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599B1 -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599B1
KR100455599B1 KR10-2001-7012862A KR20017012862A KR100455599B1 KR 100455599 B1 KR100455599 B1 KR 100455599B1 KR 20017012862 A KR20017012862 A KR 20017012862A KR 100455599 B1 KR100455599 B1 KR 10045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power supply
component mount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480A (ko
Inventor
이즈미다게이조
다케다다케시
나카노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85Pow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with component orie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with component orienting
    • Y10T29/49137Differen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9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by inserting component lead or terminal into base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 비해서 소비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구동전원 및 제어전원은 제어 디바이스(104)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를 구동하는 부품공급 구동부(107A, 107B), 부품이송 디바이스 (102)를 구동하는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108)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 (103)를 구동하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109)의 각각에, 별개로 접속되고 차단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각각의 구성부의 개별적인 정지 상태의 발생을 검출하여, 정지 상태에 있는 구동 디바이스로의 구동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낭비적인 전력 소비가 제거되고 필요한 최소 전력으로써 생산이 계속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EXECUT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도 7은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50)를 나타낸다. 전자부품 실장장치(50)는 대체적으로, 회로기판(5)에 실장될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 디바이스 (device)(1A, 1B)와, 부품공급 디바이스(1A) 또는 부품공급 디바이스(1B)로부터 전자부품을 보유하여 회로기판(5) 위에 실장하는 회전 방식의 부품이송 디바이스(2)와, 회로기판(5)을 이동시켜서 회로기판(5) 상의 실장 위치가 부품이송 디바이스(2)의 부품 보유 해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3)와, 이들 부품공급 디바이스(1A, 1B), 부품이송 디바이스(2)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3)를 서로 연관하여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4)를 포함한다. 부품공급 디바이스(1A, 1B)는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7A, 7B)에 의해서 각각 구동되고, 부품이송 디바이스(2)는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8)에 의해서 구동되며,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3)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9)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부품 실장장치(50)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은 전원 패널(6)과 이 패널에 조립된 전원접속회로에 의해서,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7A, 7B),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8)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9)를 통하여, 부품공급 디바이스(1A, 1B), 부품이송 디바이스(2),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3) 및 제어 디바이스(4)에 각각 접속되고 차단된다.
전원의 접속 및 차단은 일반적으로, 도 9의 흐름도에 나타낸 순서로 실행된다. 전원은, 전자부품 실장장치(50)가 사용중일 때 접속되고, 일련의 생산 가동의 종료 또는 유지보수의 경우에 전자부품 실장장치(50)의 사용을 완료하면 차단된다. 몇몇 전자부품 실장장치(50)에 있어서, 부품공급 디바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시간 생산 목적으로써 생산하는 동안 부품을 보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 부품이 보충되는 부품공급 디바이스용 구동 디바이스에 대하여 전원이 차단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전자부품 실장장치(50)를 취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려는 것이다.
한편, 자원과 에너지의 절약은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각각의 산업 분야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되었다. 따라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설비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 또는 단위 생산량 당 소비 전력의 감소에 노력하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하여 단위 시간당 생산 능력의 향상이 요구되며, 이로 인하여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단위 시간 당 생산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의 동작 속도가 어쩔 수 없이 증가되는 한편, 이로 인하여 무게가 가벼운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구동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전기 모터 등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전력 소비는 전기 모터 등의 용량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므로, 생산 능력 증가와 에너지 절감의 목표는 서로 상반된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 등, 피장착체상에서의 실장 위치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배치된 제어 디바이스가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에 전원을 접속하고 차단하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2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와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적인 그래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의 구조도.
도 6은 도 1의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
도 9는 도 7의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전원의 접속, 차단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배경기술에 비해서 소비 전력량이 감소될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 및 기타의 특징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부품공급 디바이스용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및 부품공급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제어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또한 피장착체 위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 디바이스,
부품이송 디바이스용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이송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및 부품이송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제어 전력을 공급하는 이송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또한 부품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전자부품을 보유하여 피장착체 위에 실장하는 부품이송 디바이스 및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로서,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한 전원의 차단 이외의 이유로 인하여, 동작이 정지되어 있다는 제어 디바이스의 검출에 따라서, 부품공급 디바이스의 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및 이송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중 최소한 하나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전원 디바이스로의 전력공급을 유지하면서 구동전원 디바이스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된다.
