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111B1 - 안과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111B1
KR100490111B1 KR10-2002-0064098A KR20020064098A KR100490111B1 KR 100490111 B1 KR100490111 B1 KR 100490111B1 KR 20020064098 A KR20020064098 A KR 20020064098A KR 100490111 B1 KR100490111 B1 KR 10049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examined
fundus
imag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941A (ko
Inventor
마쯔모토가쯔히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alig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안과장치는 피검안이 좌안인지 우안인지를 판별하고, 판별에 따라서, 본체에 대응하는 고시목표가 제시되고, 메모리에 기억된, 피검안에 대응하는 기준지표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전방의 눈에 투영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위치맞춤용 지표는 모니터에 표시되고, 이와같이 해서 좌안 및 우안에 적절한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과촬영장치{OPHTHALMIC PHOTOGRAPHIC APPARATUS}
본 발명은, 안과병원에서 사용되는 안과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저 카메라에 있어서는, 피검사자의 눈(피검안)과 촬영장치의 위치맞춤을 하기 위해서, 각막에서 반사된 상이 대략안저공역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지표를 투영하고, 그 각막에서 반사된 상과 안저상이 모니터에 표시되어 관찰된다. 안저카메라는, 각막에서 반사된 상이 포커싱(focusing)이 가능하고, 모니터의 중심에 대해서 각막반사상이 대칭으로 표시되도록, 위치맞춤 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예에 있어서는,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1) 일반적으로, 집단검진에 있어서의 안저촬영은, 대략 시신경유두와 황반사이의 중심이, 촬영화면의 중심에 오도록 위치맞춤을 해서 촬영을 행한다. 유두부와 황반부는, 화각이 약 18도 정도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촬영 방법은 약 9도 기울여서 촬영하게 된다.
안구의 광학계는, 대략동공중심과 황반사이의 광축에 대해서, 회전대칭이 되고 있다. 이와같이 편심시켜서 촬영하면, 안구를 편심해서 촬영하는 것으로 되어, 화상의 한쪽에 플래어(flare)가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 플레어의 혼입을 막기 위해 시야 조임을 작게 하면, 촬영화각이 좁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2)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동공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한 위치로부터 촬영하고 있었기 때문에, 작은 직경의 동공을 가진 피검사자에 대해서는 안저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시에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고시(固視;fixation target)목표를 적절하게 표시하기 위한 안과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안의 각막에 지표를 투영하는 지표투영수단과; 지표의 반사상과 안저의 상을 관찰하는 관찰수단과; 피검안이 좌안인지 또는 우안인지를 검지하는 좌우검지수단과; 좌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좌안 및 우안에 대응하는 다른 위치에 지표의 반사상을 위치맞춤하기 위한 기준지표를 관찰수단에 표시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안과촬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과촬영장치는 피검사자의 눈(피검안)이 좌안인지 또는 우안인지를 판별하는 편별수단을 포함하고, 위치맞춤용의 기준지표가 판별에 따라서 편심된 위치에 제시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 플래어가 없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화상을 얻을 수 있고, 촬영 및 판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b) 플래어에 대해서 여유가 생기므로, 넓은 화각을 한번에 촬영할 수 있어서 진단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 동공의 중심으로부터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직경의 동공을 가진 피검자의 눈의 안저상을 양호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유첨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첨도면을 참조해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안저 카메라의 외관도이며, 회로기판 및 전기부품등을 포함하는 기대(1)의 위에 스테이지(2)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스테이지(2)위에는 본체(3)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한, 기대(1)위에는 피검사자(S)의 턱을 고정하기 위한 턱받침대 (4) 및 머리받침대(5)를 설치 한다. 촬영자는 스테이지 (2)에 설치한 죠이스틱(6)을 조작하고, 본체(3)와 피검안(E)의 위치관계를 조정한다.
