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885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885B1
KR100472885B1 KR10-2002-0016260A KR20020016260A KR100472885B1 KR 100472885 B1 KR100472885 B1 KR 100472885B1 KR 20020016260 A KR20020016260 A KR 20020016260A KR 100472885 B1 KR100472885 B1 KR 100472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substrate
imaging
frame member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092A (ko
Inventor
미야께히로유끼
고모리노리유끼
시라세다까시
히로에류지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촬상 소자의 촬상 렌즈에 대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는 동시에,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수광면(2)을 갖는 촬상 소자(1)와, 상기 촬상 소자(1)의 주연부를 둘러싸 상기 촬상 소자(1)를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5)와, 상기 수광면(2)에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7)와, 상기 결상 렌즈(7)를 지지하는 경통부(8)와, 상기 경통부(8)가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5) 및 상기 촬상 소자(1)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12)를 구성하는 다리부(9)가 형성된 지지 부재(11)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5)의 외측에 돌출부(6)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11)의 상기 다리부(9)에, 상기 돌출부(6)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3)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13)에 상기 돌출부(6)를 장착하여 일체화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외에 퍼스널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또는 스캐너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통신 기술의 진전에 수반하여, 촬상 장치는 휴대 전화의 휴대 정보 단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촬상 장치는, 보다 한층 소형화가 요구되어, 그 소형화에 관해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191864호 공보에는 도전성의 프린트 배선을 설치한 기판의 일면에 CCD(charge coupled device)칩을 배치하고, 그 CCD칩의 유효 화소 영역에 대향하는 기판의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CCD칩의 촬상면을 기판에 설치된 개구부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고체 촬상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그 공보에는 기판의 개구부를 촬상 렌즈를 향해 확대 개방시켜 촬상 렌즈와 CCD칩과의 거리를 보다 근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렌즈와 CCD칩과의 거리를 근접시켜 그 거리의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CCD칩의 촬상 렌즈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촬상 렌즈의 유효 상(像)원이 CCD칩의 유효 화소 영역으로부터 제외되어 버려, 상고가 높은 위치, 즉 최외부에 있어서의 상이 CCD칩의 유효 화소 영역 상에 결상되지 않아,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시트형 기판(필름형 기판)을 이용한 경우에는 기판 자체가 얇고 유연하므로 원하는 상술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촬상 소자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재를 촬상 렌즈의 다리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촬상 소자의 촬상 렌즈에 대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는 동시에,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 장치는 수광면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주연부를 둘러싸 상기 촬상 소자를 고정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광면에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와, 상기 결상 렌즈를 지지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촬상 소자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성하는 다리부가 형성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돌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다리부에 상기 돌출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부에 상기 돌출부를 장착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 필름형 기판을 구비하는 동시에, 다리부는 상기 필름형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형 기판은 상기 절결부를 통해서 절곡되는 일 없이 프레임 부재의 외측으로 취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 장치는 필름형 기판을 개구부 내에서 절곡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형 기판에 설치되는 주변 회로 소자를 촬상 소자의 수광면과 반대측인 면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상기 주변 회로 소자를 상기 개구부 내에 수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 사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혹은 상당의 것을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 내지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의 (a) 내지 도2의 (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3은 도1과 마찬가지인 사시도에 I-I선을 부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I-I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I-I선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있어서, 부호 1은 CCD칩 등의 촬상 소자이다. 부호 2는 촬상 소자(1)의 촬상면(수광면이라고도 칭함)을 나타내고 있다. 부호 3은 FPC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기판(이하, 단순히「기판」이라고도 칭함)으로, 그 일단부 부근에는 촬상면(2)을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4)을 형성하고 있다. 기판(3) 상에는 그 한 면 또는 양 면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면(2)이 관통 구멍(4)에 대응하여 필름형 기판(3)의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촬상 소자(1)를 기판의 이면측에 고정하고 있다. 부호 5는 촬상 소자(1)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재이며, 도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의 측면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촬상 소자(1)에 고정시키고 있다.
