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630B1 -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630B1
KR100443630B1 KR10-2000-0058726A KR20000058726A KR100443630B1 KR 100443630 B1 KR100443630 B1 KR 100443630B1 KR 20000058726 A KR20000058726 A KR 20000058726A KR 100443630 B1 KR100443630 B1 KR 10044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front lens
lens
luminaire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016A (ko
Inventor
아이카와신지
나카무라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4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4Ablative recording, e.g. by burning marks; Spark recor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06K1/1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by photographic or thermographic regis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4/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수지로 만든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등기구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마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방면 렌즈(12)의 내면에, 4개의 마크(M1, M2, M3, M4)를, 그 마크의 형상에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오목홈(28)으로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등기구 인증 마크(M1)와 같이 등기구의 수출 상대국에 따라서 전방면 렌즈(12)의 동일 위치에 표시 내용이 다른 마크의 형성이 필요한 경우에도 레이저광의 조사 제어를 적절히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서트로 마크 표시 내용의 변경에 대응하고 있는 종래예와 같이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인서트의 윤곽 형상이 나타나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등기구 인증 마크(M1) 이외의 마크(M2, M3, M4)에 관해서도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각 마크를 모두 같은 보임새로 보이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VEHICLE LAMP AND ITS MARK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 특히 합성 수지제의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합성 수지로 만든 전방면 렌즈가 채용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면 렌즈(2)의 내면에는 등기구 인증 마크(M1), 등기구 센터 표시 마크(M2), 트레이드 마크(M3), 등기구 식별 마크(M4) 등의 각종 마크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이들 마크는 전방면 렌즈(2)를 성형하는 금형에 각인을 해 둠으로써 형성되었지만, 마크의 종류에 따라서는 동일 형상의 전방면 렌즈라 하더라도 그 표시 내용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등기구 인증 마크(M1)는 등기구의 목적지(즉, 그 등기구가 장착된 차량의 수출 상대국)에 따라서 마크의 표시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 표시 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마크에 관해서는 각각의 바리에이션마다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마련해 둠으로써[예컨대, 등기구 인증 마크(M1)에 관해서는 목적지(수출 상대국)에 대해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설정해 둠으로써], 표시 내용이 다른 마크를 갖는 전방면 렌즈를 공통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식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이용하여 마크 표시 내용의 변경에 대응하도록 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제거 가능한 인서트의 윤곽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방면 렌즈가 투명한(앞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렌즈 혹은 이것과 유사한 렌즈일 때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면 렌즈(2)의 내면에 상기 인서트의 윤곽 형상(4)이 눈에 띄게 나타나 버리기 때문에, 등기구의 외관이 손상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방면 렌즈의 외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생기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합성 수지제의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등기구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마크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전방면 렌즈에 대한 하드 코트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전방면 렌즈에 대한 마킹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등기구 인증 마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V부를 내면측에서 보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나타낸,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7a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전방면 렌즈에 대한 하드 코트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전방면 렌즈에 대한 흐림 방지 도장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c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전방면 렌즈에 대한 마킹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등기구 인증 마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IX부를 내면측에서 보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0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전방면 렌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차량용 등기구
12 : 전방면 렌즈
12a : 외면
12b : 내면
12c : 시일 다리부
14 : 램프 보디
16 : 리플렉터 유닛
18 : 광원 벌브
20 : 리플렉터
22 : 쉐이드
24 : 익스텐션
26 : 하드 코팅 필름
28, 34 : 오목홈
30, 36 : 융기부
32 : 흐림 방지 도장막
102, 106, 112, 118 : 받침 지그
104, 116 : 도포 노즐
108 : 누름 지그
110 : 집광 렌즈(fθ 렌즈)
114 : 마스킹 지그
M1 : 등기구 인증 마크
M2 : 등기구 센터 표시 마크
M3 : 트레이드 마크
M4 : 등기구 식별 마크
Pc : 코너의 점(교점)
Pj : 교차하는 점(교점)
본 발명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형성된 오목홈으로 마크를 구성함으로써 제거 가능한 인서트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상기 목적 달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 수지로 만든 전방면 렌즈를 구비하고, 이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소정의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크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방면 렌즈의 표면을 따라(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오목홈으로 상기 마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등기구(램프)'는 전조등이어도 좋고 표시등이라도 좋다. 상기 '전방면 렌즈'는 합성 수지제로 제조되어 투광성을 갖는 것이라면, 그 재질, 색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내면에 렌즈 소자가 형성된 렌즈라도 좋고 투명한 렌즈(또는 앞이 훤히 보이는 무도수 렌즈)라도 좋다.
