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410B1 -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410B1
KR100442410B1 KR10-2001-0015684A KR20010015684A KR100442410B1 KR 100442410 B1 KR100442410 B1 KR 100442410B1 KR 20010015684 A KR20010015684 A KR 20010015684A KR 100442410 B1 KR100442410 B1 KR 10044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d
wiring board
connection structure
lea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015A (ko
Inventor
오타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9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3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381Shape of non-curved single flat metallic pad, land or exposed part thereof; Shape of electrode of leadless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27Special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r dimension of a pad or land and the location or dimension of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한 쪽의 배선기판(1)상에 배열되는 랜드(11)와, 다른 기판(2)상의 리드단자 (21)가 각각 땜납을 매개로 접속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에 있어서, 각 랜드(11)의 윤곽에는 단자배열방향의 양측에 볼록부(15) 및 오목부(16)가 형성된다. 평면도에 있어서, 볼록부(15)는, 장방형의 리드단자(21)의 한 쪽의 기다란 변(2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오목부(16)의 양측의 돌출부(17)는 리드단자(21)의 다른 쪽의 기다란 변(2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랜드(11)에 대한 리드단자(21)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도 볼록부(15) 및 돌출부(17)가 리드선(21)의 윤곽으로부터 돌출하여, 이 부분에 눈으로 확인가능한 땜납의 필렛(5)이 형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Structure for Connecting Terminals on Wiring Board}
본 발명은 배선기판상의 랜드(land)에 다른 기판상의 리드단자가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로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제1 종래예가 알려져 있다.
이 도 4에 도시된 단자접속구조에서는, 정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의 랜드(11)가 배선기판상에 0.5mm의 피치로 병렬설치되고, 다른 기판상의 리드 단자(21)가 이 랜드(11)에 겹쳐져 있다. 리드 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은 랜드(11)의 기다란 변(13)보다 0.1mm 길고, 리드단자(21)의 짧은 변(22)은 랜드(11)의 짧은 변(12)보다 0.1mm 짧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11)와 리드단자(21)가 정확히 소정위치 관계로 놓여졌을 때에는, 랜드(11)의 기다란 변(13, 14)이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으로부터 각각 0.05mm만큼 돌출한다. 랜드(11)와 리드단자(21)가 도구를 이용한 자동열압착에 의해 땜납을 매개로 접합되면, 랜드(11)가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으로부터 삐져나오는 개소에, 이 기다란 변(23, 24)을 따라서 땜납의 필렛(fillet; 5)이 형성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리드단자(21)가 랜드(11)에 대하여 0.05mm 어긋나도 리드단자(21)의 어느 한 쪽의 기다란 변(23, 24)의 개소에는 리드단자(21)를 가지는 다른 기판의 측면으로부터 필렛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2 종례예로서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도 5에 도시한 종례예에서는, 랜드(11) 및 리드단자(21)가 어느 쪽도 이등변사다리꼴(경사진 변의 길이가 같은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긴 쪽의 저변이 서로 반대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겹쳐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11)의 경사진 변과 리드단자(21)의 경사진 변이 서로 교차하고 있고, 리드단자(21)의 윤곽중에서 짧은 쪽의 저변과 이 저변의 양단으로부터 경사진 변끼리의 교차부까지의 개소가 랜드(11)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랜드(11) 상에 위치하는 리드단자(21)의 윤곽을 따라서 필렛(5)이 형성된다. 리드단자(21)의 긴 쪽의 저변이 랜드(11)의 짧은 쪽의 저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거리는 0.05mm이다. 또한, 리드단자(21)의 짧은 쪽의 저변은, 랜드(11)의 긴쪽의 저변보다 0.05mm만큼 안쪽으로 위치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겹쳐지는 리드단자(21)가 랜드(11)의 사다리꼴의 높이 방향, 즉 단자배열에 수직인 방향(Y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필렛(5)의 확인이 곤란하게 된다. 리드단자(21)의 짧은 쪽의 저변(28)이, 랜드(11)의 긴 쪽의 저변(18)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되면, 랜드(11)상에 위치하는 리드단자 (21)의 윤곽이 짧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필렛(5)이 형성되는 부분이 짧아지게 되어, 필렛(5)의 확인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랜드(11)에 대하여 리드단자(21)가 큰 경우에는, 리드단자(21)가 랜드(11)를 대략 덮어버리게 된다. 이 때문에, 랜드(11)상에 위치하는 리드단자( 21)의 윤곽은 리드단자(21)의 경사진 변의 일부만으로 되어, 필렛(5)이 형성되는 부분이 짧게 되고, 필렛(5)의 확인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랜드(11)의 짧은 쪽의 저변(19)의 측부, 즉 랜드(11)의 윤곽이 리드단자(210)에 의해 은폐되는 쪽에서는, 눈으로 확인가능한 필렛(5)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땜납부착상태의 불량 또는 양호함을 알 수 없다.
