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817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817B1
KR100443817B1 KR10-2002-0001632A KR20020001632A KR100443817B1 KR 100443817 B1 KR100443817 B1 KR 100443817B1 KR 20020001632 A KR20020001632 A KR 20020001632A KR 100443817 B1 KR100443817 B1 KR 10044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tank
air trap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930A (ko
Inventor
사이토다츠야
사사노기요미
히라노다카유키
니시와키사토루
아사누마가츠히코
시마카게가츠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492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90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4873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377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6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8)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10)와, 상기 수조에 급수하는 급수수단(53)과, 상기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량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37, 46, 4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TYPE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수조의 내부에 드럼형의 회전조를 회전가능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세탁행정시에 발생하는 거품이 비교적 적은 저발포 타입(low foaming type)의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서이다. 즉,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회전조를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조 내의 세탁물을 위에서 떨어뜨려 세정한다(두드려 세탁). 이 때 회전조 내에 매우 많은 거품이 발생하면, 세탁물의 낙하충격이 약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세정효과가 저하된다.
또, 세탁 행정시에 대량의 거품이 발생하면, 탈수행정시에 회전조와 수조와의 사이에 대량의 거품이 들어오기 때문에 회전조의 회전이 저해된다. 그러면, 회전조의 회전속도가 올라가지 않아 세탁물을 충분히 탈수할 수 없게 되거나, 회전조의 회전이 도중에 정지되어 버린다.
그런데, 저발포세제에 비해 비저발포 세제, 소위 일반 합성세제는 일반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또 종류가 많고 저렴하다. 이 때문에, 일반 합성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회전조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또 충분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드럼식 세탁기의 정면도,
도 3은 조작패널(operation panel)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외부 케이스의 상판을 벗겨낸 상태에서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평면도,
도 5는 외부 케이스의 후근부(後根部)를 벗겨낸 상태에서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배면도,
도 6은 열교환기 내 에어 트랩 주변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도 6 중 7-7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압력센서의 출력주파수와 에어 트랩 내의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표준코스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flow-chart),
도 11은 세탁 행정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세탁 행정시의 급수밸브 및 회전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타임 차트(time diagram),
도 13은 세탁 행정의 급수동작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4는 세탁 행정의 교반동작시에 있어서 압력센서의 출력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어록킹 장치의 해제동작이 불가능하다는 에러 코드(error code)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헹굼 행정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헹굼행정의 최종배수동작의 플로우 차트,
도 18은 에어 트랩과 덕트의 접속구에 린트(lint)가 막힌 상태에서 에어 트랩 내에 급수된 때의 에어 트랩 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에어 트랩과 덕트의 접속구에 린트가 막혀 있는 상태에서 에어 트랩 내에 급수된 때의 압력센서의 출력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헹굼 행정의 급수동작에 있어서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세탁 행정에 있어서 급수밸브(42), 가열요소(18), 회전조의 구동타이밍(drive timing)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거품의 발생과잉으로 인해 회전을 중지한다는 에러 코드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 5 상당도,
도 24는 도 4 상당도,
도 25는 도 6 상당도,
도 26은 도 25 중, 26-26선을 따른 단면도,
도 27은 덕트로의 급수량과 에어 트랩으로의 급수량의 비와, 열교환기의 제습성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 7 상당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도 7 상당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도 7 상당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도 7 상당도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도 7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부 케이스 2: 문
3: 조작패널 5: 출입구
6: 조작회로유닛 7: 제어회로유닛
8: 수조 10: 회전조
21: 송풍장치 22: 가열장치
33: 건조장치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조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와, 상기 수조에 급수하는 급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정동작시에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지하여 발포과잉상태의 발생을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어 그 발포과잉상태에 대해 적절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저발포 세제 및 비저발포 세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품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거품의 발생량이 과잉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과잉이라고 판정된 때에 상기 회전조 내의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거품억제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조 내의 거품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에 의해 회전조의 회전이 방해받는 일이 없어진다.
또, 드럼식 세탁기(drum-type laundry machine)가 외부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과, 상기 문의 폐쇄상태를 록킹(locking)하는 록킹수단(locking member)과, 세탁운전의 일시정지를 지시하는 일시정지 지시수단과, 상기 일시정지 지시수단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록킹수단을 언록킹동작(unlocking)시키는 록킹제어수단(locking controller)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과잉이라고 판정된 때에 상기 일시정지 지시수단이 조작된 때는 상기 록킹제어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에 언록킹동작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조 내에 대량으로 발생한 거품이 세탁물 출입구에서 넘쳐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드럼식 세탁기가 상기 수조 내와 연통하는 덕트(duct)를 구비한 열교환기를 갖고 상기 회전조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거품검지수단은 상기 덕트와 연통하는 에어 트랩(air trap)과, 상기 에어 트랩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드럼식 세탁건조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대략 장방형 케이스형상을 이룬 외부 케이스(1)의 전면에는 원형상의 세탁물 출입구(5)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출입구(5)를 개폐하는 문(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전면 상부에는 조작패널(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외부 케이스(1) 내 조작패널(3)의 후부에는 조작회로 유닛(operation circuit unit)(6)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외부 케이스(1) 내의 당해 외부 케이스(1)의 전면 하부의 후부에는 제어회로 유닛(control circuit unit)(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는 드럼형상을 이룬 수조(8)가 뒤로 내려가게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8)는 전후좌우 4개의 서스펜션(suspension)(9)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수조(8)의 전면에는 원형상의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3)는 탄성부재 예를 들면 고무(rubber)제의 벨로우즈(bellows)(15)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출입구(5)와 수밀(水密)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조(8)의 내부에는 드럼형상을 이룬 회전조(1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10)는 그 축방향이 상기 수조(8)의 축방향과 일치하도록, 즉 뒤로 내려가게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10)는 탈수조, 세탁조, 건조조로서 기능한다.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에는 원형상의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조(10)의 둘레벽부 및 후단판에는 통수구멍 및 통기구멍으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구멍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조(10)의 둘레벽부의 내면에는 복수의 배플(baffle)(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8)의 후단판의 대략 중앙부에는 회전조(10)를 회전구동하는 아우터로터형의 모터(outer-rotor motor)(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16)는 스테이터(stator)(16a)와 로터(rotor)(16b)와 회전축(16e)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8)의 후단판의 대략 중앙부에는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유지부(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유지부의 외부둘레부에 상기 스테이터(16a)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16c)는 상기 베어링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회전조(16c)의 전단부는 상기 수조(8)의 후단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조(10)의 후단판의 대략 중앙부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조(10)는 상기 모터(16)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구동된다.