상기 '소정의 마크'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 가능한 것이라면, 특정 종류의 마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크의 형상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의 구체적 방법으로서는, 레이저광을 스캐닝(scanning ; 주사) 등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실행하도록 하여도좋고, 전방면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에 이용되는 레이저는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탄산가스 레이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오목홈'은 그 오목홈의 형성에 의해 마크로서의 존재를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단면의 크기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전조등이며, 전방면 렌즈(12)와 램프 보디(14)로 형성되는 등실(燈室) 내에, 리플렉터 유닛(16;reflector unit)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리플렉터 유닛(16)의 전방측에 익스텐션(24;extension)이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리플렉터 유닛(16)은 광원 벌브(18 : bulb)와, 리플렉터(20)와, 쉐이드(22 : shad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리플렉터 유닛(16)에 의해 전조등으로서의 배광 분포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전방면 렌즈(12)는 투명한 렌즈(가령, 앞이 훤히 보이는 무도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면 렌즈(12)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든 렌즈로서, 그 외면(12a)에는 하드 코팅 필름(26)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12b)에는 4개의 마크(M1, M2, M3, M4)가 형성되어 있다.
마크(M1)는 등기구 인증 마크로서 전방면 렌즈(12)의 좌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마크(M2)는 등기구 센터 표시 마크로서 전방면 렌즈(12)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마크(M3)는 트레이드 마크로서 전방면 렌즈(1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마크(M4)는 등기구 식별 마크로서 전방면 렌즈(12)의 우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크(M1)의 일부 및 마크(M3, M4)에 관해서는 도 1에 마킹 위치만이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4개의 마크(M1, M2, M3, M4)는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그 마크의 형상에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오목홈(28)을 포함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전방면 렌즈(12)에 대한 하드 코트 처리 및 마킹 처리의 상태(모습)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 코트 처리는 전방면 렌즈(12)를 그 외면(12a)이 상향이 되도록 받침 지그(102;receiver jig)에 얹어 놓아 위치 결정한 상태로, 코팅 노즐(104)을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이 코팅 노즐(104)로부터 하드 코트용 필름(도료)을 분무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킹 처리는 상기 하드 코트 처리에 의해 하드 코팅 필름(26)이 형성된 전방면 렌즈(12)를, 그 외면(12a)이 상향이 되도록[즉, 내면(12b)이 하향이 되도록] 받침 지그(106)에 얹어 놓는 동시에, 누름 지그(108)로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의 외주부를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있어서의 마크 형성 예정 위치에 하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레이저광의 조사는 레이저 광학계의 집광 렌즈(fθ 렌즈)(110)를 각각의 마크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마크의 형상에 따라서 레이저광을 주사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레이저광의 주사는 도시하지 않은 마킹 제어 수단에서 각 마크마다 설정된 스캐닝(주사)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광학계는 그 집광 렌즈(110)에 의해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형성되는 레이저광의 스폿(spot) 지름이 약 0.15 mm가 되도록 얼라인먼트(alignment)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각각의 마크를 구성하는 오목홈(28)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레이저광 조사 시간은 가장 복잡한 등기구 인증 마크(M1)를 구성하는 오목홈(28)이라도 수초 이내의 짧은 시간이다.
상기 레이저광 조사에 이용되는 레이저는 발진 파장 10.6 ㎛의 탄산 가스 레이저로서, 그 최대 출력은 약 12 W이지만, 조사 에너지가 과다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약 7.2 W 정도의 출력으로 레이저광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등기구 인증 마크(M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V부를 내면측에서 보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기구 인증 마크(M1)를 구성하는 2개의 오목홈(28)은 소정의 미소 간격을 두고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양 오목홈(28)은 그 중심간 거리가 약 0.15 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오목홈(28)의 폭은 레이저광의 빔(beam) 스폿 지름이 약 0.15 mm이므로 약 0.15 mm가 되고, 그리고 양 오목홈(28)의 중심간 거리가 약 0.15 mm이므로, 양 오목홈(28)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그 전체 폭은 약 0.3 mm가 된다. 또 양 오목홈(28)의 양측에는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얼마쯤 올라온 융기부(30)가 형성된다.