또한, 제3 종래예로서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도 6에 도시한 종례예에서는, 배선기판상에 정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의 랜드(11)가 형성되고, 다른 기판상의 대략 덤벨 형상의 평면형상인 리드단자(21)가 겹쳐지게 된다. 리드단자(21)는, 종방향의 길이가 랜드(11)의 한 변보다 길고, 폭방향 길이가 랜드(11)의 한변보다 짧고, 2개의 기다란 변의 상당부분은 각각 원호형상의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리드단자(12)의 2개의 짧은 변의 상당부분이 랜드(11)의 짧은 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2개의 기다란 변의 상당부분이 각각 랜드(11)의 윤곽의 안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목부(25)도 랜드(11)상에 위치한다.
리드단자(21)가 배열된 기판의 측부로부터 확인가능한 땜납의 필렛(5)은 오목부(25)를 포함하는 기다란 변 상당부분을 따라서 형성된다.
그런데, 도 6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리드단자(21)가 랜드(11)에 대하여 X방향으로 어긋나버리게 되면, 리드단자(21)의 한 쪽의 기다란 변 상당부분에 있어서 랜드(11)상에 위치하는 리드단자(21)의 윤곽이 대략 오목부(25)의 부분만으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오목부(25)와 랜드(11)의 윤곽과의 거리가 대부분 없어져서, 필렛(5)의 확인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랜드(11)의 윤곽이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 상당부분으로부터 충분히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면, 단자배선영역 내에서 랜드(11)와 리드단자(21)의 접속용 겹침영역의 비율이 작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렛의 확인에 의한 땜납부착상태의 불량 또는 양호함의 판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한쪽의 기판상의 랜드와 다른 쪽의 기판상의 리드단자와의 접속용 겹침영역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배선기판상의 단자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기판의 랜드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접속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표시장치의 요부에 대한 모식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종래예의 단자접속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종래예의 단자접속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3 종래예의 단자접속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참조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프린트 배선기판(PCB) 1a : 가장자리 끝(프린트 배선기판의)
2 : 가요성 배선기판(TCP) 2a : 가장자리 끝(가요성 배선기판의)
2b : 가요성 절연기판 3 : 표시패널 본체
4 : 구동IC 5 : 필렛
10 : 접속패드군 11 : 랜드
12 : 짧은 변(랜드) 13 : 기다란 변(랜드)
13a : 직선부(랜드의 기다란 변(13)의)
13b : 확개부(랜드의 기다란 변(13)의)
13c : 기선부(랜드의 기다란 변(13)의)
14 : 기다란 변(랜드의) 14 a : 직선부(랜드의 기다란 변(14)의)
14b : 확개부(랜드의 기다란 변(14)의)
14c : 기선부(랜드의 기다란 변(14)의)
15 : 볼록부(랜드의 기다란 변(13)의)
16 : 오목부(랜드의 기다란 변(14)의)
17 : 양단 돌부 18 : 저변(랜드의)
19 : 저변(랜드의) 20 : 입력측 단자군
21 : 리드단자 22 : 짧은 변(리드단자의)
23 : 기다란 변(리드단자의) 24 : 기다란 변(리드단자의)
25 : 오목부(리드단자의) 28 : 저변(리드단자의)
29 : 저변 (리드단자의) 31 : 가장자리 접속부
51 : 교차하는 개소(기다란 변(23)과 볼록부(15)의)
52 : 교차하는 개소(기다란 변(24)과 양단 돌부(17)의)
본 발명의 배선기판접속구조는, 제1 기판상에 배치된 제1단자와, 제2 기판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자와 겹쳐지는 직사각형의 제2 단자, 이들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접속수단, 상기 제2 단자의 윤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 단자의 가장자리부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도전접속수단의 필렛, 상기 제2 단자의 한 변과 교차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윤곽상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과 교차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윤곽부상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렛은 상기 제2 단자의 한 변 및 다른 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 가장자리부와 제2 가장자리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제2 가장자리부는 상기 오목부에 대향하는 제1 단자의 볼록부 내와,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는 돌출부 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도전접속수단의 필렛의 확인을 확실히 한다.
