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971B1 -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971B1
KR100438971B1 KR10-2001-0028033A KR20010028033A KR100438971B1 KR 100438971 B1 KR100438971 B1 KR 100438971B1 KR 20010028033 A KR20010028033 A KR 20010028033A KR 100438971 B1 KR100438971 B1 KR 10043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file
print
printing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642A (ko
Inventor
기자키오사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1010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1Job submission at the printing node, e.g. creating a job from a data stored locally or remo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파일 편집을 행한 경우에도 편집 후의 파일 내용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적 파일의 샘플 인쇄용의 페이지 인쇄 모드로서 지정 파일의 선두 페이지만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선택된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각 파일의 선두 페이지만을 파일 선택 순서대로 출력한다)와, 파일 하나의 지정 페이지 범위(도면에서는 5∼7페이지)를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출력한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PROGRAM STORAGE MEDIA THEREFOR}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화상 정보(문자 데이터를 포함함)를 축적한 후에 인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11-27492호 공보에는 화상 판독 장치나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고, 복수개의 파일과 인쇄 순서를 지정함으로써 지정 순서로 연결된 일련의 화상군으로서 처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복수개 파일을 지정 순서로 인쇄하는 경우에 오류 복사(프린트)를 사전에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파일 내용(화상 데이터)이 정확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이른바 샘플 인쇄 모드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샘플 인쇄 모드는 축적 완료된 파일의 샘플 인쇄로서 복수개 선택된 파일에 있어서 각 파일의 선두 화상 데이터만을 인쇄 출력하는 것(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이다. 이 샘플 인쇄에 의해 각 파일의 대강의 내용을 유추 확인할 수 있어 오류 복사(프린트)의 방지에 도움이 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고기능화에 따라 파일의 편집 기능도 충실해지고, 복수개 파일끼리의 파일 편집, 예컨대 파일의 특정 페이지의 삭제, 특정 페이지로 페이지 또는 파일을 삽입, 복수개 파일의 머지(결합) 등도 실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파일 편집을 행한 경우에는, 종래의 샘플 인쇄 모드인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로는 대응할 수 없고, 편집 후의 파일이 정확하게 편집되었는지(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편집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파일 전체의 화상을 한번 인쇄하여 지정 페이지가 소망의 화상 데이터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양한 파일 편집을 행한 경우에도 편집 후의 파일 내용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디지털 복사기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시스템 전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복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복사기의 조작부 윗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조작부의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복사 기능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조작부의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액정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프린터 기능 조작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디지털 복사기의 전기 시스템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화상 판독부와 화상 기록부의 동작 설명과 메인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셀렉터로 적출되는 화상 데이터[주주사 유효 화상(主走査 有效 畵像)]와 타이밍 신호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도 13의 메모리 제어기와 화상 메모리(66)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6은 파일 축적 등록 및 관리를 위한 관리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명령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8은 화상 데이터의 축적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9는 스캐너로부터의 등록 모드 이행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0은 스캐너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축적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1은 축적 프린터의 동작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적 복사 모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3a, 23b는 페이지 인쇄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4는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5는 제2실시예에 있어 축적 파일의 샘플 인쇄용의 페이지 인쇄 출력 설정 화면.
도 26은 제2실시예에 있어 축적 복사 모드 처리의 흐름도.
도 27은 도 26의 처리에 있어 파일 선택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28은 도 26의 처리에 있어 페이지 인쇄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29는 도 27의 처리에 있어 페이지 지정 범위의 정합성(整合性) 확인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30a, 30b는 도 28의 처리에 있어 지정 페이지의 범위를 입력하는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31은 도 28의 처리에 있어 지정 페이지의 인쇄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32a, 32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지정 페이지의 범위를 입력하는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33a, 3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지정 페이지의 인쇄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34는 부정합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조작부
31 액정 터치 패널
32 텐 키
34 스타트 키
66 화상 메모리
100 후처리 장치
200 화상 형성 장치(디지털 복사기)
300 호스트 컴퓨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된 화상 정보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이 축적 수단에 축적된 화상 정보를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화상 정보의 집합을 파일로서 취급하여 화상 관리 데이터 및 파일 관리 데이터를 보존하는 관리 데이터 보존 수단과,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선택하는 파일 선택 수단과,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전체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제1인쇄 모드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일부의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의 선택을 행하는 인쇄 모드 선택 수단과, 상기 샘플 인쇄 모드 선택시에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과,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인쇄 페이지 범위가 지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관리 데이터 보존 수단에 보존한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화상 정보 중에서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쇄 수단에 의해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인쇄 페이지 범위의 개시 페이지 또는 종료 페이지 중의 어느 한 쪽만 페이지를 지정하여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지정 페이지의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가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페이지 범위를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와,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복수개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허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되고,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허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수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에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페이지 범위를 입력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가 상기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파일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를 보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페이지 범위가 입력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될 때마다 이 선택 파일과 상기 페이지 범위에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이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 수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이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경고 표시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상기 샘플 인쇄 모드로 출력한 페이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경고 표시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샘플 인쇄 모드의 규정 모드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 대상으로 선택된 파일의 일부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샘플 인쇄 모드로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대해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 축적되어 있는 화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샘플 인쇄 모드로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범위 지정된 페이지의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 축적되어 있는 화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범위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범위 지정으로서 개시 페이지 또는 종료 페이지 중의 어느 한 쪽만 페이지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범위 지정이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인 경우, 상기 페이지 범위를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복수개 파일인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된 범위의 페이지의 인쇄 실행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하나의 파일인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 인쇄와,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된 범위의 페이지의 인쇄를 가능하게 한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수와 상기 지정된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범위를 비교하고,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가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여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와 인쇄 대상 파일이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이 있는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수가 상기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이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상기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이 있는 경우에, 이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제어 또는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된 범위의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제어를 상기 샘플 인쇄 모드의 규정 모드로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된 컴퓨터에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이 선택된 파일의 전체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제1 인쇄 모드 또는 이 선택된 파일의 일부의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 상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가 지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에서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 있어서 페이지 범위 지정으로서 개시 페이지 또는 종료 페이지 중의 어느 한 쪽만 페이지가 지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 있어서 페이지 범위 지정으로서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의 페이지가 지정된 경우, 이 페이지 범위를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하는 절차에 있어서 복수개 파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하는 절차에 있어서 하나의 파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선택을 허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서 지정된 페이지 범위와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수를 비교하여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서 페이지 범위가 지정될 때마다 상기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파일의 전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제1 인쇄 모드 또는 파일의 일부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 및 상기 제1 인쇄 모드 또는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을 선택하는 절차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될 때마다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서 지정된 페이지 범위와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수를 비교하여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은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 수가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이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상기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경고 표시를 나타내는 절차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 중의 어느 한 모드가 상기 샘플 인쇄 모드의 규정 모드로서 설정되고,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디지털 복사기가 호스트 컴퓨터에 LAN에 의해 접속된 시스템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디지털 복사기(200)는 스캐너 및 프린터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고, 개인용 컴퓨터 등의 호스트 컴퓨터(300)와 네트워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디지털 복사기(200) 자체만으로도 복사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복사기(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복사기(200)는 장치 본체의 상부에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이하, ADF라고 한다)(1)를 구비하고, 장치 측면에 후처리 장치(100)를 장착하고 있다. 이 복사기에 있어서, ADF(1)에 있는 원고대(2)에 원고의 화상면을 위로 하여 놓여진 원고 묶음(도시하지 않음)은 후술하는 조작부(30)(도 3 참조)상의 스타트 키(34)가 눌러지면 맨 위의 원고로부터 용지 이송 롤러(30) 및 이송 벨트(4)에 의해 콘택트 유리(6)상의 소정의 위치로 공급된다. 판독 유닛(50)에 의해 콘택트 유리(6)상의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 후, 판독이 종료된 원고는 공급 벨트(4) 및 배출 롤러(5)에 의해 배출된다. 나아가, 원고 세트 검지 센서(7)에 의해 원고대(2)에 다음의 원고가 있다는 것을 검지한 경우, 앞 원고와 마찬가지로 콘택트 유리(6)상으로 공급된다. 공급 롤러(3), 공급 벨트(4) 및 배출 롤러(5)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1 트레이(8), 제2 트레이(9), 또는 제3 트레이(10)에 적재된 전사지는 각각 제1 용지 공급 장치(11), 제2 용지 공급 장치(12), 또는 제3 용지 공급 장치(13)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고, 세로 이송 유닛(14)에 의해 감광체(15)에 접하는 위치까지 이송된다. 판독 유닛(5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기록 유닛(57)으로부터의 레이저에 의해 감광체(15)에 기록되고, 현상 유닛(27)을 통과함으로써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사지는 감광체(15)의 회전과 같은 속도로 이송 벨트(16)에 의해 이송되면서 감광체(15)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 후, 정착 유닛(17)에 의해 화상을 정착시키고, 용지 배출 유닛(18)에 의해 후처리 장치(100)로 배출된다.
후처리 장치(100)는 본체의 용지 배출 롤러에 의해 이송된 전사지를 통상 용지 배출 롤러(102) 방향과, 스태플 처리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전환판(101)을 윗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이송 롤러(103)를 경유하여 통상 용지 배출 트레이(104)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전환판(101)을 아랫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이송 롤러(105, 107)를 경유하여 스태플 대(108)로 이송할 수 있다.
스태플 대(108)에 적재된 전사지는 1매 배출될 때마다 용지 정리용 조거(109)에 의해 용지 단면이 정리되고, 일부의 복사 완료와 함께 스태플러(106)에 의해 철해진다. 스태플러(106)로 철해진 전사지 군은 자체 무게에 의해 스태플 완료 용지 배출 트레이(110)에 수납된다.
한편, 통상의 용지 배출 트레이(104)는 전사지 이송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용지 배출 트레이이다. 이 이동 가능한 용지 배출 트레이(104)는 원고마다 또는 화상 메모리에 따라 분류된 복사부마다 이동하고, 배출되어 나오는 복사지를 용이하게 분류하는 것이다.