등기구 인증 마크(M1)는 복수 개의 교점[즉, 코너의 점(Pc)들과 교차점(pj)들]을 갖고 있지만, 이들 각각의 교점의 위치에서는 오목홈(28)들이 도중에서 끊기고 있다. 예컨대, 코너 점(Pc)에 있어서는 그 교점을 향하는 각 직선의 단부가 도중에 끊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T자형이나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점(Pj)에 있어서는, 교차하는 한쪽의 직선은 그대로 유지하고 다른 쪽의 직선을 상기 한쪽의 직선의 가까운데서 도중에 끊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교점의 위치에서 오목홈(28)이 도중에 끊기는 구성으로 한 이유는, 만일 각 교점의 위치에서 오목홈(28)이 도중에 끊기고 있지 않다고 한다면, 코너 점(pc)에서는 레이저광의 주사 속도가 늦어지고, 또한 교차하는 점(Pj)에서는 레이저광이 단시간에 중복되어 주사되어, 이에 따라 각 교점에서는 다른 부분보다도 레이저광의 조사 에너지가 집중되어 이 교점에서 연기가 발생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이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상기 각 교점의 위치에서 오목홈(28)이 도중에 끊기는 구성으로 한다 하여도, 그 도중에 끊긴 부분의 간극이 아주 작기 때문에, 등기구 인증 마크(M1)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으며 그 외관이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일은 없다. 특히,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코너 점(pc)에서, 2개의 오목홈(28)이 같은 위치에서 도중에 끊기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측의 오목홈(28)이 내측의 오목홈(28)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중에 끊긴 부분의 간극은 전체적으로 대략 균일하게 되어, 등기구 인증 마크(M1)의 보임새를 보다 자연스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더구나, 2개의 오목홈(28)의 양측에는 융기부(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더라도 코너 점(Pc)에 있어서 양 오목홈(28)이 서로 이어져 보이게 될 수 있다. 또, 등기구 인증 마크(M1)의 도 4에서 나타낸 이외의 부분 및 다른 마크(M2, M3, M4)에 대해서도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2개(2 라인)의 오목홈(28)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그 합성 수지제의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4개의 마크(M1, M2, M3, M4)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마크는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그 마크의 형상에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오목홈(28)으로 각각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등기구 인증 마크(M1)에 관해서는 등기구의 수출 상대국에 따라서 전방면 렌즈(12)의 동일 위치에 표시 내용이 다른 마크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형성은 레이저광의 조사 제어를 적절히 실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사용하여 마크 표시 내용의 변경에 대응하고 있는 종래예에서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제거 가능한 몰드 인서트의 윤곽 형상이 나타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기구 인증 마크(M1) 이외의 마크(M2, M3, M4)도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형성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마크를 모두 유사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합성 수지로 만든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등기구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오목홈(28)이 소정의 미소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작은 조사 에너지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더라도, 마크로서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연기 입자가 부착되어 전방면 렌즈(12)에 얼룩지거나 흐린 부분을 발생시켜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작은 조사 에너지로 레이저광 조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오목홈(28)의 색깔이 황색으로 변색되거나 오목홈(28) 내에 발포가 생겨 버릴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등기구의 외관(겉보기)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홈(28)을 소정의 미소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3개 또는 그 이상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마킹 처리의 소요 시간은 길어지지만, 보다 작은 조사 에너지로 레이저광 조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이저광 조사 에너지의 집중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기 쉬운 마크의 교점의 위치에서는 오목홈(28)이 도중에 끊기고 있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으로 연기 입자의 부착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작용 효과는 4개의 마크(M1, M2, M3, M4)를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에 형성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마크(M1, M2, M3, M4)가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오목홈(28) 내에 먼지나 왁스 등이 들어가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에 하드 코팅 필름(26)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한 후에 마킹 처리(레이저광 조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마킹 처리시에, 전방면 렌즈(12)를 지지하는 누름 지그(108)가 하드 코팅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에 접촉하여 상처를 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의 전방면 렌즈(12)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든 렌즈이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방면 렌즈(12)를 그 내면(12b)이 하향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레이저광의 조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광 조사 에너지에 의해 만일 연기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생기는 연기 입자는 공기보다도 무겁기 때문에 연기 입자는 그대로 강하하고, 이에 따라 연기 입자가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나타내며, 이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전방면 렌즈(12)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은 식이다. 또한, 전방면 렌즈(12)에 관해서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든 렌즈로서, 그 외면(12a)에 하드 코팅 필름(26)이 형성되어 있는 점, 또한, 그 내면(12b)에 4개의 마크(M1, M2, M3, M4)(M1, M4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은 식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32)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전방면 렌즈(12)에 대한 하드 코트 처리, 흐림 방지 코트 처리 및 마킹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 코트 처리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식으로, 전방면 렌즈(12)를 그 외면(12a)이 상향이 되도록 받침 지그(102)에 얹어 놓아 위치 결정한 상태로, 코팅 노즐(104)을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그 코팅 노즐(104)로부터 하드 코트용 필름 페인트를 분무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림 방지 코트 처리는 상기 하드 코트 처리에 의해 하드 코팅 필름(26)이 형성된 전방면 렌즈(12) 상에서 실행된다. 