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095B1 -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 Google Patents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095B1
KR100492095B1 KR10-2003-0011400A KR20030011400A KR100492095B1 KR 100492095 B1 KR100492095 B1 KR 100492095B1 KR 20030011400 A KR20030011400 A KR 20030011400A KR 100492095 B1 KR100492095 B1 KR 10049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supply
voltage
gate
pmo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071A (ko
Inventor
문재준
이정원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095B1/ko
Priority to US10/777,097 priority patent/US20040164790A1/en
Priority to JP2004047500A priority patent/JP2004259275A/ja
Publication of KR2004007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05Substrate bias-voltag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가 개시된다. 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사용하여, 인가되는 전원전압으로부터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노드에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회로, 및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된 공통노드와, 출력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전원전압의 초기 인가시에 바이어스 회로를 가동시키는 스타트업 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전압의 노이즈 및 정적 전류에 의한 전력소모가 방지되며, 고주파 영역에서의 안정도가 향상되어 발진가능성이 제거된다.

Description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Bias circuit having a start-up circuit}
본 발명은 스타트업(start-up)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전압 노이즈와 정적 전류에 의한 전력소모를 방지하며, 고주파 영역에서의 안정성을 개선시킨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회로의 설계시에는 여러 종류의 바이어스 회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바이어스 회로에는 전원전압 공급의 초기에 발생하는 과도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스타트업 회로가 사용된다. 즉, 스타트업 회로란 전원전압의 초기 인가시에만 동작하여, 바이어스 회로가 안정적인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회로를 말한다.
도 1은 월슨(Wilson)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를 사용한 일반적인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이어스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 MP11 및 MP12, NMOS 트랜지스터 MP13 및 MP14, 그리고 저항 R11 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바이어스 회로는 두가지 경우의 동작상태가 있다. 첫번째는 정상적인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초기상태에서 정상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즉,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PMOS 트랜지스트 MP11, MP12 의 게이트가 접속된 노드 N11 은 소정의 전원전압치가 걸리게 되며, 노드 N12 의 전압은 '0'이 된다. 여기서, 노드 N12 의 전압은 PMOS 트랜지스터 MP11 을 통해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증폭된다. 따라서, 커런트 미러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 MP11, MP12 는 노드 N11 의 전압에 의해 턴-온(turn-on)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PMOS 트랜지스터 MP11, MP12 의 W/L의 크기가 같다면, 같은 크기의 전류가 NMOS 트랜지스트 MN13, MN14 에 인가된다.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인가된 노드 N12 의 전압은 NMOS 트랜지스터 MN13, MN14 를 턴-온 시킨다. 여기서, NMOS 트랜지스터 MN13, MN14 의 W/L의 크기가 같다면, 저항 R11 에 흐르는 전류는 NMOS 트랜지스터 MN13 에 흐르는 전류와 같아진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REF 단자를 통해 정상적인 바이어스 전압 VREF 가 출력된다.
그러나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초기상태에서 노드 N11 , N12 가 일정한 전압에 고정될 경우, NMOS 트랜지스터 MN13, MN14 가 오프되고 전류의 흐름은 차단되므로 정상적인 전압을 발생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전원공급 초기상태에서 발생하는 과도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타트업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도 2의 경우에는, 도 1의 바이어스 회로에, 저항 R22 및 커패시터 C21 로 구성되는 스타트업 회로(20)가 부가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성의 회로에서,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초기상태에서 저항 R22 와 커패시터 C21 를 통하여 노드 N21 에 NMOS 트랜지스터 MN23 을 턴-온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면, 이로 인하여 PNMOS 트랜지스터 MP21 , MP23 , NMOS 트랜지스터 MN24 가 턴-온 함으로써, REF 단자를 통해 바이어스 전압 VREF 이 출력된다. 전원전압이 안정한 상태에서 커패시터 C21 은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므로, 정적 전류에 의한 손실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에서는, 전원전압에 존재하는 노이즈 등이 저항 R22 와 커패시터 C21 를 통하여 커플링되어 바이어스 전압 VREF 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구비한 바이어스 회로의 다른 예이다. 도 3의 회로에서는, 여러단의 PMOS 트랜지스터(MPP0 ~ MPPn)가 다이오드 연결된 스타트업 회로(30)가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의 회로에서, 여러단의 PMOS 트랜지스터(MPP0 ~ MPPn)는 다이오드 연결되어 항상 온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노드 N31 전압은 다음의 식과 같다.
