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659B1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 Google Patents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659B1
KR100446659B1 KR10-2001-0025312A KR20010025312A KR100446659B1 KR 100446659 B1 KR100446659 B1 KR 100446659B1 KR 20010025312 A KR20010025312 A KR 20010025312A KR 100446659 B1 KR100446659 B1 KR 10044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lithium ion
group
ion battery
electrolyt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676A (ko
Inventor
김형진
이연희
정봉열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1-002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659B1/ko
Priority to PCT/KR2002/000853 priority patent/WO2002091497A2/en
Priority to US10/380,141 priority patent/US6960410B2/en
Priority to EP02769232A priority patent/EP1559149B1/en
Priority to CNB028015703A priority patent/CN1227760C/zh
Priority to JP2002588652A priority patent/JP4149815B2/ja
Publication of KR2002008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비수성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전해액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이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로 치환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이고, 두개의 R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며; 각각의 m과 n은 2 내지 2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 ⅰ) 리튬 염, ⅱ) 전해액 화합물, 및 ⅲ)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리튬 이온 전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 옥사이드 말단기가 다양한 관능기로 치환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전극과의 계면 성질을 개선하고 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 리튬이온 전지{ELECTROLYTE CONTAINING NON-IONIC SURFACE ACTIVE AGENT AND ITS APPLICATION TO LITHIUM ION BATTERY}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비수성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여러 전기화학 전지 중에서 리튬 이온 액체 2차 전지는 소니(Sony)사에 의해 처음으로 상품화 된 이후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기존의 2차 전지들을 대체하여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에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상기 리튬이온 2차 전지는 부극 활물질로 탄소재료와 정극 활물질로 LiCoO2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며, 부극과 정극 사이에 다공성의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을 넣고 LiPF6등의 리튬염을 가진 비수성 용액을 넣어서 제조하게 된다. 충전시에는 정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부극의 탄소 층으로 삽입이 되며, 방전시에는 반대로 탄소 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정극 활물질로 삽입이 되게 된다.
비수성 전해액은 부극과 정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의 역할을 하며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하여야 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전해액으로 미국특허 제5,521,027호 및 제5,525,443호에서는 리튬 이온을 충분히 해리 시킬 수 있는 극성이 큰 환형 카보네이트 만을 사용할 경우 점도가 커서 이온 전도도가 작으므로, 점도를 줄이기 위해 극성은 작지만 저 점도인 선형 카보네이트를 섞은 혼합 전해액을 제시하고 있다. 선형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환형 카보네이트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이하, 'EC'라 함)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이하, 'PC'라 함),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을 들 수 있다. 전지의 고용량 및 온도특성, 안전성을 고려할 때 환상 카보네이트의 사용을 피할 수 없으며, 특히 EC나 PC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전해액을 사용할 경우, 이와 같은 비수 전해액은 전극 활물질 내로 침투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공정상의 효율을 감소시키며, 또한 전극이 갖는 충분한 용량을 활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비수성 전해액과 전극과의 계면 성질을 개선시키고자 일본특허공개 평8-306386호에서는 전해액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거나 혹은 일본특허공개 평9-30651호에서는 전극 슬러리에 직접 첨가하는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그 충분한 효과는 보지 못하고 있다.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전지의 다른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지의 작동 전압내에서 안정한 화합물로서 전극과 전해액간의 계면활성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전극과의 계면 성질을 개선시켜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용량 고효율의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전해액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실시예 1 내지 6)와 일반전지의 임피던스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실시예 6 내지 12)와 일반전지의 임피던스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실시예 13 내지 14)와 일반전지의 임피던스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해액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이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로 치환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이고;
각각의 m과 n은 2 내지 2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
a) 부극 활물질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c) 다공성의 분리막; 및
d) ⅰ) 리튬 염;
ⅱ) 전해액 화합물; 및
ⅲ) 전해액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이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로 치환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한다.
