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672B1 - 디스크 유닛 - Google Patents

디스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672B1
KR100221672B1 KR1019960010944A KR19960010944A KR100221672B1 KR 100221672 B1 KR100221672 B1 KR 100221672B1 KR 1019960010944 A KR1019960010944 A KR 1019960010944A KR 19960010944 A KR19960010944 A KR 19960010944A KR 100221672 B1 KR100221672 B1 KR 10022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hassis
disc
disk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979A (ko
Inventor
다까시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97000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9Insertion of discs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prior to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 유닛은 트레이(2)와 미끄럼 제한 부재(51)을 포함한다. 트레이(2)는 섀시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크 구동위치와 섀시의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크 방출 위치 사이로 디스크를 이송한다. 미끄럼 제한 부재(51)는 트레이(2)와 섀시(1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며, 트레이(2)가 인출되어 디스크 방출 위치에 도달할 때 트레이(2)가 디스크 방출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트레이(2)와 섀시(10)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부(57)와 결합한다. 또한, 미끄럼 제한부재(51)는 트레이(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위치와 트레이(2)의 후단부로부터 전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트 유닛
제1도는 모터 및 구동 토오크 전달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종래기술의 디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종래기술의 미끄럼 제한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스크 유닛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스크 유닛의 일 실시예의 부품들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제6도는 구동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섀시의 밑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7도는 구동기구의 밑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8도는 픽업 구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9도는 픽업 구동기구를 기부에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미조립 부품들의 사시도이다.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각각 설치홀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제11도는 트레이 미끄럼 기구 및 미끄럼 제한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미끄럼 제한 기구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제13도는 보조섀시 및 고정기구의 부품들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제14도는 보조섀시 및 고정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15도는 고정기구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6도는 비상손잡이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7도는 덮개 내에 형성된 돌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18a도 및 제18b도는 덮개 내에 형성된 돌출부를 보여주는 각각의 횡단면도이다.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각각 미끄럼 제한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장치 2 : 트레이
8 : 고정기구 12 : 버튼
17,18 : 레일 20 : 피니언
33 : 홀더 37 : 판스프링
본 발명은 대체로 디스크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트북 타입의 개인용 컴퓨터 등의 내에 CD-롬 구동장치로서 포함되어 있는 디스크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베이스나 소프트웨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컴팩트 디스크(소위 CD : 직경 12cm 및 8cm)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컴팩트 디스크로부터 레이저 타입의 픽업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컴팩트 디스크를 노트북 타입의 개인용 컴퓨터 등에 포함시키기 위해서, 섀시(chassis) 내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는 내장형 디스크 유닛(CD-롬 구동장치)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디스크 유닛에서는, 디스크가 설치된 트레이(tray)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었다. 트레이가 디스크 유닛의 섀시에 외부면으로 이동되면 디스크가 트레이내의 턴테이블 상으로 설치되고, 트레이는 모터의 구동 토오크에 의해서 섀시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모터에 의해서 트레이를 구동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트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구동력을 트레이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디스크 유닛의 소형화 및 디스크 유닛의 두께를 감소시키기가 어렵고, 그 결과 디스트 유닛이 노트북 타입의 개인용 컴퓨터 내로 수용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모터 및 전달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디스크 유닛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디스크 유닛은, 그 내부에서 트레이가 수동식으로 섀시 내의 디스트 구동위치로 그리고 섀시의 바깥쪽의 디스크 교환위치로 각각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구를 갖추고 있다.
제1도는 모터 및 구동토오크 전달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종래기술의 디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디스크 유닛(100)은 트레이(102)가 섀시(101)로부터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된(extracted)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유닛(100)은, 트레이(102)를 섀시(101)의 바깥쪽의 디스크 교환위치로 수동식으로 인출하는 기구를 갖추고 있다. 즉, 디스크 유닛(100)에는 트레이(102)를 섀시(101)로부터 인출하는 안내레일 기구(103,104)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안내레일 기구(103,104)는, 트레이(102)의 양쪽으로 제공되어 있는 이동레일(105) 트레이(102)의 한쪽 측면만이 도시됨과, 이러한 이동레일(105)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하여 섀시(101)의 양쪽 측벽(101a)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레일(106) 섀시(101)의 한쪽 측면만이 도시됨과, 그리고 이들 이동레일(105)과 고정레일(106)의 사이로 각각 제공되어서 이동레일(105) 및 고정레일(106)과 함께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미끄럼 레일(107,108)을 갖추고 있다.