여기서, 는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다.
노드 N31 전압은 PMOS 트랜지스터 MP33 의 게이트 전압이 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 MP33 의 소스 전압인 노드 N32 의 전압이 전원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다음의 식을 만족하여 PMOS 트랜지스터 MP33 를 턴-온시킨다.
그러므로 PMOS 트랜지스터 MP31 , NMOS 트랜지스터 MN33 , MN34 가 모두 온 되면서 바이어스 회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상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노드 N32 의 전압은 NMOS 트랜지스터 MN34 가 온 상태이므로, 다시 전압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수학식 2]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 MP33 가 오프되어 스타트업 회로의 기능을 마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회로는, 여러 단의 PMOS 트랜지스터(MPP0 ~ MPPn) 통하여 항상 정적 전류가 존재하므로 전력손실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도 4의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또 다른 예이다. 도 4의 회로에서는, 스타트업 회로(40)내의 NMOS 트랜지스터 MNN0 의 게이트는 바이어스 회로의 두개의 PMOS 트랜지스터 MP41, MP42 의 게이트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최초 전원전압이 인가될 때, 노드의 N41 의 전압은 전원전압과 같이 상승한다. REF 단자의 최초 전압은 0 이므로 아래식에 의하여 NMOS 트랜지스터 MNN0 는 턴-온된다
이때, 스타트업 회로(40)의 직렬연결된 모든 트랜지스터(MPP0, MNN1 ~ MNNn )들은 온상태가 되어 REF 단자의 전압인 VREF 은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VREF 전압은 NMOS 트랜지스터 MN43 , MN43 를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 회로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NMOS 트랜지스터 MN44 가 온상태이므로 노드 N41 의 전압은 다시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노드 N41 의 전압과 VREF 전압차는 줄어들게 되므로 다음의 식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는 MNN0 턴-오프된다.
이러한 구성의 회로는, 스타트업 회로의 정적전류소모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여 전력손실을 줄어들게 하며, 또한 전원전압으로부터의 노이즈를 억제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에서는 2개의 앰프, 즉 NMOS 트랜지스터 MN34 를 로드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 MP41 의 앰프 1과, PMOS 트랜지스터 MP32 를 로드(load)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 MP44 의 앰프 2가 정궤환 루프(positive feedback loop)의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궤환 루프의 앰프 이득은 저주파 영역에서 적은 값을 갖지만, 로드 커패시턴스 등의 영향으로 고주파 영역에서 이득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영역에서 0dB 보다 큰 이득값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주파수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여 출력이 발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 2와 도3에서 설명한 회로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주파에서 이득이 0dB 이상을 나타나면, 이득이 0dB 가 되는 점에서의 위상 마진은 거의 0에 가깝거나 (-)로 되면, 이는 부하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도 6은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전압을 측정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력전압이 발진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는, 도 5a, 도 5b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도 검토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전압 노이즈와 정적 전류에 의한 전력소모를 제거하면서, 고주파에서의 안정도 특성을 개선시킨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사용하여, 인가되는 전원전압으로부터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노드에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된 공통노드와, 상기 출력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전압의 초기 인가시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를 가동시키는 스타트업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소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통 접속되어 상기 공통노드가 되고, 소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및 게이트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공통 접속되어 상기 출력노드가 되고, 소스가 접지전원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게이트는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상기 접지전원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2단으로 쌓는 구조인 캐스코드 커런트 미러 회로를 사용하며, 인가되는 전원전압으로부터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노드에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전원전압의 초기 인가시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를 가동시키는 스타트업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캐스코드 커런트 미러회로의 1단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된 제1 공통노드와, 2단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된 제2 공통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공통노드와 상기 출력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소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통 접속되어 상기 제1 공통노드가 되고, 소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소스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제3 P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공통 