상기 도전접속수단은, 일반적으로는 합금으로 된 땜납이지만,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paste), 특히 고점도 타입의 수지 베이스의 도전성 접착제 등이 포함된다. 땜납으로는, 말할 필요없이, 납 계통에 한하지 않고 은 계통 등의 것도 포함되며, 비교적 융점이 높은 것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각 제1 단자의 윤곽에서, 오목부를 이루는 윤곽선부분과 볼록부를 이루는 윤곽선 부분은 형상 및 치수에 있어서 대략 같다.
그리고,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하나의 상기 제1단자와 이에 근접하여 배치된 다른 상기 제1 단자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제1 단자에 대한 윤곽선부분과 그리고 이 부분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상기 다른 제1 단자에 대한 윤곽선 부분이 형상 및 치수에 있어서 대략 같고, 거의 서로 평행이동한 관계에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기판상의 랜드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이 랜드에 다른 배선기판의 리드단자가 겹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단자접속구조를 포함하는 평면표시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랜드(11)가 배열되는 하나의 배선기판은 평면표시장치의 구동용 프린트 배선기판(PCB; 1)이고, 리드단자(21)가 배열되는 다른 배선기판, 가요성 배선기판(2)은 OLB(Outer Lead Bonding) 방식의 평면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 본체(3)의 가장자리 접속부(31)에 복수의 가요성 배선기판(2)이 이방성 도전막 등을 매개로 접속되고, 각 가요성 배선기판(2)의 대략 중앙부에는 구동IC(4)가 1개씩 탑재된다.
표시패널 본체(3)의 가장자리 접속부(31)를 따라서 직선띠 형상의 구동용 프린트 배선기판(PCB; 1)이 배치되고, 그 윗쪽 면에는 각 가요성 배선기판(2)의 아래쪽 면의 입력측 단자군(20)과, 각각 납땜에 의해 접속되기 위한 접속패드군(10)이 프린트 배선기판(1)에서 가장자리 접속부(31)쪽의 가장자리 끝(1a)을 따라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1)의 접속패드군(10)은, 가요성 배선기판(2)상에 랜드(11)가 0.5mm의 피치로 병렬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랜드(11)는, 랜드(11)의 배열방향(X)으로 짧은 장방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윤곽이 짧은 변(12)과 2개의 기다란 변 상당부분(13, 14)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쪽의 기다란 변 상당부분(13)은, 양단의 직선부(13a)와, 이들 사이의 대략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인 볼록부(15)로 이루어진다. 이 볼록부(15)는, 사다리꼴의 상부에 상당하는 직선부(13a)에 평행한 기선부(13c)와, 사다리꼴의 양 경사선에 상당하는 확개부(13b), 즉 기선부(13c)로부터 직선부(13a)를 향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확개(擴開)하는 확개부(13b)로 형성된다.