부호 6, 6은 프레임 부재(5)에 일체 성형한 돌출부이다. 이 돌출부(6, 6)는 기판(3)의 폭 방향의 변에 설치하고 있고, 도2의 (c)의 화살표로 도시한 기판(3)의 연장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각각 돌출시키고 있다. 부호 7은 촬상 렌즈(결상 렌즈라고도 칭함)로, 기판(3)의 관통 구멍(4)을 통해 촬상면(2)에 결상시키고 있다. 부호 8은 촬상 렌즈(7)를 보유 지지하는 경통부, 부호 9는 다리부, 부호 10은 경통부(8)와 다리부(9)를 접속하는 지지부이다. 경통부(8), 다리부(9) 및 지지부(10)에 의해 지지 부재(11)를 구성한다.
도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9)에는 돌출부(6, 6)가 끼움 맞춤 및 장착하는 오목부(절결부)(13, 13)를 형성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6, 6)를 다리부(9)의 오목부(13, 13)에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3에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9), 지지부(10)에 의해 상자형 형상의 공간부인 개구부(12)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2)에 프레임 부재(5)와 일체화된 촬상 소자(1) 및 기판(3)을 삽입하고 있다.
또, 이러한 프레임 부재(5) 및 지지 부재(11)는 ABS 수지 등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높은 치수 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품으로 함으로써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6, 6), 다리부(9)의 오목부(절결부)(13, 13) 및 후술하는 경통부(8) 및 지지부(10)로 이루어지는 촛점 거리의 조정 수단 등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치수 정밀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6, 6)와 다리부(9)의 오목부(13, 13)와의 장착에 의해 용이하게 경통부(8)에 보유 지지된 촬상 렌즈(7) 및 촬상 소자(1)에 대해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촬상 렌즈(7)에 의한 상이 촬상 소자(1)의 촬상면(2)에 정확하게 결상된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부(8)의 내측에는 나사 홈을 형성하고, 이 나사 홈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홈을 지지부(10)에 형성하고 있다[이하, 나사 결합 수단(14a)이라 함]. 또, 경통부(8)에는 상기 나사 결합 수단(14a)의 내측에, 가이드부(14b)가 2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결합 수단(14a)에 의해 경통부(8)는 촬상 렌즈(7)의 촬상면(2)에 대한 높이 방향의 촛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가이드부(14b)와 지지부(10)를 장착 및 끼워 맞춤 조립함으로써, 결상 렌즈(7)의 광축 중심과 촬상면(2)의 상대 위치를 소정의 공차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지지부(10)의 촬상면(2) 상의 위치에는 촬상 렌즈(7)에 의해 결상되는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15)을 형성하고 있다. 또,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6, 6)와 다리부(9)의 오목부(13, 13)를 각각 끼워 맞춤 및 장착을 하여 보유 지지하는 경우에는 엄밀한 치수 교차를 필요로 하지만, 이 허용 범위를 넓게 하여 접착제 등의 고정 부착 수단(16)에 의해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6, 6)와 다리부(9)의 오목부(13, 13)를 고정 부착해도 좋다. 여기에,「장착」이라 함은 이들의 쌍방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5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는 이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도5와 마찬가지인 사시도에 Ⅱ-Ⅱ선을 부가한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Ⅱ-Ⅱ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에 있어서, 부호 17은 기판(3)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다리부(9a)에 설치된 오목부(절결부)이다. 그 오목부(17)의 폭은 개구부(12)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기판(3)의 폭에 대응하고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은 오목부(17)를 통해서 다리부(9a)를 포함하는 다리부(9)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12)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이 때, 도3에 도시한 경우와 달리, 기판(3)을 절곡하는 일 없이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름형 기판(3)의 절곡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촬상 장치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또, 이들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도시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9 및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9는 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9에 있어서, 부호 18은 다리부(9a)의 오목부(17)(절결부)에 있어서, 이 다리부(9a)와 외부로 인출한 기판(3)을 고정 부착하는 접착제 등의 고정 부착 수단이다. 이 고정 부착 수단(18)에 의해, 기판(3)과 다리부(9a)가 고정된다.
또, 고정 부착 수단(18)은,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한다.