[작용]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극과 전해액간의 계면활성을 높일 수 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이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로 치환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정극, 다공성의 분리막,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리튬염을 가진 전해액을 사용하여 용량이 크고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흑연화 탄소 부극을 사용한 전지에 사용되는 환상 카보네이트인 EC 는 리튬염을 잘 녹이고 이온전도가 높지만, 녹는점이 상온 이상으로 과량으로 사용하면 전해액의 저온성능이 급격하게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통 녹는점이 낮고 점도가 낮은 선형 카보네이트를 함께 섞어서 2성분의 전해액을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전해액은 전지내에 주입시 전극 활물질 내로 침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시간이 많이 걸려도 전극 활물질의 충분한 용량을 낼 수가 없기 때문에 고속 충방전시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전지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해액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전해액이 전극내로 쉽게 침투하게 하여 전극과 전해액간의 계면 저항을 줄여주게 되어 셀 전체 임피던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전지의 다른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지 작동 전압 영역에서 안정한 화합물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계면활성제는 전해액과 반응성을 없애기 위하여 통상적인 유기합성 방법에 의하여 고분자 말단기의 히드록시기를 각각 아세틸기, 메틸기, 벤조일기로 각각 치환된 것이다. 예를 들면, DIANIPPON INK CHEMICALS사에서 구입한 MEGAFAC F-142D(n=10), F-144D(n=20) 및 F-142P(n=10, 고순도) 각각의 고분자 말단기의 히드록시기를 각각 아세틸기, 메틸기, 벤조일기로 각각 치환하여 사용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성기로 하이드로카본 고리가 아닌 탄화불소 고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카본과 불소의 결합이 강하므로 열 및 화학물질에 안정하고, 특히 전지의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안정한 화합물을 유지하여 전지의 다른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탄화불소로 덮여있는 계면활성제의 한쪽 말단이 고체 전극 표면에 훨씬 더 큰 계면장력을 가지게 되어 고체 전극과 유기 용매 사이에서의 계면 특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용량이 크고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는 부극 활물질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정극 활물질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성 분리막; 및 리튬 염, 전해액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흑연화 탄소는 X선 회절법으로 측정된 탄소질 재료의 결정면 거리 상수 d002 값이 0.338 나노미터 이하이며, BET 법으로 측정된 비 표면적이 10㎡/g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은 LiCoO2, LiNiO2, LiMn2O4, 및 LiNi1-XCoXO2(여기에서, 0<X<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튬염은 LiClO4, LiCF3SO3, LiPF6, LiBF4, LiAsF6, 및 LiN(CF3SO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액 화합물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비닐렌 카보네이트(Vin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감마부티로락톤(GBL), 설포레인(Sulfolane), 메틸 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및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Methyl 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전해액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물질을 이용하는 전지의 예를 들면, 전극으로 탄소 활물질과 결합제로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부극을 사용하고, 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활물질과 도전성 탄소, 결합제로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정극을 사용하여 리튬이온 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계면활성제를 전해액에 사용하여 리튬 이온 전지를 제조함으로써, 전지 활물질 내로 전해액이 충분히 침투하여 전지내의 임피던스를 감소시켜 활물질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충방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말단이 아세테이트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2d-Ac 합성)
F-142d(average n=10, 평균 분자량 = 1379, 2.50 g)와 트리에틸아민(0.44 g)을 디클로로메탄(25 mL)에 용해시키고 0 ℃, 질소분위기 하에서 아세틸 클로라이드(0.57 g)를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으로 천천히 올린 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25 mL)를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에서 미처 생성되지 못했던 고체들을 생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거한 후, 디에틸 에테르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여 액상의 결과물을 얻었다. 합성물의 아세틸기는 Bruker 300 MHz NMR을 통하여 4.2 ppm 부근의 피크로 확인하였다.
[제조예 2]
(말단이 아세틸로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4d-Ac 합성)
F-144d(average n=20, 평균 분자량 = 2260, 2.50 g)와 트리에틸아민(0.27 g)을 디클로로메탄(25 mL)에 용해시키고 0 ℃, 질소분위기 하에서 아세틸 클로라이드(0.57 g)를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으로 천천히 올린 후,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25 mL)를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에서 미처 생성되지 못했던 고체들을 생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거한 후, 디에틸 에테르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여 액상의 결과물을 얻었다.