트레이(102)가 섀시(101)로부터 인출되면, 고정레일(106)이 미끄럼 레일(107,108)을 따라서 인출방향으로 미끄러지고, 미끄럼 레일(107,108)도 이동레일(105)을 따라서 인출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안내레일 기구(103,104)내에는 고정레일(106)과 이동레일(105)의 사이로 제공되어 있는 미끄럼 레일(107,108)이 고정레일(106) 및 이동레일(105)과 함께 미끄러질 수 있게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동레일(105)은 미끄럼 레일(107,108)의 미끄럼 이동거리의 약 2배가 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102)가 섀시(101)로부터 인출되도록 연장할 수가 있어서, 트레이(102)의 디스크 교환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섀시(101)로부터 연장하는 트레이(102)의 연장부가 커질수록 트레이(102)내에서의 디스크 교환작용은 더욱 용이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트레이(102)가 소정의 디스크 교환위치까지 연장될 때 트레이(101)가 안내레일 기구(103,104)를 이용하여 섀시(101)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트레이(102)가 소정의 디스크 교환위치로부터 더 인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미끄럼 제한기구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제2도는 종래기술의 미끄럼 제한기구의 측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미끄럼 제한기구는, 섀시(101)의 밑면 상으로 제공되어 있는 미끄럼 제한구(109), 및 이동레일(105)의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편(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레일(105)이 트레이(102)의 인출작동에 의해서 전방으로(도면의 우측으로) 미끄러지면, 미끄럼편(110)도 전방으로 미끄러진다. 미끄럼편(110)이 미끄럼 제한구(109)와 접촉하면, 트레이(102)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의 미끄럼 제한기구에서는 미끄럼편(110)이 이동레일(105)의 뒷면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트레이(102)의 연장부의 길이가 이동레일(105)의 길이에 따라서 정해진다. 따라서, 트레이(102)는 디스크 교환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가 없다. 그 결과, 디스크 교환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교환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제거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유닛에 의해서 달성되는데, 즉 본 발명의 디스크 유닛은 섀시 안쪽의 디스크 구동위치와 섀시 바깥쪽의 디스크 교환위치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운반하는 트레이, 및 트레이와 섀시의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미끄럼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트레이가 인출되어서 디스크 교환위치에 도달하면, 미끄럼 제한 부재가 트레이와 섀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와 결합하여서 트레이를 디스크 교환위치 너머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며, 이러한 미끄럼 제한 부재는 트레이의 후단부의 후방에 위치된 제1위치와 트레이의 후단부의 전방에 위치된 제1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디스크 유닛에 따르면, 트레이를 디스크 교환위치 너머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억제하기 위한 미끄럼 제한 부재가 트레이의 후단부의 후방에 위치된 제1위치와 트레이의 후단부의 전방에 위치된 제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그러므로, 트레이가 미끄럼 제한 부재의 이동거리만큼 섀시로부터 더 인출될 수가 있다. 따라서, 트레이가 섀시로부터 보다 멀리 인출된 곳에서 디스크 교환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이에 대한 디스크 교환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럼 제한 부재에 대하여 제1위치 쪽으로 힘을 작용시키기 위한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디스크 유닛에 의해서도 성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유닛에 따르면, 미끄럼 제한 부재에 대하여 제1위치 쪽으로 힘을 작용시키기 위한 가압부재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압부재에 의해서 트레이는 항상 인출방향으로 밀려지고 있다. 따라서, 미끄럼 제한 부재가 섀시로부터 트레이를 인출시키는 인출기구의 일부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스크 유닛의 저면도이며,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스크 유닛의 부품들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디스크 유닛은 내장형 구동장치(1)로서(이하, '구동장치'라고 한다), 노트북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도시안됨)의 하우징 내부에 포함될 수가 있다.
이 구동장치(1)는, 디스크(도시안됨)를 설치하기 위한 트레이(2)와, 이러한 트레이(2)를 지지하는 보조섀시(3)와, 트레이(2)를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하는 트레이 미끄럼 이동기구(4)와, 보조섀시(3)내에 제공된 광학형 픽업부(5)와, 트레이(2)상으로 설치된 디스크(CD-롬)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6)과,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이동하면 트레이(2)의 미끄럼 이동을 정지시키는 미끄럼 제한기구(7)(이에 대해서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되어 있음)와, 그리고 트레이(2)가 디스크 구동위치로 이동하면 트레이(2)를 고정시키는 고정기구(8)를 갖추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5도에 도시된 덮개(9)가 제거되고 트레이가 소정의 구동위치(구동장치(1)에서 재생과정이 수행되는 위치)로 이동된 (제3도에서 트레이(2)가 일점쇄선으로 도시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트레이(2)는, 디스크(도시안됨)의 직경이 트레이(2)의 폭 보다 넓고 디스크의 일부가 트레이(2)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언급되는 트레이 미끄럼 이동기구(4)를 수동식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트레이(2)가 도면에서 화살표(A,B)로 표시된 양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가 디스크 구동위치로 설정되면, 트레이(2)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트레이(2)가 디스크를 교환하기 위한 디스크 교환위치로 설정되면, 트레이(2)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인출(이동)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1)는 트레이(2)가 수동식으로 양쪽 화살표(A 및 B)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1)의 부품의 숫자는 구동기구(모터 및 구동토오크 전달기구 등으로 구성된)를 갖춘 종래기술의 디스크 유닛의 숫자에 비해서 감소될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섀시(10)는 앞에서 설명된 부재들은 수용하는 수용부(10a), 및 트레이(2)의 바깥쪽에 있는 디스크의 부분을 보호하도록 트레이(2)로부터 인출된 디스크의 부분의 뒷면을 덮어주는 덮개부(10b)를 포함하고 있다. 덮개부(10b)의 아래쪽에는 공간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간 내에는 구동장치(1)가 설치되는 노트북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의 다른 부품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2)의 전단부에는 전방홈(11)이 고정되어 있어서, 이러한 전방홈(11)이 트레이(2)와 함께 양쪽 화살표(A,B)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방홈(11)의 중앙에는 스위치 버튼(12)이 제공되어, 있어서, 트레이(2)를 인출할 때 이후 언급되는 고정기구(8)에 의해서 제어되는 고정부를 해제시킨다. 그러므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위치 버튼(12)이 작동되면,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방홈(11)이 섀시(1)로부터 화살표(A)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다. 그러므로, 트레이(2)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는 디스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디스크와 마주하고 있는 표면(2a)과, 이러한 표면(2a)내에 형성된 픽업 및 턴테이블용 개방부(2b)와, 그리고 표면(2a)상에 설치된 디스크를 끄집어내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원형의 오목부(2c)를 갖추고 있다.