상기 수조(8)의 둘레벽부의 최하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수류부(水溜部)(17)가 상기 둘레벽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류부(17) 내에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요소(18)가 수용되어 있다. 또,상기 수류부(17)의 바닥부의 후단부에는 배수구(1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7a)에는 배수수단인 배수밸브(19) 및 배수호스(drain pipe)(20)가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8)의 후부, 상부 및 전부의 상부에 관련된 부분에는 건조수단인 건조장치(3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조(8)의 상부에는 가열장치(22) 및 송풍장치(21)가 전후에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장치(21)는 케이싱(casing)(23)과, 케이싱(23) 내에 수용된 송풍팬(24)과, 상기 케이싱(23)의 외부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24)을 회전구동하는 모터(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25)와 송풍팬(24) 사이는 벨트 전달기구(transmission belt)(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열장치(22)는 케이스(case)(27)와, 이 케이스(27)의 내부에 수용된 가열요소(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7)의 후단부는 상기 송풍장치(21)의 케이싱(23)의 토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가열장치(22)의 케이스(27)의 전단부에는 덕트(2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덕트(29)의 타단부는 수조(8)의 둘레벽부의 상부의 전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조(8)의 후부에는 열교환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30)는 수조(8)의 후단판의 도 5 중, 좌측부에 설치된 덕트(30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30a)는 상기 수조(8)의 후단판의 외부둘레를 따르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수조(8)의 후단판 중 상기 덕트(30a)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출구(水出口)를 겸용하는 흡기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덕트(30a)의 상부에는 덕트형상의 배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덕트(30a)는 배기구(32)를 사이에 두고 송풍장치(21)의 케이싱(23)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덕트(30a) 내의 상부에는 좌우로 뻗는 주수관(34)이 걸쳐져 있다. 주수관(34)의 하부에는 다수의 분수구(噴水口)(3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수관(34)의 도 5 중 우측단부는 덕트(30a)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부분에는 접속부(3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34a)는 주수튜브(water filling tube)(35)를 통해 급수장치(53)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장치(53)는 제습용 급수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주수튜브(35) 및 주수관(water filling pipe)(34)는 제습용 급수로로서 기능한다. 또, 상기 주수튜브(35)는 제습용 급수튜브(water supply tube)로서 기능한다. 상기 급수장치(5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열교환기(30)는 덕트(30a) 내의 공기를 분수구(34a)를 통해 급수장치(53)에서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시켜 냉각하고 제습하는 수냉식의 것이다.
상기 송풍장치(21), 상기 가열장치(22), 상기 열교환기(30)에서 상기 건조장치(33)가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8)의 후단판의 하부에는 온도센서(67)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67)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thermistor)로 이루어지고, 수조(8) 내의 수온 및 공기온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외부 케이스(1) 내의 상부의 후부에는 압력센서(47) 및 수위센서(water level sensor)(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센서(49)는 에어 튜브(air tube)(5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에어 트랩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위센서(49)는 에어 트랩 내의 압력을 통해 수조(8)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47)는 에어 튜브(46)를 통해 에어 트랩(3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압력센서(47)는 상기 에어 트랩(37)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것으로, 수위센서(49)의 10배 정도 감도가 높아 수백 Pa정도의 미소한 압력을 검지가능한 것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에어 트랩(37)은 상기 덕트(30a)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트랩(37)은 3개의 부착부(41)를 갖고 있고, 상기 덕트(30a)의 후면부에는 상기 부착부(41)에 대응하는 돌기부(boss)(43)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트랩(37)은 부착부(41) 및 돌기부(43)에 삽입통과되는 나사(45)에 의해 덕트(30a)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 트랩(37)은 전부, 상부, 측부에 각각 돌출하는 접속구(38, 39, 40)를 갖고 있다. 상기 덕트(30a)의 후면부 중 에어 트랩(37)의 부착부분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관형상의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2)에는 시일부재(sealing member)로서의 O링(O-ring)(44)을 통해 접속구(38)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 트랩(37)과 덕트(30a)가 기밀, 또한 수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접속구(38)의 선단부는 덕트(30a)의 내면과 같은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구(39)에는 상기 에어 튜브(46)를 통해 상기 압력센서(47)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구(40)에는 주수튜브(51)를 통해 상기 급수장치(53)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장치(53)는 에어 트랩용 급수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주수튜브(51)는 에어 트랩용 급수로로서 기능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조(8) 내에 세제 및 물이 공급되어 회전조(10) 내에 거품이 발생하면, 그 거품의 일부는 구멍부(11)나 개구부(14)에서 수조(8) 내에 들어가 흡기구(31)를 통해 덕트(30a)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거품의 발생량이 많은 경우는 덕트(30a) 내에 진입한 거품은 다시 접속구(38)를 통해 에어 트랩(37) 내에 진입하고, 이 결과 에어 트랩(37) 내의 압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 트랩(37), 에어 튜브(46), 압력센서(47)에서 거품검지수단인 거품검지장치(48)가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47)는 압력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도 9에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와 에어 트랩(37) 내의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 도 1 및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1) 내의 상부 좌후부에는 목욕물 급수용의 흡수펌프(water-intake pump)(57)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펌프(57)는 마중물(priming) 공급구(58), 흡수구(59), 토출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수구(59)에는 욕조로부터 목욕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흡수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 내의 상부 좌측전방부에는 주수 케이스(water filling case)(61)가 배치되어 있다. 