[제조예 3]
(말단이 메틸기로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2d-Me 합성)
F-142d(average n=10, 평균 분자량 = 1379, 2.5 g) 1,4-디옥산(5 mL) 용액에 65 ℃ 배쓰(bath)에서 교반하면서 수산화 칼륨 분말(85 %, 0.72 g)을 천천히 가하였다. 디메틸 설페이트(0.35 mL)를 5분에 3 방울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65 ℃ 배쓰(bath)에서 3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25 mL)과 물(25 mL)을 사용하여 층분리하고 유기층을 취하여 무수 MgSO4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액상의 결과물을 얻었다. 합성물의 메틸기는 Bruker 300 MHz NMR을 통하여 3.38 ppm부근의 피크(peak)로 확인하였다.
[제조예 4]
(말단이 메틸기로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4d-Me 합성)
F-144d(average n=20, 평균 분자량 = 2260, 2.5 g) 1,4-디옥산(5 mL) 용액에 65 ℃ 배쓰(bath)에서 교반하면서 수산화 칼륨 분말(85%, 0.44 g)을 천천히 가하였다. 디메틸 설페이트(0.21 mL)를 5분에 3 방울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65 ℃ 배쓰(bath)에서 3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25 mL)과 물(25 mL)을 사용하여 층분리하고 유기층을 취하여 무수 MgSO4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액상의 결과물을 얻었다.
[제조예 5]
(말단이 벤조일기로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2d-Bz 합성)
F-142d(average n=10, 평균 분자량 = 1379, 2.5 g)와 트리에틸아민(0.44 g)을 디클로로메탄(25 mL)에 용해시키고 0 ℃, 질소분위기 하에서 벤조일 클로라이드(0.84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으로 천천히 올린 후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25 mL)를 가하고 트리에틸아민(0.44 g)을 추가로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에서 미처 생성되지 못했던 고체들과 벤조일 클로라이드ㆍ트리메틸아민 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고, 디에틸 에테르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액상의 결과물을 얻었다. 합성물의 벤조일기는 Bruker 300 MHz NMR을 통하여 7.46,7.57, 8.08 ppm 부근의 피크로 확인하였다.
[제조예 6]
(말단이 벤조일기로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4d-Bz 합성)
F-144d(average n=20, 평균 분자량 = 2260, 2.5 g)와 트리에틸아민(0.27 g)을 디클로로메탄(25 mL)에 용해시키고 0 ℃, 질소분위기 하에서 벤조일 클로라이드(0.51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으로 천천히 올린 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증류 하였다. 디에틸 에테르(25 mL)를 가하고 트리에틸아민(0.44 g)을 추가로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에서 미처 생성되지 못했던 고체들과 벤조일 클로라이드ㆍ트리메틸아민 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고, 디에틸 에테르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액상의 결과물을 얻었다.
[제조예 7 ∼ 12]
(전해액 제조)
글로브 박스안에서 Mitsubishi Chem.사에서 구입한 F-EC 와 F-EMC 를 사용하여 EC : EMC = 1 : 1 의 조성을 가지는 1M LiPF6용액에 상기 제조예 1 ∼ 6에서 제조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0.1 중량% 첨가하여 제조예 1 ∼ 6의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 18]
(전해액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각각 0.01 중량%로 첨가하여 제조예 7 ∼ 12의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전해액 제조)
글로브 박스안에서 Mitsubishi Chem.사에서 구입한 F-EC 와 F-EMC 를 사용하여 EC : EMC = 1 : 1 의 조성을 가지는 1M LiPF6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12]
(리튬 이온 전지 제조)
부극은 탄소 활물질(오사카 가스의 MCMB-10-28 제품) 93 %,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PVDF, Elf Atochem 사의 Kynar 761 제품) 7 %의 조성으로 N-메틸-2-피롤리디논(NMP)을 용매로 사용하여 믹서(Ika 사)에서 2시간 동안 섞어준 후 구리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 ℃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정극은 LiCoO291 %, PVDF(Kynar 761) 3 %, 및 도전성 탄소(Lonza 사의 KS-6) 6 %의 조성으로 N-메틸-2-피롤리디논(NMP)을 사용하여 믹서(Ika 사)에서 2시간 동안 섞어준 후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 ℃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부극과 정극, 그리고 분리막으로 celgard 2400(Hoechst Celanese 사)을 사용하여 부극과 정극 사이에 분리막을 두고 코인 타입의 전지를 조립하고, 상기 제조예 7 ∼ 18에서 제조한 전해액을 주입하여 각각 실시예 1 ∼ 12의 리튬 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 전지를 4.2 V까지 충전하고 3 V까지 방전하여 충 방전 실험을 하였고, 이 충 방전 실험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리튬 이온 전지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되, 전해액으로 비교제조예 1을 주입하여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충방전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계면활성제 (중량%) 전지 초기용량 (mAh) 초기 방전 효율
