보강부에 강성을 갖는 보강막을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더 한층 높여 고정측부재와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판은,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섀시와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부재와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그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상기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판은,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의 양측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기록재생부와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판은,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섀시와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보강용 도전패턴을 설치하고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보강부에 강성을 갖는 보강막을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더 한층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플렉시블 배선판이 적용된 디스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장치(11)는, 예를 들면, CD-ROM 또는 CD-R, CD-RW, DVD-ROM, DVD-RAM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된 드라이브장치로, 트레이(20)에 광 디스크(22)가 적재되어 트레이(20)가 장착위치(B 방향)로 이동되면,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섀시(16)에 설치된 회로기판(12)과 트레이(20)의 하면에 부착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사이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섀시(16)(고정측부재)의 회로기판(12)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일단이 접속되는 커넥터(12a)가 부착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20)(가동측부재)의 기판에는, 턴테이블용 커넥터(14a)와 픽업용 커넥터(14b)가 부착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판(13)은, 고정측 커넥터(12a)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15)과, 가동측 커넥터(14a, 14b)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17, 19)과, 제 1 배선판(15)과 제 2 배선판(17, 19)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21)을 갖는다.
또한, 제 2 배선판(17, 19)은, 제 1 배선판(15)의 연장방향(B 방향)과 반대방향(A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되접어 꺾여 있다. 따라서, 제 2 배선판(17, 19)은, 제 3 배선판(21)으로부터 인출된 부분이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부분(17b, 19b)이 트레이(20)의 활주동작에 따라서 이동한다.
트레이(20)는, 광 디스크(22)를 클램프하여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18)과, 광 디스크(2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광 디스크(22)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광 디스크(22)에 기록된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광 픽업(26)을 갖는다.
또한, 트레이(20)는, 섀시(16)에 대하여 가이드레일기구(40, 42)에 의해 A, B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수동조작으로 디스크 교환위치 또는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한다.
도 2는 트레이를 디스크 장착위치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레이를 디스크 장착위치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장치(11)는, 트레이(20)의 중앙에 턴테이블(18)을 갖고, 턴테이블(18)은 디스크(22)의 중앙 구멍에 끼워 맞춰져 디스크(22)를 내주로부터 클램프하는 클램프기구(23)를 갖는다. 또한, 턴테이블(18)의 주위에는, 광 디스크(22)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인 디스크 수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수납부(24)의 아래쪽에는, 턴테이블(18)의 클램프기구(23)에 클램프된 디스크(22)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광 픽업(26)이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광 픽업(26)은, 디스크 수납부(24)의 오목부(24a)에 수납되어 있고, 이 오목부(24a)는 광 픽업(26)의 대물렌즈(27)가 이동하는 범위에 개구(28a)를 갖는 픽업커버(28)로 덮여 있다. 또한, 트레이(20)의 앞단에 결합된 앞면 베젤(30)은, 중앙에 이젝트 버튼(32)이 설치된다.
또한, 턴테이블(18)의 아래쪽에는, 턴테이블(18) 및 클램프기구(23)에 클램프된 디스크(22)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앞면 베젤(30)에 설치된 이젝트 버튼(32)이 가압조작되면, 섀시(16)상에 설치된 잠금(lock)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트레이(20)의 걸림이 해제된다. 트레이(20)는, 양측의 가이드 레일기구(40, 42)를 통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이 해제된 트레이(20)는 수동조작에 의해 A방향으로 활주하여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된다.
또한,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된 트레이(20)의 턴테이블(18)에 디스크(22)가 클램프된다. 그 후, 조작자는, 앞면 베젤(30)을 B 방향으로 가압조작함으로써, 트레이(20)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디스크 장착위치로 복귀시킨다. 한편, 디스크 장착위치로 복귀한 트레이(20)는, 섀시(16)상에 설치된 잠금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걸린다.
도 2 및 도 3에서, 픽업구동기구(34)는, 광 픽업(26)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35, 36)와, 광 픽업(26)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7)와, 구동모터(37)의 회전구동력을 광 픽업(26)에 전달하는 전달기구(38)로 구성된다.
