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624B1 - 가열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624B1
KR100829624B1 KR1020070007356A KR20070007356A KR100829624B1 KR 100829624 B1 KR100829624 B1 KR 100829624B1 KR 1020070007356 A KR1020070007356 A KR 1020070007356A KR 20070007356 A KR20070007356 A KR 20070007356A KR 100829624 B1 KR100829624 B1 KR 10082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t
heating
uni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래
류정완
양대봉
류상민
정용기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24B1/ko
Priority to US11/927,319 priority patent/US20080173296A1/en
Priority to CN2007800523144A priority patent/CN101641555B/zh
Priority to PCT/KR2007/006041 priority patent/WO2008091057A1/en
Priority to US12/449,115 priority patent/US20100108053A1/en
Priority to MX2009007909A priority patent/MX2009007909A/es
Priority to CN2007101599528A priority patent/CN10123099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높은 연소효율을 얻으며, 버너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내부 부품 특히, 컨트롤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적어도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가열부에서의 가스 연소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가열부의 열이 상기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가 포함되고, 상기 배리어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열이 배리어에 의해서 기타 부품, 특히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부품의 오작동 및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연소, 배리어, 팬

Description

가열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Ⅰ-Ⅰ'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너 시스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포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라믹 플레이트 2 : 케이스
4 : 버너 포트 5 : 노즐 유닛
6 : 혼합관 유닛 16 : 점화 플러그
17 : 점화 트랜스 19 : 팬
20 : 배리어 22 : 열감지봉
23 : 지지대 24 : 써모스탯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높은 연소효율을 얻으며, 버너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내부 부품 특히, 컨트롤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스연소방식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이 음식물에 가하여져서, 그 열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스 쿡탑에 관한 것이다. 상기 쿡탑은 핫 플레이트(hot plate), 홉(hob)이라고도 이름하는 기기로서, 근래들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가스연소방식으로 동작되는 쿡탑에는 버너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버너 시스템은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버너 시스템의 경우, 소정의 관을 통하여 가스연료를 분사하고, 분사된 상기 가스연료의 부근에서 공기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공기가 함께 버너포트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포트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가스는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균 일하게 혼합되고, 균일하게 혼합된 뒤에는 연소되고,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이 복사 및 전도의 방식으로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이 가열 조리된다.
종래의 가열조리기기는 버너포트의 내부로 혼합가스가 유입된 뒤에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버너포트의 하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가스가 토출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그러므로, 버너포트의 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버너포트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서 버너포트의 내부를 향하여 혼합가스가 토출되는 방식도 적용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측방분사방식은 버너포트의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단순하게 버너포트의 측방에 혼합가스의 유입구가 있을 뿐이기 때문에,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상세구성은 버너포트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일정 수준 이상의 버너포트의 높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혼합관 및 노즐의 배치는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상기 혼합가스가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혼합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좁은 버너포트의 내부 공간에서 연소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마련되는 구성이었다.
만약, 버너포트가 일정 이상의 크기가 되지 아니하면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해서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원활하게 섞이지 못하고 불완전연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 뿐만 아니라, 버너포트가 일정 이상 수준으로 크지 아니하면 혼합공기의 유동저항이 증대되고 충분한 난류발생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균일하게 혼합가스가 제공되지 못하게 된다.