주수 케이스(61)는 그 하부에 접속된 급수관(62)을 통해 수조(8)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수펌프(57)의 토출구(60) 및 마중물 공급구(58)는 각각 호스(63, 64)를 통해 상기 주수케이스(6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주수 케이스(61)의 내부에는 세제케이스(4)(도 2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세제 케이스(detergentcase)(4)는 세제의 저류부(貯溜部), 유연제의 저류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또, 외부 케이스(1) 내의 상부 중 상기 흡수펌프(57)의 우측부에는 상기 급수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흡수펌프(57) 및 급수장치(53)는 급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급수장치(53)는 1개의 입수구(56)와 4개의 출수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각 출수구에는 각각 급수밸브(36, 52, 54, 5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입수구(56)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해 수도꼭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36)에는 상기 주수튜브(3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52)에는 상기 주수튜브(5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54, 55)는 각각 호스(65, 66)를 통해 주수케이스(61)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호스(63)를 통해 주수케이스(61) 내에 공급되는 목욕물 및 호스(65)를 통해 주수케이스(61) 내에 공급되는 수도물은 모두 세제케이스(4)의 세제용 저류부를 통과한 후, 수조(8) 내에 공급된다. 한편, 호스(66)를 통해 주수케이스(61) 내에 공급되는 수도물은 세제케이스(4)의 유연제용 저류부를 통과한 후, 수조(8) 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조작패널(3)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조작패널(3)에는 전원 스위치(power switch)(68), 일시정지 스위치(pause switch)를 겸용하는 시작 스위치(start switch)(69), 「코스」스위치("course" selector)(72), 「온수」모드 스위치("hot water" mode switch)(73), 「세제」스위치("detergent" input switch)(75)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작 스위치(69)는 일시정지 지시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코스」스위치(72)는 세탁운전, 건조운전의 각종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온수」모드 스위치(73)는 온수로 세정동작을 실행하는 「온수」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세정동작을 실행하는 「세제」스위치(75)는 세정동작시에 사용되는 세제의 종류를 일반합성세제(비저발포 세제에 상당)와 저발포세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반합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정동작을 실행하는 모드(mode)를 「일반합성세제」모드(common synthetic detergent), 저발포세제를 사용하여 세정동작을 실행하는 모드를 「저발포세제」모드("low foaming detergent" mode)로 칭한다.
또, 상기 조작패널(3)에는 「코스」표시부(77), 「세제모드」표시부(83), 세제량 표시부(81) 등의 각종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코스」표시부(77)에는 「코스」스위치(72)로 설정된 세탁코스가 표시된다. 「세제모드」표시부(83)는 1개의 LED로 이루어지고, 「세제」스위치(75)로 「일반합성세제」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LED가 점등된다. 세제량 표시부(81)에는 회전조(10) 내에 투입된 세탁물량에 따른 세제량이 표시된다. 또, 세제량 표시부(81)는 세제량 이외에 세탁운전의 나머지 시간이나 에러발생시에 그 에러 내용을 나타내는 에러 코드 등도 표시되게 되어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세탁건조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blocking diagram)이다. 제어수단인 제어회로(9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를 주체로 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세탁건조운전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control program)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92)에는 입력조작회로(93)에서의 조작신호, 상기 수위센서(49), 회전센서(rotation sensor)(94), 오염센서(soil sensor)(95), 건조센서(dryness sensor)(96), 상기 압력센서(47), 상기 온도센서(67)에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상기 입력조작회로(93)는 상기 조작패널(3)의 전원 스위치(68)를 제외한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한 조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회전센서(94)는 상기 모터(16)의 회전위치에 따른 회전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오염센서(95)는 예를 들면 수조(8) 내의 세탁수의 투과도를 검출하는 광센서(photo sensor)로 구성되어 있고, 세탁수의 오염정도에 따른 검지신호를 출력한다. 건조센서(96)는 세탁물의 건조상태(건조율)에 따른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열교환기(30)의 덕트(30a)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 및 수조(8)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어회로(92)에는 인버터 회로(inverter)(97)를 통해 모터(16)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회로(101)를 통해 부저(buzzer)(98), 표시회로(99), 상기 가열요소(18), 배수밸브(19), 모터(25), 가열요소(28), 흡수펌프(57), 급수밸브(36, 52, 54, 55), 도어록킹장치(10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표시회로(99)는 상기 조작패널(3)의 표시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도어록킹장치(100)는 상기 문(2)의 폐쇄상태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전자석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회로(92) 및 모터(16)는 회전구동수단을 구성한다. 또, 제어회로(92)는 판정수단, 거품억제수단, 헹굼동작 실행수단, 록킹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세탁건조 코스 중 표준코스가 실행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코스에서 제어회로(92)는 시작 스위치(69)의 조작에 기초하여 초기 설정(스텝(S1)), 수조(8) 내의 수위설정(스텝(S2))을 실행한 후, 세탁행정(스텝(S3)), 제 1 탈수행정(스텝(S4)), 헹굼행정(스텝(S5)), 제 2 탈수행정(스텝(S6)), 건조행정(스텝(S7))을 차례로 실행한다.