다음에, 도10에 있어서 부호 19는 다리부(9a)에 설치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이다. 부호 20은 기판(3)에 마련한 구멍으로, 볼록부(19)가 삽입되어 촬상 소자(1), 프레임 부재(5)가 일체화된 기판(3)과 지지 부재(11)의 대략 위치 결정을 하고 있다.
즉, 다리부(9a)에 설치된 볼록부(19)를 기판(3)에 마련한 구멍(20)에 삽입함으로써, 촬상 렌즈(7)를 보유 지지하는 경통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다리부(9)를 형성한 지지 부재(11)와 기판(3)과의 개략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호 21은 구멍(20)의 주위에 설치한 기판(3)의 보강용 부재로, 기판(3)이 필름형 기판 등 유연한 기재인 경우, 볼록부(19)가 삽입 통과된 후, 외력 등의 스트레스에 의해 기판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1 및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지지 부재(11)의 다리부(9)에 제1 절결부인 오목부(13), 다리부(9a)에 제2 절결부인 오목부(17)를 각각 설치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다리부(9, 9a)에 절결부를 설치하면 이들 다리부(9, 9a)에 의해 개구부(12)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11)의 구조 강도가 저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11)에 절결부 등을 설치한 부분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에 있어서, 부호 22는 지지부(10)에 연속하여 다리부(9a)의 상방으로 연장된 리브, 부호 23은 지지부(10)에 연속하여 다리부(9)의 상방으로 연장된 리브이다. 이들 보강용의 리브(22, 23)를 설치함으로써 다리부(9, 9a)가 보강된다.
또한, 촬상 소자(1), 기판(3) 및 프레임 부재 등도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와 마찬가지인 구성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설명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5), 기판(3) 등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도13 내지 도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기판(3)을 접착제(18)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서 다리부(9a)에 고정시키고 있지만, 이러한 촬상 장치는 장치 자체가 소형화되어 있어, 이와 같은 고정에서는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고정 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기판(3)과 지지 부재(11)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13 및 도14는 기판(3)에 지지 부재(11)를 장착하기 전의 촬상 장치를 도시한 구성 사시도이다. 도15는 Ⅲ-Ⅲ선을 부가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도15에 도시한 Ⅲ-Ⅲ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6에 있어서, 부호 24, 부호 25는 각각 기판(3)의 관통 구멍(4) 및 이 관통 구멍(4)에 노출된 촬상 소자(1)의 촬상면(2) 주위에 도포하여 설치된 고정 부착 부재(접착제)이며, 부호 24는 접착 기능을 가진 액형의 고정 부착 부재, 부호 25는 부호 24와 마찬가지로 접착 기능을 가진 필름형의 고정 부착 부재이며, 도16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단면도에 있어서는 고정 부착 부재(24)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도13 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의 관통 구멍(4) 주위에 고정 부착 부재(24, 25)를 도포하고, 이 고정 부착 부재(24, 25)를 통해 기판(3)과 지지 부재(11)를 고정 부착하므로, 기판(3)과 지지 부재(11) 사이에 있어서의 고정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기판(3)과 지지 부재(1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에 수용된 기판(3)은 밀봉 부재(24)에 의해 지지 부재(11)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낙하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되어도 기판(3)의 지지 부재(11)로부터의 박리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촬상 렌즈(7)의 촛점 위치에 위치 결정된 촬상 소자(1)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원하는 판독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품질의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17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개구부(12)를 밀봉 부재에 의해서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 프레임 부재(5) 및 기판(3)이 삽입된 개구부(12)를 밀봉 부재(26)로 밀봉함으로써, 흡습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개구부(12)측으로부터 보아 촬상 소자(1)의 이면이 알몸의 상태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력 등에 의한 촬상 소자의 파괴를 막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8 및 도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소자(1) 및 주변 회로 소자(27)가 설치된 기판(3)을 절곡하여 촬상 소자(1)와 주변 회로 소자가 상하로 겹치도록 하여, 이들 촬상 소자(1) 및 주변 회로 소자가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 내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주변 회로 소자(27)라 함은, 예를 들어 촬상 소자(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촬상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한 화상 신호 처리(IC) 등이다.