접속되어 상기 제2 공통노드가 되고, 소스가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는 제4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및 게이트가 상기 제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공통 접속되어 상기 출력노드가 되고, 소스가 접지전원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4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게이트는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상기 접지전원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 MP71, MP72, NMOS 트랜지스터 MN73, MN74, 및 저항 R71 로 구성되는 바이어스 회로와, 커패시터 CP71 으로 구성되는 스타트업 회로(70)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 MP71 의 게이트와, PMOS 트랜지스터 MP72 의 게이트 및 드레인은 공통 접속되며, 소스는 전원전압 Vcc에 각각 연결되어,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를 구성한다. PMOS 트랜지스터 MP71 , MP72 의 드레인은 각각 NMOS 트랜지스터 MN73, MN74 의 드레인과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 MN73의 게이트 및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 MP74의 게이트와 공통 접속되어 출력노드를 구성하고, 출력노드를 통해 출력전압 Vgn 을 출력한다. NMOS 트랜지스터 MN73, MN74의 소스는 접지전압 Vss 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CP71은 커런트 미러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 MN71, MP73 의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된 공통노드와, 출력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회로를 초기에 가동하는 역활과, 주파수 보상역활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회로에서, 최초 전원전압이 인가되기 전에는 노드 N71 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다.
노드 N71 의 전압은 VTHn 보다 작으므로, PMOS 트랜지스터 MN71 및 MP 72 는 오프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0 에서 Vcc 까지 전이되는 초기에 NMOS 트랜지스터 MN73, MP74 가 오프상태에 있으므로, 노드 N71 의 전압은 전원전압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노드 N71 과 N72 은 커패시터 CP71 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노드 N72 의 전압이 증가하면 N71 의 전압도 증가하게 되다. 이때, 노드 N71 의 전압인 Vgn이 계속 증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 MN73,의 게이트 전압이 VTHn 보다 크게 되면, NMOS 트랜지스터 MN73 은 턴-온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NMOS 트랜지스터 MN74가 턴-온되면서, PMOS 트랜지스터 MN71 및 MP72 가 모두 턴-온 상태에 들어가게 되고, 기준전압 발생회로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전원전압이 Vcc 전압까지 완전히 전이되어 안전한 상태가 되면, 노드 N71, 노드 N72 의 전압은 안정적인 바이어스 전압을 형성한다. 이때, 커패시터 CP71 은 직류에 대해, 오프가 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전력소모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준전압 발생회로는 정궤환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패시터 CP71 이 스타트업 기능과 함께 주파수 보상회로의 기능도 수행하여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발진가능성을 제거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도 8은 도 7의 회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의 회로는 피드백 구조의 두개의 앰프(Amp1, Amp2)와 커패시터 CP71 의 회로와 등가의 회로가 된다. 이때, 커패시터 CP71 의 의해 주파수가 보상되므로, 종래의 회로와 같은 발진가능성은 제거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내며, y축은 x축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이득을 나타낸다.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패시터 CP1 에 의해 주파수 보상이 되어, 고주파 영역에서도 이득이 0dB 이상되지 않는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스타트업 기능이 없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이고, 도 10b는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을 나타내며,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을 나타낸다.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a의 경우는 스타트업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여, 원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b의 경우에는, 스타트업 기능에 의해 원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 발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c의 경우에는, 안정적인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고, 또한 주파수 보상이 되어 발진현상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과,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파형 A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파형 B가 종래의 회로에서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전압이 더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원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도 12의 경우는, 도 7의 회로와 비교하여, 저항 R81 이 NMOS 트랜지스터 대신 PMOS 트랜지스터 MP81의 소스와 전원전압사이에 접속되어 있는데, 커런트 미러회로의 동작에 의한 전체 회로의 동작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3 및 도 14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2단으로 쌓은 구조인 캐스코드(cascode)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전류원 회로는 소신호 출력저항값이 커야 출력전압값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거의 일정한 값을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소신호 출력저항값을 높이기 위해 캐스코드 형태의 전류원회로를 사용한다.