비교예 1 - 3.75 87.62
실시예 1 142d-Ac 0.1 3.81 89.81
실시예 2 144d-Ac 0.1 3.80 89.38
실시예 3 142d-Me 0.1 3.82 88.25
실시예 4 144d-Me 0.1 3.84 88.96
실시예 5 142d-Bz 0.1 3.83 88.75
실시예 6 144d-Bz 0.1 3.82 88.75
실시예 7 142d-Ac 0.01 3.80 88.97
실시예 8 144d-Ac 0.01 3.78 89.62
실시예 9 142d-Me 0.01 3.89 89.14
실시예 10 144d-Me 0.01 3.78 86.61
실시예 11 142d-Bz 0.01 3.72 87.35
실시예 12 144d-Bz 0.01 3.79 88.59
[실험예 1]
(임피던스 특성)
상기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작한 전지를 4.2 V까지 충전한 후 3.0 V까지 방전을 2회 반복하고 다시 4.2 V까지 충전한 전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임피던스는 EG G PRINCETON APPLIED RESEARCH사의Potentiostat/Galvanostat Model 273A와 Solatron instruments사의 SI 1260 Impedance/Gain-phase 분석기를 사용하여 1M부터 1m Hz까지 스캔하면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9]
(말단이 아세테이트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 F-142P-Ac 합성)
상기 제조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DIANIPPON INK CHEMICALS사에서 구입한 MEGAFAC F-142P(n=10)를 사용하여 142d-Ac보다 고순도의 아세테이트로 치환된 불소계 에틸렌 옥사이드 수지 계면활성제를 얻었다.
[제조예 20]
(전해액 제조)
글로브 박스안에서 Mitsubishi Chem.사에서 구입한 F-EC 와 F-EMC 를 사용하여 EC : EMC = 1 : 1 의 조성을 가지는 1M LiPF6용액에 상기 제조예 19에서 합성한 계면활성제를 0.1 중량%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전해액 제조)
글로브 박스안에서 Mitsubishi Chem.사에서 구입한 F-EC 와 F-EMC 를 사용하여 EC : EMC = 1 : 1 의 조성을 가지는 1M LiPF6용액에 상기 제조 19에서 합성한 계면활성제를 0.01 중량%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 14]
(리튬 이온 전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20 및 21에서 제조한 전해액으로 각각 실시예 13 ∼ 14의 리튬 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전지 성능테스트)
상기 실시예 1 ∼ 1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3 ∼ 14에서 제조한 전지의 용량 및 초기방전 효율 및 임피던스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 분 계면활성제 (중량%) 전지 초기용량 (mAh) 초기 방전 효율
비교예 1 - - 3.75 87.62
실시예 13 142P-Ac 0.1 3.80 88.31
실시예 14 144P-Ac 0.01 3.79 88.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리튬 이온 전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 옥사이드 말단기가 다양한 관능기로 치환된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전극과의 계면 성질을 개선하고 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Claims (7)

  1. 전해액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이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로 치환되고, 평균분자량이 1379 내지 2260인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이고, 두개의 R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며;
    각각의 m과 n은 2 내지 20의 정수이다.
  2.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
    a) 부극 활물질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c) 다공성의 분리막; 및
    d) ⅰ) 리튬 염;
    ⅱ) 전해액 화합물; 및
    ⅲ) 전해액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이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로 치환되고, 평균분자량이 1379 내지 2260인 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아세틸기, 메틸기, 또는 벤조일기이고, 두개의 R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며;
    각각의 m과 n은 2 내지 20의 정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흑연화 탄소는 엑스선 회절법으로 측정된 탄소질 재료의 결정면 거리 상수 d002 값이 0.338 나노미터 이하이며, BET 법으로 측정되는 비 표면적이 10 ㎡/g 이하인 리튬 이온 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LiCoO2, LiNiO2, LiMn2O4, 및 LiNi1-XCoXO2(여기에서, 0<X<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이온 전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ⅰ)의 리튬염이 LiClO4, LiCF3SO3, LiPF6, LiBF4, LiAsF6, 및LiN(CF3SO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이온 전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ⅱ)의 전해액 화합물이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비닐렌 카보네이트(Vin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감마부티로락톤(GBL), 설포레인(Sulfolane), 메틸 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및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Methyl 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리튬 이온 전지.