도18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 도19는 도18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개구부(12)를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8 및 도19에 있어서, 부호 27은 촬상 소자(1)와 상하로 겹쳐진 주변 회로 소자, 부호 3은 촬상 소자(1)와 주변 회로 소자(27)가 상하로 겹치도록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 내에 있어서 절곡된 필름형, 부호 26은 촬상 소자(1), 주변 회로 소자(27) 및 기판(3)을 수용한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이다.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따르면, 기판(3)을 절곡하여 촬상 소자(1) 및 주변 회로 소자(27)를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 내에 수용한다.
따라서,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기판(3) 상의 영역, 혹은 촬상 장치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촬상 장치가 탑재되는 기기의 본체측 기판 상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촬상 장치로서의 구성을 소형화 및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26)에 의해서 촬상 소자(1), 주변 회로 소자(27) 및 기판(3)을 수용한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를 밀봉하므로, 흡습 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외력 등에 의한 촬상 소자 및 주변 회로 소자의 파괴를 막을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제7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20 내지 도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프레임 부재(6)에 일체 형성하는 돌출부(6) 및 이 돌출부(6)가 끼워 맞춤 및 장착하는 다리부(9)의 오목부(13)를 각각 프레임 부재(6) 또는 다리부(9)의 대향하는 변에 1개씩 설치하는 것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이러한 촬상 소자(1)와 촬상 렌즈(7)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프레임 부재(6)의 돌출부 및 다리부(9)의 오목부를 프레임 부재(6) 또는 다리부(9)의 대향하는 변에 복수 설치하고, 또한 그 각각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도20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들 프레임 부재(6)의 돌출부 및 다리부(9)의 오목부를 대향하는 변에 각각 2개 설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20 및 도21에 있어서, 부호 30, 31은 프레임 부재(6)에 일체 성형된 돌출부, 부호 32, 33은 돌출부(30, 31)를 각각 끼워 맞춤 및 장착하는 다리부(9)의 오목부이다.
이들 돌출부(30, 31) 및 오목부(32, 33)의 끼워 맞춤 및 장착에 의해 프레임 부재(6)를 둘러싼 촬상 소자(1) 및 기판(3)이 지지 부재(11)의 개구부(12) 안에 삽입되고, 촬상 소자(1)의 촬상면(2)과 경통부(8)에 지지된 촬상 렌즈(7)의 결상 위치와의 위치 결정을 달성한다.
또, 도20 및 도21에 도시한 촬상 장치는 지지 부재(11)의 다리부 중 기판(3)이 취출되는 측의 다리부(9a)에는 기판(3)의 폭을 갖는 오목부(절결부)(17)를 설치하고 있지만,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목부(17)를 설치하지 않은 촬상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프레임 부재(6)와 경통부(8), 다리부(9) 및 지지부(10)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11)가 복수의 돌출부(30, 31) 및 오목부(32, 33)의 끼워 맞춤 및 장착에 의해 접속되는 부분을 복수로 함으로써 작은 사이즈 했으므로, 상기 지지 부재(11)에 절결부를 설치함에 따른, 그 부분의 구조 강도의 저하를 완화 및 분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하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22의 (a) 및 도22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22의 (a) 및 도22의 (b)에 있어서, 부호 34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6)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리드 프레임이며,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30, 31)의 부분을 거쳐서 프레임 부재(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5) 및 지지 부재(11)는 금형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른바 성형품이지만, 리드 프레임(34)을 이와 같은 성형품으로서 성형함으로써,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프레임 부재(5)를 가진 리드 프레임(3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리드 프레임(37)을 반송시켜 촬상 장치의 제조를 행한다.
도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반송된 리드 프레임(34)의 각 프레임 부재(5) 상에 촬상 소자(1)가 고정된 기판(3)을 각각 설치하여 각 촬상 소자(1)의 주변을 프레임 부재(5)에 의해 둘러싼다.
또, 각 프레임 부재(5) 사이에는 프레임 부재(5)에 설치된 기판(3)이 옆에 설치된 기판(3) 및 프레임 부재(5)와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두고 있다.