디스크에 인접한 표면(2a)은 섀시(10)의 수용부(10a)를 덮어주도록 그폭이 디스크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표면(2a)이 디스크의 면적의 약 2/3를 덮어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구동장치(1)가 소형화된다.
제5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섀시(3)는 픽업부(5) 및 턴테이블(6)을 갖춘 구동기구(1)가 제공되어 있는 개방부를 정방형의 프레임(3a)과, 앞서 언급된 고정기구(8)가 제공되어 있는 고정기구 설치부(3b)와, 앞서 언급된 구동유닛(21)을 고정시키기 위한 보스(3c)와, 그리고 트레이 미끄럼 이동기구(4)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구멍(3d)을 갖추고 있다. 프레임(3a)상에도 트레이(2)가 설치된다.
트레이 미끄럼 이동기구(4)는 제5도, 제6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섀시(3)의 양측면으로 설치된 한 쌍의 안내레일 기구(15,16)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섀시(10)의 양쪽 측벽(10c)내에 제공된 것이다. 이들 안내레일 기구(15,16)는 나사(13)를 나사구멍(13d)안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부속 조립체(3)안으로 설치된다.
이제, 안내레일 기구(15,16)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안내레일 기구(15,16)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쪽 안내레일 기구(1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안내레일 기구(15)는 보조섀시(3)의 브라켓(3d)내에 고정된 이동레일(17)과, 이러한 이동레일(17)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여 섀시(10)의 측벽과 결합되어 있는 고정레일(18)과, 그리고 이동레일(17)과 고정레일(18)의 사이로 제공되어서 이들 이동레일(17) 및 고정레일(18)과 함께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미끄럼레일(19)을 갖추고 있다.
이동레일(17)과 고정레일(18)은 각각 C자 형상의 횡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레일(17) 및 고정레일(18)의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종방향으로 연장한 랙(제6도에는 이동레일(17)의 랙(17a)만이 도시되어 있음)이 각각 제공되어 있다. 미끄럼레일(19)은 H자 형상의 횡당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동레일(17) 및 고정레일(18)은 각각 미끄럼레일(19)과 결합되어 있다. 즉, 미끄럼레일(19)의 종방향으로 중앙위치에는 회전 가능하게 피니언(도시안됨)이 제공되어 있어서, 이러한 피니언과 이동레일(17) 및 고정레일(18)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랙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트레이(2)가 인출되면 고정레일(18)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미끄럼레일(19)상에서 미끄러져 피니언(2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피니언(20)의 회전에 의해서, 미끄럼레일(19)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레일(17)상에서 미끄러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내레일 기구(15)내에서 이동레일(17)과 고정레일(18)의 사이로 제공되어 있는 미끄럼레일(19)이 유연하게 이동레일(17) 및 고정레일(18)상으로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이동레일(17)은 미끄럼레일(19)의 이동거리의 약 2배 정도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안내레일 기구(15 또는 16)가 트레이(2)를 안내하는 길이가 증대될 수 있으며, 트레이(2)는 섀시(10) 안쪽의 디스크 구동위치로부터 섀시(10) 바깥쪽의 디스크 교환위치까지 정확하게 인출될 수가 있다. 또한, 트레이(2)가 디스크 구동위치에 있을 때 제1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17)과 고정레일(18) 그리고 미끄럼레일(19)이 각각 섀시(10)내에 수용된다.
트레이(2)가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인출되어 디스크 교환위치에 도달하면, 트레이(2)가 이러한 위치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구동장치(1)에는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 너머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제한기구(7)가 제공되어 있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미끄럼 제한기구(7)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픽업부(5) 및 턴테이블(6)이 제공되어 있는 구동유닛(2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21)은 부속조립체(3)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구동 유닛(21)은 턴테이블(6)과, 보조섀시(3)상에 설치된 기부(22)와, 이러한 기부(3)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픽업부(5)와, 디스크의 아래쪽의 반경방향으로 픽업부(5)를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 구동부(23)와, 그리고 턴테이블(6)을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모터(20)를 갖추고 있다.
앞서 설명된 트레이(2)는 구동 유닛(21)의 기부(22)상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재(25)가 보조섀시(3)와 기부(22)의 사이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기부(22)내에 설치된 턴테이블(6) 및 픽업부(5)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이러한 방진재(24)에 의해서 흡수되어서, 트레이(2)가 미끄러지는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기부(22)는 유리섬유 등이 수지로 제조되며, 픽업부(5) 및 턴테이블(6)의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열적환경이 바뀌는 경우에도 기부(22)와 각각의 픽업부(5) 및 턴테이블(6) 사이의 거리가 고도의 정밀도로 유지될 수 있다.
픽업 구동부(23)는 화살표(C,D)로 도시된 양방향으로 픽업부(5)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픽업 구동기(23)는 기부(22)의 배면 상에 제공되어 있는 픽업 구동 모터(25)와, 구동축선에 제공되는 기어(26)와, 기어(27,28)가 제공되어 있는 픽업 구동 기구(29)와, 픽업 구동 기구(29)에 의해 구동되는 리드 스크류(30), 및 상기 리드 스크류(30)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픽업부(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1)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 구동부(23)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부(5)는 리드 스크류(30)의 나사부와 상관되게 결합되는 결합부(32)를 가진다. 그러므로, 픽업 구동 모터(25)가 회전하면, 상기 리드 스크류(30)는 상기 픽업 구동 기구(29)에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픽업부(5)는 디스크의 반경 방향(C,D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기부(22)에 있는 종방향 구멍(22a)은 픽업부(5)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러므로, 픽업부(5)는 픽업부(5)의 이동범위에 걸쳐서 디스크와 항상 직면하게 된다.
