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602B1 - 가스곤로 - Google Patents

가스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602B1
KR100448602B1 KR10-2002-0043158A KR20020043158A KR100448602B1 KR 100448602 B1 KR100448602 B1 KR 100448602B1 KR 20020043158 A KR20020043158 A KR 20020043158A KR 100448602 B1 KR100448602 B1 KR 10044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combustion
gas
porous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335A (ko
Inventor
소부에무
야노히로지
야마다유타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3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6Radiant burners using permeable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 상면의 천판에 피가열물이 재치되고, 가열시에 화염이 노출되지 않는 가스곤로에 관한 것으로, 유리천판에 인접해서 설치된 버너와,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버너의 연소배기가스를 다공질체를 통해서 배출하는 급배기팬을 구비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버너의 연소효율이 양호하게 되도록 미리 결정된 소정 공연비로 버너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리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범위를 지름(L10)의 내측으로하고, 공연비를 소정 공연비에 대해서 공기가 과잉으로 되도록 설정해서 버너를 연소시키고, 버너로부터 리프트한 연소화염을 다공질체로 흡인하는 것에 의해서 유리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범위를 지름의 내측으로 축소시킨다. 따라서, 사이즈가 다른 피가열물에 대해서 피가열물의 주위로 방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곤로{Gas cooking stove}
본 발명은 연소실 상면의 천판에 피가열물이 재치되고, 가열시에 화염이 노출되지 않는 형태의 가스곤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너(100)가 설치된 연소실의 상면을 내열성의 유리천판(101)으로 하고, 유리천판(101)에 놓여진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한 가스곤로가 알려져 있었다. 관련한 가스곤로에 있어서는, 급배기팬(102)에 의해 버너(100)에 대해서 연소용공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버너(100)의 연소배기가스가 배기구(103)에서 배출된다.
또,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가스곤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컨트롤러 (130)는 버너(100)의 연소량을 조절하는 연소량조절스위치(104)에 의해 설정되는 버너(100)의 목표연소량에 대해서 가스공급로(121)에서 노즐(122)을 통해서 혼합관 (123)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을 가스비례밸브(124)에 의해 제어함과 동시에 혼합관(123)에 공급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을 급배기팬(102)에 의해 제어한다.
게다가, 가스공급로(121)에는 가스게이지밸브(125)가 설치되고, 또, 버너 (100) 내측의 연소배기가스 배출통로에는 연소배기가스가 함유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적열하는 다공질체(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공질체(10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연소화염(110)이 발생하는 버너(100)의 연소면에서의 열기(111)에 더해서 다공질체(105)에서도 복사열(112)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스곤로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곤로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천판(101)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지름L1인 원의 내측, 도 3b 참조)보다도 밑면적이 큰 냄비(140)를 가열할 때에는 버너(100)와 다공질체(105)에서 방출되는 열량중에 냄비(140)의 주위에 방출되는 열량의 비율은 작다.
그것에 대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천판(101)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 보다도 밑면적이 작은 냄비(141)를 가열할 때에는 냄비(141)의 주위로 방출되는 열(142)이 많게 된다. 그리고, 열(142)에 의한 냄비(141)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조리자에게 불쾌감을 줌과 동시에 냄비(141)의 손잡이(143a)(143b)가 가열되어 조리자가 냄비(141)를 들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다른 피가열물에 대해서 피가열물의 주위로 방열되는 것을 억제한 가스곤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곤로의 외관도 및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의 전환방법의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가스곤로의 구성도, 및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가스곤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가스곤로 2 ; 버너
3 ; 다공질체 4 ; 유리천판
6 ; 급배기팬 7 ; 능력전환스위치
8 ; 연소량조절스위치 21 ; 가스공급관
22 ; 노즐 23 ; 가스게이지밸브
24 ; 가스비례밸브 30 ; 컨트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곤로는 상면의 천판에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연소실내에 설치된 통기성의 다공질체와, 다공질체의 주위에 천판에 대향해서 설치된 표면연소식의 버너와, 버너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공급수단과, 일단이 상기 다공질체를 통해서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고, 타단이 배기구와 연통한 배기통로와, 상기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버너의 연소배기가스를 상기 다공질체와 상기 배기통로를 통해서 상기 배기구까지 송출하는 급배기팬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실험을 거듭한 결과,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버너를 연소시키는 순간에 상기 버너에 공급하는 연료가스의 유량과 연소용 공기의 유량과의 비율을 변경한 때에 그것에 응해서 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지견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에 대한 상기 급배기팬에 의해 상기 버너에 공급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의 비율은 공연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료가열면적을 변경하는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상기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에 의해 상기 공연비를 높여가면, 상기 버너의 연소화염이 상기 버너의 연소면에서부터 리프트해서 상기 다공질체로 향해서 흡인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버너의 표면부분은 적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버너의 상부방향으로의 방열이 감소하지만, 상기 다공질체에는 상기 버너의 연소배기가스가 흡입되어 가열되기 때문에 상기 다공질체에서는 복사열이 방열된다. 이에, 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상기 다공질체를 중심으로 해서 축소할 수 있다.