다음에, 촬상 렌즈(7)를 가진 각 지지 부재(11)를 기판(3)의 상방으로부터 설치하고, 지지 부재(11)의 다리부(9)에 설치한 오목부(32, 33)를 프레임 부재(5)의 돌출부(30, 31)에 끼워 맞춤 및 장착시킨다.
또한, 돌출부(30, 31) 및 오목부(32, 33)의 장착 부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 등의 고정 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프레임 부재(5)와 지지 부재(1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 후, 프레임 부재(5)와 리드 프레임(34)과의 접속을 리드 프레임(34)과 돌출부(30, 31)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분리하고, 이에 의해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프레임 부재(5)와 리드 프레임(34)이 접속된 것을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하므로, 각 프레임 부재(5)의 치수 및 각 프레임 부재(5)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 등을 높은 치수 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프레임 부재(5)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어, 복수의 촬상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면서도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5)와 촬상 소자(1)를 설치한 기판(3)과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짐으로써, 또한 기계에 의한 조립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도22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공정도에서는 프레임 부재(5) 및 다리부(9)의 1변에 2개의 돌출부(30, 31) 및 오목부(32, 33)를 각각 설치한 것이지만, 리드 프레임부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고, 안정된 형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제8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23 내지 도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로서, Ⅳ-Ⅳ선을 부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4는 도23에 도시한 Ⅳ-Ⅳ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23에 있어서, 부호 35는 경통부(8)를 지지한 지지 부재(11)의 상방으로부터 촬상 장치 본체에 대하여 부착되는 홀더, 부호 36은 홀더(35)에 설치되어, 홀더(35)를 부착시에 경통부(8)를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 부호 37은 홀더(35)의 촬상 장치 본체로의 부착시에 사용하는 부착부, 부호 38은 부착부(37)의 선단부에 설치된 열쇠부, 부호 39는 지지 부재(11)를 구성하는 지지부(10)의 구석부에 설치된 홀더(35)와의 접촉부이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5)에는 경통부(8)를 통과시키는 구멍부(36)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홀더(35)는 지지부(10)의 네 구석에 설치된 각 접촉부(39)와 홀더(35)가 접촉한다. 또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5)를 부착할 때에 생기는 화살표 방향의 부착 부하는 접촉부(39)를 거쳐서 지지부(10)에 연속된 다리부(9, 9a)의 연장 방향으로 가해진다.
촬상 소자(1), 기판(3) 및 지지 부재(11) 등을 조립한 후의 촬상 장치 본체에 대하여 홀더(35)를 부착하는 경우, 그 부착 부하가 경통부(8) 방향으로부터 균일하게 가해지고,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의 구조가 변형하여 촬상 소자(1)와 기판(3)과의 접속 부분 등에 이들을 박리하는 방향의 응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응력이 발생하면 촬상 소자(1)와 기판(3)이 박리되어 고장 등의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는 홀더(35)의 부착시의 부착 부하가 경통부(8) 방향으로부터 균일하게 가해지지 않고, 접촉부(39)를 거쳐서 지지부(10)의 구석부 및 다리부(9, 9a)에 가해지므로, 홀더(35)의 부착에 관계없이, 이러한 부착 부하에 의한 촬상 소자(1)와 기판(3)과의 접속 부분 등에 작용하는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여, 촬상 소자(1), 기판(3) 및 지지 부재(11) 등을 조립한 후의 장치의 고장 등의 발생이 방지된 고품질의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의 구석부에 설치된 접촉부(39) 사이에 이들 접촉부(39)를 연결하는 리브 등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26은 보강 부재를 설치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구성 사시도이다.
도26에 있어서, 부호 40은 지지부(10)에 연속하여 다리부(9, 9a)의 상방으로 연장된 리브로서, 지지부(10)의 구석부에 설치된 접촉부(39)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이다.