다음에, 제 8도 내지 제10C도를 참조하여 픽업 구동 기구(29)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구동 기구(29)는 기어(27,28)를 가진다. 각각의 기어(27,28)는 플라스틱 설치 홀더(33)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기어(27)는 설치 홀더(33)내에 강제 끼워 맞춤 되는 지지축(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E링은 지지축(34)으로부터 기어(27)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기어(28)는 하나의 몸체로서 리드 스크류(30)의 축방향 단부 내에 설치된다. 축방향 단부는 설치홀더(33)내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36)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된다. 또한, 설치홀더(33)의 배면, 즉 지지축(34)이 제공되어 있는 대향 면에는 판스프링(37)이 제공되어 있다. 판스프링(37)은 베어링 구멍(36)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 스크류(30)의 축방향 단부를 가압한다. 그러므로, 리드 스크류(30)는 D방향으로 가압된다.
다른 한편으로, 기부(22)에는 리드 스크류(30)를 D 방향으로 한 단부를 지지하도록 베어링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리드 스크류(30)가 지지될 판스프링(37)에 의해 베어링부(38)쪽으로 가압되므로, 리드 스크류(30)는 매우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픽업부(5)도 매우 정밀하게 위치된다.
설치홀더(33)에는 결합 포올(39,40)과 리브(41)가 기부(22)에 형성된 3개의 설치구멍(22b)(제9도에는 단지 하나만 도시함)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포올(39,40)과 리브(41)를 설치구멍(22b)과 상관되게 결합함으로써, 설치홀더(33)는 기부(22)에 고정된다.
진술한 픽업 구동 기구(29)에 있어서, 설치 홀더(33)는 기부(22)에 대해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부(22)는 픽업부(5)와 턴테이블(6)의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얻도록 유리섬유를 포함한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반대로, 설치 홀더(33)가 기부(22)에 대해 개별적으로 형성되므로, 설치홀더(33)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지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홀더(33)는 유리섬유가 아닌 수지로 제조된다.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수지가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가질지라도, 수지의 경도를 증가하게 되어 더욱 잘 부서지게 된다. 그러므로, 지지축(34)을 지지하는 홀더부가 설치홀더(33)내에 형성된 구조에 있어서는 지지축(34)이 가압되어 설치홀더(33)내에 제공될 때 파손될 수 있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축(34)이 가압되게 제공되어 있는 설치홀더(33)가 기부(22)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홀더(33)는 기부(22)와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설치홀더(33)는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로 제조된다. 그러한 수지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수지에 비해 매우 높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지지축(34)이 가압되어 설치홀더(33)내에 제공될 때 설치홀더(33)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치홀더(33)와 기부(22)가 각각 독특한 특성을 가지므로, 지지축(34)은 쉽게 가압되어 설치홀더(33)내에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장치(1)의 제조율이 향상된다. 또한, 픽업 구동 기구와 기부가 단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비해, 기어(27,28), 리드 스크류(30)등이 설치 홀더 33내에 쉽게 설치됨으로써 작동성도 향상된다.
다음에, 턴테이블(6)에 대해 설명한다. 턴테이블(6)은 턴테이블(6) 아래에 제공된 디스크모터(20)의 구동축에 직접 결합된다. 트레이(2)가 미끄러져 구동장치(1)내의 디스크 구동위치에 도달하면, 디스크 모터(20)가 구동하여 턴테이블(6)상의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모터(20)는 모터 기부 부재(42)에 고정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기부 부재(42)를 스크류(43)를 사용하여 기부(22)에 고정함으로써, 단일체로서 디스크 모터(20)와 함께 형성된 턴테이블(6)이 기부 내에 설치된다.
다음에, 구동유닛(21)의 전기 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부(5), 디스크 모터(20), 및 픽업 구동 모터(25)와 같은 전기 부품들이 제공된다. 이들 전기 부품(5,20,25)들은 섀시(10)에 제공된 회로기판(44)에 결합되어야 한다. 회로기판(44)에는 픽업부(5)내에서 발생되는 재생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과 모터(10,25)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제공된다.