제1특징에서, 제어 디바이스가 검출한 정지 상태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 부품공급 디바이스에서의 부품 부족,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운반되는 피장착체에 대한 대기 모드(mode), 또는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 중 최소한 하나에서의 동작 불량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제1특징에서, 피장착체에 대한 대기 모드에 있어서, 대기 모드의 취소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는 작업자의 판단없이,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의 동작을 재개할 수도 있다.
제1특징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인코더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라서 정지 상태를 검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전자부품(111)을 피장착체(105) 위에 실장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으로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한 전원의 차단 이외의 이유로 인한 동작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 이후에, 전자부품 실장장치 부분으로의 동작제어 전력의 공급이 유지되면서,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구성하는 동작 정지 상태에 있는 일부로의 구동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또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한 전원 제어방법에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제어 디바이스가 배치되어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한 전원의 차단 이외의 몇몇 이유로 인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구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을 유지하면서,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정지중인 구동 디바이스로의 구동 디바이스 구동용 전원을 차단한다. 정지중인 구동 디바이스로의 구동 전원이 차단되므로, 낭비적인 전력 소비가 제거되고, 필요한 최소의 전력량으로써 생산이 계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써 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발명의 상세"에 기재된 "피장착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예는 본 실시예에서 회로기판에 해당한다. 그러나, 피장착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부분을 갖는 회로기판 등을 개념적으로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를 나타낸다.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대체로, 실장되는 전자부품(111)을 회로기판(105)에 공급하는 X방항으로 이동 가능한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와,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또는 부품공급 디바이스(101B)로부터 전자부품(111)을 보유하여, 회로기판(105) 위에 보유한 전자부품(111)을 실장하는 회전 방식의 부품이송 디바이스(102)와, 회로기판(105)을 서로에 대하여 직교인 X, Y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회로기판(105) 상의 실장 위치가 부품이송 디바이스(102)의 부품 보유 해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103)와, 그리고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 부품이송 디바이스(102)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103)를 서로 연관하여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는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A, 107B)에 의해서 각각 구동되고, 부품이송 디바이스(102)는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108)에 의해서 구동되며,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103)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109)에 의해서 구동된다.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2개의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부품공급 디바이스가 부품이 부족하게 되어도, 다른 하나의 부품공급 디바이스에 있는 전자부품(111)을 사용하여 부품실장 동작이 계속된다.
부품이송 디바이스(102)는 제어 디바이스(104)의 명령에 응답하여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또는 부품공급 디바이스(101B)로부터 소정의 전자부품(111)을 취출하여, 상기 전자부품 (111)을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103)에 탑재된 회로기판으로 이송한다. 전자부품(111)이 취출된 후 전자부품이 회로기판 위로 이송되기 전의 시간 동안에, 부품이송 디바이스(102)에 의한 전자부품의 보유 상태 또는 보유 자세는 센서 또는 영상인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검출된다. 부품이송 디바이스는 검출된 정보에 따라서 전자부품(111)의 보유 자세를 교정하여, 전자부품이 전자 회로기판에 올바르게 실장되도록 한다.
각각의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A, 107B)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예로서,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A)를 설명하지만,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B)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A)는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가 장착되는 테이블(1074),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스크루 (1075) 및 테이블의 이동을 인도하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가이드(guide) (1076)를 포함한다. 테이블(1074)은 볼 스크루(1075)에 맞물리는 너트(1077)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너트에 중공(中空; hollow)의 모터(1078)와 인코더(1073)가 일체로 배치된다. 테이블은 중공 모터(1078)에 의해서 구동부로서 X 방향으로 이동된다. 공급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디바이스의 예로서, 테이블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보내는 인코더(1073)가 제어 디바이스(104)에 접속된다.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108)는 부품이송 디바이스(102)를 도 2에서와 같이 화살표로 나타낸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로서의 모터(1084) 및 이송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또한 모터(1084)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검출 디바이스의 예로서의 인코더(1083)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인코더 (1083)는 제어 디바이스(104)에 접속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109)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스크루(1094), 볼 스크루(1094)를 볼 스크루(1094)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로서의 모터(1095), 모터(1095)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X 방향으로의 이동량으로서 회전수를 전송하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상태 검출 디바이스의 예로서의 인코더(1093X),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스크루(1096), 볼 스크루(1096)를 볼 스크루(1096)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로서의 모터(1097) 및 모터(1097)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Y 방향으로의 이동량으로서 회전수를 전송하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상태 검출 디바이스의 예로서의 인코더(1093Y)를 구비하고 있다. 