또한, 광 픽업(26)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35, 36)에 걸어 맞추어져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어링부(26a∼26c)가 돌출되어 있다. 전달기구(38)는, 구동모터(37)의 회전을 감속하는 기어군(38a)과, 기어군(38a)을 통해 회전구동되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38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광 픽업(26)은, 리드 스크루(38b)의 나선홈에 걸어맞추는 걸어 맞춤부(26d)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모터(37)의 회전이, 기어군(38a)을 통해 리드 스크루(38b)에 전달됨으로써 광 픽업(26)이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플렉시블 배선판(1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장착상태를 확대하고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장착전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플렉시블 배선판(13)은, 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15)과, 제 1 배선판(15)과 반대방향(A 방향)으로 되접어 꺾이는 제 2 배선판(17, 19)과, 제 1 배선판(15) 및 제 2 배선판(17, 1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3 배선판(21)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배선판(15) 및 제 3 배선판(21)은, 섀시(16)의 상면에 밀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 1 배선판(15)은, 섀시(16)를 따라가도록 배치되어, 그 단부에 고정측의 커넥터(12a)에 접속되는 단자(15a)가 설치된다. 또한, 제 2 배선판(17, 19)은, 제 3 배선판(21)으로부터 제 1 배선판(15)과 평행한 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조립 공정에서 180°방향으로 만곡되어, 그 앞단에 커넥터(14a, 14b)에 접속되는 단자(17a, 19a)가 설치된다.
제 2 배선판(17, 19)의 만곡부(17b, 19b)는, 섀시(16)와 상부판의 사이에 수납되는 곡률반경이 되도록 구부려진다.
제 2 배선판(17, 19)은, 트레이(20)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만곡부분(17b,, 19b)이 되는 제 1 구간(17A, 19A)과, 만곡부분(17b, 19b)과 단자(17a, 19a)의 사이에 형성된 제 2 구간(17B, 19B)으로 나누어진다.
이 제 2 구간(17B, 19B)의 측방에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보강부(44, 46)가 설치된다. 보강부(44, 46)는,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도로 보면 사다리꼴형으로 돌출하고 있어, 제 2 구간(17B, 19B)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성을 높인다.
또한, 제 2 구간(17B, 19B)은, 트레이(20)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하였을 때,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52)에 대향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보강부(44, 46)는, 양단에 A 및 B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α1∼α4)로 경사진 경사부(44a, 44b, 46a, 46b)를 갖는다. 경사부(44a, 44b, 46a, 46b)는, 트레이(20)가 A 및 B 방향으로 활주할 때, 상기 트레이(20)의 후단부(48) 또는 섀시(16)의 전단부(50)에 미끄러져 접촉하였을 때에 보강부(44, 46)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트레이(20) 및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트레이(20)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6b는 트레이(20)를 디스크 장착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과정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것처럼, 트레이(20)를 A 및 B 방향으로 활주시킬 때, 제 1 구간(17a, 19a)이 상부판(54)에 접촉한 상태로 만곡부분(17b, 19b)이 A 및 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 상부판(54)과의 마찰에 의해 만곡부분(17b, 19b)의 이동이 멈추면, 제 2 구간(17B, 19B)을 아래쪽으로 내려 누르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제 2 구간(17B, 19B)은, 보강부(44, 46)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간(17a, 19a) 보다도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트레이(20)를 장착위치로 활주시키는 과정에서 상부판(54)과의 활주저항에 의해서 만곡부분(17b, 19b)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라도, 제 2 구간(17B, 19B)에서의 가압력에 의해서 만곡부분(17b, 19b)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 2 구간(17B, 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판(13)은, 트레이(20)를 이동시킬 때에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없게 되어, 트레이(20)의 장착동작을 부드럽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44, 46)의 돌출형상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사다리꼴형에 상관없이 다른 형상(예를 들면, 반원형태, 반타원형태 등)으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다음에,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1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예 1의 플렉시블 배선판(13A)은, 보강부(44, 46)가 설치된 제 2 구간(17B, 19B)의 이면에 보강막(60)(도 7에서 점선에 의한 해칭으로 나타냄)이 실크 스크린 인쇄법으로 피복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막(60)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소재보다도 강성이 높은 재질의 도료를 도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예 1의 플렉시블 배선판(13A)에서는, 제 2 구간(17B, 19B)의 이면에 보강막(60)이 피복되어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 2 구간(17B, 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절연층의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등의 수지재가 사용되지만, 기록재생장치(11)의 사용온도,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제 2 구간(17B, 19B)의 이면에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료를 인쇄하여 보강막(60)을 형성하였지만, 도료의 재질이나 상부판(54)의 구조 등에 의해서 이면 및 표면 또는 그 중 어느 한쪽의 면만 실크 스크린 인쇄를 시행하는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제 2 구간(17B, 19B)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료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의한 인쇄 이외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예 2의 플렉시블 배선판(13B)은, 다른 회로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킬 때에, 보강부(44, 46)의 내부에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을 형성하여,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을 절연층으로 피복한다.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은, 통상의 회로패턴과 마찬가지로 동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회로패턴보다도 폭이 넓고, 면적이 크기 때문에, 강성력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변형예 2에서는, 보강부(44, 46)의 내부에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이 형성되어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 2 구간(17B, 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변형예 2에서,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의 형상 및 재질은, 상기한 것으로 한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9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3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한편, 도 9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예 3의 플렉시블 배선판(13C)은, 보강부(44, 46)가 설치된 제 2 구간(17B, 19B)의 이면에 보강막(60)(도 9에서 점선으로 나타냄)이 실크 스크린 인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판(13C)은, 다른 회로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킬 때에, 보강부(44, 46)의 내부에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을 형성하여,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을 절연층으로 피복한다.
