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765A -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765A
KR20050117765A KR1020040042977A KR20040042977A KR20050117765A KR 20050117765 A KR20050117765 A KR 20050117765A KR 1020040042977 A KR1020040042977 A KR 1020040042977A KR 20040042977 A KR20040042977 A KR 20040042977A KR 20050117765 A KR20050117765 A KR 2005011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urner
burner housing
passage
exhaus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진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765A/ko
Publication of KR2005011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열이 글래스를 충분히 가열한 후 배기될 수 있도록 한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소실을 형성하며, 그 저면 중앙부위에는 연통구가 형성된 버너 하우징; 상기 버너 하우징의 어느 한 측 둘레면에 소정 크기의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관로상에는 배기가스의 배기를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통로; 상기 배기통로 상의 배기구가 위치된 부위와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통공이 위치된 부위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여타 버너 하우징과의 연소에 따른 영향을 차단하며, 그 상면은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소실을 향해 절곡 형성된 배기 가이드; 상기 버너 하우징 및 배기통로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글래스; 그리고,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통구 및 상기 배기구 사이에 형성된 배기통로 상에 그 유로의 일부 공간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배기 가이드와는 일체로 형성된 배기 지연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Burner assembly for gas burners of radiant heating type}
본 발명은 가스복사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복사 조리기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한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한 복사체의 가열시에 발생되는 복사파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조리 기기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가스복사 조리기가 개략적으로 도시 되고 있다.
즉, 종래 가스복사 조리기는 오븐부(10) 및 탑버너부(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탑버너부(20)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의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버너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버너 어셈블리는 크게 버너 하우징(21)과, 글래스(22)와, 혼합관(23)과, 버너 포트(24)와, 버너 매트(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너 하우징(21)은 소정 크기의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 둘레면 일측에는 소정 크기의 유로를 가지는 배기통로(26)가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기통로(26) 상에는 배기가스의 배기를 위한 배기구(26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저면에는 연통구(21a)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상부는 개구되게 형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버너 하우징(21)이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각 버너 하우징(21)의 각 배기통로는 서로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버너 하우징(21)을 연결하는 배기통로(26) 상에는 상기 이웃하는 각 버너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차단함과 더불어 배기가스의 배기 유동을 안내하는 배기 가이드(27)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배기 가이드(27)는 상기 배기통로(26) 상의 각 배기구(26a)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은 상기 각 버너 하우징(21)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배기구(26a)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22)는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상면에 설치되어 버너 어셈블리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통상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23)은 연료와 공기가 유입되어 서로 혼합되는 관으로써, 상기 버너 포트(24)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포트(24)는 상기 혼합관(23)을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써 둘레부위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버너 포트(24)의 개구된 상부는 버너 하우징(2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25)는 상기 버너 포트(24)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버너 포트(24)로부터 제공되는 혼합가스를 연소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버너 매트(25)는 표면 연소를 수행하면서 복사파를 발생시키는 복사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너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글래스(22) 상면에 피가열체를 얹은 상태로 점화 조작을 수행하면, 혼합관(23)에 연료와 공기가 각각 유입되고, 상기 혼합관(23)을 통과하는 도중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관(23)과 연통된 버너 포트(24) 내로 유입됨과 더불어 버너 매트(25)를 통과하면서 버너 하우징(21)의 연소실 내부로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혼합가스는 도시하지 않은 점화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점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 때,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 매트(25)의 표면상에서 연소되고, 상기 버너 매트(25)는 상기 연소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연소열을 발생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연소열은 글래스(22)를 투과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조리가 수행된다.
상기한 조리 도중 혼합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버너 하우징(21)의 배기통로(26)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배기통로(26)상의 배기구(26a)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 때, 상기 배기통로(26)를 따라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배기 가이드(27)에 의해 이웃하는 버너 하우징(21)의 배기통로(26)로의 유동됨이 방지되며, 상기 배기구(26a)로 원활히 배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버너 어셈블리의 구조는 버너 하우징(21)의 배기통로(26)상에 형성되는 배기구(26a)가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연통구(21a)가 형성된 부위 즉, 버너 매트(25)의 장착 부위와 인접되게 위치되기 때문에 연소열이 상기 버너 하우징(21)의 상면에 안착되는 글래스(22)로 충분히 제공되지 못한 상태로 배기가스와 함께 상기 배기구(26a)를 통해 곧장 배기되었다.