전사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용지 공급 트레이(8∼10)로부터 공급되어 화상이 형성된 전사지를 후처리 장치(100)로 유도하지 않고 경로 전환을 위한 분기톱(112)을 위쪽으로 세트함으로써 일단 양면 용지 공급 유닛(111)에 적재된다. 그 후, 양면 용지 공급 유닛(111)에 적재된 전사지는 다시 감광체(1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하여, 양면 용지 공급 유닛(111)으로부터 재공급되며, 경로 전환을 위한 분기톱(112)을 아래쪽으로 세트하여 후처리 장치(100)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전사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양면 용지 공급 유닛(111)이 사용된다.
감광체(15), 이송 벨트(16), 정착 유닛(17), 용지 배출 유닛(18) 및 현상 유닛(27)은 메인 모터(25)(도 12)에 의해 구동되고, 각 용지 공급 장치(11∼13)는 메인 모터(25)의 구동을 각각 용지 공급 클러치(22∼24)(도 12)에 의해 전달 구동된다. 세로 이송 유닛(14)은 메인 모터(25)의 구동이 중간 클러치(21)(도 12)에 의해 전달됨으로써 구동된다.
디지털 복사기(200)의 화상 판독 수단, 화상 형성부 등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독 유닛(스캐너)(50)은 원고를 놓는 콘택트 유리(6)와 주사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고, 주사 광학계는 노광 램프(51), 제1 미러(52), 렌즈(53), CCD 이미지 센서(5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광 램프(51) 및 제1미러(52)는 도시하지 않은 제1 캐리지 상에 고정되고, 제2 미러(55) 및 제3 미러(56)는 도시하지 않은 제2 캐리지 상에 고정되어 있다. 원고 화상을 판독할 때에는 광로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제1 캐리지와 제2캐리지가 2대1의 상대 속도로 기계적으로 주사된다. 이 광학 주사계는 도시하지 않은 스캐너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원고 화상은 CCD 이미지 센서(54)에 의해 판독되고, 전기 신호(아날로그 화상 신호)로 변환되며, 그 후 디지털 데이터(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나아가, 화상 데이터에는 수 종류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기록 유닛(57)은 레이저 출력 유닛(58), 결상 렌즈(59) 및 미러(60)로 구성되고, 레이저 출력 유닛(58)의 내부에는 레이저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 및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 다면경(폴리건 미러)가 마련되어 있다. 레이저 출력 유닛(58)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은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폴리건 미러에 의해 편광되고 결상 렌즈(59)를 통하여 미러(60)에 의해 반환되어 감광체의 면상에 집광 결상된다.
편광된 레이저 광은 감광체가 회전하는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주주사방향)으로 노광 주사되고, 후술하는 화상 처리부의 셀렉터(64)에 의해 출력된 화상 신호의 라인 단위로 기록된다. 감광체의 회전 속도와 기록 밀도에 대응한 소정 주기로 주주사를 반복함으로써 감광체 면상에 화상(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유닛(57)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이 화상 형성계의 감광체(15)에 조사된다. 감광체(15)의 일단 근처의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 주주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이 주주사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의 화상 기록 개시 타이밍의 제어, 및 후술하는 화상 신호의 입력 출력을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200)의 조작부 윗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조작부(30)에는 액정 터치 패널(31), 텐 키(32), 클리어/스톱 키(33), 스타트 키(34), 모드 클리어 키(35), 초기 설정 키(38) 및 테스트 인쇄 키(40)가 있고, 액정 터치 패널(31)에는 기능 키(37), 부수(部數)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메시지가 표시된다. 테스트 인쇄 키(40)는 설정되어 있는 인쇄 부수에 관계없이 1부만을 인쇄하여 인쇄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조작부(30)에는 [복사 기능]을 지정하는 복사 키(41), [축적 복사 기능]을 지정하는 축적 복사 키(42) 및 [프린터 기능]을 지정하는 프린터 키(43)로 이루어지는 기능 전환키부(39)가 있다.
[복사 기능]은 스캐너(50)로 판독한 화상을 전사지에 지정된 동작으로 복사하는 기능이다.
[프린터 기능]은 LAN 및 병렬 I/F 등으로 접속된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데이터와 지시를 받아서 프린트 출력하는 기능이다.
[축적 복사 기능]은 스캐너로 판독한 화상이나,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여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프린트 출력하는 기능이다.
도 4 내지 도 11에서 조작부(30)의 액정 터치 패널(31)에 표시된 키를 터치함으로써 지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키가 반전 표시된다. 또한, 상세한 기능을 지정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예컨대, 배율이 변하는 경우, 변경된 배율값 등)는 키를 터치함으로써 상세한 기능의 지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액정 터치 패널(31)은 도트 표시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때의 최적 표시를 그래픽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복사 기능]을 지정하는 화면으로서, 화면상의 좌측 윗쪽 위치는 [복사할 수 있습니다], [기다려 주십시오]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구역, 그 우측은 세트한 매수를 표시하는 복사 매수 표시부, 그 아래쪽에는 화상 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자동 농도 키, 전사지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자동 용지 선택 키, 복사를 1부씩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는 처리를 지정하는 분류 키, 복사를 페이지별로 분류하는 처리를 지정하는 적재 키, 분류 처리된 것을 1부씩 철하는 처리를 지정하는 스태플 키, 배율을 등배로 세트하는 등배 키, 확대/축소 배율을 세트하는 배율 변경키, 양면 모드 등을 지정하는 양면/집약/분할 키, 여백 모드나 스탬프·날짜·페이지 등의 인쇄를 지정하는 편집/인쇄 키, 화상의 최초나 도중에 삽입하는 구분 용지를 지정하는 표지/구분 용지 키가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모드는 키가 반전(망으로 표시)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프린터 기능]용의 조작 화면이다. 인쇄 요구의 허가를 지정하기 위한 온 라인/오프 라인 키, 데이터 인 상태에서 배출되지 않은 전사지를 강제 배출하는 강제 배출 키,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인 표시, 전사지의 세트 상황을 알리는 표시가 있다.
도 6∼도11은 [축적 복사 기능]용의 조작 화면이다.
도 6은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각 파일 리스트 화면이고, 도 3의 축적 복사 키(42)가 눌러짐으로써 표시된다. 축적된 화상의 이용자명, 파일명, 페이지수 및 등록 시각이 표시된다. 망으로 나타낸 표시부는 출력 선택된 파일을 나타내고, 순서 항목은 그 인쇄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의 출력 선택은 액정 터치 패널(31)상에서 파일을 터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고, 또한 이미 선택되어 있는 파일을 재차 터치함으로써 비선택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선택은 복수 파일에 대하여 가능하며, 선택된 순서로 출력된다. 인쇄 키(44)는 선택된 파일을 인쇄하는 화면(도 7)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판독 키(46)는 스캐너로부터의 화상을 축적하기 위한 화면(도 8)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페이지 인쇄 키(45)는 선택된 파일을 인쇄하는 화면(도 9∼도 11)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취소 키(47)는 전체 파일의 선택을 해제하기 위한 키이다. 상하 화살표 키(48, 49)는 파일수를 한 꺼번에 표시할 수 있는 파일수를 초과하였을 때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키이다.
도 7은 인쇄 키(44)(도 6)를 누름으로써 표시되는 축적 복사의 출력 지정 화면이다. 출력 조건을 지정하고 복사 동작을 스타트 키(34)(도 3)로 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파일을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 순서로 연결된 한 뭉치의 화상 군으로서 처리된다. 따라서 스태플 모드를 지정하면 파일별이 아니고 전체 화상에 대하여 스태플된다.
도 8은 판독 키(46)(도 6)를 누름으로써 표시되는 스캐너로부터의 축적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이다. 각 모드를 지정하고 스타트 키(34)로 판독 동작이 개시된다. 이 파일의 이용자명 및 파일명은 자동적으로 도시한 예와 같이 설정된다.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파일명을 구별할 수 있도록 명명된다. 판독 종료 키로 판독 동작이 종료되어 파일이 닫힌다.
도 9는 페이지 인쇄 키(45)(도 6)를 누름으로써 표시된다. 축적 파일의 샘플 인쇄용 페이지 인쇄 출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다. 페이지 인쇄에는 선택된 파일의 선두 페이지만을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파일 선택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각 파일의 선두 페이지만을 파일 선택 순서대로 출력한다)와, 파일 하나의 지정 페이지 범위(도 9에서는 5∼7페이지)를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출력한다)가 있다. 도 6의 파일 리스트 화면에서 파일이 선택되어 페이지 인쇄 키(45)가 눌러졌을 때, 하나의 파일만이 파일 선택된 상태이면 도 9로, 복수개의 파일이 선택되어 있으면 도 10으로 천이한다.