이러한 회로의 동작원리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타트업 회로(80,90,100)로 사용되는 커패시터(CP81, CP91,CP92,CP101 ,CP102)가 전원전압의 초기인가시 바이어스 회로를 가동하며, 주파수 보상을 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전압으로부터 인가되는 노이즈가 제거되며, 스타트업 회로에 의한 전력소모가 방지되며, 고주파 영역에서의 안정도가 향상되어 발진가능성이 제거된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윌슨의 커런트 미러를 사용한 일반적인 바이어스 회로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서 출력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 8은 도 7의 회로의 등가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구비한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 ,
도 11은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의 출력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되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 80, 90, 100 : 스타트업 회로

Claims (4)

  1. 소스가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통 접속되어 공통노드가 되고, 소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및 게이트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공통 접속되어 출력노드가 되고, 소스가 접지전원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게이트는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상기 접지전원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전압으로부터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출력노드에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회로와,
    상기 공통노드와, 상기 출력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전압의 초기 인가시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를 가동시키는 스타트업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업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2. 삭제
  3. 소스가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통 접속되어 제1 공통노드가 되고, 소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소스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제3 P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이 상기 제3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공통 접속되어 제2 공통노드가 되고, 소스가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는 제4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및 게이트가 상기 제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공통 접속되어 출력노드가 되고, 소스가 접지전원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4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게이트는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상기 접지전원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전압으로부터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출력노드에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회로와,
    상기 제1 공통노드와 상기 제2 공통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공통노드와 상기 출력노드사이에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전압의 초기 인가시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를 가동시키는 스타트업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업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4. 삭제
KR10-2003-0011400A 2003-02-24 2003-02-24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KR10049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00A KR100492095B1 (ko) 2003-02-24 2003-02-24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US10/777,097 US20040164790A1 (en) 2003-02-24 2004-02-13 Bias circuit having a start-up circuit
JP2004047500A JP2004259275A (ja) 2003-02-24 2004-02-24 スタートアップ回路を有するバイアス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00A KR100492095B1 (ko) 2003-02-24 2003-02-24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71A KR20040076071A (ko) 2004-08-31
KR100492095B1 true KR100492095B1 (ko) 2005-06-02

Family

ID=3286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400A KR100492095B1 (ko) 2003-02-24 2003-02-24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164790A1 (ko)
JP (1) JP2004259275A (ko)
KR (1) KR100492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4173A1 (en) * 2006-09-25 2008-03-27 Avid Electronics Corp. Current source circuit having a dual loop that is insensitive to supply voltage
JP5045294B2 (ja) 2007-07-30 2012-10-10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カスコードカレントミラー回路を有する内部電源回路
US7777561B2 (en) * 2008-07-30 2010-08-17 Lsi Corporation Robust current mirror with improved input voltage headroom
JP5380948B2 (ja) * 2008-08-12 2014-01-08 凸版印刷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1568356B1 (ko) 2009-01-13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바이어싱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JP5219876B2 (ja) * 2009-02-13 2013-06-26 新日本無線株式会社 バイアス電流発生回路