이와 같이, 변형예 3에서는, 제 2 구간(17B, 19B)의 이면에 보강막(60)이 피복되어 강성이 높아지고, 또한 보강부(44, 46)의 내부에 보강용 도전패턴(62, 64)이 형성되어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 2 구간(17B, 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도 10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4의 장착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4의 장착전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a는 평면도, 도 11b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0b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예 4의 플렉시블 배선판(13)에서는, 제 2 배선판(17, 19)의 제 2 구간(17B, 19B)의 측방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보강부(44, 46, 67)가 설치된다.
보강부 67은, 제 2 배선판(19)의 일측에 설치된 보강부 46과 대칭이 되는 타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 46과 마찬가지로 경사부(67a, 67b)를 갖는다.
제 2 배선판(19)에서는, 제 2 구간(19B)의 양측에 보강부(46, 67)이 돌출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구간(19B)의 도전패턴 폭치수 L2는, 제 1 구간(19A)의 도전패턴 폭치수 L1보다도 폭이 넓게 되어 있다(L2>L1). 따라서, 보강부(44, 46, 67)는, 도 11a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도로 보면, 사다리꼴형으로 돌출하고 있어, 제 2 구간(17B, 19B)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제 2 배선판(13)은, 제 2 구간(19B)의 양측에 보강부(46, 67)가 설치되어 강성이 더한층 높아지기 때문에, 제 2 구간(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판(13)에 전술한 실크 스크린 인쇄법에 의한 보강막(60)(도 7에서 점선에 의한 해칭으로 나타냄)을 피복 형성하여도 된다.
도 12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5의 장착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a는 평면도, 도 12b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5의 장착전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3a는 평면도, 도 13b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서,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 및 도 12b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예 5의 플렉시블 배선판(13)은, 제 2 배선판(19)에는 단자(19a)에 접속된 도전패턴(70)이 형성되어 있고, 도전패턴(70)의 제 2 구간(19B)에 대응하는 범위의 양측에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보강용 도전패턴(도 12 및 도 13에서, 점선으로 나타냄)(68, 69)이 설치된다.
제 2 배선판(19)에서는, 도전패턴(70)의 양측에 폭이 넓은 형상의 보강용 도전패턴(68, 6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구간(19B)의 폭치수 L2는, 제 1 구간(19A)의 폭치수 L1보다도 폭이 넓게 되어 있다(L2>L1). 따라서, 보강용 도전패턴(68, 69)은, 제 2 구간(19B)의 도전패턴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상기 도전패턴(70)은, 폭치수는, 도 11에 나타낸 제 2 배선판(19)의 폭치수 L1과 거의 동일치수이고, 보강용 도전패턴(68, 69)이 되는 부분의 폭치수가 제 2 배선판(19)의 폭치수 L2와 거의 동일치수이다.