도 9는 선두 페이지 키(76), 지정 페이지 키(77) 모두가 선택 가능한 상태인 화면이고, 도면에서 지정 페이지 모드가 지정되어 페이지 인쇄 범위가 개시 페이지, 종료 페이지로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파일 선택된 파일 총 페이지수(도면의 예에서는 18페이지)가 [지정 페이지] 키(77)의 아래에 표시되고, 페이지 범위의 최대값을 이용자에게 표시하여 경고하고 있다. 페이지 입력 방법은 우선 지정 페이지 키(77)를 누르고, 개시 페이지를 텐 키(32)(도 3)로 입력한다. 종료 페이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범위 지정)] 키(78)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종료 페이지 입력 모드로 되고 텐 키(32)로 입력한다. 또한, 페이지 입력을 실패한 경우에는 [클리어] 키(79)를 누르면 [지정 페이지] 키(77)를 누른 상태로 복귀되어 개시 페이지 입력을 재차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파일이 복수개 선택되어 있으므로 [지정 페이지] 키(77), [∼] 키(78), [클리어] 키(79)에 마스크가 씌워져 키 선택을 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지정 페이지] 키(77)가 눌러져 개시 페이지만 입력된 상태이다. 통상은 개시 페이지, 종료 페이지를 세트로 입력하지만, 예컨대 파일의 제5 페이지를 한 페이지만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은 [5]∼[5]로 입력하여야 하지만, 도 11과 같이 개시 페이지만 입력한 후, 스타트 키를 누르면 파일의 제5 페이지만을 인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2에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전기 시스템의 개요를, 도 13에 전기 시스템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2는 메인 제어기(20)를 중심으로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제어기(20)는 화상 형성 장치(200) 전체를 제어한다. 메인 제어기(20)에는 조작자에 대한 표시와, 조작자로부터의 기능 설정 입력을 제어하는 조작부(30), 스캐너의 제어, 원고 화상을 화상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 및 화상 메모리로부터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어 등을 행하는 화상 처리 유닛(IPU)(49), 및 원고 자동 이송 장치(ADF)(1) 등의 분산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각 분산 제어 장치와 메인 제어기(20)는 필요에 따라 기계 상태, 동작 명령을 교환하고 있다. 또한, 용지 이송에 필요한 메인 모터(25), 각종 클러치(21∼24)도 메인 제어기(20)내의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터 제어기(88)는 외부로부터의 화상 및 프린트 지시하는 명령을 해석하고, 화상 데이터로서 인쇄할 수 있는 상태로 비트 맵 전개하고, 인쇄 모드를 명령으로부터 해석하여 동작을 결정하고 있다. 그 화상 및 명령을 LAN 및 병렬 I/F를 통하여 수신하여 동작하기 위하여 LAN·I/F부(90)와 병렬 I/F(89)가 기능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에 있어서의 스캐너 및 프린터(화상 판독부와 화상 기록부)의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3에는 메인 제어기(20)(도 12)의 구성도 표시되어 있다.
노광 램프(51)(도 2)로부터 조사된 광은 원고면을 조사하고, 원고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결상 렌즈(53)(도 2)를 통하여 CCD(이미지 센서)(54)에 결상시킨다. CCD(54)가 발생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는 A/D 컨버터(6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 신호는 음영 보정(62)이 진행된 후, 화상 처리부(63)에서 MTF 보정, γ보정 등이 행해진다. 셀렉터(64)에서는 화상 신호의 이송측을 배율 변경부(71) 또는 화상 메모리 제어기(65)로 전환한다. 또한, 셀렉터(64)로부터는 외부 화상 입력 출력부(75)를 통하여 외부 장치(프린터 등)와 화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에 이미지 데이터를 합성하는 경우에는 인쇄 이미지 데이터 발생 장치(인쇄 유닛)(74)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제1 인쇄 합성부(72), 또는 제2 인쇄 합성부(73)에서 상기 화상 신호에 합성시킨다. 인쇄 이미지 데이터 발생 장치(인쇄 유닛)(74)는 CPU 버스에 접속되어 페이지 인쇄용 캐릭터 이미지나 임의의 스탬프용 이미지 등을 발생한다. 이 인쇄 이미지 데이터 발생 장치(74)에서 발생한 화상 이미지 데이터는 제1 인쇄 합성부(72)나 제2 인쇄 합성부(73)에 입력되고, 원고의 화상 데이터나 화상 메모리(66)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임의의 이미지를 합성한다. 또한, 인쇄 이미지 데이터 발생 장치(74)는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생한 이미지 데이터를 합성하는 위치도 설정한다.
배율 변경부(71)를 경유한 화상 신호는 변경된 배율에 맞추어 확대/축소되고, 기록 유닛(57)으로 보내진다. 화상 메모리 제어기(65)와 셀렉터(64)사이는 양 방향으로 화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3에는 특히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화상 처리부(IPU)에는 판독부(5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도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의 하반 부분은 메인 제어기(20)(도 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 제어기(20)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의 CPU(68), 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69), RAM(70), 메모리 제어기(65), 화상 메모리(66), I/O 포트(67) 등이 포함된다.
CPU(68)는 화상 메모리 제어기(65) 등으로의 설정이나, 판독부(50), 기록부(57)의 제어를 행한다. 나아가, CPU(68)는 메모리 제어기(65)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66)의 데이터 기록, 판독을 행한다. 또한, I/O 포트(67)가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CPU(68), ROM(69), RAM(70) 및 메모리 제어기(65)에 접속되고, I/O 포트(67)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 유닛이나 기억 매체의 판독기 등을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4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동기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 게이트 신호: /FGATE(사선 /은 FGATE의 오버 라인을 의미한다)는 한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의 부주사 방향의 유효 기간을 표시하고 있다. /LSYNC는 하나의 라인마다의 주주사 동기 신호이고, 이 신호가 상승한 후 소정 클럭에서 화상 데이터가 유효하게 된다. 주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라인 게이트 신호: /LGATE이다. 이들 신호는 화소 클럭 VCLK에 동기하고 있고, VCLK의 한 주기에 대하여 하나의 화소의 데이터가 이송되어 온다. 화상 처리부(IPU)(49)(도 12)는 화상 입력, 출력 각각에 대하여 별개의 /FGATE, /LSYNC, /LGATE, VCLK의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각종 화상 입출력의 조합이 실현 가능하다.
도 15에 도 13의 메모리 제어기(65)와, 화상 메모리(66)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모리 제어기(65)는 입력 데이터 셀렉터(81), 화상 합성(82), 1차 압축/신축(83), 출력 데이터 셀렉터(84), 및 2차 압축/신장(85)의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각 블록에는 CPU(68)에 의해 제어 데어터를 설정한다. 도 15에 있어서의 데이터란 화상 데이터(버스)를 나타내고 있고, CPU(68)에 접속되는 어드레스 데이터(버스)는 도시하지 않았다.
화상 메모리(66)는 1차(86) 및 2차 기억 장치(87)로 구성된다. 1차 기억 장치(86)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거의 동기하여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화상 출력시의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고속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예컨대, DRAM 등의 고속 액세스가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한다. 또한, 1차 기억 장치(86)는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의 크기에 의해 복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을 동시에 실행 가능한 구성(메모리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부)을 취하고 있다. 각 분할 구역에 화상 데이터의 입력, 출력을 각각 병렬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모리 제어기(65)와의 인터페이스로서 판독용과 기록용의 2 조의 어드레스·데이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역(1)에 화상을 입력(기록)하는 사이에 구역(2)에 의해 화상을 출력(판독)한다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2 차 기억 장치(87)는 입력된 화상의 합성, 분류를 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보존해 두는 대용량의 메모리이다. 1차, 2차 기억 장치 모두 고속 액세스 가능한 소자를 사용하면, 1차, 2차의 구별없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제어도 비교적 간단하게 되지만, DRAM 등의 소자는 비싸기 때문에, 2차 기억 장치(87)에는 액세스 속도는 그렇게 빠르지 않지만 염가이고 대용량인 기억 매체(하드 디스크 등)를 사용하여 입출력 데이터의 처리를 1차 기억 장치(86)를 통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화상 메모리(66)에 의해 대량의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보존, 가공 등의 처리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염가이고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 제어기(65)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①: 화상 입력(화상 메모리(66)에 기록)
입력 데이터 셀렉터(81)는 복수개의 데이터 중에서 화상 메모리(66)(1차 기억 장치(86)에 기록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입력 데이터 셀렉터(81)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합성(82)에 공급되고, 화상 합성(82)이 이미 화상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와의 합성을 실행한다.
화상 합성(82)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1차 압축/신장(83)에 의해 데이터 압축되어 1차 기억 장치(86)에 기록된다. 1차 기억 장치(86)에 기록된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2차 압축/신장(85)으로 한층 더 압축한 후에 2차 기억 장치(87)에 보존된다.
②: 화상 출력(화상 메모리(66)로부터 판독)
화상 출력시에는 1차 기억 장치(8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출력 대상으로 되는 화상이 1차 기억 장치(86)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1차 압축/신장(83)으로 1차 기억 장치(86)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후의 데이터, 또는 신장후의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를 화상 합성한 후의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 셀렉터(84)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화상 합성(82)은 1차 기억 장치(86)의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의 합성(화상 데이터의 위상 조절 기능을 구비함), 합성후의 데이터의 출력측 선택(화상 출력, 1차 기억 장치(86)에 기록, 양쪽 출력측으로 동시에 출력도 가능)등의 처리를 행한다.
출력 대상으로 되는 화상이 1차 기억 장치(86)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2차 기억 장치(87)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 대상 화상 데이터를 2차 압축/신장(85)으로 신장하고 신장후의 데이터를 1차 기억 장치(86)에 기록한 후 상술한 화상 출력 동작을 행한다.
도 16은 파일 축적 등록 및 관리를 위한 관리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파일 관리 데이터로서 하나의 파일마다 파일명 데이터, 이용자명 데이터, 축적 시각 데이터, 페이지수의 데이터가 관리되고, 이들을 하나의 블록으로서 데이터가 나열되어 있다. 새로운 파일은 이들 블록 아래에 등록되어 등록 파일수가 증가된다. 삭제된 파일의 데이터부는 줄여져 등록 파일수가 감소된다. 등록 파일수는 등록되어 있는 파일수를 나타내고 있다.
프린터 등록중의 파일 번호로서 프린터 등록 관리 파일 번호가 있다. 이것은 등록중의 파일이 관리 파일 중에서 어느 파일인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것은 스캐너 등록 관리 파일 번호는 스캐너로 파일을 등록할 때의 것이다.