도 2는 안저카메라(3)내의 광학계 및 전기계의 구성도이다. 피검사자의 눈 (E)의 전방에는, 대물렌즈(11), 개구미러(12), 이 미러(12)의 구멍에 배치한 촬영 조리개(13), 광축상을 이동가능한 포커스렌즈(14), 촬영렌즈(15) 및 광로분기 프리즘(16)을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광로분기프리즘(16)의 반사방향에는, 렌즈(17), 미러(18), 렌즈(19), 색분해프리즘(20) 및 촬상소자(21r), (21b), (21g)를 설치한다. 여기서, 색분해프리즘(20)은 적외광과 적색광을 촬상소자(21r)로 인도하고, 청색광을 촬상소자(21b)로 인도하며, 녹색광을 촬상소자(21g)로 인도하도록 해서, 안저촬상수단을 구성한다.
광로 분기프리즘(16)의 투과 방향에는, 내부고시목표로써 기능하는 액정표시수단(LCD)(22)과 백 라이트수단(23)을 배치하고, 내부고시목표 제시수단을 구성한다.
개구미러(l2)의 입사방향에는, 릴레이 렌즈(24), 링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조리개(25), 섬광을 발하는 스트로브광원(26), 가시광선을 차단하고 적외광을 투과하며, 자유로이 광로에 삽입, 이탈가능한 파장선택필터(27), 콘덴서 렌즈(28)와, 가시광선 및 적외광의 정상광을 발하는 할로겐램프등과 같은 관찰광원(29)이 배열되고, 이들 부품은 개구미러(12) 및 대물렌즈(11)와 함께 안저조명 수단을 구성 한다.
촬영 조리개(13)의 양측에는, 파이버(30a), (30b)의 단부면을 배치하고, 촬영조리개(13)와 반대 쪽의 단부면에는, 광원(31a), (31b)를 배치한다. 촬영조리개 (13)쪽이 배치된 단부면은 작동거리 조정용의 지표로써 기능하고, 상기 지표는 대물렌즈(11)와 피검안(E)의 각막사이의 거리가 적정할 때에, 각막으로부터 반사된 상이 안저(Er)와 대략 공역으로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촬상소자(21r), (21b), (21g)의 출력은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회로 (41)을 개재하여 화상제어회로(42)에 접속한다. 화상제어회로(42)에는, 텔레비젼 모니터(43), 화상기록수단(44) 및 메모리(45a)를 가지는 제어수단(45)를 접속한다. 화상기록수단(44)는 MO(magneto-optical disk), MD(Mini-Disk), DVD-RAM(Digital Versatile Disk-Random Access Memory), VCR(Video Cassette Recorder) 테이프, 하드 디스크등과 같은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이 없이 정보를 기억유지가 가능한 기록매체(D)에의 화상의 기록 및 읽기를 행하는 드라이브장치이다. 또한, 제어수단(45)에는 LCD(22), 관찰광원(29), 촬영스위치(36), 고시목표제시위치를 지시하는 조작수단(47), 스트로브 광원(26)을 제어하는 스트로브 발광제어수단(48), 관찰광량의 광강도를 제어하고, 스위치(49a) 및 (49b)와 표시부(49c)를 가지는 광제어수단(49) 및 본체(3)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 스위치(50)을 접속한다.
LCD(22)에는, 광의 투과 및 차단을 제어가능한 셀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LCD(22)는 그 광투과부분을 통해 백 라이트수단(23)을 관찰할때 고시목표로써 기능한다. 이 백 라이트수단(23)은 복수의 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고, LCD(22)의 광투과부분의 위치, 즉 고시목표는, 고시목표가 제시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수단(47)에 의해 제어된다. 즉, 촬영자는 조작수단(47)의 4개의 스위치 (47a), (47b), (47c), (47d)를 조작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시선을 임의의 위치로 유도한다. 이 LCD(22)의 광투과부분은, 피검안(E)가 이 고시목표에 고정했을 때, 유두와 황반사이의 직선의 중심이 대략 화면중심에 오는 위치에 제시한다.