물론, 버너포트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고 버너포트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임으로써, 가스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발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종래의 가열조리기기의 경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플러그가 제공되며, 상기 점화 플러그는 점화 트랜스에 의해서 불꽃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점화 트랜스의 경우 제품 자체의 내열 온도가 정해져 있어, 상기 점화 트랜스의 내열 온도 이상의 온도가 상기 점화 트랜스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점화 트랜스는 오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열조리기기에 의하면, 상기 버너 시스템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점화 트랜스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상기 점화 트랜스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하여 혼합 가스의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비단 상기 점화 트랜스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버너 시스템을 제외한 가열조리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 특히 상기 버너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컨트롤부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버너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내부 부품, 특히 컨트롤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 다시 말하면 가스에 대한 공기비를 증대시켜서 가스 연소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버너포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임으로써 가스가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섞여서 추후에 균일하 게 연소되도록 하여, 가스가 완전하게 연소되고 높은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버너포트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가열 조리기기의 크기, 특히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제품의 설치 편의성이 증대되고, 전체적으로 재료비 및 물류비가 절감되고, 사용자의 만족감이 증진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한다. 물론, 이 때에도 버너 시스템의 발열량은 종래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적어도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가열부에서의 가스 연소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가열부의 열이 상기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가 포함되고, 상기 배리어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와 구획된 공간에 제공되어, 적어도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 측에 제공되어 상기 컨트롤부를 냉각시키는 팬; 및 상기 가열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써모스탯이 포함되며, 상기 팬은 상기 써모스탯에 의해서 일정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시스템; 적어도 상기 버너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플러그; 일측이 상기 버너 시스템 내부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버너 시스템 외부로 연장되는 열감지봉; 상기 버너 시스템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열감지봉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컨트롤부를 냉각시키는 팬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는, 본체의 하측을 보호하여 가열조리기기 하측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고 상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상면에 안착되는 세라믹 플레이트(1)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는 탑 프레임(3)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열조리기기의 추가적인 외관 구성으로는, 조리기기의 뒷쪽 부분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그릴(31)과,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의 대략 전방부에 형성되어 가스연소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29)가 있다. 상기 배기그릴(31) 및 스위치(29)의 위치 및 형상은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구조 및 형식으로 달라질 수 있으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와 가스연소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부가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케이스(2)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스 의 연소, 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상세하게, 그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충분하게 일어나서 추후에 균일하게 연소가 일어나도록 하는 버너포트(4)가 세 개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버너포트(4)의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6)이 놓여서 상기 버너포트(4)의 측면을 통하여 혼합가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와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노즐 유닛(5)이 놓여서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를 향하여 가스를 분사한다.
상기 각 버너포트(4)의 상측에는 버너 프레임(11)이 놓인다. 상기 버너 프레임(11)은 상기 버너포트(4)의 위치를 지지하고 적열 플레이트(12)상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버너 프레임(11)의 후방에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10)와, 상기 배기부(10)의 상측에 놓이는 배기그릴(31)이 놓인다.
상기 버너포트(4)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적열 플레이트(12)가 놓이고, 상기 적열 플레이트(12)는 혼합가스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적열 플레이트(12)가 가열되면,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의 물성에 맞는 주파수 대역의 복사 에너지가 방사된다.
상세히,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의 방사 에너지는 적어도 가시광선 대역의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고, 그 가시광선에 의해서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가 동작 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 의해서 음식물이 가열되는 것도 당연이고, 상기 음식물은 세라믹 플레이트(1)의 전도열에 의해서도 가열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노즐유닛(5)으로 공급되는 가스공급구조를 설명한다.
가열조리기기의 외부에서 내부로는 메인가스공급관(8)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스위치(29)에 의해서 조절되는 가스밸브(7)에 의해서 각각의 버너 시스템을 향하는 가스의 공급이 조절된다. 그리고, 개별가스 공급관(9)을 통하여 가스가 각각의 노즐유닛(5)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버너 시스템은 혼합가스의 공급 및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노즐 유닛(5), 혼합관 유닛(6), 버너 포트(4), 적열 플레이트(12)가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평면도로서, 도 3에는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3에서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배리어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의 양측편에 비교적 큰 두 개의 버너포트(4)가 놓이고, 상기 두 개의 버너포트(4)의 사이에는 작은 크기의 버너포트(4)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버너포트(4)의 발열량에 맞는 식기를 놓아서 해당되는 식기가 가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의 가운데에 놓이는 작은 크기의 버너포트(4)로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혼합가스가 공급되어 이차적으로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열 플레이트(12) 상에서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 된 뒤에 후방으로 배기부(10)를 향하여 배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의 양측편에 놓이는 비교적 큰 두 개의 버너포트(4)로는,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포트(4)의 내부에서 이차적으로 혼합가스가 혼합된 뒤에 상기 적열 플레이트(12) 상에서 연소되고, 연소가스는 상기 버너포트(4)의 후방을 향하여 배기된다.