인쇄 순서 관리 데이터로서 배열이 있는데 이것은 인쇄 순서로 관리 파일 번호를 나열한 것이다. 관리 파일 번호가 씌어져 있지 않을 때에는 -1(바이트 폭 데이터로서 FFH)이 기록되어 있다. 인쇄할 때에는 위로부터 -1의 관리 번호로 될 때까지가 일련의 인쇄할 파일로 된다. 또한, 여기에는 프린터 화상으로도 스캐너 화상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메모리 화상의 지정 방법으로서는 파일 번호를 상위 1바이트, 페이지 번호(0페이지로부터 페이지수까지)를 하위 1바이트로 한 2바이트의 데이터로 화상 번호를 관리한다. 이 화상 번호로 메모리 유닛으로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따라서 관리 파일 번호 2, 페이지수 5일 때의 화상 번호로서는 앞으로부터 512(0200H), 513(0201H), 514(0202H), 515(0203H), 516(0204H)로 된다.
또한, 복수개의 파일을 동시에 복사하는 경우에는, 인쇄 순서 관리 데이터순서로 그 관리 파일 번호와 페이지수로부터 메모리 번호를 결정하고, 인쇄 순서 관리 데이터로 관리되어 있는 페이지수 분을 1화상군으로서 복사 동작을 실행한다.
다음에 CPU(68)(도 13)의 몇 가지 처리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CPU(68)의 호스트로부터의 프린트 요구 등의 명령에 응답하는 처리 (명령 처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있어서, 스텝(이하, S로 약칭한다)1에서 명령 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S2에서 수신 명령이 프린터 파일 등록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것이 프린터 파일 등록 명령이면 S2-1로 이동하고, 파일 관리 데이터로서 축적용의 관리 파일 영역을 확보하여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로 된다(S2-3). S2-3에서는 S2-1에서 확보한 관리 파일의 번호를 프린터 등록 관리 파일 번호로서 기억한다. 파일 관리 데이터는 파일 블록마다 차례로 등록된다.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란, 프린터 I/F로부터의 화상을 축적하기 위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S2-4에서 대응하는 파일 관리 데이터의 페이지수를 초기화한다(0으로 클리어한다). 그리고 등록 파일수를 증가한다(S2-5).
한편, 수신 명령이 이용자 등록 명령이면 S3으로부터 S3-1로 이동하여 현재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등록 상태이면 파일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용자명 데이터로서 기억한다(S3-2).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가 아닐 때에는 무효 명령으로서 무시한다.
나아가, 파일명 등록 명령을 수신하면 S4로부터 S4-1로 이동하여 현재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등록 상태이면 파일명을 기억한다(S4-2).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가 아닐 때에는 무효 명령으로서 무시한다.
나아가, 시각 등록 명령을 수신하면 S5로부터 S5-1로 이동하여 현재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등록 상태이면 파일명을 기억한다(S5-2).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가 아닐 때에는 무효 명령으로서 무시한다.
그리고, 프린터 파일 등록 종료 명령의 수신 유무를 S6에서 판단하고, 이 명령을 수신하면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를 해제한다(S7). 이 해제 명령으로 이 파일에 대한 등록을 종료한다.
도 18은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일 때의 화상 데이터의 축적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우선 화상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판단하고(S11), 데이터를 수신하면 화상 전개(화상을 인쇄 및 메모리 기억할 수 있는 상태로 전개하는 처리) 처리를 행한다(S12). S13에서는 처리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화상 전개가 종료하면,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14), 등록 상태이면 S15로 이동하여 메모리를 축적한다. S16에서는 메모리로의 축적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면 프린터 등록 관리 파일 번호로서 기억되어 있는 번호의 관리 파일에 대하여, 페이지수 정보를 증가한다(S17). S14에서 프린터 파일 등록 상태가 아닐 때에는 S14-1로 이동하여 통상의 프린트 동작을 실행한다. S14-2에서는 인쇄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축적하는 경우도 인쇄시의 화상 데이터와 동일한 비트 맵 데이터를 압축하여 기억하고 있다. 메모리로부터 인쇄 동작을 실행할 때에는 화상 전개 시간이 걸리지 않고 인쇄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축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스캐너로부터의 등록 모드 이행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우선 판독 키(46)(도 6의 파일 리스트 화면을 참조)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 눌러져 있으면 스캐너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파일 관리 데이터로서 축적용의 관리 파일 영역을 확보한다(S32). 그리고, 스캐너 파일 등록 상태로 이행하고(S33), S32에서 확보한 관리 파일의 번호를 스캐너 등록 관리 파일 번호로서 기억한다(S34). 나아가, 파일 정보로서 화상 페이지수 정보를 초기화하고(S35), 등록 파일수를 증가한다(S36). 그리고 표시를 판독 화면(도 8)으로 전환하고, 판독 종료 키가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7). 상기 화면에서 종료 키가 눌러지면 스캐너 파일 등록 상태를 해제한다(S38).
도 20은 스캐너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우선 판독 개시 지시로서 스타트 키(34)가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 다음으로 원고의 유무를 판단한다(S22). 나아가 스캐너 파일 등록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 따라서 판독 지시가 있어 원고가 세트되어 있고 스캐너 파일 등록 상태이면 판독 동작을 개시한다. 스캐너 동작하여 판독한 화상을 메모리에 축적한다(S24). S25에서 메모리 축적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축적이 종료하면, 스캐너 등록 관리 파일 번호로서 기억되어 있는 번호의 관리 파일에 대하여 페이지수를 증가한다(S26). S27에서 다음 원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독 및 축적 동작을 원고가 없어질 때까지 실행한다.
도 21은 축적 프린트의 동작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우선 프린트 동작 지시로서 스타트 키(34)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1), 프린트 동작의 지시가 있으면, 대응하는 메모리로부터 화상을 판독하여 프린트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동작 설정에 따라 프린트 동작을 개시한다(S42). S43은 프린트 동작 종료의 판단이다. 프린트 동작이 종료하면 정지한다.
다음, 도 22∼2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축적 복사 모드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축적 복사 키(42)(도 3)가 눌러진 것을 다른 루틴에서 검지한 경우에 실행되는 것이다.
도 22의 흐름도에 있어서, S51에서 파일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파일이 선택되어 있으면 S52로 이동하여 파일 선택 처리(표시 반전, 선택 순서 부가)가 진행된다. S51에서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S51-1로 이동하여 파일 선택 해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파일 선택이 해제되면 S51-2로 이동하여 파일 선택 해제 처리(표시 비반전, 선택 순서 삭제)가 진행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인쇄] 키(44), [페이지 인쇄] 키(45), [판독] 키(46)가 눌러지면 각각의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
즉, S53에서 판독 키가 눌러졌는지 유무를 판단하고, 판독 키(46)가 눌러지면 판독 처리를 실행(S54)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판독 키가 눌러져 있지 않으면 S55에서 선택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고, 선택 파일이 없으면 S51로 복귀된다. S55에서 선택 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S56으로 이동하여 페이지 인쇄 키(45)가 눌려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페이지 인쇄 키(45)가 눌러지면 페이지 인쇄 처리를 실행(57)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S56에서 페이지 인쇄 키가 눌러져 있지 않으면 S58로 이동하여 인쇄 키(44)가 눌러져 있는지 유무를 판단한다. 인쇄 키(44)가 눌러지면 파일 인쇄 처리를 실행(S59)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58에서 인쇄 키가 눌러져 있지 않으면 S60으로 이동하여 취소 키(47)가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취소 키가 눌러져 있지 않으면 그대로 S51로 복귀하고, 취소 키(47)가 눌러지면 전체 파일의 선택을 해제(S61)하여 S51로 복귀한다.
또, 파일 선택이 실행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파일 인쇄”, “페이지 인쇄”는 실행할 수 없으므로 [인쇄] 키(44) 또는 [페이지 인쇄] 키(45)가 눌러져 있어도 무시된다.
도 22의 “판독 처리”(54)는 도 19 및 도 20의 내용에 상당하다. “파일 인쇄 처리”(S59)는 도 21의 내용에 상당하다. “페이지 인쇄 처리”(S57)는 도 23A, 23B에 상당하며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A, 23B는 도 22의 “페이지 인쇄 처리”(S57)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페이지 인쇄 처리에는 ①: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②: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가 있다. 이들의 각 모드의 유효/무효 상태는 그 모드의 성격으로부터 도 6에서 파일 선택이 복수개 선택인가, 1개 파일만의 선택인가로 실행할 수 있는 인쇄 모드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 파일 선택시에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금지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자체를 마스크하여 키 선택 자체를 무효화한다. 한 개 파일만의 선택시에는 쌍방의 모드 다 유효하게 하고, 디폴트 모드로서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 유효시에는 [지정 페이지] 키(77) 아래에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표시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페이지 범위 지정의 참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쇄 모드는 모드 키 입력에 의해 변수 “PrintMode”에 세트된다.
그리고 스타트 키가 눌러지면, “PrintMode”에 세트된 모드의 파일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 모드가 선두 페이지 인쇄인 경우에는 선택된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상을 호출하여 인쇄 동작을 행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인쇄 모드가 지정 페이지 인쇄인 경우에는 선택된 파일의 지정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상을 호출하여 인쇄 동작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9∼도11 중의 [종료] 키(80)가 눌러지면 페이지 인쇄 모드 자체가 종료하여 도 6의 화면으로 화면이 천이한다.
그리고,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 유효시에 도 9, 도11의 [지정 페이지 인쇄] 키(77)가 눌러지면 인쇄 모드가 지정 페이지 인쇄로 되고,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의 내용은 도 24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3a, 23b의 흐름도를 설명하면, 우선 파일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페이지 인쇄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S62에서는 복수개 파일 선택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1개 파일만의 선택이면 S63으로 이동하고,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선택 상태로,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비선택 상태로 한다. 나아가, 지정 페이지 인쇄 유효 플러그를 세트하고(S64), 선택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표시하여(S65), S66으로 이동한다. 한편, 복수개 파일이 선택되어 있으면 S62로부터 S62-1로 이동하고,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선택 상태로,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무효로 한다. 그리고, 지정 페이지 인쇄 유효 플러그를 리세트하고(S62-2), S66으로 이동한다.
S66에서는 프린트 모드를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S67에서 스타트 키가 눌러졌는지 유무를 판단한다. 스타트 키가 눌러져 있으면, S67-1로 이동하여 프린트 모드가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이면 선두 페이지 인쇄 처리를 실행하고(S67-2), 그렇지 않으면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S67-3).