먼저, 이 안저카메라를 이용해 피측정눈인 좌안을 피검안(E)로 하고 촬영하는 것으로 한다. 촬영자는 피검사자(S)를 안저카메라의 앞에 착석시키고, 턱을 턱받침대(4)에 그리고 이마를 머리받침대(5)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촬영자는 죠이스틱(6)을 조작해서, 피검안(E)의 앞에 본체(3)을 위치맞춤한다.
도 3은 위치검지수단을 나타내고, 기대(1)의 상부(1a)의 높이는 수평방향으로 다르다. 이 높이의 차이에 의해, 검지스위치 50은 온/오프 되고 이와 같이해서 본체(3)의 위치, 즉, 본체(3)가 좌측에 있는지 우측에 있는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같이해서, 피검안(E)이 좌안인지 또는 우안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본체(3)가 예를들면 좌안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스위치(50)에 의해 검지한 제어수단(45)는, 좌안촬영용의 고시목표를 제시한다.
촬영자의 피검안(E)의 관찰시에, 관찰광원(29)를 출사한 광속은 콘덴서렌즈(28)에 의해 집광되고, 광로내에 배치된 파장선택필터(27)에 의해 적외광만이 투과하고, 이 투과광은 스트로브광원(26), 조리개(25) 및 릴레이 렌즈(24)를 통과하고, 개구미러(12)의 주변의 미러부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고, 이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11) 및 피검안(E)의 동공(Ep)를 통과해서 안저(Er)를 조명한다.
적외광으로 조명된 안저(Er)의 상은, 다시 대물렌즈(11), 촬영 조리개(13), 포커스 렌즈(14) 및 촬영렌즈(15)를 통과하고, 광로분기프리즘(16)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고, 이 반사된 상은 렌즈(17)을 지나 미러 18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고, 렌즈(l9)를 개재하여 색분해프리즘(20) 에 입사하고, 적색 및 적외광용의 촬상소자 (21r)에 결상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신호증폭회로(41)을 통과하고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되며, 이 증폭된 신호는 화상제어회로(42)에 입력되고 텔레비젼 모니터(43)에 표시된다.
도 4는 개구미러(12)를 대물렌즈(11)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광원 (31a),(3lb)를 출사한 광은 파이버(30a), (30b)에 입사하고, 촬영조리개(13)가 설치된 단부면을 조명한다. 이 단부면의 상은 대물렌즈(11)에 의해, 피검안(E)의 각막(Ec)의 정점과, 각막곡율 중심사이의 중간 부근에 결상한다. 피검안(E)과 대물렌즈 (11)사이의 작동거리가 적정한 경우에는, 이 파이버(30a),(30b)에 의해 형성되는 지표의 각막반사상은 안저(Er)와 대략공역위치에 형성된다. 즉, 이 각막반사상은 대물렌즈 (11), 촬영 조리개(13), 포커스렌즈(14) 및 촬영렌즈(15)를 통과하고, 광로분기프리즘(16)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고, 렌즈(17) 부근에서 결상하고, 이 상은 미러 (18)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고, 렌즈(19)를 개재하여, 안저상과 마찬가지로 촬상소자(21r)에 결상한다.
도 5(A)는 각막(Ec)에 의해 형성된, 지표의 반사상(Ra)(Rb)이 텔레비젼 모니터 (43)에 표시된 안저의 상(안저상)(Er')이다. 또한, 제어수단(45)는 메모리(45a)에 기억되어 있고, 좌안 촬영에 이용되는 위치맞춤용 기준지표 (LMa), (LMb)를 텔레비젼 모니터(43)위에 표시하고, 이들 기준지표(LMa), (LMb)의 중심은, 안저상(Er')의 중심에 대해서 우측으로 약 6도 정도 편심하고 있다. 이 안저상(Er')및 각막반사상(Ra), (Rb)를 관찰한 조사자는, 기준지표(LMa), (LMb)안에 반사상(Ra), (Rb)이 위치하고, 반사상(Ra), (Rb)의 콘트라스트가 최대로 되도록 죠이스틱(6)을 조작한다. 그리고, 촬영범위, 위치 및 포커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한 후에, 촬영자는 촬영스위치(36)을 조작해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촬영스위치(36)에의 조작을 검지한 제어수단(45)는, 스트로브 발광제어수단 (48)을 개재하여 스트로브광원(26)을 발광한다. 스트로브광원(26)을 출사한 광은 링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조리개 (25)의 개구와 릴레이렌즈(24)를 통과하고, 개구미러(12)의 주변의 미러부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고, 이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11)와 피검안(E)의 동공(Ep)를 지나서 안저(Er)를 조명 한다.