구동유닛(21)이 A,B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므로, 구동유닛(21)은 가요성 기판(45)을 사용하여 회로기관(44)에 결합된다. 가요성 기판(45)의 회로기판 쪽에 있는 한 단부는 회로기판(44)에 제공된 커넥터(46)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45)의 구동기판 쪽에 있는 단부는 모터 기부 부재(42)내에 제공된 커넥터(터미날부)에 결합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45)의 구동유닛 쪽에 있는 단부는 구동유닛의 바닥면에 제공되었던 인쇄기판에 제공된 커넥터에 결합되었었다. 또한 전기부품들은 인쇄기판 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사용하여 커넥터에 결합되었었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45)에 결합된 커넥터가(47)가 모터 기부 부재(42)에 제공된다. 모터 기부 부재(42)는 디스크 모터를 고정하는 부품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 기부 부재(42)는 커넥터(47)를 제공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모터 기부 부재(42)는 종래의 인쇄기판이 가졌던 것과 같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종래 디스크 유닛에 필요했던 인쇄 기판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구동유닛(21)은 얇아질 수 있고, 구동장치(1)도 얇아진다. 또한, 종래 디스크 유닛에 필요했던 인쇄기판이 본 실시예에서는 불필요하므로, 디스크 유닛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디스크 유닛의 제작비용도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기판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커넥터(47)를 전기부품(5,20,25)에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48)[유닛 상호 결합 FPC(가요성 인쇄 케이불)(48)로서 언급된]을 사용하므로서, 상기 커넥터(47)는 전기부품(5,20,25)에 결합된다.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상호 결합 FPC(48)는 스크류(50)에 의해 섀시(50)에 의해 섀시(10)의 정면에 고정되는 기부(48a)와, 후술하는 고정 기부(8)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49)쪽으로 연장하는 제 1 연장부(48b)와, 기부(48a)로부터 픽업 구동 모터(25)쪽으로 연장하는 제 2 연장부(48c)와, 픽 업부(5)쪽으로 연장하는 제 3 연장부(48d), 및 기부(48a)와 커넥터(47)를 결합하는 제 4 연장부(48e)로 구성된다. 디스크 모터(20)와 커넥터(47) 사이의 전기결합은 모터 기부 부재(42)내에 형성된 커넥터(47)사이의 전기결합은 모터 기부 부재(42)내에 형성된 인쇄선에 의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부품(5,20,25)과 커넥터(47) 사이의 결합을 위해 유닛 상호 결합 FPC(48)가 사용된다. 그러나, 유닛 상호 결합 FPC(48) 대신에 리딩 와이어(leading wire) 또는 점퍼링 와이어(jumpering wire)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1도 내지 제 12C도를 참조하여 미끄럼 제한 기구(Slide stopping mechanism)(7)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제한기구(7)는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에 도달할 때 트레이(2)가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미끄럼 제한기구(7)는 트레이(2)의 이동측 레일(17)의 B방향으로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미끄럼 제한 손잡이(51)(위치 제한 부재)와, 상기 이동측 레일(17)상에 있고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내에 형성된 두 개의 종방향 구멍(52,53)과 상호 결합되는 결합핀(54,55)과,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를 B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56), 및 섀시(10)의 A 방향으로 한 단부에 인접되게 제공된 결합돌기(57)로 구성되어 있다.
종방향 구멍(52,53)을 결합핀(54,55)과 상관되게 결합함으로서, 미끄럼 제한손잡이(51)는 이동측레일(17)상에 있는 종방향 구멍(52,53)의 범위 내에서 A 및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미끄럼 제한손잡이(51)가 A 방향으로 이동할 때,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트레이(2)의 후단부로부터(제 12a도에 도시한 L 거리만큼) 돌출하도록 제 1 위치로 이동하며, 미끄럼 제한 손잡이(51)가 B 방향으로 이동할 때,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트레이(2) 내측의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미끄럼 제한 손잡이(51)의 B 방향으로 상기 단부 아래에는 섀시(10)내에 형성된 결합돌기(57)와 상호 결합되는 결합 포올(58)이 제공된다. 또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의 A 방향으로 단부에는 코일스프링(56)의 한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품(59)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56)의 타단부는 결합핀(54)에 결합된다.
다음에, 제 12a도 내지 제 12c도를 참조하여 미끄럼 제한기구(7)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 12a도는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상태에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내에 형성된 결합 포올(58)은 섀시(10)내에 형성된 결합돌기(57)와 결합하여 트레이(2)는 A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되면,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B 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이동측 레일(17)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한다[이는 트레이(2)의 후단부와 동일하다].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를 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함으로써, 트레이(2)는 미끄럼 제한 손잡이(51)가 이동측 레일(17)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A 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즉 미끄럼 제한 손잡이(51)가 제공되지 않으면, 섀시(10)내에 형성된 결합돌기(57)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 포올(58)은 이동측 레일(17)의 후단부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결합 포올(58)이 이동측 레일(17)의 후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구조에 있어서, 트레이(2)의 인출 가능한 거리는 제 12a도에 도시한 거리(L)만큼 감소한다. 그러므로, 트레이(2)에 대한 디스크 인출 작동은 복잡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스크는 트레이(2)를 세트 또는 파지하도록 경사질 필요가 있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A 방향으로의 트레이(2) 인출 가능한 거리는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를 제공하므로써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트레이(2)에 대한 디스크 인출 작동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2b도는 트레이(2)가 가압되어 B방향으로 이동하고 미끄럼 제한 손잡이(51)의 B 방향으로의 단부가 섀시(10)의 후단부(10d)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트레이(2)가 상기 상태에 비해 더욱 가압되어 이동되면,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코일 스프링(56)의 스프링력에 의해 이동측레일(17)에 의해 A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 그러한 상태가 제12c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2c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트레이(2)는 디스크 구동위치에 있으며, 트레이(2)는 후술하는 고정 기구(8)에 의해 디스크 구동위치에 고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고정 기구(8)의 고정 기구(8)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해제되고, 트레이(2)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면,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가압되어 코일 스프링(56)의 스프링력에 의해 이동측 레일에 대해 B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한 작동으로, 트레이(2)는 A방향으로 이동하고, 트레이(2)는 다시 제12b도에 도시한 상태, 즉 트레이(2)가 섀시(10)의 정면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장치(1)의 작동기는 트레이(2)의 돌출부를 섀시(10)로부터 당김으로써 트레이(2)를 인출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미끄럼 제한 기구(7)는 트레이(2)가 이동하여 디스크 교환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2)의 이동을 더욱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기능 이외에도, 미끄럼 제한 기구(7)는 고정이 해제될 때 인출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미끄럼 제한 기구(7) 이외에 전용 인출기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구동 장치(1)의 부품수가 감소되며, 따라서 구동 장치(1)는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제한 기구(7)는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제19a도 내지 제19c도를 미끄럼 제한 기구(7)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a도 내지 제 12c도의 소자들과 동일한 제19a도 내지 제19c도의 소자들은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9a도 내지 제19c도에 도시한 미끄럼 제한 기구는 쌔시(10')의 A방향으로 한 단부 구역 내에 제공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위치 제한 부재)와, 상기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를 A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56'), 및 트레이(2')의 B방향으로 한 단부 내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57')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위치 제한 부재가 트레이(2)의 후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12a도 내지 제12b도에 도시한 미끄럼 제한 기구(7)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제한 부재가 섀시(10')의 정면측에 제공되어 있다.