이는, 연소열이 글래스(22)가 위치된 높이에까지 충분히 상승하기 전에 상기 배기구(26a)가 형성된 부위로 유동되면서 상기 배기구(26a)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종래의 버너 어셈블리에 따른 구조는 열효율이 실제 연소량에 비해 미미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너 매트와의 표면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열이 글래스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버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연소실을 형성하며, 그 저면 중앙부위에는 연통구가 형성된 버너 하우징; 상기 버너 하우징의 어느 한 측 둘레면에 소정 크기의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관로상에는 배기가스의 배기를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통로; 상기 배기통로 상의 배기구가 위치된 부위와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통공이 위치된 부위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여타 버너 하우징과의 연소에 따른 영향을 차단하며, 그 상면은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소실을 향해 절곡 형성된 배기 가이드; 상기 버너 하우징 및 배기통로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글래스; 그리고,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통구 및 상기 배기구 사이에 형성된 배기통로 상에 그 유로의 일부 공간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배기 가이드와는 일체로 형성된 배기 지연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크게 버너 하우징(210)과, 배기통로(260)와, 배기 가이드(270)와, 글래스(220)와, 버너 포트(240)와, 버너 매트(250) 그리고, 배기 지연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 하우징(210)은 실질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 중앙측에는 저부 공간과 연통된 연통구(21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기통로(260)는 상기 버너 하우징(210)의 어느 한 측 둘레면에 소정 크기의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관로상에는 배기가스의 배기를 위한 배기구(26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한 버너 하우징(210)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단일의 배기통로(260)에 연결된 상태로 서로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통로(260) 상의 배기구(261)는 상기 각 버너 하우징(210)의 연소에 대응하도록 두 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한 쌍의 버너 하우징(210)을 단일의 배기통로(260)에 서로 일체화하지 않고, 하나의 배기통로(260)에 하나의 버너 하우징(210)만을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배기구(261)가 형성된 부위에는 배기 덕트(300)가 장착되며, 상기 배기 덕트(300)는 상기 각 배기구(261)를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기기 외부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가이드(270)는 상기 배기통로(260) 상의 각 배기구(261) 사이에 구비되어 양 관로를 서로 차단하며, 그 상면은 상기 각 버너 하우징(210)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
상기한 배기 가이드(270)는 이웃하는 여타 버너 하우징(210)과의 연소에 따른 영향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배기통로(260)를 따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배기 유동을 배기구(261)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220)는 상기 한 쌍의 버너 하우징(210) 및 배기통로(260)의 개방된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버너 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글래스(220)의 상면에는 조리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열을 제공받아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 포트(240)는 상기 버너 하우징(210)의 저부인 상기 연통구(211)와 연통되게 장착되며, 혼합관(230)을 통과하면서 혼합된 혼합가스가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버너 포트(240)는 상기 혼합관(230)을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를 재차적으로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250)는 상기 버너 포트(24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버너 포트(240) 내로 공급된 혼합가스에 의해 표면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버너 매트(250)는 버너 하우징(210)의 연통구(211)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지연부(280)는 상기 버너 하우징(210)의 연통구(211) 및 상기 배기통로(260)의 배기구(261) 사이에 형성된 배기통로(260) 상에 그 유로의 일부 공간을 가로막도록 형성되어,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배기가스와 함께 곧장 배기구(261)로 배출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배기 지연부(280)는 상기 버너 하우징(210)과 상기 배기통로(260) 간이 연통되는 부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의 배기 지연부(280)는 배기가스 및 연소열의 배기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연소열이 글래스(220)로 최대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한 배기 지연부(280)는 배기 가이드(27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기 지연부(280)를 상기 배기 가이드(270)와 별개로 구성할 경우 상기 배기 지연부(280) 및 상기 배기 가이드(270) 간의 결합을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시 되기 때문이다.
특히, 종래에는 상기 배기 가이드(270)의 상면 끝단이 연소실의 형성을 위해 라운드진 상태로 절개되어 버려졌음을 고려할 때 추가적인 재료비의 상승 없이 상기 버려지는 부분을 이용하여 배기 지연부(280)로 형성함이 비용상의 절감 및 효율 상의 향상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 지연부(280)가 상기 배기 가이드(270)의 상면 끝단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면서 하향 절곡되게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배기 지연부(280)는 상기 버너 하우징(2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211) 및 배기구(26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의 저부 공간을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배기 지연부(280)의 높이는 배기통로(260)가 형성하는 유로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되, 대략 상기 유로의 1/2 이상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기 지연부(280)의 높이가 상기 배기통로(260)가 형성하는 유로의 1/2 이하의 높이로 형성될 경우에는 연소열의 배기 지연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열효율의 저하가 야기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배기 지연부(280)의 높이를 너무 높게 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기 불량으로 인한 연소 불량이 발생됨은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배기 지연부(280)의 면상에는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281)을 더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연통공(281)은 첨부된 도 6a와 같이 다수의 원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도 6b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범위가 작아지는 슬릿 형상 혹은, 하측으로 갈수록 개구범위가 작아지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통공(281)은 고온의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 가이드(270)를 원활히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고온의 배기가스가 상기 연통공(281)을 통과하면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이 단순히 배기 지연부(280)의 벽면을 타고 흐를 때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상기 연통공(281)을 형성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상기 배기 가이드(270)가 보다 원활히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 실시예의 버너 어셈블리에 의한 조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글래스(220) 상면에 피가열체 즉, 조리 용기를 얹은 상태로 점화 조작을 수행하면, 혼합관(230)에 연료와 공기가 각각 유입되고, 상기 혼합관(230)을 통과하는 도중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관(230)과 연통된 버너 포트(240) 내로 유입됨과 더불어 버너 매트(250)를 통과하면서 버너 하우징(210)의 연소실 내부로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혼합가스는 도시하지 않은 점화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점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상기 버너 매트(250)의 표면상에서 연소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매트(250)의 표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연소에 의해 연소열이 발생되며, 상기 연소열은 연소실 내를 상승하면서 글래스(220)로 제공되어 조리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소열은 연소실과 배기통로(260)간의 연통 부위에 구비된 배기 지연부(280)에 의해 상기 배기통로(260)로 곧장 배출되지 못하고, 연소실 내에서 그 배기가 지연된 상태를 이룬다.