이와 같이, 변형예 5에서는, 도전패턴(70)중 제 2 구간(19B)에 대응하는 범위의 양측에 보강용 도전패턴(68, 69)이 설치되기 때문에, 강성이 더한층 높아지고, 제 2 구간(19B)이 트레이(20)의 후단부(48)와 섀시(16)의 전단부(50)의 사이의 틈새(52)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판(13)은, 이면에 전술한 실크 스크린 인쇄법에 의한 보강막(60)(도 7에서 점선에 의한 해칭으로 나타냄)을 피복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보강용 도전패턴(68, 69)은, 다른 회로패턴(신호선)과 별개로 설치하여도 되고, 다른 회로패턴(신호선)과 일체로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CD-ROM 또는 CD-R, CD-RW, DVD-ROM, DVD-RAM 등의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드라이브장치로 이루어진 디스크장치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다른 전자기기(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를 만곡하여 접속하고, 가동측의 이동에 따라서 만곡부분도 이동하도록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판을 갖는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것처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을 상기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측이 플렉시블 배선판을 끼워서 복귀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을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제 2 배선판의 양측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이고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을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고정측부재와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보강용 도전패턴을 설치하고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강부에 강성을 갖는 보강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더한층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가동측이 플렉시블 배선판을 끼워서 복귀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판은,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섀시와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 섀시와 가동측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가 플렉시블 배선판을 끼워서 복귀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그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상기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판은, 섀시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트레이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제 2 배선판의 양측에 폭을 넓힌 보강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가 플렉시블 배선판을 끼워서 복귀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기록재생부와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판은, 섀시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트레이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섀시와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보강용 도전패턴을 설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강성을 높여 고정측과 가동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제 2 배선판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강부에 강성을 갖는 보강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의 강성을 더한층 높여 고정측 섀시와 가동측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가 플렉시블 배선판을 끼워서 복귀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플렉시블 배선판이 적용된 디스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트레이를 디스크 장착위치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트레이를 디스크 장착위치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장착상태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5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장착전의 상태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6은 트레이(20) 및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트레이(20)가 디스크 교환위치에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b)는 트레이(20)가 디스크 장착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과정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7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1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2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3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4의 장착상태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11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4의 장착전의 상태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12는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5의 장착상태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13은 플렉시블 배선판(13)의 변형예 5의 장착전의 상태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14는 종래예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트레이가 디스크 교환위치에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b)는 트레이가 디스크 장착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과정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디스크장치 12 : 회로기판
12a, 14a, 14b :커넥터 15 : 제 1 배선판
15a, 17a, 19a : 단자 16 : 섀시
17, 19 : 제 2 배선판 17b, 19b : 만곡부분
17A, 19A : 제 1 구간 17B, 19B : 제 2 구간
18 : 턴테이블 20 : 트레이
21 : 제 3 배선판 22 : 광 디스크
23 : 클램프기구 26 : 광 픽업
40, 42 : 가이드레일기구 30 : 앞면 베젤
52 : 틈새 44, 46, 67 : 보강부
44a, 44b, 46a, 46b, 67a, 67b : 경사부
60 : 보강막 62, 64, 68, 69 : 보강용 도전패턴
70 : 도전패턴

Claims (8)

  1.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배선판을 상기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부재와 상기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폭을 넓힌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강성을 갖는 보강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2.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배선판을 상기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판의 양측에 폭을 넓힌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 2 배선판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3. 고정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가동측부재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배선판을 상기 제 1 배선판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켜 부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부재와 상기 가동측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보강용 도전패턴을 설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 강성을 갖는 보강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5.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그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상기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상기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선판의 양측에 폭을 넓힌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강성을 갖는 보강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그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상기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상기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폭을 넓힌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 2 배선판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7.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그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와, 상기 트레이를 기록매체 교환위치 또는 기록매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와 상기 섀시의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섀시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1 배선판과, 상기 트레이측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 2 배선판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기 제 1 배선판과 제 2 배선판을 접속하는 제 3 배선판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대향하는 제 2 배선판의 대향부분에 보강용 도전패턴을 설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 강성을 갖는 보강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2002-0050460A 2001-09-04 2002-08-26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기록재생장치 KR100495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7760 2001-09-04