초기 설정에서는 제어회로(92)에 내장된 RAM에 대해 헹굼행정에 있어서 교반동작 및 배수동작의 실행회수(N), 플랙(flag)(F)에 「0」이 입력된다. 플랙(F)은 도어록킹장치의 해제동작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도어록킹장치의 해제동작이 가능한 경우는 플랙(F)은 「0」으로 세팅되고, 해제동작이 불가능한 경우는 플랙(F)은 「1」로 세팅된다. 또,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수조(8) 내의 수위는 회전조(10) 내의 세탁물량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회전조(10) 내의 세탁물량은 예를 들면 모터(16)에 소정의 입력전류를 공급하여 구동한 때의 모터(16)의 회전수, 즉 회전조(10)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검지된다.
도 11은 세탁행정에 있어서 실행되는 각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12는 세탁행정의 각 처리에 있어서 급수밸브(54) 및 회전조(10)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세탁행정 중 급수동작시에 실행되는 각 처리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행정에서는 우선 최초로 급수동작이 실행된다(스텝(S31)). 이 급수동작은 급수밸브(54)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스텝(S311)). 이 결과, 수도물이 호스(65), 주수케이스(61)를 통해 세제와 함께 수조(8) 내에 공급된다.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를 판독하고, 임계값(x kHz)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12)). 임계값(x)은 회전조(10) 내의 거품의 발생상태와 압력센서(47)의 출력에 기초하여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것이다.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x) 이하인 상태는 거품발생량이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발포과잉상태는 예를 들면 「저발포세제」모드로 설정하면서 일반합성세제를 사용한 경우, 세제량을 잘못하게 될 경우 등에 생긴다.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x) 보다도 큰 경우(아니오), 즉 거품의 발생상태가 과잉이 아닌 경우는 제어회로(92)는 스텝(S313)으로 이행하여 수위센서(49)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조(8) 내의 수위가 예비교반동작의 개시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개시수위에 도달한 경우에는(예), 스텝(S314)으로 이행하여 예비교반동작을 개시한다. 예비교반동작은 회전조(10)를 간헐적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수도물과 세제를 혼합시키는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6)를 50rpm의 회전속도로 정회전방향으로 5초간 구동, 2초간 정지, 50rpm의 회전속도로 역회전방향으로 5초간 구동, 2초간 정지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스텝(S315)에서 수조(8)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에는(예), 예비교반동작을 종료하는 동시에 급수밸브(54)를 폐쇄하여 급수동작을 종료한다(스텝(S316, S317)).또, 설정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312)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해 스텝(S312)에서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x) 이하인 경우에는(예), 스텝(S316)으로 이행하여 예비교반동작을 종료하는 동시에 급수밸브(54)를 폐쇄하고 급수동작을 종료한다.
급수동작이 종료하면, 제어회로(92)는 도어록킹장치를 동작시켜 문(2)의 폐쇄상태를 록킹한다(스텝(S32)). 이어서, 제어회로(92)는 회전조(10)를 정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한다(교반동작).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6)를 60rpm의 회전속도로 정회전방향으로 20초간 구동, 2초간 정지, 역회전방향으로 20초간 구동, 2초간 정지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z)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4)).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임계값(z) 이하인 상태는 문(2)을 개방한 때에 출입구(5)에서 거품이 넘쳐나오는 상태를 나타낸다. 임계값(z)은 상기 임계값(x)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z)보다도 큰 경우(아니오)는 문(2)을 개방해도 출입구(5)에서 거품이 넘쳐나올 우려가 없기 때문에, 도어록킹장치(100)의 해제동작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플랙(F)을 「0」으로 세팅한다(스텝(S35)). 한편,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z) 이하인 경우(예)에는 문(2)을 개방한 때에 출입구(5)에서 거품이 넘쳐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어록킹장치(100)의 해제동작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플랙(F)을 「1」로 세팅한다(스텝(S36)).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x) 이하인지의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7)). 그리고,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x)보다도 큰 경우(아니오)에는 스텝(S39)으로 이행한다. 또,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x)보다도 작은 경우(아니오)에는 배수밸브(19)를 소정 시간 개방하여 수조(8) 내의 물을 일부 배출한(스텝(S38)) 후, 스텝(S39)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거품의 높이 위치가 낮아져 수조(8) 내에 거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세정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4에 교반동작을 개시하고나서의 경과시간과 압력센서(47)의 출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거품의 발생량이 많은 상태, 보통인 상태, 적은 상태를 각각 곡선(D1, D2, D3)으로 나타내고 있다. 교반동작에 따라 회전조(10) 내에 거품이 서서히 발생한다. 거품의 발생량이 많은 상태에서는 교반동작의 개시후의 비교적 조기에 덕트(30a) 내의 개구부(42)(접속구(38)) 부근에 거품이 도달하여 에어 트랩(37) 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 이에 따라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저하되기 시작한다. 이것에 대해 거품의 발생량이 보통인 상태에서는 교반동작의 개시후, 잠시 지난 시점부터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저하되기 시작한다. 또, 거품의 발생량이 적은 상태에서는 교반동작이 실행되도 덕트(30a) 내의 개구부(42) 부근에 거품이 거의 도달하지 않고, 따라서 압력센서(47)의 출력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또, 스텝(S39)에서는 제어회로(92)는 시작 스위치(69)가 조작되어 일시정지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다. 여기에서 시작 스위치(69)가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교반동작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40)), 경과하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다시 스텝(S34)으로 이행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교반동작시간이 경과한 경우(예)에는 모터(16)의 구동을 정지하여 교반동작을 종료한(스텝(S41)) 후, 배수밸브(19)를 개방하여 수조(8) 내의 물을 전부 배출한다(스텝(S42)).