조명된 안저상(Er')는 다시 대물렌즈(11), 촬영 조리개(l3), 포커스 렌즈(1 4) 및 촬영렌즈(15)를 통과하고, 광로내에 배치된 광로분기프리즘(16)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고, 이 반사된 상(Er')은 렌즈 (17)을 통과하고, 미러(18)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어, 렌즈(19)를 통과하고 색분해프리즘(20)에 입사하며, 촬상소자 (21r), (21b), (21gb)에 결상해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신호증폭회로 (41)에 의해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화상제어회로(42)에 입력된다. 증폭신호와 고시목표의 제시위치정보를 사용해서, 화상기록수단(44)에 의해 컬러안저상이 기록매체(D)에 기록되고, 상기 기록된 상이 텔레비젼 모니터(43)에 표시된다.
다음에, 우안을 피검안(E)으로서 촬영하려면 , 촬영자는 죠이스틱(6)을 조작해서, 광학계를 포함한 본체(3)을 우안의 앞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좌안 또는 우안의 검사여부를 검지하는 검지스위치(50)는 오프되고, 오프된 것을 검지한 제어수단(45)는 우안용의 고시목표를 제시하는 동시에, 메모리(45a)에 기억되어 있는 우안 위치맞춤용의 기준지표(RMa), (RMb)를 텔레비젼 모니터(43)에 표시한다. 이 기준지표 RMa과 RMb의 중심은 도 5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저상(Er')의 중심에 대해서 좌측으로 약 6도 편심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관찰광원(29)를 출사한 적외광은 안저(Er)를 조명 하고, 조명된 안저상(Er') 및 광원(31a) 및(31b)으로 각막(Ec)을 조명해서 형성되는 지표의 반사상(Ra), (Rb)은 텔레비젼 모니터(43)에 표시된다. 도 5B를 참조해서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촬영자는 반사상(Ra), (Rb)를 기준지표(RMa) 및 (RMb)안에 대칭으로 위치시키고, 반사상(Ra) 및 (Rb) 의 콘트라스트가 최대로 되도록, 죠이스틱 (6)을 조작해서 피검안(E)에 따라서 본체(3)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촬영자가 촬영범위, 위치 및 포커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한 후에, 촬영자는 촬영스위치(36)을 조작하고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촬영스위치(36)에의 조작을 검지한 제어수단(45)는, 스트로브광원(26)을 제어해서 발광시켜 안저 (Er)를 가시광선으로 조명한다. 조명된 안저상(Er')는, 다시 대물렌즈(11), 촬영 조리개(13), 포커스렌즈(14) 및 촬영렌즈(15)를 통과하고, 광로분기프리즘(16)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고, 이 반사된 광은 렌즈(17)을 지나 미러(18)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어 색분해프리즘(20)에 입사하고, 촬상소자(21r), (21b) 및 (21g)에 결상한다.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기신호는 신호증폭회로(41)에 의해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화상제어회로(42)를 통과하고, 화상기록수단(44)에 의해 컬러 안저상으로서 기록매체(D)에 기록된다. 이 상은 텔레비젼 모니터(43)에 표시되고 촬영과정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안과촬영장치는, 피검안이 좌안일까 우안일까의 판별수단을 설치하고, 그 판별에 따라 각각 편심한 위치에 지표의 위치맞춤용의 기준지표를 제시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다음에 열거하게 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a) 플래어가 혼입하지 않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촬영 및 독영(讀映)의 효율이 향상한다.