  7. 삭제
KR10-2001-0025312A 2001-05-09 2001-05-09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KR10044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12A KR100446659B1 (ko) 2001-05-09 2001-05-09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PCT/KR2002/000853 WO2002091497A2 (en) 2001-05-09 2002-05-08 Electrolyte comprising non-ionic surfactant and lithium ion battery using the same
US10/380,141 US6960410B2 (en) 2001-05-09 2002-05-08 Electrolyte comprising non-ionic surfactant and lithium ion battery using the same
EP02769232A EP1559149B1 (en) 2001-05-09 2002-05-08 Electrolyte comprising non-ionic surfactant and lithium ion battery using the same
CNB028015703A CN1227760C (zh) 2001-05-09 2002-05-08 包括非离子表面活性剂的电解质和使用该电解质的锂离子电池
JP2002588652A JP4149815B2 (ja) 2001-05-09 2002-05-08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含有電解液と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イオン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12A KR100446659B1 (ko) 2001-05-09 2001-05-09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76A KR20020085676A (ko) 2002-11-16
KR100446659B1 true KR100446659B1 (ko) 2004-09-04

Family

ID=197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312A KR100446659B1 (ko) 2001-05-09 2001-05-09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60410B2 (ko)
EP (1) EP1559149B1 (ko)
JP (1) JP4149815B2 (ko)
KR (1) KR100446659B1 (ko)
CN (1) CN1227760C (ko)
WO (1) WO200209149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8250B2 (en) 2010-08-20 2015-11-03 Leclanche' Sa Electrolyte for a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240B1 (ko) * 2005-02-18 2008-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803192B1 (ko) * 2005-07-20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892048B1 (ko) * 2006-09-18 2009-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20090029800A1 (en) * 2007-07-25 2009-01-29 Jones David D Golf Club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258341B2 (en) 2009-07-10 2012-09-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fluorosulfonamido amine and intermediate
DE102009058606A1 (de) 2009-12-17 2011-06-22 Li-Tec Battery GmbH, 01917 Lithium-Ionen-Batterie
US8779196B2 (en) * 2010-03-25 2014-07-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fluoroalkylsulfonamido alkyl halide intermediate
US9168408B2 (en) * 2010-03-25 2015-10-27 The Chemours Company Fc, Llc Surfactant composition from polyfluoroalkylsulfonamido alkyl amines
US8729138B2 (en) * 2010-03-25 2014-05-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xture of polyfluoroalkylsulfonamido alkyl amines
GB2482914A (en) * 2010-08-20 2012-02-22 Leclanche Sa Lithium Cell Electrolyte
US10128491B2 (en) 2011-12-01 2018-11-13 Nanoscale Components, Inc. Method for alkaliating electrodes
CA2857491C (en) * 2011-12-01 2022-01-04 Robert W. Grant Method for alkaliating anodes
JP6444316B2 (ja) * 2013-01-29 2018-12-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界面活性剤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CN104956522A (zh) 2013-01-30 2015-09-30 那诺思卡乐康母庞特公司 分阶段将锂导入锂离子电化学电池的预锂化阳极
US10347934B2 (en) 2014-09-26 2019-07-09 Ut-Battelle, Llc Shear activated impact resistant electrolyte
WO2018033200A1 (en) * 2016-08-16 2018-02-22 Toyota Motor Europe Fluorinated ionic liquids with high oxygen solubility for metal-air batteries
CA3068471A1 (en) 2017-07-10 2019-01-17 Nanoscale Components, Inc. Method for forming an sei layer on an anode
KR102271678B1 (ko) * 2017-08-11 2021-07-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347945B2 (en) 2017-12-08 2019-07-09 Ut-Battelle, Llc Stabilized shear thickening electrolyte
US10637100B2 (en) 2018-04-20 2020-04-28 Ut-Battelle, Llc Fabrication of films and coatings used to activate shear thickening, impact resistant electrolyt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28A (en) * 1977-05-09 1978-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ndrite-inhibiting electrolytic solution and rechargeable aqueous zinc-halogen cell containing the solution
US5126017A (en) * 1990-08-31 1992-06-30 Toho Rayon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film by electrolytic polymerization
JPH06151249A (ja) * 1992-11-09 1994-05-31 Nitto Denko Corp コンデンサ用セパレー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JPH06196200A (ja) * 1992-12-24 1994-07-15 Toyo Riken Kk 鉛蓄電池の機能回復方法及び機能回復液