또, 상기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은 상기 버너의 연소효율이 양호하게 되도록 결정된 소정 공연비 보다도 상기 공연비를 높게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연소실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다공질체는 다공질체에 흡입되는 상기 버너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연소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온도 이상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한면 상기 공연비를 상기 소정 공연비 보다도 높게해서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축소한 경우, 상기 버너의 연소상태는 악화되고, 불완전연소에 의해 미연소가스를 포함한 연소배기가스가 발생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연소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연소가스는 상기 버너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된 상기 다공질체에 흡입되어 재연소하고, 연소에 의해 방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가스곤로 전체로서의 연소효율의 저하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구로부터 미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곤로의 외관도 및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b에 도시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 전환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곤로(1)는 환형상의 표면연소식의 버너(2)와 다공질체(3)가 수용된 연소실의 상면에 위치하는 내열성 유리천판(4)(본 발명의 천판에 해당한다.) 상부에 재치된 조리물(피가열물)을 가열하고 있고, 버너(2)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버너(2)의 연소배기가스를 다공질체(3)를 통해서 배기통로(도시하지 않음)에서 배기구(5)로 송출하는 급배기팬(6)과, 유리천판(4)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전환하기 위한 능력전환스위치(7)와, 버너(2)의 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연소량조절스위치(8)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b는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곤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a에 도시한 가스곤로(1)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버너(2)에서는 급배기팬(6)에 의해 급기통로(20)을 통해서 연소용공기가 공급되고, 가스공급관(21)의 선단에 설치된 노즐(22)에서 급기통로(20)로 연료가스가 분출된다. 또, 가스공급관(21)과 노즐(22)에 의해 본 발명의 연료가스 공급수단이 구성된다.
또, 가스공급관(21)에서는 상류측으로 가스게이지밸브(23)와 가스비례밸브 (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등에 의해 구성된 컨트롤러(30)(본 발명의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에 의해 가스곤로(1)의 작동이 제어된다.
컨트롤러(30)에는 능력전환스위치(7)와 연소량조절스위치(8)가 접속되고, 컨트롤러(30)는 사용자에 의한 이들의 스위치조작에 응해서 버너(2)의 연소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30)는 능력전환스위치(7)가 '능력대(大)'로 설정된 때에는 노즐 (22)에서 버너(2)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에 대한 급배기팬(6)에 의해 버너(2)에 공급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의 비율인 공연비를 버너(2)의 연소효율을 고려해서 미리 결정된 소정 공연비(예를 들어 1.3)로 한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너(2)의 표면에 양호한 연소화염 (40)이 발생하고, 연소화염(40)에 의해 발생하는 열(41)이 유리천판(4)을 통해서 방출된다. 또, 버너(2)의 연소배기가스는 다공질체(3)에 흡입되지만, 그 순간에 고온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다공질체(3)가 가열되어 다공질체(3)로부터 복사열(42)이 방출된다. 이에, 유리천판(4)에 있어서 유효가열범위는 거의 버너(2)의 지름
(도면 중의 L10)의 내측부분으로 된다.
한편, 능력전환스위치(7)가 '능력소(小)'로 설정된 때에는 컨트롤러(30)는 공연비를 상기 소정의 공연비(1.3)보다도 큰값(예를 들면 1.7 ~ 2.0)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에 대해서 연소용 공기의 유량이 과잉으로 되는, 소위 에어리치상태에서 버너(2)를 연소시키면 버너(2)에 있어서 연소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2)의 연소화염(50)이 버너(2)의 표면에서 리프트(화염의 날림)하고, 불완전연소 기미의 푸른 불꽃이 형성되다.