S67에서 스타트 키가 눌러져 있지 않을 때에는 S68에서 종료 키(80)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종료 키(80)가 눌러지면 페이지 인쇄 처리는 종료된다. 종료 키(80)가 눌러져 있지 않을 때에는 S69에서 지정 페이지 인쇄 유효 플러그가 세트되어 있고, 동시에 지정 페이지 키(77)가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키가 눌러지면 프린트 모드를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로 설정하고(S70), 페이지 입력 모드를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로 하여(S71),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를 행하고(S72), S67로 복귀한다. S69에서 지정 페이지 키(77)가 눌러져 있지 않든지, 또는 지정 페이지 인쇄 유효 플러그가 리세트되어 있으면 S69-1로 이동하여 선두 페이지 키(76)가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키가 눌러져 있으면 프린트 모드를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로 설정하고(S69-2), S67로 복귀한다. 또한, 선두 페이지 키(76)가 눌러져 있지 않으면 S69-3으로 이동하여 프린트 모드가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이면 S72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S67로 복귀한다.
도 24는 도 23A, 23B에 있어서의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S72)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4의 흐름도에서는 S81[∼]S86의 6개의 판단이 가로로 나열되어 있다. S81에서는 클리어 키가 눌러졌는지 확인한다. S82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83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85에서는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86에서는 종료 페이지 입력 데이터는 선택 파일의 총 페이지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9, 도 11에서 [클리어] 키(79)가 눌러지면 S81-1로 이동하고, 입력 상태가 초기화되어 개시 페이지 입력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클리어] 키(79)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S82로 이동하고,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이면 S82-1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개시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있으면 그 개시 페이지가 선택 파일의 총 페이지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2). 입력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 이하이면 S82-4로 이동하여 입력 데이터를 받아 표시한다. 한편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보정된다(S82-3). 그리고, 페이지 입력 모드를 [∼]지정 입력 모드로 한다(S82-5). 또, 입력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경고 표시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페이지 범위 지정의 이상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S82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아니면 S83으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83에서 범위[∼] 지정 입력 모드라고 판단되면 S83-1로 이동하여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범위 지정 [∼] 키(78)가 눌러지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지면 페이지 입력 모드를 종료 페이지 입력 모드로 하여(S83-2) 종료한다.
또한, S83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 지정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 S84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84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이 모드인 경우에는 S85로 이동한다.
S85에서 종료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입력이 있으면 S86으로 이동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파일의 총 페이지수보다 큰 경우에는 보정 처리를 행하고(S87), 총 페이지수 이하이면 종료 페이지 데이터를 표시하여(S88) 처리를 종료한다.
그런데, 인쇄 페이지 범위의 지정이란 것은 복수개 파일에 대한 것으로서는 아래와 같이 복수개의 해석이 있다. 1) 각 선택 파일마다 지정 페이지 범위의 인쇄를 실행한다. 2) 복수개 파일을 결합하고 결합한 후의 파일에 대하여 지정 페이지범위의 인쇄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이용자가 혼란되는 원인으로 되어 복수개 파일 선택시에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유효하게 하는 것은 오류 복사의 발생 원인으로 된다고 고려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 파일이 선택된 경우의 샘플 인쇄 모드로서는 지정 페이지 인쇄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1파일이 선택된 경우만 지정 페이지 인쇄의 샘플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 파일에 대한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한 샘플 인쇄가 실행되면, 복수개 파일에 있어서의 내용 확인은 보다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된다. 예컨대, 각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파일 내용을 나타낸 화상이 있는 경우에는 좋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예컨대, 각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단순한 표지 화상밖에 없어 파일 내용을 잘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선두 페이지 인쇄만으로는 내용 확인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복수개 파일에 대한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한 샘플 인쇄를 가능하게 한 제2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여기서의 복수개 파일에 대한 인쇄 페이지 범위의 지정은, 상기 1)의 각 선택 파일마다 지정 페이지 범위의 인쇄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 실시예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양태이므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제어의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6의 화면에서 출력할 파일을 선택한다. 여기서의 출력 파일은 복수개 선택이 가능하다. 파일을 선택하여 페이지 인쇄 키(45)를 누르면 도 25의 화면으로 이행한다. 또, 스캐너로부터 축적한 파일의 선택도 물론가능하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적 파일의 샘플 인쇄용의 페이지 인쇄 출력 설정 화면이다. 페이지 인쇄에는 선택 파일의 선두 페이지만을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와, 선택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출력한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파일만을 선택한 경우에도 복수개 파일을 선택한 경우에도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와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 쌍방을 설정할 수 있고, 도 25에서는 지정 페이지 모드가 설정되어 페이지 인쇄 범위가 개시 페이지(제5페이지), 종료 페이지(제7페이지)로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지 입력 방법은 우선 지정 페이지 키(77)를 누르고 개시 페이지를 텐 키(32)(도 3)로 입력한다. 종료 페이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 키(범위 지정 키)(78)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종료 페이지 입력 모드로 되어 텐 키(32)로 입력한다. 또한 페이지 입력을 실패한 경우에는 [클리어] 키(79)를 누르면 [지정 페이지] 키(77)를 누른 상태로 복귀되어 개시 페이지 입력을 재차 행할 수 있다. 1페이지만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5], [∼], [5]와 같이 개시 페이지와 종료 페이지에 동일한 수자를 입력한다. 또한, 개시 페이지만 입력한 후 스타트 키를 누르면 파일의 개시 페이지(예컨대 5페이지)만을 인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적 복사 모드 처리]의 흐름도이고, 축적 복사 키(42)(도 3)가 눌러진 경우에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일의 선택/선택 해제의 검지, [인쇄] 키(44), [페이지 인쇄] 키(45), [판독] 키(46)가 눌러졌는지 여부의 검지를 행한다.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파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1). 파일이 선택되어 있으면, 표시 반전, 선택 순서 부가 등의 파일 선택 처리(S92)를 행하고 S93으로 이동한다. S92의 파일 선택 처리에 대해서는 도 27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한편,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S91-1에서 파일 선택 해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파일 선택 해제가 없으면 그대로 S93으로 이동하고, 파일 선택이 해제된 경우에는 표시의 비반전, 선택 순서 삭제 등의 파일 선택 해제 처리(S91-2)를 행하고 S93으로 이동한다.
S93에서는 판독 키(46)(도 6)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키가 눌러지면 판독 처리를 행하고(S94), 동작 모드를 [판독 처리]로 설정하고(S95), S96으로 이동한다. 판독 키(46)가 눌러지지 않으면 S97로 이동하여 페이지 인쇄 키(45)(도 6)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페이지 인쇄 키(45)가 눌러지면 페이지 인쇄 처리를 행하고(S98), 동작 모드를 [페이지 인쇄]로 설정하여(S99), S96으로 이동한다. 또한, S97에서 페이지 인쇄 키(45)가 눌러지지 않으면 S100으로 이동하여 인쇄 키(44)(도 6)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쇄 키(44)가 눌러지면 파일 인쇄 처리를 행하고(S101), 동작 모드를 [파일 인쇄]로 설정하여(S102), S96으로 이동한다. 나아가, S100에서 인쇄 키(44)가 눌러지지 않으면 S103으로 이동하여 취소 키(47)(도 6)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취소 키(47)가 눌러지지 않으면 S96으로 이동하고, 눌러지면 전체 파일의 선택을 해제하고(S104), S91로 복귀한다. 그리고, S96에서는 축적 복사 모드의 종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할 때까지 S91로 복귀하여 본 처리를 계속한다.
도 27은 도 26의 S92에 있어서의 파일 선택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의 내용은 후술하는 페이지 지정 범위 정합성 확인 처리(도 29)에서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선택 파일에 있어 지정한 페이지 범위에서의 샘플 인쇄를 할 수 없으므로 파일의 선택 자체를 금지함과 동시에 경고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물론 정합성 확인 처리에서 문제가 없으면 파일을 선택 상태로 하는 것이다. 또, 정합성 확인은 선택된 파일에 대하여 지정된 페이지 범위를 확인하는 방법과, 지정 범위를 입력한 후 파일을 선택할 때마다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도 27의 흐름도에 있어서, S111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가 페이지 인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모드가 아니면 S116으로 이동하여 파일의 선택 상태를 표시(반전 표시, 선택 순서 부가)하여 복귀한다.
페이지 인쇄 모드이면 S112로 이동하여 인쇄 지정 페이지가 다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되지 않으면 S116으로 이동한다. 인쇄 지정 페이지가 다 입력되면 S113으로 이동하여 페이지 지정 범위의 정합성 확인 처리를 행한다. 이 페이지 지정 범위 정합성 확인 처리에 관해서는 도 29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그리고, 페이지 지정 범위와 선택 파일에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 S114에서 부정합이 있는 경우에는 파일의 선택을 금지함과 동시에 부정합의 발생을 경고 표시하고(S115) 복귀한다. S114에서 정합성에 문제가 없으면 S116으로 이동하여 파일의 선택 상태를 표시하여 복귀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파일 선택시에 이용자에 대하여 부정합이 발생하는 파일의 존재를 알릴 수 있고, 범위 지정에 의한 샘플 인쇄에 실패한 파일이 있는 것을 사전에 알 수 있어 오류 복사(이용자의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 출력 결과로 되는 것)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페이지 지정 범위의 부정합은 예컨대, 파일의 총 페이지수가 6페이지인 경우에, 페이지 인쇄 범위가 [5∼7]로 지정된 경우, 제7페이지가 없는데 제7페이지의 인쇄를 지정한 것으로 되어 부정합이 발생한다.