이와 같은 버너포트(4)의 배치는 최적의 가열 버너 시스템의 배치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 외에, 도 3 및 도 4에 의해서는 가열조리기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 구성부품의 위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에는 상기 케이스(2) 내부 공간이 상기 버너 시스템이 놓여 고열이 발생되는 제 1 공간과 비발열 부품 또는 저열이 발생되는 부품이 놓이는 공간인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배리어(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리어(20)는 상기 제 1 공간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이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는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리어(20)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 2 공간에는 상기 메인가스공급관(8)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가스공급관(8)에는 상기 메인가스공급관(8)과 상기 개별가스공급관(9)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배관(8)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배관(8)에는 상기 가스 밸브(7)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리어(20)에 의해서 정의되는 공간 내부에는 상기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하여 전류를 제공하는 점화 트랜스(17)가 제공되고, 상기 점화 트랜 스(17)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에 놓인 부품의 냉각을 위한 팬(19)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팬(19)에 의해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2)의 상기 팬(19)이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미도시)을 통하여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간에 놓이는 부품은 상기 버너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스밸브(7), 점화 트랜스(17) 등 이므로, 이를 통칭하여 컨트롤부라고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에 놓이는 부품은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시스템이므로, 이를 가열부라고도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배리어(20)의 측방에는 상기 버너 시스템에서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로 상기 버너 시스템의 동작을 알리는 램프부(18)가 제공된다. 이러한 램프부(18)는 상기 버너 시스템이 동작되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가 가열되었음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피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버너 프레임(11) 내부 공간으로는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플러그(16)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점화 플러그(16)는 상기 점화 트랜스(17)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서 불꽃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혼합 가스는 상기 점화 플러그(16)에 의해 발생된 점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 연소되고, 이러한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가열된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 복사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2) 내부 공간이 상기 배리어(20)에 의해서 구획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부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컨트롤부로 전달 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부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팬(19)에 의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부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컨트롤부의 오작동은 한층 더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20)는 상기 팬(19)에 의해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버너 시스템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혼합관 유닛(6)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상기 버너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배리어(20)은 제 1 공간의 고온의 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벽(201)과, 상기 제 1 공간의 고온의 열이 상방에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벽(202)과, 상기 제 1 공간의 고온의 열이 일측방에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 3 차단벽(203)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차단벽(201)에는 상기 각 연결 배관(10) 및 개별가스공급관(9)이 관통되도록 하는 각각의 관통공(205)(2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단벽(201)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리어(20)가 상기 케이스(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 리브(20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차단벽(202)에는 상기 스위치(29)가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가스 밸브(7)와 결합되도록 하는 스위치 관통홀(207)과, 상기 램프부(18)가 관통되는 램프부 관통공(20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단벽(202)의 양측면에는 상기 배리어(20)가 상기 케이스(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20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3 차단벽(203)은 상기 제 1 차단벽(201)으로부터 도 5에서 볼 때 상측으로 연장 성형된다. 이 때, 상기 제 3 차단벽(203)은 상기 메인가스공급관(8)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차단벽(202)의 전단부(202a)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각 관통공(205, 206, 207)은 상기 제 2 공간에 배치되는 부품이 관통되도록 하는 역할 외에 상기 팬(19)에 의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 1 공간 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냉각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프레임(11)의 내부로는 상기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한 쌍의 점화봉으로 이루어진 점화 플러그(16)가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점화 플러그(16)는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의 상방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적열 플레이트(12)를 통과한 혼합가스는 상기 점화 플러그(16)에서 발생된 불꽃에 의해서 점화된다.