인코더(1093X, 1093Y)는 제어 디바이스(104)에 접속된다.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A, 107B),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108)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109)의 각각은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각각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디바이스 및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각각에 제어전력을 공급하는 제어전원 디바이스를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 (107A)는 중공 모터(107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및 제1공급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A)를 구비하고 있다. 부품공급 구동 디바이스(107B)는 중공 모터(107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B) 및 제2공급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 (1072B)를 구비하고 있다. 부품이송 구동 디바이스(108)는 모터(1084)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송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81) 및 이송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82)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109)는 모터 (1095, 1097)에 전력을 공급하는 위치제어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91) 및 위치제어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9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1091) 및 제어전원 디바이스 (1072A, 1072B, 1082, 1092)가 별개로 배치되는 이유는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A,1072B, 1082, 1092)로의 전원이 유지되는 반면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1091)로의 전원이 차단될 때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107A, 107B, 108, 109)에 대한 위치제어정보가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구동전원의 차단 이후에 공급 디바이스, 이송 디바이스 및/또는 위치제어 디바이스에서 자체의 부하(負荷)로 인하여, 변위 또는 탈락을 방지하도록 제어부 등을 동작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전원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104)로부터, 구동 디바이스 (107A, 107B, 108, 109),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 부품이송 디바이스 (102)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103)로의 제어접속을 나타내고, 기타의 접속은 복잡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나타내지 않는다.
전력은 전원 패널(106)로부터 제1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1071A), 제1공급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A), 제2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B), 제2공급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B), 이송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81), 이송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82), 위치제어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91)와 위치제어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92) 및 제어 디바이스(104)의 각각에 공급된다.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B), 구동전원 디바이스 (1081) 및 구동전원 디바이스(1091)의 각각은 전원을 접속하고, 차단하는 접속차단 기능을 갖는다. 제어 디바이스(104)는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B), 구동전원 디바이스(1081) 및 구동전원 디바이스(1091)의 각각으로의 전력공급을 대응하는 인코더(1073A, 1073B, 1083 및 1093)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라서 제어한다. 이 제어 동작은 이후에 설명한다.
그 동안, 전력은 전자부품실장장치(100)로의 전원이 차단될 때를 제외하고는 전원 패널(106)로부터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A),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B), 제어전원 디바이스(1082) 및 제어전원 디바이스(1091)의 각각에 계속해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부품실장장치(100)에서의 기타 동작 중에서, 제어 디바이스(104)에 의해서 실행되는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107A, 107B, 108 및 109)에 대한 전원 제어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의 단계(도 3에서 "S"로써 표시된) 1에서, 전자부품실장장치(100)의 전원이 도통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 디바이스(4)는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107A, 107B, 108 및 109)에, 대응하는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및 1091)에 접속하도록 명령한다. 단계 2 내지 단계 6에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인코더 (1073A, 1073B, 1083 및 109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이들 단계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2-6에서의 판단 명령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별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단계 2에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가 점검 모드 또는 기계 모델 변경 모드 등의 유지보수 모드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환언하면,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 전력이 공급되는 유지보수에서, 유지보수 작업이 실행될 때, 모든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 부품이송 디바이스(102) 및 회로기판 위치제어 디바이스(103)는 정지상태이다. 따라서, 정지상태 신호가 장치의 인코더(1073A, 1073B, 1083, 1093)로부터 제어 디바이스(104)에 전송된다. 단계 7에서, 인코더(1073A, 1073B, 1083, 109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구동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을 정지시킬 것인 가를 판단한다. 단계 8에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된 구동 디바이스(들)에 대한 해당 구동전원 디바이스(들)에 전원 차단명령(들)을 출력한다. 즉,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 부품이송 디바이스(102) 및 위치제어 디바이스(103)는 유지보수 모드에서 모두 정지상태이므로, 제어 디바이스(104)는 해당 구동전원 디바이스 (1071A, 1071B, 1081 및 1091)에의 전원을 차단한다.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단계 9에서 작업자에 의한 정지상태 해제 동작이 후속되고, 단계 10에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전원 차단명령이 출력된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및 1091)에 구동전원 접속명령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단계 11에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동작 가능상태로 전환된다.