도 28은 도 26의 S98에 있어서의 페이지 인쇄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면, S121에서 지정 페이지 범위의 입력 처리(상세한 것은 도 30a, 30b에 나타냄)를 행하고, 스타트 키가 눌러졌는지 확인하며(S122), 스타트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S124로 이동하여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상세한 것은 도 31에 나타냄)를 행하여 도 26의 흐름도에 복귀한다. 또한, S122에서 스타트 키가 눌러지지 않으면 S123에서 종료 키가 눌러졌는지 확인하고, 종료 키(80)가 눌러지면 도 26의 흐름도에 복귀하고, 그렇지 않으면 S121로 복귀한다.
도 29는 도 27의 S113에 있어 페이지 지정 범위 정합성 확인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선택 완료된 각 파일의 페이지수와 입력된 페이지 지정 범위 데이터의 정합성을 조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지 지정 범위 데이터로 선택 파일이 완전히 페이지 인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선택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S131), 선택 파일이 있으면, 선택 완료된 파일을 검색하여 최소 페이지수 데이터를 얻는다(S132). 그리고 최소 페이지수가 종료 페이지수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S133). 최소 페이지수가 종료 페이지수 이하인 경우에는 페이지 지정 범위의 정합성에 문제 있다고 판정되고(S134), 최소 페이지수가 종료 페이지수보다 크면 정합성에 문제 없다고 판정된다(S135). 또한, S131에서 선택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S135로 이동하여 정합성에 문제 없다고 판정된다.
도 30A, 30B는 도 28의 S121에 있어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개시 페이지와 종료 페이지의 입력 데이터 타당성의 확인, 대소 관계 역전(逆轉)의 확인과 보정 처리, 및 데이터 입력시에 선택완료된 파일과 입력 페이지 범위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인한다.
도 30A, 30B의 흐름도에서는 S141∼S146의 6개 판단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다. S141에서는 클리어 키가 눌러졌는지 확인한다. S142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43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44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45에서는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46에서는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는 개시 페이지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9, 11에서 [클리어] 키(79)가 눌러지면 S141-1로 이동하고, 입력 상태가 초기화되어 개시 페이지 입력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클리어] 키(79)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S142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이면 S149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개시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있으면 그 개시 페이지 입력 데이터는 입력 완료된 종료 페이지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입력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보다 작으면 S151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를 갱신한다. 입력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 이상인 경우에는 S152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와 종료 페이지 데이터의 값을 교체한다. S151 및 S152로부터는 S153으로 이동하고, 페이지 입력 모드를 [∼]지정 입력 모드로 하고 페이지 지정 범위의 정합성을 확인(S154)하여 정합성에 문제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5). 정합성에 문제 없으면 본 처리를 종료하고, 문제 있는 경우에는 종료 페이지 데이터를 최소 페이지수로 보정한다(S156).
또한, S142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아니면 S143으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143에서 범위 지정[∼] 입력 모드로 판단되면 S143-1로 이동하여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지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지면 페이지 입력 모드를 종료 페이지 입력 모드로 하여(S143-2) 종료한다.
또한, S143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S144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144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이 모드인 경우에는 S145로 이동한다.
S145에서 종료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입력이 있으면 S146으로 이동하여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개시 페이지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개시 페이지수보다 크면 종료 페이지 데이터를 갱신(S147)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개시 페이지수 이하이면 개시 페이지 데이터와 종료 페이지 데이터를 교체(S148)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31은 도 28의 S124에 있어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선택 파일 지정 순서로, 또한 파일마다 지정한 페이지 범위에 대하여 페이지 화상을 인쇄 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선택 파일 순서로 그 지정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상을 호출하여 인쇄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페이지 인쇄 지정된 파일수(N)를 취득하고(S161), 파일 인쇄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i를 1에 세트한다(S162). 다음, 인쇄 지정 페이지 범위에서 지정된 데이터, 즉 인쇄 개시 페이지(PrintStartPage) 및 인쇄 종료 페이지(PrintEndPage)를 얻는다(S163). 이 때, 인쇄 종료 페이지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 개시 페이지와 동일한 값을 세트하고, 인쇄 개시 페이지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 종료 페이지와 같은 값을 세트한다. 또한, 인쇄 개시 페이지, 인쇄 종료 페이지 모두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양쪽을 1에 세트한다. 이것에 의해 페이지 범위의 일측만이 입력된 상태채로 스타트 키가 눌러진 경우에도 지정 페이지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체 선택 파일의 인쇄가 종료했는지(i>N) 여부를 판단하고(S164), 전체 파일의 인쇄가 종료하면 본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는 종료한다.
전체 파일의 인쇄가 종료하지 않으면 S165로 이동하고, 파일 인쇄 페이지 위치의 설정(k=PrintStartPage)을 행한다. 다음, 인쇄 순서 i번째 파일의 제k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쇄 처리를 행한다(S166). 그리고, 지정된 최종 페이지까지의 인쇄가 완료되었는지(k≥PrintEndtPage)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7).
여기서, 지정된 최종 페이지까지의 인쇄가 완료하면 상기 파일 인쇄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i를 증가하고(S169), 인쇄 완료가 아니면 다음의 인쇄 페이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하여 상기 페이지수를 나타내는 변수: k를 증가하여(S168), S166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설명한 도 31의 흐름도는 제1실시예의 도 23A, 23B의 S67-3의 처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제1실시예에서는 지정 페이지 인쇄를 행할 때에는 하나의 파일밖에 선택되지 않으므로 도 31의 S161에서 항상 N=1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샘플 인쇄 모드에 의해 선택한 파일의 지정 페이지의 화상을 샘플 인쇄하여 볼 수 있으므로, 파일 내용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그 파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이 경우에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예컨대 각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는 그다지 의미없는 화상(파일의 내용을 판단할 수 없는 화상, 예컨대 장(章)의 단락을 나타내기 위한 표지 화상 등)밖에 없는 경우에도 선택 파일의 지정 인쇄에 의해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샘플 인쇄 모드의 인쇄 페이지 범위 지시에 대하여 지정 내용과 파일의 정합성을 확인하여 경고 표시(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하므로, 이용자 자신이 정합성을 판단하지 않아도 되어(파일의 수나 파일의 페이지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들을 기억하여 인쇄 페이지 범위의 지정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이용자가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조작성이 뛰어난 이용자에게 편리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오류 복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기록지의 낭비 및 시간 낭비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나아가, 샘플 인쇄에 있어서 무효(정합성에 문제 있는)한 인쇄 페이지 범위의 지정이 있은 경우에는 인쇄 페이지 범위의 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므로, 이용자가 지정을 잘못한 경우에도 적절한 샘플 인쇄 출력을 실행하여 내용 확인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오류 복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샘플 인쇄에 있어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한 페이지 범위의 지정에 문제가 있는(지정 내용과 파일의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출력 가능한 화상만을 샘플 인쇄로서 출력하도록 한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하드적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양태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제어의 부분만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6의 화면에서 출력할 파일을 지정한다. 여기서의 출력 파일은 복수개 선택이 가능하다. 파일을 선택하여 페이지 인쇄 키를 누르면 도 25의 화면으로 이행하는 것은 상기 제2실시예와 같다. 또, 스캐너로부터 축적한 파일의 선택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축적 복사 모드 처리]는 도 26의 흐름도에 있어 [페이지 인쇄처리](S98, 이 처리는 도 28에 상세히 서술됨)내의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도 28의 S121) 및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도 28의 S124)의 내용이 상이한 외는 도 26의 흐름도에 나타낸 [축적 복사 모드 처리]와 동일한 양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와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에 관해서는 각각 도 32A, 32B와 도 33A, 33B에 의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32A, 32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적 복사 모드 처리]내의 [페이지 인쇄 처리]의 지정 페이지 범위 입력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2A, 32B의 흐름도에서는 S191-S196의 6개의 판단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다. S191에서는 클리어 키가 눌러졌는지 확인한다. S192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93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94에서는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95에서는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96에서는 종료 페이지 입력 데이터는 입력 개시 페이지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 S191에 있어서, 도 9, 11에서 [클리어] 키(79)가 눌러지면 S191-1로 이동하여 입력 상태가 초기화되어 개시 페이지 입력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클리어] 키(79)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S192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이면 S199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개시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있으면 그 개시 페이지 입력 데이터는 입력 완료된 종료 페이지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입력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보다 작으면 S201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를 갱신한다. 입력 데이터가 파일의 총 페이지수 이상인 경우에는 S202로 이동하여 개시 페이지 데이터와 종료 페이지 데이터의 값을 교체한다. S201 및 S202로부터는 S203으로 이동하고, 페이지 입력 모드를 [∼]지정 입력 모드로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92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개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아니면 S193으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지정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193에서 범위 지정[∼] 입력 모드로 판단되면 S193-1로 이동하여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지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범위 지정[∼] 키(78)가 눌러지면 페이지 입력 모드를 종료 페이지 입력 모드로 하여(S193-2) 종료한다.
또한, S193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 지정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S194로 이동하여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194에서 페이지 입력 모드가 최종 페이지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이 모드인 경우에는 S195로 이동한다.
S195에서 종료 페이지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입력이 있으면 S196으로 이동하여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개시 페이지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개시 페이지수보다 크면 종료 페이지 데이터를 갱신(S197)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입력된 종료 페이지 데이터가 개시 페이지수 이하이면 개시 페이지 데이터와 종료 페이지 데이터를 교체(S198)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33a, 33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적 복사 모드 처리]내의 [페이지 인쇄 처리]에 있어서의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처리에서는 선택 완료된 파일의 페이지수와 입력 페이지 범위 데이터와의 정합성 확인이 행해진다. 가령 인쇄 순서 i번째 파일의 페이지수(FilePage)와 인쇄 지정 페이지 범위에서 지정된 인쇄 최종 페이지 지정(PrintEndPage)의 관계가 FilePage < PrintEndPage로 된 경우(예컨대, 파일 페이지수가 3인데 범위 지정한 최종 페이지가 5인 경우 등)에는 지정한 페이지수와 실제 파일 페이지 데이터 사이에 부정합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에 한하여 일시적으로PrintEndPage를 FilePage데이터로 보정하고, 이 파일에 대한 지정 페이지 인쇄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이 파일에 대해서는 범위 지정한 페이지 범위의 인쇄 출력이 보증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파일 정보(파일 선택 순서, 파일명 등) 및 인쇄 출력한 페이지수를 기억해 둔다.