제19a도 내지 제19c도에 있어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트레이(2') 아래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제공되고 A 및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미끄럼 제한 손잡이(51')가 A방향으로 이동할 때,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트레이(2')의 후단부로부터(제19a도에 도시한 L'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제1위치로 이동하며, 미끄럼 제한 손잡이(51')가 B방향으로 이동할 때,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는 트레이(2') 내측의 제2위치로 이동한다.
미끄럼 제한 손잡이(51')의 A방향 단부에는 트레이(2')내에 형성된 결합 돌기(57')와 상호 결합되는 결합 포올(58')이 제공되어 있다.
다음에, 미끄럼 제한기구(7)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제19a도 내지 제19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9a도는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 상태에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내에 형성된 결합 포올(58')은 트레이(2')에 형성된 결합 돌기(57')와 결합하고, 트레이(2')는 A방향으로의 이동에 제한을 받는다. 또한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위치로 인출될 때, 디스크 정지 손잡이(51')는 A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도 섀시(10')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제19b도는 트레이(2')가 가압되어 B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트레이(2')가 더욱 가압되어 상기 상태에 비해 B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미끄럼 손잡이(51')에 형성된 결합 포올(58')은 트레이(2') 베렐(11)의 후면과 접촉한다. 그러한 상태가 제19c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9c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트레이(2')는 디스크 구동위치에 있으며, 트레이(2')는 다른 고정 기구에 의해 디스크 구동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미끄럼 제한 기구(7)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2')가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A방향으로의 트레이(2')의 인출 가능한 거리는 미끄럼 제한 손잡이(51')를 제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트레이(2')에 대한 디스크 교환작용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제한 기구(7)는 트레이(2')가 이동하여 디스크 교환위치에 도달할 때 트레이(2')의 이동을 더욱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한 기능 이외에 미끄럼 제한 기구(7)는 고정이 해제될 때 이젝트기능도 한다.
다음에, 제6도 및 제13도 내지 제16도를 고정 기구(8)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기구(8)는 보조섀시(3) 프레임(3a)의 고정 기구 설치부(3b)내에 제공되어 있고 솔레노이드(49), 고정 핀(60), 고정 손잡이(61), 및 탈출손잡이(62)로 구성된다.
고정 핀(60)은 섀시(10)의 바닥부에 직립되게 제공된다. 고정 손잡이(61)는 보조섀시(3) 프레임(3a)의 후측면상의 핀(63)에 의해 축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고정 손잡이(61)는 고정 핀(60)과 결합하는 포올부(64)와 솔레노이드(49) 등의 플런저(66)에 결합되는 조인트부 아암(67)을 상단부에 갖는 아암부(6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올부(64)의 상단부에는 데이퍼부(68)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암부(65)에는 탈출 손잡이(62)와 결합되는 스탠딩 핀(6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49)는 베젤(11)의 스위치 버튼(12)이 눌려질 때 자화되어 플런저(66)를 흡인한다. 플런저(66)의 단부가 고정 손잡이(61)의 조인트부 아암(67)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 손잡이(61)는 플런저(66)의 작동에 의해 핀 축(63) 주위에서 회전한다. 플런저(66)는 솔레노이드(49)에 제공된 코일 스프링(70a)에 의해 연장방향으로 가압된다.
다음에, 고정 기구(8)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12a도 내지 제12c도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가 A방향의 디스크 구동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때, 보조섀시(3)도 A방향으로 섀시(10)위로 이동한다. 그 결과, 고정 손잡이(61)는 고정 핀(60)과 결합한다.
그후, 트레이(2)가 디스크 구동 위치에 도달할 때, 고정 손잡이(61)의 데이퍼부(68)는 고정 핀(60) 위로 이동하고 포올(64)은 고정핀(60)과 결합한다. 그러므로, 보조섀시(3)의 이동은 고정 기구(8)에 의해 고정되며, 보조섀시(3)에 제공된 트레이(2)도 고정된다. 제14도는 그러한 고정 상태를 도시한다.
다른 한편으로, 스위치 버튼(12)이 눌려지고 플런저(64)가 후퇴하면, 고정 손잡이(61)는 포올부(64)가 고정핀(60)으로 떨어져, 포올부(64)와 고정핀(6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고정 기구(8)에 의해 보조섀시(3)의 고정이 해제되고 트레이(2)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상태(고정 해제 상태)로 된다.