(b) 플래어에 대해서 여유가 생기므로, 넓은 화각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어 더욱 진단의 효율을 향상한다.
(c) 동공중심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작은 동공직경의 피검사자의 안저도 양호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유첨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여러변형과 균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균등의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저카메라의 외관도,
도2는 광학계 및 전기계의 개략도
도3은 위치검지기의 개략도
도4는 개구미러, 파이버 및 광원의 개략 배치도
도5A 및 5B는 텔레비젼 모니터에 표시된 안저상과 고시목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기대 2 : 스테이지
3 : 본체 4 : 턱받침대
5 : 머리받침대 6 : 죠이스틱
11 : 대물렌즈 12 : 개구미러
14 : 포커스렌즈 15 : 촬영렌즈
20 : 색분해프리즘 21 : 촬상소자
26 : 스트로브광원 29 : 관찰광원
42 : 화상제어회로 43 : 텔레비젼모니터
44 : 화상기록수단 45 : 제어수단
46 : 촬영스위치 47 : 조작수단
48 :스트로브발광제어회로 50 : 검지스위치

Claims (21)

  1.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안저상을 촬영하는 안저촬영수단과; 피검안의 시선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피검안의 각막에 위치맞춤용의 지표를 투영하는 지표투영수단과; 상기 지표의 반사상을 위치맞춤하기 위한 기준지표와; 피검안의 안저상과 함께 지표의 반사상과 기준지표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수단과; 피검안이 좌안인지 또는 우안인지를 검지하기 위한 좌우검지수단과; 좌우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관찰수단에 기준지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과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대와, 가동부와, 이 가동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재를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과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검지수단은 상기 기대와 가동부의 위치관계를 검출함으로써 피검안이 좌안인지 또는 우안인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과촬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기준지표가 표시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피검안에 고시목표(fixation target)를 제시하는 고시목표제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피검안에 상기 고시목표가 제시되는 위치는 좌우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정보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피검안에 고시목표를 제시하는 고시목표제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는 고시목표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고시목표조작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과촬영장치.
  7. 피검안의 각막에 위치맞춤용 지표를 투영하기 위한 지표투영수단과; 상기 지표의 반사상을 위치맞춤하기 위한 기준지표와; 피검안이 좌안인지 우안인지를 검지하기 위한 좌우검지수단과; 위치맞춤용 지표와 기준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좌우검지수단에 의해 얻어진 검지결과에 따라서 기준지표가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안저조명기와; 상기 안저조명기에 의해 조명된 안저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화상기록기와; 피검안의 시선을 안내하기 위해 피검안에 고시목표를 제시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표시장치와; 피검안의 각막에 위치맞춤용 지표를 투영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지표투영기와; 지표의 반사상을 위치맞춤 하기 위한 기준지표와; 사용자가 피검안의 안저상과 함께 지표의 반사상과 기준지표를 관찰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관찰장치와; 피검안이 좌안인지 우안인지를 검지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위치검지기와; 상기 관찰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관찰장치를 제어해서 상기 위치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기준지표를 위치시키고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제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기대와,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조작부재를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지기는 상기 기대와 가동부의 상대위치를 검지함으로써 피검안이 좌안인지 우안인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기준지표가 표시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피검안에 고시목표를 표시하는 위치는 상기 위치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에 접속되고 고시목표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고시목표조작장치를 부가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과촬영장치.