한편, 다른 쪽의 기다란 변 상당부분(14)은, 양단의 직선부(14a)와, 2개의 직선부(14a) 사이의 대략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16)로 이루어진다. 이 오목부(16)는, 사다리꼴의 상부에 상당하는 직선부(14a)에 평행한 기선부(14c)와, 사다리꼴의 양 경사선에 상당하는 확개부(14b), 즉 기선부(14c)로부터 직선부(14a)를 향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확개하는 확개부(14b)로 형성된다. 각 랜드에서 2개의 기다란 변 상당부분(13, 14)은 형상이 서로 같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가요성 배선기판(2)상의 입력측 단자군(20)은, 장방형의 리드단자(21)가 가요성 배선기판(2)의 가장자리 끝(2a)을 따라서 배열되고, 각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은 가장자리(2a)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트 배선기판(1) 상의 각 랜드(11)에 가요성 배선기판(2)의 장방형상 리드단자(21)가 땜납을 매개로 겹쳐지고, 이에 의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은, 랜드(11)의 종방향길이(D)보다 길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리드단자(21)의 짧은 변(22)은 랜드(11)의 짧은 변 상당부분(12)의 길이, 즉 기다란 양변 상당부분(13, 14)의 간격보다 0.05mm만큼 짧다.
프린트 배선기판(1)상의 랜드(11)와 가요성 배선기판(2)의 리드단자(21)가 겹쳐진 상태에서, 랜드(11)의 볼록부(15) 및 오목부(16)가 각각 대응하는 리드 단자(21)의 기다란 변(23)에 교차한다. 즉, 각 확개부(13b) 및 각 확개부(14b)가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에 교차한다.
도시된 소정의 중첩위치, 즉 설계상의 구성에 있어서, 랜드(11)의 볼록부 (15)가 리드단자(21)의 한쪽의 기다란 변(23)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0.1mm이다. 또한, 볼록부(15)의 양측의 직선부(13a)는,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보다 0.05mm 만큼 리드단자(21)의 안쪽에 위치한다. 한편, 오목부(16) 바닥의 기선부(14c)는 리드단자(21)의 다른 쪽의 기다란 변(24)보다 0.05mm만큼 리드단자(21)의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오목부(16)의 양측의 직선부(14a)가 리드단자(21)의 다른 쪽 기다란 변(2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길이는 0.1mm이다.
가요성 배선기판(2)의 각 랜드(11)와, 프린트 배선기판(1)의 대응하는 각 리드단자(21)와의 접속은 자동땜납장치로 수행된다. 랜드(11) 또는 리드단자(21)에 땜납이 프린트 등에 의해 놓여진 후에, 이어서 상기 소정의 겹침위치로 위치맞춤이 수행되고, 마지막으로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열압착이 수행된다. 이렇게 하여, 땜납을 매개로 각 랜드(11)와, 대응하는 각 리드단자(21)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으로부터 랜드(11)의 윤곽이 돌출하는 개소에는, 가요성 배선기판(2)의 윗면 쪽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땜납의 필렛(5)이,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가요성 배선기판(2)을 구성하는 얇은 가요성 절연기판(2b)을 통하여 윗쪽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필렛(5)은, 리드단자(21)의 한쪽의 기다란 변(23)과 랜드(11)의 볼록부(15)가 교차하는 개소(51) 및 리드단자(21)의 다른 쪽의 기다란 변(24)과 랜드(11)의 오목부(16)를 양쪽에서 지지하는 양단 돌출부(17)가 교차하는 개소(52)에 형성된다. 이들의 필렛(5)도, 랜드(11)와 리드단자(21)와의 전기적인 그리고 기계적인 접속에 기여한다. 땜납접속이 완료된 후에는, 필렛(5)이 양호하게 형성되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땜납접속이 양호하게 수행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각 랜드(11)의 윤곽에 오목부(16) 및 볼록부(15)를 형성함으로써, 가열장치의 위치, 즉 리드단자(21)에 대한 랜드(11)의 위치가 어긋나도, 랜드(11) 배열방향(X)에 있어서의 어긋나는 크기가 리드단자(21)의 윤곽으로부터의 상기 볼록부(15) 및 양 돌출부(17)의 설계돌출치수(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0.1mm임)보다 작게 되면, 장방형 리드단자(21)의 윤곽으로부터 랜드(11)의 볼록부(15) 및 양단 돌출부(17)가 모두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요성 배선기판(2)의 윗쪽으로부터 관찰함으로써, 리드단자(21)의 기다란 양변(23, 24)의 측부에서 필렛(5)의 형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랜드(11)와 리드단자(21)가 겹치는 부분의 종방향(Y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필렛(5)이 형성되기 때문에, Y방향 전체에서는 땜납부착상태가 양호하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으로부터, 랜드(11)의 윤곽이 안쪽으로 들어가는 치수는, 상기 볼록부(15) 및 양단 돌출부(17)의 설계돌출치수 보다도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리드단자(21)와 랜드(11)가 서로 겹쳐지는 땜납접속영역을 충분히 넓게 할 수 있다. 특히, 리드단자(21)의 측부에 땜납이 프린트되는 경우에, 리드단자(21)의 기다란 변(23, 24)보다 랜드의 윤곽이 안쪽으로 오는 부분에서 땜납볼(ball)이 형성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랜드(11)의 볼록부(15) 측부의 양단직선부(13a)가 리드단자(21)의 한쪽의 기다란 변(23)보다 0.05mm만큼 안쪽에 있고, 또한 오목부(16)의 개소의 기선부(14c)가 리드단자(21)의 다른 기다란 변(24)보다 0.05mm만큼 안쪽에 있다. 