흐림 방지 코트 처리를 위해, 그 내면(12b)이 상향이 되도록 받침 지그(112)에 얹어 놓아 위치 결정한다. 그 후, 그 시일 다리부(12c)를 마스킹 지그(114)로 덮은 상태에서, 코팅 노즐(116)을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코팅 노즐(116)로부터 흐림 방지 코트용 도료를 분무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흐림 방지 코트용의 도료는 주제(main agent), 경화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지고, 그 배합비는 예컨대 10:1:6∼9로 설정되고 있다. 상기 주제는 친수성 아크릴 수지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고, 친수성 아크릴 수지는 친수성 부분과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부착되는 소수성 부분과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킹 처리는 전방면 렌즈(12) 상에서 실행되고, 이 렌즈 상에 상기 흐림 방지 코트 처리에 의해 흐림 방지 코팅 필름(32)이 형성되고, 가열하여 건조된다. 마킹 처리를 위해, 전방면 렌즈(12)를 그 내면(12b)이 상향이 되도록 받침 지그(118)에 얹어 놓아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마킹 처리는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있어서의 마크 형성 예정 위치에 상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을 조정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레이저광의 조사는 레이저 광학계의 집광 렌즈(fθ 렌즈)(110)를 각 마크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마크의 형상에 따라서 레이저광을 스캐닝(주사)함으로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식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의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형성된 등기구 인증 마크(M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IX부를 내면측에서 보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등기구 인증 마크(M1)는 하나의 오목홈(34)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34)은 교점의 위치에서 조차도 도중에 끊기고 있지 않다. 또, 이 오목홈(34)의 양측에는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얼마쯤 올라온 융기부(36)가 형성된다. 또한, 등기구 인증 마크(M1) 이외의 마크(M2, M3, M4)에서도,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오목홈(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4개의 마크(M1, M2, M3, M4)가 형성된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령,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흐림 방지 도장 처리를 한 후에 마킹 처리를 위한 레이저광 조사를 행하도록 하면, 레이저광 조사 중에 연기가 발생하는 일이 있더라도, 전방면 렌즈(12)의 내면(12b)에 연기 입자가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흐림 방지 코팅 필름(32)의 존재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광의 조사 에너지를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하나의 오목홈(34)이라도 마크(M1, M2, M3, M4)로서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해진다.
또, 흐림 방지 코트 처리를 한 후에 레이저광 조사를 행하도록 한 경우에는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은 흐림 방지 코팅 필름(32)이 제거되어 버리게 되지만,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부분은 마크(M1, M2, M3, M4)를 구성하는 오목홈(34)이기 때문에, 만일 그 오목홈(34)에 연기 입자가 부착되더라도, 이에 의해 등기구의 외관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는 없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흐림 방지 코팅 처리에 앞서서,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에 하드 코트 처리가 실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흐림 방지 처리 및 레이저광 조사시에, 전방면 렌즈(12)를 지지하는 받침 지그(112, 118)가 하드 코팅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방면 렌즈(12)의 외면(12a)에 접촉하여 전방면 렌즈(12)에 상처를 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용 등기구(10, 10')가 전조등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종류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들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그 합성 수지제의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마크는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그 마크의 형상을 따라서(마크 형상에 상응하도록)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예컨대, 등기구 인증 마크 등과 같이 표시 내용이 다른 마크를 전방면 렌즈의 동일 위치에 다른 정보로서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상기 마크는 레이저광의 조사 제어를 적절히 실행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사용하여 마크 표시 내용의 변경을 실행하고 있던 종래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제거 가능한 인서트의 윤곽 형상이 나타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수지제의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등기구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크'는 상기 전방면 렌즈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어디에 형성하더라도 좋지만, 내면에 형성하면, 외면에 형성한 경우와 같이 오목홈 내에 먼지나 왁스 등이 들어가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목홈은 단일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이 오목홈을 소정의 미소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도록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레이저광의 조사 에너지를 어느 정도 큰 값으로 설정하면, 단지 하나의 오목홈을 형성할지라도 마크로서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오목홈 형성시에 레이저광의 조사 에너지에 의해 연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기가 발생하면, 연기 입자가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부착되어 전방면 렌즈에 얼룩이나 흐림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작은 조사 에너지로 상기 오목홈을 소정의 미소 간격을 두고서 레이저광에 의해 평행하게 복수 개 형성하도록 하면, 마크로서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연기 입자가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작은 조사 에너지로 레이저광 조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오목홈의 색깔이 황색으로 변색되거나 오목홈 내에 발포(foaming)가 생겨 버릴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등기구의 외관을 한층 더 개량할 수 있다.