이들 정보는 전체 파일의 인쇄 종료 후에 부정합의 발생을 경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각 파일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데이터 정합성 확인을 실행하고, 전체의 선택 파일에 대하여 지정 페이지 인쇄를 실행한다.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페이지 인쇄 지정된 파일수(N)를 취득하고(S171), 파일 인쇄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i를 1에 세트한다(S172). 다음, 인쇄 지정 페이지 범위에서 지정된 데이터, 즉 인쇄 개시 페이지(PrintStartPage) 및 인쇄 종료 페이지(PrintEndPage)를 얻는다(S173). 그리고, 전체 선택 파일의 인쇄가 종료했는지(i>N) 여부를 판단하고(S174), 전체 파일의 인쇄가 종료하면 S174-1로 이동한다. S174-1에서는 정합성에 문제 발생한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정합성에 문제가 발생한 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기억해둔 정합성에 문제가 발생한 파일의 정보를 표시하고(S174-2), 처리를 종료한다.
S174에서 전체 파일의 인쇄가 종료하지 않으면 S175로 이동하고, 인쇄 순서 i번째 파일의 페이지수 데이터(FilePage)를 취득하고, 그 페이지수(FilePage)와 인쇄 지정 페이지 범위에서 지정된 인쇄 최종 페이지 지정(PrintEndPage)의 관계가FilePage > PrintEndPage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76). 여기서 FilePage > PrintEndPage이면 S177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S176-1로 이동한다. S176-1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서,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에 대하여 PrintEndPage를 FilePage로 하여 보정하고(S176-1), 정합성에 문제 있음을 나타내는 플러그(fCheckNG)를 세트한다(S176-2). 그리고, 그 파일의 정보(파일 인쇄 순서, 파일명, 인쇄 페이지수(=PrintEndPage - PrintStartPage + 1)을 기억하고(S176-3), S177로 이동한다.
S177에서는 범위 지정된 개시 페이지와 파일 페이지수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FilePage > PrintStartPage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FilePage > PrintStartPage이면 정합성에 문제 없어 S177-1로 이동하여 파일 인쇄 페이지 위치의 설정(k=PrintStartPage)을 행한다. 다음, 인쇄 순서 i번째 파일의 제k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쇄 처리를 행한다(S177-2). 그리고, 지정된 최종 페이지까지의 인쇄가 완료되었는지(k≥PrintEndtPage) 여부를 판단하고(S177-3), 다음의 인쇄 페이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하여 상기 페이지수를 나타내는 변수: k를 증가하고(S177-4), S177-3으로 복귀한다. 지정된 최종 페이지까지의 인쇄가 종료하면 S177-3으로부터 S181로 이동한다.
S177에서 FilePage > PrintStartPage가 아닌 경우는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서, S178로 이동하여 지정 범위 페이지 데이터를 보정한다. 이 보정은 PrintStartPage = 0, PrintEndPage = 0으로 하여 인쇄 페이지가 없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S179에서 정합성에 문제 있음을 나타내는 플러그(fCheckNG)를 세트한다. 나아가, 그 파일의 정보(파일 인쇄 순서, 파일명, 인쇄 페이지수(=PrintEndPage - PrintStartPage + 1)를 기억하고(S180), 다음의 파일 인쇄 순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상기 변수: i를 증가하여(S181), S173으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샘플 인쇄에 있어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에 있어서, 선택 완료된 파일의 페이지수와 입력 페이지 범위 데이터의 사이에 부정합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무리(적정한 출력)가 보증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용자가 소망하는 선택 파일수 × 페이지 범위 지정 페이지수 매의 출력을 얻을 수 없음을 이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파일의 정합성 확인 결과를 기억해 두고, 부정합 발생시에 이용자에게 통지/경고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샘플 인쇄가 완전하지 않음을 이용자가 인식하여 파일 내용을 출력된 화상에 근거하여 조사할 수 있어 파일 내용의 식별 오류 등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통지 방법으로서는 샘플 인쇄 종료후에 인쇄한 페이지수나 인쇄한 페이지 범위 등을 표시하도록 하면 좋다. 그 일례를 도 34에 나타낸다. 도 34에 나타낸 예에서는 샘플 인쇄로서 복수개 지정된 각 파일의 인쇄 순서와 파일명, 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도면에서는 인쇄 페이지 범위), 그 인쇄 페이지수(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페이지수) 및 각 파일의 총 페이지수가 표시되어 있고, 그 위쪽에 [페이지 인쇄시에 페이지 지정 범위와 파일 페이지수에 부정합이 발생하였습니다. 마무리 확인시에 주의하여 주십시오!]라는 경고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샘플 인쇄에 있어 지정 페이지 범위 인쇄 모드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한 페이지 범위 지정에 문제가 있는(지정 내용과 파일의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출력 가능한 화상만을 샘플 인쇄로서 출력함으로써 샘플 인쇄를 지정한 전체 파일에 대하여 지정 내용과 파일 사이에 정합성이 있는지 여부를 이용자 자신이 확인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일 내용을 출력된 화상에 근거하여 조사할 수 있어 오류 복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샘플 인쇄한 각 파일의 정보를 표시하므로 이용자의 지정과 파일 내용의 어느 곳에 문제가 있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고 표시에 의해 문제 발생을 확실하게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디지털 복사기(200)에 있어서, 이 디지털 복사기(200)가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300)로부터 LAN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에서 메인 제어기내의 ROM(69)(도 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겹쳐 씀으로써 디지털 복사기에 본 발명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IC 카드나 CD·ROM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그 프로그램을 IC카드 판독기나 CD·ROM 드라이브 등으로부터 I/O 포트(67)(도 13)를 통하여 판독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으로 메인 제어기 내의 ROM(69)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겹쳐 써서 디지털 복사기에 본 발명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어느 경우도 상기 ROM(69)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전기적으로 소거·고쳐쓰기가 가능한 소자로서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한 샘플 인쇄를 할 수 있고, 파일 편집후의 적절한 내용 확인에 적절한 화상 형성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해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할 때에 일측만의 페이지 지정이 가능하므로, 페이지 범위 지정시의 조작을 간략화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5 페이지만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페이지 범위로서 [5]∼[5]라고 입력하는 시간을 생략하여 [5] 페이지만의 지정에 의한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이용자의 입력 횟수를 절감시키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해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가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인 경우, 페이지 범위를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설정하므로, 이용자에 의한 오류 입력이 있은 경우에도 정합성이 있고 모순 없게 페이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샘플 인쇄 모드가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와,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으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구비하므로, 2개의 샘플 인쇄 모드에 의해 파일 내용 확인을 효율 높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가 없으면 파일 전체의 화상을 인쇄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에 의해 파일 내용의 식별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로서 선두 페이지만 인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에 의해 임의의 파일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파일 편집(예컨대, 파일의 특정 페이지의 삭제, 특정 페이지로 페이지 또는 파일을 삽입, 또는 복수개 파일의 머지·결합 등)을 행한 경우에는 소망의 인쇄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편집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편집에 의해 변화가 발생한 페이지를 지정하여 확인할 수 있고,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에 의해 확실한 내용의 확인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인 경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므로,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에 있어서의 입력 가능한 페이지 범위를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페이지 지정의 오류 입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파일이 소망의 파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오류 복사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해,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복수의 파일이 선택되고,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금지하므로, 이용자가 틀리게 모드를 해석함에 인한 오류 복사, 오류 프린터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해,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인쇄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파일이 선택된 경우의 2개 샘플 인쇄 모드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해,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되고,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이 가능함으로써 선택한 파일의 지정한 페이지 화상을 (샘플 인쇄하여) 볼 수 있으므로, 파일 내용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그 파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이 경우에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예컨대 각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는 화상(파일의 내용을 판단할 수 있는 화상, 예컨대 장의 단락을 나타내기 위한 표지 화상 등)밖에 없는 경우에도 선택 파일의 지정 페이지 인쇄에 의해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구성에 의해,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수와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에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 자신이 정합성을 판단하지 않아도 되어(파일의 수나 파일의 페이지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들을 기억하여 인쇄 페이지 범위의 지정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조작성이 뛰어나고 이용자에게 편리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오류 복사를 미연에 방지하여 기록지의 낭비 및 시간의 낭비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청구항 10의 구성에 의해,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된 경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페이지 범위를 입력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가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이용자가 페이지 범위의 지정을 틀리게 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해,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파일에 대하여,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를 보정하므로, 샘플 인쇄에 있어서 무효한 (정합성에 문제가 있는) 인쇄 페이지 범위 지정이 있은 경우에 인쇄 페이지 범위의 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적절한 샘플 인쇄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류 복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구성에 의해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페이지 범위가 다 입력된 경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될 때마다 이 선택 파일과 페이지 범위에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지정 범위를 입력하여 파일을 선택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이용자에게 부정합이 발생하는 파일의 존재를 알릴 수 있어 오류 복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구성에 의해,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므로, 범위 지정에 의한 샘플 인쇄에 실패한 파일이 혼입되는 것(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구성에 의해, 부정합이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 수가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이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 수로 하므로, 샘플 인쇄 모드에 있어서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이 있는 경우에도 샘플 인쇄를 할 수 있어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부정합을 의식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5의 구성에 의해,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되 경우에 경고 표시를 하므로, 부정합의 발생을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소망하지 않는 샘플 인쇄를 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고 표시에 의해 지정 내용을 수정하여 행하면, 적정한 샘플 인쇄에 의해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청구항 16 또는 17의 구성에 의해, 부정합이 발생한 경우의 이용자 지정의 어느 곳에 문제가 있는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19∼30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파일 편집 후의 내용을 적절하게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31∼4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용 프로그램리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에 의해, 파일 편집 후의 내용 확인에 적절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Claims (46)

  1. 입력된 화상 정보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이 축적 수단에 축적된 화상 정보를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화상 정보의 집합을 파일로서 취급하여 화상 관리 데이터 및 파일 관리 데이터를 보존하는 관리 데이터 보존 수단과,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선택하는 파일 선택 수단과,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전체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제1인쇄 모드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일부의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의 선택을 행하는 인쇄 모드 선택 수단과,