비상손잡이(62)는 보조섀시(3)의 프레임(3a)에 제공되어서 상기 손잡이가 A 및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비상손잡이(62)의 A방향으로의 단부에는 정면 베젤(11)에 형성된(제17도에 도시한) 니이들 삽입 구멍(71)과 대향되도록 접촉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상 손잡이(62)의 B방향으로의 단부에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작동 포올(72)이 고정손잡이(61)상에 직립된 직립핀(69)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상 손잡이(62)는 코일스프링(73)에 의해 A방향으로 가압된다.
전술한 비상 손잡이(62)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1)로 제공된 컴퓨터 동력원이 차단되더라도 [즉, 솔레노이드(49)가 구동되지 않더라도] 고정 기구(8)에 의해 트레이(2)의 고정은 트레이(2)를 인출하도록 해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솔레노이드(49)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로 구동장치(1)가 있을 때, 니이들(74)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방향으로 니이들 삽입 구멍(71) 내측에 삽입된다. 니이들(74)은 접촉부 (70)와 접촉하고 비상 손잡이(62)를 B방향으로 가압한다. 비상 손잡이(62)가 니이들(74)이 가압력에 의해 B방향으로 이동하면, 작동 포올(72)은 고정 손잡이(61)내에 제공된 직립핀(69)과 결합하여 핀(69)을 가압한다.
작동 포올(72)이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작동 포올(72)이 B방향으로 작동할 때, 고정 손잡이(61)도 회전하고, 곧바로 포올부(64)와 고정핀(6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49)가 구동장치(1)가 있더라도, 트레이(2)는 쉽게 인출되지 않는다.
다음에, 솔레노이드(49)의 위치 선정에 대해 설명한다. 솔레노이드(49)는 플런저(66)의 구동방향(도면에 C 및 D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이 트레이(2)의 이동방향(A 및 B방향으로 표시)으로부터 벗어나게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 플런저(66)의 구동방향은 트레이(2)의 이동방향으로부터 45°의 각도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기구(8)의 고정은 D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66)에 의해 해제된다. 고정 기구(8)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1)가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에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장치(1)에는 컴퓨터의 수송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그 충격의 방향이 플런저(66)의 구동방향과 동일하면, 플런저(66)가 이동할 수 있어서 트레이(62)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이(2)가 해제될 수 있고 섀시(10)로부터 이젝트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에 제공될 구동장치(1)에 가해지는 충격의 방향을 분석했다. 그 분석의 결과로서, 구동장치(1)에 가해지는 충격은 주로 A,B,E 및 F방향임을 알아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플런저(66)의 구동방향이 트레이(2)의 이동방향(A 및 B방향)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플런저(66)의 구동방향은 충격이 용이하게 가해지는 방향과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충격이 구동장치(1)에 가해지더라도, 트레이(2)의 고정 상태는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66)의 구동방향이 트레이(2)의 이동방향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49)는 전술한 솔레노이드 픽업 구동모터(25)에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49)와 픽업 구동 모터(25)는 서로 근접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1)는 솔레노이드(49)와 픽업 구동 모터(25)가 보조새시(3)의 대각선상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서 그들 사이에 픽업부(5)가 샌드위치 형태로 되어 있는 종래 장치에 비해서 소형화 될 수 있다.
다음에, 제17도, 제18a도, 및 제18b도를 참조하여 덮개(9)에 대해 설명한다.
덮개(9)는 섀시(10) 위에 제공되고 섀시(10)내에 제공된 다수의 기구와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덮개(9)는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한다. 덮개(9)는 구동장치(1)가 더 얇아질 수 있도록 얇게 설계된다. 그러므로, 덮개의 두께가 감소되더라도 덮개(9)가 소정의 강도를 갖기 위해서, 내측방향으로(즉, 디스크 구동위치에 위치된 디스크 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5,76)가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5,76,77)는 덮개(9)를 형성할 때와 동시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돌출부(75,76,77)의 돌출길이는 각각 약 0.6, 0.4, 0.15㎜이다.
제1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돌출부(75,76,77)중 돌출부(75)는 디스크 구동위치에 제공된 디스크(78)의 주변위치와 대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충격이 구동장치(1)에 상하방향(도면의 G 및 H방향)으로 가해지고 디스크(78)가 제1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러지고 형상이 변화하더라도, 디스크(78)는 덮개(9)내에 형성된 돌출부(75)에만 접촉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78)와 돌출부(75)의 접촉면적은 디스크와 반경방향으로 그 폭이 약 1㎜가 되게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CD-ROM 장치 내에 제공된 디스크(78)는 다양한 인쇄물들이 진열되어 있는 포면 쪽과 기록면으로서 후면 쪽을 가진다. 그러므로, 상하방향으로의 충격이 구동장치(1)에 가해지고 디스크(78)와 덮개(9)의 접촉 면적이 상당히 커질 때, 디스크(78)상의 인쇄물들이 긁히게 되게, 따라거 디스크(78)의 인식이 어렵게 된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이 가해질 때 디스크(78)와 덮개(9)의 접촉면적이 돌출부(75)의 면적으로 제한되고 그 접촉면적이 상당히 좁아지며, 또한 그 접촉면적은 인쇄물이 보통 제공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78)의 주변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크(78)상의 인쇄물은 긁힘이 방지되며, 디스크(78)의 인식이 양호하게 수행된다.