  14. 피검안의 각막에 위치맞춤용 지표를 투영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지표투영기와; 지표의 반사상과 위치맞춤하도록 하기 위해 기준지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표시장치와; 피검안이 좌안인지 우안인지를 검지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위치 검지기와;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해서 기준지표가 상기 위치 검지기에 의해 얻어진 검지결과에 따라서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제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2-0064098A 2001-10-22 2002-10-21 안과촬영장치 KR10049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23405 2001-10-22
JP2001323405A JP2003126043A (ja) 2001-10-22 2001-10-22 眼科撮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41A KR20030033941A (ko) 2003-05-01
KR100490111B1 true KR100490111B1 (ko) 2005-05-17

Family

ID=1914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98A KR100490111B1 (ko) 2001-10-22 2002-10-21 안과촬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79890B2 (ko)
JP (1) JP2003126043A (ko)
KR (1) KR100490111B1 (ko)
CN (1) CN12322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7882B1 (en) 1998-11-24 2003-10-28 Welch Allyn, Inc. Eye viewing device for retinal viewing through undilated pupil
DE20317595U1 (de) * 2003-11-13 2004-02-12 Oculus Optikgeräte GmbH Gerät zur Durchführung von Untersuchungen am menschlichen Auge
US7481536B2 (en) * 2004-02-19 2009-01-27 Amo Manufacturing Us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fferentiating left and right eye images
DE102004029056A1 (de) * 2004-06-16 2006-01-12 Carl Zeiss Variable Blende, Beleuchtungseinrichtung, optische Beobachtungseinrichtung sowie optisches Beobachtungsgerät
US7347553B2 (en) * 2004-09-24 2008-03-25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ic image sensing apparatus
JP4865257B2 (ja) * 2004-09-29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37192B2 (ja) * 2004-12-21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DE102005003443A1 (de) * 2005-01-21 2006-07-27 Carl Zeiss Meditec Ag Einheit und Verfahren zur internen Blickführung in Funduskameras
JP4673677B2 (ja) * 2005-06-15 2011-04-20 興和株式会社 眼底撮影装置
JP4916917B2 (ja) * 2007-03-01 2012-04-1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カメラ
JP5022452B2 (ja) * 2008-01-24 2012-09-1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US8480659B2 (en) 2008-07-25 2013-07-09 Lensar,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val and replacement of lens material from the lens of an eye
US8500723B2 (en) 2008-07-25 2013-08-06 Lensar, Inc. Liquid filled index matching device for ophthalmic laser procedures
JP5460152B2 (ja) * 2009-07-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2013500078A (ja) 2009-07-24 2013-01-07 レンサー, インク. 眼の水晶体にレーザ照射パターンを照射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58332B2 (en) 2009-07-24 2014-06-24 Lensar,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d sealing corneal incisions in the eye
AU2010275380A1 (en) 2009-07-24 2012-02-16 Lens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ladar assisted procedures on the lens of an eye
US8382745B2 (en) 2009-07-24 2013-02-26 Lensar,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astigmatic corrections in association with cataract treatment
US8617146B2 (en) 2009-07-24 2013-12-31 Lensar,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induced astigmatism
CN102843955A (zh) * 2010-02-01 2012-12-26 雷萨公司 眼科应用中吸环基于浦肯野图像的对准
ES2937241T3 (es) 2010-10-15 2023-03-27 Lensar Inc Sistema y método de iluminación controlada por barrido de estructuras dentro de un ojo
USD694890S1 (en) 2010-10-15 2013-12-03 Lensar, Inc. Laser system for treatment of the eye
ES2380469B2 (es) * 2010-10-15 2013-04-10 Universidad De Murcia Instrumento para la medida rápida de las propiedades ópticas del ojo en todo el campo visual.