이러한 랜드(11)의 윤곽이 안쪽으로 들어가는 거리는 볼록부(15) 및 양단 돌출부(17)의 설계돌출치수인 0.1mm보다 꽤 작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6) 및 볼록부(15)를 가지는 대략 큰 활 형상의 각 랜드(11)가 배열됨에 있어, 하나의 랜드(11)의 오목부(16)와, 이웃하는 랜드(11)의 볼록부(15)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오목부(16)를 이루는 윤곽형상과 볼록부(15)를 이루는 윤곽형상이 동일하다. 이 때문에, 랜드(11)의 종방향(Y방향)의 어느 쪽 위치에서도, 서로 이웃하는 랜드(11) 사이의 X방향에서의 간격은 일정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0.5mm이다. 따라서, 랜드(11) 사이의 단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단자(21)를 상기 랜드(11)의 형상으로 하고 랜드(11)를 단순한 장방형으로 형성하여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도전접속수단인 필렛을 확실히 확인함으로써 땜납부착상태의 불량 또는 양호함의 판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한쪽의 기판상의 랜드와 다른 쪽의 기판상의 리드단자와의 접속용 겹침영역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2)

  1. 리드단자를 갖춘 기판과,
    상기 리드단자와 겹쳐지는 랜드를 갖춘 기판,
    상기 리드단자 및 랜드를 서로 전기적이면서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접속수단 및,
    상기 리드단자 또는 랜드의 한쪽 단자의 윤곽이 다른쪽 단자의 영역으로부터 삐져나오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도전접속수단의 필렛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드단자 또는 랜드의 한쪽 단자의 윤곽에는, 다른쪽 단자의 한 변에 교차하는 볼록부와, 이 한 변에 대향하는 상기 다른쪽 단자의 다른 변에 교차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접속수단이 땜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이루는 윤곽선부분과, 볼록부를 이루는 윤곽선부분이, 형상 및 치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춘 단자끼리의 서로 마주본 윤곽선부분이, 형상 및 치수가 같고, 서로 평행이동한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를 갖춘 단자의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저변이, 상기 해당 단자와 겹쳐지는 다른 단자의 기다란 변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7. 상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가,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를 갖춘 단자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양단이, 해당 단자와 겹쳐지는 다른 단자의 기다란 변에 평행한 직선부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단자를 갖춘 기판이 가요성 배선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갖춘 기판이 평면표시장치용의 구동용 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춘 단자가 표시패널에 구동입력을 행하기 위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의 입력측 리드단자이고, 다른쪽의 단자가 평면표시장치용의 구동용 회로기판상의 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춘 단자가 평면표시장치용의 구동용 회로기판상의 랜드이고, 다른 쪽의 단자가 표시패널에 구동입력을 행하기 위한 TCP의 입력측 리드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KR10-2001-0015684A 2000-03-30 2001-03-26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KR100442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5696A JP2001284784A (ja) 2000-03-30 2000-03-30 配線基板
JP2000-95696 200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015A KR20010095015A (ko) 2001-11-03
KR100442410B1 true KR100442410B1 (ko) 2004-07-30

Family

ID=1861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684A KR100442410B1 (ko) 2000-03-30 2001-03-26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02527B2 (ko)
JP (1) JP2001284784A (ko)
KR (1) KR100442410B1 (ko)
TW (1) TW5013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851A (zh) * 2014-06-17 2016-02-03 三星显示有限公司 阵列基底和使用该阵列基底安装集成电路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0428B (en) * 1999-07-12 2003-09-01 Nec Lcd Technologies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236329B (en) * 2003-12-25 2005-07-11 Au Optronics Corp Printed circuit board of display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thermal expansion