이로 인해, 글래스(220)는 상기 연소실 내를 유동하는 연소열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 지연부(280)는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전도받기 때문에 연소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당한 고온의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연소열의 재가열이 이루어짐으로써 연소실 내의 온도가 더욱 상승되어 결국, 글래스(220)로 제공되는 열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첨부된 도 6a 및 도 6b와 같은 구조일 경우 상기 배기 지연부(280)에 형성된 다수의 연통공(281)으로는 배기가스 및 연소열이 유동되면서 열교환되기 때문에 상기 배기 지연부(280)로 인한 재가열 작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연소실 내에서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배기지연부(280)와 버너 하우징(210) 간의 사이 틈새 및 상기 각 연통공(281)을 통해 조금씩 배기통로(260)로 배기되고, 계속해서 상기 배기통로(260) 상의 배기구(261)를 통과하여 배기 덕트(300)를 통해 기기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원활한 연소는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버너 매트의 표면에서 연소되며 발생된 연소열이 배기 지연부에 의해 배기구로 곧장 배기되지 않고, 연소실을 충분히 유동하면서 글래스를 가열시킨 후 배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가스복사 조리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가스복사 조리기의 버너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일반적인 가스복사 조리기의 버너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지연부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지연부의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버너 하우징 211. 연통구
220. 글래스 230. 혼합관
240. 버너 포트 250. 버너 매트
260. 배기통로 261. 배기구
270. 배기 가이드 280. 배기 지연부
281. 연통공 300. 배기 덕트

Claims (6)

  1. 연소실을 형성하며, 그 저면 중앙부위에는 연통구가 형성된 버너 하우징;
    상기 버너 하우징의 어느 한 측 둘레면에 소정 크기의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관로상에는 배기가스의 배기를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통로;
    상기 배기통로 상의 배기구가 위치된 부위와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통공이 위치된 부위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여타 버너 하우징과의 연소에 따른 영향을 차단하며, 그 상면은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소실을 향해 절곡 형성된 배기 가이드;
    상기 버너 하우징 및 배기통로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글래스; 그리고,
    상기 버너 하우징의 연통구 및 상기 배기구 사이에 형성된 배기통로 상에 그 유로의 일부 공간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배기 가이드와는 일체로 형성된 배기 지연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지연부는
    상기 버너 하우징과 상기 배기통로 간이 연통되는 부위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지연부는
    상기 배기 가이드의 상면 끝단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면서 하향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지연부의 높이는
    배기통로가 형성하는 유로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되, 대략 상기 유로의 1/2 이상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지연부의 면상에는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범위가 커지거나 혹은, 작아지는 슬릿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KR1020040042977A 2004-06-11 2004-06-11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KR20050117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77A KR20050117765A (ko) 2004-06-11 2004-06-11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77A KR20050117765A (ko) 2004-06-11 2004-06-11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765A true KR20050117765A (ko) 2005-12-15

Family

ID=3729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977A KR20050117765A (ko) 2004-06-11 2004-06-11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7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44492A1 (zh) 燃烧器及燃气热水器
KR101816308B1 (ko)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080153047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system of the same
JPH0884669A (ja) ガス調理器の温度上昇防止構造
JP2005069604A (ja) ガスコンロ
KR20050117765A (ko)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US20020157659A1 (en) Gas broiler
KR20050117766A (ko)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KR101220624B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 상부버너
KR200360994Y1 (ko) 가스복사 조리기용 버너 어셈블리
KR100402620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쿡탑부 배기장치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4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JP4176285B2 (ja) こんろバーナ
JPH08312922A (ja) グリルバーナ
KR20030041271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쿡탑부 배기장치
KR100475725B1 (ko) 가스렌지용 버너유닛
KR20060032359A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CN109268879B (zh) 一种中餐燃气炒菜灶
KR20050097715A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TW202340651A (zh) 爐灶燃燒器及燃氣灶
JPS593216Y2 (ja) 赤火式スト−ブ
KR930000641Y1 (ko) 장작형 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