USD695408S1 (en) 2010-10-15 2013-12-10 Lensar, Inc. Laser system for treatment of the eye
JP5794664B2 (ja) * 2011-01-20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断層画像生成装置及び断層画像生成方法
US8517537B2 (en) 2011-01-20 2013-08-27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ing method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ing apparatus
US10463541B2 (en) 2011-03-25 2019-11-05 Lens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astigmatism using multiple paired arcuate laser generated corneal incisions
JP2013085762A (ja) * 2011-10-19 2013-05-13 Canon Inc 眼科装置、及び眼科撮影方法
US20150125052A1 (en) * 2012-06-05 2015-05-07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Drusen lesion image detection system
JP6184113B2 (ja) * 2013-01-31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3322422A (zh) * 2013-07-05 2013-09-25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led头灯
JP6429447B2 (ja) * 2013-10-24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比較方法、位置合わ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31990B (zh) * 2014-03-14 2019-07-23 Lkc科技有限公司 视网膜病变检测系统和方法
CN104042185A (zh) * 2014-06-23 2014-09-17 屠军 一种眼底数码成像系统
JP6468764B2 (ja) 2014-09-08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6929684B2 (ja) 2017-04-06 2021-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3A (ja) * 1991-07-03 1993-01-19 Topcon Corp 眼底カメラ
JPH114808A (ja) * 1997-04-24 1999-01-12 Topcon Corp 眼底カメラ
JPH11313800A (ja) * 1998-05-01 1999-11-16 Canon Inc 眼科装置
JP2001245847A (ja) * 2000-03-03 2001-09-11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2002119483A (ja) * 2000-10-16 2002-04-23 Kowa Co 眼底カメラ
JP2002119482A (ja) * 2000-10-16 2002-04-23 Kowa Co 眼底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090B2 (ja) * 1977-04-12 1983-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調整システムを備えた眼科装置
US4820037A (en) 1985-01-10 1989-04-1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fractive power of an eye
JPS61234837A (ja) 1985-04-12 1986-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屈折度測定装置
JPS62122629A (ja) 1985-11-25 1987-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屈折計
US4991584A (en) * 1986-10-25 1991-02-12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ic exami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examining glaucoma
JP2565421B2 (ja) 1990-10-16 1996-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用光学装置とこれを用いた眼底カメラ
US5455644A (en) 1992-02-28 1995-10-03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ologic apparatus having an examining system for examining the fundus of an eye
US5847805A (en) 1993-07-12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Scan imaging device for forming a stereoscopic image of the eye
JPH09262211A (ja) 1996-03-29 1997-10-07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3630857B2 (ja) 1996-06-17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3592050B2 (ja) 1997-10-03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4355413B2 (ja) 1999-11-26 2009-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3A (ja) * 1991-07-03 1993-01-19 Topcon Corp 眼底カメラ
JPH114808A (ja) * 1997-04-24 1999-01-12 Topcon Corp 眼底カメラ
JPH11313800A (ja) * 1998-05-01 1999-11-16 Canon Inc 眼科装置
JP2001245847A (ja) * 2000-03-03 2001-09-11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2002119483A (ja) * 2000-10-16 2002-04-23 Kowa Co 眼底カメラ
JP2002119482A (ja) * 2000-10-16 2002-04-23 Kowa Co 眼底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41A (ko) 2003-05-01
CN1413552A (zh) 2003-04-30
JP2003126043A (ja) 2003-05-07
US20030076477A1 (en) 2003-04-24
CN1232217C (zh) 2005-12-21
US6779890B2 (en) 2004-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111B1 (ko) 안과촬영장치
JP4878277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該眼科撮影装置に使用するフォーカスユニット
US7347553B2 (en) Ophthalmic image sensing apparatus
JP4138533B2 (ja) 眼底カメラ
JPS6324927A (ja) 眼科測定装置
JP4359489B2 (ja) 眼底カメラ
JP3386258B2 (ja) 眼科撮影装置
JP4850561B2 (ja) 眼科装置
JPH11104085A (ja) 眼科装置
JP4886387B2 (ja) 眼底カメラ
JPH08565A (ja) 眼科装置
JP4011731B2 (ja) 眼科装置
JP4359527B2 (ja) 眼底カメラ
JP4551727B2 (ja) 眼科撮影装置
JP3490796B2 (ja) 眼底カメラ
JP2008006105A (ja) 眼底カメラ
JP4615891B2 (ja) 眼底カメラ
JP2003047596A (ja) 眼科撮影装置
JP4492854B2 (ja) 眼底カメラ
JP2001025459A (ja) 眼科測定装置
JP2000287936A (ja) 眼科撮影装置
JP4659263B2 (ja) 眼科装置
JPH1176166A (ja) 眼底撮影装置
JP2004267614A (ja) 眼科撮影装置
JPH11225970A (ja) 眼科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