단계 3에서,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에서의 부품 부족의 결과로서, 부품이 부족한 부품공급 디바이스는 부품 보충 위치에 정지하도록 이동하여 전자부품(111)이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코더(1073A, 1073B)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서, 단계 7에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2개의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 중 어느 것을 정지시킬 것인 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품공급 디바이스 (101A)가 부품이 부족하여 정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 8에서, 제어 디바이스 (104)는 정지 상태의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의 부품구동 디바이스(107A)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에 구동전원 차단명령을 출력한다. 구동전원디바이스(1071A)는 구동전원 차단명령에 응답하여 구동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기타의 구동 디바이스(107B, 108, 109)는 당연하게 계속해서 동작한다.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로의 전자부품(111)의 보충이 완료되면, 단계 9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 보충 완료 신호가 제어 디바이스(104)에 공급된다. 제어 디바이스(104)는 보충 완료 신호에 따라서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가 동작 가능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것을 기억한다. 기억과 동시에, 제어 디바이스(104)는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의 정지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단계 10에서, 제1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에 구동전원 접속명령을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11에서,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는 생산 동작으로 복귀된다.
회로기판의 공급에 있어서 대기상태가 발생하면,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 (107A, 107B, 108 및 109)는 정지 상태이므로, 단계 7에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구동 디바이스를 정지시킬 것을 점검하여, 단계 8에서, 각각의 구동전원 디바이스 (1071A, 1071B, 1081, 1091)에 구동전원 차단명령을 출력한다. 상기의 유지보수 작업에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해서 정지상태로 되었지만, 상기의 회로기판 대기상태에서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제어 디바이스(104)의 판단에 따라서 정지된다. 따라서,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작업자의 판단이 아닌, 제어 디바이스(104)의 판단에 따라서 재가동된다.
단계 9에서, 회로기판 등이 공급되어서, 회로기판 대기상태가 해제되면, 제어 디바이스(104)는 회로기판 위치제어 구동 디바이스(109)에 구비된 회로기판 공급 검출 센서(1098)로부터, 회로기판 대기 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출한다. 단계 10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구동전원 차단명령이 출력되었던 각각의 구동전원 디바이스 (1071A, 1071B, 1081 및 1091)에, 구동전원 접속명령을 출력함에 따라서, 단계 11에서 생산이 재개된다.
단계 5에서와 같이,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 어떠한 동작 이상이라도 발생하면, 각각의 구동 디바이스(107A, 107B, 108 및 109)는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104)는 단계 7에서 구동 디바이스를 정지시킬 것을 점검하여, 단계 8에서 각각의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및 1091)에, 구동전원 차단명령을 전송한다. 어떠한 동작 이상으로 인한 이러한 동작 정지도 또한 제어 디바이스(104)의 판단에 따라서 실행된다. 그러나, 동작은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서 재개되고, 이 것이 상기에서 설명한 회로기판 대기 상태와의 차이점이다.
단계 9에서, 동작 이상 상태를 해제하는 작업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 디바이스(104)는 구동전원 차단명령이 출력되었던 각각의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및 1091)에 구동전원 접속명령을 출력하고, 단계 11에서 생산이 재개된다.
단계 6에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의 전원의 차단이 검출되면, 제어 디바이스(104)는 각각의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및 1091)에, 전원 차단명령을 발생한다. 제어 디바이스(104)에 의한 차단명령에 추가하여, 전원 패널 (106)이 동시에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비상 정지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 (104)는 인코더(1073A, 1073B, 1083, 1093) 중 최소한 하나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동작 중에 발생된 여러 가지 타입의 정지 상태로서, 정지되어 있는 구동 디바이스를 인식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디바이스(104)는 정지되어 있는 구동 디바이스의 구동전원 디바이스가 정지되어 있는 구동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중지시킨다. 그러므로, 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전력이 낭비적으로 소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의 전력 소비량이 감소되고, 필요한 최소 전력으로써 생산이 계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와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 각각의 총 소비 전력량의 각각의 변화가 도 4의 그래프에 나와 있다.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정상 동작에서의 소비량은 장치들 간에 동일하지만, 예로서, 부품 부족 등의 정지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비해서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정지 상태의 횟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소비 전력의 합은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보다는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서 더욱 감소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04)가 전원의 접속과 차단을 명령하므로, 작업자로부터의 특히 복잡한 절차를 제거하여 에너지를 확실하게 절약한다. 