이러한 점화 플러그(16)는 상기 점화 트랜스(17)에서 어느 하나의 점화봉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서 다른 하나의 점화봉 사이로 불꽃을 튕겨 혼합가스가 점화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 플러그(16) 사이에는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봉(22)이 위치된다. 상기 열감지봉(22)은 상기 버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상기 한 쌍의 점화봉 사이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열감지봉(22)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감지봉(22)은 일측이 상기 버너 프레임(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버너 프레임(11)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열감지봉(22)의 연장된 단부에는 써모스탯(24)이 결합되기 위한 지지대(2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열감지봉(22)을 따라 상기 지지대(23)로 전도되고, 상기 써모스탯(24)은 상기 지지대(23)로 전도된 열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써모스탯(24)은 감지된 열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램프부(18) 또는 상기 팬(19)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버너 시스템이 작동되어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 열이 발생하면, 상기 열은 상기 열감지봉(22)으로 전달되고, 상기 써모스탯(24)은 상기 열감지봉(22)에서 상기 지지대(23)로 전도된 열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써모스탯(24)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써모스탯(24)은 상기 램프부(18) 또는 팬(19)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열감지봉(22)은 상기 케이스(2)에 접지된다. 즉, 상기 열감지봉(22)에는 접지선(32)이 연결되고, 상기 접지선(32)은 상기 케이스(2)에 결합된 접지 부재(33)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접지 부재(33)는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감지봉(22)은 상기 한 쌍의 점화봉 사이에 제공되는데, 상기 일 점화봉에서 타 점화봉으로는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상기 열감지봉(22)으로도 일부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열감지봉(22)을 상기 케이스(2)에 접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감지봉(22)은 본 실시예에서 세 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열감지봉(22)은 단일의 접지 부재(33)에 접지된다. 이와 달리, 각 열감지봉(22)이 별도로 접지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열감지봉(22) 및 써모스탯(24)의 위치 관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상기 열감지봉(22)이 상기 버너 프레임(1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 발생된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의 온도 변화에 대해서 상기 써모스탯(24)이 보다 민감하고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써모스탯(24)이 상기 버너 프레임(11)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열감지봉(22)에 결합된 지지대(23)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대(23)는 상기 버너 시스템 주위의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기 열감지봉(22) 보다 온도가 낮은 상태가 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써모스탯(24)의 내열 온도(대략 300도)보다 낮게 되어, 상기 써모스탯(24)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써모스탯(24)은 각각의 버너 프레임(11)과 연계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세 개의 써모스탯(24)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램브부(18) 또는 팬(19)은 상기 세 개의 써모스탯(24)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일정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 써모스탯(24)에 의해서 상기 램프부(18) 또는 팬(19)의 동작이 제어되나, 이와 달리 상기 램프부(18) 또는 팬(19)은 상기 스위치(29)의 동작에 대응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위치(29)의 하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29)가 온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단자를 눌러 상기 램프부(18) 또는 팬(19)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Ⅰ-Ⅰ'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의 상측에는 버너포트(4)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포트(4)의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6)이 배치된다. 상기 혼합관 유닛(6)과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에서 인접된 위치에는 노즐유닛(5)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 유닛(6)은 상기 버너포트(4)의 개공(42)과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6)에 제공되는 혼합관(61)과 상기 개공(42)은 서로 나란하게 복수 개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가 된다. 상기 혼합관 유닛(6)과 상기 개공(42)의 정렬 상태는 후술된다.
한편, 상기 개공(42)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포트(4)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정도 작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공(42)은 상기 혼합관 유닛(6)에서 혼합관(61)의 연장방향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공(42)의 직경은 상기 버너포트(4)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최대한으로 혼합가스가 버너포트(4)의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혼합관(61)은, 혼합관의 유입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처음에는 그 직경이 감소되는 노즐의 형태로 제공되고, 최소직경부를 통과한 다음에는 디퓨저의 형태로서 그 직경이 증가되는 양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혼합관(61)의 디퓨저 부분과 상기 개공(42)의 직경의 증가양상은 상호 간에 연속적인 것이 유체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개공과 상기 혼합관(61)의 확산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버너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노즐유닛(5)에서 분사된 가스는 고속으로 상기 혼합관 유닛(6)으로 유입된다. 이 때,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를 통과하는 가스는 고속이기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서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의 인접공간은 저압으로 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공기도 상기 혼합관(61)으로 함께 유입되어서, 상기 혼합관(61)을 통과하는 유체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된다. 상기 혼합관 유닛(6)을 통과한 혼합가스는 상기 개공(42)을 통하여 상기 버너포트(4)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뒤에 이차적으로 혼합되어 상기 적열 플레이트(12) 상에서 연소된다.