TWI437406B (zh) * 2010-10-25 2014-05-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低雜訊電流緩衝電路及電流電壓轉換器
CN103019290A (zh) * 2012-11-22 2013-04-03 江苏格立特电子有限公司 一种电流源启动电路
US9817426B2 (en) * 2014-11-05 2017-11-14 Nxp B.V. Low quiescent current voltage regulator with high load-current capability
US10007289B2 (en) * 2016-11-01 2018-06-26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High precision voltage reference circuit
FR3063154A1 (fr) * 2017-02-17 2018-08-24 STMicroelectronics (Alps) SAS Stabilisation d'une boucle de regulation de courant de polarisation
JP6902977B2 (ja) * 2017-09-22 2021-07-14 新日本無線株式会社 起動回路の故障検出方法
US11971735B2 (en) * 2019-11-01 2024-04-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area frequency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CN114690823A (zh) * 2020-12-25 2022-07-01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电源监控芯片的输出级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0325B (it) * 1986-04-18 1988-02-16 Sgs Microelettronica Spa Circuito di polarizzazione per dispositivi integrati in tecnologia mos,particolarmente di tipo misto digitale-analogico
JPH04111008A (ja) * 1990-08-30 1992-04-13 Oki Electric Ind Co Ltd 定電流源回路
DE4034371C1 (ko) * 1990-10-29 1991-10-31 Eurosil Electronic Gmbh, 8057 Eching, De
US5144223A (en) * 1991-03-12 1992-09-01 Mosaid, Inc. Bandgap voltage generator
US5307007A (en) * 1992-10-19 1994-04-26 National Science Council CMOS bandgap voltage and current references
KR940017214A (ko) * 1992-12-24 1994-07-26 가나이 쓰토무 기준전압 발생회로
JPH0969606A (ja) * 1995-09-01 1997-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定電流回路
KR0183549B1 (ko) * 1996-07-10 1999-04-15 정명식 온도 보상형 정전류원 회로
US5883507A (en) * 1997-05-09 1999-03-16 Stmicroelectronics, Inc. Low power temperature compensated, current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KR19990047008A (ko) * 1997-12-02 1999-07-05 구본준 외부조건 변화에 둔감한 기준전압 발생회로
JP3289276B2 (ja) * 1999-05-27 2002-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333547B1 (ko) * 1999-06-29 2002-04-24 박종섭 기준전압 발생기
US6198312B1 (en) * 1999-11-19 2001-03-06 Impala Linear Corporation Low level input voltage comparator
US6518833B2 (en) * 1999-12-22 2003-02-11 Intel Corporation Low voltage PVT insensitive MOSFET based voltage reference circuit
US6342781B1 (en) * 2001-04-13 2002-01-29 Ami Semiconductor,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bandgap voltage reference using composite resistors
JP2002328732A (ja) * 2001-05-07 2002-11-15 Texas Instr Japan Ltd 基準電圧発生回路
JP4034126B2 (ja) * 2002-06-07 2008-01-1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リファレンス電圧回路
US6778004B1 (en) * 2002-12-20 2004-08-1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coupling capacitor multipl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4790A1 (en) 2004-08-26
KR20040076071A (ko) 2004-08-31
JP2004259275A (ja)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095B1 (ko) 스타트업 회로를 갖는 바이어스회로
KR100353295B1 (ko) 동적 보상 증폭기 및 그 방법
EP2330735A2 (en)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US7312660B2 (en) Differential amplifier and active load for the same
KR100355227B1 (ko) 데이터 수신기
US8854136B2 (en) Fully differential operational amplifier with common-mode feedback circuit
KR20100077271A (ko) 기준전압 발생회로
KR101018950B1 (ko) 정전압 출력 회로
JP2007517477A (ja) レプリカバイアス電圧調整器
JP2007048283A (ja) マルチループ電圧調整器制御スキームにおける零消去
US20230208369A1 (en) Slew boost circuit for an operational amplifier
US7167050B2 (en) Operational amplifier having large output current with low supply voltage
US5315264A (en) Rail-to-rail opamp with large sourcing current and small quiescent current
US5039953A (en) Class AB CMOS output amplifier
US6414552B1 (en)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with a non-linear current mirror for improved slew rate
US5325069A (en) CMOS opamp with large sinking and sourcing currents and high slew rate
KR20050105278A (ko) 발진기용 진폭 레벨 제어 회로
US8482317B2 (en) Comparator and method with adjustable speed and power consumption
JP2006319576A (ja) 反転増幅器及びこれを有する水晶発振器
US6285242B1 (en) Reference voltage shifter
US6392454B1 (en) Shunt regulated push-pull circuit having wide frequency range
KR100270581B1 (ko) 바이어스 안정화 회로
KR100668455B1 (ko) 가변 이득 증폭기
CN114039560B (zh) 一种运算放大器及其输出级电路
US20230361729A1 (en) Class-ab stab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