더욱이, 정지 중인 구동 디바이스에 대하여 구동전원이 차단되므로, 정지 중인 구동 디바이스를 취급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이 배경기술에 비하여 강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디바이스(107A, 107B, 108 및 109)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1091)에의 접속 및 차단은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1091)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이 기능은 전원 패널(106)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1081, 1091)가 전원에 접속될 때, 어떤 경우에는 전원이 안정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어 디바이스(104)에는 전원 접속시에 상시 대기 모드가 부여되거나, 또는 전원 패널(106)에는 전원이 안정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통보하는 통보 기능이 갖추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소위 회전 방식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부품(111)을 보유하고 이송하는 부품이송 디바이스(102)에 해당하는 이송 디바이스가 X,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로봇 방식의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999년 4월 21일 출원되고, 또한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일본국 특허 출원공고 제11-113560호의 개시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충분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명백하게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6)

  1.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있어서,
    부품공급 디바이스용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71A, 1071B) 및 부품공급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제어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72A, 1072B)를 구비하고, 또한 피장착체(105) 위에 실장되는 전자부품(111)을 공급하는 부품공급 디바이스(101A, 101B),
    부품이송 디바이스용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이송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1081) 및 부품이송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제어전력을 공급하는 이송 디바이스용 제어전원 디바이스(1082)를 구비하고, 또한 부품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전자부품을 보유하여 피장착체 위에 실장하는 부품이송 디바이스(102) 및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104)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로서,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한 전원의 차단 이외의, 유지보수 작업, 부품공급 디바이스에서의 부품 부족,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운반되는 피장착체에 대한 대기 모드(mode), 또는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 중 최소한 하나에서의 동작 불량의 이유로 인하여, 동작이 정지되어 있다는 제어 디바이스의 검출에 따라서, 부품공급 디바이스의 공급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및 이송 디바이스용 구동전원 디바이스 중 최소한 하나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전원 디바이스로의 전력공급을 유지하면서 구동전원 디바이스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피장착체에 대한 대기 모드에 있어서, 대기 모드의 취소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는 작업자의 판단없이,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의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는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인코더(1073A, 1073B, 1083)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라서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5. 전자부품(111)을 피장착체(105) 위에 실장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으로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대한 전원의 차단 이외의, 유지보수 작업, 부품공급 디바이스에서의 부품 부족,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운반되는 피장착체에 대한 대기 모드(mode), 또는 부품공급 디바이스와 부품이송 디바이스 중 최소한 하나에서의 동작 불량의 이유로 인한 동작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 이후에,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구성하는 동작 정지 상태인 부분으로의 동작제어 전력의 공급을 유지하면서, 그 부분으로의 구동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검출된 동작 정지 상태가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운반되는 피장착체에 대한 대기 모드일 때, 대기 모드의 취소에 따라서, 작업자의 판단없이,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동작이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방법.
KR10-2001-7012862A 1999-04-21 2000-04-21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 KR100455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13560 1999-04-21
JP11356099A JP3841585B2 (ja) 1999-04-21 1999-04-21 電子部品実装機、及び該電子部品実装機にて実行される電力供給制御方法
PCT/JP2000/002617 WO2000065896A1 (en) 1999-04-21 2000-04-21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execut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480A KR20010108480A (ko) 2001-12-07
KR100455599B1 true KR100455599B1 (ko) 2004-11-06

Family

ID=1461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862A KR100455599B1 (ko) 1999-04-21 2000-04-21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01611B1 (ko)
EP (1) EP1174013B1 (ko)
JP (1) JP3841585B2 (ko)
KR (1) KR100455599B1 (ko)
CN (1) CN1205851C (ko)
DE (1) DE60000619T2 (ko)
WO (1) WO20000658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54B1 (ko) 2011-06-23 2011-12-08 (주)티앤테크 장비 통합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6453A1 (en) * 2004-09-28 2007-06-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intenance method and component mounter
CN1780348B (zh) * 2004-11-17 201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电源控制方法和系统
US20060242618A1 (en) * 2005-02-14 2006-10-26 Yao-Ting Wang Lithographic simulations using graphical processing units