그리고, 혼합가스의 연소열은 상기 적열 플레이트(12)를 가열하여 상기 적열 플레이트(12)를 적색으로 만들어,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서는 복사열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에는 미세한 홀이 무수히 가공되어 있고, 혼합가스가 통과함에 따라 연소되고, 연소가스는 배기유로(111)를 따라서 상기 배기부(10)로 안내된다. 상기 배기유로(111)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의 하부와 버너 프레임(11)의 상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버너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4)의 일측에는 혼합관 유닛(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혼합관 유닛(6)에는 복수개의 혼합관(61)이 제공되고, 상기 버너포트(4)에는 상기 혼합관(61)과 정렬되는 복수개의 개공(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에는 노즐유닛(5)이 일정간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5)은 직선형인데, 이는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유입구는, 원형인 버너포트(4)와는 달리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버너 시스템의 배치상태가 보다 컴팩트 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관 유닛에는 복수개의 혼합관(61)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즐유닛(5)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량, 다시 말하면 공기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복수개의 혼합관(61)이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혼합관(61)을 통해서 가스와 함께 공기가 다량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다량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은, 단일의 혼합관(61)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의 혼합관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혼합관의 주위에만 저압 분위기가 조성되어 혼합관으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복수개의 혼합관으로 가스가 흡입되면 전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증대되기 때문에, 전체의 흡입공기의 합산으로서 혼합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6)에서 상기 혼합관(61)은 복수개가 동일한 높이에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물론,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그 중심이 어긋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혼합관(61)이 나란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버너 포트(4)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가스가 상호 충돌하여 난류의 발생이 증대되고,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증진됨으로써 가스의 연소효율이 증대된다. 상기 혼합관(61)의 상하 높이가 달라지는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상기 혼합관(61)이 놓일 수 있는 높이는 상기 개공(42)이 형성될 수 있는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혼합관(61)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혼합관(61)의 각각의 연장선은 서로 만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4)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혼합관(61)에서 유출되는 혼합가스 간의 난류발생을 증진시킬 수 있고, 상기 혼합관 유닛(6)의 제작공정이 간단해지고, 상기 혼합관 유닛(6)과 정렬되는 상기 노즐유닛(5)의 제작공정이 또한 간단하고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6)에 제공되는 혼합관(61)의 개수는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다섯 개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혼합관이 배치되는 범위는 상기 버너포트의 직경에 균등하게 균분되어 있고, 가장 마지막 단부에 배치되는 혼합관은 실질적으로 버너포트의 전체 직경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상기 버너포트로 유입되는 혼합가스의 혼합효율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난류의 발생이 원활해 지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너 시스템은, 혼합관 유닛(6)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가스가 충실히 혼합되도록 원형의 함몰부가 제공되는 버너포트(4)와, 상기 버너포트(4)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혼합관 유닛(6)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6)에는 다섯개의 혼합관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체로서 혼합관 유닛(6)이 상기 버너포트(4)에 한번 체결되기만 하면, 다섯개의 혼합관의 정렬 상태가 한꺼번에 일치된다. 그러므로, 혼합관(61)과 개공(42)의 정렬상태의 어긋남에 대한 우려, 혼합관(61)과 노즐유닛(5)의 어긋남에 대한 우려, 혼합관(61)의 유입구와 노즐유닛(5) 간의 거리가 달라져서 가스 및 공기의 유입량이 혼합관(61)별로 달라질 우려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은 복수개의 혼합관을 각각의 개공에 각각 정렬되도록 상기 노즐 유닛(5)에 체결 되는 가상적인 경우와 비교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의 혼합관 유닛(6)에 의한 장점은, 노즐유닛(5)에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혼합관(61)의 유입구 간의 중심이 미소하게 어긋나더라도 분사가스에 의한 저압이 미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고, 이로써 공기가 유입되는 효율이 급격하게 저감될 것임을 참조하면, 더욱 현저하게 드러난다.
이와 같이 방식으로 혼합관 유닛(6)이 버너포트(4)에 체결됨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혼합관 유닛(6)과 버너포트(4) 간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불량율이 낮아지고, 재료비가 절감된다.
상기되는 방식에서 각각의 혼합관(61)이 혼합관 유닛(6)에 체결되는 방식은, 복수개의 혼합관(61)이 소정의 지그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태에서 혼합관 유닛(6)에 체결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경우로서, 애초에 복수개의 상기 혼합관(61)은 혼합관 유닛(6)에 일체로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소정의 지그에 의해서 혼합관(61)이 혼합관 유닛(6)에 체결되는 중에서, 복수개의 혼합관(61)의 유입구는 일렬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5)과 복수개의 상기 혼합관(61)의 유입구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포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 가열조리기기의 양측편에 놓이는 버너 시스템에는 전방을 향하여 혼합공기가 유입된 다음에, 상기 버너포트(4)의 내부에서 혼합가 스가 이차적으로 충분히 혼합된다. 그리고, 적열 플레이트(12)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이동되어 연소되고, 후방을 향하여 연소가스가 배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버너 시스템에는, 상기 버너포트(4) 내부의 충분한 혼합가스 간의 충돌에 기인하여 난류가 충분하게 발생되고, 이로써 원래 전방으로 이동되는 혼합가스의 이동속도성분은 없어지게 되고, 버너포트(4) 내부에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일어나게 된다. 나아가서, 상기 적열 플레이트(13)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스의 연소가 일어나고, 연소가스는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의 양측편에 놓이는 버너 시스템은, 버너 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여 유입측과 토출측의 가스의 유동방향이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동저항이 없이 원활하게 유체의 유동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구성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특징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열감지봉(28)이 점화 플러그(26)의 점화봉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버너 프레임으로 하나의 점화봉(27)이 돌출되고, 상기 점화봉(26)과 이격된 위치에서는 상기 적열 플레이트(12)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봉(27)이 돌출된다.