JPH08222233A (ja) * 1995-02-15 1996-08-30 Toshiba Battery Co Ltd ボタン形アルカリ電池
JP2000173651A (ja) * 1998-12-09 2000-06-23 Tomiyama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
JP2000306603A (ja) * 1999-04-21 2000-11-02 Mitsubishi Chemicals Corp スルホン酸アミド塩を有する界面活性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7251T3 (de) * 1990-10-25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Nichtwässrige elektrochemische Sekundärbatterie
US5521027A (en) * 1990-10-25 1996-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secondary electrochemical battery
JPH087923A (ja) * 1994-06-22 1996-01-12 Tokin Corp リチウム2次電池用電解液
JPH08306386A (ja) 1995-05-02 1996-11-22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815087B2 (ja) * 1998-10-26 2006-08-30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135300B2 (ja) 1999-07-15 2008-08-20 三菱化学株式会社 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0464A (ja) * 1999-08-20 2001-03-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2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2次電池
ITMI20010008A1 (it) * 2001-01-03 2002-07-03 Ausimont Spa Additivi per fluoropolieterei per applicazioni elettromagnetich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28A (en) * 1977-05-09 1978-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ndrite-inhibiting electrolytic solution and rechargeable aqueous zinc-halogen cell containing the solution
US5126017A (en) * 1990-08-31 1992-06-30 Toho Rayon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film by electrolytic polymerization
JPH06151249A (ja) * 1992-11-09 1994-05-31 Nitto Denko Corp コンデンサ用セパレー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JPH06196200A (ja) * 1992-12-24 1994-07-15 Toyo Riken Kk 鉛蓄電池の機能回復方法及び機能回復液
JPH08222233A (ja) * 1995-02-15 1996-08-30 Toshiba Battery Co Ltd ボタン形アルカリ電池
JP2000173651A (ja) * 1998-12-09 2000-06-23 Tomiyama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
JP2000306603A (ja) * 1999-04-21 2000-11-02 Mitsubishi Chemicals Corp スルホン酸アミド塩を有する界面活性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8250B2 (en) 2010-08-20 2015-11-03 Leclanche' Sa Electrolyte for a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5495A (ja) 2004-08-19
US20030170547A1 (en) 2003-09-11
WO2002091497A3 (en) 2005-06-09
CN1503995A (zh) 2004-06-09
EP1559149A2 (en) 2005-08-03
KR20020085676A (ko) 2002-11-16
WO2002091497A2 (en) 2002-11-14
JP4149815B2 (ja) 2008-09-17
CN1227760C (zh) 2005-11-16
US6960410B2 (en) 2005-11-01
EP1559149B1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659B1 (k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CN107431197B (zh) 非水电解质及包含该非水电解质的锂二次电池
EP3771013B1 (en) Electrolyte for power storage devices and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US20220029200A1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01003894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190092149A (ko)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1052485A (zh) 用于锂二次电池的非水性电解液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KR20100041028A (ko)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9054417A1 (ja) 非水電解液用添加剤、非水電解液電池用電解液、及び非水電解液電池
KR100371403B1 (ko) 새로운 전해액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US785824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 using the same
JP4304570B2 (ja)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20210023000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20092812A (ko) 비수계 전해액의 산 또는 수분 저감제, 이를 함유하는 비수계 전해액, 비수계 전해액을 구비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비수계 전해액의 산 또는 수분을 저감시키는 방법
CN116325270A (zh) 锂二次电池用的非水电解液及包含该非水电解液的锂二次电池
KR20200076230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63356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100371399B1 (ko) 새로운 전해액 첨가제와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2481209B1 (ko)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740822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993391B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0417084B1 (ko) 새로운 전해액 첨가제와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
KR100458603B1 (ko) 새로운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 전지
EP4329037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30091026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