EP1849342B1 (en) * 2005-02-17 2009-08-19 Panasonic Corporation Mounting condition determining method, mounting condition determining device, and mounting apparatus
US7404092B2 (en) 2005-04-22 2008-07-22 Dell Products L.P. Power supply control in a server system
KR100971946B1 (ko) * 2005-06-01 2010-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송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부착시스템과 인쇄회로기판 부착방법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제조방법
US8755917B2 (en) * 2007-11-07 201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afety control device
JP4887456B2 (ja) 2010-03-29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産システム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生産システム
CN104170542B (zh) * 2012-03-12 2017-11-03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元件安装机
JP5750143B2 (ja) * 2012-12-07 2015-07-15 太陽誘電株式会社 ワーク挿入装置
EP2981161B1 (en) * 2013-03-29 2018-12-12 FUJI Corporation Feeder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03796501A (zh) * 2014-02-21 2014-05-14 广州翌贝拓电子科技有限公司 Led离线式贴片机
WO2016207972A1 (ja) * 2015-06-23 2016-12-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作業ユニット用電源装置
US10874041B2 (en) 2015-11-27 2020-12-22 Fuji Corporation Feeder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machine
JP6714016B2 (ja) * 2015-11-30 2020-06-24 株式会社Fuji 部品供給装置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6841913B2 (ja) * 2017-06-07 2021-03-10 株式会社Fuji 部品装着機
DE102021113326A1 (de) 2021-05-21 2022-11-24 At&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ktiengesellschaft Komponententrägerherstellungsarchitektur mit sequenziellen Modulen und Ressourcen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8601A (en) 1982-07-02 1984-08-28 The Perkin-Elmer Corporation Stepper motor control
JPS6478302A (en) 1987-09-21 1989-03-23 Toshiba Corp Controller for machining line
US5313401A (en) * 1989-07-17 1994-05-17 Canon Kabushiki Kaisha Mount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and mechanisms for picking up, moving and mounting works on an object board
KR940002680B1 (ko) * 1991-08-17 1994-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형 부품 삽입 시스템의 삽입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5300819A (en) * 1992-03-24 1994-04-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power regulator for induction type biogas generator
JPH06161535A (ja) 1992-11-18 1994-06-07 Amada Co Ltd 加工機の軸送り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3301880B2 (ja) * 1995-01-17 2002-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JPH1063816A (ja) 1996-08-20 1998-03-06 Ricoh Co Ltd 画像読取り装置
JPH1097653A (ja) 1996-09-20 1998-04-14 Toshiba Corp 自動改札システム
JP3502228B2 (ja) * 1996-09-27 2004-03-02 サンデン株式会社 低温庫
US5982652A (en) * 1998-07-14 1999-11-09 American Power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ing a power controller and a redundant power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54B1 (ko) 2011-06-23 2011-12-08 (주)티앤테크 장비 통합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480A (ko) 2001-12-07
CN1205851C (zh) 2005-06-08
JP3841585B2 (ja) 2006-11-01
JP2000307297A (ja) 2000-11-02
EP1174013A1 (en) 2002-01-23
WO2000065896A1 (en) 2000-11-02
CN1347632A (zh) 2002-05-01
DE60000619D1 (de) 2002-11-21
US7210222B2 (en) 2007-05-01
US6701611B1 (en) 2004-03-09
DE60000619T2 (de) 2003-07-24
US20040143964A1 (en) 2004-07-29
EP1174013B1 (en) 200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599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실행되는 전원 제어방법
US6463360B1 (en) Mobile robot, automated production system, and mobile robot system
JP5311025B2 (ja) 搬送ロボット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481340B1 (ko) 트랜스퍼프레스
JP3563227B2 (ja) 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処理装置
JP2003264399A (ja) 電子部品実装機、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EP3316670B1 (en) Work unit power supply device
KR0176508B1 (ko) 브레이크 장착 모터의 제어 시스템
JP7430107B2 (ja) 基板作業システム、基板作業ライン用の電源スイッチおよび基板作業ラインの電源管理方法。
JPS6080581A (ja) 産業用ロボツトの制御装置
JP3674338B2 (ja) 直動アクチュエータ
JP4784025B2 (ja) 位置決め制御方法および位置決め制御装置
JP486546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3349956B2 (ja) ワーク搬出搬入装置
WO2020188616A1 (ja) サーボアンプシステム
JP2001077588A (ja) 電気部品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7134893B2 (ja) 基板処理システム及び基板処理方法
JP2004165199A (ja) 位置決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露光装置
JP4774556B2 (ja) 自動工具交換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1103683A (ja) 誘導式受電装置
KR200162284Y1 (ko) 웨이퍼이송로봇트의 구동제어장치
JPH04150740A (ja) 電源供給無停止装置
JP2001082472A (ja) 磁気軸受の停電補償システム
JP2001135986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0277994A (ja) 電子部品実装機の駆動制御方法と電子部品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