또,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39)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지지 부재(11)의 구조가 보강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홀더(35)의 부착 부하에 의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또한 장치의 고장 등의 발생을 방지한 고품질의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수광면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주연부를 둘러싸 촬상 소자를 고정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광면에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와, 상기 결상 렌즈를 지지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촬상 소자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성하는 다리부가 형성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돌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의 다리부에 돌출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부에 상기 돌출부를 장착하여 일체화하였으므로, 다리부에 둘러싸여진 개구부에 정밀도 좋게 촬상 소자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가 도모되고, 또한 자동 조립도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 필름형 기판을 구비하는 동시에, 다리부는 상기 필름형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형 기판은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절곡되는 일 없이 프레임 부재의 외측으로 취출되므로, 필름형 기판의 절곡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필름형 기판을 개구부 내에서 절곡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형 기판에 설치되는 주변 회로 소자를 촬상 소자의 수광면과 반대측인 면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상기 주변 회로 소자를 상기 개구부 내에 수납하였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3은 도1과 같은 사시도에 I-I선을 부가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I-I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I-I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7은 도5와 같은 사시도에 Ⅱ-Ⅱ선을 부가한 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Ⅱ-Ⅱ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Ⅱ-Ⅱ선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지지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액형의 고정 부착 부재를 도포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필름형의 고정 부착 부재를 도포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로서, Ⅲ-Ⅲ선을 부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6은 도15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Ⅲ-Ⅲ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Ⅲ-Ⅲ선 단면도.
도17은 도16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개구부를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9는 도18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개구부를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2는 도21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로서, Ⅳ-Ⅳ선을 부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4는 도23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Ⅳ-Ⅳ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Ⅳ-Ⅳ선 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상 소자
2 : 촬상면(수광면)
3 : 기판
4 : 관통 구멍
5 : 프레임 부재
6, 30, 31 : 돌출부
7 : 촬상 렌즈(결상 렌즈)
8 : 경통부
9, 9a : 다리부
10 : 지지부
11 : 지지 부재
12 : 개구부
13, 32, 33 : 오목부(제1 절결부)
14a : 나사 결합 수단(촛점 거리 조정 수단)
14b : 가이드부
16 : 고정 부착 수단
17 : 오목부(제2 절결부)
18 : 고정 부착 수단
19 : 볼록부
20 : 구멍부
21 : 보강용 부재
22, 23, 40 : 리브(보강 부재)
24, 25 : 고정 부착 수단
26 : 밀봉 부재
27 : 주변 회로 소자
34 : 리드 프레임
35 : 홀더
39 : 접촉부

Claims (3)

  1. 수광면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주연부를 둘러싸 상기 촬상 소자를 고정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광면에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와, 상기 결상 렌즈를 지지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촬상 소자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성하는 다리부가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 필름형 기판과,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상기 필름형 기판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제1 절결부이며, 상기 돌출부가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다리부는 상기 필름형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 제2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형 기판은 상기 제2 절결부를 통해 절곡되는 일 없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으로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기판을 상기 개구부 내에서 절곡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형 기판에 설치되는 주변 회로 소자를 상기 촬상 소자의 수광면과 반대측의 면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상기 주변 회로 소자를 상기 개구부 내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삭제
KR10-2002-0016260A 2001-03-30 2002-03-26 촬상 장치 KR100472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98799 2001-03-30
JP2001098799A JP3613193B2 (ja) 2001-03-30 2001-03-30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092A KR20020077092A (ko) 2002-10-11
KR100472885B1 true KR100472885B1 (ko) 2005-03-09

Family

ID=1895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260A KR100472885B1 (ko) 2001-03-30 2002-03-2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20140837A1 (ko)
EP (1) EP1246455B1 (ko)
JP (1) JP3613193B2 (ko)
KR (1) KR100472885B1 (ko)
CN (1) CN1190953C (ko)
DE (1) DE60209270T2 (ko)
NO (1) NO20021511L (ko)
TW (1) TW540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7208B2 (ja) * 2001-10-29 2007-02-28 富士通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269334B2 (ja) * 2002-10-28 2009-05-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JP3688677B2 (ja) 2002-11-19 2005-08-31 株式会社東芝 カメラの組み込み方法及びカメラ付き携帯形電子機器