이 경우 푸른불꽃이 버너(2)의 연소면에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2)의 연소면은 가열되지 않는다. 이에, 버너(2)의 연소면은 적열되지 않고, 버너(2)의 상방의 유리천판(4)은 가열되지 않는다.
한편, 리프트한 연소화염(50)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배기가스는 다공질체 (3)에 흡입되기 때문에 다공질체(3)는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적열하고,다공질체(3)의 상방의 유리천판(4)을 통해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이에 유리천판(4)에 있어서 유효가열범위는 거의 다공질체(3)의 지름(도면 중의 L20)의 내측부분으로 되고, '능력대(大)'의 때에 보다도 유리천판(4)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이 축소한다.
이것에 의해 조리자는 냄비등의 조리기구의 사이즈에 일치시켜서 유리천판 (4)에 있어서 유효가열범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작은 조리기구를 사용할 때에 조리기구의 주위에까지 방열되어 조리기구의 손잡이까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리치상태로 한 경우, 버너(2) 자체의 연소효율은 악화하고, 불완전연소에 의해 연소배기가스에 미연소가스가 많이 포함되게 된다.
그러나, 미연소가스는 버너(2)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고온(예를 들어 900℃, 본 발명의 미연소 가스를 재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온도에 상당한다.)으로 가열된 다공질체(3)에 흡입되고, 재연소에 의해 완전연소해서 방열한다. 이에, 에어리치에 의한 가스곤로 전체로서의 열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 미연소가스가 배기구(5)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능력소(小)'로 할 때의 공연비의 변경은 ①연소용공기의 공급유량을 '능력대(大)'인 때와 동일하게 하고,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감소시킨다. ②연소용공기의 공급유량을 '능력대(大)'의 설정보다도 감소시킨 다음에 연료가스의 공급유량도 감소시킨다. ③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능력대(大)'인 때와 동일하게 하고, 연소용공기의 공급유량을 증대시킨다고 하는 3가지의 방법 중에 어느 것인가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리천판(4)에 있어서 유효가열범위를 2단계(능력대,능력소)로 전환했지만, 3단계 이상 전환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 상기 공연비를 상기 소정 공연비에 대해서 크게 해가는 것에 의해 버너(2)에서의 연소화염의 리프트량을 크게해서 유리천판(4)에 있어서 가열범위를 서서히 축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에 의해 공연비를 높여가면, 버너의 연소화염이 버너의 연소면에서 리프트해서 상기 다공질체로 향해서 흡인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버너의 표면부분은 적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버너의 상부방향으로의 방열이 감소하지만, 상기 다공질체에는 상기 버너의 연소배기가스가 흡입되어 가열되기 때문에 상기 다공질체에서는 복사열이 방열된다. 이에, 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상기 다공질체를 중심으로 해서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즈가 다른 피가열물에 대해서 피가열물의 주위로 방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면 상기 공연비를 상기 소정 공연비 보다도 높게해서 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축소한 경우, 상기 버너의 연소상태는 악화되고, 불완전연소에 의해 미연소가스를 포함한 연소배기가스가 발생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연소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연소가스는 상기 버너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된 상기 다공질체에 흡입되어 재연소하고, 연소에 의해 방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가스곤로 전체로서의 연소효율의 저하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구로부터 미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면의 천판에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연소실내에 설치된 통기성의 다공질체와, 상기 다공질체의 주위에 상기 천판에 대향해서 설치된 표면연소식의 버너와, 상기 버너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수단과, 일단이 상기 다공질체를 통해서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고, 타단이 배기구와 연통한 배기통로와, 상기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버너의 연소배기가스를 상기 다공질체와 상기 배기가스통로를 통해서 상기 배기구까지 송출하는 급배기팬을 구비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에 대한 상기 급배기팬에 의해 상기 버너에 공급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의 비율인 공연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천판에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변경하는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가열면적 변경수단은 상기 버너의 연소 효율이 양호하게 되도록 결정된 소정 공연비 보다도 상기 공연비를 높게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천판이 있어서 유효가열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다공질체는 다공질체에 흡입되는 상기 버너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 연소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온도이상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KR10-2002-0043158A 2001-11-05 2002-07-23 가스곤로 KR100448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9774 2001-11-05
JP2001339774A JP3684345B2 (ja) 2001-11-05 2001-11-05 ガスこん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335A KR20030038335A (ko) 2003-05-16
KR100448602B1 true KR100448602B1 (ko) 2004-09-13

Family

ID=1915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58A KR100448602B1 (ko) 2001-11-05 2002-07-23 가스곤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08675B1 (ko)
JP (1) JP3684345B2 (ko)
KR (1) KR100448602B1 (ko)
CN (1) CN1249380C (ko)
DE (1) DE60230576D1 (ko)
ES (1) ES231652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7557B2 (ja) * 2003-12-08 2010-09-22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こんろ
BRPI0915978A2 (pt) * 2008-07-18 2019-03-19 N V Bekaert Sa isolamento aperfeiçoado para queimador radiante
IT1406865B1 (it) * 2011-01-12 2014-03-14 Worgas Bruciatori Srl Bruciatore ad elevata stabilita' perimetrale
MX337668B (es) 2011-06-01 2016-03-14 Premark Feg Llc Metodo para convertir una disposicion de quemador de gas de parte superior abierta en una disposicion de quemador radiante infrarrojo.