이에 대해 시작 스위치(69)가 조작된 경우에는(스텝(S39)에서 예), 제어회로(92)는 모터(16)의 구동을 정지하여 교반동작을 일시 정지한다(스텝(S43)). 이어서, 스텝(S44)에서 플랙(F)이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플랙(F)이 「0」인 경우(아니오)에는 도어록킹을 해제한(스텝(S45)) 후, 스텝(S46)에서 시작 스위치(69)가 다시 조작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플랙(F)이 「1」인 경우(S44: 예)에는 스텝(S46)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사용자가 예를 들면 교반동작의 도중에 세탁물을 추가투입하려고 생각해도 문(2)을 개방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회전조(10) 내의 거품의 양이 많은 상태에서 문(2)이 개방되어 출입구(5)에서 거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때 제어회로(92)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81)에 에러 코드「E:-d」를 표시한다. 이 에러 코드는 회전조(10) 내의 거품의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도어록킹을 해제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시작 스위치(69)가 조작된 경우에는(S46: 예), 다시 스텝(S32)으로 이행하여 도어록킹장치(100)를 동작시켜 문(2)의 폐쇄상태를 록킹한 후, 교반동작을 재개한다.
이상의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도 10의 스텝(S4)의 제 1 탈수행정에 이행한다. 탈수행정에서는 제어회로(92)는 배수밸브(19)를 개방한 상태에서 모터(16)(회전조(10))를 한 방향으로 고속회전구동한다.
이어서, 스텝(S5)의 헹굼행정에 이행한다. 헹굼행정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최초에 급수밸브(55)를 개방하여 설정수위까지 급수한다(스텝(S51)). 그리고,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밸브(55)를 개방한채로 모터(16)(회전조(10))를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교반동작을 실행한다(스텝(S52)). 여기에서 모터(16)는 세탁행정에 있어서 교반동작과 같은 타이밍으로 구동된다.
교반동작이 개시되면, 제어회로(92)는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y kHz)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53)). 이 임계값(y)은 임계값(x)과 대략 같은 값, 또는 임계값(x)보다도 약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임계값(y)보다도 큰 경우는(아니오), 스텝(S54)에서 교반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교반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아니오), 스텝(S53)에 되돌아가고, 교반시간이 경과한 경우(예)는 모터(16)의 구동을 정지하여 교반동작을 종료한다(스텝(S55)). 이것에 대해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임계값(y) 이하인 경우는(S53: 예), 즉시 교반동작을 종료한다(스텝(S55)).
교반동작이 종료되면, 이어서 배수밸브(19)를 개방하여 수조(8) 내의 물을 전부 배출한다(스텝(S56)). 그리고, 가로삽입 동작 및 배수동작의 실행회수(N)에 「1」가산하고(스텝(S57)), 다음 스텝(S58)에서 실행회수(N)가 회수(M)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실행회수(N)가 회수(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스텝(S51)으로 이행하고, 실행회수(N)가 회수(M)에 도달한 경우에는 헹굼행정을 종료한다. 또, 회수(M)의 값은 예를 들면 「저발포세제」모드에서는 오염센서(90)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일반합성세제」모드에서는 실행회수(N)는 미리 4회로 설정된다.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도 10에 나타낸 스텝(S6)의 제 2 탈수행정에 이행하고, 제어회로(92)는 배수밸브(19)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조(10)(모터(16))를 한 방향으로 고속회전구동한다.
탈수행정이 종료되면, 스텝(S7)의 건조행정에 이행한다. 건조행정에서는 제어회로(92)는 모터(16)(회전조(10))를 저속으로 정역방향으로 교대로 회전구동하는 동시에 송풍장치(21)의 구동을 개시한다. 또, 가열장치(22)의 가열요소(28)에 통전하는 동시에 급수밸브(36, 52)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조(10) 내의 습한 공기는 도 1 및 도 5에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11)를 통해 흡기구(31)에서 덕트(30a) 내에 흡인된다. 또, 도 1 및 도 5에 화살표(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수구(34a)에서 덕트(30a) 내에 물이 분사된다. 또, 도 7에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구(40)에서 덕트(30a) 내에 물이 공급된다.
이 결과, 덕트(30a) 내에 흡인된 공기는 분수구(34a)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응축되어 제습되면서 배기구(32)에서 송풍장치(21)의 케이싱(23)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가열장치(22)의 케이스(27) 내, 덕트(29) 내를 차례로 통과하여 수조(8), 즉 회전조(10) 내에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순환에 의해 회전조(10) 내의 공기는 온풍화되서 제습되고, 세탁물은 건조된다.
또, 이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물에서 나온 린트(실 보푸라기)(L1)가 공기와 순환하여 덕트(30a)와 에어 트랩(37)의 접속구(38)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회전조(10) 내의 거품의 발생량과 에어 트랩(37) 내의 압력과의 관계가 변화하여 거품의 발생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수튜브(51), 접속구(40)를 통해 에어 트랩(37) 내에 물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접속구(38)에 걸린 린트(L1)를 수류(水流)로 덕트(30a) 내에 떨어뜨릴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는 헹굼행정에 있어서 최종배수동작(M회째의 배수동작)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도 17은 최종배수동작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우선 최초에 제어회로(92)는 배수밸브(19)를 개방하여 세탁조(8) 내의 물을 배출한다(스텝(S201)).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수조(8) 내의 수위가 리셋 수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02)).