이러한 점화플러그(26)는 상기 점화봉(27)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상기 열감지봉(28) 사이로 불꽃을 튕겨 혼합가스가 점화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감지봉(28)은 일측이 상기 버너 프레임(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버너 프레임(11)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열감지봉(28)의 연장된 단부에는 써모스탯(24)이 결합된 지지대(23)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감지봉(28)은 일 점화봉 역할을 하므로 원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2)에 접지된다. 상기 열감지봉(28)의 접지 방법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감지봉(28)이 점화봉의 역할을 하므로, 상기 점화 플러그(26)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작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여서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혼합관은 상기 버너포트를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흡입되고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흡입된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난류를 발생시켜서, 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켜서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에 적열 플레이트(12)를 향하여 토출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은 일 방향 흡입의 제한 범위 내에서 상기 혼합관은 버너포트의 전체직경에 대하여 서로 균등하게 분배될 필요는 없고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버너포트의 내부에서의 혼합가스의 균등분배와 난류의 효율적인 발생을 위하여 혼합관이 균등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버너포트의 내부에는 버너포트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가스에 대한 난류의 발생을 증진시키는 스월러(swirler)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버너포트의 내부에서 혼합가스 유동의 충돌이 증진되어 추후에 혼합가스의 균일연소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세라믹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후방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세라믹 플레이트의 어느 일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연소가스에 의해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것에 대비하여야 한다. 다만, 주방의 코너부에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열조리기기의 측편에 배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 한 개가, 한 개의 버너포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두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공기비가 증진되고 난류의 발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잠이 있다. 그러나, 한 개의 버너포트로도 충분한 것을 감안하면, 두 개의 버너포트가 설치되는 것은 재료비의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가열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 시스템에서 가스의 연소효율이 증대되고, 가스 및 공기의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흡입되는 혼합가스에서 공기비가 증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조리기기의 전체크기, 특히 종래 대부분의 높이를 차지하는 버너시스템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서, 설치의 편의성, 재료비의 절감, 사용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효과는 대등한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종래의 가열조리기기에 대하여 대비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또한, 버너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배리어에 의해서 기타 부품, 특히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부품의 오작동 및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에 의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서 기타 부품이 냉각됨에 따라 상기 부품의 오작동은 한층 더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너 시스템의 온도 변화를 써모스탯이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버너 시스템의 고열이 상기 써모스탯으로 직접 전달되어 상기 써모스탯이 오작동 또는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적어도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가열부에서의 가스 연소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가열부의 열이 상기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가 포함되고,
    상기 배리어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2.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적어도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가열부의 열이 상기 컨트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가 포함되고,
    상기 배리어에는 상기 가열부로부터 전방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벽과, 상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벽과, 일 측방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 3 차단벽이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에는 상기 가열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관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에는 상기 배리어가 상기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 리브가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에는 상기 배리어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가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6.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의 일 측방에는 상기 컨트롤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이 더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써모스탯이 더 포함되며,
    상기 팬은 상기 써모스탯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 가열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써모스탯은, 일측이 상기 가열부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가열부 외부로 연장된 열감지봉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가열조리기기.
  9.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와 구획된 공간에 제공되어, 적어도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 측에 제공되어 상기 컨트롤부를 냉각시키는 팬; 및
    상기 가열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써모스탯이 포함되며,
    상기 팬은 상기 써모스탯에 의해서 일정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작동되는 가열조리기기.