WO2016108059A1 (es) * 2014-12-30 2016-07-07 Instituto Tecnológico Metropolitano Sistema de combustión en lecho poroso y combustión turbulenta
CN104864421A (zh) * 2015-06-02 2015-08-26 天津大学 一种全封闭红外加热炒菜灶
USD833208S1 (en) * 2017-10-26 2018-11-13 Etekcity Corporation Electric warm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0102A (en) * 1987-08-31 1989-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Antenna system
JPH01102221A (ja) * 1987-10-14 1989-04-19 Osaka Gas Co Ltd 密閉型コンロ
JPH0166502U (ko) * 1987-10-22 1989-04-27
JPH06180109A (ja) * 1992-12-09 1994-06-28 Nkk Corp 排熱回収型燃焼装置
JPH09250751A (ja) * 1996-03-18 1997-09-22 Tokyo Gas Co Ltd 炎漏出防止型コンロ
KR102076174B1 (ko) * 2012-03-08 2020-02-11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76174A5 (ko) * 1970-01-05 1971-10-15 Tappan C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0102A (en) * 1987-08-31 1989-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Antenna system
JPH01102221A (ja) * 1987-10-14 1989-04-19 Osaka Gas Co Ltd 密閉型コンロ
JPH0166502U (ko) * 1987-10-22 1989-04-27
JPH06180109A (ja) * 1992-12-09 1994-06-28 Nkk Corp 排熱回収型燃焼装置
JPH09250751A (ja) * 1996-03-18 1997-09-22 Tokyo Gas Co Ltd 炎漏出防止型コンロ
KR102076174B1 (ko) * 2012-03-08 2020-02-11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8675B1 (en) 2008-12-31
JP3684345B2 (ja) 2005-08-17
EP1308675A1 (en) 2003-05-07
CN1249380C (zh) 2006-04-05
ES2316526T3 (es) 2009-04-16
KR20030038335A (ko) 2003-05-16
JP2003139329A (ja) 2003-05-14
CN1417522A (zh) 2003-05-14
DE60230576D1 (de)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602B1 (ko) 가스곤로
KR100448604B1 (ko) 가스곤로
JP3652652B2 (ja) ガスこんろ
US5425353A (en) Cooking hobs
US20030101980A1 (en) Gas heating appliance
KR100448603B1 (ko) 가스곤로
US6435173B1 (en) Combined burner and grate
JP3864853B2 (ja) 調理器
CN209295125U (zh) 中心火盖及燃烧器
JP3763037B2 (ja) ガスこんろ
JP3886461B2 (ja) ガスコンロ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JP2006029727A (ja) こんろバーナ
JP4547557B2 (ja) こんろ
JPH08135958A (ja) ガスコンロ
JP3862849B2 (ja) 両面焼き用グリル
JP2005326118A (ja) ガスこんろ
JP2002250591A (ja) 焼成炉
JPH053173Y2 (ko)
JP2003148739A (ja) ガスコンロ
JP2005326119A (ja) ガスこんろ
JPH03210216A (ja) ガス調理器
JPH04122918U (ja) ガスバーナ
JPH04283318A (ja) 焼成調理器
KR20050117765A (ko)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