이 리셋 수위는 수위센서(49)에 의한 검지가능한 최저수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수조(8) 내의 수위가 리셋 수위 이하가 된 경우는(예), 급수밸브(52)를 개방하여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를 개시한다(스텝(S203)).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를 판독하고, 임계값(p)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04)). 이 스텝(S204)은 접속구(38)에 린트가막혔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처리이다.
예를 들면, 전회의 건조운전시에 세탁물에서 나온 린트가 접속구(38)에 막힌 경우에 에어 트랩(37)에 급수하면, 이 물(W)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트랩(37) 내에 고인다. 에어 트랩(37) 내에 물(W)이 고이면, 에어 트랩(37) 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도 19는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힐 때에 에어 트랩(37)에 급수를 실행한 경우의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로, 즉 에어 트랩(37) 내에 물(W)이 고임에 따라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는 급격하게 저하하여 최종적으로는 36kHz 정도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계값(P)은 거품이 발생한 때의 압력센서(47)의 출력에 비해 이상하게 낮은 값인 예를 들면 37kHz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S204)에서,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p)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는(아니오), 스텝(S205)으로 이행하여 검사처리를 위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아니오) 스텝(S204)에 되돌아가고, 경과한 경우는(예) 급수밸브(52)를 폐쇄하여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를 정지한다(스텝(S206)).
한편, 스텝(S204)에서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p)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는(예), 제어회로(92)는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S207)). 그리고,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임계값(p) 이하인 상태가 5초간 계속된 경우는(스텝(S208): 예),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혔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기억한다(스텝(S209)). 그리고, 스텝(S206)에서 급수밸브(52)를 폐쇄하여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를 정지한다.
상기한 최종배수동작이 종료되는 것에 의해 헹굼행정이 종료되고, 이어서 제 2 탈수행정, 건조행정이 차례로 실행된다. 이 때, 상기 스텝(S209)에서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힌 것을 기억한 경우는, 제어회로(92)는 건조행정의 종료시에 부저(98)를 울리는 동시에 에러 코드(도시하지 않음)를 표시부(81)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힌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운전이 종료된 시점에서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힌 것을 알리도록 구성한 것은 탈수행정 및 건조행정에서는 압력센서(47)에 의한 거품의 발생량의 검지가 실행되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모든 운전이 종료된 시점에서 알리는 것에 의해 탈수행정이나 건조행정을 중단하지 않아도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헹굼행정의 급수동작시에 에어 트랩(37)의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혔는지의 판정을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세탁건조기의 헹굼행정에 있어서 급수동작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제어회로(92)는 급수밸브(52)를 개방하여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를 개시한다(스텝(S301)). 또, 제어회로(92)는 급수밸브(54)를 개방하여 수조(8)로의 급수를 개시한다(스텝(S302)).
이어서, 제어회로(92)는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를 판독하고, 임계값(p)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03)). 이 스텝(S303)은 상기한 스텝(S204)과같이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혔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스텝(S303)에서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p)보다도 크다고 판단한 경우는(아니오), 제어회로(92)는 스텝(S304)으로 이행하여 수조(8)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아니오) 스텝(S303)에 되돌아가고, 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에는(예) 급수밸브(52)를 폐쇄하여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를 정지하고(스텝(S305)), 교반동작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303)에서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가 임계값(p)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는(예), 제어회로(92)는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S308)). 그리고, 압력센서(47)의 출력이 임계값(p) 이하인 상태가 5초간 계속된 경우는(스텝(S309): 예),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혔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기억하고(스텝(S310)), 급수밸브(52)를 폐쇄하여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를 정지한다(스텝(S305)).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1은 「온수」모드의 세탁행정에 있어서 급수밸브(54), 가열요소(18), 회전조(10)의 동작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온수」모드는 조작패널(3)의 「온수」모드 스위치(7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모드의 설정시에는 수조(8)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가열요소(18)의 통전이 개시된다. 가열요소(18)로의 통전은 온도센서(98)의 검출온도가 60℃에 도달하기까지 실행된다.
또, 가열요소(18)로의 통전중은 회전조(10)가 간헐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16)를 30rpm의 회전속도로 정회전방향으로 2초간 구동, 38초간 정지, 30rpm의 회전속도로 역회전방향으로 2초간 구동, 38초간 정지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온도센서(98)의 검출온도가 60℃에 도달하면, 회전조(10)는 정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된다(교반동작). 구체적으로는 모터(16)를 60rpm의 회전속도로 정회전방향으로 20초간 구동, 2초간 정지, 역회전방향으로 20초간 구동, 2초간 정지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상기 교반동작은 소정의 설정시간 실행된다.