JP2001267760 2001-09-04
JP2002105678A JP4016696B2 (ja) 2001-09-04 2002-04-08 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そのフレキシブル配線板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JP-P-2002-00105678 2002-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822A KR20030020822A (ko) 2003-03-10
KR100495110B1 true KR100495110B1 (ko) 2005-06-14

Family

ID=266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60A KR100495110B1 (ko) 2001-09-04 2002-08-26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3268B2 (ko)
JP (1) JP4016696B2 (ko)
KR (1) KR100495110B1 (ko)
CN (1) CN100385566C (ko)
TW (1) TW5691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007A (ja) * 2001-09-26 2003-04-04 Sony Corp ディスク式記録再生装置
US20040246827A1 (en) * 2003-05-21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evice
US7636925B2 (en) * 2004-03-31 2009-12-22 Sony Corporation Disk drive device and base unit
JP4219844B2 (ja) * 2004-04-09 2009-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JP4490778B2 (ja) * 2004-09-30 2010-06-30 京セラ株式会社 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100667342B1 (ko) * 2005-02-07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의 데이터 라인 스위칭 회로
JP4790463B2 (ja) * 2006-03-27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7885034B2 (en) * 2006-09-13 2011-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actless method for power and communications in a tape library
JP2008117464A (ja) * 2006-11-02 2008-05-22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9110599A (ja) * 2007-10-30 2009-05-21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2011165226A (ja) * 2010-02-04 2011-08-25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CN102467937A (zh) * 2010-11-03 2012-05-23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盘烧录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032U (ko) * 1986-10-29 1988-05-17
JPH0546072U (ja) * 1991-11-27 1993-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伝送ケーブル支持装置
JPH07254264A (ja) * 1994-03-16 1995-10-03 Teac Corp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取付構造
JPH10199207A (ja) * 1997-01-13 1998-07-3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0090656A (ja) * 1998-09-16 2000-03-31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228082A (ja) * 1999-02-05 2000-08-15 Alpine Electronics Inc 移動部材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0339946A (ja) * 1999-05-28 2000-12-08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2000339950A (ja) * 1999-05-28 2000-12-08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8185A (ja) * 1993-05-25 1994-12-06 Sony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とディスク装置
TW423693U (en) * 1995-07-26 2001-02-21 Teac Corp Disk device hav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 providing a small-height structure
JPH10283703A (ja) * 1997-04-02 1998-10-23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パ及び前記ディスククランパ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3714779B2 (ja) * 1997-11-04 2005-11-0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11630A (ja) * 1998-06-22 2000-01-14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
JP3069840U (ja) * 1999-12-21 2000-07-04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603723B2 (en) * 2000-07-28 2003-08-05 Tea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loading device
US20040117807A1 (en) * 2001-03-01 2004-06-17 Shoji Takahashi Disk drive device
WO2002084665A1 (fr) * 2001-04-10 2002-10-24 Citizen Watch Co.,Ltd. Lecteur de disque
WO2003017279A1 (fr) * 2001-08-16 2003-02-27 Citizen Watch Co., Ltd. Dispositif lecteur de disque
TWI220755B (en) * 2002-02-22 2004-09-01 Teac Corp Optical disc device
JP2003309381A (ja) * 2002-04-15 2003-10-31 Mitsumi Electric Co Ltd 可撓性配線基板の配設構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032U (ko) * 1986-10-29 1988-05-17
JPH0546072U (ja) * 1991-11-27 1993-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伝送ケーブル支持装置
JPH07254264A (ja) * 1994-03-16 1995-10-03 Teac Corp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取付構造
JPH10199207A (ja) * 1997-01-13 1998-07-3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0090656A (ja) * 1998-09-16 2000-03-31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228082A (ja) * 1999-02-05 2000-08-15 Alpine Electronics Inc 移動部材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0339946A (ja) * 1999-05-28 2000-12-08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2000339950A (ja) * 1999-05-28 2000-12-08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3268B2 (en) 2006-08-15
KR20030020822A (ko) 2003-03-10
JP2003158347A (ja) 2003-05-30
US20030045177A1 (en) 2003-03-06
CN100385566C (zh) 2008-04-30
JP4016696B2 (ja) 2007-12-05
TW569187B (en) 2004-01-01
CN1407556A (zh) 200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550B1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100495110B1 (ko)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기록재생장치
US6910218B2 (en) Slim type optical disc drive
US6529461B1 (en) Disk apparatus having a contacting member contacting an outermost area of a disk for protecting the disk from damage due to a shock
EP0650166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disc reproducing device
KR101050832B1 (ko) 디스크 구동 장치, 디스크 구동 유니트, 광학 픽업장치
EP2101330B1 (en) Disk device
US6449234B1 (en) Disk player loading a disk with improved insertion and loading
US7243358B2 (en) Slim optical disc drive
KR100221672B1 (ko) 디스크 유닛
KR100480642B1 (ko)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US5657184A (en) Disk drive
US6459671B1 (en) Disk tray shift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player
KR20030069804A (ko) 디스크장치
EP1109167B1 (en) Disk cartridge and disk drive unit
US5488526A (en) Disk drive device having a spindle motor and a head carriage section both provided in a disk cassette loading area
JP3852151B2 (ja) 電子機器のフレキシブル配線体固定構造
JP200232438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282009B1 (ko) 디스크 장치
JP2922047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3702781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842988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가요성 케이블
JP5050984B2 (ja) メカデッキ装置
JP3065056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343576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