JP2006154366A (ja) * 2004-11-30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4581726B2 (ja) * 2004-12-2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CN101578007B (zh) * 2008-05-08 2012-05-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焊盘及其应用的电路板
US8085550B2 (en) * 2009-03-24 2011-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plementing enhanced solder joint robustness for SMT pad structure
JP6230520B2 (ja) * 2014-10-29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回路板及び電子機器
CN105529339B (zh) * 2016-02-17 2018-1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覆晶薄膜及显示装置
JP6708190B2 (ja) * 2017-09-05 2020-06-10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モジュール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CN108133665A (zh) * 2017-12-18 2018-06-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结构
US20200119476A1 (en) * 2018-10-16 2020-04-16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262A (ja) * 1996-12-16 1998-06-30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回路基板
JPH1154895A (ja) * 1997-08-04 1999-02-26 Toshiba Battery Co Ltd 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端子の接続方法
JPH11284304A (ja) * 1998-03-27 1999-10-15 Canon Inc 回路部品の接続端子構造及び端子接続方法
JP2000077818A (ja) * 1998-08-31 2000-03-14 Sony Corp プリント配線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788A (en) * 1996-01-29 1997-11-04 Dell Usa, L.P. Apparatus for multi-component PCB mounting
JPH10233564A (ja) * 1997-02-19 1998-09-02 Alps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262A (ja) * 1996-12-16 1998-06-30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回路基板
JPH1154895A (ja) * 1997-08-04 1999-02-26 Toshiba Battery Co Ltd 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端子の接続方法
JPH11284304A (ja) * 1998-03-27 1999-10-15 Canon Inc 回路部品の接続端子構造及び端子接続方法
JP2000077818A (ja) * 1998-08-31 2000-03-14 Sony Corp プリント配線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851A (zh) * 2014-06-17 2016-02-03 三星显示有限公司 阵列基底和使用该阵列基底安装集成电路的方法
CN105301851B (zh) * 2014-06-17 2021-01-22 三星显示有限公司 阵列基底和使用该阵列基底安装集成电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02527B2 (en) 2002-06-11
TW501387B (en) 2002-09-01
US20010029118A1 (en) 2001-10-11
KR20010095015A (ko) 2001-11-03
JP2001284784A (ja) 200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899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42410B1 (ko) 배선기판 단자접속구조
JP3080175B2 (ja) 半導体チップ用の支持部材
JPH0593069U (ja) プリント回路基板
US6175086B1 (en) Method for mounting terminal on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EP0952761A1 (en) Method for mounting terminal on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US20110090664A1 (en) Shield case mounting substrate
JP2001156416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接続構造
JPH0615424Y2 (ja) コネクタ実装構造
JPH0745899Y2 (ja) 突出部を有する外部接続端子および当該外部接続端子を備えた混成集積回路装置
JPH073577Y2 (ja) 混成集積回路装置
JPH0749795Y2 (ja) キャリアテープ
JP3269506B2 (ja) 半導体装置
JPH0353515Y2 (ko)
JP2594365B2 (ja) 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接続方法
JPH11154780A (ja) 回路基板と導体片との接続体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4388168B2 (ja) 樹脂成形基板
JPS6323892Y2 (ko)
JPH0631682Y2 (ja) 電子装置
JPH0729657Y2 (ja) 回路基板装置
JPH0585042U (ja) マザーボードとサブボードの接続構造
JPH01204374A (ja) 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部の構造
JPH0538880U (ja) 半導体の実装構造
JPH0590442A (ja) 混成集積回路基板
JP2000216336A (ja) 面実装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