그런데,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크는 교점(즉 코너 점들 또는 교차점들)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 교점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레이저광의 조사 에너지가 집중하기 때문에, 이 교점으로부터 연기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교점의 위치에서는 오목홈이 도중에 끊기는 구성으로 하면,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상기 교점으로부터의 연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연기 입자가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 렌즈의 외면에는 상기 전방면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드 코팅 필름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렌즈에 대하여 그 내면에 마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한 후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면, 하드 코팅 필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면 렌즈를 지지하는 지그가 전방면 렌즈의 외면에 접촉하여 상기 전방면 렌즈에 상처(손상)를 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전방면 렌즈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렌즈인 경우에 있어서, 그 내면에 마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면 렌즈를 그 내면이 하향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레이저광의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면, 레이저광 조사 에너지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고 하여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생기는 연기 입자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연기 입자는 그대로 강하된다. 이로써 연기 입자가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크가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내면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이 형성되어 있으면, 레이저광 조사시에 연기가 발생하는 일이 있더라도,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연기 입자가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흐림 방지 코팅 필름(도장막)의 존재에 의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광의 조사 에너지를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오목홈이라도 마크로서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해진다.이 경우에는,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을 형성한 후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실행하게 되지만, 그 때, 전방면 렌즈의 외면에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한 후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을 형성하도록 하면, 이미 하드 코팅 필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면 렌즈를 지지하는 지그가 전방면 렌즈의 외면에 접촉하여 그 전방면 렌즈에 상처를 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을 형성한 후에 레이저광 조사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는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은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이 제거되어 버리게 되지만, 레이저광 조사 부분은 마크를 구성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령 연기 입자가 부착되더라도, 이에 따라 등기구의 외관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는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전방면 렌즈를 구비하고, 이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소정의 마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전방면 렌즈의 표면에 상기 마크의 형상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오목홈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는 하나 이상의 교점을 갖고, 이 교점 앞의 위치에서 상기 오목홈이 끊기고 있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전방면 렌즈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4. 삭제
  5. 차량용 등기구의 렌즈 상에 마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의 외면에 하드 코팅 필름을 형성하고,
    하드 코트 처리를 완료한 후에 상기 렌즈의 내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마크를 생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 형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하고, 상기 렌즈를 그 내면이 하향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인 마크 형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가 생성되기 전에 상기 렌즈의 내면에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을 형성하는 것인 마크 형성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흐림 방지 코팅 필름으로 렌즈의 내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는 상기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을 도포한 후에 실시하는 것인 마크 형성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흐림 방지 코팅 필름을 도포하기 전에 상기 전방면 렌즈의 외면에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마크 형성 방법.