  10.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가열부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컨트롤부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배리어;
    상기 배리어를 관통하며,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컨트롤부 측에 제공되어 상기 컨트롤부를 냉각시키는 팬이 포함되며,
    상기 팬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컨트롤부 및 가스 공급관 측으로 송풍되어 상기 컨트롤부 및 가스 공급관을 냉각시키는 가열조리기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팬에 의해서 유동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은 상기 팬 주위에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12.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 시스템;
    적어도 상기 버너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플러그;
    일측이 상기 버너 시스템 내부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버너 시스템 외부로 연장되는 열감지봉;
    상기 버너 시스템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열감지봉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컨트롤부를 냉각시키는 팬이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플러그는 한 쌍의 점화봉이 포함되며,
    상기 열감지봉은 상기 점화봉 사이에 제공되는 가열조리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플러그는 한 쌍의 점화봉이 포함되며,
    상기 열감지봉은 일 점화봉을 이루는 가열조리기기.
  15. 제 13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봉이 접지되도록 하는 접지 수단이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수단은 상기 열감지봉에 연결되는 접지선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 부재가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봉은 각 버너 시스템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각 열감지봉은 하나의 접지 수단에 의해서 동시에 접지되는 가열조리기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열감지봉의 연장된 부분에 결합된 지지대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열조리기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서 일정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
KR1020070007356A 2007-01-23 2007-01-24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356A KR100829624B1 (ko) 2007-01-24 2007-01-24 가열조리기기
US11/927,319 US20080173296A1 (en) 2007-01-23 2007-10-29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7800523144A CN101641555B (zh) 2007-01-23 2007-11-27 加热烹饪器具
PCT/KR2007/006041 WO2008091057A1 (en) 2007-01-23 2007-11-27 Heating cooking appliance
US12/449,115 US20100108053A1 (en) 2007-01-23 2007-11-27 Heating cooking appliance
MX2009007909A MX2009007909A (es) 2007-01-23 2007-11-27 Electrodomestico de coccion y calentamiento.
CN2007101599528A CN101230992B (zh) 2007-01-23 2007-12-20 加热炊具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356A KR100829624B1 (ko) 2007-01-24 2007-01-24 가열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24B1 true KR100829624B1 (ko) 2008-05-16

Family

ID=3966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356A KR100829624B1 (ko) 2007-01-23 2007-01-24 가열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199B1 (ko) * 2015-09-03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US10408461B2 (en) 2015-09-03 2019-09-10 Lg Electronics Inc. Gas cook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006U (ko) 1979-12-18 1981-07-22
JPS5811605U (ja) 1981-07-17 1983-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こんろ
KR970010502U (ko) * 1995-08-31 1997-03-29 그릴/오븐렌지의 컨트롤판넬 설치구조
JPH09318079A (ja) * 1996-06-04 1997-12-12 Rinnai Corp 厨房家具
KR19990031374A (ko) * 1997-10-10 1999-05-06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냉각장치 및 방법
JP2000171046A (ja) 1998-12-09 2000-06-23 Rinnai Corp 加熱調理器
KR20020056254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006U (ko) 1979-12-18 1981-07-22
JPS5811605U (ja) 1981-07-17 1983-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こんろ
KR970010502U (ko) * 1995-08-31 1997-03-29 그릴/오븐렌지의 컨트롤판넬 설치구조
JPH09318079A (ja) * 1996-06-04 1997-12-12 Rinnai Corp 厨房家具
KR19990031374A (ko) * 1997-10-10 1999-05-06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냉각장치 및 방법
JP2000171046A (ja) 1998-12-09 2000-06-23 Rinnai Corp 加熱調理器
KR20020056254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199B1 (ko) * 2015-09-03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US10408461B2 (en) 2015-09-03 2019-09-10 Lg Electronics Inc. Gas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9090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system of the same
KR20120119842A (ko) 조리기기
KR100880493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9080774B2 (en) Cooker
US20100108053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US9702564B2 (en) Cooker
US9416978B2 (en) Cooker and burner assembly thereof
US20080153047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system of the same
KR100829624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US9383112B2 (en) Cooking appliance
KR100826712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KR100809747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0809746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 조립 방법
US20080173296A1 (e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82670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웜존 기구
KR10082671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US8991385B2 (en) Cooking appliance
KR100829626B1 (ko) 가열조리기기
KR20020056254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KR100829625B1 (ko) 가열조리기기
KR20140073897A (ko) 조리기기
KR100698293B1 (ko) 복사 가열식 가스레인지
JP4085047B2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