또, 제어회로(92)는 상기한 회전조(10)의 구동제어와 병행하여 압력센서(47)의 출력주파수에 기초하여 회전조(10) 내의 거품의 발생과잉인지의 판정처리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실행한다. 이 판정처리는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내용과 대략 같다. 그리고, 가열요소(18)의 통전시에 거품의 발생과잉이라고 판정한 경우, 제어회로(92)는 가열요소(18) 및 모터(16)의 구동을 중지한다. 또, 이 때 제어회로(92)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81)에 에러 코드「E:-U」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행정에 있어서 거품의 발생과잉이라고 판정된 때는 제어회로(92)는 배수밸브(19)를 개방하여 수조(8) 내의 물을 일부 배출한다. 따라서, 수조(8) 내의 수위가 통상보다도 낮아지기 때문에, 가열요소(18)에 의해 과열될 우려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열요소(18) 및 모터(16)의 구동을 중지하기 때문에, 수조(8) 내의 물이 과열되는 일이 없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30)의 주수관(34)의 접속구(34b)와 주수튜브(35)와의 사이에는 분기구(111a)를 갖는 Y자 형상의 관이음매(11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관이음매(111)의 분기구(111a)에는 주수튜브(11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트랩(37)은 접속구(40)를 대신하여 유입구로서의 접속구(1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구(113)는 에어 트랩(37)의 측부 중 상기 접속구(38)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113)에 상기 주수튜브(112)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장치(53)는 1개의 입수구(56)와 3개의 출수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각 출수구에는 각각 급수밸브(36, 54, 55)가 부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련된 급수장치(53)는 급수밸브(52)를 갖는 출수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행정시에 급수장치(53)의 급수밸브(36)가 개방되면, 수도물은 주수튜브(35)를 통해 주수관(34)의 분수구(34a)로부터 덕트(30a) 내에 분사되는 동시에, 주수튜브(35, 112)를 통해 접속구(113)에서 에어 트랩(37) 내에 공급된다. 이 때, 접속구(113)를 접속구(38)의 근방에 설치하기 때문에, 도 26에 화살표(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구(113)에서 에어 트랩(37) 내에 공급되는 물이 접속구(38)에 걸린 린트로 효율적으로 향한다. 따라서, 린트를 수류로 흘러 나가게 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 이 때 주수튜브(112)의 단위시간당 유량은 주수튜브(35)의 유량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덕트(30a) 내로의 급수량이 적어져서 열교환기(30)의 제습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본 발명자는 덕트(30a) 내로의 급수량(W1)과 에어 트랩(37) 내로의 급수량(W2)의 비를 변화시키면, 열교환기(30)의 제습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수온이 10℃인 조건하에서 실험했다. 도 27에 그결과를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트랩(37)으로의 급수량이 덕트(30a) 내로의 급수량을 넘으면, 제습성능이 서서히 저하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이 제 6 실시예에서는 에어 트랩(37)의 하부에 접속구(38)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121)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구(40)에서 에어 트랩(37) 내에 공급된 물을 원활하게 접속구(38)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접속구(38)에 걸린 린트를 수류로 흘러나가게 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이 제 7 실시예에서는 도 29에 화살표(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수관(34)의 분수구(34a)에서 분사된 물이 하부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수구(34a)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서도 접속구(38)에 걸린 린트를 떨어뜨릴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7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이 제 8 실시예에서는 덕트(30a)의 후면부의 내면을 경면(鏡面)(131)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덕트(30a) 내에 들어간 린트가 덕트(30a)의 후면부의 내면에 부착하기 어렵고, 또 부착해도 미끄러져 떨어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접속구(38)에 린트가 걸리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8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이 제 9 실시예에서는 덕트(30a)의 후면부의 내면을 경면(131)으로 하는 것 대신에, 발수성을 갖는 예를 들면 불소수지(141)를 코팅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제 8 실시예와 대략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설명한다. 이 제 10 실시예에서는 개구부(42) 중 덕트(30a)와의 연결부분에는 테이퍼면(4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구(38)의 선단부는 상기 테이퍼면(42a)보다도 후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린트를 접속구(38)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하다.
세정동작시에 거품의 발생이 과잉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모터(16)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는 수조(8) 내의 물을 일부 배출하고, 또 모터(16)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판정후의 세정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스텝(S44)에서 플랙(F)이 「0」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부저를 울려서 도어록킹의 해제는 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부저의 울림 및 에러 코드의 표시의 양쪽을 실행해도 좋다.
급수동작시에 에어 트랩(37)의 접속구(38)에 린트가 막혔는지의 여부의 검지는 세탁행정의 급수동작시나 배수동작시, 헹굼행정의 배수동작시에 실행해도 좋다.
덕트(30a)의 내면 전체를 경면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덕트(30a)의 내면 전체에 불소수지를 코팅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회전조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또 충분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수조(8)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10)와, 상기 수조에 급수하는 급수수단(53)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37, 46, 47)과,
    상기 거품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거품의 발생량이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92)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과잉이라고 판정된 때에 상기 회전조 내의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거품 억제수단(92)과,
    상기 회전조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16, 29)을 구비하고,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이상이라고 판정된 때는, 상기 거품 억제수단은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 동작을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구동수단으로 상기 회전조를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수조(8)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10)와, 상기 수조에 급수하는 급수수단(53)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37, 46, 47)과,
    상기 거품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거품의 발생량이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92)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과잉이라고 판정된 때에 상기 회전조 내의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거품 억제수단(92)과,
    상기 회전조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수조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수단(19)과,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회전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세탁물의 헹굼동작을 실행하는 헹굼동작 실행수단(92)을 구비하고,
    상기 헹굼동작 실행수단에 의한 헹굼동작의 실행중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이상이라고 판정된 때는, 상기 거품억제수단은 상기 회전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구동을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배수수단으로 배수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수조(8)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10)와, 상기 수조에 급수하는 급수수단(53)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37, 46, 47)과,
    상기 수조(8) 및 상기 회전조(10)가 수용된 외부 케이스(1)와,
    상기 회전조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부(14)와,
    상기 수조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부(13)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세탁물 출입구(5)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2)과,
    상기 문의 폐쇄상태를 록킹하는 록킹수단(100)과,
    조작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운전의 일시정지를 지시하는 일시정지 지시수단(69)과,