KR10-2000-0058726A 1999-10-07 2000-10-06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 KR100443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86310 1999-10-07
JP28631099 1999-10-07
JP2000250833A JP2001176311A (ja) 1999-10-07 2000-08-22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マーキング方法
JP2000-250833 2000-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016A KR20010040016A (ko) 2001-05-15
KR100443630B1 true KR100443630B1 (ko) 2004-08-09

Family

ID=2655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726A KR100443630B1 (ko) 1999-10-07 2000-10-06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55184B1 (ko)
JP (1) JP2001176311A (ko)
KR (1) KR100443630B1 (ko)
CN (1) CN1163362C (ko)
DE (1) DE10049512B4 (ko)
FR (1) FR2799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704A (ja) * 2001-07-10 2003-01-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FR2848286B1 (fr) * 2002-12-05 2006-02-10 Valeo Vision Procede de realisation d'un motif decoratif sur un composant d'un dispositif d'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automobile
DE10350266B4 (de) * 2003-10-28 2015-05-13 Volkswagen Ag Scheinwerfer oder Leucht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56073A1 (de) 2004-11-15 2006-06-01 Schott Ag Linse für Beleuchtungszweck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Linsen
DE102005057720A1 (de) * 2005-12-02 2007-06-06 Hella Kgaa Hueck & Co.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Markierung an einer Abschlussscheibe einer Fahrzeugleuchte mittels Lasertechnik
JP4633635B2 (ja) * 2006-01-13 2011-02-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512904B2 (ja) 2007-09-28 2010-07-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製造方法
CN105222048A (zh) * 2015-04-29 2016-01-06 安徽新瑞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尾灯生产工艺
FR3036165B1 (fr) 2015-05-12 2017-06-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marquage invisible, feu d’eclairage muni d’une marque d’identification invisible et vehicule ainsi equipe
US10569696B2 (en) * 2017-04-03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ed airflow control device
DE102017108081A1 (de) * 2017-04-13 2018-10-18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zur Kennzeichnung einer Lichtscheibe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20201053A1 (de) * 2020-01-29 2021-07-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Heckleuch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0834A (en) * 1922-02-13 1923-07-03 Monogram Lens Corp Headlight construction
DE3902638A1 (de) * 1989-01-30 1990-08-02 Hella Kg Hueck & Co Signalleuchte fuer fahrzeuge
DE4212831A1 (de) * 1992-04-16 1993-10-21 Prolan Oberflaechentechnik Gmb Vorzugsweise transparentes Formteil mit kratzfesten und Anti-Beschlag-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06230321A (ja) * 1992-12-09 1994-08-19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のマーキング方法
US5806957A (en) * 1996-02-22 1998-09-15 Siegel-Robert, Inc. Sealed automotive emblem lighting assembly and method
US5817243A (en) * 1996-10-30 1998-10-06 Shaffer; Wayne K. Method for applying decorative contrast designs to automotive and motorcycle parts using lasers
CZ66797A3 (cs) * 1997-03-05 1998-10-14 Autopal S. R. O. Holografické značení transparentních povrchů automobilových svítilen a světlometů
US6356376B1 (en) * 1997-04-02 2002-03-12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rearview mirror incorporating a third surface metal reflector and a display/signal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49512A1 (de) 2001-05-03
FR2799527A1 (fr) 2001-04-13
CN1163362C (zh) 2004-08-25
FR2799527B1 (fr) 2005-08-19
CN1291568A (zh) 2001-04-18
KR20010040016A (ko) 2001-05-15
DE10049512B4 (de) 2006-05-18
JP2001176311A (ja) 2001-06-29
US6555184B1 (en) 200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630B1 (ko) 차량용 등기구 및 그 마킹 방법
KR910009372B1 (ko) 엑시머레이저에 의한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2755610B2 (ja) 眼鏡レンズに記号及び/又はマークを施す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眼鏡レンズ
CA240308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marking on an ophthalmic lens having a low surface energy
US2007026206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ducing Tinted and Non-Tinted Materials With Non-Discernable Laser Inscriptions
US2021003913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vehicle part
US20080063862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187173A5 (ko)
CN112781006A (zh) 透明车辆部件的制造方法
US6854872B2 (en) Optically etched decorative article
JPH071693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及びこのヘッドライトの反射器を製造する方法
US10760764B2 (en) Partial metallization of molded part using ablation
JP2019147714A (ja) 識別マーク付きガラス板、およびガラス板の識別マーク形成方法
JP2001506189A (ja) 半透明の合成材料の対象物に印を付ける方法、特にこのように印を付けた眼用レンズ、および対応した読み取り装置
US6982828B2 (en) Microscope slide having a marking region
US7469832B2 (en) Method for marking a lens with a code and method of producing a lens
US6948814B2 (en) Optical lens or glass having a label and/or marking on the front surface and/or rear surface
CN113900345B (zh) 反射投影结构及投影光学系统
JP2620691B2 (ja) 装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H03284439A (ja) 装飾品
JPS60167201A (ja) ランプ構成体に対する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9096462A (ja) 樹脂成形品および車両用灯具
JPH10293220A (ja) 光導波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770203B2 (ja) 光走査用光学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98264U (ja) 印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