    상기 샘플 인쇄 모드 선택시에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과,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인쇄 페이지 범위가 지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관리 데이터 보존 수단에 보존한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화상 정보 중에서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쇄 수단에 의해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인쇄 페이지 범위의 개시 페이지 또는 종료 페이지 중의 어느 한 쪽만 페이지를 지정하여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지정 페이지의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가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페이지 범위를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와,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총 페이지수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복수개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되고, 인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실행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수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에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 완료된 경우,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페이지 범위를 입력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가 상기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파일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페이지 범위가 입력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파일이 선택될 때마다 이 선택 파일과 상기 페이지 범위에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이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 수가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이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는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상기 샘플 인쇄 모드로 출력한 페이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는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상기 페이지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인쇄 모드의 규정 모드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인쇄 대상으로 선택된 파일의 일부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샘플 인쇄 모드로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에 대해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 축적되어 있는 화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샘플 인쇄 모드로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범위 지정된 페이지의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 축적되어 있는 화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범위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범위 지정으로서 개시 페이지 또는 종료 페이지 중의 어느 한 쪽만 페이지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범위 지정이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인 경우, 상기 페이지 범위를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복수개 파일인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된 범위의 페이지의 인쇄 실행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이 하나의 파일인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 인쇄와,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된 범위의 페이지의 인쇄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수와 상기 지정된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범위를 비교하고,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가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여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할 때마다 이 페이지 범위와 인쇄 대상 파일이 부정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이 있는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은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 수가 상기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이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상기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이 있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제어 또는 상기 선택된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된 범위의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제어를 상기 샘플 인쇄 모드의 규정 모드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1.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된 컴퓨터에 인쇄 대상 파일이 선택 화면에 나열된 후보 중에서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이 선택된 파일의 전체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제1 인쇄 모드 또는 이 선택된 파일의 일부의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
    상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된 지정 화면에서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가 지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에서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 있어서 페이지 범위 지정으로서 개시 페이지 또는 종료 페이지 중의 어느 한 쪽만 페이지가 지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시된 경우에,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상기 지정된 페이지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인쇄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 있어서 페이지 범위 지정으로서 소정의 페이지 범위 밖의 페이지가 지정된 경우, 이 페이지 범위를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의 총 페이지수로 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하는 절차에 있어서 복수개 파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파일을 선택하는 절차에 있어서 하나의 파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및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의 선택을 허가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서 지정된 페이지 범위와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수를 비교하여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서 페이지 범위가 지정될 때마다 상기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파일의 전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제1 인쇄 모드 또는 파일의 일부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샘플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 및 상기 제1 인쇄 모드 또는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을 선택하는 절차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의 파일이 선택될 때마다 상기 인쇄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는 절차에서 지정된 페이지 범위와 인쇄 대상 파일의 페이지수를 비교하여 부정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40. 제36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은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파일의 페이지 수가 지정된 페이지 범위의 종료 페이지수보다도 작은 부정합인 경우, 이 부정합이 발생한 파일의 상기 종료 페이지수를 이 파일의 페이지수로 하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41. 제36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 수단에 경고 표시를 나타내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 중의 어느 한 모드가 상기 샘플 인쇄 모드의 규정 모드로서 설정되고, 상기 샘플 인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인쇄 대상 파일의 선두 페이지를 인쇄하는 선두 페이지 인쇄 모드 또는 인쇄 대상 파일의 지정 페이지 범위를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지정 페이지 인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인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1-0028033A 2000-05-22 2001-05-22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KR100438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0260 2000-05-22
JP2001-074748 2001-03-15
JP2001074748 2001-03-15
JP2000-150260 2001-03-15
JP2001-129511 2001-04-26
JP2001129511A JP4378063B2 (ja) 2000-05-22 2001-04-26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642A KR20010107642A (ko) 2001-12-07
KR100438971B1 true KR100438971B1 (ko) 2004-07-03

Family

ID=2734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033A KR100438971B1 (ko) 2000-05-22 2001-05-22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23569B2 (ko)
EP (1) EP1158400A1 (ko)
JP (1) JP4378063B2 (ko)
KR (1) KR100438971B1 (ko)
CN (1) CN10043291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159A (ja) * 2001-05-15 2003-02-07 Fuji Xerox Co Ltd 印刷処理方法および装置、印刷指示方法および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0436757B1 (ko) * 2001-10-04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특정부분을 인쇄하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340091B2 (ja) * 2002-04-11 2009-10-07 株式会社リコー 紙識別情報管理システム、紙識別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2004032704A (ja) * 2002-05-09 2004-0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印刷システムに好適な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3920168B2 (ja) * 2002-08-02 2007-05-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4145568A (ja) * 2002-10-23 2004-05-20 Kyocera Mita Corp 画像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7154628B2 (en) * 2002-12-17 2006-12-26 Xerox Corporation Job secure overwrite failure notification
CN100382073C (zh) * 2003-03-27 2008-04-16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系统、图像形成系统的控制方法
JP2005110183A (ja) 2003-10-02 2005-04-21 Murata Mach Ltd 画像処理装置
US7852494B2 (en) * 2004-07-30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job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8269989B2 (en) * 2004-09-28 2012-09-18 Sharp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document replacement apparatus, and printer driver
US7843578B2 (en) * 2004-12-21 2010-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435106B2 (ja) 2005-05-31 2010-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電子機器
JP4135739B2 (ja) * 2005-09-09 2008-08-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29625B1 (ko) * 2005-12-26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화상형성장치 및 양면화상형성방법
JP4720512B2 (ja) * 2006-01-11 2011-07-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71028B2 (ja) * 2006-02-28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011240709A (ja) * 2006-03-02 2011-12-01 Ricoh Co Ltd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用プログラム
JP5106165B2 (ja) * 2008-02-13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67985A (ja) * 2010-02-19 2011-09-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文書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310405A1 (en) * 2010-06-18 2011-12-22 Petar Kraguljac Printing email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9896B2 (ja) * 1992-04-29 1997-09-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構造化文書複製管理方法及び構造化文書複製管理装置
JP3660363B2 (ja) 1992-05-28 2005-06-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とその画像形成装置
JP3450382B2 (ja) * 1992-09-24 2003-09-22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
JP3339921B2 (ja) 1992-11-30 2002-10-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の通信コントロール装置
JP3347781B2 (ja) 1992-12-11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US5615320A (en) * 1994-04-25 1997-03-25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Computer-aided color selection and colorizing system using objective-based coloring criteria
US5715381A (en) * 1994-08-08 1998-02-03 Xerox Corporation Method of creating and managing packages, including multiple documents, in a printing system
JPH08154157A (ja) * 1994-11-28 1996-06-11 Ricoh Co Ltd 本原稿画像読み取り装置
JPH08292755A (ja) * 1995-04-20 1996-11-05 Fuji Xerox Co Ltd 文書出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3580060B2 (ja) * 1996-05-09 2004-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
FR2756387B1 (fr) 1996-11-22 2001-11-30 Ricoh Kk Appareil de formation d'image, notamment pour copieur et imprimante
JP3396141B2 (ja) 1996-12-16 2003-04-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450630B2 (ja) 1997-02-27 2003-09-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127492A (ja) 1997-07-03 1999-01-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45229B1 (en) * 1997-09-26 2004-06-01 Worldcom, Inc. Web based integrated customer interface for invoice reporting
TW405083B (en) * 1997-11-06 2000-09-11 Ibm Asynchronous printing of WEB documents
KR100269142B1 (ko) * 1997-12-27 2000-10-16 윤종용 화상인쇄시스템 및 그 일괄 또는 주기적 분할선택에 대한 인쇄처리방법
JP3278394B2 (ja) * 1998-02-25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H11296019A (ja) 1998-04-08 1999-10-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250231B2 (ja) * 1998-09-04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6633893B2 (en) * 1998-09-04 2003-10-14 Canon Kabushiki Kaisha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6134568A (en) * 1998-10-30 2000-10-17 Kinko's Ventures, Inc. Previewing an assembled document
JP2000172694A (ja) * 1998-12-02 2000-06-23 Toshiba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
US6674540B1 (en) * 1999-05-24 2004-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embling and printing compound documents
JP3842940B2 (ja) 1999-12-17 2006-11-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642A (ko) 2001-12-07
US20020051203A1 (en) 2002-05-02
CN1325057A (zh) 2001-12-05
US7460255B2 (en) 2008-12-02
EP1158400A1 (en) 2001-11-28
US20060109494A1 (en) 2006-05-25
US7023569B2 (en) 2006-04-04
JP2002337430A (ja) 2002-11-27
JP4378063B2 (ja) 2009-12-02
CN100432916C (zh)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971B1 (ko)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US7190482B2 (en) Image data registering apparatus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773054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data erasure in response to power loss and data erasing method therefor
US67514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product
US5301262A (en) Image processor
US6690482B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for
US2005028694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job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6661527B1 (en) Image input/output apparatus, image input/output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630468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in correspondence with portrait and landscape types
US5717501A (en) Digital image forming apparatus
JP7077631B2 (ja) 画像検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6963410B2 (en) Printer with controller responsive to stored image files and processing information, related method, and recording media having related executable code
US630761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680402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1013587A (ja) 画像形成装置
JP3618883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5051796A (ja) 画像形成装置
JP3618167B2 (ja) ディ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4110084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H09197738A (ja) 複合画像形成システム
JP4076827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3588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8683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11202A (ja) 画像形成装置
JPS6336662A (ja) 光学読取りシ−ト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