또한, 디스크(78)는 레이저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지며, 플라스틱층이 반사면을 보호하도록 반사면의 양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디스크(78)의 표면 쪽에 있는 플라스틱층이 단지 30㎛의 두께를 가지므로, 디스크(78)와 덮개(9)가 전술한대로 상하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질 때 넓은 구역에서 서로 접촉한다면, 디스크(78)의 표면 쪽에 있는 플라스틱층이 긁히게 되고 따라서, 반사면이 긁히거나 손상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78)에 저장된 데이터도 지워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디스크(78)와 덮개(9)의 접촉영역은 디스크(78)의 주변위치에서 약 1㎜의 폭부분이다. 또한 CD-ROM에 있어서는 디스크 주변부의 2㎜ 폭부분이 비기록 영역으로서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78)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워지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따라서 디스크(78)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양호하게 재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도시한 CD-ROM 구동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CD, 자기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및 광 디스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은 디스크 유닛이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있는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유닛은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떤 전기장치와 그 전기장치와는 다른 몸체로서 제공되는 어떤 외부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는 다수의 변경 및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Claims (2)

  1. 섀시(10)의 내측에 위치된 디스크 구동위치와 상기 섀시(10)의 외측에 위치된 디스크 교환위치 사이에서 디스크를 이송하는 트레이(2) 그리고 상기 트레이(2)와 상기 섀시(10) 사이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트레이(2)가 인출되어 상기 디스크 교환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트레이(2)가 상기 디스크 교환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2)와 상기 섀시(10)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결합부(57)와 결합할 수 있는 미끄럼 제한 부재(51)를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제한 부재(51)는 상기 트레이(2)의 후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2)에 대해 상기 트레이(2)의 전단부 방향으로 이동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 제한 부재(51)는 상기 트레이(2)가 상기 디스크 구동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설정되며, 상기 트레이(2)가 상기 디스크 교환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쪽으로 미끄럼 제한 부재(51)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재(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닛.
KR1019960010944A 1995-07-26 1996-04-12 디스크 유닛 KR100221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90738A JP3047784B2 (ja) 1995-07-26 1995-07-26 ディスク装置
JP1995-190738 199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979A KR970007979A (ko) 1997-02-24
KR100221672B1 true KR100221672B1 (ko) 1999-09-15

Family

ID=1626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944A KR100221672B1 (ko) 1995-07-26 1996-04-12 디스크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3309A (ko)
JP (1) JP3047784B2 (ko)
KR (1) KR100221672B1 (ko)
TW (1) TW30831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1167B1 (en) * 1995-12-28 2003-03-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apparatus
TW408314B (en) * 1997-08-22 2000-10-11 Kenwood Corp Supporting structure of floating chassis of disc apparatus
JPH1166428A (ja) * 1997-08-25 1999-03-09 Sharp Corp 販売管理装置
JP3033729B2 (ja) 1998-02-16 2000-04-17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変形機能を有するノート型パソコン
US6782543B2 (en) * 1998-11-10 2004-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an optical disc and method thereof
JP4075174B2 (ja) * 1998-12-25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ヘッド送り機構
US6603723B2 (en) * 2000-07-28 2003-08-05 Tea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loading device
TW519278U (en) * 2001-05-04 2003-01-21 Lite On It Corp Ejection and lock mechanisms of disk carrier and display module of optical disk
JP3866953B2 (ja) * 2001-10-02 2007-01-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CN2636363Y (zh) * 2003-05-30 2004-08-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托盘
JP4103742B2 (ja) 2003-09-11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660837B1 (ko) * 2004-04-24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TWI342549B (en) * 2007-06-22 2011-05-21 Asustek Comp Inc Disc dri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13B2 (ja) * 1984-01-12 1994-02-09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デイスクプレ−ヤ
JPS63204546A (ja) * 1987-05-26 1988-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のロ−ディング装置
US5105414A (en) * 1987-11-06 1992-04-14 Tadashi Funabashi Information recording disk playback apparatus
AT399809B (de) * 1991-05-02 1995-07-25 Blum Gmbh Julius Bremseinrichtung für schubladen
JP2936995B2 (ja) * 1994-02-23 1999-08-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プランジャによる係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47784B2 (ja) 2000-06-05
TW308319U (en) 1997-06-11
US5943309A (en) 1999-08-24
JPH0944953A (ja) 1997-02-14
KR970007979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285A (en) Disc device having a chassis and movable tray part including a turntable and pickup means with a disc overhanging the tray perpendicular to the disc insertion direction
KR100301550B1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100221672B1 (ko) 디스크 유닛
US5883870A (en) Disk device with brake mechanism
US6272093B1 (en) Disk loading device and disk adaptor
US6529461B1 (en) Disk apparatus having a contacting member contacting an outermost area of a disk for protecting the disk from damage due to a shock
EP0528420B1 (en) Disk loading system
JPH1139842A (ja) ディスク装置
JP2956470B2 (ja) ディスク装置
JP3047785B2 (ja) ディスク装置
JP2956469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82009B1 (ko) 디스크 장치
JP2906982B2 (ja) ディスク装置
JP3239771B2 (ja) ディスク装置
JP3405611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31160B2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取付構造
JP200232438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509595B2 (ja) ディスク装置
JP3094854B2 (ja) ディスク装置
JP3079957B2 (ja) ディスク装置
JP3039274B2 (ja) クランプ機構
KR20020047483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82834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0262072Y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H10302366A (ja) 蓋体のロック機構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