    상기 일시정지 지시수단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록킹수단을 언록킹동작시키는 록킹제어수단(92)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거품의 발생량이 이상이라고 판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일시정지 지시수단이 조작된 때는 상기 록킹제어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에 언록킹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수조(8)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10)와, 상기 수조에 급수하는 급수수단(53)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37, 46, 47)과,
    상기 수조 내와 연통되는 덕트(30a)를 구비한 열교환기(30)를 갖고, 상기 회전조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33)을 구비하고,
    상기 거품검지수단은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에어 트랩(37)과, 상기 에어 트랩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4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트랩 내에 급수하는 에어 트랩용 급수수단(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0)는 상기 덕트(30a) 내에 급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용 급수수단(53)과, 상기 제습용 급수수단에서 상기 덕트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습용 급수로(34, 35)를 구비하고, 상기 제습용 급수로 도중부에는 상기 에어 트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트랩으로의 단위시간당 급수량은 상기 덕트로의 단위시간당 급수량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트랩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 트랩용 급수수단에서 공급된 물이 에어 트랩 내에 유입되는 유입구(113)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에어 트랩과 상기 덕트와의 접속부분(38)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트랩용 급수수단(53)에서 상기 에어 트랩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에어 트랩용 급수로(51)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트랩용 급수로는 상기 에어 트랩용 급수수단에서 상기 에어트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트랩 내의 하부에 상기 에어 트랩과 상기 덕트와의 연통부분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2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덕트 내에 급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용 급수수단과,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고 분수구(34a)를 갖는 주수관(34)과, 상기 제습용 급수수단과 상기 주수관을 접속하는 제습용 급수튜브(35)를 구비하고,
    상기 분수구에서 상기 덕트 내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덕트와 상기 에어 트랩과의 연통부분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면 중 적어도 상기 에어 트랩이 접속된 부분은 경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면 중 적어도 상기 에어 트랩이 접속된 부분에는 우수성을 갖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와 상기 에어 트랩을 접속하는 접속구(38)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 중 상기 덕트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둘레 테두리부는 테이퍼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트랩과 상기 덕트와의 접속구(38)와,
    상기 에어 트랩용 급수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 트랩 내에 급수된 때의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구에 린트가 막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린트막힘 판정수단(9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세정동작과, 복수회의 헹굼동작과, 탈수동작을 차례로 실행하는 세탁운전 실행수단과,
    최후의 헹굼동작시에 상기 린트막힘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구에 린트가 막혀 있다고 판정된 때에, 세탁운전이 전부 완료된 시점에서 린트막힘을 알리는 알림수단(8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2-0001632A 2001-01-12 2002-01-11 드럼식 세탁기 KR100443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4922 2001-01-12
JP2001004922A JP3689001B2 (ja) 2001-01-12 2001-01-12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JP-P-2001-00048733 2001-02-23
JP2001048733A JP3643776B2 (ja) 2001-02-23 2001-02-23 ドラム式洗濯機及びこれの泡検知用エアトラップの詰まり検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30A KR20020060930A (ko) 2002-07-19
KR100443817B1 true KR100443817B1 (ko) 2004-08-09

Family

ID=2660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632A KR100443817B1 (ko) 2001-01-12 2002-01-11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36824B1 (ko)
KR (1) KR100443817B1 (ko)
CN (1) CN1229536C (ko)
DE (1) DE60200959T2 (ko)
TW (1) TW554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189A (ja) * 2001-12-21 2003-07-02 Toshiba Corp 洗濯機
KR100775831B1 (ko) * 2005-06-08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JP4600221B2 (ja) * 2005-09-06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WO2008052980A1 (en) * 2006-10-31 2008-05-08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KR101075228B1 (ko) * 2006-11-01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EP2135989B1 (en) * 2008-06-19 2015-03-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this method
US8844082B2 (en) 2010-12-14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iofilm treating cycle
US9809915B2 (en) 2013-12-26 2017-11-07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DE102014220351B4 (de) 2014-10-08 2020-08-20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Ventilen
CN109518417B (zh) * 2017-09-19 2022-08-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干一体机用冷凝器线屑清理方法、装置及洗干一体机
JP6998179B2 (ja) * 2017-11-08 2022-02-1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乾燥機
CN109281119B (zh) * 2018-08-31 2023-11-2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壁挂式衣物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343A2 (en) * 1989-03-28 1990-10-03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25586A1 (de) * 1973-05-19 1974-12-05 Miele & Cie Wasch- oder geschirrspuel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r vermeidung des ueberschaeumens
DE4334969A1 (de) * 1992-10-14 1994-04-21 Miele & Cie Wäschebehandlungsmaschine
DE19839896A1 (de) * 1998-09-02 2000-03-09 Miele & Cie Wasc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r Ermittlung des Wäschegewich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343A2 (en) * 1989-03-28 1990-10-03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9536C (zh) 2005-11-30
DE60200959D1 (de) 2004-09-23
DE60200959T2 (de) 2005-08-18
TW554115B (en) 2003-09-21
EP1236824B1 (en) 2004-08-18
EP1236824A1 (en) 2002-09-04
KR20020060930A (ko) 2002-07-19
CN1369592A (zh)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279B1 (ko) 세탁기
JP4448843B2 (ja) 洗濯機
AU2005203177B8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870505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40050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2826905B1 (en)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JP2006239401A (ja) 洗濯機及びその泡除去方法
KR100443817B1 (ko) 드럼식 세탁기
JP606333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053976B2 (ja) 洗濯乾燥機
CN109750443B (zh) 洗衣干燥机
JP4991454B2 (ja) 洗濯乾燥機
JP411878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518636B2 (ja) 洗濯機
JP2017080011A (ja) 洗濯機
JP2017047050A (ja) 洗濯機
TWI624575B (zh) 洗衣烘乾機
JP6408418B2 (ja) 洗濯乾燥機
JP3643776B2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これの泡検知用エアトラップの詰まり検知方法
JP200221028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417260B2 (ja) 洗濯乾燥機
JP2002273093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028334A (ja) 洗濯機
JP200611014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8061536A (ja) ドラム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