JP4300811B2 (ja) * 2003-02-03 2009-07-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4110988B2 (ja) * 2003-02-03 2008-07-0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4510403B2 (ja) * 2003-05-08 2010-07-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I234252B (en) * 2003-05-13 2005-06-11 Siliconware Precision Industries Co Ltd Flash-preventing window ball grid array semiconductor package and chip carri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50000722A (ko) * 2003-06-24 2005-01-06 카스크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소형 카메라 광학계
KR100539259B1 (ko) * 2004-04-26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으로 정렬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그제조방법 및 렌즈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US20060109366A1 (en) * 2004-05-04 2006-05-25 Tessera, Inc. Compact lens turret assembly
CN1969539A (zh) * 2004-05-04 2007-05-23 德塞拉股份有限公司 紧凑透镜塔形组件
KR100630705B1 (ko) * 2004-10-2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06064708A1 (ja) * 2004-12-14 2006-06-22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4618507B2 (ja) * 2005-10-28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9194543A (ja) * 2008-02-13 2009-08-27 Panasonic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25171B2 (ja) * 2009-03-27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150138420A1 (en) * 2013-11-21 2015-05-21 Stmicroelectronics Pte Ltd. Liquid crystal cell connection to lens mount of camera module
JP2017212238A (ja) * 2014-10-10 2017-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TWI657305B (zh) * 2018-05-04 2019-04-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攝像模組之組裝方法
CN110839124A (zh) * 2018-08-16 2020-02-25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该镜头模组的组装方法
JP7235558B2 (ja) * 2019-03-28 2023-03-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WO2024070587A1 (ja) * 2022-09-29 2024-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0990A2 (en) * 1997-02-20 1998-08-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the photographic element of a video camera
JPH11354769A (ja) * 1998-04-10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557A (en) * 1988-01-11 1989-02-07 Eastman Kodak Company Adjustable mount for image sensor
JPH078021B2 (ja) * 1988-10-20 1995-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マウント切換機構
US5381176A (en) * 1991-08-11 1995-01-10 Sony Corporation Miniaturized video camera
JP3181460B2 (ja) * 1994-01-13 2001-07-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の光学系支持装置
JP3720227B2 (ja) * 2000-01-31 2005-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4405062B2 (ja) * 2000-06-16 2010-01-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固体撮像装置
JP3490694B2 (ja) * 2001-03-28 2004-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0990A2 (en) * 1997-02-20 1998-08-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the photographic element of a video camera
JPH11354769A (ja) * 1998-04-10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0232B (en) 2003-07-01
KR20020077092A (ko) 2002-10-11
NO20021511L (no) 2002-10-01
CN1190953C (zh) 2005-02-23
CN1379586A (zh) 2002-11-13
EP1246455A1 (en) 2002-10-02
NO20021511D0 (no) 2002-03-26
JP2002300440A (ja) 2002-10-11
JP3613193B2 (ja) 2005-01-26
DE60209270T2 (de) 2006-11-02
US20020140837A1 (en) 2002-10-03
EP1246455B1 (en) 2006-02-22
DE60209270D1 (de)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885B1 (ko) 촬상 장치
EP2023607B1 (en) Vehicle camera system
EP1686790B1 (en) Image pickup unit for compact camera module
TWI438515B (zh) Camera module
US7893989B2 (en) Camera unit for driving len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26491A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용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JP20051761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実装構造
JP425950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02883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25746A1 (en) Camera module, holder for use in a camera modu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KR20170129532A (ko) 카메라 모듈
JP2001308302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搭載製品ならびに撮像装置製造方法
JP3812587B2 (ja) 撮像装置
JP20061268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06688B1 (ko) 카메라 모듈
JP3707488B2 (ja) 撮像装置
KR101469902B1 (ko) 카메라 모듈용 필터 패키지 및 카메라 모듈
US20220094823A1 (en) Sens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JP2005339830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装置
JP2008244366A (ja) プリント回路板、回路部品、および電子機器
CN220491167U (zh) 相机模块
CN217305632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US20230403453A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using of camera module
KR100917026B1 (ko) 글라스 캡 몰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카메라모듈
JP2006279353A (ja) 固体撮像装置、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